KR102307293B1 -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293B1
KR102307293B1 KR1020190108087A KR20190108087A KR102307293B1 KR 102307293 B1 KR102307293 B1 KR 102307293B1 KR 1020190108087 A KR1020190108087 A KR 1020190108087A KR 20190108087 A KR20190108087 A KR 20190108087A KR 102307293 B1 KR102307293 B1 KR 102307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older base
management system
stor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6797A (ko
Inventor
박경희
Original Assignee
박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희 filed Critical 박경희
Priority to KR1020190108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29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매장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각 출입자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미리 설정된 출입 가능한 시간에만 매장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하는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매장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식별부; 사용자 식별부에 입력된 생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매장과 사용자를 확인하는 인증 서버; 및 현재 시간이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출입 가능 시간 내에 해당되는지 확인하고, 사용자의 출입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출입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Unmanned stor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장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각 출입자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미리 설정된 출입 가능한 시간에만 매장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하는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기불황과 치솟는 임대료, 최저임금 인상 등의 여파로 '무인화 바람'이 업계 곳곳으로 파고들고 있다. 2018년과 2019년 최저임금 상승률은 각각 16.4%, 10.9%에 달하며 자영업자들 사이에선 인건비 부담에 대한 위기의식이 고조되고 있다. 무인 주문 결제 시스템을 갖춘 키오스크는 맥도날드, 롯데리아 등 기존 햄버거 프랜차이즈 뿐 아니라 일반 커피전문점 및 분식집으로까지 확대되는 추세다. 매장내 무인 기기 활용은 2016년만 해도 시작 단계에 불과했지만 최근 2년 새 급격히 증가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키오스크 한 대당 아르바이트생 1.5명의 대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키오스크의 가격이 아직은 부담없는 가격은 아니며, 이에 따라 키오스크 가격을 낮추려는 많은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주문 외에 매장 출입 관리를 위해서는 무인 상태에서 출입구를 개폐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무인 관리 상태에서 미성년자에 대한 출입 시간 통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매장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각 출입자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미리 설정된 출입 가능한 시간에만 매장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하는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으로서, 매장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식별부; 사용자 식별부에 입력된 생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매장과 사용자를 확인하는 인증 서버; 및 현재 시간이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출입 가능 시간 내에 해당되는지 확인하고, 사용자의 출입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출입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으로서, 매장 출입구에 설치된 코드표시장치에 표시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되기 위한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부;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된 코드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매장과 사용자를 확인하는 인증 서버; 및 현재 시간이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출입 가능 시간 내에 해당되는지 확인하고, 사용자의 출입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출입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는 매장 정보를 포함하며, 매장 정보는 매장 이름 및 매장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생성부는 다이나믹 QR코드, 3차원 QR코드, 2차원 QR코드, 바코드, 문자열 및 숫자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매장 출입구의 잠금장치를 개폐하는 잠금제어 서버를 더 포함하되, 출입관리부가 현재 시간이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출입 가능 시간 내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면, 잠금제어 서버는 매장 출입구를 개방 상태로 변경하고, 출입관리부가 현재 시간이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출입 가능 시간 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잠금제어 서버는 매장 출입구를 잠금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잠금제어 서버의 출입구 개폐 기록을 통해 사용자의 매장 이용 시간을 계산하고, 매장 이용 시간의 소정 비율에 해당되는 리워드를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리워드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잠금제어 서버의 출입구 개폐 기록을 통해 사용자의 매장 이용 시간을 계산하고, 사용자의 매장 이용 시간대 및/또는 리워드 크기와 관련이 있는 광고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출하는 광고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누적 리워드에 소정의 환전율을 적용하여 변환 가능한 암호 화폐의 가치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환전 요청을 하면 사용자에게 환전된 암호 화폐를 할당하는 환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매장 내 자판기에 설치되어,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주문을 수신하고, 주문된 음료를 배출시키는 주문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주문 수신부에 전송된 사용자의 주문 시간 및 주문 음료에 대한 기록을 저장하고, 머신 러닝을 통해, 사용자가 주문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에 미리 사용자의 단말기로 주문이 예상되는 음료에 대한 권유 메시지를 전송하는 주문예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으로서, 매장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고유 코드를 입력받는 사용자 식별부; 사용자 식별부에 입력된 고유 코드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매장과 사용자를 확인하는 인증 서버; 및 현재 시간이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출입 가능 시간 내에 해당되는지 확인하고, 사용자의 출입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출입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단말기 홀더, 이동식 완충장치 및 고유 코드 스캐너를 더 포함하되, 단말기 홀더는 사각형의 홀더 베이스를 포함하고, 사용자 식별부에는 홀더 베이스가 수납되는 스캔 공간이 형성되며, 스캔 공간은 경사로를 포함하며, 경사로에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가 설치되며, 슬라이더의 폭 방향을 따라 회전축이 설치되고, 홀더 베이스는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고유 코드가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단말기를 홀더 베이스에 올려놓으면, 홀더 베이스는 경사로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슬라이더는 아래로 이동하되, 홀더 베이스의 제 1 종단에는 제 1 측벽이 형성되고, 제 2 종단에 제 2 측벽이 형성되며, 사용자 단말기가 홀더 베이스 위에 위치될 때 하향 회전하는 제 2 측벽의 높이가 제 1 측벽의 높이보다 높으며, 홀더 베이스의 제 1 측벽 측에는 무게추가 부착되되, 사용자 단말기가 홀더 베이스 위에 없는 경우에 홀더 베이스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홀더 베이스의 제 1 측벽 측에 위치되며, 무게추의 무게와 무게추로부터 회전축까지의 거리는, 사용자 단말기가 홀더 베이스 위에 위치될 때 홀더 베이스가 경사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정되고, 경사로를 따라 스캔 공간으로 슬라이딩되어 내려온 홀더 베이스는 스캔 공간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이동식 완충장치와 충돌하며 이동을 멈추고, 홀더 베이스가 이동을 멈춘 곳의 위쪽에는 고유 코드 스캐너가 위치하며, 고유 코드 스캐너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고유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을 마치면 이동식 완충장치는 경사로를 따라 상향 이동하고, 홀더 베이스도 상향 이동하게 되며, 홀더 베이스가 경사로의 상측 종단에 위치할 때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회수하면, 홀더 베이스의 제 1 종단은 무게추로 인해 경사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홀더 베이스의 하부에 위치한 U자형 걸림부가 경사로의 상측 종단의 돌출부에 걸리면서 홀더 베이스의 하향 이동이 방지되고, 홀더 베이스가 경사로의 상측 종단의 돌출부에 걸려 고정되면, 이동식 완충장치는 다시 경사로를 따라 하향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매장 출입자(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각 출입자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미리 설정된 출입 가능한 시간에만 매장 출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2)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부여할 수 있다.
(3)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광고를 전송할 수 있다.
(4)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할당된 리워드를 암호화폐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5)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자판기의 음료를 주문할 수 있고, 주문 기록을 통해 사용자에게 미리 음료 구입을 권유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의 실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의 실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의 스캔 서포트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의 실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단말기(10)와 네트워크(2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 식별부(110), 인증 서버(130), 출입관리부(140) 및 잠금제어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10)를 이용하여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100)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100)은 단말기(10)에서 구동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웹 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한 후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도록 하거나, 단말기(10)에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한 사용자는 웹 페이지와 같은 인터페이스에서 검색 창을 통해서 상황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고, 모바일 단말기와 같은 인터페이스에서 검색 창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상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탑(Desktop), 랩탑(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는, 복수의 단말기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식별부(110)는 매장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110). 생체 정보로는 안면 인식 정보, 지문 정보, 홍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부(110)는 카메라의 형태로 출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생체 정보 대신에 사용자 단말기마다 미리 저장된 고유 코드를 사용하여 사용자 식별부(110)로 하여금 인식을 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사용자 식별부(11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증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S120). 사용자 식별부(110)는 생체 정보를 전송하면서, 사용자 식별부(110)가 설치된 매장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매장 정보는 매장 이름, 매장 주소, 영업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서버(130)는 사용자 식별부(110)에 입력된 생체 정보와 매장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고 매장과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S130).
인증 서버(1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매장 정보를 전송받고, 사용자의 단말기 가입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인증 서버(1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바탕으로 인증 서버(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들 중에서, 전송받은 생체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찾아낸다. 사용자 정보는 이름, 성별, 얼굴 사진, 생년월일, 주소, 단말기 번호, 단말기 가입 통신사, 주민등록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서버(130)는 생체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단말기 번호 정보 및 단말기 가입 통신사 정보를 기초로 하여, 단말기 가입 통신사에 사용자 확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40). 단말기 가입 통신사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와 인증서버(130)로 인증번호를 전송하며,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10)를 통해 인증번호를 인증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서버(130)는 사용자가 전송한 인증번호와 단말기 가입 통신사로부터 전송받은 인증번호를 비교하여, 양 번호가 동일하면, 사용자가 출입구에서 신원 확인 시도를 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2단계 확인으로 인해, 사용자의 엄격한 신원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출입관리부(140)는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출입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50). 출입관리부(140)의 결정에 의해 잠금제어 서버(150)는 매장 출입구의 잠금장치를 개폐할 수 있다.
출입관리부(140)는 현재 시간이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출입 가능 시간 내에 해당되는지 확인하고, 현재 시간이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출입 가능 시간 내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면, 잠금제어 서버(150)는 매장 출입구를 개방 상태로 변경할 수 있고, 출입관리부(130)가 현재 시간이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출입 가능 시간 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잠금제어 서버(150)는 매장 출입구를 잠금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의 출입 가능 시간은 법령에 의해 강제되는 시간(예를 들어, 미성년자의 심야 이용 금지)일 수 있고, 법정 대리인 또는 사용자에 의해 허용된 지인에 의해 설정된 시간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속한 단체에 의해 정해진 시간일 수도 있다. 사용자의 출입 가능 시간은 미리 설정이 가능하다.
출입관리부(140)는 사용자가 출입 가능 시간 외의 시간에 출입을 시도한 경우, 사용자의 출입 가능 시간을 미리 설정한 제3자(예를 들어, 법정대리인, 사용자가 허용한 지인 등)의 단말기로 사용자의 출입 시도 사실을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의 실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단말기(10)와 네트워크(2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코드생성부(120), 인증 서버(130), 출입관리부(140) 및 잠금제어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100)은 매장 출입구에 사용자 식별부(110)를 설치하는 대신에, 코드 생성부(12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코드생성부(120)는 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S210), 생성된 코드는 매장 출입구에 설치된 코드표시장치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출입구에 도착하여 코드표시장치에 표시된 코드를 촬영하거나, 직접 입력함으로써 코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에 입력할 수 있다(S220). 코드는 매장 정보 및 코드 생성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매장 정보는 매장 이름, 매장 주소, 영업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생성부(120)가 생성하는 코드는 다이나믹 QR코드, 3차원 QR코드, 2차원 QR코드, 바코드, 문자열 및 숫자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코드일 수 있다. 코드는 소정 주기로 계속 변경이 되며, 코드 생성 시간 정보도 갱신되어 코드에 포함된다.
인증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입력된 코드와 사용자 단말기(1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고 매장과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S230). 사용자 정보는 이름, 성별, 얼굴 사진, 생년월일, 주소, 단말기 번호, 단말기 가입 통신사, 주민등록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코드와 사용자 정보를 전송받고, 코드로부터는 매장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정보로부터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인증 서버(130)는 사용자의 단말기 번호 정보 및 단말기 가입 통신사 정보를 기초로 하여, 단말기 가입 통신사에 사용자 확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240). 단말기 가입 통신사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와 인증서버(130)로 인증번호를 전송하며,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10)를 통해 인증번호를 인증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서버(130)는 사용자가 전송한 인증번호와 단말기 가입 통신사로부터 전송받은 인증번호를 비교하여, 양 번호가 동일하면, 사용자가 출입구에서 신원 확인 시도를 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2단계 확인으로 인해, 사용자의 엄격한 신원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출입관리부(140)는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출입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250). 출입관리부(140)의 결정에 의해 잠금제어 서버(150)는 매장 출입구의 잠금장치를 개폐할 수 있다.
출입관리부(140)는 현재 시간이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출입 가능 시간 내에 해당되는지 확인하고, 현재 시간이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출입 가능 시간 내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면, 잠금제어 서버(150)는 매장 출입구를 개방 상태로 변경할 수 있고, 출입관리부(130)가 현재 시간이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출입 가능 시간 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잠금제어 서버(150)는 매장 출입구를 잠금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의 출입 가능 시간은 법령에 의해 강제되는 시간(예를 들어, 미성년자의 심야 이용 금지)일 수 있고, 법정 대리인 또는 사용자에 의해 허용된 지인에 의해 설정된 시간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속한 단체에 의해 정해진 시간일 수도 있다. 사용자의 출입 가능 시간은 미리 설정이 가능하다.
출입관리부(140)는 사용자가 출입 가능 시간 외의 시간에 출입을 시도한 경우, 사용자의 출입 가능 시간을 미리 설정한 제3자(예를 들어, 법정대리인, 사용자가 허용한 지인 등)의 단말기로 사용자의 출입 시도 사실을 전송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100)은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들을 공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리워드제공부(160)는 잠금제어 서버(150)의 출입구 개폐 기록을 통해 사용자의 매장 이용 시간을 계산하고, 매장 이용 시간의 소정 비율에 해당되는 리워드를 사용자에게 할당할 수 있다. 즉,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100)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에는 리워드가 적립되며, 리워드 포인트는 매장 내에서 현금처럼 사용되거나, 현금으로 교환될 수도 있고, 후술할 암호 화폐로 환전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리워드는 사용자의 재방문을 촉진하게 된다.
광고 전송부(170)는 잠금제어 서버(150)의 출입구 개폐 기록을 통해 사용자의 매장 이용 시간을 계산하고, 사용자의 매장 이용 시간대 및/또는 리워드 크기와 관련이 있는 광고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매장 이용 시간이 주로 오전 시간대라면, 점심 식사를 위한 주변 지역의 맛집을 광고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매장 이용 시간이 주로 오후 시간대라면, 매장에서 사용자의 집으로 가는 경로 상에서 진행되는 할인 행사 매장에 대한 광고를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리워드가 현금 10,000원에 해당된다면, 그 가격대의 상품에 대한 광고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구매를 강력하게 유발시킬 수 있다.
광고 전송부(170)는 사용자 식별부(110)에서 홍채 정보를 획득하면서 얻게 되는 사용자의 시력 정보를 바탕으로, 광고의 글자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노안인 경우에, 글자 크기를 크게 하여 미리 제작된 노안용 광고를 전송하거나, 광고의 특정 부분을 확대한 광고를 전송할 수도 있다.
환전부(180)는 사용자의 누적 리워드에 소정의 환전율을 적용하여 변환 가능한 암호 화폐의 가치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10)가 환전 요청을 하면 사용자에게 환전된 암호 화폐를 할당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지정한 암호 화폐 계좌에 환전된 암호 화폐가 전송될 수 있다.
주문 수신부(190)는 매장 내 자판기에 설치되어, 단말기(1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주문을 수신하고, 주문된 음료를 배출시킬 수 있다.
주문예측부(200)는 주문 수신부(190)에 전송된 사용자의 주문 시간 및 주문 음료에 대한 기록을 저장하고, 머신 러닝을 통해, 사용자가 주문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에 미리 사용자의 단말기(10)로 주문이 예상되는 음료에 대한 권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구매가 증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의 스캔 서포트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100)에는 사용자의 고유 코드를 노출없이 안전하게 스캔하기 위한 스캔 서포트 장치의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스캔 서포트 장치는 단말기 홀더(2100), 이동식 완충장치(2180) 및 고유 코드 스캐너(219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홀더(2100)는 사각형의 홀더 베이스(2110)을 포함한다. 사용자 식별부(110)에는 홀더 베이스(2110)가 수납되는 스캔 공간(2200)이 형성되며, 스캔 공간(2200)은 경사로를 포함하며, 경사로에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2160)가 설치된다. 슬라이더(2160)의 폭 방향을 따라 회전축(2150)이 설치되고, 홀더 베이스(2110)는 회전축(215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고유 코드(11)가 화면에 표시될 사용자 단말기(10)를 홀더 베이스(2110)에 올려놓으면, 홀더 베이스(2110)는 경사로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슬라이더(2160)는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홀더 베이스(2110)의 제 1 종단에는 제 1 측벽(2120)이 형성되고, 제 2 종단에 제 2 측벽(2130)이 형성되어 사용자 단말기(10)가 홀더 베이스(2110)의 회전으로 인해 홀더 베이스(2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가 홀더 베이스(2110) 위에 위치될 때 하향 회전하는 제 2 측벽(2130)의 높이가 제 1 측벽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 베이스(2110)의 제 1 측벽(2120) 측에는 무게추(2140)가 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가 홀더 베이스(2110) 위에 없는 경우에 홀더 베이스(211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홀더 베이스(2110)의 제 1 측벽(2120)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무게추(2140)의 무게와 무게추(2140)로부터 회전축(2150)까지의 거리는, 사용자 단말기(10)가 홀더 베이스(2110) 위에 위치될 때 홀더 베이스(2110)가 시계 방향(도 5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경사로를 따라 스캔 공간(2200)으로 슬라이딩되어 내려온 홀더 베이스(2110)는 스캔 공간(22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식 완충장치(2180)와 충돌하며 이동을 멈추게 된다. 이동식 완충장치(2180)는 탄성재로 이루어져 홀더 베이스(2110)와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렇게 홀더 베이스(2110)가 이동을 멈춘 곳의 위쪽에는 고유 코드 스캐너(2190)가 위치하며, 고유 코드 스캐너(2190)는 사용자 단말기(10)에 고유 코드(11)를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에는 고유 코드(11)가 표시되고, 고유 코드 스캐너(219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된 고유 코드(11)를 스캔하게 된다.
여기서, 고유 코드 스캐너(2190)가 사용자 단말기(10)에 고유 코드(11)를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을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사용자 단말기(10)를 홀더 베이스(2110) 위에 올려 놓을 때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에 고유 코드(11)를 표시하도록 조작한 후에 올려 놓을 수도 있다.
스캔을 마치면 이동식 완충장치(2180)는 경사로를 따라 상향 이동하며, 이에 따라 홀더 베이스(2110)도 상향 이동하게 된다. 홀더 베이스(2110)가 경사로의 상측 종단에 위치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회수하면, 홀더 베이스(2110)의 제 1 종단은 무게추(2140)로 인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홀더 베이스(2110)의 하부에 위치한 U자형 걸림부(2170)가 경사로의 상측 종단의 돌출부에 걸리면서 홀더 베이스(2110)의 하향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홀더 베이스(2110)가 경사로의 상측 종단의 돌출부에 걸려 고정되면, 이동식 완충장치(2180)는 다시 경사로를 따라 하향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캔을 하게 되면, 고유 코드(11)는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게 되어, 복제나 도용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 또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110: 사용자 식별부
120: 코드생성부
130: 인증 서버
140: 출입관리부
150: 잠금제어 서버
160: 리워드제공부
170: 광고 전송부
180: 환전부
190: 주문 수신부
200: 주문예측부

Claims (10)

  1.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매장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고유 코드를 입력받는 사용자 식별부;
    사용자 식별부에 입력된 고유 코드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매장과 사용자를 확인하는 인증 서버; 및
    현재 시간이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출입 가능 시간 내에 해당되는지 확인하고, 사용자의 출입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출입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단말기 홀더, 이동식 완충장치 및 고유 코드 스캐너를 더 포함하되,
    단말기 홀더는 사각형의 홀더 베이스를 포함하고, 사용자 식별부에는 홀더 베이스가 수납되는 스캔 공간이 형성되며,
    스캔 공간은 경사로를 포함하며, 경사로에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가 설치되며, 슬라이더의 폭 방향을 따라 회전축이 설치되고, 홀더 베이스는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고유 코드가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단말기를 홀더 베이스에 올려놓으면, 홀더 베이스는 경사로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슬라이더는 아래로 이동하되, 홀더 베이스의 제 1 종단에는 제 1 측벽이 형성되고, 제 2 종단에 제 2 측벽이 형성되며, 사용자 단말기가 홀더 베이스 위에 위치될 때 하향 회전하는 제 2 측벽의 높이가 제 1 측벽의 높이보다 높으며,
    홀더 베이스의 제 1 측벽 측에는 무게추가 부착되되, 사용자 단말기가 홀더 베이스 위에 없는 경우에 홀더 베이스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홀더 베이스의 제 1 측벽 측에 위치되며, 무게추의 무게와 무게추로부터 회전축까지의 거리는, 사용자 단말기가 홀더 베이스 위에 위치될 때 홀더 베이스가 경사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정되고,
    경사로를 따라 스캔 공간으로 슬라이딩되어 내려온 홀더 베이스는 스캔 공간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이동식 완충장치와 충돌하며 이동을 멈추고, 홀더 베이스가 이동을 멈춘 곳의 위쪽에는 고유 코드 스캐너가 위치하며, 고유 코드 스캐너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고유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을 마치면 이동식 완충장치는 경사로를 따라 상향 이동하고, 홀더 베이스도 상향 이동하게 되며, 홀더 베이스가 경사로의 상측 종단에 위치할 때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회수하면, 홀더 베이스의 제 1 종단은 무게추로 인해 경사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홀더 베이스의 하부에 위치한 U자형 걸림부가 경사로의 상측 종단의 돌출부에 걸리면서 홀더 베이스의 하향 이동이 방지되고,
    홀더 베이스가 경사로의 상측 종단의 돌출부에 걸려 고정되면, 이동식 완충장치는 다시 경사로를 따라 하향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매장 출입구의 잠금장치를 개폐하는 잠금제어 서버를 더 포함하되,
    출입관리부가 현재 시간이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출입 가능 시간 내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면, 잠금제어 서버는 매장 출입구를 개방 상태로 변경하고,
    출입관리부가 현재 시간이 사용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출입 가능 시간 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잠금제어 서버는 매장 출입구를 잠금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잠금제어 서버의 출입구 개폐 기록을 통해 사용자의 매장 이용 시간을 계산하고, 매장 이용 시간의 소정 비율에 해당되는 리워드를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리워드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잠금제어 서버의 출입구 개폐 기록을 통해 사용자의 매장 이용 시간을 계산하고, 사용자의 매장 이용 시간대 및/또는 리워드 크기와 관련이 있는 광고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출하는 광고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누적 리워드에 소정의 환전율을 적용하여 변환 가능한 암호 화폐의 가치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환전 요청을 하면 사용자에게 환전된 암호 화폐를 할당하는 환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매장 내 자판기에 설치되어,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주문을 수신하고, 주문된 음료를 배출시키는 주문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주문 수신부에 전송된 사용자의 주문 시간 및 주문 음료에 대한 기록을 저장하고, 머신 러닝을 통해, 사용자가 주문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에 미리 사용자의 단말기로 주문이 예상되는 음료에 대한 권유 메시지를 전송하는 주문예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
KR1020190108087A 2019-09-02 2019-09-02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 KR102307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087A KR102307293B1 (ko) 2019-09-02 2019-09-02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087A KR102307293B1 (ko) 2019-09-02 2019-09-02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797A KR20210026797A (ko) 2021-03-10
KR102307293B1 true KR102307293B1 (ko) 2021-09-30

Family

ID=7514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087A KR102307293B1 (ko) 2019-09-02 2019-09-02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647B1 (ko) * 2021-11-23 2024-02-23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무인점포에서 미성년자 감별을 위해 성인인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및 그 동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5027A (ja) * 2008-08-29 2010-03-11 Fujitsu General Ltd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1858530B1 (ko) * 2017-07-14 2018-05-17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무인 점포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무인 계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17101145A (ru) * 2014-07-01 2018-08-03 Ронни ХЕЙ Управляемый компьютером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киоск, не требующий присутствия продавца
KR102053251B1 (ko) * 2018-11-16 2019-12-06 주식회사 프리카페 스터디카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5027A (ja) * 2008-08-29 2010-03-11 Fujitsu General Ltd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1858530B1 (ko) * 2017-07-14 2018-05-17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무인 점포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무인 계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797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10354B (zh) 用于网络计算的便携式平台
US20190164165A1 (en) Cross-device, multi-factor authentication for interactive kiosks
CN110992012B (zh) 用于使数据集优先化的移动设备、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US974746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among mobile applications
KR102004328B1 (ko)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299203B2 (en) Access level management techniques
US20210374736A1 (en) Wireless based methods and systems for federated key management, asset management, and financial transactions
US112836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at a kiosk from a mobile device
CN106716960A (zh) 用户认证方法和系统
TWI748443B (zh) 雙離線支付的開通、收款、結算方法和裝置
KR102500602B1 (ko)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AU2017101062A4 (en) Frameworks and methodologies configured to enable biometric payments using locally stored biometric data
US201802112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personal information retrieval
KR102307293B1 (ko)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
KR102172504B1 (ko) 무인 결제 시스템
KR20200024438A (ko) 매장 무인 판매 시스템
CN107094159B (zh) 建立卡片与用户账号对应关系的方法和装置
CN112634501A (zh) 一种用于物业管理的访客授权方法
WO202315439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gital identification verification and contactless check-in
KR102192402B1 (ko)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102184422B1 (ko) 정품 인증을 이용한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20210143692A (ko) 인스턴트 메시지를 이용한 결제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2273449B1 (ko) 무인 운영 시스템
US20240062210A1 (en) Image-Based Authorization Systems
KR102424316B1 (ko) 셀프서비스형 식당용 셀프 결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