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583B1 -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583B1
KR102198583B1 KR1020200093053A KR20200093053A KR102198583B1 KR 102198583 B1 KR102198583 B1 KR 102198583B1 KR 1020200093053 A KR1020200093053 A KR 1020200093053A KR 20200093053 A KR20200093053 A KR 20200093053A KR 102198583 B1 KR102198583 B1 KR 102198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roduct
image
display
displaye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관
김희진
윤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풍앤컴퍼니
윤정관
김희진
윤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풍앤컴퍼니, 윤정관, 김희진, 윤시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풍앤컴퍼니
Priority to KR1020200093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R 및 플랫폼 설계 기술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은 VR 쇼핑몰 플랫폼의 캔퍼스 프레임 영역 내 표출된 진열제품을 VR(Virtual Reality) 영상으로 연속해서 스트림시키고, 스크린 샷 실시로 순간 포착된 상기 진열제품의 3D 모형물을 비정형 데이터로 자동 생성시키며, 상기 VR 쇼핑몰 플랫폼 내에서 카테고리별로 진열해 놓은 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진열제품 이미지를 클릭할 시 상기 진열제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보여준다.

Description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VR shopping mal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VR 및 플랫폼 설계 기술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은 VR 쇼핑몰 플랫폼의 캔퍼스 프레임 영역 내 표출된 진열제품을 VR(Virtual Reality) 영상으로 연속해서 스트림시키고, 스크린 샷 실시로 순간 포착된 진열제품의 3D 모형물을 비정형 데이터로 자동 생성시키며, VR 쇼핑몰 플랫폼 내에서 카테고리별로 진열해 놓은 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진열제품 이미지를 클릭할 시 진열제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VR(Virtual Reality: 가상 현실)은 컴퓨터 그래픽(Computer Graphic, CG) 기술을 통하여 만들어진 실제 환경과 유사한 3차원 가상환경 내에서 인체의 모든 감각(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이 상호 작용하여, 가상으로 창조한 세계에 몰입되게 함으로써 참여자에게 가상 공간을 3차원적으로 재현하고 인간을 이 가상 공간에 몰입시킴으로써 정보의 활용을 극대화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하는 기술이다.
현재의 가상 현실 기술은 Web 3D, 시뮬레이션, 게임, 설계, 교육, 의료, 군사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가상 현실 기술 중 파노라마 VR(Panorama VR)이란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된 이미지를 가지고 이어 붙여 제작한 실사 기반의 VR 기술로서, 이 제작 방법은 풍경 또는 실내를 회전하며 (360° 수평 또는 수직) 촬영된 이미지를 가공 과정을 거쳐 연결하여 붙인 뒤 구형, 또는 원통형 모양에 덮어씌우는 과정(mapping)을 거쳐, 촬영 지점(nodal point)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회전(rotate), 확대/축소(zoom in/zoom out), 이동(move)하면서 볼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파노라마 VR 기술은 작업이 쉽고 비용이 매우 저렴하며, 짧은 시간 내에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다른 VR 기술보다 빨리 도입되어 현재 유적, 관광, 건축, 모델하우스, 인테리어, 여행, 쇼핑몰, 부동산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1~2년 동안 인터넷(Internet) 산업은 가히 폭발적으로 발전하여 하루에도 수 많은 호스트 컴퓨터(host computer)가 인터넷에 연결되고 있으며, 이러한 저변에는 개인용 컴퓨터가 널리 보급되고 인터넷(Internet)에의 접근과 이용이 쉽도록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의 기여도가 큼을 알 수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사이버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ISP)가 인터넷 사이트(홈 페이지)로 각종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정보구축 비용이나 서비스 제공에 따른 비용은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받거나 인터넷 사이트(홈 페이지)를 통하여 상품이나 서비스업을 광고하는 대가로 광고의뢰자가 지불하는 광고료로 충당 함이 일반적이며, 인터넷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응용에 편승하여 여러가지로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예컨데,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쇼핑몰), 지리정보시스템에 의한 지도정보(또는 지리정보), 동적이거나 정적인 형태의 각종 전자광고(베너광고) 및 인터넷 전화, 인터넷 팩스와 같은 다양한 류의 서비스들이 인터넷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인터넷의 대중화와 사용인구의 저변확대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한편, 전자상거래의 경우 소비자가 판매점에 직접 방문하여 상품과 가격을 보고 구매하는 종래 구매형태는 물품구매를 위하여 판매점으로 이동하는 시간과 판매점으로 이동하기 수고가 필요한 등의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인터넷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보편화 하면서 일반가정에서도 홈뱅킹(Home Banking)으로 금융업무를 보거나 전자상거래를 이용하여 집에서도 간편히 홈쇼핑(Home Shopping)을 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의 전자상거래 사이트(Site)에서 제공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는 신용정보 기재란에 고객의 신용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바탕으로 결재신청을 하여 대금결재가 이루어지며, 물품이 배달되어 물품구매가 이루어진다. 상기의 신용정보는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카드번호, 유효기간, 비밀번호 등이 물품판매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상거래에 의한 물품구입은, 사이버 공간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즉석에서 결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며, 판매장에 일부러 나가지 않아도 가정에서 쉽게 상품을 구입할 수 있으므로 나이가 많아 거동이 불편한 사람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최근 가상현실감 VR(Virtual Reality) 또는 VRML(Virtual Reality Markup Language)을 이용한 3차원 운용서비스가 네트워크 상에서 구현이 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상현실감 VR 또는 VRML은 인터넷 웹(World Wide Web)상에서 3차원 세계를 가상적(가상현실)으로 기술하기 위하여 개발된 3차원 구현방법 및 그 언어로, 현실에 구애받지 않고 사이버 공간에 현실과 같은 건축물이나 동물 및 조형물 등을 만들어 내어 자신이 마치 그 곳에 있는 듯한 착각에 빠지는 공간세계가 바로 가상현실의 세계이다.
가상현실 속에서는 사용자가 현실에서와 마찬가지로 그 속에 들어가 시각이나 청각과 같은 감각기관들을 이용하여 실제로는 없는 공간과 물체들이지만 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들의 정보를 획득하거나 가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의 의도 대로 이끌어 갈 수 있다.
상술한 가상현실감 VR 또는 VRML을 이용한 3차원 운용서비스에 대해 살펴보면, 첫째 상품만 3차원으로 구현하고 있으며, 그 구현에 있어서도 사진 이미지로 구현하고 있는 2차원 구현을 바탕으로 하는 방식, 둘째 3차원으로 구성된 가상공간에 상품이 입점하여 가상공간에서 실제 쇼핑을 즐기는 방식으로 분류된다 할 수 있다.
상술한 운영서비스는 첫째 화려한 방식만을 표현하였고, 실제 있는 거리, 건물을 위주로 표현하고 있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곳을 찾거나 보기 위한 사용법이 복잡하여 아주 넓은 공간에서 자신의 위치를 잃어버릴 염려가 있고, 호기심을 유도하기 위해 가상공간 구현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어 쇼핑몰에 대한 기능이 떨어질 수 있으며, 쉽게 상품을 찾아갈 수 없도록 만든 단점들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현재 상용되고 있는 3D 모델 서비스 플랫폼들은, 콘텐츠의 제공이나 검색 서비스의 제공 면에서 정교성이 떨어지고, 콘텐츠를 보기 위한 뷰어(viewer)와의 연결 면에서도 실시간 접근이 어려우며, 다양한 유형의 VR(virtual realization), IoT 기능들과의 연계 확장성, 검색 엔진(search engine), 또 데이터 최적화 등의 서비스 기능이 부족하다.
따라서, 후처리에 따른 시간과 비용, 노력이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부가적으로, 종래의 오픈마켓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다수의 상점이 입점해 있는 인터넷상의 집합 상가라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국내의 옥션, 지마켓, 11번가, 샵N 등의 오픈마켓과 여러 개인 쇼핑몰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여기서 대두되는 문제점으로,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을 이러한 오픈마켓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각 오픈마켓에 자신의 상품을 각각 등록해야 한다. 판매자는 자신의 상품을 가능한 많은 인터넷 쇼핑몰에 노출시켜 판매량을 증대하길 원하므로, 다수의 오픈마켓에 자신의 상품을 등록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오픈마켓에 로그인하여 각 오픈마켓이 요구하는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상품 등록절차를 완료해야 한다.
이와 같이 등록된 상품에 대한 구매자들로부터의 질의나 주문 내역, 상품의 품절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도 각 오픈마켓에 일일이 액세스하여 확인하고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00-0049801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01-0067003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19-0093813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20-0043167
본 발명의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은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VR 쇼핑몰 플랫폼의 캔퍼스 프레임 영역 내 표출된 진열제품을 VR(Virtual Reality) 영상으로 연속해서 스트림시키고, 스크린 샷 실시로 순간 포착된 진열제품의 3D 모형물을 비정형 데이터로 자동 생성시켜 진영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정보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VR 쇼핑몰 플랫폼 내에서 카테고리별로 진열해 놓은 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진열제품 이미지를 클릭할 시 진열제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보여줌으로써, 진열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을 통해 소비자의 구매 선택권에 대한 상품 신뢰성 및 거래 신용도를 더욱 강화시켜 주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360도 회전 발휘용 이벤트 버튼이 놓인 위치에 마우스를 갖다 댈 시 진열제품 이미지가 360도 회전시키면서 진열제품 이미지를 3D 형태로 보여주는 VR 이벤트 동작을 소비자에게 제공해 줌을 통해 구매력 향상에 대한 소비자의 동기유발 및 수익에 대한 기대감을 고취시켜 주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구매하고자 한 진열제품에 대한 단편적인 상품 정보만을 보고 구매여부를 판단해야 했던 종래 구매 선택권에 대한 한계를 벗어나 VR로 3D 입체 형상의 진열제품을 볼 수 있도록 해 소비자의 구매에 대한 만족감 고취 및 이에 따른 관련업에 종사하거나 영위하고 있는 당업자, 사업체의 이익창출 극대화, 더불어 관련 산업 발전에도 크게 이바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당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은, VR 쇼핑몰 플랫폼의 캔퍼스 프레임 영역 내 표출된 진열제품을 VR(Virtual Reality) 영상으로 연속해서 스트림시키고, 스크린 샷 실시로 순간 포착된 진열제품의 3D 모형물을 비정형 데이터로 자동 생성시키는 VR 영상 구현부; 및 상기 VR 쇼핑몰 플랫폼 내에서 카테고리별로 진열해 놓은 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진열제품 이미지를 클릭할 시 상기 진열제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보여주며, 360도 회전 발휘용 이벤트 버튼이 놓인 위치에 마우스를 갖다 댈 시 상기 진열제품 이미지가 360도 회전시키면서 상기 진열제품 이미지를 3D 형태로 보여주는 3D 입체형상 표현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VR 영상 구현부가 VR 쇼핑몰 플랫폼의 캔퍼스 프레임 영역 내 표출된 진열제품을 VR(Virtual Reality) 영상으로 연속해서 스트림시키는 단계; 상기 VR 영상 구현부가 스크린 샷 실시로 순간 포착된 상기 진열제품의 3D 모형물을 비정형 데이터로 자동 생성시키는 단계; 3D 입체형상 표현부가 상기 VR 쇼핑몰 플랫폼 내에서 카테고리별로 진열해 놓은 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진열제품 이미지를 클릭할 시 상기 진열제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보여주는 단계 및 상기 3D 입체형상 표현부가 360도 회전 발휘용 이벤트 버튼이 놓인 위치에 마우스를 갖다 댈 시 상기 진열제품 이미지가 360도 회전시키면서 상기 진열제품 이미지를 3D 형태로 보여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은 VR 쇼핑몰 플랫폼의 캔퍼스 프레임 영역 내 표출된 진열제품을 VR(Virtual Reality) 영상으로 연속해서 스트림시키고, 스크린 샷 실시로 순간 포착된 진열제품의 3D 모형물을 비정형 데이터로 자동 생성시켜 진영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정보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 1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VR 쇼핑몰 플랫폼 내에서 카테고리별로 진열해 놓은 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진열제품 이미지를 클릭할 시 진열제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보여줌으로써, 진열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을 통해 소비자의 구매 선택권에 대한 상품 신뢰성 및 거래 신용도를 더욱 강화시켜 주는 제 2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360도 회전 발휘용 이벤트 버튼이 놓인 위치에 마우스를 갖다 댈 시 진열제품 이미지가 360도 회전시키면서 진열제품 이미지를 3D 형태로 보여주는 VR 이벤트 동작을 소비자에게 제공해 줌을 통해 구매력 향상에 대한 소비자의 동기유발 및 수익에 대한 기대감을 고취시켜 주는 제 3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구매하고자 한 진열제품에 대한 단편적인 상품 정보만을 보고 구매여부를 판단해야 했던 종래 구매 선택권에 대한 한계를 벗어나 VR로 3D 입체 형상의 진열제품을 볼 수 있도록 해 소비자의 구매에 대한 만족감 고취 및 이에 따른 관련업에 종사하거나 영위하고 있는 당업자, 사업체의 이익창출 극대화, 더불어 관련 산업 발전에도 크게 이바지하는 제 4 효과를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에서 운영되는 VR 쇼핑몰 플랫폼의 메인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에서 운영되는 VR 쇼핑몰 플랫폼의 중요 서브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에서 운영되는 VR 쇼핑몰 플랫폼의 다른 중요 서브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4000)은 도 2에서 지정해 놓은 VR 쇼핑몰 플랫폼(3000)의 캔퍼스 프레임 영역(500) 내 표출된 진열제품(550)을 VR(Virtual Reality) 영상으로 연속해서 스트림시키고, 스크린 샷 실시로 순간 포착된 진열제품(550)의 3D 모형물을 비정형 데이터로 자동 생성시키며, VR 쇼핑몰 플랫폼(3000) 내에서 카테고리별로 진열해 놓은 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진열제품 이미지(700)를 클릭할 시 진열제품(550)에 대한 상품 정보(800)를 보여주는 시스템으로, VR 영상 구현부(1000) 및 3D 입체형상 표현부(2000)를 포함한다.
먼저, VR 영상 구현부(1000)는 VR 쇼핑몰 플랫폼(3000)의 캔퍼스 프레임 영역(500) 내 표출된 진열제품(550)을 VR(Virtual Reality) 영상으로 연속해서 스트림시키고, 스크린 샷 실시로 순간 포착된 진열제품(550)의 3D 모형물을 비정형 데이터로 자동 생성시킨다.
또한, VR 영상 구현부(1000)는 캔퍼스 프레임 영역(500) 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진열제품(550)에 속한 어느 하나의 세부 구성이 마우스에 의해 선택될 시, 줌인을 실시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세부 구성을 확대시켜 보여준다.
또한, VR 영상 구현부(1000)에 의해 컨트롤되며, 캔퍼스 프레임 영역(500) 내에 존재하는 진열제품 대상 VR 화면은 마우스의 왼쪽 누름 버튼이 온으로 눌러진 상태에서 마우스가 실시간으로 움직여질 위치가 360도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해 변위될 시, 왼쪽 누름 버튼이 눌러진 지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360도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된 진열제품(550)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좀 더 구체적으로, VR 영상 구현부(1000)는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메인 컨트롤러 영역(100), 진열제품 상태보기 영역(200), 구매하기 영역(300) 및 진열제품 보여주기 영역(400)을 포함한다.
즉, 메인 컨트롤러 영역(100)은 캔퍼스 프레임 영역(500)에 호출되어 비주얼하게 나타난 진열제품(550)을 시간 스트림에 맞춰 동적으로 스트림시킬 뿐만 아니라, 스트림에 의해 지속적으로 연동하는 진열제품 대상 VR 화면을 확대 혹은 축소케 하거나, 스크린 샷 버튼 클릭시 진열제품 대상 VR 화면의 현 상태를 순간 포착해 순간 포착에 따라 이미지, 그림 또는 사진으로 형상화된 진열제품(550)의 3D 모형물을 설정 파일로 생성케 한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 영역(100)은 VR 쇼핑몰 플랫폼(3000)의 메인 페이지로 컴백 이동케 하는 홈 버튼, 클릭 온 똔 클릭 오프 동작을 통해 진열제품(550)을 시계열적이면서 연속적으로 회전 스트림시키거나 회전 스트림 동작이 잠시 멈추도록 제어하는 회전 버튼, 진열제품 대상 VR 화면을 확대시키는 확대 버튼 및 진열제품 대상 VR 화면을 축소시키는 축소 버튼을 구비하여, 진열제품(550)의 3D 모형물이 VR로 구현될 수 있도록 소비자에게 정보 제공해 준다.
진열제품 상태보기 영역(200)은 진열제품(550)을 구성하고 있는 세부 구성들 간의 조립상태 또는 결합상태를 각 단계별로 순서에 맞게 보여주거나, 각 단계별로 세부 구성들 간의 분리상태 또는 분해상태를 역순서대로 보여준다.
진열제품 상태보기 영역(200)은 진열제품(500)을 구성하고 있는 세부 구성들 간의 조립상태 또는 결합상태를 바닥부, 몸체부, 지붕부 및 마감부 순서대로 선택해 보여주거나, 세부 구성들 간의 분리상태 또는 분해상태를 마감부, 지붕부, 몸체부 및 바닥부 순으로 선택해 역순시켜 보여준다.
구매하기 영역(300)은 진열제품 및 세부 구성들에 대한 모델명을 제시해 주며, 세부 구성들 중 선택된 하나와 미리 1:1 매칭해 둔 콤보 버튼 클릭시, 세부 구성들 중 선택된 하나에 대한 구매수량을 텍스트 박스 또는 체크 버튼으로 수량 체킹하고 구매수량과 비례하여 연산된 총 구매가격을 제시해 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구매하기 영역(300)은 콤보 버튼의 클릭된 상태를 해제시켜 클릭된 콤보 버튼을 비클릭된 상태로 원 위치시키는 포커스 해제 버튼, 및 구매수량과 총 구매가격을 확인한 세부 구성들 중 선택된 하나를 장바구니 페이지로 이동시켜 장바구니 페이지 상에서 온라인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장바구니 담기 버튼을 구비한다.
진열제품 보여주기 영역(400)은 진열제품(550)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진열제품(550)을 모티브로 한 다수의 샘플의 외관 이미지를 보여준다.
계속해서, 3D 입체형상 표현부(2000)는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VR 쇼핑몰 플랫폼(3000) 내에서 카테고리별로 진열해 놓은 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진열제품 이미지(700)를 클릭할 시 진열제품(550)에 대한 상품 정보(800)를 보여주며, 360도 회전 발휘용 이벤트 버튼이 놓인 위치(600)에 마우스를 갖다 댈 시 진열제품 이미지(700)가 360도 회전시키면서 진열제품 이미지(700)를 3D 형태로 보여준다.
다시말해, 3D 입체형상 표현부(2000)는 진열제품 이미지(700)를 중심으로 주변 영역에 마련해 둔 360도 회전 발휘용 이벤트 버튼(600)에 마우스를 갖다 놓을 시, 진열제품 이미지(700)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360도 회전시키면서 진열제품 이미지(700)를 3D 입체 형상으로 재생해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VR 쇼핑몰 플랫폼의 캔퍼스 프레임 영역 내 표출된 진열제품을 VR(Virtual Reality) 영상으로 연속해서 스트림시키고, 스크린 샷 실시로 순간 포착된 진열제품의 3D 모형물을 비정형 데이터로 자동 생성시키며, VR 쇼핑몰 플랫폼 내에서 카테고리별로 진열해 놓은 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진열제품 이미지를 클릭할 시 진열제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보여주는 구동방법이다.
즉, VR 영상 구현부는 VR 쇼핑몰 플랫폼의 캔퍼스 프레임 영역 내 표출된 진열제품을 VR(Virtual Reality) 영상으로 연속해서 스트림시킨다(S100).
VR 영상 구현부는 스크린 샷 실시로 순간 포착된 진열제품의 3D 모형물을 비정형 데이터로 자동 생성시킨다(S200).
3D 입체형상 표현부는 VR 쇼핑몰 플랫폼 내에서 카테고리별로 진열해 놓은 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진열제품 이미지를 클릭할 시 진열제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보여준다(S300).
3D 입체형상 표현부는 360도 회전 발휘용 이벤트 버튼이 놓인 위치에 마우스를 갖다 댈 시 진열제품 이미지가 360도 회전시키면서 상기 진열제품 이미지를 3D 형태로 보여준다(S400).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4000 :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1000 : VR 영상 구현부 2000 : 3D 입체형상 표현부
3000 : VR 쇼핑몰 플랫폼

Claims (8)

  1. VR 쇼핑몰 플랫폼의 캔퍼스 프레임 영역 내 표출된 진열제품을 VR(Virtual Reality) 영상으로 연속해서 스트림시키고, 스크린 샷 실시로 순간 포착된 상기 진열제품의 3D 모형물을 비정형 데이터로 자동 생성시키는 VR 영상 구현부; 및
    상기 VR 쇼핑몰 플랫폼 내에서 카테고리별로 진열해 놓은 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진열제품 이미지를 클릭할 시 상기 진열제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보여주며, 360도 회전 발휘용 이벤트 버튼이 놓인 위치에 마우스를 갖다 댈 시 상기 진열제품 이미지가 360도 회전시키면서 상기 진열제품 이미지를 3D 형태로 보여주는 3D 입체형상 표현부를 포함하며, 상기 VR 영상 구현부는,
    스크린 샷 버튼 클릭시 상기 진열제품 대상 VR 화면의 현 상태를 순간 포착해 상기 순간 포착에 따라 이미지, 그림 또는 사진으로 형상화된 상기 진열제품의 3D 모형물을 설정 파일로 생성케 하는 메인 컨트롤러 영역; 및
    상기 진열제품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상기 진열제품을 모티브로 한 다수의 샘플의 외관 이미지를 보여주는 진열제품 보여주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3D 입체형상 표현부는,
    상기 진열제품 이미지를 중심으로 주변 영역에 마련해 둔 상기 360도 회전 발휘용 이벤트 버튼에 마우스를 갖다 놓을 시, 상기 진열제품 이미지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360도 회전시키면서 상기 진열제품 이미지를 3D 입체 형상으로 재생해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 영역은 상기 캔퍼스 프레임 영역에 호출되어 비주얼하게 나타난 상기 진열제품을 시간 스트림에 맞춰 동적으로 스트림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스트림에 의해 지속적으로 연동하는 진열제품 대상 VR 화면을 확대 혹은 축소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VR 영상 구현부는
    상기 진열제품을 구성하고 있는 세부 구성들 간의 조립상태 또는 결합상태를 각 단계별로 순서에 맞게 보여주거나, 상기 각 단계별로 상기 세부 구성들 간의 분리상태 또는 분해상태를 역순서대로 보여주는 진열제품 상태보기 영역; 및
    상기 진열제품 및 상기 세부 구성들에 대한 모델명을 제시해 주며, 상기 세부 구성들 중 선택된 하나와 미리 1:1 매칭해 둔 콤보 버튼 클릭시, 상기 세부 구성들 중 선택된 하나에 대한 구매수량을 텍스트 박스 또는 체크 버튼으로 수량 체킹하고 상기 구매수량과 비례하여 연산된 총 구매가격을 제시해 주는 구매하기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 영역은,
    VR 쇼핑몰 플랫폼의 메인 페이지로 컴백 이동케 하는 홈 버튼;
    클릭 온 똔 클릭 오프 동작을 통해 상기 진열제품을 시계열적이면서 연속적으로 회전 스트림시키거나 상기 회전 스트림 동작이 잠시 멈추도록 제어하는 회전 버튼;
    상기 진열제품 대상 VR 화면을 확대시키는 확대 버튼; 및
    상기 진열제품 대상 VR 화면을 축소시키는 축소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하기 영역은,
    상기 콤보 버튼의 클릭된 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클릭된 콤보 버튼을 비클릭된 상태로 원 위치시키는 포커스 해제 버튼; 및
    상기 구매수량과 총 구매가격을 확인한 상기 세부 구성들 중 선택된 하나를 장바구니 페이지로 이동시켜 상기 장바구니 페이지 상에서 온라인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장바구니 담기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캔퍼스 프레임 영역 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진열제품에 속한 어느 하나의 세부 구성이 마우스에 의해 선택될 시, 상기 VR 영상 구현부는 줌인을 실시해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세부 구성을 확대시켜 보여주며,
    상기 마우스의 왼쪽 누름 버튼이 온으로 눌러진 상태에서 상기 마우스가 실시간으로 움직여질 위치가 360도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해 변위될 시, 상기 진열제품 대상 VR 화면은 상기 왼쪽 누름 버튼이 눌러진 지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상기 360도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진열제품을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제품 상태보기 영역은
    상기 진열제품을 구성하고 있는 세부 구성들 간의 조립상태 또는 결합상태를 바닥부, 몸체부, 지붕부 및 마감부 순서대로 선택해 보여주거나, 상기 세부 구성들 간의 분리상태 또는 분해상태를 상기 마감부, 지붕부, 몸체부 및 바닥부 순으로 선택해 역순시켜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7. 삭제
  8. VR 영상 구현부가 VR 쇼핑몰 플랫폼의 캔퍼스 프레임 영역 내 표출된 진열제품을 VR(Virtual Reality) 영상으로 연속해서 스트림시키는 단계;
    상기 VR 영상 구현부가 스크린 샷 실시로 순간 포착된 상기 진열제품의 3D 모형물을 비정형 데이터로 자동 생성시키는 단계;
    3D 입체형상 표현부가 상기 VR 쇼핑몰 플랫폼 내에서 카테고리별로 진열해 놓은 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진열제품 이미지를 클릭할 시 상기 진열제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보여주는 단계 및
    상기 3D 입체형상 표현부가 360도 회전 발휘용 이벤트 버튼이 놓인 위치에 마우스를 갖다 댈 시 상기 진열제품 이미지가 360도 회전시키면서 상기 진열제품 이미지를 3D 형태로 보여주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VR 영상 구현부는,
    스크린 샷 버튼 클릭시 상기 진열제품 대상 VR 화면의 현 상태를 순간 포착해 상기 순간 포착에 따라 이미지, 그림 또는 사진으로 형상화된 상기 진열제품의 3D 모형물을 설정 파일로 생성케 하는 메인 컨트롤러 영역; 및
    상기 진열제품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상기 진열제품을 모티브로 한 다수의 샘플의 외관 이미지를 보여주는 진열제품 보여주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3D 입체형상 표현부가 상기 진열제품 이미지를 중심으로 주변 영역에 마련해 둔 상기 360도 회전 발휘용 이벤트 버튼에 마우스를 갖다 놓을 시, 상기 진열제품 이미지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360도 회전시키면서 상기 진열제품 이미지를 3D 입체 형상으로 재생해 보여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200093053A 2020-07-27 2020-07-27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198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053A KR102198583B1 (ko) 2020-07-27 2020-07-27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053A KR102198583B1 (ko) 2020-07-27 2020-07-27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583B1 true KR102198583B1 (ko) 2021-01-05

Family

ID=7414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053A KR102198583B1 (ko) 2020-07-27 2020-07-27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5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7121A (zh) * 2021-02-04 2021-04-16 深圳市桔子智能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3d模型和数据展示在移动终端的滑动交互方法
KR102411564B1 (ko) * 2021-10-15 2022-06-22 주식회사 엠케이렌탈 렌탈 및 금융 대행 플랫폼 시스템
KR20230103133A (ko) 2021-12-31 2023-07-07 주식회사 아티젠 가상공간에서의 3d 물품 제작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801A (ko) 2000-05-01 2000-08-05 조문배 가상현실을 이용한 3차원 쇼핑몰 운영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44191A (ko) * 2000-12-30 2001-06-05 이희석 인터넷에서 제품의 전자매뉴얼 제공 방법
KR20010067003A (ko) 2000-11-18 2001-07-12 김양신 제공된 저작도구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자들의 서버 집합을자동으로 통합 관리하는 3차원 가상공간 시스템 및 그시스템의 운영방법
KR20190093813A (ko) 2018-01-19 2019-08-12 네이버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상품 추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43167A (ko) 2018-10-17 2020-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제 시스템을 위한 장치 및 결제 시스템 동작 방법
KR20200070550A (ko) * 2018-12-10 2020-06-18 (주)에이알씨엔에스 오프라인 촬영 영상물을 이용한 가상현실 쇼핑몰의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84706A (ko) * 2019-01-03 2020-07-13 김은희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801A (ko) 2000-05-01 2000-08-05 조문배 가상현실을 이용한 3차원 쇼핑몰 운영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67003A (ko) 2000-11-18 2001-07-12 김양신 제공된 저작도구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자들의 서버 집합을자동으로 통합 관리하는 3차원 가상공간 시스템 및 그시스템의 운영방법
KR20010044191A (ko) * 2000-12-30 2001-06-05 이희석 인터넷에서 제품의 전자매뉴얼 제공 방법
KR20190093813A (ko) 2018-01-19 2019-08-12 네이버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상품 추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43167A (ko) 2018-10-17 2020-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제 시스템을 위한 장치 및 결제 시스템 동작 방법
KR20200070550A (ko) * 2018-12-10 2020-06-18 (주)에이알씨엔에스 오프라인 촬영 영상물을 이용한 가상현실 쇼핑몰의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84706A (ko) * 2019-01-03 2020-07-13 김은희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7121A (zh) * 2021-02-04 2021-04-16 深圳市桔子智能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3d模型和数据展示在移动终端的滑动交互方法
CN112667121B (zh) * 2021-02-04 2022-07-26 深圳仙库智能有限公司 一种实现3d模型和数据展示在移动终端的滑动交互方法
KR102411564B1 (ko) * 2021-10-15 2022-06-22 주식회사 엠케이렌탈 렌탈 및 금융 대행 플랫폼 시스템
KR20230103133A (ko) 2021-12-31 2023-07-07 주식회사 아티젠 가상공간에서의 3d 물품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8186B1 (en) User interface for image-based rendering of virtual tours
US10846937B2 (en)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US20180137561A1 (en) Virtual reality shopping experience
KR102198583B1 (ko) Vr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20050086612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20050030309A1 (en) Information display
US10877649B2 (en) Browsing system, brow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O2002039216A2 (en) Method and system of an integrated business topography and virtual 3d network portal
KR20130084274A (ko) 3차원 가상현실 인터넷 쇼핑몰
KR20000017845A (ko) 지리정보에 의한 인터넷 예약 및 구매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00054344A (ko) 인터넷을 통한 3차원 가상현실 미술관/쇼핑몰 시스템 및그 운영 방법
Ozok et al. Better in 3D?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user satisfaction and preferences concerning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product representations in business-to-consumer e-commerce
Kraft et al. Agent-driven online business in virtual communities
JP7201743B2 (ja) クラウド型サイバーモールシステム
JP6891667B2 (ja) 閲覧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2021056852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
Bei et al. Design of a virtual shopping mall: some observations
Ashurov SOME ASPECTS OF CREATING 3D ELECTRONIC INFORMATION EDUCATIONAL RESOURCES IN MODERN EDUCATIONAL CONDITIONS
JP2020013552A (ja) 端末装置、閲覧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oseph AUGMENTED REALITY IN E-COMMERCE
Vanijja et al. Designing Image Base Virtual Reality on e-Commerce Web Site
AU2004226951A1 (en) Advertising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