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068B1 -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068B1
KR102307068B1 KR1020200021321A KR20200021321A KR102307068B1 KR 102307068 B1 KR102307068 B1 KR 102307068B1 KR 1020200021321 A KR1020200021321 A KR 1020200021321A KR 20200021321 A KR20200021321 A KR 20200021321A KR 102307068 B1 KR102307068 B1 KR 102307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welding machine
weaving
vertica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305A (ko
Inventor
고기명
Original Assignee
지엠기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기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기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1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068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하여 이동이 편리하고, 용접 대상체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각도 조절이 용이하며, 용접하고자 하는 부위에 자동 용접봉 제공 및 용접기 작동을 통해 용접을 실시하되, 위빙 기능을 이용하여 용접하고자 하는 범위 내에 좌우 이동하여 자동적으로 용접하기 위한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Automatic welding device with easy angle adjustment}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하여 이동이 편리하고, 용접 대상체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각도 조절이 용이하며, 용접하고자 하는 부위에 자동 용접봉 제공 및 용접기 작동을 통해 용접을 실시하되, 위빙 기능을 이용하여 용접하고자 하는 범위 내에 좌우 이동하여 자동적으로 용접하기 위한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큰 직경의 무거운 원통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짧은 길이의 단위 원통을 제조하여 이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거나, 압력 용기처럼 단위 원통을 제조하여 양단에 엔드 플레이트 등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거나, 단위 원통을 연결하는 경우, 각 단위 원통의 결합부분을 적당한 각도로 면취한 후, 용접각을 형성시켜서 이웃하는 단위 원통들을 용접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단위 원통을 다수 결합하거나, 압력 용기 등의 양단을 결합하거나, 단위 원통의 면취를 위해서는 단위 원통을 나란히 위치시키면서 센터를 정확하게 맞춘 다음 용접으로 결합하는 작업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의 두 원통(104)을 나란히 위치시키면서 센터를 맞추기 위하여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위 작업대(100)(101)에 두 개의 롤러(102)(103)(105)(106)를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결합할 단위 원통을 단위 작업대(100)(101)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이동하거나 회전시키면서 용접으로 결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위 작업대(100)(101)에 의하여서는 단위 원통의 직경의 크기가 크거나 작을 때 용접 작업이 상당히 어려우며, 각 단위 작업대의 위치에 따라 그 위에 단위 원통(104)은 길이 방향으로 의도치 않게 움직이므로 작업이 어려워 작업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길이가 긴 가공 대상물에 대하여 작업대에 안착시킨 후, 별도의 가공장치 예를 들어, 용접기 혹은 절단기를 통해 가공을 실시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을 제공하게 되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용접이라 하면 복수의 물체나 재료를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로 한 상태에서 용접봉 또는 와이어와 같은 용가재를 넣어 접합하는 것으로 재료의 종류와 두께에 따라 다양한 용접 방법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용접 작업에는 MAG(Metal Active Gas), GMAW(Gas Metal Arc Welding), FCAW(Flux Cored Arc Welding), 불활성가스 텅스텐 아크(inert gas tungsten arc welding)등의 용접법이 사용되며, 상기 용접법을 용접 특정상 독립적으로 배관 용접하는 경우가 보통 현장에서 일반적인 용접이다.
널리 사용되는 용접법 중 하나인 불활성가스 텅스텐 아크용접(inert gas tungsten arc welding)은 피복 아크 용접이나 가스 용접으로 용접이 불가능한 각종 금속의 용접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용접법이다.
상기 용접 방법은 약칭 TIG(Tungsten Inert Gas) 용접이라 하며 혹은 GTAW이라고도 통용된다.
한편 다른 일반적인 용접법인 MAG(Metal Active Gas) 용접은 용접이 시작되면 용접 와이어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용접 와이어와 모재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가 계속되어 용접이 진행되어진다.
상기 용접 과정에서 용접 와이어는 아크를 발생시키는 전극이며 그 아크열로 스스로 용해되어 용접 금속을 형성해나간다는 특징이 있다.
GAMW(Gas Metal Arc Welding)은 MIG 용접의 불활성가스 대신에 탄산가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용접 장치의 기능과 취급은 MIG 용접 장치와 거의 동일하다.
한편, 선박, 해양구조물, 발전플랜트, 항공기, 원자로, 가스, 원유 플랜트 및 육상과 해상 파이프라인 분야에 설치되는 배관은 용접 작업자를 통해서 수동으로 직접 용접되며, 이러한 용접 작업은 용접 로봇 등의 자동화 시설을 통해서 이루질 수 있지만 설치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 복합의 용접장치를 이용하여 용접 대상물인 배관을 용접하는 경우에는 단일의 용접 모듈을 시간을 달리하여 교대로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용접을 수행하게 된다.
즉, TIG 용접 모듈 또는 MAG 용접 모듈을 별개적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용접 모듈을 교체하거나, 용접사가 이동해야 하는 등의 부가적인 절차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용접 모듈을 세팅하는 시간으로 인하여 배관의 용접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용접 공간이 대형화되는 등 용접에 있어 어려움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자동용접시 작업 조건에 따라 용접 와이어 속도조절이 어려워 용접결함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용접시공 부위가 취약해지고, 또한 용접이 진행됨에 따라 이러한 점들은 부실한 용접시공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선박, 해양구조물, 발전플랜트, 항공기, 원자로, 가스, 원유 플랜트 및 육상과 해상 파이프라인 등 정밀한 배관 용접시공을 요하는 부분에 있어서 큰 장애로 작용함에 내구성 품질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문헌으로 공개된 배관 파이프 자동용접장치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등록실용공보 제20-0389544호에서는 아크 용접기술을 응용한 동 배관 파이프 맞대기 자동 용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대한민국등록실용공보에서는 파이프 맞대기 용접을 자동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용접 품질을 향상시키고 또한, 부채꼴 모양의 비드 형상을 균일하도록 용접을 수행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기술되어 있지만, 구체적으로 복수의 다른 용접 장치를 이용하여 용접을 수행하게 하는 배관 자동용접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용접 대상체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고, 용접하고자 하는 부위에 자동 용접봉 제공 및 용접기 작동을 통해 용접을 실시함에 있어 위빙 기능을 이용하여 용접하고자 하는 범위 내에 좌우 이동하여 자동적으로 용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없게 되어 고숙련자없이도 쉽게 용접할 수 있는 새로운 자동 용접 장치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또한, 종래의 용접 장치들은 복잡하고 상당한 무게를 가지고 있어 휴대가 불가능함에 따른 사용상의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이를 개선하여 휴대가 가능하여 이동이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원하는 작업 장소로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한 용접 장치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공보 제20-038954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 대상체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각도 조절이 용이하며, 용접하고자 하는 부위에 자동 용접봉 제공 및 용접기 작동을 통해 용접을 실시하되, 위빙 기능을 이용하여 용접하고자 하는 범위 내에 좌우 이동하여 자동적으로 용접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가 가능하여 이동이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원하는 작업 장소로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는,
지지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기를 좌측 방향 혹은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200);과
상기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기 위치를 상측 방향 혹은 하측 방향으로 미세 조절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용접기상하이동미세조절수단(300);과
상기 용접기상하이동조절수단(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기 위치를 좌측 방향 혹은 우측 방향으로 미세 조절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용접기좌우이동미세조절수단(400);과
상기 용접기좌우이동조절수단(4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기 위치를 상측 방향 혹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접 대상체(50)에 접촉시키며, 자동용접컨트롤러(1000)의 제어에 따라 좌우 위빙을 수행하여 용접 대상체에 용접을 수행하기 위한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과
상기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의 전면에 설치 구성되며, 일측에 용접기(3000)를 결합시킨 후, 용접 대상체에 용접을 실시하기 위한 용접기결합수단(600);과
상기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의 위빙속도와 위빙폭을 제어하며, 용접봉(2000)의 송급속도와 송급지연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용접컨트롤러(10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는,
용접 대상체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각도 조절이 용이하며, 용접하고자 하는 부위에 자동 용접봉 제공 및 용접기 작동을 통해 용접을 실시하되, 위빙 기능을 이용하여 용접하고자 하는 범위 내에 좌우 이동하여 자동적으로 용접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휴대가 가능하여 이동이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원하는 작업 장소로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자동 터닝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200), 용접기상하이동미세조절수단(300), 용접기좌우이동미세조절수단(400),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 용접기결합수단(600)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200)이 회전하는 예시도이며, 도 5는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200), 용접기상하이동미세조절수단(300)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용접기결합수단(600)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용접기결합수단(600)이 상측으로 회전한 예시도이며, 도 8은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9는 용접기결합수단(600)이 회전되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용접기결합수단(600)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1은 용접기가 결합된 정면도이며, 도 12는 용접봉, 용접기가 결합된 상태 사시도이며, 도 13은 스프링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14는 용접 대상체를 용접기에 위치시킨 사시도이며, 도 15는 자동용접컨트롤러(1000) 예시도이며, 도 16은 자동용접컨트롤러(1000) 블록도이며, 도 17은 용접 예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는,
지지대(10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기를 좌측 방향 혹은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200);과
상기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기 위치를 상측 방향 혹은 하측 방향으로 미세 조절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용접기상하이동미세조절수단(300);과
상기 용접기상하이동조절수단(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기 위치를 좌측 방향 혹은 우측 방향으로 미세 조절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용접기좌우이동미세조절수단(400);과
상기 용접기좌우이동조절수단(4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기 위치를 상측 방향 혹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접 대상체(50)에 접촉시키며, 자동용접컨트롤러(1000)의 제어에 따라 좌우 위빙을 수행하여 용접 대상체에 용접을 수행하기 위한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과
상기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의 전면에 설치 구성되며, 일측에 용접기(3000)를 결합시킨 후, 용접 대상체에 용접을 실시하기 위한 용접기결합수단(600);과
상기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의 위빙속도와 위빙폭을 제어하며, 용접봉(2000)의 송급속도와 송급지연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용접컨트롤러(1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200)은,
지지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되, 중앙 부위에 회전축(220)을 관통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수평프레임(210);
상기 지지대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 구성되는 수직프레임(23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되, 중앙 부위에 회전축(220)을 관통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수평프레임(24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용접기를 회전축 기준으로 좌측 방향 혹은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용접기상하이동미세조절수단(300)은,
수직프레임(230)의 타측 하단에 결합되고, 상측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봉(320)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하측수평프레임(310);
수직프레임(230)의 타측 상단에 결합되고, 하측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봉의 타측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상측수평프레임(330);
상기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상측수평프레임(330)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결합되고, 수직봉(320) 사이에 수직하게 위치하여 하측이 상기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하측수평프레임(310)에 나사결합되는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스크류(340);
상기 수직봉(320)과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스크류(340)가 관통되고,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스크류(340)를 회전시킬 경우에 회전 방향에 따라 상측 혹은 하측 방향으로 미세 이동되는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수직프레임(3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용접기좌우이동미세조절수단(400)은,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수직프레임(350)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수평부재(410);
상기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수평부재(410)의 어느 일측에 결합되고,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수평봉(420)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우측수직프레임(430);
상기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수평부재(410)의 타측에 결합되고,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평봉(420)의 타측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좌측수직프레임(440);
상기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우측수직프레임(430)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결합되고, 수평봉(420) 사이에 수평하게 위치하여 하측이 상기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좌측수직프레임(440)에 나사결합되는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스크류(450);
상기 수평봉(420)과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스크류(450)가 관통되고,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스크류(450)에 나사 결합되어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스크류(450)를 회전시킬 경우에 회전 방향에 따라 좌측 혹은 우측 방향으로 미세 이동되는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수평프레임(4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은,
용접기좌우이동조절수단(4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용접기위빙수행수단용수평봉(520)의 일측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용접기위빙수행수단용고정프레임(510);
상기 용접기위빙수행수단용수평봉(520)의 타측에 결합되고, 일면이 용접기위빙수행수단수평프레임(540)에 결합되며, 용접기위빙수행수단수평프레임(540)을 상하 이동시키는 용접기위빙수행수단용상하회전프레임(530);
상기 용접기위빙수행수단용상하회전프레임(530)이 일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용접기위빙수행수단용상하회전프레임(53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550)가 형성되고, 일측에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의 동작에 따라 좌우 위빙을 수행하는 좌우위빙스테이지(56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 용접봉을 결합시키기 위한 용접봉결합부(620)가 형성되어 있는 용접기위빙수행수단수평프레임(540);
자동용접컨트롤러(100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좌우위빙스테이지(560)를 좌우 위빙시키기 위한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550);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의 동작에 따라 좌우 위빙을 수행하는 좌우위빙스테이지(5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용접기결합수단(600)은,
용접기위빙수행수단의 전면에 설치 구성되고, 전면에 용접기회전봉(630)을 형성하고 있는 회전봉형성부(610);
상기 용접기회전봉에 결합되어 용접기회전봉 외면을 따라 회전되는 용접기회전부(640);
상기 용접기회전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용접기안착부(660)가 형성되어 있는 용접기고정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자동용접컨트롤러(1000)는,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의 위빙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위빙속도설정부(1100);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의 위빙폭을 설정하기 위한 위빙폭설정부(1200);
용접봉의 송급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송급속도설정부(1300);
용접봉의 송급지연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송급지연시간설정부(1400);
상기 위빙속도설정부(1100), 위빙폭설정부(1200)에 의해 설정된 위빙속도 혹은 위빙폭에 따라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550)에 모터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모터제어신호제공부(1500);
상기 송급속도설정부(1300), 송급지연시간설정부(1400)에 의해 설정된 송급속도 혹은 송급지연시간에 따라 용접봉(2000)에 연결된 용접봉공급기로 용접봉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용접봉제어신호제공부(1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자동용접컨트롤러(1000)는,
위빙 동작만 혹은 용접기 전원공급과 위빙 동시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종류설정부(1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는,
수직프레임(2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기에 텐션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부(4000);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의 용접기위빙수행수단수평프레임(540)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용접 대상체(50)의 표면에 접촉(접점)되어 용접 위치 변함없이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세라믹볼부(5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는 용접 대상체에 대하여 설정된 위빙 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좌우 이동하여 고숙련자의 용접 작업이 아닌 누구나 쉽게 고품질의 용접 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무겁지 않아 휴대가 간편하여 일반 용달이나 개인 차량을 통해 원하는 장소로 쉽게 이동이 가능한 장치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200), 용접기상하이동미세조절수단(300), 용접기좌우이동미세조절수단(400),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 용접기결합수단(600)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200)이 회전하는 예시도이며, 도 5는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200), 용접기상하이동미세조절수단(300)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용접기결합수단(600)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용접기결합수단(600)이 상측으로 회전한 예시도이며, 도 8은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9는 용접기결합수단(600)이 회전되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용접기결합수단(600)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1은 용접기가 결합된 정면도이며, 도 12는 용접봉, 용접기가 결합된 상태 사시도이며, 도 13은 스프링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14는 용접 대상체를 용접기에 위치시킨 사시도이며, 도 15는 자동용접컨트롤러(1000) 예시도이며, 도 16은 자동용접컨트롤러(1000) 블록도이며, 도 17은 용접 예시 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각도 조절이 용이한 자동 용접 장치(6000)는, 크게, 지지대(100),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200), 용접기상하이동미세조절수단(300), 용접기좌우이동미세조절수단(400),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 용접기결합수단(600), 자동용접컨트롤러(100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지지대(100)는 수직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있는 수평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수평프레임의 일측에 자동 용접 장치를 결합시키기 위한 수직부재(130)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대의 하측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바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으며, 지지대의 수직부재와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6000)가 탈부착될 수 있어 일반 차량이나 트럭을 이용하여 이를 분리하여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고, 해당 장소에서 수직부재에 본 발명의 휴대용 자동 용접장치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대의 수직부재에 자동 용접 장치(6000)의 기타 부품들이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하기에서는 상기한 주요부재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200)은 지지대(10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기결합수단(600)에 결합되어 있는 용접기를 좌측 방향 혹은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용접 대상체에 용접기를 위치시킬 경우에 이를 이용하여 좌측 방향 혹은 우측 방향으로 크게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200)은,
지지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되, 중앙 부위에 회전축(220)을 관통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수평프레임(210);
상기 지지대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 구성되는 수직프레임(23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되, 중앙 부위에 회전축(220)을 관통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수평프레임(24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용접기를 회전축 기준으로 좌측 방향 혹은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지지대의 어느 일측, 즉, 수직부재(130)의 일면에 제1수평프레임(210)을 형성하게 되는데, 중앙 부위에는 회전축(220)을 관통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또한, 회전시 회전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제1수평프레임을 2개 이상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 즉, 수직부재(130)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 구성되는 수직프레임(230)의 어느 일측에 제2수평프레임(240)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또한 중앙 부위에 회전축(220)을 관통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시 회전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제2수평프레임(240)을 2개 이상 형성하게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용접기를 결합시킨 용접기결합수단(600)을 용접 대상체의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에 좌측 방향 혹은 우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회전축 기준으로 좌측 방향 혹은 우측 방향으로 크게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접기상하이동미세조절수단(300)은 상기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기 위치를 상측 방향 혹은 하측 방향으로 미세 조절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200)을 통해 크게 좌측 혹은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미세하게 그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용접기상하이동미세조절수단(300)과 용접기좌우이동미세조절수단(400)을 구성하게 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용접기상하이동미세조절수단(300)은,
수직프레임(230)의 타측 하단에 결합되고, 상측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봉(320)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하측수평프레임(310);
수직프레임(230)의 타측 상단에 결합되고, 하측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봉의 타측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상측수평프레임(330);
상기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상측수평프레임(330)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결합되고, 수직봉(320) 사이에 수직하게 위치하여 하측이 상기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하측수평프레임(310)에 나사결합되는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스크류(340);
상기 수직봉(320)과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스크류(340)가 관통되고,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스크류(340)를 회전시킬 경우에 회전 방향에 따라 상측 혹은 하측 방향으로 미세 이동되는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수직프레임(350);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하측수평프레임(310)은 수직프레임(230)의 타측 하단에 결합되게 된다.
이때,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하측수평프레임(310)의 상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수직봉(320)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수직봉(320)을 2 개 구성하고 있으나, 수직봉은 필요에 따라 1개 혹은 2개 이상을 설치 구성하여 미세 조절시 부드럽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상측수평프레임(330)은 수직프레임(230)의 타측 상단에 결합되게 된다.
이때,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상측수평프레임(330)의 하측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봉의 타측이 각각 결합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수직프레임(350)이 상기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하측수평프레임(310)과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상측수평프레임(330)의 사이에서 미세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스크류(340)는 상기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상측수평프레임(330)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결합되고, 수직봉(320) 사이에 수직하게 위치하여 하측이 상기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하측수평프레임(310)에 나사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회전시키게 되면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수직프레임(350)이 회전 방향에 따라 상측 혹은 하측으로 미세하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수직프레임(350)은 상기 수직봉(320)과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스크류(340)가 관통되고,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스크류(340)를 회전시킬 경우에 회전 방향에 따라 상측 혹은 하측 방향으로 미세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방 측에 구성된 용접기결합수단(600)이 미세하게 하측 혹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용접 대상체에 용접기를 접촉시킬 경우에 미세하게 조절하면서 접촉 위치를 조절해 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접기좌우이동미세조절수단(400)은 상기 용접기상하이동조절수단(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기 위치를 좌측 방향 혹은 우측 방향으로 미세 조절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200)을 통해 크게 좌측 혹은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미세하게 용접할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용접기상하이동미세조절수단(300)과 용접기좌우이동미세조절수단(400)을 구성하게 된 것이다.
상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접기좌우이동미세조절수단(400)은,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수직프레임(350)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수평부재(410);
상기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수평부재(410)의 어느 일측에 결합되고,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수평봉(420)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우측수직프레임(430);
상기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수평부재(410)의 타측에 결합되고,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평봉(420)의 타측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좌측수직프레임(440);
상기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우측수직프레임(430)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결합되고, 수평봉(420) 사이에 수평하게 위치하여 하측이 상기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좌측수직프레임(440)에 나사결합되는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스크류(450);
상기 수평봉(420)과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스크류(450)가 관통되고,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스크류(450)에 나사 결합되어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스크류(450)를 회전시킬 경우에 회전 방향에 따라 좌측 혹은 우측 방향으로 미세 이동되는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수평프레임(460);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수평부재(410)는 용접기상하이동조절용수직프레임(350)에 수평하게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상측 혹은 하측으로 미세하게 이동될 경우에 같이 해당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해당 위치에서 미세하게 좌측 혹은 우측으로 미세하게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즉,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우측수직프레임(430)은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수평부재(410)의 어느 일측에, 예를 들어, 우측에 결합되고, 일면에, 예를 들어, 좌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수평봉(420)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게 된다.
이때, 수평봉의 경우에도 2개 이상 구성될 수 있으며, 미세 이동시 부드럽게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좌측수직프레임(440)은 상기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수평부재(410)의 타측에, 예를 들어, 맨 좌측 끝단에 결합되고, 일면에, 예를 들어, 우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평봉(420)의 타측이 각각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수평프레임(460)이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우측수직프레임(430)과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좌측수직프레임(440) 사이에서 미세하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스크류(450)는 상기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우측수직프레임(430)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결합되고, 수평봉(420) 사이에 수평하게 위치하여 하측이 상기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좌측수직프레임(440)에 나사결합되게 된다.
이때,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수평프레임(460)은 상기 수평봉(420)과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스크류(450)가 관통되고,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스크류(450)에 나사 결합되어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스크류(450)를 회전시킬 경우에 회전 방향에 따라 좌측 혹은 우측 방향으로 미세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전방 측에 구성된 용접기결합수단(600)이 미세하게 하측 혹은 상측으로 이동한 후, 해당 위치에서 미세하게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용접 대상체에 용접기를 접촉시킬 경우에 미세하게 상측 혹은 하측, 좌측 혹은 우측으로 조절하면서 접촉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해 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은 용접기좌우이동조절수단(4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기 위치를 상측 방향 혹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접 대상체(50)에 접촉시키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자동용접컨트롤러(1000)의 제어에 따라 좌우 위빙을 수행하여 용접 대상체에 용접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측 방향 혹은 하측 방향으로 미세하게 조절하기 전에 상황에 따라 작업자가 상측 방향 혹은 하측 방향으로 전방 측에 구성된 용접기결합수단(600)을 이동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하여 구성하게 되고, 좌우 위빙을 수행하도록 구성하게 된 것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은,
용접기좌우이동조절수단(4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용접기위빙수행수단용수평봉(520)의 일측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용접기위빙수행수단용고정프레임(510);
상기 용접기위빙수행수단용수평봉(520)의 타측에 결합되고, 일면이 용접기위빙수행수단수평프레임(540)에 결합되며, 용접기위빙수행수단수평프레임(540)을 상하 이동시키는 용접기위빙수행수단용상하회전프레임(530);
상기 용접기위빙수행수단용상하회전프레임(530)이 일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용접기위빙수행수단용상하회전프레임(53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550)가 형성되고, 일측에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의 동작에 따라 좌우 위빙을 수행하는 좌우위빙스테이지(56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 용접봉을 결합시키기 위한 용접봉결합부(620)가 형성되어 있는 용접기위빙수행수단수평프레임(540);
자동용접컨트롤러(100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좌우위빙스테이지(560)를 좌우 위빙시키기 위한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550);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의 동작에 따라 좌우 위빙을 수행하는 좌우위빙스테이지(56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용접기위빙수행수단용고정프레임(510)은 용접기좌우이동조절수단(400)의 일측에, 예를 들어, 용접기좌우이동조절용수평프레임(460)에 일면이 결합되어 있으며, 용접기위빙수행수단용수평봉(520)의 일측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용접기위빙수행수단용상하회전프레임(530)은 상기 용접기위빙수행수단용수평봉(520)의 타측에 결합되고, 일면이 용접기위빙수행수단수평프레임(540)에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용접기위빙수행수단수평프레임(540)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접기위빙수행수단수평프레임(540)은 용접기위빙수행수단용상하회전프레임(530)이 일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용접기위빙수행수단용상하회전프레임(530)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550)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하측에 용접봉을 결합시키기 위한 용접봉결합부(620)가 형성되어 있어 용접봉을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접기위빙수행수단수평프레임(540)의 일측에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의 동작에 따라 좌우 위빙을 수행하는 좌우위빙스테이지(560)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550)가 자동용접컨트롤러(100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게 되면 이와 결합되어 있는 좌우위빙스테이지(560)는 좌우 위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좌우위빙스테이지(560)는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의 동작에 따라 좌우 위빙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좌우위빙스테이지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생략하여도 당업자들은 그 동작 원리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용접기결합수단(600)은 상기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의 전면에 설치 구성되며, 일측에 용접기(3000)를 결합시킨 후, 용접 대상체에 용접을 실시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기결합수단(600)은,
용접기위빙수행수단의 전면에 설치 구성되고, 전면에 용접기회전봉(630)을 형성하고 있는 회전봉형성부(610);
상기 용접기회전봉에 결합되어 용접기회전봉 외면을 따라 회전되는 용접기회전부(640);
상기 용접기회전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용접기안착부(660)가 형성되어 있는 용접기고정부(65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회전봉형성부(610)는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의 전면에, 예를 들어, 좌우위빙스테이지(560)의 일면에 설치 구성되고, 전면에 용접기회전봉(630)을 형성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위빙 수행시, 용접기가 좌우로 설정된 이동 범위 내에서 위빙을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용접기회전부(640)는 상기 용접기회전봉에 결합되어 용접기회전봉 외면을 따라 회전되게 되므로 작업자가 원하는 용접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접기고정부(650)는 상기 용접기회전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용접기안착부(66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용접기고정부(650)는 'ㄱ'자 형상으로 구성하고, 중앙에 볼트가 원하는 위치에 결합되도록 중앙 구성부를 길게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90도 각도 꺽인 면에 용접기안착부(660)를 구성하게 되는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편과 상측편을 힌지 결합한 구조 상에 하측편에 용접기를 안착시킨 후, 상측편을 하측편으로 이동시킨 후, 하측편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결합부재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단단하게 고정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인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는,
수직프레임(2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기에 텐션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부(4000);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의 용접기위빙수행수단수평프레임(540)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용접 대상체(50)의 표면에 접촉(접점)되어 용접 위치 변함없이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세라믹볼부(5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230)의 일측에 스프링부(4000)를 형성하고, 세라믹볼부(5000)를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의 용접기위빙수행수단수평프레임(540)에 수직하게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용접 대상체(50)의 표면에 세라믹볼부(5000)가 접촉(접점)되게 되고, 용접 위치의 변함없이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가 전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부를 통해 텐션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용접 대상체의 표면이 불규칙하더라도 스프링부에 의해 일정한 텐션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접점 위치에 접촉되지 않고 뜨는 현상으로 인한 용접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라믹볼부(5000)는 지지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고, 지지프레임은 상기 용접기위빙수행수단수평프레임(540)에 수직하게 결합되되, 지지프레임의 중앙 부위에는 결합구멍을 길게 형성시켜 원하는 위치에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용접컨트롤러(1000)는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의 위빙속도와 위빙폭을 제어하며, 용접봉(2000)의 송급속도와 송급지연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자동용접컨트롤러(1000)는,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의 위빙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위빙속도설정부(1100);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의 위빙폭을 설정하기 위한 위빙폭설정부(1200);
용접봉의 송급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송급속도설정부(1300);
용접봉의 송급지연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송급지연시간설정부(1400);
상기 위빙속도설정부(1100), 위빙폭설정부(1200)에 의해 설정된 위빙속도 혹은 위빙폭에 따라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550)에 모터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모터제어신호제공부(1500);
상기 송급속도설정부(1300), 송급지연시간설정부(1400)에 의해 설정된 송급속도 혹은 송급지연시간에 따라 용접봉(2000)에 연결된 용접봉공급기로 용접봉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용접봉제어신호제공부(160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빙속도설정부(1100)는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의 위빙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회전버튼으로 구성되고, 회전버튼을 돌려 원하는 위빙속도를 작업자가 세팅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위빙폭설정부(1200)는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의 위빙폭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회전버튼으로 구성되고, 회전버튼을 돌려 원하는 위빙폭을 작업자가 세팅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송급속도설정부(1300)는 용접봉의 송급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용접봉(2000)에 연결된 용접봉공급기로 용접봉을 공급하는 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송급지연시간설정부(1400)는 용접봉의 송급지연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용접봉의 송급 지연시간을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회전버튼으로 구성되고, 회전버튼을 돌려 원하는 송급속도, 송급지연시간을 작업자가 세팅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모터제어신호제공부(1500)는 상기 위빙속도설정부(1100), 위빙폭설정부(1200)에 의해 설정된 위빙속도 혹은 위빙폭에 따라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550)에 모터 제어신호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위빙속도를 14로, 위빙폭을 7로 설정하게 되면, 모터부의 rpm을 위빙속도 14에 설정된 rpm으로 변경하여 제공하고, 위빙폭 7에 설정된 회전수로 변경하게 된다.
상기 위빙속도와 위빙폭에 세팅된 모터부의 rpm, 회전수는 메모리부에 설정되어 있으며, 모터제어신호제공부(1500)는 메모리부를 참조하여 해당 모터 제어 신호를 용접기위빙수단용모터부(550)로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용접봉제어신호제공부(1600)는 상기 송급속도설정부(1300), 송급지연시간설정부(1400)에 의해 설정된 송급속도 혹은 송급지연시간에 따라 용접봉(2000)에 연결된 용접봉공급기로 용접봉 제어신호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송급속도를 1로 설정하게 되면 용접봉(2000)에 연결된 용접봉공급기로 송급속도 1에 해당하는 용접봉 제어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동작종류설정부(1700)는 위빙 동작만 혹은 용접기 전원공급과 위빙 동시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빙속도창 하측에 구성하게 되는데, 위빙 동작만은 하측에 표시하고, 상측에 용접기 전원공급과 위빙 동시 동작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하측으로 버튼을 이동시키면 위빙 동작만 수행하도록 모터제어신호제공부(1500)로 제공하게 되고, 용접기에 전원공급은 되지 않고 위빙 동작시, 위빙속도 및 위빙폭 등을 작업자가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용접 대상체에 용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용접 대상체를 일정한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용접 대상체 회전장치를 사용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174282호인 '용접용 터닝 롤러 장치'에 용접 대상체를 안착시킨 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가 위빙 기능을 이용하여 용접하고자 하는 범위 내에 좌우 이동하여 자동적으로 용접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용접 대상체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각도 조절이 용이하며, 용접하고자 하는 부위에 자동 용접봉 제공 및 용접기 작동을 통해 용접을 실시하되, 위빙 기능을 이용하여 용접하고자 하는 범위 내에 좌우 이동하여 자동적으로 용접하게 됨으로써, 고숙련자없이도 누구나 쉽게 용접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지지대
200 :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
300 : 용접기상하이동미세조절수단
400 : 용접기좌우이동미세조절수단
500 : 용접기위빙수행수단
600 : 용접기결합수단
1000 : 자동용접컨트롤러
2000 : 용접봉
3000 : 용접기
4000 : 스프링부
5000 : 세라믹볼부
6000 : 자동용접장치

Claims (1)

  1. 지지대(100);를 포함하고 있는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기를 좌측 방향 혹은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200);과
    상기 용접기좌우측회전수단(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기 위치를 상측 방향 혹은 하측 방향으로 미세 조절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용접기상하이동미세조절수단(300);과
    용접기상하이동미세조절수단(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기 위치를 좌측 방향 혹은 우측 방향으로 미세 조절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용접기좌우이동미세조절수단(400);과
    용접기좌우이동미세조절수단(4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용접기 위치를 상측 방향 혹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접 대상체(50)에 접촉시키며, 자동용접컨트롤러(1000)의 제어에 따라 좌우 위빙을 수행하여 용접 대상체에 용접을 수행하기 위한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과
    상기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의 전면에 설치 구성되며, 일측에 용접기(3000)를 결합시킨 후, 용접 대상체에 용접을 실시하기 위한 용접기결합수단(600);과
    상기 용접기위빙수행수단(500)의 위빙속도와 위빙폭을 제어하며, 용접봉(2000)의 송급속도와 송급지연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용접컨트롤러(1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
KR1020200021321A 2020-02-20 2020-02-20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 KR102307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321A KR102307068B1 (ko) 2020-02-20 2020-02-20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321A KR102307068B1 (ko) 2020-02-20 2020-02-20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305A KR20210106305A (ko) 2021-08-30
KR102307068B1 true KR102307068B1 (ko) 2021-10-01

Family

ID=7750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321A KR102307068B1 (ko) 2020-02-20 2020-02-20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0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297B1 (ko) * 2023-10-16 2024-05-16 (주)로봇템 메인벅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544Y1 (ko) 2005-04-09 2005-07-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크 용접기술을 응용한 동 배관 파이프 맞대기 자동용접장치
KR101398604B1 (ko) * 2012-05-22 2014-05-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11489B1 (ko) * 2015-06-26 2017-03-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각도 조절 용접장치
KR101839485B1 (ko) * 2016-06-01 2018-03-16 주식회사 동주웰딩 관형 모재의 용접 위치별 토치 각도 제어가 가능한 용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297B1 (ko) * 2023-10-16 2024-05-16 (주)로봇템 메인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305A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8424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welding
US6942139B2 (en) Robotic cylinder welding
KR101067998B1 (ko) 파이프 원주 용접을 위한 플라즈마 자동용접장치
US6953909B2 (en) External pipe welding apparatus
CN107042379B (zh) 一种圆盘连杆自动焊机
CN104384674B (zh) 主泵电机转子屏蔽套与转子护环的机动钨极氩弧焊接方法
CN208322586U (zh) 环形焊缝焊接装置
CN212470135U (zh) 焊枪位置控制装置及自动焊接设备
KR102410242B1 (ko) 복합 소구경 파이프용 자동 용접 장치
KR102655413B1 (ko) 배관용접용 모듈식 지그기구
KR101218790B1 (ko) 배관 자동 용접용 매니퓰레이터
CN112059517A (zh) 龙门式流量计自动焊接系统
CN206216158U (zh) 一种双工位斗式提升机料斗自动焊机
JP2008062243A (ja) 帯状ワークの突合せ接合装置
KR20180080529A (ko) 파이프 자동 용접장치
CN113385843B (zh) 自动焊接装置
KR20120004519U (ko) 자동 tig 용접 장치
KR102307068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자동 용접 장치
JP2008238186A (ja) 溶接装置
RU123710U1 (ru) Стан для сборки сваркой двутавровых балок
KR101270580B1 (ko) 두 개의 핫 와이어를 사용하는 연속회전 클래딩 장치
US6727465B1 (en) Apparatus for overlay welding of a tube exterior
KR101505733B1 (ko) 배관원주 자동용접장치
KR20130005530A (ko) 터닝롤러를 이용한 강관형 일렉트로가스 용접장치
CN205927591U (zh) 多枪同时焊接的长管纵缝焊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