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022B1 -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022B1
KR101572022B1 KR1020150020600A KR20150020600A KR101572022B1 KR 101572022 B1 KR101572022 B1 KR 101572022B1 KR 1020150020600 A KR1020150020600 A KR 1020150020600A KR 20150020600 A KR20150020600 A KR 20150020600A KR 101572022 B1 KR101572022 B1 KR 101572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read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진
박정일
정창우
김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엠텍
Priority to KR102015002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022B1/ko
Priority to PCT/KR2015/005978 priority patent/WO2016129752A1/ko
Priority to CN201510570445.8A priority patent/CN105870575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G06K19/07777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 G06K19/07779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the inductive antenna being a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2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active tags, i.e. provided with its own power source or in passive tags, i.e. deriving power from RF 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패턴(22)이 스타트단자(23)로부터 엔드단자(24)에 이르기까지 플렉시블필름(21)에 패터닝되면서도 점프접점(25)을 통해 이웃하는 메탈 플레이트(10)에 접속되어 결과적으로 신호전류의 흐름이 스타트단자(23) 및 점프접점(25)을 경유하여 메탈 플레이트(10)로 이어진 후 다시 점프접점(25)을 통해 엔드단자(24)로 이어지게 되어 루프패턴(22)의 확장효과로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할 수 있게 되어 무선통신 효율을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효율을 극대화시킨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를 보면서 인터넷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폰 등을 한 예로 들 수 있고,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가능케 하는 NFC가 장착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1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13222호(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소개할 수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고,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 137)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고,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즉,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도 1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안테나(200)가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커버(103)에 부착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후면커버(또는 배터리 커버; 103), 카메라(121'), 인터페이스(170), 마이크(122), 음향출력부(152'), 배터리(191),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05), 메모리카드 장착부(106)가 도시되어 있다.
리어 케이스(102) 표면에는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05) 및 메모리카드 장착부(106)와 같은 외장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외장부품은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다양해진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안테나(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외부 장치 및 서버와 무선 통신을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방송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200),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 무선인터넷을 위한 안테나(200),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200)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안테나(200)는 전파의 수신을 위해 넓은 면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전자부품들의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표면 쪽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자부품이 실장 되지 않아 넓은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후면커버(103)에 상기 안테나(200)를 배치한다.
선행기술문헌 1의 안테나(20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기판(210), 2가지 종류의 패턴, 자성시트(230)를 주요구성으로 한다.
패턴은 크게 2가지 종류로 고주파용 패턴(220)과 저주파용 패턴(225)으로 구분된다. 즉,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주파용 패턴(220)은 무선통신에 적합하고, 저주파용 패턴(225)은 주로 배터리의 무선충전에 적합하다.
이동 단말기(100)에 이용되는 무선충전기술은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한다.
전자기 유도는 전류를 흘려 자기장을 형성하고, 그 위에 이동 단말기(100)를 놓으면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된 저주파용 패턴, 즉 무선 충전용 코일(225)에 전류가 흘러 충전이 된다.
전송하는 전력량에 따라 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와 같은 소형 가전제품에 이용되는 전력은 수백 ㎑이하로 비교적 낮은 주파수를 이용한다.
무선통신은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전화통화를 위한 전파의 전송 이외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기능을 위해서도 안테나가 필요하다. 특히 무선통신 기술에 따라 이용하는 주파수는 다르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무선 충전에 이용되는 주파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주파를 이용한다.
선행기술문헌 1의 무선 통신용 안테나(200)가 이용되는 통신 방식의 예로 근거리 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들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은 전자태그(RFID)의 일종으로 약 13.56㎒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비접촉식 무선통신 모듈이다.
대략 10∼40㎝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100)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기술이다. 데이터 읽기와 쓰기를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처럼 기기간에 설정이 필요 없어 최근 이동 단말기(100)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부가하고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안테나(200)를 단순히 후면커버(103)에 배치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러할 경우 무선통신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2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318707호(안테나 장치 및 이동체 통신 단말)를 소개할 수 있다.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 1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탑재한 이동체 통신 단말을 나타내고, (A)는 케이싱의 이면도, (B)는 A-A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 1인 안테나 장치(1A)는, 도 2a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 통신 단말(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의 케이싱(5)의 이면측에 마련한 코일패턴(15)을 포함한 급전부재(10)와, 급전부재(10)에 부착한 페라이트시트로 이루어지는 자성부재(19), 그리고 방사부재(20)로 구성되어 있다.
방사부재(20)는 급전부재(10)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방사하는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를 받아 이것을 급전부재(10)에 공급하는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케이싱(5)의 이면측에 금속의 막 혹은 박(箔)을 마련하여 이루어진다.
급전부재(10)는 복수의 유전체층(열가소성 수지 시트)이 적층된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코일패턴(15)은 복수의 유전체층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환상(環狀) 도체를 비아홀 도체 등의 층간 도체(도 2a의 (B)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적층체의 적층 방향으로 권회축을 가지도록 헬리컬(helical)상으로 접속하여 코일로 한 것이다.
또한, 코일패턴(15)의 양단 부분은 케이싱(5)에 내장되어 있는 IC 태그 등의 무선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방사부재(20)는 그 일부에 개구부(21)와, 개구부(21)의 가장자리로부터 연통하는 슬릿부(22)를 가지고 있다.
슬릿부(22)의 한쪽 단은 개구부(21)에 연접하고 다른 쪽 단은 방사부재(20)의 옆 가장자리에서 개방되어 있다. 즉, 슬릿부(22)는 개구부(21)와 방사부재(20)의 옆 가장자리를 연통시키도록 마련되어 있다.
코일패턴(15)의 권회축 방향으로부터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개구부(21)의 전 영역은 코일패턴(15)의 내측영역에 겹쳐있고, 코일패턴(15)은 방사부재(20)와 겹쳐 있다.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 1인 안테나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안테나 장치(1A)의 조립 순서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고, 우선 코일패턴(15)을 내장한 급전부재(10)에 자성부재(19)를 부착하고, 급전부재(10)를 방사부재(20)상에 부착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 장치(1A)에 있어서는, 코일패턴(15)을 포함하는 급전부재(10)에 의해 코일패턴(15)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무선회로로부터의 송신신호를 방사부재(20)에 공급하고, 방사부재(20)로부터의 수신신호(수신 전력)를 급전부재(10)를 통해 무선회로에 공급한다.
이하에 이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급전부재(10)에 마련된 코일패턴(15)의 권회축 방향으로부터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방사부재(20)의 개구부(21)와 코일패턴(15)의 내측영역은 겹쳐있다.
도 2c는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 1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코일패턴과 방사부재의 결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따라서,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무선신호의 송신시에는 무선회로로부터 신호전류가 코일패턴(15)에 흘려 보내지고, 이 전류에 의해 생긴 유도자계(H)는 개구부(21)를 통해 도면 중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상적으로 분포한다. 자계(H)가 이상적으로 분포한다는 것은, 2개의 자계(H)의 중심(B)이 개구부(21)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방사부재(20)의 이득이 최대가 된다.
도 2d는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 1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방사부재의 개구부의 주변에 생기는 유도 전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상기 유도자계(H)에 의해, 도 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21)의 주위 부분에 유도전류(I1,I2)(단, 전류(I1,I2)의 전파 방향은 180°다름)가 생긴다.
구체적으로는, 도 2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21) 및 슬릿부(22)의 주위를 통과하여, 방사부재(20)의 평면 및 연단(緣端)효과에 의해 방사부재(2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유도전류(I1,I2)가 흐른다.
도 2e는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 1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방사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흐르는 유도 전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2f는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 1인 안테나 장치와 리더 라이터측 안테나의 자기적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는 실시예 1을 나타내고, (B)는 비교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2e에서 전류(I2)는 도시하지 않지만, 전류(I1)와는 역방향으로 흐른다.
유도전류(I1,I2)는 방사부재(20)와 코일패턴(15)이 평면으로 보아 겹쳐 있기 때문에, 코일패턴(15)으로부터 생긴 유도자계를 차단하도록, 코일패턴(15)에 흐르는 전류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흐른다.
여기서, 유도전류(I1,I2)에 의해, 방사부재(20)로부터 자계가 생기고, 방사부재(20)의 전체에 유도전류(I1,I2)가 흐른다. 특히, 안테나 장치(1A)로 취급하는 무선신호가 HF대인 경우에는 도 2f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사부재(20)는 자속이 투과하지 않으므로 방사부재(20)의 개구부(21)를 내측, 방사부재(20)의 바깥 가장자리를 외측으로 하는 경로에서, 자속(Φ)이 상대적으로 큰 루프를 그린다.
이것에 의해, 리더 라이터의 안테나(40)와의 통신거리를 넓힐 수 있다.
본 안테나 장치(1A)와 리더 라이터의 안테나(40)의 자기적인 결합 상태는 도 2f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방사부재(20)가 생략되어 있을 경우를 비교예로서 도 2f의 (B)에 나타낸다.
이 비교예에서는 방사부재(20)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자속(Φ)이 넓어지지 않아, 안테나(40)와의 결합량은 작아진다. 따라서, 양자가 접근할수록 오히려 통신이 불안정해지는 현상이 생긴다.
여기서, 급전부재(10)의 다양한 사이즈(종횡의 사이즈)에 대한 리더 라이터의 안테나(40)와의 통신 가능한 거리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괄호 안은 방사부재(20)를 생략한 비교예에서의 통신 가능한 거리이다.
22.5㎜×20㎜일 때 0∼44㎜(0∼24㎜)
22.5㎜×19㎜일 때 0∼43㎜(0∼23㎜)
22.5㎜×18㎜일 때 0∼41㎜(0∼19㎜)
22.5㎜×17㎜일 때 0∼39㎜(-)
22.5㎜×16㎜일 때 0∼38㎜(-)
도 2g는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 1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무선 신호가 UHF대인 경우의 동작 설명도이다.
이와 같이, 방사부재(20)에 있어서는, 유도전류(I1,I2)에 의해 자계(H)가 유기(誘起)되는데, 안테나 장치(1A)로 취급되는 무선 신호가 고주파 대역, 특히 UHF대인 경우에는, 도 2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자계(H)에 의해 전계(E)가 유기되고, 이 전계(E)에 의해 자계(H)가 유기된다는 연쇄에 의해, 방사부재(20)의 전역에 전자계 분포가 2차원적으로 넓혀진다. 그리고, 이 전자계 분포에 의해, 무선 신호가 송신되는데, 방사부재(20)의 전체에 유도전류(I1,I2)가 흐름으로써 통신거리를 넓힐 수 있다.
또한, 개구부(21)에는 슬릿부(22)가 연접되어 있기 때문에, 이 유도전류(I1,I2)는 슬릿부(22)에서 그 흐름이 제한되어, 전위차가 부여된다(용량이 형성된다). 따라서, 슬릿부(22)의 길이(L1)나 폭(L2)에서, 유도전류(I1,I2)의 양이나 분포를 제어함으로써, 방사부재(20)의 전역에 생기는 전계 및 자계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송신 신호의 이득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릿부(22)의 길이(L1)나 폭(L2)에 의해 방사부재(20)로 송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이득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슬릿부(22)의 길이(L1)를 크게 할수록, 또한 폭(L2)을 작게 할수록 이득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도 2a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전부재(10)의 각 유전체층에 마련된 환상 도체는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한 복수의 선로 도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 1에 있어서,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체는 평행한 2개의 선로 도체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2개의 선로 도체 사이에도 자속이 통과하게 되며, 여기된 자계가 코일패턴(15)의 중심 방향, 즉 권회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넓어져, 자속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상 도체의 병렬 개수를 늘림으로써, 환상 도체의 직류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생기게 한다. 이 결과, 무선 신호의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c에 나타내는 등가회로에서는, 급전회로로서 코일패턴(15)만을 도시하고 있는데, 인덕턴스 성분으로서 코일패턴(15) 자체의 인덕턴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 외에, 코일패턴(15)은 상술과 같이 적층된 환상 전극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층의 환상 전극간에 형성된 부유용량을 커패시턴스 성분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또한 급전 부재(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패턴(15)을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급전회로가 소정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고 있을 경우는, 예를 들면 그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한 커패시턴스 성분이나 인덕턴스 성분을 더 가지고 있어도 상관없다.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 1에 있어서, 급전회로(코일패턴(15))는 소정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고 있고, 방사부재(20)로 송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주파수는 이 공진 주파수에 실질적으로 상당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상당한다"란, 급전회로가 가지는 공진 주파수의 대역과 방사부재(20)로 송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주파수대가 거의 일치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송신신호 및/또는 수신신호의 주파수가 급전회로의 공진 주파수에 실질적으로 상당하고 있으므로, 방사부재(20)의 형상이나 재질, 방사부재(20)를 지지하는 케이싱(5)의 형상이나 재질 등에 거의 의존하지 않는 안정된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안테나 장치가 얻어진다.
바꿔 말하면, 방사부재(20)에서의 개구부(21)나 슬릿부(22)의 형상이나 재질, 혹은 급전부재(10)에서의 코일패턴(15)의 형상이나 재질에서, 무선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정해지면서, 방사부재(20)와 무선회로(신호 처리부)의 임피던스의 정합(整合)도 실현된다.
따라서, 방사부재(20)의 개구부(21)나 슬릿부(22)의 형상이나 코일패턴(15)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각종의 이동체 통신 단말에 대응한 안테나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급전부재(10)에 겹쳐 배치한 자성부재(19)는 코일패턴(15)에 발생하는 자계를 외부에 새지 않게 효율적으로 방사부재(20)와 결합시키고, 또한 외부에서 발생하는 자계를 차단하여 통신성능의 열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 1에 있어서, 급전부재(10)와 방사부재(20)는 전자계 결합하고 있으므로, 급전부재(10)와 방사부재(20)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반드시 고려할 필요는 없다.
즉,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 1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릿부(22)의 형상을 바람직하게 설계함으로써, 매우 용이하게 무선신호의 이득을 제어할 수 있다.
방사부재(20)의 개구부(21)와 코일패턴(15)의 내측영역은 거의 전역에서 겹쳐 있으면서, 개구부(21)의 면적과 코일패턴(15)의 내측영역의 면적이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코일패턴(15)에 의한 자계(H)(도 2c 참조)가 방사부재(20)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전파하고, 손실이 억제되어, 이득이 향상하기 때문이다.
또한, 개구부(21)와 코일패턴(15)의 내측영역을 거의 전역에서 겹치게 함으로써, 코일패턴(15)의 전부를 방사부재(20)에 겹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방사부재(20)에 의해 큰 유도전류를 생기게 할 수 있으므로, 통신 거리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개구부(21)와 코일패턴(15)의 내측영역은 적어도 일부에서 겹치고, 방사부재(20)와 코일패턴(15)이 일부에서 겹쳐 있으면 된다.
또한, 방사부재(20)의 면적은 코일패턴(15)이 형성된 부분의 면적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부재(20)의 면적이 코일패턴(15)으로 형성된 부분의 면적보다도 큰 것에 의해, 유도 전류가 큰 루프를 그리며 흐르므로 통신거리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슬릿부(22)의 형상에 관해서는, 본 실시예 1과 같이 직선상인 것이 가공성의 면에서 유리하지만, 미앤더상(meandering)이나 만곡(彎曲)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급전부재(10)는 단층 기판상에 코일패턴(15)이 형성된 것이어도 상관없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안테나 장치 및 이동체 통신 단말은 코일패턴(15)이 방사부재(20)와 단순히 겹쳐 있어 무선통신 효율을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단점을 안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13222호(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선행기술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18707호(안테나 장치 및 이동체 통신 단말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전류의 흐름이 스타트단자 및 점프접점을 경유하여 메탈 플레이트로 이어진 후 다시 점프접점을 통해 엔드단자로 이어지게 되어 루프패턴의 확장효과로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루프패턴이 스타트단자 및 점프접점을 경유하여 메탈 플레이트로 이어진 후 다시 점프접점을 통해 엔드단자로 이어짐으로써 신호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어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리더기의 안테나와의 연동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 양자간 통신거리를 더 멀리 더 넓게 구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근거리 무선통신의 효율 또한 보장케 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급전시트의 루프패턴과 함께 메탈 플레이트에 의해 방사된 신호전력이 리더기의 안테나에 대향하는 Z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자간 신호전력의 센터링을 극히 용이하게 하여 통신거리 및 통신넓이의 확대와 더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더 큰 인식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전류의 흐름이 스타트단자 및 일측 점프접점을 경유하여 메탈 플레이트로 이어진 후 다시 타측 점프접점을 통해 엔드단자로 이어지게 되어 루프패턴의 확장효과로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할 수 있게 되어 무선통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력뿐만 아니라 자기력에 의한 신호전력의 방사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루프패턴이 스타트단자로부터 PCB 점프접점에 이르기까지 플렉시블필름에 패터닝되면서도 점프접점을 통해 이웃하는 메탈 플레이트인 리어 플레이트 또는 백 커버에 접속되어 결과적으로 신호전류의 흐름이 스타트단자 및 점프접점을 경유하여 메탈 플레이트인 리어 플레이트 또는 백 커버로 이어진 후 다시 PCB 점프접점을 통해 곧바로 메인 PCB로 이어지게 되어 단자의 축소와 더불어 루프패턴의 확장효과로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할 수 있게 되어 무선통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리더기의 안테나와 연동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에 있어서,
메탈 플레이트와, 상기 메탈 플레이트에 오버랩되는 급전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시트는 상기 메탈 플레이트에 오버랩되는 플렉시블필름에 패터닝됨과 동시에 스타트단자 및 엔드단자를 지니면서 상기 메탈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점프접점을 통하여 상기 메탈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리더기의 안테나에 대향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시키는 루프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모듈을 고정시키는 프런트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받쳐주는 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조립되는 메인 PCB 및 배터리를 보호하면서 조립되는 백 커버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리더기의 안테나와 연동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내장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 또는 백 커버는 메탈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탈 플레이트에 오버랩되는 급전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급전시트는 상기 메탈 플레이트에 오버랩되는 플렉시블필름에 패터닝됨과 동시에 스타트단자 및 엔드단자를 지니면서 상기 메탈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점프접점을 통하여 상기 메탈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리더기의 안테나에 대향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시키는 루프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모듈을 고정시키는 프런트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받쳐주는 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조립되는 메인 PCB 및 배터리를 보호하면서 조립되는 백 커버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리더기의 안테나와 연동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내장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 또는 백 커버는 메탈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탈 플레이트에 오버랩되는 급전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시트는 상기 메탈 플레이트에 오버랩되는 플렉시블필름에 패터닝됨과 동시에 스타트단자를 지니면서 상기 메탈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점프접점을 통하여 상기 메탈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리더기의 안테나에 대향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시키는 루프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스타트단자 및 메탈 플레이트를 경유한 전류를 상기 메인 PCB에 출력할 수 있도록 이어주는 PCB 점프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신호전류의 흐름이 스타트단자 및 점프접점을 경유하여 메탈 플레이트로 이어진 후 다시 점프접점을 통해 엔드단자로 이어지게 되어 루프패턴의 확장효과로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루프패턴이 스타트단자 및 점프접점을 경유하여 메탈 플레이트로 이어진 후 다시 점프접점을 통해 엔드단자로 이어짐으로써 신호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어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리더기의 안테나와의 연동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 양자간 통신거리를 더 멀리 더 넓게 구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근거리 무선통신의 효율 또한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급전시트의 루프패턴과 함께 메탈 플레이트에 의해 방사된 신호전력이 리더기의 안테나에 대향하는 Z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자간 신호전력의 센터링을 극히 용이하게 하여 통신거리 및 통신넓이의 확대와 더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메탈 플레이트의 활용에 의해 무선통신 효율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더 큰 인식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신호전류의 흐름이 스타트단자 및 일측 점프접점을 경유하여 메탈 플레이트로 이어진 후 다시 타측 점프접점을 통해 엔드단자로 이어지게 되어 루프패턴의 확장효과로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할 수 있게 되어 무선통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기력뿐만 아니라 자기력에 의한 신호전력의 방사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개구부 및 오픈부를 비롯한 갭을 통해 신호전력의 방사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루프패턴이 스타트단자로부터 PCB 점프접점에 이르기까지 플렉시블필름에 패터닝되면서도 점프접점을 통해 이웃하는 메탈 플레이트인 리어 플레이트 또는 백 커버에 접속되어 결과적으로 신호전류의 흐름이 스타트단자 및 점프접점을 경유하여 메탈 플레이트인 리어 플레이트 또는 백 커버로 이어진 후 다시 PCB 점프접점을 통해 곧바로 메인 PCB로 이어지게 되어 단자의 축소와 더불어 루프패턴의 확장효과로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할 수 있게 되어 무선통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1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안테나가 이동 단말기의 후면커버에 부착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 1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탑재한 이동체 통신 단말을 나타내고, (A)는 케이싱의 이면도, (B)는 A-A 단면도.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 1인 안테나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설명도.
도 2c는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 1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코일패턴과 방사부재의 결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d는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 1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방사부재의 개구부의 주변에 생기는 유도 전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e는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 1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방사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흐르는 유도 전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f는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 1인 안테나 장치와 리더 라이터측 안테나의 자기적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는 실시예 1을 나타내고, (B)는 비교예를 나타냄.
도 2g는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 1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무선 신호가 UHF대인 경우의 동작 설명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리더기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리더기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리더기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리더기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의 신호전력의 방사 모습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이미지.
도 8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안테나 장치인 NFC의 성능을 시험한 그래프.
도 8b는 본 발명에 적용된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인 NFC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안테나 장치인 NFC의 성능 및 본 발명에 적용된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인 NFC의 성능을 비교한 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2b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리더기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리더기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리더기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리더기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는 도 3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리더기(T)의 안테나(A)와 연동되며, 메탈 플레이트(10) 그리고 메탈 플레이트(10)에 오버랩되는 급전시트(20)를 포함한다.
급전시트(20)는 메탈 플레이트(10)에 오버랩되는 플렉시블필름(21)에 패터닝됨과 동시에 스타트단자(23) 및 엔드단자(24)를 지니면서 메탈 플레이트(10)에 연결되는 점프접점(25)을 통하여 메탈 플레이트(10)와 함께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향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시키는 루프패턴(22)을 포함한다.
루프패턴(22)이 스타트단자(23)로부터 엔드단자(24)에 이르기까지 플렉시블필름(21)에 패터닝되면서도 점프접점(25)을 통해 이웃하는 메탈 플레이트(10)에 접속되어 결과적으로 신호전류의 흐름이 스타트단자(23) 및 점프접점(25)을 경유하여 메탈 플레이트(10)로 이어진 후 다시 점프접점(25)을 통해 엔드단자(24)로 이어지게 되어 루프패턴(22)의 확장효과로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할 수 있게 되어 무선통신 효율을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의 신호전력의 방사 모습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이미지이다.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패턴(22)이 스타트단자(23) 및 점프접점(25)을 경유하여 메탈 플레이트(10)로 이어진 후 다시 점프접점(25)을 통해 엔드단자(24)로 이어짐으로써 신호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어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리더기(T)의 안테나(A)와의 연동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 양자간 통신거리를 더 멀리 더 넓게 구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근거리 무선통신의 효율 또한 보장케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급전시트(20)의 루프패턴(22)과 함께 메탈 플레이트(10)에 의해 방사된 신호전력은 메탈 플레이트(10)의 평면상을 X축 및 Y축이라고 하였을 때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향하는 Z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자간 신호전력의 센터링을 극히 용이하게 하여 통신거리 및 통신넓이의 확대와 더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안테나 장치인 NFC의 성능을 시험한 그래프이고, 도 8b는 본 발명에 적용된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인 NFC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안테나 장치인 NFC의 성능은 13.56㎒의 주파수에서 -32.8029dB의 손실이 나타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인 NFC의 성능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3.56㎒의 주파수에서 -29.5390dB의 손실이 나타나, 양자간 차이인 약 -3.3dB로서 본 발명은 메탈 플레이트(10)의 활용에 의해 무선통신 효율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루프패턴(22)는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하여 NFC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안테나 장치인 NFC의 성능 및 본 발명에 적용된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인 NFC의 성능을 비교한 표이다.
근거리 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은 전자태그(RFID)의 일종으로 약 13.56㎒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비접촉식 무선통신 모듈이이며, 대략 10∼40㎝의 가까운 거리에서 리더기(T)의 안테나(A)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기술로서 각광받고 있으며, 데이터 읽기와 쓰기를 모두 이용할 수 있고, 블루투스처럼 기기간에 설정이 필요 없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H)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9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안테나 장치인 NFC의 인식거리는 28㎜에 불과하였지만 본 발명에 적용된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인 NFC의 인식거리는 31㎜로서 선행기술문헌 2 대비 상대적으로 더 큰 인식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라 메탈 플레이트(10)는 도 3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시트(20)를 위치시키는 개구부(11) 그리고 개구부(11)에 연통되는 오픈부(12)를 구비하면서 이들 개구부(11) 및 오픈부(12)에 의해 일측 플레이트 영역(13) 및 타측 플레이트 영역(14)으로 분할되도록 하여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리더기(T)의 안테나(A)와 더욱 활발하게 연동시켜 도 8b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 및 리더기(T)의 안테나(A) 상호간 통신거리를 더 멀리 더 넓게 구현토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의 효율을 더욱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점프접점(25)은 스타트단자(23)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일측 플레이트 영역(13)에 공급하도록 접속되는 일측 점프접점(25a)과, 일측 점프접점(25a) 및 일측 플레이트 영역(13)을 순차 경유한 전류를 엔드단자(24)에 공급하도록 타측 플레이트 영역(14)에 접속되는 타측 점프접점(25b)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전류의 흐름이 스타트단자(23) 및 일측 점프접점(25a)을 경유하여 메탈 플레이트(10)로 이어진 후 다시 타측 점프접점(25b)을 통해 엔드단자(24)로 이어지게 되어 루프패턴(22)의 확장효과로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할 수 있게 되어 무선통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급전시트(20)는 플렉시블필름(21)을 받쳐주는 자성시트(26)를 포함하여 전기력뿐만 아니라 자기력에 의한 신호전력의 방사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메탈 플레이트(10)로부터 갭(G)을 두고서 이격 위치되는 서브 메탈 플레이트(30)를 더 포함하여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 및 오픈부(12)를 비롯한 갭(G)을 통해 신호전력의 방사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11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는 도 10 내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모듈(D)을 고정시키는 프런트 프레임(F)과, 디스플레이모듈(D)을 받쳐주는 리어 플레이트(R)와, 리어 플레이트(R)에 조립되는 메인 PCB(P) 및 배터리(B)를 보호하면서 조립되는 백 커버(C)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리더기(T)의 안테나(A)와 연동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를 내장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기타 다른 구성들도 조립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상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리어 플레이트(R) 또는 백 커버(C)는 메탈 플레이트(10)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는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 또는 백 커버(C)에 오버랩되는 급전시트(20)를 포함하며, 이 중 급전시트(20)는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 또는 백 커버(C)에 오버랩되는 플렉시블필름(21)에 패터닝됨과 동시에 스타트단자(23) 및 엔드단자(24)를 지니면서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 또는 백 커버(C)에 연결되는 점프접점(25)을 통하여 메탈 플레이트(10)와 함께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향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시키는 루프패턴(2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플레이트(R)를 메탈 플레이트(10)로 제작토록 할 수 있고,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커버(C)를 메탈 플레이트(10)로 제작할 수 있으며, 리어 플레이트(R)가 메탈 플레이트(10)일 경우 급전시트(2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에 오버랩되는 플렉시블필름(21)에 패터닝됨과 동시에 스타트단자(23) 및 엔드단자(24)를 지니면서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에 연결되는 점프접점(25)을 통하여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와 함께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향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시키는 루프패턴(2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백 커버(C)가 메탈 플레이트(10)일 경우 급전시트(20)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 플레이트(10)인 백 커버(C)에 오버랩되는 플렉시블필름(21)에 패터닝됨과 동시에 스타트단자(23) 및 엔드단자(24)를 지니면서 메탈 플레이트(10)인 백 커버(C)에 연결되는 점프접점(25)을 통하여 메탈 플레이트(10)인 백 커버(C)와 함께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향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시키는 루프패턴(2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루프패턴(22)이 스타트단자(23)로부터 엔드단자(24)에 이르기까지 플렉시블필름(21)에 패터닝되면서도 점프접점(25)을 통해 이웃하는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 또는 백 커버(C)에 접속되어 결과적으로 신호전류의 흐름이 스타트단자(23) 및 점프접점(25)을 경유하여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 또는 백 커버(C)로 이어진 후 다시 점프접점(25)을 통해 엔드단자(24)로 이어지게 되어 루프패턴(22)의 확장효과로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할 수 있게 되어 무선통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7a 내지 도 7e를 활용하면, 루프패턴(22)이 스타트단자(23) 및 점프접점(25)을 경유하여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 또는 백 커버(C)로 이어진 후 다시 점프접점(25)을 통해 엔드단자(24)로 이어짐으로써 신호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어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리더기(T)의 안테나(A)와의 연동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 양자간 통신거리를 더 멀리 더 넓게 구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근거리 무선통신의 효율 또한 보장케 할 수 있다.
이때, 급전시트(20)의 루프패턴(22)과 함께 메탈 플레이트(10)에 의해 방사된 신호전력은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 및 백 커버(C)의 평면상을 X축 및 Y축이라고 하였을 때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향하는 Z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자간 신호전력의 센터링을 극히 용이하게 하여 통신거리 및 통신넓이의 확대와 더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루프패턴(22)은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하여 NFC로 활용될 수 있고, 도 9의 표에 나타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안테나 장치인 NFC의 인식거리는 28㎜에 불과하였지만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H)에 적용된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인 NFC의 인식거리는 31㎜로서 선행기술문헌 2 대비 상대적으로 더 큰 인식거리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 및 제 6 실시예에 따라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케이스 또는 백 커버(C)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시트(20)를 위치시키는 개구부(11) 그리고 개구부(11)에 연통되는 오픈부(12)를 구비하면서 이들 개구부(11) 및 오픈부(12)에 의해 일측 플레이트 영역(13) 및 타측 플레이트 영역(14)으로 분할되도록 하여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리더기(T)의 안테나(A)와 더욱 활발하게 연동시켜 도 8b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 및 리더기(T)의 안테나(A) 상호간 통신거리를 더 멀리 더 넓게 구현토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의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점프접점(25)은 스타트단자(23)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일측 플레이트 영역(13)에 공급하도록 접속되는 일측 점프접점(25a)과, 일측 점프접점(25a) 및 일측 플레이트 영역(13)을 순차 경유한 전류를 엔드단자(24)에 공급하도록 타측 플레이트 영역(14)에 접속되는 타측 점프접점(25b)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전류의 흐름이 스타트단자(23) 및 일측 점프접점(25a)을 경유하여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케이스 또는 백 커버(C)로 이어진 후 다시 타측 점프접점(25b)을 통해 엔드단자(24)로 이어지게 되어 루프패턴(22)의 확장효과로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할 수 있게 되어 무선통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급전시트(20)는 플렉시블필름(21)을 받쳐주는 자성시트(26)를 포함하여 전기력뿐만 아니라 자기력에 의한 신호전력의 방사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 플레이트(10)인 백 커버(C)로부터 갭(G)을 두고서 이격 위치되는 서브 메탈 플레이트(30)를 더 포함하여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 및 오픈부(12)를 비롯한 갭(G)을 통해 신호전력의 방사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는 도 10 그리고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모듈(D)을 고정시키는 프런트 프레임(F)과, 디스플레이모듈(D)을 받쳐주는 리어 플레이트(R)와, 리어 플레이트(R)에 조립되는 메인 PCB(P) 및 배터리(B)를 보호하면서 조립되는 백 커버(C)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리더기(T)의 안테나(A)와 연동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를 내장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기타 다른 구성들도 조립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상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리어 플레이트(R) 또는 백 커버(C)는 메탈 플레이트(10)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는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 또는 백커버에 오버랩되는 급전시트(20)를 포함하고, 이 중 급전시트(20)는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 또는 백 커버(C)에 오버랩되는 플렉시블필름(21)에 패터닝됨과 동시에 스타트단자(23)를 지니면서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 또는 백 커버(C)에 연결되는 점프접점(25)을 통하여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 또는 백 커버(C)와 함께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향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시키는 루프패턴(22)을 포함하고, 나아가 스타트단자(23) 및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 또는 백 커버(C)를 경유한 전류를 메인 PCB(P)에 출력할 수 있도록 이어주는 PCB 점프접점(J)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플레이트(R)를 메탈 플레이트(10)로 제작토록 할 수 있고,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커버(C)를 메탈 플레이트(10)로 제작할 수 있으며, 리어 플레이트(R)가 메탈 플레이트(10)일 경우 급전시트(20)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에 오버랩되는 플렉시블필름(21)에 패터닝됨과 동시에 스타트단자(23)를 지니면서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에 연결되는 점프접점(25) 및 PCB 점프접점(J)을 통하여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와 함께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향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시키는 루프패턴(2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백 커버(C)가 메탈 플레이트(10)일 경우 급전시트(20)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 플레이트(10)인 백 커버(C)에 오버랩되는 플렉시블필름(21)에 패터닝됨과 동시에 스타트단자(23)를 지니면서 메탈 플레이트(10)인 백 커버(C)에 연결되는 점프접점(25) 및 PCB 점프접점(J)을 통하여 메탈 플레이트(10)인 백 커버(C)와 함께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향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시키는 루프패턴(2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루프패턴(22)이 스타트단자(23)로부터 PCB 점프접점(J)에 이르기까지 플렉시블필름(21)에 패터닝되면서도 점프접점(25)을 통해 이웃하는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 또는 백 커버(C)에 접속되어 결과적으로 신호전류의 흐름이 스타트단자(23) 및 점프접점(25)을 경유하여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 또는 백 커버(C)로 이어진 후 다시 PCB 점프접점(J)을 통해 곧바로 메인 PCB(P)로 이어지게 되어 단자의 축소와 더불어 루프패턴(22)의 확장효과로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할 수 있게 되어 무선통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7a 내지 도 7e를 활용하면, 루프패턴(22)이 스타트단자(23) 및 점프접점(25)을 경유하여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 또는 백 커버(C)로 이어진 후 다시 PCB 점프접점(J)을 통해 메인 PCB(P)로 이어짐으로써 단자 수는 줄이면서도 신호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어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리더기(T)의 안테나(A)와의 연동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 양자간 통신거리를 더 멀리 더 넓게 구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근거리 무선통신의 효율 또한 보장케 할 수 있다.
이때, 급전시트(20)의 루프패턴(22)과 함께 메탈 플레이트(10)에 의해 방사된 신호전력은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플레이트(R) 및 백 커버(C)의 평면상을 X축 및 Y축이라고 하였을 때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향하는 Z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자간 신호전력의 센터링을 극히 용이하게 하여 통신거리 및 통신넓이의 확대와 더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루프패턴(22)은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하여 NFC로 활용될 수 있고, 도 9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안테나 장치인 NFC의 인식거리는 28㎜에 불과하였지만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H)에 적용된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인 NFC의 인식거리는 31㎜로서 선행기술문헌 2 대비 상대적으로 더 큰 인식거리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 및 제 8 실시예에 따라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케이스 또는 백 커버(C)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시트(20)를 위치시키는 개구부(11) 그리고 개구부(11)에 연통되는 오픈부(12)를 구비하면서 이들 개구부(11) 및 오픈부(12)에 의해 일측 플레이트 영역(13) 및 타측 플레이트 영역(14)으로 분할되도록 하여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리더기(T)의 안테나(A)와 더욱 활발하게 연동시켜 도 8b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 및 리더기(T)의 안테나(A) 상호간 통신거리를 더 멀리 더 넓게 구현토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의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신호전류의 흐름이 스타트단자(23) 및 일측 점프접점(25a)을 경유하여 메탈 플레이트(10)인 리어 케이스 또는 백 커버(C)로 이어진 후 다시 PCB 점프접점(J)을 통해 메인 PCB(P)로 이어지게 되어 루프패턴(22)의 확장효과로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할 수 있게 되어 무선통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급전시트(20)는 플렉시블필름(21)을 받쳐주는 자성시트(26)를 포함하여 전기력뿐만 아니라 자기력에 의한 신호전력의 방사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 플레이트(10)인 백 커버(C)로부터 갭(G)을 두고서 이격 위치되는 서브 메탈 플레이트(30)를 더 포함하여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 및 오픈부(12)를 비롯한 갭(G)을 통해 신호전력의 방사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테블릿 PC나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하고 있는 점프접점(일측 점프접점 및 타측 점프접점) 그리고 PCB 점프접점은 골드 와이어 본딩(Gold Wire Bond), 금 또는 은 도금, 금 또는 은 용접, 비아홀의 응용 접속, 핀 용접 등 다양하게 접속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다.
T : 리더기 A : 안테나
100 :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10 : 메탈 플레이트
11 : 개구부 12 : 오픈부
13 : 일측 플레이트 영역 14 : 타측 플레이트 영역
20 : 급전시트 21 : 플렉시블필름
22 : 루프패턴 23 : 스타트단자
24 : 엔드단자 25 : 점프접점
25a : 일측 점프접점 25b : 타측 점프접점
26 : 자성시트 G : 갭
30 : 서브 메탈 플레이트 H : 휴대 단말기
D : 디스플레이모듈 F : 프런트 프레임
R : 리어 플레이트 P : 메인 PCB
B : 배터리 C : 백 커버
J : PCB 점프접점

Claims (20)

  1.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리더기(T)의 안테나(A)와 연동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에 있어서,
    메탈 플레이트(10)와, 상기 메탈 플레이트(10)에 오버랩되는 급전시트(20)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시트(20)는 상기 메탈 플레이트(10)에 오버랩되는 플렉시블필름(21)에 패터닝됨과 동시에 스타트단자(23) 및 엔드단자(24)를 지니면서 상기 메탈 플레이트(10)에 연결되는 점프접점(25)을 통하여 상기 메탈 플레이트(10)와 함께 상기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향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시키는 루프패턴(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플레이트(10)는 상기 급전시트(20)를 위치시키는 개구부(11) 및 상기 개구부(11)에 연통되는 오픈부(12)를 구비하면서 상기 개구부(11) 및 오픈부(12)에 의해 일측 플레이트 영역(13) 및 타측 플레이트 영역(14)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프접점(25)은
    상기 스타트단자(23)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상기 일측 플레이트 영역(13)에 공급하도록 접속되는 일측 점프접점(25a)과,
    상기 일측 점프접점(25a) 및 일측 플레이트 영역(13)을 순차 경유한 전류를 상기 엔드단자(24)에 공급하도록 상기 타측 플레이트 영역(14)에 접속되는 타측 점프접점(25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시트(20)는 상기 플렉시블필름(21)을 받쳐주는 자성시트(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시트(20)의 루프패턴(22)과 함께 상기 메탈 플레이트(10)에 의해 방사된 신호전력은 상기 메탈 플레이트(10)의 평면상을 X축 및 Y축이라고 하였을 때 상기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향하는 Z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패턴(22)은 상기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하여 NFC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플레이트(10)로부터 갭(G)을 두고서 이격 위치되는 서브 메탈 플레이트(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
  8. 화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모듈(D)을 고정시키는 프런트 프레임(F)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D)을 받쳐주는 리어 플레이트(R)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R)에 조립되는 메인 PCB(P) 및 배터리(B)를 보호하면서 조립되는 백 커버(C)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리더기(T)의 안테나(A)와 연동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를 내장한 휴대 단말기(H)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R) 또는 백 커버(C)는 메탈 플레이트(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탈 플레이트(10)에 오버랩되는 급전시트(20)를 포함하며,
    상기 급전시트(20)는 상기 메탈 플레이트(10)에 오버랩되는 플렉시블필름(21)에 패터닝됨과 동시에 스타트단자(23) 및 엔드단자(24)를 지니면서 상기 메탈 플레이트(10)에 연결되는 점프접점(25)을 통하여 상기 메탈 플레이트(10)와 함께 상기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향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시키는 루프패턴(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H).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플레이트(10)는 상기 급전시트(20)를 위치시키는 개구부(11) 및 상기 개구부(11)에 연통되는 오픈부(12)를 구비하면서 상기 개구부(11) 및 오픈부(12)에 의해 일측 플레이트 영역(13) 및 타측 플레이트 영역(14)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H).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점프접점(25)은
    상기 스타트단자(23)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상기 일측 플레이트 영역(13)에 공급하도록 접속되는 일측 점프접점(25a)과,
    상기 일측 점프접점(25a) 및 일측 플레이트 영역(13)을 순차 경유한 전류를 상기 엔드단자(24)에 공급하도록 상기 타측 플레이트 영역(14)에 접속되는 타측 점프접점(25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H).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시트(20)는 상기 플렉시블필름(21)을 받쳐주는 자성시트(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H).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시트(20)의 루프패턴(22)과 함께 상기 메탈 플레이트(10)에 의해 방사된 신호전력은 상기 메탈 플레이트(10)의 평면상을 X축 및 Y축이라고 하였을 때 상기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향하는 Z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H).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패턴(22)은 상기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하여 NFC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H).
  14.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플레이트(10)로부터 갭(G)을 두고서 이격 위치되는 서브 메탈 플레이트(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H).
  15. 화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모듈(D)을 고정시키는 프런트 프레임(F)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D)을 받쳐주는 리어 플레이트(R)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R)에 조립되는 메인 PCB(P) 및 배터리(B)를 보호하면서 조립되는 백 커버(C)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리더기(T)의 안테나(A)와 연동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100)를 내장한 휴대 단말기(H)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R) 또는 백 커버(C)는 메탈 플레이트(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탈 플레이트(10)에 오버랩되는 급전시트(20)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시트(20)는 상기 메탈 플레이트(10)에 오버랩되는 플렉시블필름(21)에 패터닝됨과 동시에 스타트단자(23)를 지니면서 상기 메탈 플레이트(10)에 연결되는 점프접점(25)을 통하여 상기 메탈 플레이트(10)와 함께 상기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향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신호전력을 극대화시켜 방사시키는 루프패턴(22)을 포함하고,
    상기 스타트단자(23) 및 메탈 플레이트(10)를 경유한 전류를 상기 메인 PCB(P)에 출력할 수 있도록 이어주는 PCB 점프접점(J)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H).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플레이트(10)는 상기 급전시트(20)를 위치시키는 개구부(11) 및 상기 개구부(11)에 연통되는 오픈부(12)를 구비하면서 상기 개구부(11) 및 오픈부(12)에 의해 일측 플레이트 영역(13) 및 타측 플레이트 영역(14)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H).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시트(20)는 상기 플렉시블필름(21)을 받쳐주는 자성시트(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H).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시트(20)의 루프패턴(22)과 함께 상기 메탈 플레이트(10)에 의해 방사된 신호전력은 상기 메탈 플레이트(10)의 평면상을 X축 및 Y축이라고 하였을 때 상기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향하는 Z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H).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패턴(22)은 상기 리더기(T)의 안테나(A)에 대하여 NFC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H).
  20. 제 15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플레이트(10)로부터 갭(G)을 두고서 이격 위치되는 서브 메탈 플레이트(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H).
KR1020150020600A 2015-02-11 2015-02-11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 KR101572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600A KR101572022B1 (ko) 2015-02-11 2015-02-11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
PCT/KR2015/005978 WO2016129752A1 (ko) 2015-02-11 2015-06-12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
CN201510570445.8A CN105870575A (zh) 2015-02-11 2015-09-09 近距离无线通信天线和便携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600A KR101572022B1 (ko) 2015-02-11 2015-02-11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022B1 true KR101572022B1 (ko) 2015-11-26

Family

ID=5484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600A KR101572022B1 (ko) 2015-02-11 2015-02-11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72022B1 (ko)
CN (1) CN105870575A (ko)
WO (1) WO201612975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163A (ko) * 2016-11-28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116959A1 (ko) * 2018-12-06 2020-06-11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4199A (ja) * 2003-06-06 2004-12-24 Sony Corp アンテナ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型通信端末
KR20130134759A (ko) * 2012-05-31 2013-12-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이중 모드 안테나용 인쇄 회로 기판, 이중 모드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US20160020516A1 (en) * 2013-02-14 2016-01-21 Amotech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Same
WO2014126418A1 (ko) * 2013-02-14 2014-08-21 주식회사 아모텍 무선통신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KR20140021694A (ko) * 2014-02-03 2014-02-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이중모드 안테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163A (ko) * 2016-11-28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73516B1 (ko) 2016-11-28 2023-09-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116959A1 (ko) * 2018-12-06 2020-06-11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68904A (ko) * 2018-12-06 2020-06-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233321B2 (en) 2018-12-06 2022-01-25 Dongwoo Fine-Chem Co., Ltd. Antenna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55588B1 (ko) * 2018-12-06 2022-10-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9752A1 (ko) 2016-08-18
CN105870575A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6602B2 (en) Mobile terminal and coil antenna module
KR101318707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동체 통신 단말
US8907859B2 (en) Edge-emitting antennas for ultra slim wireless mobile devices
JP5924006B2 (ja) アンテナ装置
KR101574322B1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다중 안테나
JP6256600B2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554129B1 (ko) 무선통신용 플렉시블 회로기판
KR101604759B1 (ko) 안테나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이동 단말기
KR101649259B1 (ko) 무선통신용 플렉시블 회로기판
US10164336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706628B1 (ko) 휴대단말기용 무선 충전모듈
KR101554133B1 (ko) 무선통신용 플렉시블 회로기판
JPWO2011158844A1 (ja) 通信端末機器及びアンテナ装置
WO2014167812A1 (ja) アンテナ、アンテナ装置および通信装置
US10270155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572022B1 (ko)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
CN110277642A (zh) 移动终端
JP6701948B2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60078843A (ko) 무선통신용 플렉시블 회로기판
KR101640023B1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
KR101785295B1 (ko) 휴대단말기용 루프안테나
JP4807464B1 (ja) アンテナ装置
KR101465441B1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fpcb 세트
KR101723843B1 (ko) 휴대 단말기
KR101709477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