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489A -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489A
KR20190037489A KR1020170126901A KR20170126901A KR20190037489A KR 20190037489 A KR20190037489 A KR 20190037489A KR 1020170126901 A KR1020170126901 A KR 1020170126901A KR 20170126901 A KR20170126901 A KR 20170126901A KR 20190037489 A KR20190037489 A KR 20190037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ion
code
article
server
activ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8159B1 (ko
Inventor
오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케이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케이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케이소프트
Priority to KR1020170126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1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재판매 물품거래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재판매 물품거래 관리방법은, 정품인증서버가 정품으로 판단된 물품에 정품인증코드를 발급하는 단계(S200); 정품인증서버가 판매자클라이언트 또는 구매자클라이언트로부터 정품인증코드에 상응하는 식별표지를 수신하는 단계(S400); 및 정품인증서버가 상기 정품인증코드에 상응하는 물품의 소유자를 변경등록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METHOD AND PROGRAM FOR MANAGING GOODS TRANSACTION USING ACTIVATION CODE}
본 발명은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가짜 또는 위조 상품은 소비자와 생산자(제조자) 양자 모두에게 피해가 가는 만큼, 최근, 각급 지자체는 고가의 명품 브랜드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위조 상품의 불법유통을 강력히 단속하고 있으나, 당국의 단속만으로 위조상품의 유통을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리고, 위조 기술의 발달로 소비자가 육안으로는 가짜 상품을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근에는 제조업체가 각종 과학적 기술을 접목하여 상품의 진품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위조방지 장치 또는 진품 식별장치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조방지 시스템이 있더라도, 신규로 정식루트로 판매되는 물품에는 정품인증코드가 부착되어 판매 및 관리가 이루어지지만, 이미 시장에 판매되어 유통되고 있는 중고물품이나 QR코드를 부착하지 않는 국가에서 유통된 병행수입품은 정품인 증코드가 부착되어 있지 않고 이를 식별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2943호 (등록일자 2015년 11월 24일)
본 발명은 정품에 부여된 정품인증코드를 기반으로 정품의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관리함에 따라, 복제품 유통을 방지하고 중고물품 거래에 신뢰성을 제공하는,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재판매 물품거래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식 판매루트로 유통이 시작되지 않음에 따라 정품인증코드가 발급되지 않은, 중고물품이나 병행수입품(이하, 재판매 물품이라 정의한다)을 검증기관의 검증을 거치도록 함에 따라 정품인증코드를 부여하도록 하여, 재판매물품도 공식판매루트에 따른 정품과 동일하게 거래이력을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재판매 물품거래 관리방법은, 정품인증서버가 정품으로 판단된 물품에 정품인증코드를 발급하는 단계; 정품인증서버가 판매자클라이언트 또는 구매자클라이언트로부터 정품인증코드에 상응하는 식별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정품인증서버가 상기 정품인증코드에 상응하는 물품의 소유자를 변경등록하는 소유자변경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정품인증코드 발급단계는 정품인증코드에 대응되는 물품에 대한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물품이 신규물품 또는 병행수입물품인 경우, 판매자정보가 추가되고 소유자정보가 기재되지 않은 상태로 생성되고, 상기 물품이 중고물품인 경우, 정품인증을 요청한 사용자를 최초소유자로 기재하여 생성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정품인증코드 발급단계는, 정품인증서버가 임의로 생성되는 특정한 자리수의 제1랜덤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상기 제1랜덤키가 이미 생생되어 정품인증코드로 발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랜덤키가 신규로 생성된 키에 해당하면, 제1랜덤키를 이용하여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정품인증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랜덤키가 이미 생성된 키에 해당하면,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상기 제1랜덤키 생성단계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정품인증코드 발급단계는, 정품인증서버가 중고물품 및 병행수입품에 대해 정품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정품검증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품검증단계는,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물품정보를 포함하는 검증 확인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상기 물품 정보를 상기 정품검증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정품검증서버로부터 검증 결과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검증 결과 정보는 검증기관에서 상기 정품검증서버로부터 수신한 물품 정보와 함께 검증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것인, 검증 결과 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정품인증코드 재발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물품 거래 이력을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최종 소유자와 일치할 경우 재발급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정품인증코드와 판매용코드의 매칭관계를 기반으로 거래이력 중에서 이상이 발생한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소유자변경단계는, 제2구매자가 제1구매자로부터 정품인 중고물품을 구매하는 경우,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제2구매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중고물품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구매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정품인증코드를 수신하되, 상기 정품인증코드는 상기 제2구매자 클라이언트에 제공된 중고물품 구매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식별표지에서 추출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상기 정품인증코드에 대응하는 물품의 거래이력데이터 내에서 상기 제2구매자를 소유자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정품인증서버가 구매자 클라이언트에 의해 획득된 비교인증코드에서 추출된 추출키가 정품인증코드로 부여된 제1랜덤키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키가 상기 정품인증코드로 부여되지 않은 키인 경우,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상기 비교인증코드가 부여된 물품이 위조품임을 판단하는 제1위조품판단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정품인증서버가 정품인증코드에 대한 인증요청된 횟수를 기반으로 정품 해당여부를 안내하는 제2위조품판단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중고물품에 부여된 정품인증코드에 대한 정품인증횟수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재판매 물품거래 관리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기 언급된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재판매 물품거래 관리방법을 실행하며,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정품으로 판단된 물품에 대한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중고거래가 가능한 물품의 거래를 투명하게 관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을 통해 동산에 대한 거래이력을 관리하여 고가 중고물품의 소유권 이전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중고물품이나 병행수입품 등의 재판매 물품을 공신력있는 검증기관의 검증과정을 거쳐 랜덤키를 부여하도록 하고 정품인증서버 상에 입력하고 판매 및 구매 과정을 거래이력으로 생성 관리함에 따라, 국내에서 정품인증코드가 발급된 이후 공식적인 루트로 판매되지 않은 물품(즉, 중고물품과 병행수입품)을 정품인증 프로세스에 포함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특정 상품에 속하는 모든 물품이 정품인증 프로세스에 포함되도록 하여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모든 물품에 대해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됨에 따라, 위조품을 정품으로 둔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재판매 물품의 공정한 상거래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정품인증코드에 상응하는 랜덤키를 분실하는 경우, 정품인증서버가 사용자로부터 재발급 요청을 수신하고, 거래이력 관리를 통하여 요청한 사용자가 최종 소유자와 일치할 경우 재발급을 수행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정품 인증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재판매 물품거래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도 2의 정품인증코드 생성/발급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2의 정품인증코드 발급단계에서 정품검증과정을 수행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위조품여부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제1위조판여부판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제2위조품여부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판매용코드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판매용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정품인증코드 재발급과정을 더 포함하는,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개인키를 더 생성하는 정품인증코드 생성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물품'은, 특정한 물건 각각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품'은 동일한 종류의 물품을 포괄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정한 업체의 팩 제품이 상품인 경우, 생산되어 유통되는 각각의 팩이 물품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판매품'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함하여 판매되는 기본단위 형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정품인증코드가 부착되는 물품이 포장되거나 케이스에 포함된 상태로 판매되는 경우, 판매품은 물품이 포장된 형태 또는 케이스에 덮힌 형태를 의미한다. 또한, 예를 들어, 복수의 물품이 하나의 단위로 판매되는 경우(예를 들어, 5개의 팩이 하나로 포장되어 판매되는 경우), 판매품은 하나로 포장되어 판매되는 하나의 기본단위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클라이언트'는 특정한 프로그램이 포함 또는 설치되어, 연산처리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보유한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데스크 탑 PC, 노트북(Note Book)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이동 단말기,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도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무선통신을 통해 정품인증서버(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판매자 클라이언트'는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이다. '판매자 클라이언트'는 판매용 프로그램 또는 판매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거나, 정품인증서버 내에 판매자 클라이언트로 설정(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에 부여된 UUID와 같은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판매자 클라이언트로 등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판매자'는 정품을 판매하는 자를 의미한다. '판매자'는 정품의 공식판매경로를 통해 판매하는 자, 진정상품 병행수입품을 판매하는 자 및 중고 정품을 판매하는 자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매자 클라이언트'는 특정한 물품을 구매하는 사용자(즉, 구매자)가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이다. '제1구매자 클라이언트'는 판매자로부터 물품을 구매한 사용자의 클라이언트이고, '제2구매자 클라이언트'는 제1구매자로부터 재판매물품을 구매한 사용자의 클라이언트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인키(Individual Key)'는 개인별로 정품인증을 수행한 물품(예를 들어, 구매한 물품)을 누적하기 위한 키(Key) 데이터이다. '개인키'는 사용자가 보유한 특정한 클라이언트에 대해 부여되는 키데이터이다. 즉, '개인키'는 정품인증서버 내에서 특정한 클라이언트와 정품인증요청된 물품 간의 매칭관계 형성을 위해 특정한 클라이언트에 부여되는 키데이터이다.
본 명세서에서 '클라이언트키'는 특정한 물품(또는 특정한 물품에 부여되는 정품인증코드)과 특정한 클라이언트 장치에 매칭되어 부여되는 키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클라이언트키'는, 클라이언트가 특정한 물품을 식별함에 따라 정품인증서버에서 특정한 클라이언트가 식별되면, 해당 클라이언트에만 생성/전송함에 따라 클라이언트 내에 저장되는 키데이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정품인증코드'는 정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정품인 각각의 물품에 부여되는 코드데이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비교인증코드'는 구매자 클라이언트에 의해 획득되는 정품인증코드로, 정품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코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위조인증코드'는 위조품에 부여된 코드데이터로, 위조정품인증서버에 저장된 코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판매용코드'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함하는 판매품에 부여되는 코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식별표지'는 정품인증코드 또는 위조인증코드를 기반으로 생성되어 개별 물품에 부착되는 표지를 의미한다. 또한, '식별표지'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인식되어서 클라이언트에 정품인증코드 또는 위조인증코드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조인증코드를 기반으로 생성된 식별코드는, 사용자가 위조품인지 여부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위조품 제조업자에 의해 정품인증코드를 기반으로 생성된 식별표지와 동일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품인증서버'는 실제 정품에 부여된 정품인증코드를 기반으로 접속되는 서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랜덤키(Random Key)'는 특정한 생성규칙이 적용되지 않고 임의로 생성되는 특정한 자리 수의 키(Key) 데이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랜덤키'는 정품인증코드 생성에 이용되는 랜덤키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2랜덤키'는 판매용코드 생성에 이용되는 코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추출랜덤키'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획득되는 비교인증코드에서 추출된 랜덤키 데이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발급랜덤키'는 특정한 상품 또는 물품에 대한 정품인증코드로 부여되어 정품인증서버에 저장된 랜덤키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정품인증서버(100), 클라이언트(200), 정품검증서버(300), 검증기관(400) 및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110)(31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품인증서버가 정품으로 판단된 물품에 정품인증코드를 발급하는 단계(S200); 정품인증서버가 판매자클라이언트 또는 구매자클라이언트로부터 정품인증코드에 상응하는 식별표지를 수신하는 단계(S400); 및 정품인증서버가 상기 정품인증코드에 상응하는 물품의 소유자를 변경등록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기재한다.
정품인증서버가 정품으로 판단된 물품에 정품인증코드를 발급한다(S200). 정품인 물품에 부여된 정품인증코드는 다양한 식별표지로 생성되어 부착될 수 있다. 정품인증코드는 정품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판매자와 구매자간에 거래가 이루어지는 정품의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정품인증코드는 랜덤키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제1랜덤키를 기반으로 정품인증코드를 생성하는 과정(S200)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코드 생성단계(S200)는, 정품인증서버(100)가 임의로 생성되는 특정한 자리수의 제1랜덤키를 생성하는 단계(S201); 상기 정품인증서버(100)가 상기 제1랜덤키가 이미 생생되어 정품인증코드로 발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02); 상기 제1랜덤키가 신규로 생성된 키에 해당하면, 제1랜덤키를 이용하여 상기 정품인증서버(100)가 정품인증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203); 상기 제1랜덤키가 이미 생성된 키에 해당하면, 상기 정품인증서버(100)가 상기 제1랜덤키 생성단계를 재수행하는 단계(S204)를 포함한다.
S201단계에서는 정품인증서버(100)가, 정품인 물품에 대한 정품인증코드 발급요청을 수신하면, 특정한 자리수의 제1랜덤키를 생성한다. 상기 제1랜덤키는 특정한 생성규칙이 설정되지 않고 임의로 생성되는 키데이터이다. 제1랜덤키는 특정한 자릿수를 가질 수 있고, 제1랜덤키 생성방식으로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랜텀키가 N자릿수인 경우, 각 자리마다 랜덤생성프로그램이 적용되어 제1랜덤키 생성 시기마다 각 자리의 숫자가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특정한 자릿수의 숫자 자체를 하나의 랜덤생성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생성하게 되면, 랜덤생성프로그램의 로직에 의한 특정한 생성규칙이 발견될 수 있으므로, 각 자리 수에 대해 상이한 랜덤생성프로그램이 적용될 수도 있다.
S202단계에서는 상기 정품인증서버(100)가 상기 제1랜덤키가 이미 생생되어 정품인증코드로 발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동일한 제1랜덤키가 복수의 물품에 부여되는 경우 정품인 물품이 위조품으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정품인증서버(100)가 특정한 생성규칙이 없이 제1랜덤키를 생성하므로, 이미 생성되어 특정한 물품에 부여된 코드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S203단계에서는 정품인증서버(100)가 상기 제1랜덤키가 신규로 생성된 키에 해당하면, 제1랜덤키를 이용하여 정품인증코드를 생성한다. 상기 정품인증코드는 특정한 식별표지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물품에 상응하는 정품인증코드로 결정된 제1랜덤키는 특정한 식별표지(예를 들어, 바코드, QR코드 등)로 생성되어 물품의 표면(예를 들어, 화장품 팩의 포장 표면, 판매물품의 하우징, 가방의 안감 등) 또는 물품거래시 함께 포함되어 제공되는 것(예를 들어, 품질보증서) 등에 부착될 수 있다.
S204단계에서는 정품인증서버(100)가 상기 제1랜덤키가 이미 생성된 키에 해당하면, 제1랜덤키 생성을 재수행한다. 즉, 정품인증서버(100)는 이미 생성되어 있는 정품인증코드와 중복되지 않는 제1랜덤키를 생성하기 위해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일한 상품이더라도 각 개별물품에 대해 상이한 정품인증코드가 부여될 수 있어서, 개별물품별로 정품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품인 물품에 대해 정품인증코드를 생성하여 발급하는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품인증서버(100)는 물품을 생산하는 업체로부터 정품인증코드 생성요청을 수신한다. 정품인증서버(100)는 하나의 정품인증코드 생성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고, 물품 생산 시에 연속적으로 정품인증용 식별표지를 부착 또는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정품인증코드 생성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정품인증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제1랜덤키를 생성하고(S201), 생성된 제1랜덤키 중에 기생성되어 정품인증코드로 발급된 키와 일치하는 것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2). 제1랜덤키가 신규 발급되는 키에 해당하면 정품인증서버는 특정한 제1랜덤키를 정품인증코드로 생성하고(S203), 특정한 제1랜덤키가 기생성된 키(즉, 제1발급랜덤키)에 해당하면 정품인증서버(100)는 제1랜덤키 생성과정을 반복하여 하나 이상의 제1랜덤키가 신규 발급되는 키로 구성되도록 한다(S204).
또한, 상기 정품인증코드 생성단계(S200)의 다른 일실시예는, 상기 정품인증서버(100)가 상기 제1랜덤키를 부여할 상품에 해당하는 상품분류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제1랜덤키와 상기 상품분류코드를 결합하여 정품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정품인증서버(100)는 제1랜덤키와 함께 특정한 상품에 대한 코드를 함께 포함하여 정품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매자 클라이언트(200)는 정품인증코드를 획득(예를 들어, 정품인증코드에 해당하는 QR코드를 촬영)하면 어떠한 상품에 대한 정품인증코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정품인증코드가 발급된 후 정품인증코드가 특정한 식별표지(예를 들어, QR코드)로 출력되면, 제조업체는 식별표지를 특정한 상품에 속하는 물품에 차례대로 부착 또는 결합하여 정품인 물품과 정품인증코드를 매칭한다. 정품인증코드와 상품 간의 매칭관계가 형성됨에 따라, 정품인증서버는 정품인증코드에 포함된 제1랜덤키가 기생성된 키에 해당하지만 상품과의 매칭관계에 부합하지 않아서 위조품일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발견해낼 수 있다.
또한, 정품인증서버(100)는 업체별로 정품인증코드를 따로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식별표지 내에 업체식별코드를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정품인증서버는 제1랜덤키를 정품인증코드로 생성되는 과정에서 암호화와 난독화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보안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정품인증코드 발급단계(S200)의 다른 일실시예로, 정품인증서버는 중고물품 및 병행수입품에 대해 정품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S210);를 더 포함한다. 신규로 정식판매경로를 따라 판매되는 물품에는 정품인증코드가 부착되어 판매 및 관리가 이루어지기 용이하지만, 이미 시장에 판매되어 유통되고 있는 중고물품이나 QR코드를 부착하지 않는 국가에서 유통된 병행수입품은 정품인증코드가 부착되어 있지 않고 이를 식별하고 관리하기 어렵다. 구체적으로, 정품의 공식판매매장(예를 들어, 명품가방의 백화점 매장과 같은 국내 공식 판매매장)으로 유통되는 정품은 정품으로 판단되어 정품인증코드가 부착된 상태로 매장에서 판매가 시작되나, 정품인증코드 부착이 시작되기 이전에 판매된 정품이나 정품인증코드를 부착하지 않는 국가에서 구입하여 수입한 병행수입품에는 정품인증코드에 상응하는 식별표지가 부착되어 있지 않게 된다. 이 때, 중고물품이나 병행수입품에 정품인증코드를 부여하기 위해 정품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중고물품이나 병행수입품(이하, 재판매 물품이라 정의한다)을 검증기관의 검증을 거치도록 함에 따라 랜덤키(QR코드를 포함한다)를 부여하도록 하고, 정품인증서버가 판매 및 구매 과정을 거래이력으로 생성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품검증청단계(S210)의 일실시예는, 상기 정품인증서버(100)가 상기 클라이언트(200)로부터 물품정보를 포함하는 검증 확인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11); 상기 정품인증서버(100)가 상기 물품 정보를 상기 정품검증서버(300)에 전송하고, 상기 정품검증서버(300)의 데이터 베이스(310)에 저장하는 단계(S212); 상기 정품검증서버(300)가 물품 정보와 함께 검증 요청 정보를 검증기관(400)에 전송하는 단계(S213); 상기 정품검증서버(300)가 상기 검증기관(400)으로부터 검증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류 및 저장하는 단계(S214); 상기 정품검증서버(300)가 상기 정품인증서버(100)에 검증 결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05)를 포함한다. 상기 정품인증서버(100)와 정품검증서버(300)는 별도의 서버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서버장치 내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역할을 분리한 것일 수도 있다.
먼저, 정품인증서버(100)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물품 정보를 포함하는 정품검증 확인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S211).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물품 정보는 최초 판매시 정품인증과정을 받지 못한 중고물품 또는 병행수입품 등의 재판매 물품의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중고물품 또는 병행수입품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정품인증프로세스 상에 본인이 보유한 물품을 추가하기 위해 정품검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품인증서버(100)는 중고물품 또는 병행수입품 등의 최초에 시중에 물품이 제공되면서 정품인증코드가 발급되지 않은 물품에 대한 검증 확인 요청 정보를 해당 물품을 보유한 사용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물품 정보는 물품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그래픽 정보의 형태로 입력될 수 있고, 물품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입력받는 방식으로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S212단계에서, 상기 정품인증서버(100)는 상기 물품 정보를 정품검증서버(300)에 전송하고, 정품검증서버(300)는 상기 물품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310)에 저장한다.
그 후, S213단계에서는 정품검증서버(300)가 상기 물품 정보와 함께 검증 요청 정보를 검증기관(400)에 전송한다.
검증기관(400)은 일반 이용자(비회원), 회원, 전문 검증회원, 및 명품검증장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 이용자는 평가 서비스에 직접 가입하지 않은 비회원으로 기본적인 정보 이용만 가능하며 일부 정보는 제한될 수 있다. 회원은 평가 서비스에 가입을 한 회원을 말하며 전문 검증회원은 가입을 한 회원 중에서도 전문적인 평가 능력과 경력이 있다고 인증된 사람이다. 명품검증장인은 전문 검증 자격이 있거나 이에 준하는 사람으로 중고물품과 관련된 협회 또는 기관에서 초빙될 수 있다.
검증기관(400)에서의 검증에 관한 일 실시예로서, 검증기관 내의 특정 브랜드에 대한 검증을 전문으로 하는 명품검증장인에게 검증 요청을 배정하고, 명품검증장인으로부터 검증요청된 물품의 진위여부를 판단한다.
검증기관(400)에서의 검증에 관한 다른 일 실시예로서, 일반 이용자, 회원, 전문 검증회원 및 명품검증장인을 분리하여 검증 결과를 집계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검증기관(400), 예를 들어 회원, 전문 검증회원, 명품검증장인의 경우에는 코멘트 기능이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검증은 다양한 검증 매체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서, 표준 이미지 갤러리에 올려진 표준 이미지 검증, 동영상 정보에 올려진 영상을 보고 검증하는 동영상 검증 및 지정된 장소에 설치된 웹캠을 통해 검증하는 라이브 검증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앞서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서비스 이외에도, 물품의 부위별로 이미지 검증을 통하여 검증 결과가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여러가지 다양한 서비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서비스의 일례로서, 자유 이미지 갤러리, 표준 이미지 갤러리, 전문 검증, 타겟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정품검증은 검증 횟수를 달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품검증과정은 1차 검증, 2차 검증, 3차 검증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1차 검증은 사전 검증의 성격으로 이루어지며, 2차 검증은 1차 검증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평가 항목별로 세부적인 기준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3차 검증은 최종 검증으로 이루어지며, 명품검증장인의 의견 비율이 높게 반영되며, 2차 검증시의 기준 점수 이상인 물품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별도의 추가 점수가 반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누적된 점수가 반영되어, 미리 설정된 기준점수 이상을 획득할 경우 정품인증을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S214단계에서 상기 정품검증서버(300)가 상기 검증 결과 정보를 검증기관(400)으로부터 수신하고, 데이터 베이스(310)에 저장 분류한다.
마지막으로 S215단계에서 상기 정품검증서버(300)가 상기 검증 결과 정보를 정품인증서버(100)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 신규로 시중에 판매되는 물품뿐만 아니라, 중고물품 및 병행수입품도 정품인증코드를 부여받기 위해 정품검증을 거쳐서 정품인증프로세스에 유입됨에 따라, 거래물품 전체에 대해 거래 이력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등록부가 없어 관리가 거래과정이 관리되지 않았던 고가 동산 물품의 거래이력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정품인증코드를 발급하는 과정(S100)에서, 정품인증서버(100)는 정품인 물품에 대한 거래이력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S220). 즉, 정품인증서버(100)는 정품인증코드를 발급하면서 해당 정품인증코드에 매칭된 정품의 거래이력을 누적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정품인증서버(100)가 정품인증코드가 부여된 물품의 거래이력을 생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신규물품이 판매되는 경우,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에 물품소유자를 생성하지 않고, 판매가 이루어짐에 따라 최초 구매자가 정품인증코드(또는 이에 상응하는 식별표지)를 클라이언트에 인증하면, 정품인증서버(100)가 최초 구매자를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 내에 최초 등록한다. 병행수입품 판매자가 정품검증을 통해 정품인증프로세스에 병행수입품에 해당하는 물품을 등록하는 경우, 정품인증서버(100)는 신규물품 판매 시와 동일하게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소유자를 생성하지 않고, 판매가 이루어짐에 따라 최초 구매자가 정품인증코드(또는 이에 상응하는 식별표지)를 클라이언트에 인증하면, 정품인증서버(100)가 최초 구매자를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 내에 최초 등록한다. 이 때, 정품인증서버에는 신규물품 및 병행수입물품의 최초 판매 이전에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 내에 소유자 정보를 생성되지 않으나, 판매자정보를 추가될 수 있다. 즉, 정품인증서버(100)는 신규물품의 유통과정에서 최종판매자 정보(예를 들어, 매장 점주 정보)를 기재하고, 물품소유자정보는 비워진 상태로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정품인증서버(100)는 물품유통 프로세스를 관리함에 따라 신규물품의 판매자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정품인증서버(100)는 병행수입물품의 판매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병행수입물품을 등록한 사용자를 판매자로 등록할 수 있다.
중고물품의 경우, 중고물품을 보유한 사용자가 정품인증코드 발급요청을 수행함에 따라, 정품검증 요청단계(S210)를 거쳐서 정품인증으로 판단되면(즉, 정품인증코드 기반의 정품인증프로세스에 중고물품이 추가되면), 정품인증서버(100)는 정품인증코드 발급요청(즉, 정품검증요청)을 수행한 사용자를 최초 소유자로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 내에 등록한다. 예를 들어, 특정한 클라이언트로부터 보유한 물품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물품에 대한 사진 이미지)와 함께 정품인증코드 발급요청을 수신하여 정품으로 검증되면, 정품인증서버(100)는 거래이력데이터베이스를 신규 생성한 후 구매자클라이언트의 정품인증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된 사용자계정을 통해 확인된 사용자정보를 소유자로 입력한다.
정품인증서버(100)가 판매자클라이언트 또는 구매자클라이언트로부터 정품인증코드에 상응하는 식별표지를 수신한다(S400). 즉, 정품인증서버(100)는 거래가 발생되는 정품에 대한 식별표지를 획득한다. 그 후, 정품인증서버(100)가 상기 정품인증코드에 상응하는 물품의 소유자를 거래이력데이터베이스 내에 변경등록한다(S600). 즉, 중고거래가 이루어짐에 따라 중고물품을 구입하는 사용자가 물품 내의 정품인증코드 또는 이에 상응하는 식별표지를 클라이언트로 인식하여 소유자변경요청을 수행하면, 정품인증서버(100)가 정품인증코드 또는 이에 상응하는 식별표지를 인식한 클라이언트의 사용자를 변경된 소유자로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정품인증서버(100)는 기존소유자를 이전소유자로 기록하고, 신규로 추가된 사용자를 현재소유자로 등록한다. 예를 들어, 정품인증서버(100)는, 사용자가 정품인증서비스에 가입을 하고 정품인증서비스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에서 정품인증코드 또는 이에 상응하는 식별표지를 인식함에 따라, 중고물품을 구입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1구매자로부터 제2구매자로 중고물품 판매가 이루어지는 경우, 제2구매자 클라이언트가 중고물품에 포함된 식별표지를 획득하고, 정품인증서버(100)는 제2구매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식별표지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2구매자가 제2구매자 클라이언트에서 중고물품 구매를 선택하여 정품에 부착된 식별표지를 촬영하면, 정품인증서버(100)는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식별표지의 정품인증코드에 대응하는 물품의 소유자가 제2구매자로 변경된 것으로 이력을 저장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정품인증서버(100)가 중고물품거래가 이루어짐을 판단하는 방식의 일 예로, 기존구매자가 정품인증서비스 내에서 판매인증 인터페이스에서 정품인증코드에 상응하는 식별코드를 인식하고, 신규구매자가 정품인증서비스 내에서 구매인증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판매하는 기존구매자와 신규구매자가 모두 정품인증서비스 내에서 식별표지 인식을 수행함에 따라 중고물품 거래 발생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매장에서 최초로 판매가 이루어지는 경우, 정품인증서버(100)는 판매자클라이언트로부터 판매되는 물품에 부착되는 물품 식별표지와 구매자 식별표지(예를 들어, 구매자의 정품인증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사용자식별용 QR코드)를 수신한다. 구매자 식별표지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물품 식별표지에 대응하는 정품을 구매한 것으로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도 5에서와 같이, 정품인증서버(100)가 식별표지에서 획득된 정품인증코드를 기반으로 위조품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0; 제1위조품여부 판단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정품인증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정품인증코드가 정품인증서버 내에 저장된 정품인증코드 중에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 정품인증서버 내에 포함된 정품인증코드이면 상품유형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통해, 중고물품으로 유통이 가능한 동산 물품은 기존에 등록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거래 이력이 관리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중고 유통이 가능한 동산에 대한 이력관리가 정품인증과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각각의 동산 물품에 정품인증코드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정품인증서버는 중고거래가 이루어진 경우에 구매자의 클라이언트로부터 해당 물품에 부여된 정품인증코드를 수신함에 따라 중고거래에 따라 물품의 소유권이 이전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정품인증서버(100)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정품인증 프로세스에 포함된 물품(즉, 동산인 물품)의 소유권 이전 이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조품여부 판단단계(S700)의 일실시예는; 상기 정품인증서버(100)가 구매자 클라이언트(200)에 의해 획득된 비교인증코드에서 추출된 추출키가 정품인증코드로 부여된 제1랜덤키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701); 상기 추출키가 상기 정품인증코드로 부여되지 않은 키인 경우, 상기 정품인증서버(100)가 상기 비교인증코드가 부여된 물품이 위조품임을 판단하는 단계(S702)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키가 상기 정품인증코드로 부여된 특정한 상기 제1랜덤키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비교인증코드가 부여된 물품과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품정보를 상기 구매자 클라이언트(2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품정보는 상기 제1랜덤키와 결합된 상품분류코드에 상응하는 상품에 대한 식별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S701단계에서 정품인증서버(100)가 구매자 클라이언트(200)에 의해 획득된 비교인증코드에서 추출된 추출키가 정품인증코드로 부여된 상기 제1발급랜덤키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702단계에서 상기 추출키가 상기 정품인증코드로 부여되지 않은 키인 경우, 상기 정품인증서버(100)가 상기 비교인증코드가 부여된 물품이 위조품임을 안내한다.
여기서, 정품인증서버(100)는 구매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수신된 비교인증코드에서 제1추출랜덤키를 추출하고, 정품인증서버(100) 내에 생성되어 저장된 제1발급랜덤키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정품인증서버(100)는 기생성되지 않은 제1랜덤키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위조품으로 안내한다. 즉, 정품인증서버(100)는 기생성되어 정품인증코드로 부여되어 있는 제1발급랜덤키 데이터와 일치하면 정품임을 구매자 클라이언트(200)로 안내할 수 있고, 저장되어 있지 않는 랜덤키 데이터이면 위조품으로 판단하여 구매자 클라이언트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도 7에서와 같이, 정품인증서버가 정품인증코드에 대한 인증요청된 횟수를 기반으로 정품 해당여부를 안내하는 단계(S800; 제2 위조품판단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정품인증서버가 특정한 정품인증코드에 대한 인증요청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횟수를 기반으로 정품해당여부에 대한 상이한 안내메시지를 구매자 클라이언트로 제공(예를 들어,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제1기준횟수 이하이면 정품으로 안내하고,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제1기준횟수 초과 제2기준횟수 이하이면 이미 인증된 정품으로 안내하고, 카운트된 횟수가 제2기준횟수 초과이면 위조품으로 안내)한다.
예를 들어, 정품인증서버는 정품인증코드를 일회용코드로 생성한다. 즉, 정품인증코드를 일회용코드로 생성함에 따라, 정품인증서버는 구매자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한 정품인증코드와 동일한 비교인증코드를 최초로 수신 시에만 정품으로 안내하고, 2번째 정품인증요청부터는 정품으로 안내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품인증서버는 2번째 정품인증요청부터 이미 인증된 정품으로 안내하거나 위조품일 가능성이 있음을 안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제로 부여된 정품인증코드를 복제하여 동일하게 제작된 위품인증코드를 획득하는 경우에 위조품일 가능성이 있다는 의심을 구매자에게 심어줄 수 있다. 또한, 제조업자는 실제 위조품을 발견하고 위조품 유통자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정품인증서버는 제1기준횟수(예를 들어, 정품인증코드를 일회용코드로 생성 시, 1회) 초과 시, 제2기준횟수를 기준으로 안내메시지를 구별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특정한 정품인증코드에 대해 제2기준횟수(예를 들어, 20회) 이하에 해당하는 순번으로 정품인증이 요청된 경우에 정품인증서버는 '이미 인증된 정품'으로 안내하고, 특정한 정품인증코드에 대해 제2기준횟수를 초과한 순번으로 정품인증이 요청된 경우에 정품인증서버는 '위조품일 가능성이 높음'을 안내한다.
일 예로, 특정한 장소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물품에 부착된 정품인증코드에 대해 각자 정품인증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특정한 사용자에게 정품으로 안내되고 다른 사용자에게 위조품으로 안내되면 오해의 소지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정품인증서버는 최초로 정품인증을 요청한 클라이언트로 정품임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두번째(즉, 제1기준횟수 초과)부터 제2기준횟수까지의 순번으로 특정한 정품인증코드에 대해 정품인증이 요청된 클라이언트에 이미 인증된 정품임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동일한 장소 내에서 특정한 인원이 하나의 정품인증코드를 기반으로 정품인증을 수행하더라도 정품과 위품으로 상이한 메시지가 제공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동일한 사용자가 복수 회 정품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최초에 정품으로 안내된 후 다시 동일한 정품인증코드에 대해 정품인증요청을 하는 경우에 위조품으로 안내되면, 구매자는 정품인증 결과를 신뢰하지 못하거나 정품을 위조품으로 오해할 수 있다. 따라서, 정품인증서버가 특정한 정품인증코드에 대해 최초에 정품인증을 수행한 후에 특정한 제2기준횟수까지는 이미 인증된 정품으로 안내메시지가 제공되도록 하여, 본인이 최초에 정품인증을 수행함에 따라 이미 인증된 것으로 안내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중고물품 거래가 진행되면, 정품인증서버(100)는 중고물품에 부여된 정품인증코드에 대한 정품인증횟수를 초기화하는 단계(S900)를 더 포함한다. 정품인증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클라이언트에서 특정한 정품인증코드의 식별표지를 촬영하여 정품인증을 수행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안내하는 인증결과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정품인증서버(100)는 특정한 정품인증코드에 대해 최초로 정품인증이 수행되면 '정품'으로 안내하고, 2회에서 N회(N은 특정한 자연수)까지는 이미 인증된 정품으로 안내하고, N회 초과 시에는 위조품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 ??, 중고물품 거래가 이루어지는 경우, 중고물품을 구입한 사용자의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식별표지 촬영 시에 '정품' 안내가 표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정품인증서버(100)는, 정품인 중고물품의 거래가 완료되어 신규구매자가 거래이력 내의 최종소유자로 등록되면, 정품인증 횟수를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도 8에서와 같이, 정품인증서버가 제2랜덤키를 생성하여 판매용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300);를 더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매용코드 생성단계(S300)의 일실시예는, 정품인증서버(100)가 제1랜덤키와 구별되는 제2랜덤키를 생성하는 단계(S301) 및 상기 정품인증서버(100)가 상기 제2랜덤키를 상기 제1랜덤키와 대응되는 판매용코드로 생성하는 단계(S30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판매용코드는, 상기 하나의 물품의 정품인증코드와 1대1로 매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품을 구매하기 전에 제1사용자가 정품인증코드에 상응하는 식별표지(예를 들어, QR코드)를 촬영하고 구매하지 않으면, 실제로 구매하는 제2사용자가 추후에 정품인증을 수행하면 이미 인증되었다고 안내되거나 위조품일 가능성이 있다고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판매과정에서 정품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판매용코드를 별도로 생성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S301단계에서, 정품인증서버(100)는 제1랜덤키와 구별되는 제2랜덤키를 생성한다. 판매용코드 자체도 위조품제조업자에 의해 임의로 만들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랜덤키로 생성한다. 제2랜덤키를 생성하는 방식은 정품인증코드 생성을 위한 제1랜덤키를 생성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정품인증서버(100)는 제2랜덤키를 제1랜덤키와 구별되도록 생성한다. 제1랜덤키와 제2랜덤키가 구별되도록 생성하는 방식의 일실시예로, 정품인증서버는 제1랜덤키로 생성된 키와 동일한 키를 제2랜덤키로 생성되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정품인증서버(100)는 제2랜덤키에 특정한 상품의 판매용키임에 해당하는 분류코드를 결합한다.
S302단계에서 정품인증서버(100)는 제2랜덤키를 하나 이상의 물품으로 구성되는 판매품에 상응하는 상품의 판매용코드로 생성한다. 여기서, 정품인증서버(100)는 제2랜덤키를 판매용코드로 생성되는 과정에서 암호화와 난독화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판매용코드는 QR코드와 같은 식별표지(즉, 판매용 식별표지)로 형성될 수 있다. 판매용 식별표지는 제품 자체가 아닌 판매품에 부착된다. 일실시예로, 판매품이 하나의 물품으로 구성되며 케이스에 포장되는 경우, 판매자는 케이스에 판매용코드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복수의 물품이 하나의 판매품으로 묶여서 판매되는 경우, 판매자는 해당 판매품 단위에 판매용코드를 부착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정품인증서버(10)는 판매용코드(또는 제2랜덤키)와 하나 이상의 정품인증코드(또는 제1랜덤키) 간에 연결관계를 형성하여 저장한다. 위품제조업자들이 판매용코드가 부착된 정품케이스만을 획득하고 위조품을 정품케이스에 포장하여 유통시키는 경우, 구매자들은 판매용코드를 통해 확인된 사항을 통해 내부에 포함된 물품을 정품으로 오해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판매품을 제조하는 과정(즉,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장하는 과정)에서, 정품인증서버는 판매품의 판매용코드와 판매품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물품의 정품인증코드를 매칭한다. 이 때, 판매품은 하나의 물품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의 물품을 하나의 묶음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구매자는 판매품을 구매한 후에 클라이언트(200)를 통해 판매품에 부착된 판매용코드와 각 물품에 부착된 비교인증코드를 획득하여 판매품과 물품 사이의 매칭관계가 성립하는지 확인을 정품인증서버(100)에 요청한다. 정품인증서버(100)는 구매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수신한 판매용코드와 정품인증코드가 정품인증서버(100) 내에 저장된 매칭관계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일치여부를 구매자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한다. 구매자는 정품인증서버(100) 내에 저장된 매칭관계와 일치하지 않음을 안내받으면 판매품 내에 포함된 물품이 위조품일 가능성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정품인증서버(100)는 판매용코드를 획득한 클라이언트(200)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판매용코드가 획득되는 클라이언트(20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프로세스가 수행되어 상이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 구매자 클라이언트(200)에 의해 판매용코드가 획득되는 경우, 정품인증서버(100)는 판매용코드에 매칭된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구매자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판매품 내에 포함된 물품이 팩인 경우, 정품인증서버(100)는 판매용코드를 획득한 구매자 클라이언트(200)로 해당 팩의 기능 또는 효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예를 들어, 판매품이 상이한 종류의 물품이 포함된 세트(예를 들어, 여러 종류의 화장품이 포함된 화장품세트)인 경우, 정품인증서버(100)는 해당 판매품에 부착된 판매용코드를 획득한 구매자 클라이언트(200)로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구매자 클라이언트(200)에 의해 판매용코드가 획득되는 경우, 정품인증서버(100)는 내부에 포함된 물품이 정품임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구매자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포장되거나 케이스에 들어있는 물품의 정품인증코드를 촬영하지 않고도 판매품에 부착된 판매용코드를 촬영하여 물품의 정품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포장 또는 케이스 내의 물품에 부착된 정품인증코드를 촬영하지 않으므로, 실제 구매자가 실제 물품을 정품인증하기 이전에 정품인증이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판매용코드는 정품인증코드와 달리 정품임을 안내하는 횟수가 특정횟수로 제한되지 않으므로, 횟수 제한이 없이 계속해서 상품정보 및 정품해당여부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또한, 판매자 클라이언트(200)에 의해 판매용코드가 획득되는 경우, 판매자클라이언트는 판매용코드에 대응되는 판매품의 판매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판매 유저인터페이스는 획득된 판매용코드에 대응되는 상품정보(예를 들어, 품번, 가격 등)을 자동으로 입력된 후 결제단계로 진행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정품인증코드가 부착된 중고물품과 판매용코드가 부착된 대상이 분리되어 유통되는 경우, 정품인증코드와 판매용코드의 매칭관계를 기반으로 거래이력 중에서 이상이 발생한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S1000);를 더 포함한다. 판매용 코드는 물품 자체에 부착되지 않고 물품을 포함하는 케이스 또는 포장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악의의 사용자가 정품인증코드가 부착된 물품과 판매용코드가 부착된 케이스를 고의적으로 분리하여, 정품의 판매용코드가 부착된 케이스에 위조품을 넣어서 거래유통을 시킬 수 있다. 이 때, 정품인증서버(100)는 물품에 부여되는 정품인증코드와 포장 또는 케이스에 부착되는 판매용코드의 매칭관계를 저장하고 있어서 판매용 코드에 대응되는 정품인증코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후, 정품인증서버(100)는 정품인증코드에 해당하는 물품의 거래이력을 기반으로 판매용코드가 부착된 대상을 분리하여 유통시킨 사용자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정품인증서버(100)가 상기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정품인증코드 재발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물품 거래 이력을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200)가 최종 소유자와 일치할 경우 재발급을 수행하는 단계(S1100)를 더 포함한다.
정품인증코드 또는 이에 상응하는 식별코드는 거래물품에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도 있으나, 분리될 수 있는 형태(예를 들어, 태그 또는 보증서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정품을 보유한 사용자가 정품인증코드 또는 이에 상응하는 식별표지를 분실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실제 정품에 대한 정품인증코드 재발급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다른 예로, 정품인증코드에 상응하는 식별표지가 장치의 하우징에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 또는 부착되어 있는 경우, 식별표지가 부착된 장치를 수리하는 과정에 하우징을 교체함에 따라 기존의 식별표지를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실제 정품에 대한 정품인증코드 재발급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때, 정품인증서버(100)는 정품인증코드(또는 식별표지) 재발급 요청을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고, 재발급 요청한 사용자정보와 거래이력 상의 최종소유자정보를 비교한다. 그 후, 정품인증서버는 정품의 최종소유자로 확인되면 정품인증코드(또는 식별표지)를 재발급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정품인증코드 재발급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정품인증서버는 사용자가 보유한 물품의 정품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정품검증절차를 재수행할 수 있다. 악의의 사용자가 실제정품에 대한 식별표지를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위조품에 정품식별코드에 상응하는 식별표지를 부착하기 위해 재발급을 요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품검증절차를 재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정품인증서버(100)는 정품검증과정을 거침에 따라 사용자가 정품인증코드 재발급을 요청한 물품이 정품으로 확인된 경우, 해당 정품에 부여된 정품인증코드를 폐기하고 신규로 생성된 정품인증코드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분실한 식별표지가 위조품에 부착되어 시중에 유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때, 정품인증서버(100)는 분실된 식별표지의 정품인증코드를 분실코드로 분류하여 별도 관리하고, 신규발급 시에도 생성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정품인증서버(100)는 기존 정품인증코드에 부여된 거래이력데이터를 신규 생성된 정품인증코드에 연결하여, 정품인증코드 변경과 무관하게 거래이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정품인증서버(100)는 신규발급된 정품인증코드에 상응하는 식별표지를 사용자에게 배송요청한다. 예를 들어, 정품인증코드에 해당하는 식별표지가 복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품인증서버(100)는 복제불가능한 식별표지로 정품인증코드를 생성한 후 재발급요청한 사용자에게 배송한다. 이를 통해, 재발급 요청한 사용자가 신규 식별표지의 이미지를 무단복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개인키를 더 생성하는 정품인증코드 생성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인증코드 생성단계(S200)는, 특정한 구매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최초로 정품인증코드(10) 확인요청을 수신하면, 정품인증서버(100)가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개인키(30)를 생성하여 발급하는 단계(S205); 상기 구매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상기 비교인증코드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개인키와 비교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비교인증코드에 상응하는 상품을 추출하여 상기 개인키에 매칭하는 단계(S206); 및 상기 개인키(30)에 매칭된 상품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개인키(30)에 상응하는 구매자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하는 단계(S207)를 더 포함한다.
S205단계어서, 최초로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정품인증서버(100)가 구매자 클라이언트(200)에 개인키(30)를 발급한다. 위조품 판매자들이 정품과 유사한 위조식별표지를 위조품에 부착하여 판매하고,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해당 위조식별표지를 획득하는 경우에 위조인증서버(미도시)로 연결시키며, 위조인증페이지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위조품 판매자들이 정품인증과정과 동일한 절차를 위조품에 대해서도 별도로 생성하여 둠에 따라, 구매자들이 위조품임을 인식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구매자 클라이언트(200)를 이용하여 최초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구매자 클라이언트(200)를 식별할 수 있는 개인키(30)를 생성하여 발급한다. 즉, 정품인증서버(100)가 최초로 특정한 구매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정품인증코드(10) 확인요청을 수신하면, 정품인증서버(100)는 구매자 클라이언트(200)로 개인키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즉, 상기 개인키(30)는 구매자가 보유하는 각 단말기별로 부여되는 코드로, 처음으로 정품인증코드 확인요청을 정품인증서버(100)로 요청함에 따라 발급되어 단말기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즉, 사용자 클라이언트) 내에 개인키(30)가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단말기를 교체하기 전까지는 해당 단말기로 동일한 개인키(3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미 정품인증코드(10)를 확인요청한 이력이 있음에 따라 개인키(30)가 이미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신규로 개인키(30)를 생성하여 전송하지 않으며, 정품인증서버는 단말기(즉,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저장되어 있는 개인키(30)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정품인증서버(100)는 정품인증요청 시에 구매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정품인증코드와 개인키를 수신하여, 개인키에 대응하는 저장공간에 정품인증코드에 상응하는 물품 또는 상품을 매칭하여 상품리스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S206단계에서 정품인증서버(100)가 상품에 대한 정품인증코드를 개인키별로 매칭을 수행한다. 정품인증서버(100)가 특정한 개인키별로 정품인증코드를 매칭함에 따라 정품인증코드에 매칭된 상품을 개인키에 매칭할 수 있다.
그 후, S206단계에서 정품인증서버(100)가 개인키에 매칭된 상품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개인키에 상응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한다.
도시되지 않은 위조인증서버가 정품인증서버(100)와 동일한 정품인증 프로세스와 유저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경우, 구매자 클라이언트(200)는 위조인증코드를 통해 위조인증서버에 접속하여 위조인증페이지를 제공받고 기인증한 위조품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구매자는 기존의 정품을 구입한 후 정품인증한 내역(또는 리스트)과 차이가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즉, 구매자는 상품리스트 상의 개수와 실제 정품인증을 수행한 개수가 상이함에 따라 위조품임을 의심하고, 의심신고를 정품인증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정품인증서버(100)는, 상품리스트 상의 상품 개수 또는 종류가 상이한 경우, 구매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의심신고를 수신한다. 정품인증을 수행을 많이 할수록 정품인증페이지 내의 상품리스트와 위조인증페이지 내의 위조품리스트의 개수 차이가 많이 나게 되므로, 구매자는 정품인증페이지인지 위조인증페이지인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인은 해당 상품(예를 들어, 특정한 화장품 회사의 팩)을 3번째 구입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는데, 정품인증서버(100)로부터 제공된 상품리스트 상에 최초 구입하는 것으로 리스트가 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본인이 인지하는 구매횟수와의 차이를 바탕으로 의심신고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위조품에 부착된 식별표지를 찍었을 때는 위조인증페이지 상에 리스트가 표시되고 정품을 찍었을 때는 정품홈페이지 상에 리스트가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본인이 구매한 상품 개수와 맞지 않음을 인식하게 되고, 그에 따른 이상신고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정품인증서버(100)는 구매자에게 정식인증페이지 확인기준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정품인증서버(100)는 정품인증페이지만 가질 수 있는 확인기준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위조품을 구입하였던 것으로 의심되는 상황에서 해당 확인기준을 바탕으로 현재 인증페이지가 정품인증페이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품인증페이지임을 인식할 수 있는 식별표시로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없는 URL 또는 도메인주소를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즉, 정품인증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정품인증서버가 정품으로 판단된 물품에 정품인증코드를 발급하는 단계;
    정품인증서버가 판매자클라이언트 또는 구매자클라이언트로부터 정품인증코드에 상응하는 식별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정품인증서버가 상기 정품인증코드에 상응하는 물품의 소유자를 변경등록하는 소유자변경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정품인증코드 발급단계는,
    정품인증코드에 대응되는 물품에 대한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물품이 신규물품 또는 병행수입물품인 경우, 판매자정보가 추가되고 소유자정보가 기재되지 않은 상태로 생성되고,
    상기 물품이 중고물품인 경우, 정품인증을 요청한 사용자를 최초소유자로 기재하여 생성되는 것인,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재판매 물품거래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코드 발급단계는;
    정품인증서버가 임의로 생성되는 특정한 자리수의 제1랜덤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상기 제1랜덤키가 이미 생생되어 정품인증코드로 발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랜덤키가 신규로 생성된 키에 해당하면, 제1랜덤키를 이용하여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정품인증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랜덤키가 이미 생성된 키에 해당하면,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상기 제1랜덤키 생성단계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코드 발급단계는,
    정품인증서버가 중고물품 및 병행수입품에 대해 정품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정품검증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품검증단계는,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물품정보를 포함하는 검증 확인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상기 물품 정보를 정품검증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정품검증서버로부터 검증 결과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검증 결과 정보는 검증기관에서 상기 정품검증서버로부터 수신한 물품 정보와 함께 검증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것인, 검증 결과 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정품인증코드 재발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물품 거래 이력을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최종 소유자와 일치할 경우 재발급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재발급 수행단계는,
    신규 랜덤키 기반의 신규정품인증코드를 생성하여, 기존정품인증코드에 대한 거래이력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신규정품인증코드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정품인증코드와 판매용코드의 매칭관계를 기반으로 거래이력 중에서 이상이 발생한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재판매 물품거래 관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유자변경단계는,
    제2구매자가 제1구매자로부터 정품인 중고물품을 구매하는 경우,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제2구매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중고물품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구매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정품인증코드를 수신하되, 상기 정품인증코드는 상기 제2구매자 클라이언트에 제공된 중고물품 구매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식별표지에서 추출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상기 정품인증코드에 대응하는 물품의 거래이력데이터 내에서 상기 제2구매자를 소유자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재판매 물품거래 관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정품인증서버가 구매자 클라이언트에 의해 획득된 비교인증코드에서 추출된 추출키가 정품인증코드로 부여된 제1랜덤키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키가 상기 정품인증코드로 부여되지 않은 키인 경우, 상기 정품인증서버가 상기 비교인증코드가 부여된 물품이 위조품임을 판단하는 제1위조품판단단계;를 포함하는,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재판매 물품거래 관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정품인증서버가 정품인증코드에 대한 인증요청된 횟수를 기반으로 정품 해당여부를 안내하는 제2위조품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재판매 물품거래 관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중고물품에 부여된 정품인증코드에 대한 정품인증횟수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재판매 물품거래 관리방법.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관리 프로그램.
KR1020170126901A 2017-09-29 2017-09-29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58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901A KR102058159B1 (ko) 2017-09-29 2017-09-29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901A KR102058159B1 (ko) 2017-09-29 2017-09-29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489A true KR20190037489A (ko) 2019-04-08
KR102058159B1 KR102058159B1 (ko) 2019-12-20

Family

ID=66164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901A KR102058159B1 (ko) 2017-09-29 2017-09-29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15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422B1 (ko) 2020-05-22 2020-11-30 주식회사 한터글로벌 정품 인증을 이용한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102192402B1 (ko) 2020-05-22 2020-12-17 주식회사 한터글로벌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102192401B1 (ko) 2020-05-22 2020-12-17 주식회사 한터글로벌 인증된 정품 데이터 정보를 이용한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102192400B1 (ko) 2020-05-22 2020-12-17 주식회사 한터글로벌 정품 인증을 이용한 차트 데이터 생성 및 사용자 관리 시스템
KR102314681B1 (ko) * 2021-04-19 2021-10-20 윤현석 백신접종 확인 마스크 유통 방법
WO2021235867A1 (ko) * 2020-05-20 2021-11-25 강찬고 진품 검증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903B1 (ko) * 2020-05-22 2021-09-17 김상철 유명인을 상징하는 표식이 인쇄되어 있는 골드바의 정품인증과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골드바 관리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943B1 (ko) 2015-02-24 2015-12-01 공병주 스마트 보증서 통합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합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882B1 (ko) * 2008-12-24 2009-04-15 고혜선 물품관리방법
KR101580846B1 (ko) * 2015-02-24 2015-12-30 공병주 병행수입품에 대한 정품거래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품거래 인증방법 및 보증서 발급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943B1 (ko) 2015-02-24 2015-12-01 공병주 스마트 보증서 통합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합관리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867A1 (ko) * 2020-05-20 2021-11-25 강찬고 진품 검증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3458A (ko) * 2020-05-20 2021-11-29 강찬고 진품 검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184422B1 (ko) 2020-05-22 2020-11-30 주식회사 한터글로벌 정품 인증을 이용한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102192402B1 (ko) 2020-05-22 2020-12-17 주식회사 한터글로벌 정품 인증을 이용한 정품 확인 및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102192401B1 (ko) 2020-05-22 2020-12-17 주식회사 한터글로벌 인증된 정품 데이터 정보를 이용한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102192400B1 (ko) 2020-05-22 2020-12-17 주식회사 한터글로벌 정품 인증을 이용한 차트 데이터 생성 및 사용자 관리 시스템
WO2021235757A1 (ko) * 2020-05-22 2021-11-25 주식회사 한터글로벌 정품 인증을 이용한 차트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102314681B1 (ko) * 2021-04-19 2021-10-20 윤현석 백신접종 확인 마스크 유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159B1 (ko)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159B1 (ko) 정품인증코드를 이용한 물품거래 이력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
KR101680542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일회용 상품의 정품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1839348B1 (ko) 개인키 기반의 위조품 발견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JP4927747B2 (ja) トランザク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600987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 verification of goods
US201600987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 Verification of Goods
KR20180030001A (ko) 개인키 기반의 위조품 발견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JP2016512675A (ja) 安全な取引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069002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위변조를 방지하는 이력관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N110060413B (zh) 物品的出售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WO2001057761A1 (en) Autograph verification and authentication system
CN104182866A (zh) 适合于转手贸易等情况的产品或物品的防伪的系统及方法
TW201421392A (zh) 利用實名認證進行網路購物的方法
KR102436115B1 (ko) 무인 판매기를 이용한 판매와 구매 중개 방법
CN108985431B (zh) 一种防伪标签及其检测鉴定注册商标的商品真品的方法
US20080005557A1 (en) Method of authentication and ownership verification of collectibles
CN112070567A (zh) 基于区块链的品质管控系统及其控制方法
US11244308B1 (en) Records of a tangible product in blockchain
KR10221044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제품의 소유권 등록 및 위조 판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N110728524A (zh) 一种物品追溯方法、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JP7421726B2 (ja) 認証システム
KR101217652B1 (ko) 휴대기기를 이용하여 제품의 사후관리가 가능한 플랫폼에 그 제품을 등록 또는 인식시키는 방법
KR102509972B1 (ko) 진품 검증 시스템 및 방법
JPH07175869A (ja) 商品流通管理システム
JP6974385B2 (ja) デジタル資産取引の多重確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