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402B1 -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402B1
KR102192402B1 KR1020200061396A KR20200061396A KR102192402B1 KR 102192402 B1 KR102192402 B1 KR 102192402B1 KR 1020200061396 A KR1020200061396 A KR 1020200061396A KR 20200061396 A KR20200061396 A KR 20200061396A KR 102192402 B1 KR102192402 B1 KR 102192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ata
genuine product
genuin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터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터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터글로벌
Priority to KR1020200061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2Edge-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12Image segmentation detai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된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가 정품 데이터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정품 결정부; 정품 결정부에 의해 정품 데이터인 것으로 결정된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를 정품 인증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정품 인증 데이터 저장부; 정품 인증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품 인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정품에 대한 차트를 형성하는 차트 형성부; 정품 인증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품 인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분석하는 사용자 분석부; 및 상품의 판매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품의 외부에 부착된 외부 식별자를 판매자 단말기로 스캔하여 얻어지는 외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는 판매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Validation and chart data generation system using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매된 음반의 정품 여부를 확인하고,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실시간 음반 차트를 생성하거나, 소비자들의 성향을 분석하고, 정확한 음반 제작 전략을 세우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케이팝(K-POP)의 열풍이 거세다. 이러한 케이팝의 세계화와 함께 음반 판매 데이터베이스의 고도화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즉, 정밀한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새로운 트렌드를 예측하고 향후 시장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고차원의 지능형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종래에는 음반 판매 데이터의 왜곡으로 인하여 음반 차트의 신뢰도가 높지 않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음반 판매 전략을 세우는 것이 불가능했다. 특히, 케이팝 글로벌 시장이 성장하면서 해외에서 가짜 앨범 시장이 매우 커지고 있고, 이러한 가짜 음반 시장은 정밀한 통계와 트렌드 예측을 방해하는 요소로서, 철저한 해결이 필요한 부분이다.
많은 발명가들에 의해, 음반의 전세계 유통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소비자들의 정품 음반의 구매가 당연시되도록 만들며, 이를 바탕으로 투명한 음반 차트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만족스러운 시스템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96801호(2003.12.31)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7489호(2019.04.08) 등록특허공보 제10-0769215호(2007.10.23)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를 바탕으로 음반의 정품 여부를 확인하고,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 제품의 차트를 생성하거나, 해당 사용자들의 성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짜 음반을 구매한 사용자의 신상을 확보하여 자동으로 정품 음반을 권유하거나 신고할 수 있는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트 데이터 생성 및 사용자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된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가 정품 데이터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정품 결정부; 정품 결정부에 의해 정품 데이터인 것으로 결정된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를 정품 인증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정품 인증 데이터 저장부; 정품 인증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품 인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정품에 대한 차트를 형성하는 차트 형성부; 정품 인증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품 인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분석하는 사용자 분석부; 및 상품의 판매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품의 외부에 부착된 외부 식별자를 판매자 단말기로 스캔하여 얻어지는 외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는 판매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하되,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는 상품의 내부에 부착된 내부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기로 스캔하여 얻어지는 내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며, 외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는 외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를 포함하고, 정품 결정부는 미리 저장된 상품 고유 번호와 내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 및 외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를 대비하여 정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외부 식별자는 내부 식별자와 상이한 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품 별로 하나의 식별자 이미지를 형성하는 식별자 생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나의 식별자 이미지는 제 1 식별자 이미지와 제 2 식별자 이미지로 분리가 되며, 제 1 식별자 이미지와 제 2 식별자 이미지가 각각 외부 식별자와 내부 식별자로서 상품의 외부와 내부에 부착되며, 제 1 식별자 이미지와 제 2 식별자 이미지에는 각각 외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와 내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판매 정보 데이터는 판매자 단말기에 저장된 판매자 이름, 판매자 위치, 판매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판매자 정보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분석부는 정품 인증 데이터 및 판매자 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품에 대한 사용자 구매 패턴을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다.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 번호, 사용자 위치 정보, 사용자 성별, 사용자 나이, 사용자 이름, 사용자 직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 번호, 사용자 위치 정보, 사용자 성별, 사용자 나이, 사용자 이름, 사용자 직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정품 결정부에 의해 정품이 아닌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기설정된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조품 신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식별자는 QR 코드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내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 개의 내부 식별자 조각들을 생성하고, 내부 식별자 조각들의 각각에 어드레스를 부여하며, 어드레스를 고려한 조합 규칙을 생성하는 어싸이닝 모듈; 복수 개의 내부 식별자 조각들을 임의의 순서로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로 전송하는 제 1 트랜스퍼 모듈; 및 조합 규칙을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로 전송하는 제 2 트랜스퍼 모듈을 포함하고,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는,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에 전송된 복수 개의 내부 식별자 조각들 및 조합 규칙을 전송받고, 조합 규칙에 따라 복수 개의 내부 식별자 조각들을 조합하여 내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컴바이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는 내부 식별자의 스캔 이미지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스캔 이미지를 가로 방향으로 n개의 제 1 파티셔닝 라인들을 설정하고, 세로 방향으로 m개의 제 2 파티셔닝 라인들로 설정하는 파티셔닝 모듈(여기서, n 및 m은 자연수이다); 제 1 파티셔닝 라인들 및 제 2 파티셔닝 라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파티셔닝 라인(이하 "제 1 회전축 파티셔닝 라인"이라 한다)을 중심으로 상기 스캔 이미지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 1 회전축 파티셔닝 라인의 양 측의 스캔 이미지 영역이 2개의 층으로 중첩되도록 하여 제 1 레이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제 1 파티셔닝 라인들 및 제 2 파티셔닝 라인들 중 다른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다른 하나의 파티셔닝 라인(이하 "제 2 회전축 파티셔닝 라인"이라 한다)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레이어드 이미지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 2 회전축 파티셔닝 라인의 양 측의 제 1 레이어드 이미지 영역이 2개의 층으로 중첩되도록 하여 제 2 레이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이어링 규칙을 수행하는 레이어링 모듈; 제 2 레이어드 이미지를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로 전송하는 제 1 트랜스퍼 모듈; 및 레이어링 규칙을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로 전송하는 제 2 트랜스퍼 모듈을 포함하고,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는,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에 전송된 제 2 레이어드 이미지 및 레이어링 규칙을 전송받고, 레이어링 규칙에 따라 제 2 레이어드 이미지를 복원하여 상기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언레이어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를 바탕으로 음반의 정품 여부를 확인하고,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 제품의 차트를 생성하거나, 해당 사용자들의 성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가짜 음반을 구매한 사용자의 신상을 확보하여 자동으로 정품 음반을 권유하거나 신고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사용되는 내부 식별자 및 외부 식별자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의해 만들어진 정품 음반 차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성별 및 나이별 판매량 차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지역별 판매량 차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시간별 판매량 차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의한 음반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사용되는 내부 식별자 및 외부 식별자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의해 만들어진 정품 음반 차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성별 및 나이별 판매량 차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지역별 판매량 차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시간별 판매량 차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의한 음반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 및 판매자 단말기(20)와 네트워크(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110), 정품 결정부(120), 정품 인증 데이터 저장부(130), 차트 형성부(140), 사용자 분석부(150), 판매 데이터 수신부(160), 식별자 생산부(170), 위조품 신고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은 음반, 서적 등이 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음반을 기준으로 설명을 한다.
사용자와 판매자는 각각 사용자 단말기(10) 및 판매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100)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0) 및 판매자 단말기(20)에서 구동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웹 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한 후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100)에 접속하도록 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 및 판매자 단말기(20)에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100)에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 및 판매자 단말기(20)는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탑(Desktop), 랩탑(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 및 판매자 단말기(2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기(20)는 POS 시스템(point-of-sales system)에 연결된 단말기일 수 있다. POS 시스템은 판매점에서 매상이 발생한 시점에서 기계가 판독할 수 있는 형식으로 표현된 상품명이나 가격 등에 관한 데이터를 기계에 판독시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상품에 붙은 레이블의 판독 기구와 금전 등록기가 한 몸으로 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기(20)가 판독한 트랜잭션은 다른 데이터 매체 상에 기록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30)를 거쳐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100)에 전송될 수 있다. 판매자 단말기(20)는 후술할 외부 식별자(3)를 스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30)는, 복수의 단말기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는 내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 및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정품 음반의 외부에는 외부 식별자(3)가 부착되고, 정품 음반의 내부에는 내부 식별자(2)가 부착된다.
외부 식별자(3)는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코드 또는 QR 코드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외부 식별자(3)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보가 소정의 규칙에 따라 표시될 수 있고, 그 정보가 판독 기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형태라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외부 식별자(3)에는 음반 제작사 정보, 음반 생산일, 음반 생산지, 생산 관리 번호, 음반 아티스트 정보, 음반 가격, 음반 수록곡 정보, 외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내부 식별자(2)는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코드 또는 QR 코드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내부 식별자(2)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보가 소정의 규칙에 따라 표시될 수 있고, 그 정보가 판독 기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형태라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내부 식별자(2)에는 내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가 포함되며, 내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에는 내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 음반 아티스트 정보, 음반 제작사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정품 음반(1)을 구매한 고객이며, 정품 음반(1)을 구매한 사용자는 음반의 내부에 부착된 내부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스캔하여 얻어지는 내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를 네트워크(30)를 통해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정품 결정부(120)에서 사용자가 구매한 음반이 정품인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시스템(100)에 의해 회원 자격이 부여된다. 회원이 된 사용자에게는 각종 행사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품 음반의 구매가 장려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가 내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를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110)로 전송할 때,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저장된 데이터로서, 사용자 단말기 번호, 사용자 위치 정보, 사용자 성별, 사용자 나이, 사용자 이름, 사용자 직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내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와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통해 음반의 정품 여부와 함께, 다양한 사용자군에 대한 음악 취향이 파악될 수 있다.
정품 결정부(120)는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가 정품 데이터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정품 결정부(120)는 내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내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가 정품 음반에 부여된 고유 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정품 결정부(120)는 식별자 생산부(170)에서 정품용 내부 식별자들을 생산할 당시에 각 정품용 내부 식별자에 포함시켰던 상품 고유 번호에 대한 정보를 미리 확보할 수 있으며, 이들 상품 고유 번호와 사용자가 전송한 내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를 대비하여 정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정품 인증 데이터 저장부(130)는 정품 결정부(120)에 의해 정품 데이터인 것으로 결정된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를 정품 인증 데이터로 결정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정품 인증 데이터는 음반 차트에 반영될 수 있고, 사용자 구매 트렌드 분석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트 형성부(140)는 정품 인증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품 인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품 판매 수량을 기초로 한 음반 차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음반 차트는 사용자들의 내부 식별자 인증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동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분석부(150)는 정품 인증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품 인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품을 구매한 사용자의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다. 즉, 국가 별 선호 음반, 성별에 따른 선호 음반, 나이에 따른 선호 음반, 직업에 따른 선호 음반 등이 분석될 수 있고, 이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조건에 따른 별도의 음반 차트를 형성하는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분석부(150)는 정품 인증 데이터 외에 후술할 판매자 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품에 대한 사용자 구매 패턴을 분석하고 음반 시장 트렌드를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음반 판매처에는 판매자 단말기(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음반(1)이 판매될 때마다 판매자는 판매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판매 데이터 수신부(160)로 판매 정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판매 정보 데이터는 외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 및 판매자 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는 판매자가 판매자 단말기(20)로 음반(1)의 외부에 부착된 외부 식별자(3)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지는 데이터이다. 외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는 음반 제작사 정보, 음반 생산일, 음반 생산지, 생산 관리 번호, 음반 아티스트 정보, 음반 가격, 음반 수록곡 정보, 외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스캔하여 얻어지는 외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는 판매 데이터 수신부(160)로 전송될 수 있다.
판매자 단말기(20)가 외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를 판매 데이터 수신부(160)로 전송할 때, 판매자 정보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판매자 정보 데이터는 판매자 단말기(20)에 저장된 데이터로서, 판매자 이름, 판매자 위치, 판매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외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와 판매자 정보 데이터를 통해 음반의 정품 여부와 함께, 음반의 판매량을 지역별, 시간별로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정품 결정부(120)는 판매 데이터 수신부(160)에서 수신된 판매 정보 데이터가 정품 데이터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정품 결정부(120)는 외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외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가 정품 음반에 부여된 고유 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정품 결정부(120)는 식별자 생산부(170)에서 정품용 외부 식별자들을 생산할 당시에 각 정품용 외부 식별자에 포함시켰던 상품 고유 번호에 대한 정보를 미리 확보할 수 있으며, 이들 상품 고유 번호와 판매자가 전송한 외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를 대비하여 정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정품 인증 데이터 저장부(130)는 정품 결정부(120)에 의해 정품 데이터인 것으로 결정된 판매 정보 데이터를 정품 인증 데이터인 것으로 결정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정품 인증 데이터는 음반 차트에 반영될 수 있고, 판매자별 판매량 분석에 사용될 수도 있다.
차트 형성부(140)는 정품 인증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품 인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품 판매 수량을 기초로 한 음반 차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음반 차트는 판매자의 외부 식별자 인증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동이 될 수 있다.
만일, 외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와 내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를 동일한 번호로 설정하게 되면, 정품 결정부(120)는 식별자 생산부(170)로부터 상품 고유 번호를 전송받을 필요 없이 판매자로부터 전송받은 외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송한 내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를 대비하여 정품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판매자 및 사용자로부터 전송되어 정품 인증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품 인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매장별 판매량, 시간별 판매량, 국가별 판매량, 아티스트별 판매량, 제작사별 판매량, 유통사별 판매량, 판매점별 판매량, 구매자 성별에 따른 판매량, 구매자 연령별 판매량, 구매자의 정품 인증에 따른 회원 가입률 등이 사용자 분석부(15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음반별 생산량 예측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예측된 생산량만큼 식별자 생산부(170)는 식별자를 생산하게 된다.
식별자 생산부(170)는 외부 식별자와 내부 식별자를 서로 상이한 이미지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음반 위조범이 가짜 음반의 외부에 부착된 외부 식별자까지 촬영을 통해 위조할 수 있더라도, 음반을 개봉하기 전에는 볼 수 없는 내부 식별자는 쉽게 위조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식별자 생산부(170)는 상품 별로 하나의 식별자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식별자 이미지(4)는 절취선(5)을 기준으로 제 1 식별자 이미지(3)와 제 2 식별자 이미지(2)로 분리가 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제 1 식별자 이미지(3)와 제 2 식별자 이미지(2)에는 각각 외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와 내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식별자 이미지(4)는 생산자에 의해 제 1 식별자 이미지(3)와 제 2 식별자 이미지(2)로 분리되어 각각 외부 식별자(3)와 내부 식별자(2)로서 음반(1)의 외부와 내부에 부착될 수 있다.
위조품 신고부(410)는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가 정품 결정부(120)에 의해 정품 데이터가 아닌 것으로 결정되면,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기설정된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50)는 해당 국가 경찰 서버일 수도 있고,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일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상기 내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 개의 내부 식별자 조각들을 생성하고, 내부 식별자 조각들의 각각에 어드레스를 부여하며, 어드레스를 고려한 조합 규칙을 생성하는 어싸이닝 모듈; 복수 개의 내부 식별자 조각들을 임의의 순서로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110)로 전송하는 제 1 트랜스퍼 모듈; 및 조합 규칙을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110)로 전송하는 제 2 트랜스퍼 모듈을 포함하고,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110)는,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110)에 전송된 복수 개의 내부 식별자 조각들 및 조합 규칙을 전송받고, 조합 규칙에 따라 복수 개의 내부 식별자 조각들을 조합하여 내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컴바이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는 내부 식별자의 스캔 이미지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상기 스캔 이미지를 가로 방향으로 n개의 제 1 파티셔닝 라인들을 설정하고, 세로 방향으로 m개의 제 2 파티셔닝 라인들로 설정하는 파티셔닝 모듈(여기서, n 및 m은 자연수이다); 제 1 파티셔닝 라인들 및 제 2 파티셔닝 라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파티셔닝 라인(이하 "제 1 회전축 파티셔닝 라인"이라 한다)을 중심으로 상기 스캔 이미지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 1 회전축 파티셔닝 라인의 양 측의 스캔 이미지 영역이 2개의 층으로 중첩되도록 하여 제 1 레이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제 1 파티셔닝 라인들 및 제 2 파티셔닝 라인들 중 다른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다른 하나의 파티셔닝 라인(이하 "제 2 회전축 파티셔닝 라인"이라 한다)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레이어드 이미지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 2 회전축 파티셔닝 라인의 양 측의 제 1 레이어드 이미지 영역이 2개의 층으로 중첩되도록 하여 제 2 레이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이어링 규칙을 수행하는 레이어링 모듈; 제 2 레이어드 이미지를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110)로 전송하는 제 1 트랜스퍼 모듈; 및 레이어링 규칙을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110)로 전송하는 제 2 트랜스퍼 모듈을 포함하고,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110)는,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110)에 전송된 제 2 레이어드 이미지 및 레이어링 규칙을 전송받고, 레이어링 규칙에 따라 제 2 레이어드 이미지를 복원하여 상기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언레이어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 또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10: 사용자 단말기
20: 판매자 단말기
30: 네트워크
110: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
120: 정품 결정부
130: 정품 인증 데이터 저장부
140: 차트 형성부
150: 사용자 분석부
160: 판매 데이터 수신부
170: 식별자 생산부
410: 위조품 신고부

Claims (10)

  1.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된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가 정품 데이터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정품 결정부;
    정품 결정부에 의해 정품 데이터인 것으로 결정된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를 정품 인증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정품 인증 데이터 저장부;
    정품 인증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품 인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정품에 대한 차트를 형성하는 차트 형성부;
    정품 인증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품 인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분석하는 사용자 분석부; 및
    상품의 판매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품의 외부에 부착된 외부 식별자를 판매자 단말기로 스캔하여 얻어지는 외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는 판매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하되,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는 상품의 내부에 부착된 내부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기로 스캔하여 얻어지는 내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며,
    외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는 외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를 포함하고,
    정품 결정부는 미리 저장된 상품 고유 번호와 내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 및 외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를 대비하여 정품 여부를 확인하며,
    외부 식별자는 내부 식별자와 상이한 이미지를 가지고,
    상기 시스템은
    상품 별로 하나의 식별자 이미지를 형성하는 식별자 생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나의 식별자 이미지는 제 1 식별자 이미지와 제 2 식별자 이미지로 분리가 되며, 제 1 식별자 이미지와 제 2 식별자 이미지가 각각 외부 식별자와 내부 식별자로서 상품의 외부와 내부에 부착되며,
    제 1 식별자 이미지와 제 2 식별자 이미지에는 각각 외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와 내부 식별자 상품 고유 번호가 포함되며,
    상기 내부 식별자 상품 정보 데이터는 내부 식별자의 스캔 이미지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스캔 이미지를 가로 방향으로 n개의 제 1 파티셔닝 라인들을 설정하고, 세로 방향으로 m개의 제 2 파티셔닝 라인들로 설정하는 파티셔닝 모듈(여기서, n 및 m은 자연수이다); 제 1 파티셔닝 라인들 및 제 2 파티셔닝 라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파티셔닝 라인(이하 "제 1 회전축 파티셔닝 라인"이라 한다)을 중심으로 상기 스캔 이미지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 1 회전축 파티셔닝 라인의 양 측의 스캔 이미지 영역이 2개의 층으로 중첩되도록 하여 제 1 레이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제 1 파티셔닝 라인들 및 제 2 파티셔닝 라인들 중 다른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다른 하나의 파티셔닝 라인(이하 "제 2 회전축 파티셔닝 라인"이라 한다)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레이어드 이미지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 2 회전축 파티셔닝 라인의 양 측의 제 1 레이어드 이미지 영역이 2개의 층으로 중첩되도록 하여 제 2 레이어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이어링 규칙을 수행하는 레이어링 모듈; 제 2 레이어드 이미지를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로 전송하는 제 1 트랜스퍼 모듈; 및 레이어링 규칙을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로 전송하는 제 2 트랜스퍼 모듈을 포함하고,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는,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 수신부에 전송된 제 2 레이어드 이미지 및 레이어링 규칙을 전송받고, 레이어링 규칙에 따라 제 2 레이어드 이미지를 복원하여 상기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언레이어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판매 정보 데이터는 판매자 단말기에 저장된 판매자 이름, 판매자 위치, 판매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판매자 정보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분석부는 정품 인증 데이터 및 판매자 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품에 대한 사용자 구매 패턴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 번호, 사용자 위치 정보, 사용자 성별, 사용자 나이, 사용자 이름, 사용자 직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정품 인증 요청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 번호, 사용자 위치 정보, 사용자 성별, 사용자 나이, 사용자 이름, 사용자 직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정품 결정부에 의해 정품이 아닌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기설정된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조품 신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식별자는 QR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61396A 2020-05-22 2020-05-22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102192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396A KR102192402B1 (ko) 2020-05-22 2020-05-22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396A KR102192402B1 (ko) 2020-05-22 2020-05-22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402B1 true KR102192402B1 (ko) 2020-12-17

Family

ID=7408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396A KR102192402B1 (ko) 2020-05-22 2020-05-22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4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50538A1 (en) * 2019-11-15 2021-05-20 Ck&B Co., Ltd. Genuine-product certification content creation device and integrated cert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4297A (ko) * 1998-01-22 2001-04-25 맥슨 시스템스 아이엔시. (런던) 엘티디. 보안 데이터 통신 시스템
KR20030096801A (ko) 2002-06-17 2003-12-31 임경수 음반/뮤직비디오 컴팩트 디스크 정품 구매 등록을 이용한구매고객정보 및 판매실적정보 제공 방법, 상기 방법을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0769215B1 (ko) 2007-02-16 2007-10-23 (주)엠비원 패턴 코드를 이용한 상품 식별 방법
KR20190037489A (ko)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비케이소프트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4297A (ko) * 1998-01-22 2001-04-25 맥슨 시스템스 아이엔시. (런던) 엘티디. 보안 데이터 통신 시스템
KR20030096801A (ko) 2002-06-17 2003-12-31 임경수 음반/뮤직비디오 컴팩트 디스크 정품 구매 등록을 이용한구매고객정보 및 판매실적정보 제공 방법, 상기 방법을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0769215B1 (ko) 2007-02-16 2007-10-23 (주)엠비원 패턴 코드를 이용한 상품 식별 방법
KR20190037489A (ko)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비케이소프트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50538A1 (en) * 2019-11-15 2021-05-20 Ck&B Co., Ltd. Genuine-product certification content creation device and integrated cert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niruzzaman et al. Blockchain for smart homes: Review of current trends and research challenges
Baralla et al. Ensuring transparency and traceability of food local products: A blockchain application to a Smart Tourism Region
Munim et al. Assessing blockchain technology adoption in the Norwegian oil and gas industry using Bayesian Best Worst Method
KR101996798B1 (ko) Qr 코드 기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429162A (zh) 基于无损伤检测技术赋能区块链农产品质量可信溯源系统
Ioannou et al. Blockchain and supply chain finance: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at the intersection of operations, finance and law
CN111967062A (zh) 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系统、方法及装置
KR102192402B1 (ko)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102184422B1 (ko) 정품 인증을 이용한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US10417207B2 (en) Cascade computer network and its architecture for multi-user operations
KR102192400B1 (ko) 정품 인증을 이용한 차트 데이터 생성 및 사용자 관리 시스템
Bhardwaj et al. Applications of blockchain in various domains
KR102192401B1 (ko) 인증된 정품 데이터 정보를 이용한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US20170221067A1 (en) Secure electronic transaction
US11836688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tokenize natural resources
US11741036B2 (en) Unified smart connector
CN110990698B (zh) 一种推荐模型构建方法和装置
KR102044394B1 (ko) 블록체인 기반 생산자의 최종 소비자에 대한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
Tanwar Blockchain for Supply Chain Management
Kong et al. BCSChain: Blockchain-based ceramic supply chain
KR20210026797A (ko)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
KR102525893B1 (ko) 차트 생성 및 상품 큐레이션 시스템
KR102642391B1 (ko)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25892B1 (ko) 상품 공급 및 차트 생성 시스템
George et al. Leveraging Blockchain Technology In Accounting For Transparency, Accuracy And Speed For Record Kee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