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418B1 -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418B1
KR102306418B1 KR1020210039544A KR20210039544A KR102306418B1 KR 102306418 B1 KR102306418 B1 KR 102306418B1 KR 1020210039544 A KR1020210039544 A KR 1020210039544A KR 20210039544 A KR20210039544 A KR 20210039544A KR 102306418 B1 KR102306418 B1 KR 102306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pattern
pattern
injection
molded product
antenn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태
김유진
김남일
박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210039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을 위해 사출물에 형성되는 방사 패턴의 넓이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제한된 공간에서 최적화하여 방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AN ANTENNA MODU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을 위해 사출물에 형성되는 방사 패턴의 길이와 넓이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제한된 공간에서 최적화하여 방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PDA 등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는 다양한 통신 기능이 구현되고, 그에 따라 3G(LTE), 4G(LTE-A), 5G 통신용 안테나,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위한 WiFi 안테나, 블루투스(Bluetooth) 안테나, NFC 안테나, GPS 수신용 안테나, 무선 충전용 안테나 등 여러 종류의 안테나가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서, 원거리 무선 통신 외에 디바이스간의 정보 교환, 결제, 티켓 예매, 무선 충전 등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NFC 안테나가 구비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NFC 안테나에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서브 안테나가 추가적으로 구비되기도 한다.
NFC 안테나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통신하며, NFC 안테나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코일(coil) 또는 루프(loop) 형태의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으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NFC는 태그(tag) 인식율 증가시키기 위해 방사 패턴 영역을 넓게 형성해야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최근 소형화추세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반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부에는 많은 전자 부품(PCB, IC칩 등)과 다양한 기능의 안테나가 구비되는데, 이와 같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부의 제한된 공간에서 다른 안테나(WiFi, GPS 안테나 등)와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간섭을 최소화하고 방사 패턴의 넓이를 최적화하여 방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테나 모듈의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75159호(2013.06.10)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사출물에 형성되는 방사 패턴의 넓이를 제한된 공간에서 최적화하여 방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안테나 모듈에 포함되는 방사 패턴을 LDS 방식으로 구현하여 안테나 모듈의 두께를 얇게함으로써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슬림(slim)화 할 수 있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사출물; 상기 사출물의 일면에 구비되는 구조물; 상기 사출물의 일면에 상기 구조물과 이격 형성되는 제1 방사 패턴; 상기 사출물의 타면에 상기 제1 방사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방사 패턴과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2 방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방사 패턴은 상기 구조물의 영역과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방사 패턴과 접촉되도록 상기 사출물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1 단자 패턴; 및 상기 제2 방사 패턴과 접촉되도록 상기 사출물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단자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방사 패턴 및 상기 제2 방사 패턴은 루프 패턴을 이루며 복수회 권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방사 패턴의 일단은 상기 제1 단자 패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사 패턴의 타단은 상기 제2 방사 패턴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방사 패턴의 타단은 상기 제2 단자 패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방사 패턴의 타단과 상기 제2 방사 패턴의 일단은 비아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방사 패턴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방향과, 상기 제2 방사 패턴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은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사 패턴 및 상기 제2 방사 패턴은 상기 사출물이 식각되고 식각된 부분이 도금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본체; 및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모듈은, 사출물; 상기 사출물의 일면에 구비되는 구조물; 상기 사출물의 일면에 상기 구조물과 이격 형성되는 제1 방사 패턴; 상기 사출물의 타면에 상기 제1 방사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방사 패턴과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2 방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출물에 형성되는 방사 패턴의 길이와 넓이를 제한된 공간에서 최적화하여 방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안테나 모듈에 포함되는 방사 패턴을 LDS 방식으로 구현하여 안테나 모듈의 두께를 얇게함으로써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슬림(slim)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NFC 태그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4의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NFC 태그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미도시)에 설치되어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한다. 이때, 무선 통신 디바이스(미도시)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PDA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사출물(100), 구조물(150), 제1 방사 패턴(210) 및 제2 방사 패턴(2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출물(100)은 안테나 모듈의 본체로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출물(100)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미도시)의 내부를 구성하거나 외부 케이스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절연성의 재질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출물(100)은 내후성과 내충격성 및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등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사출물(100)의 두께는 후술할 제1 방사 패턴(210)의 두께와 제2 방사 패턴(220)의 두께를 합한 것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구조물(150)은 사출물(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일면'이란 사출물(100)의 상면일 수 있다. 구조물(150)은 일정한 부피를 가지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내장되는 스피커나 다른 사출물일 수 있다. 이때, 구조물(150)은 사출물(100)의 일면에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방사 패턴(210)은 사출물(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사 패턴(210)은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하여 전자기장을 외부로 방사하는 금속 패턴으로서, 전도성 라인이 루프 패턴을 이루며 복수회 절곡되어 권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방사 패턴(210)은 전류가 흐르도록 후술할 제1 단자 패턴(2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 연결부(211)가 제1 방사 패턴(210)과 접촉되도록 사출물(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단자 연결부(211)가 사출물(10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1 단자 패턴(2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단자 패턴(221)부가 안테나 모듈 외부에 구비되는 PCB와 접촉 수단(C-Clip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PCB에 의해 제1 방사 패턴(210)으로 급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사출물(100)의 일부에는 전자 부품(카메라 모듈 등)이 구비되기 위한 개구 영역(170)이 형성될 수 있다. 개구 영역(170)은 사출물(100)의 일부에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등의 전자 부품이 개구 영역(170)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방사 패턴(220)은 사출물(100)의 타면에 제1 방사 패턴(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방사 패턴(210)과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사 패턴(220)은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하여 전자기장을 외부로 방사하는 금속 패턴으로서, 전도성 라인이 루프 패턴을 이루며 복수회 절곡되어 권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사 패턴(220)은 제1 방사 패턴(210)과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안테나 모듈의 방사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고하면, 사출물(100)의 일면에 구조물(150)이 구비되는 경우 구조물(150)의 면적(영역) 만큼 제1 방사 패턴(210)의 영역이 제한되어 제1 방사 패턴(210)에 의한 방사 영역(NFC 안테나 태그 영역)이 감소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방사 패턴(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방사 패턴(220)을 사출물(100)의 타면에 형성하고, 제2 방사 패턴(220)의 영역을 제1 방사 패턴(210)의 영역과 일부 중첩되게하여 실질적으로 방사 패턴을 확장함으로써 방사 패턴의 방사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사출물(10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방사 패턴(220)은 구조물(150)의 영역과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제1 단자 패터 및 제2 단자 패턴(223)을 더 포함하며, 제1 단자 패턴(221)은 제1 방사 패턴(210)과 접촉되도록 사출물(100)의 타면에 형성되며, 제2 단자 패턴(223)은 제2 방사 패턴(220)과 접촉되도록 사출물(10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사 패턴(210) 및 제2 방사 패턴(220)은 루프 패턴을 이루면 복수회 권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출물(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방사 패턴(210)의 일단은 단자 연결부(211)를 통해 사출물(10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1 단자 패턴(221)과 비아홀(225)을 통해 전기적을 연결되고, 제1 방사 패턴(210)의 타단은 사출물(10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방사 패턴(220)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방사 패턴(220)의 타단은 단자 연결부(213)를 통해 사출물(10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단자 패턴(2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단자 패턴(221)부에 안테나 모듈 외부에 구비되는 PCB와 접촉 수단(C-Clip 등)에 의해 급전이 이루어지고, 제1 단자 패턴(221)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방사 패턴(210), 제1 방사 패턴(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방사 패턴(220)으로 전기가 흐르며, 제2 방사 패턴(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 패턴(223)을 통해 외부로 전기가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방사 패턴(210)의 타단과 제2 방사 패턴(220)의 일단은 비아홀(225)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방사 패턴(210) 및 제2 방사 패턴(220)은 복수회 절곡되며 권취되어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방사 패턴(210) 및 제2 방사 패턴(220)에 의해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을 위한 안테나로서 기능한다.
이때, 제1 방사 패턴(210)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방향과, 상기 제2 방사 패턴(220)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은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오른 나사의 법칙(Law of clockwise screw)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는 도선을 둘러싸는 동심원의 접선 방향으로 자기장이 발생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방사 패턴(210)과 제2 방사 패턴(220)이 직렬로 연결되어 전류가 유동하고, 제1 방사 패턴(210)의 영역과 제2 방사 패턴(220)의 영역이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인접하는 제1 방사 패턴(210)과 제2 방사 패턴(220)의 전류 방향이 동일하므로, 제1 방사 패턴(210)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방향과 제2 방사 패턴(220)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도 2를 참고하면 제1 방사 패턴(210)을 유동하는 전류 방향은 시계 방행이고, 제2 방사 패턴(220)을 유동하는 전류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며, 이에 따라 제1 방사 패턴(210)에 유동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은 사출물(100)의 타측 방향(도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이고, 제2 방사 패턴(220)에 유동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은 사출물(100)의 일축 방향(도면을 나오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4의 <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NFC 태그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4의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NFC 태그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제1 방사 패턴(210)을 사출물(100)의 일면에 형성하고, 제1 방사 패턴(210)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2 방사 패턴(220)을 제1 방사 패턴(210)과 일부 중첩되게 사출물(100)의 타면에 배치하며, 전류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방사 패턴(210) 및 제2 방사 패턴(220)의 자기장의 방향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안테나의 방사 영역을 증가시켜 NFC 태그 영역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무선 통신 디바이스 본체(미도시) 내부의 사출물(100)의 타측에는 쉴드 캔(Shield can)과 같은 메탈 영역이 존재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제1 방사 패턴(210)은 사출물(100)의 일면에 형성되어, 방사 패턴을 메탈 영역과 사출물(100)의 두께만큼 이격시켜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메탈 영역에 의한 자기장의 영향을 감소시켜 안테나 방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단면도로서, 봉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제2 방사 패턴(220)의 타면에 형성되는 차폐 시트(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 시트(250)는 페라이트(ferrite)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폐 시트(250)는 자성 합금, 페라이트 소결체와 같이 단일 소재로 사용하거나, 자성 금속분말 및/또는 페라이트 분말을 절연성 수지, 고무계 성분, 세라믹 혹은 비자성 금속 등과 혼합하여 압출, 프레스, 필름 캐스팅 등의 방법으로 성형한 복합 소재(composite)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차폐 시트(250)는 제1 방사 패턴(210) 및 제2 방사 패턴(22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 및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 시트(250)가 제1 방사 패턴(210) 및 제2 방사 패턴(220)에 의해 형성되는 외형의 면적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경우 차폐 시트(250)에 의한 자기장에 의해 방사 패턴 주변의 다른 방사 패턴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차폐 시트(250)가 제1 방사 패턴(210) 및 제2 방사 패턴(220)에 의해 형성되는 외형의 면적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경우 전자파 차폐 효과가 낮아져 NFC 안테나로서의 방사 성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차폐 시트(250)는 제1 방사 패턴(210) 및 제2 방사 패턴(220) 내부의 전도성 라인 미권취 영역을 제외하고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사 패턴(210) 및 제2 방사 패턴(220)의 전도성 라인의 미권취 영역의 경우 전류가 흐르지 않게되어, 캔 쉴드에 의한 와전류의 영향이나 PCB 등 다른 전자 부품에 끼치는 전자기적 영향이 적으므로, 미권취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차폐 시트(250)를 제외함으로써 최소한의 차폐 시트(250)의 사용으로 차폐 효과 및 생산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제1 방사 패턴(210), 제2 방사 패턴(220)은 사출물(100)의 적어도 일부가 일정한 형상으로 식각되고, 식각된 부분이 도금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전도성이며 화학적으로 안정한 중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재질로 사출물(100)을 형성하고, 사출물(100)의 일부를 UV(Ultra Violet) 레이저, 엑시머(Excimer) 레이저 등의 레이저에 노출시킴으로써 구조물(150)의 화학적 결합을 해체하여 금속 시드를 노출시킨다. 다음으로, 사출물(100)(100)을 금속화(metalizing)하여 사출물(100)의 레이저 노출 부위에 도전성 물질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본체(미도시), 본체(미도시) 내부에 구비되는 안테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테나 모듈은, 사출물(100), 사출물(100)의 일면에 구비되는 구조물(150), 사출물(100)의 일면에 구조물(150)과 이격 형성되는 제1 방사 패턴(210), 사출물(100)의 타면에 제1 방사 패턴(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방사 패턴(210)과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2 방사 패턴(22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본체(미도시)는 금속 재질의 케이스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술한 안테나 모듈 및 카메라 모듈, PCB 등의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포함되는 안테나 모듈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안테나 모듈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선 실시예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출물에 형성되는 방사 패턴의 길이와 넓이를 제한된 공간에서 최적화하여 방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사출물
150: 구조물
210: 제1 방사 패턴
220: 제2 방사 패턴
211, 213: 단자 연결부
221: 제1 단자 패턴
223: 제2 단자 패턴
225: 비아홀(via hole)
250: 차폐 시트

Claims (9)

  1. 사출물;
    상기 사출물의 일면에 구비되는 구조물;
    상기 사출물의 일면에 상기 구조물과 이격 형성되는 제1 방사 패턴;
    상기 사출물의 타면에 상기 제1 방사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방사 패턴과 중첩되고, 다른 일부 영역이 상기 구조물의 영역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2 방사 패턴;
    상기 제1 방사 패턴과 접촉되도록 상기 사출물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1 단자 패턴; 및
    상기 제2 방사 패턴과 접촉되도록 상기 사출물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단자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사 패턴 및 상기 제2 방사 패턴은 루프 패턴을 이루며 복수회 권취되며,
    상기 제1 방사 패턴의 일단은 상기 제1 단자 패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사 패턴의 타단은 상기 제2 방사 패턴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방사 패턴의 타단은 상기 제2 단자 패턴에 연결되어,
    외부의 급전 수단을 통해 상기 제1 단자 패턴으로 공급되는 전기적 신호가 상기 제1 방사 패턴, 상기 제2 방사 패턴 및 상기 제2 단자 패턴으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 패턴의 타단과 상기 제2 방사 패턴의 일단은 비아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 패턴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방향과, 상기 제2 방사 패턴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은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 패턴 및 상기 제2 방사 패턴은 상기 사출물이 식각되고 식각된 부분이 도금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9.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제1항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KR1020210039544A 2021-03-26 2021-03-26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KR102306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544A KR102306418B1 (ko) 2021-03-26 2021-03-26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544A KR102306418B1 (ko) 2021-03-26 2021-03-26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418B1 true KR102306418B1 (ko) 2021-09-30

Family

ID=77920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544A KR102306418B1 (ko) 2021-03-26 2021-03-26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4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159B1 (ko) 2012-12-21 2013-06-17 일신전자 주식회사 모바일기기용 에프피시비 안테나의 제조방법
KR101282268B1 (ko) * 2013-01-03 2013-07-10 에이큐 주식회사 Nfc 소형화 안테나
JP2017515355A (ja) * 2014-03-28 2017-06-08 ビーワイデ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Byd Company Limited 移動端末及びnfcアンテナ
KR102220061B1 (ko) * 2020-11-23 2021-02-25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단면 패턴을 이용한 안테나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159B1 (ko) 2012-12-21 2013-06-17 일신전자 주식회사 모바일기기용 에프피시비 안테나의 제조방법
KR101282268B1 (ko) * 2013-01-03 2013-07-10 에이큐 주식회사 Nfc 소형화 안테나
JP2017515355A (ja) * 2014-03-28 2017-06-08 ビーワイデ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Byd Company Limited 移動端末及びnfcアンテナ
KR102220061B1 (ko) * 2020-11-23 2021-02-25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단면 패턴을 이용한 안테나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5367B1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5924006B2 (ja) アンテナ装置
US10164336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EP2413424B1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7425261B (zh) 具有金属框架天线段的天线模块和包括该模块的电子设备
JP2005333244A (ja) 携帯電話機
EP2897221B1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terminal device
TWI521784B (zh) 天線結構及行動裝置
JPWO2014156285A1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通信装置
JP2011211611A (ja) アンテナモジュール、アンテナ装置及び移動体通信端末
US10074904B2 (en) Antenna device and coil component used therein
US11848489B2 (en) Antenna module
US20170005395A1 (en) Antenna device
KR102363959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KR102278597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JP2016213540A (ja) アンテナ装置
KR102306418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KR102319244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KR102306420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KR102306408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KR101572022B1 (ko)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
KR102332612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KR101709477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7102419B2 (ja) アンテナ装置、通信装置
US20220173505A1 (en) Antenn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