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225B1 -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개인 방역 구조물 - Google Patents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개인 방역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225B1
KR102307225B1 KR1020210035700A KR20210035700A KR102307225B1 KR 102307225 B1 KR102307225 B1 KR 102307225B1 KR 1020210035700 A KR1020210035700 A KR 1020210035700A KR 20210035700 A KR20210035700 A KR 20210035700A KR 102307225 B1 KR102307225 B1 KR 102307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horizontal frame
disposed
poin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준 filed Critical 박영준
Priority to KR1020210035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225B1/ko
Priority to PCT/KR2022/002557 priority patent/WO202219696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08Hospitals, infirmaries, or the like; Schools; Pri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역 구조물은 환기 설비 장치와 연결되는 제1호스; 소독액 분사 장치와 연결되는 제2호스; 일 영역에 상기 제1 및 제2호스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본체; 및 개폐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탈부착 가능한 보호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개인 방역 구조물{Personal quarantine structures installed in multi-use facilities}
본 발명은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개인 방역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불특정 다수가 출입하고 이용하는 교회, 실내외공연장, 식당, 비행기, 크루즈선, 학교강의실, 교실, 일반사무실, 기차, 군대막사 등의 시설에 설치되어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개인 방역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는 2020년 3월 11일 기준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을 선언했으며, 이후에도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이에 4월 26일 기준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 사망자 수는 20만명을 넘어섰으며, 누적 확진자 수는 290만명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재생산 지수는 과거 메르스와 사스 바이러스 보다도 훨씬 더 높은 5.7을 나타내고 있으며, 국가별 차이는 있지만 미국,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 등에서 5.7로 확인되고 있다. 이는, 메르스는 물론 사스 바이러스 보다도 훨씬 더 전염력이 강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다가오는 가을 이후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또다시 대유행하여 큰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예상은 현 중앙방역대책본부에서 발표한 4월 20일자 인터뷰에서 “겨울철이 되면 바이러스가 좀 더 생존하기 좋아지고, 밀폐된 환경으로 접어들기 때문에 대유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한 바 있으며,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발표한 4월 21일자 인터뷰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재확산이 독감 시즌과 겹칠 경우 더욱 치명적인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이에,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하여 코로나19의 확산을 차단하고 방역에 성공을 거두는 듯 보였으나, 한 단계 완화된 생활 속 거리 두기를 시행하면서부터 밀폐된 공간의 다중이용시설 즉 종교 시설, 강당, 영화관, 체육관 등을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다시 확산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주요 감염 경로는 비말, 확진자와의 직, 간접적인 접촉 등에 의한 감염이기 때문에, 현재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거리나 다중 이용 시설 및 전통 시장 등을 중심으로 방역하고 있지만, 이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실질적으로 방역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6007호(2016.11.1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1990호(2020.09.04.)
본 실시예는 불특정 다수가 출입하고 이용하는 교회, 실내외공연장, 식당, 비행기, 크루즈선, 학교강의실, 교실, 일반사무실, 기차, 군대막사 등의 시설에 설치되어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개인 방역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역 구조물은 환기 설비 장치와 연결되는 제1호스; 소독액 분사 장치와 연결되는 제2호스; 일 영역에 상기 제1 및 제2호스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본체; 및 개폐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탈부착 가능한 보호막을 포함할 수 있따.
상기 본체는 홀이 형성되는 제1본체, 및 상기 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호스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제2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의 내측면과 상기 제2본체의 외측면은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막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호막은 사용자의 머리 위에 배치되는 상기 본체로부터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고, 상기 보호막은 상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와이어, 및 하단 테두리에는 상기 지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하면은 상기 보호막 내부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산소농도센서 및 상기 보호막 내부의 사용자의 유무를 센싱하는 동작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 설비 장치 및 상기 소독액 분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소 농도 센서가 센싱한 산소 농도를 기초로 상기 환기 설비 장치의 산소 공급 및 이산화탄소 배출 시간의 비율을 제어하고, 상기 동작 센서가 센싱한 사용자의 유무를 기초로 상기 소독액 분사 장치의 소독액 분사를 제어할 수 있다.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수직 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상기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호스는 상기 제1수평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및 제4수직 프레임,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상기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수평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1수평 프레임이 접촉되는 제1지점, 상기 제2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1수평 프레임이 접촉되는 제2지점, 상기 제3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평 프레임이 접촉되는 제3지점, 및 상기 제4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평 프레임이 접촉되는 제4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3지점을 연결하는 제3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2지점과 상기 제4지점을 연결하는 제4수평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호스는 상기 제2수평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불특정 다수가 출입하고 이용하는 종교 시설, 강당, 영화관, 비행기, 실내외공연장, 크루즈선, 학교강의실, 교실, 일반사무실, 기차, 군대막사 등에서도 감염병 방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교체 가능한 일회용 보호막을 통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가 포함된 보호막을 통해 보호막 내부에 사용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외부 자극에 의한 형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환기 설비 장치 및 소독액 분사 장치를 통하여 보호막 내부 공간의 공기질을 쾌적하고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역 구조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역 구조물의 본체 및 보호막의 결합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역 구조물의 보호막을 전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개인방역구조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개인방역구조물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역 구조물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역 구조물을 도시한 것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역 구조물의 본체 및 보호막의 결합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역 구조물의 보호막을 전개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개인 방역 구조물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개인방역구조물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역 구조물은 보호막(110), 본체(120), 제1호스(130) 및 제2호스(140)를 포함하고, 제어부(미도시) 및 지지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막(110)은 사용자의 머리 위에 배치되는 본체(120)로부터 지면까지 연장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호막(110)은 투명한 비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막(110)은 PLA(Poly Lactic Acid)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PLA는 옥수수의 전분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든 친환경 수지이고, 폐기시 미생물에 의해 완전히 생분해되는 재질로서, 보호막(110)의 일회 사용 후 폐기시에도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보호막(110)은 생분해되는 일반 종량제 봉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막(110)은 99.9%의 구리를 포함하는 항균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출입시마다 보호막(110)에 소독액 분사 등으로 관리하여 다회 사용할 수 있다. 개인 방역 구조물이 실외운동경기장의 계단식 관중석에 설치시, 뒷좌석에 앉은 사람이 개인 방역 구조물에 의해 시야가 방해되지 않도록 보호막(11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막(110)은 개폐 가능한 개구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개구부(113)를 통해 출입을 할 수 있다. 개구부(113)는 보호막(110) 내부의 밀폐를 위하여 제1 및 제2결합부(111, 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결합부(111, 112)는 서로 결합하여 보호막(110)의 밀폐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결합부(111, 112)는 서로 다른 극의 마그넷일 수 있다. 제1 및 제2결합부(111, 112)는 지퍼, 밸크로(찍찍이), 재접착 가능한 접착제, 똑딱이 단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막(110)을 전개하여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보호막(110)의 상단부에는 일정 영역이 본체(120)로 삽입되는 삽입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110)은 상하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와이어(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115)는 직선 형상의 와이어로서, 무게가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고, 자유롭게 굽힘 변형될 수 있다. 제1와이어(115)는 나무, 플라스틱, 알루미늄, 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야외경기장에 개인 방역 구조물 설치시 바람 등 날씨 악화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보호막(110)은 하단 테두리에 배치되어 지면과 접촉되는 제2와이어(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와이어(116)는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의 와이어로서, 무게가 제1와이어(115)보다 무거울 수 있다. 제2와이어(116)는 지면과 접촉하여 보호막(110)을 지면에 고정시킴으로써, 바람 등과 같은 외부 자극에도 보호막(110)의 흔들림 및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막(110)은 제1 및 제2와이어(115, 116)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고, 제1와이어(115) 및 제2와이어(11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와이어(116)가 포함되면 보호막(110)과 지면이 밀착하여 보호막(110) 내부를 외부와 차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측으로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제2와이어(116)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보호막(110)과 지면의 여유 공간이 발생하여 하측으로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본체(120)는 일 영역에 제1 및 제2호스(130, 140)가 관통하여 고정되고, 사용자의 머리 위에 배치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본체(120)는 홀이 형성되는 제1본체(121), 및 홀에 삽입 결합되고 제1 및 제2호스(130, 140)가 관통홀(126)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제2본체(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호스(130, 140)는 하나의 관통홀(126)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본체(121)는 중심에 홀이 형성되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본체(123)는 제1본체(121)의 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본체(121)의 내측면(122) 및 제2본체(123)의 외측면(124)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본체(121)의 홀 측으로 보호막(110)의 삽입부(114)가 삽입되고, 제1본체(121)와 제2본체(123)의 결합에 의해 보호막(110)은 본체(1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본체(121)의 내경의 길이는 제2본체(123)의 외경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본체(123)는 관통홀(126) 주변에 복수의 파지부(125)를 형성할 수 있다. 파지부(125)는 제2본체(123)의 상면의 일 영역이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125)는 제2본체(123)를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부(125)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제1본체(121) 및 제2본체(123)의 나사산 결합 및 해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막(110)은 제1본체(121)의 외측면과 보호막(110)의 삽입부(114)에는 밸크로(찍찍이)가 배치되어 상호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본체(121)는 바닥면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일 영역에 제1 및 제2호스(130, 140)가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본체(123)는 관통홀(126)에 제1 및 제2호스(130, 140)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호스(130)는 환기 설비 장치와 연결될 수 있고, 제2호스(140)는 소독액 분사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환기 설비 장치는 에어 콤프레셔, 압축기, 환풍기 장치 등일 수 있고, 냉난방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호막(110) 내부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환기 설비 장치와 연결되는 제1호스(130)는 한 개의 호스로 구성되어 공기의 흡입 및 배출 동작을 함께 할 수 있고, 두 개의 호스로 구성되어 각각 공기의 흡입 및 배출 동작을 할 수 있다.
제2본체(123)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호스(130, 140)는 보호막(110)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서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호스(130)는 제2호스(140)보다 보호막(110)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호스(130)는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구성이므로 보다 보호막(110) 내측에 배치되고, 제2호스(140)는 소독액이 분사되는 구성이므로 보호막(110) 내부에 보다 넓은 구역으로 소독액을 확산시키기 위하여 제1호스(130)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20)의 일 영역에는 에어커튼(air curtain)이 설치될 수 있다. 에어커튼(미도시)은 실내 기온이 개구부(1130)를 통하여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 비용을 절약하고, 외부의 대기 오염물질 또는 내부에 있는 사용자의 비말 등의 유입 및 유출을 차단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경제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공기를 공기로 차단하는 장치이다.
에어커튼은 본체(120)의 일 영역에 설치되며, 에어커튼이 설치된 영역에는 보호막(110)이 제거될 수 있다. 또는 에어커튼이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경우, 보호막(110)은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에어커튼은 본체(120)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실내외를 유통하는 공기의 풍속보다 강한 풍속(5~24m/sec)의 공기를 가하게 하향 토출하여 출입구에 공기 막을 형성해서 실내외의 공기가 서로 유통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본체(120)의 하면은 보호막(110) 내부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산소 농도 센서(미도시) 및 보호막(110) 내부의 사용자 유무를 센싱하는 동작 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역 구조물은 환기 설비 장치 및 소독액 분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소 농도 센서 이외에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가 이용될 수 있고, 제어부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기준으로 환기 설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동작 센서가 열감지 센서 및 적외선 센서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어부는 산소 농도 센서가 센싱한 산소 농도를 기초로 환기 설비 장치의 산소 공급 및 이산화탄소 배출 시간의 비율을 제어하고, 동작 센서가 센싱한 사용자의 유무를 기초로 소독액 분사 장치의 소독액 분사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막(110) 내부의 산소 농도가 낮은 경우 산소 공급의 시간 비율을 높일 수 있고, 보호막(110) 내부의 산소 농도가 높은 경우 산소 공급의 시간 비율을 낮추고 이산화탄소 배출 시간의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동작 센서가 사용자의 보호막(110) 입실을 센싱한 경우에만 환기 설비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환기 설비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산소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흡기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소독액의 분사 방식은 초미립분무 살균(Ultra Low Volume), 잔류분무 살균(Residual Spray Service), 알코올 소독, 환경부 승인 살균 소독제인 릴라이온 버콘 마이크로, 시트르산 물질, 무독성 미산성 차아염소산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독액은 환경부 승인한 살균 소독제로서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지지체(200)에 복수의 개인 방역 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체(200)는 본체(12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물일 수 있다. 지지체(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호막(110) 및 본체(12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하나의 기둥 형태의 지지체(200)에 보호막(110) 및 본체(1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음식점의 4인용 테이블에서 지지체(200)가 테이블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4개의 각 좌석 공간을 분리하도록 보호막(1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식사 중에도 감염병 확산 방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지지체(200)는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수직 프레임(201, 202), 및 제1 및 제2수직 프레임(201, 202)의 상단에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평 프레임(20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체(200)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들은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태일 수 있고, 프레임 내부에 제1 및 제2호스(130, 1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호스(130, 140)는 제1수평 프레임(20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소정 간격은 사용자가 보호막 내부에 입실하였을 때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지지체(200)는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및 제4수직 프레임(204, 205), 및 제3 및 제4수직 프레임(204, 205)의 상단에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수평 프레임(2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호스(130, 140)는 제2수평 프레임(20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지지체(200)는 제1 내지 제4지점(211, 212, 213, 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직 프레임(201)과 제1수평 프레임(203)이 접촉되는 제1지점(211), 제2수직 프레임(202)과 제1수평 프레임(203)이 접촉되는 제2지점(212), 제3수직 프레임(204)과 제2수평 프레임(206)이 접촉되는 제3지점(213), 및 제4수직 프레임(205)과 제2수평 프레임(206)이 접촉되는 제4지점(21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지체(200)는 제1지점(211)과 제3지점(213)을 연결하는 제3수평 프레임(207) 및 제2지점(212)과 제4지점(214)을 연결하는 제4수평 프레임(20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제1 내지 제4지점(211, 212, 213,214)에 제1 및 제2호스(130, 140)가 배치될 수 있는 등과 같이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지지체(200)는 다중이용시설인 종교 시설, 강당, 영화관, 비행기, 실내외공연장, 식당, PC방, 독서실, 학원, 크루즈선, 학교강의실, 교실, 일반사무실, 기차, 군대막사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감염병 방지 및 확산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110: 보호막 120: 본체
130: 제1호스 140: 제2호스
200: 지지체

Claims (7)

  1. 환기 설비 장치와 연결되는 제1호스;
    소독액 분사 장치와 연결되는 제2호스;
    일 영역에 상기 제1 및 제2호스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본체; 및
    개폐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탈부착 가능한 보호막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홀이 형성되는 제1본체, 및 상기 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호스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제2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의 내측면과 상기 제2본체의 외측면은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막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개인 방역 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사용자의 머리 위에 배치되는 상기 본체로부터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고,
    상기 보호막은 상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와이어, 및 하단 테두리에는 상기 지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는 개인 방역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면은 상기 보호막 내부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산소농도센서 및 상기 보호막 내부의 사용자의 유무를 센싱하는 동작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방역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설비 장치 및 상기 소독액 분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소 농도 센서가 센싱한 산소 농도를 기초로 상기 환기 설비 장치의 산소 공급 및 이산화탄소 배출 시간의 비율을 제어하고, 상기 동작 센서가 센싱한 사용자의 유무를 기초로 상기 소독액 분사 장치의 소독액 분사를 제어하는 개인 방역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수직 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상기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호스는 상기 제1수평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개인 방역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및 제4수직 프레임, 및 상기 제3 및 제4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상기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수평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1수평 프레임이 접촉되는 제1지점, 상기 제2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1수평 프레임이 접촉되는 제2지점, 상기 제3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평 프레임이 접촉되는 제3지점, 및 상기 제4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수평 프레임이 접촉되는 제4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3지점을 연결하는 제3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2지점과 상기 제4지점을 연결하는 제4수평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호스는 상기 제2수평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개인 방역 구조물.
KR1020210035700A 2021-03-19 2021-03-19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개인 방역 구조물 KR102307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700A KR102307225B1 (ko) 2021-03-19 2021-03-19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개인 방역 구조물
PCT/KR2022/002557 WO2022196964A1 (ko) 2021-03-19 2022-02-22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개인 방역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700A KR102307225B1 (ko) 2021-03-19 2021-03-19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개인 방역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225B1 true KR102307225B1 (ko) 2021-09-30

Family

ID=77920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700A KR102307225B1 (ko) 2021-03-19 2021-03-19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개인 방역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7225B1 (ko)
WO (1) WO202219696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7076A (ko) * 2010-09-11 2012-03-21 김소진 휴대용 간이 샤워부스
KR101676007B1 (ko) 2016-05-18 2016-11-14 (주)아성온 출입구 방역장치
KR102151990B1 (ko) 2020-04-16 2020-09-04 나영선 출입 게이트형 살균 소독 장치
KR102191093B1 (ko) * 2020-06-05 2020-12-15 주식회사 오션파라다이스 실외용 워킹 스루 소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4509A1 (en) * 2001-11-21 2003-05-22 Ralph Venuto Spray boot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7076A (ko) * 2010-09-11 2012-03-21 김소진 휴대용 간이 샤워부스
KR101676007B1 (ko) 2016-05-18 2016-11-14 (주)아성온 출입구 방역장치
KR102151990B1 (ko) 2020-04-16 2020-09-04 나영선 출입 게이트형 살균 소독 장치
KR102191093B1 (ko) * 2020-06-05 2020-12-15 주식회사 오션파라다이스 실외용 워킹 스루 소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6964A1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53969A1 (en) Wearable air sterilizer for everyday use during covid-19 and in a post-pandemic period
US20140363333A1 (en) Close proximity airborne influenza/pathogen mitigator
US11511013B2 (en) Air purification and disinfec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US20210353794A1 (en) Method and device to allow antiseptic proximity seating
JP6868922B1 (ja) 雰囲気遮断浄化装置、エアロゾル浄化方法、フィットネスクラブ、医療設備、及びイベント会場
KR102307225B1 (ko)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개인 방역 구조물
US20050061316A1 (en) Air curtain device with flexible shield
JP2020118435A (ja) 気流環境システム
JP6892547B1 (ja) エアカーテン装置
JP2022014834A (ja) ウイルスエアシールド装置
JP2021176344A (ja) 可撓性分割シート仕切り構造
US11154634B1 (en) Ultraviolet light fixture
WO2021206061A1 (ja) 制御ユニット、マスクおよびシールド
JP5327602B2 (ja) 喫煙ブース
US20220053856A1 (en) Diffuser headband system for 360 degrees of air distribution
JP7324975B2 (ja) 音響システム
ES2876051B2 (es) Procedimiento de proteccion para reducir el contagio interpersonal mediado por particulas o aerosoles respiratorios
ES2797248B2 (es) Dispositivo de proteccion portatil contra virus en aerosoles y desinfeccion de filtros
JP7266355B1 (ja) 鏡であんしん換気システム「完全なる会食法、万全なるカラオケ法」
JP7444467B2 (ja) 集合管型吸気口構造体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殺菌装置および排気装置
JP6951803B1 (ja) 作業空間及び構造物
US20220040364A1 (en) Systems for Avoiding Contamination and Accumulation of Airborne Pathogens
US20220031905A1 (en) Personal Space Germicidal Air Sterilizer And Methods
JP2021180827A (ja) シールド
US20220047768A1 (en) Concealed air sanitization device with uv light sour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