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602B1 -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602B1
KR102500602B1 KR1020200120497A KR20200120497A KR102500602B1 KR 102500602 B1 KR102500602 B1 KR 102500602B1 KR 1020200120497 A KR1020200120497 A KR 1020200120497A KR 20200120497 A KR20200120497 A KR 20200120497A KR 102500602 B1 KR102500602 B1 KR 102500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tor
temporary password
information
access contro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7707A (ko
Inventor
신상용
허원진
Original Assignee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0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602B1/ko
Priority to EP21197204.7A priority patent/EP3971847A1/en
Priority to US17/477,593 priority patent/US20220092980A1/en
Publication of KR20220037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문예약을 위하여 서버에서 수행되는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초대자 단말로부터 방문자 정보 및 방문지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자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문지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를 생성하는 단계; 방문자 단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를 알리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방문지 정보가 나타내는 로컬 출입 시스템에 상기 방문지 정보 및 상기 임시 암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는 상기 로컬 출입 시스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출입문 및 주차장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BUILDING ENTRANCE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본 섹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출원에서의 청구범위의 선행 기술이 아니며, 본 섹션에 기재하였다는 이유로 선행 기술로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연립 아파트, 오피스텔, 사무실과 같은 집한 건물은 다양하고 많은 사람들이 출입한다. 이들의 신원이나 방문 목적을 파악하여 출입 통제를 하기 위해서는 방문자의 진술에 의존하게 되거나, 방문시마다 찾아온 사람에게 확인을 받아야 하는 번거로운 절차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집합건물의 주차장은 초대자 또는 각 세대를 방문하는 차량에 대해 무료주차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늘어난 자동차 숫자에 비해 주차 여력은 턱없이 부족하여, 이와 같은 무료주차에 의해 아파트의 초대자 또는 아파트 세대를 방문하는 방문차량이 아닌 외부인의 차량이 주차장에 불법주차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 따라서, 보안 및 주차공간 관리를 위해서도 건물을 출입하는 사람과 차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제 시스템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91985호에는 차량번호에 대한 영상인식과 음성인식을 통해 입주차량 또는 예약방문차량 및 일반방문차량을 판별하고, 일반방문차량에 대해서는 초대자의 출입승인 후에 출입차단기를 개방함으로써, 주차장 내 불법주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문차량 관리 방법에 있어서는 방문차량 관리를 위해 관리자가 주차장 입구에 상주해야 하고, 초대자도 세대에 머무르고 있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91985호
본 개시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에서 방문자 및 방문차량을 효율적이면서도 높은 보안성으로 통제하기 위한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건물에 방문하기 위해 입주자 또는 초대자가 초대장을 보내서 초대를 받는 보증 형태, 방문 구역의 순차성 설정을 이용하여 건물 접근에 대한 높은 보안성을 제공하고, 1회용 암호의 사용으로 보안담당자가 없어도 편리하고 보안성 높은 건물 출입 통제가 가능한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초대자 단말로부터 방문자 정보 및 방문지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자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문지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를 생성하는 단계; 방문자 단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를 알리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방문지 정보가 나타내는 로컬 출입 시스템에 상기 방문지 정보 및 상기 임시 암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는 상기 로컬 출입 시스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출입문 및 주차장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는 상기 방문지 정보에 포함된 일정 시간 동안에만 유효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는 상기 로컬 출입 시스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출입문 및 주차장 중 두 곳 이상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1 임시 암호 및 제2 임시 암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임시 암호 및 상기 제2 임시 암호는 순차성을 가져, 제2 임시 암호는 제1 임시 암호가 사용된 후에 유효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임시 암호는 제1 임시 암호가 사용된 후에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가 상기 주차장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는 상기 방문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차량번호 인식 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 번호가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문자 정보에 기초하여 방문자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대 메시지는 상기 방문자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자 페이지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가능케하는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방문지까지의 길안내가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방문자 단말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초대자 단말은 초대자의 입주지에 설치된 월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간단한 요약 및 효과에 관한 설명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에서 의도한 기술적 사항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기술적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적인 실시예와 기술적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물 출입 통제 서버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문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 과정이 설명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초대자가 방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문예약 서비스가 방문자의 차량이 방문지에 입차할 때 알림메시지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문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알림메시지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문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 과정이 설명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예시적인 프로그램 제품을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100)은 초대자 단말(110)과 방문자 단말(120),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 및, 로컬 출입 시스템(140)을 포함할 수 있다.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100)의 엔티티(entity)로서 초대자 단말(110)과 방문자 단말(120),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 및, 로컬 출입 시스템(14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연결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 데이터 및 메시지가 송수신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 연결이란,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100) 내에 포함된 초대자 단말(110)과 방문자 단말(120),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 및, 로컬 출입 시스템(140)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통신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방식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초대자 단말(110)은 상업 빌딩, 아파트나 오피스텔을 포함하여 다수의 초대자가 상주하는 각종 형태의 집합건물에 거주하거나 입주한 사람의 단말로서 통신가능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대자 단말(110)은 휴대전화, 스마트폰, PDA, 태블릿, 랩탑과 같은 휴대용 장치, 또는 데스크탑, 서버와 같은 휴대용이 아닌 다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초대자 단말(110)은 입주지에 설치된 월패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방문자 단말(120)은 방문자가 소지하고 있는 통신 가능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문자 단말(120)은 휴대전화, 스마트폰, PDA, 태블릿, 랩탑과 같은 휴대용 장치, 또는 데스크탑, 서버와 같은 휴대용이 아닌 다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초대자 단말(110) 및 방문자 단말(120)에는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방문주차의 요청, 허락 및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방문 예약 서비스는 초대자 단말(110) 및 방문자 단말(1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초대자 및 방문자는 초대자 단말(110) 및 방문자 단말(120)에 각각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편리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이용하여 주차장을 예약하고 알림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100)은 초대자 단말(110) 및 방문자 단말(120)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는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100)이 사용자에게 방문차량 주차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컴퓨팅 자원이 가상화 기술로 통합된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을 지칭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는,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100)이 방문차량 주차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는 단수로 명명하더라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로컬 출입 시스템(140)은 집합건물의 하나 이상의 출입구를 관리하도록 설치된 로컬 시스템일 수 있다. 또는 로컬 출입 시스템(140)은 집합건물에 설치된 보안 시스템의 일부 일 수 있다. 로컬 출입 시스템(140)은 출입문 통제장치(141) 및 건물 출입 통제장치(142)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문 통제장치(141)는 집합건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출입문을 관리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집합건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출입문에는 각각 출입문의 개폐장치와, 출입문을 통과하려는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지 판단하는 인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장치는 통과하려는 사람을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통과할 수 있는 권한을 나타내는 표식으로서의 인식표(예: 바코드, QR코드 또는 얼굴 인식 등)를 인식하는 촬상장치 또는 적외선 인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예: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문을 통과하려는 사람은 인증장치를 통해 자신이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는 정당한 권한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다.
건물 출입 통제장치(142)는 집합건물에 포함된 주차장에 대한 입차와 출차를 관리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건물 출입 통제장치(142)는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차단기와, 입차 또는 출차되는 차량의 차량번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촬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건물 출입 통제장치(142)는 촬상장치를 통해 획득된 차량번호 이미지를 로컬 출입 시스템(140) 또는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로 전송하고 로컬 출입 시스템(140) 또는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차단기를 개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촬상장치를 통해 획득된 차량번호 이미지를 통해 인식되는 차량번호가 예약된 방문차량에 매칭되는 경우에 차단기를 열어 방문차량을 진입을 허용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로컬 출입 시스템(140)만이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와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집합건물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로컬 출입 시스템(140)이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물 출입 통제 서버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는 방문자 정보 등록부(210), 임시 암호 생성부(220), 주차장 건물 출입 통제장치 제어부(230) 및, 데이터베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에 포함된 구성들 각각은 반드시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에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로컬 출입 시스템(140) 또는 건물 출입 통제장치(142)에서 직접 차량번호의 인식도 가능할 수 있다.
방문자 정보 등록부(210)는 초대자 단말(110) 또는 방문자 단말(120)로부터 방문 요청 및 허락에 기초하여 방문자 정보(예: 식별 정보, 전화 번호, 방문 예정 시간, 또는 차량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방문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문자 정보 등록부(210)는 초대자 단말(110)의 직접적인 요청 메시지 또는 방문자 단말(120)로부터 전달된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방문자 정보를 결정하고 등록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방문자 정보 등록부(210)는 데이터베이스(240)에 초대자의 식별정보(예컨대, 전화번호, 주소, 또는 이름)가 등록된 초대자에 존재하는 경우에 한하여 방문자의 차량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방문자 정보 등록부(210)는 요청 메시지에 응답한 초대자 단말(110)로부터 허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 방문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즉, 방문자 정보 등록부(210)는 초대자가 방문을 초대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방문자가 초대자의 허락을 받았는지를 확인하여 방문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임시 암호 생성부(220)는 방문자가 건물에 출입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임시 암호를 생성할 수 있다. 초대자는 건물에 출입할 때 고정 암호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방문자에게 이러한 고정 암호를 알려주는 경우 보안에 위험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100)은 방문자에 대한 임시 암호를 생성함으로써 고정 암호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을 수 있다.
임시 암호 생성부(220)가 생성하는 임시 암호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시 암호는 번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입문 통제장치(141) 또는 주차장 통제장치(142)에는 키패드가 포함된 입력장치가 설치될 수 있고 방문자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에 대한 임시 암호의 입력을 통해 출입이 가능할 수 있다. 숫자뿐만 아니라 입력 장치의 종류에 따라 문자나 기호도 임시 암호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임시 암호는 2차원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시 암호는 바코드, QR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임시 암호 생성부(220)는 생성한 2차원 코드를 방문자 단말(120)에 전송하고, 방문자는 2차원 코드를 출입문 통제장치(141) 또는 주차장 통제장치(142)에 설치된 2차원 코드 인식 장치에 인식시킴으로써 출입이 가능할 수 있다. 임시 암호 생성부(220)가 생성하는 임시 암호에는 음성 암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출입문 통제장치(141) 또는 주차장 통제장치(142)에 설치된 인식 장치에 따라 다양한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문자 정보 등록부(210)는 방문자가 방문할 수 있는 구역을 제한하거나 방문 구역의 순차성을 설정하여 방문자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문자는 건물의 로비만을 방문할 수 있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임시 암호 생성부(220)는 건물의 로비로의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에 대한 임시 암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방문자가 차량을 이용하여 방문하기로 예정되는 경우, 방문자의 건물 진입 경로를 1차적으로 주차장, 2차적으로는 로비 및 사무실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로비 및 사무실로 출입하는 출입문 통제장치(141)에서는 적절한 임시 암호가 입력되더라도, 주차장 통제장치(142)에서 해당 임시 암호를 할당받은 방문자의 차량이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출입을 제한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면, 1차 구역(예: 주차장)에 방문자의 차량이 진입한 것이 확인되는 경우에 2차 구역(예: 로비 및 사무실)에 진입하기 위한 임시 암호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보다 높은 보안성이 기대된다.
건물 출입 통제장치 제어부(230)는 방문차량 인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출입 시스템(140)의 건물 출입 통제장치(142)로부터 수신되는 차량번호 이미지를 분석하여 입차되는 차량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번호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알고리즘은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기술로서 공지의 차량번호판 인식(License Plate Recognition, LPR)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방문차량 인증부는 입차되는 차량에 대한 차량번호가 방문차량으로 등록된 것인지 확인하여 입차를 허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문차량 인증부는 차량번호가 방문자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240)에 등록되어 있는지 비교할 수 있다.
건물 출입 통제장치 제어부(230)는 로컬 출입 시스템(140)의 출입문 통제장치(141) 및/또는 건물 출입 통제장치(142)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 출입 통제장치 제어부(230)는 방문차량 인증 여부에 따라 건물 출입 통제장치(142)에 포함된 차단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40)는 초대자 및 방문자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고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주지에 관한 데이터는 초대자 정보는 이름, 주소, 전화번호, 어플리케이션 설치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방문차량번호에 관한 데이터는 방문차량, 방문자 이름 및 전화번호, 방문 일시, 방문 허용여부, 방문대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방문차량 주차예약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요구되는 초대자 단말(110) 및/또는 방문자 단말(120)에 방문예약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방문예약 어플리케이션은 기본적으로 초대자 단말(110)과 방문자 단말(120)에 설치될 수 있다. 초대자는 방문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방문자의 방문 여부, 방문 구역의 동선 추적, 방문 요청, 허락 등의 알림을 제공받을 수 있다. 방문자는 방문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방문 예약의 요청 및 길안내, 알림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문차량 주차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 과정이 설명된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프로세스(300)는 단계(310, 320, 330, 340, 350, 360)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동작, 기능 또는 작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설명되는 개략적인 동작들은 예시로서만 제공되고, 개시된 실시예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동작 중 일부가 선택적일 수 있거나, 더 적은 동작으로 조합되거나, 추가적인 동작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프로세스(300)의 각각의 블록들은 앞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관련 내용들과 연관되어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 또는 작용을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하의 도 3의 프로세스(300)의 각 단계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의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100) 및 도 2의 서버(130)에서 설명된 각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스(300)는 초대자가 초대자 단말(110)을 통해 방문자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310)에서 시작할 수 있다. 초대자는 건물에 방문할 방문자가 발생하는 경우, 초대자 단말(110)에서 방문예약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방문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입력된 방문자 정보는 방문자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함께 초대자 단말(110)로부터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초대자가 방문자 등록을 위해 자신의 단말(110)에서 방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구체적인 예시에 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초대자가 방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초대자는 초대자 단말(120)에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400)를 통해 방문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GUI(400)에는 초대자의 입주지 정보를 입력하는 부분(410), 방문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부분(420), 방문 제한 구역 및 순차성을 설정하는 부분(430), 방문자가 차량을 이용하여 방문하는 경우에 차량번호를 입력하는 부분(440), 방문 예정 시간을 입력하는 부분(450)이 포함될 수 있다. 초대자는 방문자 정보입력이 끝나면 방문자 등록 버튼(460)을 입력하게 되고, 방문자 정보가 초대자 단말(120)로부터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 입주지 또는 방문지는 방문예약의 대상이 되는 공간에 대한 개념으로서, 초대자의 주소 등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로서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초대자는 방문차량을 초대할 수 있는 권한을 인증하기 위하여 회원가입 또는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대자는 초대자 단말(110)을 통해 자신의 초대자 식별정보(예: 건물 주소 또는 방문지)와 초대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에 제공하고, 일련의 인증절차를 수행함으로써, 회원가입 또는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는 초대자 단말(110)로 인증결과정보를 제공하며, 정상 인증된 초대자 단말(110)에 대해 방문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스(300)는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가 방문자 등록요청의 수신에 대응하여 초대자 정보를 확인하고 방문자에 대한 임시 암호를 생성하는 단계(330)로 이어질 수 있다.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는 방문자 등록을 요청한 초대자에 대응하여 방문자 정보를 등록하고 이에 대응하는 임시 암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방문자 등록은 초대자 정보 및 방문자 정보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하는 것으로 이뤄질 수 있다.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는 초대장 정보를 확인하고 임시 암호를 생성하는 단계(330)를 수행한 후, 로컬 출입 시스템(140)에 방문자 정보 및 임시 암호를 등록하는 단계(340), 초대자 단말(110)에 방문자 등록이 완료되었다는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350), 및 방문자 단말(120)에 방문자로 등록되었다는 사실 및 임시 암호를 알리는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360)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계(340, 350, 360)의 수행 순서는 차례로 수행될 필요가 없으며 구속되지 않는다.
단계(340)를 통해 방문차량으로 등록된 방문자 정보 및 임시 암호를 수신받은 로컬 출입 시스템(140)은 출입문 통제장치(141) 및/또는 주차장 통제장치(142)를 통해 등록된 방문차의 진입을 허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입문 통제장치(141)는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임시 암호를 인지하고 있고, 방문자가 해당 임시 암호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방문자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문 통제장치(141)는 출입문을 개폐하는 개폐장치와, 임시 암호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임시 암호 입력 장치는 방문자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통과할 수 있는 권한을 나타내는 표식으로서의 인식표(예: 바코드, QR코드 또는 얼굴 인식 등)를 인식하는 촬상장치 또는 적외선 인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임시 암호 입력장치는 사용자가 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예: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방문자는 센서부에 방문자 단말(120)에 수신받은 임시 암호를 인식시킴으로써 임시 암호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방문자는 키패드와 같은 입력부에 방문자 단말(120)에 순신한 임시 암호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임시 암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문자의 차량이 초대자의 주차장 입구에 도착하게 되면, 해당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주차장 통제장치(142)는 차량번호 인식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차량번호 인식장치를 통해 입차하는 방문차량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함과 동시에, 인식된 방문차량 번호가 기 등록된 방문차량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주차장 통제장치(142)의 차단기를 개방함으로써,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해당 방문차량에 대한 입차를 허용하는 등록된 방문차량에 대한 방문예약 서비스가 수행된다. 이 경우, 임시 암호는 방문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를 포함하고, 주차장에 설치된 차량번호 인식장치에 의해 차량번호가 인식되는 경우에 임시 암호가 사용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문자의 방문차량이 예약된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경우, 방문차량이 진입했다는 사실은 출입문 통제장치(141), 주차장 통제장치(142), 초대자 단말(110), 및 방문자 단말(120)에 알림메시지로써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를 참조하면, 초대자 단말(110) 또는 방문자 단말(120)에 방문차량이 예약된 주차장에 입차하였다는 사실이 알림메시지(510)로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는 초대자 단말(110) 또는 방문자 단말(120)에 이러한 알림메시지를 표시하도록 방문차량의 입차 사실을 알리는 메시지를 각각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5의 (b)를 참조하면, 초대자 단말(110)의 다른 예로서 입주지 내에 설치된 월 패드(520)에도 방문차량이 입차하였다는 알림메시지(521)를 표시될 수 있다.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 또는 로컬 출입 시스템(140)은 월 패드(520)에서 알림메시지(521)가 표시될 수 있도록 방문차량의 입차 사실을 알리는 메시지를 월 패드(5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도 5의 (c)를 참조하면, 주차장 통제장치(142)는 디스플레이 장치(5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530)를 통해 방문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방문자가 볼 수 있도록. 방문차량이 입차하였다는 알림메시지(531)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30)는 로컬 출입 시스템(140) 및/또는 주차장 통제장치(142)와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가 방문자 단말(120)에 방문자 등록이 완료되었고 출입문을 통과하기 위해 필요한 임시 암호를 포함하는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360)에서, 알림메시지는 방문자의 위치로부터 주차예약이 된 초대자의 입주지까지의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메시지의 구체적인 예시로서,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문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알림메시지를 도시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방문자 단말(120)은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가 전송한 알림메시지(610)를 표시할 수 있다. 알림메시지(610)는 문자 메시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알림메시지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알림메시지(610)는 방문차량으로 주차예약이 되었다는 정보 외에, 출입문이나 주차장의 게이트를 통과하기 위한 임시 암호(611) 및 구체적인 주차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웹 링크(612)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임시 암호(6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QR코드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임시 암호(611)는 숫자,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방문자가 방문자 단말(120)에 표시된 웹 링크(612)를 선택하면, 방문자 단말(120)은 해당 웹링크가 연결된 페이지에 접속하여 주차장 정보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페이지(620)는 도 6의 (b)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방문자 단말(120)에 표시된 페이지(620)는 길안내를 위한 연동 네비게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객체로서 선택창(621)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연동 네비게이션 선택창(621)에서 방문자 단말(120)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게 되면, 방문자 단말(120)은 선택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방문자에게 주차예약을 한 입주지까지 길안내를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방문자 단말(120)에 표시되도록 제공되는 페이지(620)는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가 생성할 수 있다. 페이지(620)는 WEB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웹페이지거나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는 방문자 단말(120)에 방문자 등록이 완료되었다는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350)를 수행하기 전에 페이지(620)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페이지(620)는 방문자 단말(120)에서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가능케하는 아이콘과 같은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방문자가 상기 객체를 선택하면,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방문지(또는 방문지의 주소)까지의 길안내가 곧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상기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방문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문예약 서비스는 단순히, 방문을 예약하는 것에 더하여, 차량일 이용하는 방문자로 하여금 초대자의 방문장소를 보다 편리하게 찾아갈 수 있다. 방문자의 방문예약을 한다는 것은 방문자가 초대장소로의 방문이 처음인 경우가 많으므로, 방문자가 초대장소의 이름이나 주소를 정확히 외우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에서는 방문예약 등록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가 방문자 단말(120)로 발송되면, 방문자는 해당 메시지에서 바로 길안내를 위한 내비게이션 어플의 실행이 가능하다. 즉 본 개시의 방문예약 서비스는 방문자에게 방문장소로 쉽게 찾아갈 수 있는 특유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문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 과정이 설명된 흐름도이다. 도 7에서 도시된 프로세스(700)는 단계들(710, 720, 730, 740, 750, 760, 770, 780, 790)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동작, 기능 또는 작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설명되는 개략적인 동작들은 예시로서만 제공되고, 개시된 실시예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동작 중 일부가 선택적일 수 있거나, 더 적은 동작으로 조합되거나, 추가적인 동작으로 확장될 수 있다. 다만, 도 7의 프로세스(700)의 각각의 블록들은 앞서 도 3에서 설명된 프로세스(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들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스(700)는 로컬 출입 시스템(140)에 포함된 1차 출입문에서 방문자를 인식하는 단계(710)에서 시작할 수 있다. 방문자는 초대자의 입주지로 방문하고자 하는 경우, 방문자 단말(120)에서 방문예약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초대자 정보 및 방문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710)에서 1차 출입문이란, 로컬 출입 시스템(140)에 포함된 출입문 통제장치(141) 또는 주차장 통제장치(142)일 수 있다. 1차 출입문은 방문자가 1차 암호를 이용하여 1차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는 자격을 인증하고 1차 출입문을 통과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문자가 출입문에 1차 암호로서 부여받은 2차원 코드를 센서부에 인식하는 경우 또는, 방문자의 차량번호로 인식된 차량번호가 주차장의 센서부를 통해 인식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프로세스(700)는 로컬 출입 시스템(140)이 방문자의 1차 출입문 통과 사실을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에 알리는 단계(720)로 이어질 수 있다.
프로세스(700)는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가 방문자의 1차 출입문 통과 알림을 수신받는 것에 응답하여, 2차 출입문의 임시 암호를 생성하는 단계(730)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은 초대자가 설정한 방문 구역의 순차성에 따라, 1차 출입문을 통과하는 경우에 2차 출입문의 임시 암호를 생성함으로써 건물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건물의 출입문이 복수개인 경우, 방문 예약에 따라 출입문에 따른 임시 암호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면, 임시 암호의 유출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초대자 단말(120)에서 초대자는 방문 제한 구역 및 순차성을 설정하는 부분(430)의 설정을 통해 방문자의 방문구역을 설정하여 방문자가 허락된 공간 이외의 구역을 방문하는 것을 제한하고, 방문 구역의 순차성을 부여하여, 보안성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방문을 허락하고자 하는 구역을 체크박스로 표시하고, 드래그 동작을 통해 순차성을 설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다시 도 7를 참조하면, 프로세스(700)는 2차 출입문의 암호를 생성하는 것에 응답하여 2차 출입문의 암호를 로컬 출입 시스템(140)에 알리는 단계(740), 초대자 단말(110)에 방문자가 1차 출입문을 통과했음을 알리는 단계(750), 방문자 단말(120)에 2차 출입문의 암호를 알리는 단계(760)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계(740, 750, 760)의 수행 순서는 차례로 수행될 필요가 없으며 예시된 바에 구속되지 않는다. 이후 단계(770, 780, 790)는 단계(710, 720, 7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800)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800)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신호 포함 매체(802)를 이용하여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800)의 신호 포함 매체(802)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806), 기록 가능 매체(808) 및/또는 통신 매체(81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포함 매체(802)에 포함된 명령어(804)는 초대자 단말(110), 방문자 단말(120), 건물 출입 통제 서버(130) 및 로컬 출입 시스템(140)과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명령어(804)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방문자 정보 및 방문지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자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명령어; 상기 방문지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를 생성하는 명령어; 방문자 단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를 알리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명령어; 및 상기 방문지 정보가 나타내는 로컬 출입 시스템에 상기 방문지 정보 및 상기 임시 암호를 전송하는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개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개시에서 청구된 대상은 앞서 기술한 특정 구현예로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어떤 구현예에서는 장치 또는 장치의 조합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사용되는 하드웨어의 형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에서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신호 베어링 매체, 저장 매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D-ROM, 컴퓨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 매체는,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 컴퓨팅 플랫폼 또는 기타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때 앞서 설명한 구현예에 따라 해당 프로세서의 실행을 야기시킬 수 있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팅장치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 또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장치, 및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을 하드웨어로 구현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것인지는, 일반적으로 비용 대비 효율의 트레이드오프를 나타내는 설계상 선택 문제이다. 본 개시에서는 프로세스, 시스템, 기타 다른 기술들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수단(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이 있으며, 선호되는 수단은 프로세스 및/또는 시스템 및/또는 다른 기술이 사용되는 맥락(context)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예를 들어, 구현자가 속도 및 정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결정한다면, 구현자는 주로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 수단을 선택할 수 있으며, 유연성이 가장 중요하다면, 구현자는 주로 소프트웨어 구현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대안으로서, 구현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어떤 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를 통해장치 및/또는 프로세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한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을 포함하게 되며, 당업자라면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 내의 각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개별적으로 혹은 집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기재된 대상의 몇몇 부분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다른 집적의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일부 양상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펌웨어 또는 이들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조합으로써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균등하게 집적 회로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위한 코드의 작성 및/또는 회로의 설계는 본 개시에 비추어 당업자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대상의 매커니즘들이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품으로 분배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본 개시의 대상의 예시는 분배를 실제로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신호 베어링 매체의 특정 유형과 무관하게 적용됨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예시적 기법이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청구된 대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기타의 수정 또는 등가물로의 치환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을 청구된 대상의 교시로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대상이 개시된 특정 예시로 제한되지 않으나, 그러한 청구된 대상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방문예약을 위하여 서버에서 수행되는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의 운영 방법으로서,
    초대자 단말로부터 방문자 정보 및 방문지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자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문지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를 생성하는 단계;
    방문자 단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를 알리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방문지 정보가 나타내는 로컬 출입 시스템에 상기 방문지 정보 및 상기 임시 암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는 상기 로컬 출입 시스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출입문 및 주차장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에 대응하여 생성되고,
    상기 방문자 등록 요청은 상기 로컬 출입 시스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출입문 및 주차장 중 두 곳 이상에 대한 순차성 설정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는 상기 순차성 설정에 기반한 제1 임시 암호 및 제2 임시 암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임시 암호는 상기 제1 임시 암호가 사용된 후 생성되고 상기 방문자 단말에 알려지는 것인,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의 운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는 상기 방문지 정보에 포함된 일정 시간 동안에만 유효성을 가지는 것인,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의 운영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가 상기 주차장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는 상기 방문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차량번호 인식 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 번호가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가 사용되는 것인,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의 운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정보에 기초하여 방문자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대 메시지는 상기 방문자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자 페이지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가능케하는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방문지까지의 길안내가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방문자 단말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인,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의 운영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자 단말은 초대자의 입주지에 설치된 월 패드를 포함하는 것인,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의 운영 방법.
  9.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을 위한 서버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초대자 단말, 방문자 단말, 및 로컬 통제 시스템에 포함된 컴퓨팅 장치와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초대자 단말로부터 방문자 정보 및 방문지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자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방문지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를 생성하는 동작;
    방문자 단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를 알리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방문지 정보가 나타내는 로컬 출입 시스템에 상기 방문지 정보 및 상기 임시 암호를 전송하는 동작
    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는 상기 로컬 출입 시스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출입문 및 주차장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에 대응하여 생성되고,
    상기 방문자 등록 요청은 상기 로컬 출입 시스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출입문 및 주차장 중 두 곳 이상에 대한 순차성 설정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는 상기 순차성 설정에 기반한 제1 임시 암호 및 제2 임시 암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임시 암호는 상기 제1 임시 암호가 사용된 후 생성되고 상기 방문자 단말에 알려지는 것인,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을 위한 서버.
  10. 제9항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는 상기 방문지 정보에 포함된 일정 시간 동안에만 유효성을 가지는 것인,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을 위한 서버.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가 상기 주차장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는 상기 방문자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차량번호 인식 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 번호가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가 사용되는 것인,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을 위한 서버.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는 상기 방문자 정보에 기초하여 방문자 페이지를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초대 메시지는 상기 방문자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자 페이지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가능케하는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방문지까지의 길안내가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방문자 단말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인,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을 위한 서버.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자 단말은 초대자의 입주지에 설치된 월 패드를 포함하는 것인,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을 위한 서버.
  17. 건물 출입 통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건물 출입 통제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초대자 단말로부터 방문자 정보 및 방문지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자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방문지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를 생성하는 동작;
    방문자 단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를 알리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방문지 정보가 나타내는 로컬 출입 시스템에 상기 방문지 정보 및 상기 임시 암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는 상기 로컬 출입 시스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출입문 및 주차장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에 대응하여 생성되고,
    상기 방문자 등록 요청은 상기 로컬 출입 시스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출입문 및 주차장 중 두 곳 이상에 대한 순차성 설정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시 암호는 상기 순차성 설정에 기반한 제1 임시 암호 및 제2 임시 암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임시 암호는 상기 제1 임시 암호가 사용된 후 생성되고 상기 방문자 단말에 알려지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0120497A 2020-09-18 2020-09-18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2500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497A KR102500602B1 (ko) 2020-09-18 2020-09-18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EP21197204.7A EP3971847A1 (en) 2020-09-18 2021-09-16 Building acces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7/477,593 US20220092980A1 (en) 2020-09-18 2021-09-17 Building acces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497A KR102500602B1 (ko) 2020-09-18 2020-09-18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707A KR20220037707A (ko) 2022-03-25
KR102500602B1 true KR102500602B1 (ko) 2023-02-17

Family

ID=78073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497A KR102500602B1 (ko) 2020-09-18 2020-09-18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92980A1 (ko)
EP (1) EP3971847A1 (ko)
KR (1) KR102500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849B1 (ko) * 2022-04-08 2023-01-26 방재웅 스마트 건축물 유지 관리 시스템
CN115273301A (zh) * 2022-07-29 2022-11-01 杭州立方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值守管理开闸方法及系统
CN115410301B (zh) * 2022-08-26 2023-08-25 大连爱加加智慧科技有限公司 基于二维码的访客邀请门禁权限管理方法、装置及系统
CN115953867B (zh) * 2023-01-09 2023-05-16 江苏信江数字科技有限公司 智慧城市管理数据处理方法及系统
CN115862207B (zh) * 2023-02-16 2023-04-28 湖南桅灯机器人有限公司 一种智慧门禁授权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899B1 (ko) * 2011-08-18 2013-01-21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654784B1 (ko) * 2016-01-27 2016-09-06 주식회사 다누시스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KR101855494B1 (ko) * 2017-09-28 2018-06-25 한국아이디정보주식회사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636B1 (ko) 2008-02-26 2009-10-19 고창준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
ES2501516T3 (es) * 2011-03-29 2014-10-02 Inventio Ag Distribución de informaciones de acceso a instalaciones
KR20150049118A (ko) * 2013-10-29 2015-05-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시지 기반 방문장소 안내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170169635A1 (en) * 2015-12-10 2017-06-15 Rohit Karlupia Method and system for visitor access control management
KR101920654B1 (ko) * 2016-05-03 2018-11-21 주식회사 엠플러스비전 Nfc 기반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73187B1 (ko) * 2017-09-05 2022-12-05 주식회사 슈프리마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20190141423A (ko) * 2018-06-14 2019-12-24 주식회사 아이트로 출입 인증 관리 시스템
US11164159B2 (en) * 2019-01-18 2021-11-02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mart building automation system with digital signage
CN110443930A (zh) * 2019-08-27 2019-11-12 恒大智慧科技有限公司 社区访客管理方法及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899B1 (ko) * 2011-08-18 2013-01-21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654784B1 (ko) * 2016-01-27 2016-09-06 주식회사 다누시스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KR101855494B1 (ko) * 2017-09-28 2018-06-25 한국아이디정보주식회사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71847A1 (en) 2022-03-23
US20220092980A1 (en) 2022-03-24
KR20220037707A (ko)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0602B1 (ko) 건물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US11841934B2 (en) Biometric ticketing
US20230032659A1 (en) Access control via a mobile device
US95082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controlled access to physical spaces
US9990786B1 (en) Visitor credentials
US10679446B2 (en) Extended instant guest acces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ags
US11205312B2 (en) Applying image analytics and machine learning to lock systems in hotels
US11838762B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ty verification and authorization of request by checking against an active user directory of identity service entities selected by an identity information owner
WO2017140240A1 (zh) 访客认证方法和系统
US201600803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controlled ticket access
CN112571413B (zh) 部署机器人安全护送者以增强企业安全性的系统和方法
US201701696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visitor access control management
US11594092B2 (en) Multi-site building access using mobile credentials
US20220254212A1 (en) Systems and techniques to provide smart access capabilities in a smart system environment
US20180183776A1 (en) Digital community system
US20190084794A1 (en) Elevator request authorization system
KR102495953B1 (ko) 숙박 시설 모바일 키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430359B1 (ko) 방문차량 주차예약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N110178153A (zh) 降低的用户认证输入要求
WO2021019508A1 (en) Property management systems
WO202315439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gital identification verification and contactless check-in
WO2018095184A1 (zh) 一种数据交互方法及系统
Turki et al. A Private Smart parking solution based on Blockchain and AI
Buccafurri et al. eIDAS public digital identity systems: beyond online authentication to support urban security
US202300927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ayment Device-Based Ac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