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824B1 -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824B1
KR102306824B1 KR1020190000888A KR20190000888A KR102306824B1 KR 102306824 B1 KR102306824 B1 KR 102306824B1 KR 1020190000888 A KR1020190000888 A KR 1020190000888A KR 20190000888 A KR20190000888 A KR 20190000888A KR 102306824 B1 KR102306824 B1 KR 102306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model
photo
photo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4706A (ko
Inventor
김은희
Original Assignee
김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희 filed Critical 김은희
Priority to KR1020190000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8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84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3Catalogue or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온라인 상품 구매 시 구매자 또는 그 외 구매자가 매칭하고자 하는 장소와 어울리는지를 보다 현실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구매 상품과 연계하여 구매자에게 특정된 부가 상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례로, 의류상품을 착용한 모델사진이미지 속 모델의 얼굴부분 및 배경부분에 구매자에 의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를 삽입하여 합성하는 의류상품이미지 합성부; 구매자에 의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를 가구, 주방용품 및 인테리어용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타상품사진이미지의 배경으로 삽입하는 기타상품이미지 합성부; 및 상기 의류상품이미지 합성부를 통해 생성된 합성이미지를 구매자의 선택에 따라 스티커 및 종이인형 중 적어도 하나로 책자로 제작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책자 제작 제공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ONLINE SHOPPING MALL HOMEPAGE SERVICE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류와 기타 상품(가구, 소품 등) 등을 판매하기 위한 웹 사이트 등의 온라인 매장들이 끊임없이 늘어감에 따라, 오프라인 방문 구매자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이는 인터넷 기술이 발달하면서,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오프라인 매장의 운영 비용의 일부 금액으로 웹 사이트 매장의 구축하여 적당한 판매수익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며,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구매장소 및 구매시간의 제약이 없고, 방문하기 위한 시간적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여러 매장을 직접 방문하여 비교하는 불편함보다 동일제품에 대한 가격 비교가 훨씬 수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온라인 매장의 단점으로, 상품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만을 보고 구매를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구매자에게 어울리는지 등을 확인하기 어렵고, 해당 상품을 구매했을 때, 구매자가 기존에 소유하고 있는 다른 상품 또는 다른 대상들과 잘 어울리는지를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23946호(등록일자: 2016년05월18일) 등록특허공보 제10-0511210호(등록일자: 2005년08월23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라인 상품 구매 시 구매자 또는 그 외 구매자가 매칭하고자 하는 장소와 어울리는지를 보다 현실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구매 상품과 연계하여 구매자에게 특정된 부가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은, 의류상품을 착용한 모델사진이미지 속 모델의 얼굴부분 및 배경부분에 구매자에 의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를 삽입하여 합성하는 의류상품이미지 합성부; 구매자에 의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를 가구, 주방용품 및 인테리어용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타상품사진이미지의 배경으로 삽입하는 기타상품이미지 합성부; 및 상기 의류상품이미지 합성부를 통해 생성된 합성이미지를 구매자의 선택에 따라 스티커 및 종이인형 중 적어도 하나로 책자로 제작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책자 제작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델사진이미지를 제작하기 위한 모델사진이미지 제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델사진이미지 제작부는, 실제모델을 3차원 스캔하는 3차원 스캐너; 상기 3차원 스캐너를 통해 생성된 스캔데이터를 3차원 프리팅하는 3차원 프린터; 상기 3차원 프린터를 통해 제작된 마네킹을 의류 판매자에게 제공하는 마네킹 제공부; 및 상기 마네킹 제공부를 통해 받은 마네킹에 의류상품을 입혀 촬영된 마네킹사진이미지를 의류 판매자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마네킹사진이미지 속 마네킹이미지부분만 잘라내고, 해당 마네킹이미지부분 중 얼굴부분을 삭제하여 상기 모델사진이미지를 생성하는 모델사진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상품이미지 합성부는, 상기 모델사진이미지를 제공하되, 상기 모델사진이미지 별로 상기 모델사진이미지 속 모델의 얼굴부분에 대한 촬영각도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제1 모델사진이미지 제공부; 구매자로부터 사진이미지를 업로드 받는 제1 사진이미지 업로드부; 이미지 편집 툴을 이용하여 상기 사진이미지 업로드부를 통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 속 구매자의 얼굴부분을 잘라내어 구매자 얼굴사진을 생성하고, 각도좌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해당 얼굴부분의 각도와 방향을 선택 받는 제1 얼굴사진 생성부; 상기 제1 모델사진이미지 제공부에 저장된 모델사진이미지 중 상기 제1 얼굴사진 생성부를 통해 선택된 얼굴각도방향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추출하여 합성할 모델사진이미지로서 제공하고, 제공되는 모델사진이미지에 상기 제1 얼굴사진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구매자 얼굴사진을 모델사진이미지에 삽입하여 합성하는 제1 구매자모델합성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사진이미지 업로드부를 통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를 상기 제1 구매자모델합성이미지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구매자모델이미지의 배경사진으로 적용하는 배경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상품이미지 합성부는, 상기 모델사진이미지를 제공하되, 상기 모델사진이미지 속 모델을 중심으로 360도 파노라마 영상으로 제공하고,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부분을 캡쳐하는 제2 모델사진이미지 제공부; 상기 사진이미지 업로드부를 통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 속 구매자의 얼굴부분을 이미지 편집 툴을 통해 잘라내어 구매자 얼굴사진을 생성하는 제2 얼굴사진 생성부; 및 상기 제2 얼굴사진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얼굴사진을 상기 제2 모델사진이미지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모델사진이미지의 얼굴부분에 삽입하여 합성하는 제2 구매자모델합성이미지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타상품이미지 합성부는, 구매자로부터 사진이미지를 업로드 받는 제2 사진이미지 업로드부; 기타상품사진이미지를 360도 파노라마 영상으로 제공하고,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부분을 캡쳐하는 기타상품사진이미지 제공부; 및 구매자에 의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를 상기 제2 사진이미지 업로드부를 통해 제공되는 기타상품사진이미지의 배경으로 삽입하는 기타상품합성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개인휴대통신기기에 설치되며, 상기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의 쇼핑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위젯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젯부는, 상기 개인휴대통신기기의 배경화면 상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배경화면 상에 표시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 아이콘과 중첩되지 않은 이동 경로로 이동하며, 상기 쇼핑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실적에 따라 외형이 성장하도록 표시되는 위젯 캐릭터부; 상기 위젯 캐릭터부의 말풍선을 형성하여 상기 쇼핑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의 배송정보 및 관련 상품광고정보를 알리기 위한 위젯 정보 표시부; 및 상기 개인휴대통신기기의 문자 및 메일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상에 상기 위젯 캐릭터부를 중첩시킬 경우, 중첩된 아이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위젯 정보 표시부를 통해 알릴 내용을 전달하는 위젯 연동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상품 구매 시 구매자 또는 그 외 구매자가 매칭하고자 하는 장소와 어울리는지를 보다 현실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구매 상품과 연계하여 구매자에게 특정된 부가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상품이미지 합성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타상품이미지 합성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델사진이미지 제작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상품이미지 합성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타상품이미지 합성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델사진이미지 제작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1000)은 의류, 기타상품(가구, 식기류, 인테리어 상품) 등의 온라인 등록, 판매, 구매 등을 위한 기본적인 구성을 갖추었으며, 특징적으로 의류상품이미지 합성부(100), 기타상품이미지 합성부(200), 책자 제작 제공부(300), 모델사진이미지 제작부(400) 및 위젯부(500)를 포함하여 해당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를 위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의류상품이미지 합성부(100)는 의류상품을 착용한 모델사진이미지 속 모델의 얼굴부분 및 배경부분에 구매자에 의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를 삽입하여 합성할 수 있다. 즉, 구매자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의류상품을 입은 모델사진이미지에서 해당 모델의 얼굴과 배경을 구매자가 임의로 변경하여 새로운 합성이미지를 만들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의류상품이미지 합성부(100)는 제1 모델사진이미지 제공부(110), 제1 사진이미지 업로드부(120), 제1 얼굴사진 생성부(130), 제1 구매자모델합성이미지 생성부(140), 배경이미지 생성부(150), 제2 모델사진이미지 제공부(160), 제2 얼굴사진 생성부(170) 및 제2 구매자모델합성이미지 생성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델사진이미지 제공부(110)는 모델사진이미지를 제공하되, 각각의 모델사진이미지 별로 해당 모델사진이미지 속 모델의 얼굴부분에 대한 촬영각도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상품 A를 입은 모델 B의 사진이미지이고, 해당 사진이미지는 정면, 좌측 45도, 우측 45도, 상측 10도 또는 하측 10도에서 얼굴을 촬영한 것이라는 촬영각도와 촬영방향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사진이미지 업로드부(120)는 구매자로부터 사진이미지를 업로드 받을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PC, 스마트 폰 또는 테블릿 PC에 저장된 인물사진, 배경사진 등을 불러와 제1 사진이미지 업로드부(210)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얼굴사진 생성부(130)는 이미지 편집 툴을 이용하여 사진이미지 업로드부(120)를 통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 속 구매자의 얼굴부분을 잘라내어 구매자 얼굴사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편집 툴은 구매자가 업로드 한 인물사진에서 소위 누끼 따기 기능을 제공하여, 구매자가 원하는 부분을 잘라내어 하나의 얼굴사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얼굴사진 생성부(130)는 각도좌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해당 얼굴부분의 각도와 방향을 선택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각도좌표 사용자인터페이스는 x, -x, y, -y축으로 이루어진 2차원 좌표 계를 기본으로 하며, 원점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은 인물사진에서 얼굴이 오른쪽으로 향함을, -x축 방향은 얼굴이 왼쪽으로 향함을, y축 방향은 얼굴이 위쪽을 향함을, -y축 방향은 얼굴이 아래쪽을 향함을 나타내는 것이고, 각 축 방향에서의 좌표 값들은 얼굴이 각각의 방향을 어느 정도의 각도로 향해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각도좌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좌표 값들은 정확할 필요는 없으며, 어느 방향으로 대략 어느 정도로 향해 있는지 즉, 얼굴각도방향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구매자모델합성이미지 생성부(140)는 제1 모델사진이미지 제공부(110)에 저장된 모델사진이미지 중 제1 얼굴사진 생성부(130)를 통해 선택된 얼굴각도방향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추출하여 합성할 모델사진이미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얼굴사진 생성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얼굴각도방향정보의 범주에 속하는 얼굴각도와 방향을 갖는 모델사진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는 제1 모델사진이미지 제공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모델사진이미지의 촬영각도정보에 기초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델사진이미지는 해당 모델이 하나의 피팅 사진을 촬영할 때 다양한 각도와 방향에서 촬영한 후, 촬영된 각각의 촬영사진마다 촬영각도정보를 촬영자가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구매자모델합성이미지 생성부(140)는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모델사진이미지에 제1 얼굴사진 생성부(130)를 통해 생성된 구매자 얼굴사진을 모델사진이미지에 삽입하여 합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합성된 구매자모델합성이미지는 기존의 모델의 포즈, 얼굴윤곽, 얼굴각도 등이 구매자의 얼굴사진과 최대한 자연스럽게 매칭되어 합성될 수 있다.
상기 배경이미지 생성부(150)는 사진이미지 업로드부(120)를 통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를 제1 구매자모델합성이미지 생성부(140)를 통해 생성된 구매자모델이미지의 배경사진으로 적용할 수 있다. 제1 구매자모델합성이미지 생성부(140)를 통해 생성된 구매자모델합성이미지 또는 제1 모델사진이미지 제공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모델사진이미지는 배경이 없는 상태로 제공되며, 이 상태에서 사진이미지 업로드부(120)를 통해 업로드 된 배경사진 또는 배경이미지를 해당 구매자모델합성이미지나 모델사진이미지의 배경으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델사진이미지 제공부(160)는 모델사진이미지를 제공하되, 모델사진이미지 속 모델을 중심으로 360도 파노라마 영상으로 제공하고,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부분을 캡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델사진이미지를 360도 파노라마 영상으로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합성할 얼굴사진의 각도 및 방향에 맞는 구도로 모델사진이미지를 맞춘 후 그대로 캡쳐하여 추후 구매자 자신의 얼굴사진의 각도와 방향에 맞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얼굴사진 생성부(170)는 사진이미지 업로드부(120)를 통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 속 구매자의 얼굴부분을 이미지 편집 툴을 통해 잘라내어 구매자 얼굴사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편집 툴은 구매자가 업로드 한 인물사진에서 누끼 따기 기능을 제공하여, 구매자가 원하는 부분을 잘라내어 하나의 얼굴사진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매자모델합성이미지 생성부(180)는 제2 얼굴사진 생성부(170)를 통해 생성된 얼굴사진을 제2 모델사진이미지 제공부(160)를 통해 제공되는 모델사진이미지의 얼굴부분에 삽입하여 합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합성된 구매자모델합성이미지는 기존의 모델의 포즈, 얼굴윤곽, 얼굴각도 등이 구매자의 얼굴사진과 최대한 자연스럽게 매칭되어 합성될 수 있다.
상기 기타상품이미지 합성부(200)는 구매자에 의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를 가구, 주방용품 및 인테리어용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타상품사진이미지의 배경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타상품이미지 합성부(200)는 제2 사진이미지 업로드부(210), 기타상품사진이미지 제공부(220)과 기타상품합성이미지 생성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진이미지 업로드부(210)는 구매자로부터 사진이미지를 업로드 받을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PC, 스마트 폰 또는 테블릿 PC에 저장된 인물사진, 배경사진 등을 불러와 제2 사진이미지 업로드부(210)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타상품사진이미지 제공부(220)는 기타상품사진이미지를 360도 파노라마 영상으로 제공하고,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부분을 캡쳐할 수 있다. 물론, 기타상품사진이미지의 확대 및 축소도 가능하다.
상기 기타상품합성이미지 생성부(230)는 구매자에 의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를 제2 사진이미지 업로드부(210)를 통해 제공되는 기타상품사진이미지의 배경으로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 스탠드와 같은 인테리어 제품 겸 가구를 구입하고자 하는 경우, 구매자 자신의 거실 분위기와 어느 정도 어울리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제2 사진이미지 업로드부(210)를 통해 구매자 자신의 거실 사진을 업로드 하고, 거실 스탠드 사진이미지의 각도와 방향을 거실 사진에 촬영 각도와 방향에 적절히 맞춘 후 해당 거실 사진 속에 거실 스탠드 사진 이미지를 삽입하여 합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다른 배경과 잘 어울리는지를 가상 편집 사진을 통해 확인하여 구매를 위한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게 돕는다. 또한, 식기류의 경우, 자신의 주방 중 원하는 곳에 가상으로 배치하고 해당 상황을 이미지로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책자 제작 제공부(300)는 의류상품이미지 합성부(100)를 통해 생성된 합성이미지를 구매자의 선택에 따라 스티커 및 종이인형 중 적어도 하나로 책자로 제작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3차원 방식으로 제작된 피규어와 같은 형태가 아닌 2차원 방식으로 제작함으로써, 구매자에게 감성적이고 레트로 한 상품을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구매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모델사진이미지 제작부(400)는 모델사진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모델사진이미지 제작부(400)는 3차원 스캐너(410), 3차원 프린터(420), 마네킹 제공부(430) 및 모델사진이미지 생성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스캐너(410)는 실제모델을 3차원 스캔하여 3차원 그래픽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프린터(420)는 3차원 스캐너(410)를 통해 생성된 스캔데이터를 3차원 프리팅할 수 있다. 이때 제작되는 마네킹은 모델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된다.
상기 마네킹 제공부(430)는 3차원 프린터(420)를 통해 제작된 마네킹을 의류 판매자에게 제공 즉, 배송할 수 있다.
상기 모델사진이미지 생성부(440)는 마네킹 제공부(430)를 통해 받은 마네킹에 의류상품을 입혀 촬영된 마네킹사진이미지를 의류 판매자로부터 수신하면, 수신된 마네킹사진이미지 속 마네킹이미지부분만 잘라내고, 해당 마네킹이미지부분 중 얼굴부분을 삭제하여 각각의 모델사진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델사진이미지 속 모델은 실제 모델이 아니라 마네킹이 되며, 각 판매자마다 동일한 포즈의 마네킹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위젯부(500)는 사용자의 개인휴대통신기기에 설치되며, 본 실시예의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1000)의 모바일 버전인 쇼핑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수 있다.
이러한 위젯부(500)는 위젯 캐릭터부(510), 위젯 정보 표시부(520) 및 위젯 연동 알림부(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젯 캐릭터부(510)는 개인휴대통신기기의 배경화면 상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배경화면 상에 표시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 아이콘과 중첩되지 않은 이동 경로로 이동하며, 쇼핑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실적에 따라 외형이 성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끼 모양의 캐릭터가 바탕화면 상에서 위젯과 같은 형태로 표시되며, 이러한 캐릭터가 일정 시간마다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중첩되지 않은 경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젯 정보 표시부(520)는 위젯 캐릭터부(510)의 말풍선을 형성하여 쇼핑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의 배송정보 및 관련 상품광고정보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끼 모양의 캐릭터로부터 형성되는 말풍선을 제공하고, 해당 말풍선 내에 상품배송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배송상품이 없는 경우 해당 온라인 쇼핑몰의 광고 또는 이벤트 정보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위젯 연동 알림부(530)는 개인휴대통신기기의 문자 및 메일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상에 위젯 캐릭터부(510)를 중첩시킬 경우, 중첩된 아이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위젯 정보 표시부(520)를 통해 알릴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위젯 캐릭터를 문자 어플리케이션 상에 중첩시키는 경우 해당 위젯 캐릭터가 전달하는 상품배송정보나 광고/이벤트 정보를 위젯뿐만 아니라 문자 알림으로 설정되어 해당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젯 캐릭터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 이동하여 문자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벗어나게 되므로, 추후에 문자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다. 다만, 해당 정보의 문자 받기 설정을 취소하고자 할 경우 해당 쇼핑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 해제를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메일 어플리케이션 상에 위젯 캐릭터를 올려놓으면, 메일을 통해 각종 정보의 알림이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
100: 의류상품이미지 합성부
110: 제1 모델사진이미지 제공부
120: 제1 사진이미지 업로드부
130: 제1 얼굴사진 생성부
140: 제1 구매자모델합성이미지 생성부
150: 배경이미지 생성부
160: 제2 모델사진이미지 제공부
170: 제2 얼굴사진 생성부
180: 제2 구매자모델합성이미지 생성부
200: 기타상품이미지 합성부
210: 제2 사진이미지 업로드부
220: 기타상품사진이미지 제공부
230: 기타상품합성이미지 생성부
300: 책자 제작 제공부
400: 모델사진이미지 제작부
410: 3차원 스캐너
420: 3차원 프린터
430: 마네킹 제공부
440: 모델사진이미지 생성부
500: 위젯부
510: 위젯 캐릭터부
520: 위젯 정보 표시부
530: 위젯 연동 알림부

Claims (5)

  1. 의류상품을 착용한 모델사진이미지 속 모델의 얼굴부분 및 배경부분에 구매자에 의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를 삽입하여 합성하는 의류상품이미지 합성부;
    구매자에 의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를 가구, 주방용품 및 인테리어용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타상품사진이미지의 배경으로 삽입하는 기타상품이미지 합성부;
    상기 의류상품이미지 합성부를 통해 생성된 합성이미지를 구매자의 선택에 따라 스티커 및 종이인형 중 적어도 하나로 책자로 제작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책자 제작 제공부; 및
    사용자의 개인휴대통신기기에 설치되며,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쇼핑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위젯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젯부는,
    상기 개인휴대통신기기의 배경화면 상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배경화면 상에 표시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 아이콘과 중첩되지 않은 이동 경로로 이동하며, 상기 쇼핑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실적에 따라 외형이 성장하도록 표시되는 위젯 캐릭터부;
    상기 위젯 캐릭터부의 말풍선을 형성하여 상기 쇼핑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의 배송정보 및 관련 상품광고정보를 알리기 위한 위젯 정보 표시부; 및
    상기 개인휴대통신기기의 문자 및 메일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상에 상기 위젯 캐릭터부를 중첩시킬 경우, 중첩된 아이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위젯 정보 표시부를 통해 알릴 내용을 전달하는 위젯 연동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사진이미지를 제작하기 위한 모델사진이미지 제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델사진이미지 제작부는,
    실제모델을 3차원 스캔하는 3차원 스캐너;
    상기 3차원 스캐너를 통해 생성된 스캔데이터를 3차원 프리팅하는 3차원 프린터;
    상기 3차원 프린터를 통해 제작된 마네킹을 의류 판매자에게 제공하는 마네킹 제공부; 및
    상기 마네킹 제공부를 통해 받은 마네킹에 의류상품을 입혀 촬영된 마네킹사진이미지를 의류 판매자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마네킹사진이미지 속 마네킹이미지부분만 잘라내고, 해당 마네킹이미지부분 중 얼굴부분을 삭제하여 상기 모델사진이미지를 생성하는 모델사진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상품이미지 합성부는,
    상기 모델사진이미지를 제공하되, 상기 모델사진이미지 별로 상기 모델사진이미지 속 모델의 얼굴부분에 대한 촬영각도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제1 모델사진이미지 제공부;
    구매자로부터 사진이미지를 업로드 받는 제1 사진이미지 업로드부;
    이미지 편집 툴을 이용하여 상기 사진이미지 업로드부를 통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 속 구매자의 얼굴부분을 잘라내어 구매자 얼굴사진을 생성하고, 각도좌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해당 얼굴부분의 각도와 방향을 선택 받는 제1 얼굴사진 생성부;
    상기 제1 모델사진이미지 제공부에 저장된 모델사진이미지 중 상기 제1 얼굴사진 생성부를 통해 선택된 얼굴각도방향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추출하여 합성할 모델사진이미지로서 제공하고, 제공되는 모델사진이미지에 상기 제1 얼굴사진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구매자 얼굴사진을 모델사진이미지에 삽입하여 합성하는 제1 구매자모델합성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사진이미지 업로드부를 통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를 상기 제1 구매자모델합성이미지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구매자모델이미지의 배경사진으로 적용하는 배경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상품이미지 합성부는,
    상기 모델사진이미지를 제공하되, 상기 모델사진이미지 속 모델을 중심으로 360도 파노라마 영상으로 제공하고,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부분을 캡쳐하는 제2 모델사진이미지 제공부;
    상기 사진이미지 업로드부를 통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 속 구매자의 얼굴부분을 이미지 편집 툴을 통해 잘라내어 구매자 얼굴사진을 생성하는 제2 얼굴사진 생성부; 및
    상기 제2 얼굴사진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얼굴사진을 상기 제2 모델사진이미지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모델사진이미지의 얼굴부분에 삽입하여 합성하는 제2 구매자모델합성이미지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상품이미지 합성부는,
    구매자로부터 사진이미지를 업로드 받는 제2 사진이미지 업로드부;
    기타상품사진이미지를 360도 파노라마 영상으로 제공하고,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부분을 캡쳐하는 기타상품사진이미지 제공부; 및
    구매자에 의해 업로드 된 사진이미지를 상기 제2 사진이미지 업로드부를 통해 제공되는 기타상품사진이미지의 배경으로 삽입하는 기타상품합성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
KR1020190000888A 2019-01-03 2019-01-03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 KR102306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888A KR102306824B1 (ko) 2019-01-03 2019-01-03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888A KR102306824B1 (ko) 2019-01-03 2019-01-03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706A KR20200084706A (ko) 2020-07-13
KR102306824B1 true KR102306824B1 (ko) 2021-09-30

Family

ID=7157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888A KR102306824B1 (ko) 2019-01-03 2019-01-03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8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583B1 (ko) * 2020-07-27 2021-01-05 주식회사 소풍앤컴퍼니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233182B1 (ko) * 2020-11-05 2021-03-29 주식회사 필굿 판매자 편의를 제공하는 온라인 판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17044B1 (ko) * 2021-09-07 2022-07-05 쿠팡 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366A (ko) * 2000-02-25 2001-09-06 장성철 포토 파일 서비스 장치 및 그 포토파일을 이용한 서비스방법
KR100511210B1 (ko) 2004-12-27 2005-08-30 주식회사지앤지커머스 의사 쓰리디 이미지 생성기법을 토대로 한 이용자 적응인공지능 토탈 코디네이션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사업방법
KR20090054779A (ko) * 2007-11-27 2009-06-01 백진철 웹기반 가상 패션코디장치 및 그 방법
KR100935482B1 (ko) * 2008-03-27 2010-01-06 주식회사 제스틴 합성이미지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00012949A (ko) * 2008-07-30 2010-02-09 (주)엑스퍼넷 인터넷 쇼핑몰의 상품이미지와 사용자의 배경 이미지 합성시스템
KR101623946B1 (ko) 2015-03-25 2016-05-25 주식회사 인터파크 가상 피팅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867453B2 (en) * 2015-08-14 2020-12-15 Metail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 image file of a 3D garment model on a 3D body model
KR20180011486A (ko) * 2016-07-24 2018-02-02 조재형 3차원 프린터를 사용한 뼈대 형태의 애완견 맞춤옷 제작용 마네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706A (ko) 202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7250B2 (en) Virtual interaction with three-dimensional indoor room imagery
KR102306824B1 (ko)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
EP3570149B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tem image in a contextual environment
JP6392114B2 (ja) 仮想試着システム
JP7208549B2 (ja) 仮想空間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077278A1 (en) Artifici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US20170337662A1 (en) Generating and displaying an actual sized interactive object
CN111598978A (zh) 一种基于ar技术的物品说明书展示系统及展示方法
Kusumaningsih et al. User experience measurement on virtual dressing room of Madura batik clothes
US10248992B2 (en) Presentation device for carrying out a product presentation
KR20080041079A (ko) 온라인 쇼핑몰에서 자신을 꾸미는 방법, 코디미
WO2007055524A1 (en) Business method and system related to a fashionable items utilizing internet
KR20190105702A (ko) 가상 경험을 통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10192606A1 (en) Virtual Online Dressing Room
Sundaram et al. Plane detection and product trail using augmented reality
EP3862964A1 (en) Virtual reality galler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gallery service
JP2008242938A (ja) 三次元cg画像による陳列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2109307A (ja)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と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7026088A (ja) モデル生成装置
JP7284329B2 (ja) 配信ユーザ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ライブ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US202203988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fitting of garments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KR100367183B1 (ko) 인터넷 쇼핑몰 구성 및 서비스 방법
US11954635B2 (en) Immersive packaging system and method
JP2001216528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シュミレーションシステム
AU2002100019A4 (en) Automated product selection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