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693B1 - 클라미디아 감염증 예방 치료제 - Google Patents

클라미디아 감염증 예방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693B1
KR102305693B1 KR1020167032076A KR20167032076A KR102305693B1 KR 102305693 B1 KR102305693 B1 KR 102305693B1 KR 1020167032076 A KR1020167032076 A KR 1020167032076A KR 20167032076 A KR20167032076 A KR 20167032076A KR 102305693 B1 KR102305693 B1 KR 102305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ection
day
lactobacillus casei
lcs
admin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2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454A (ko
Inventor
타카시 아사하라
아키라 타카하시
코지 노모토
타카시 쿠라카와
쇼이치 카도
노리카츠 유키
타쿠야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르트 혼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르트 혼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르트 혼샤
Publication of KR20170002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45Lactobacillus casei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docri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안전성이 높아 장기 투여 가능한 클라미디아 감염증 예방 치료제인 락토바실러스·카제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클라미디아 감염증 예방 치료제.

Description

클라미디아 감염증 예방 치료제{AGEN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LAMYDIA INFECTION}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카제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클라미디아 감염증 예방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클라미디아 감염증은 클라미디아속의 미생물이 인두나 성기에 감염됨으로써 야기되는 질환이다. 특히, 여성이 감염되었을 경우에는 자궁경부염이나 골반내 염증성 질환 등을 수반하고, 중독한 경우 난관장해에 의한 불임의 원인이 된다.
또한, 클라미디아 감염증은 자각 증상이 거의 없는 경우가 있고, 클라미디아 감염증을 알아차리지 못한 채 임신하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 유산·조산의 리스크가 높아지는 것이 큰 사회 문제가 되어 있다. 또한, 이 클라미디아 감염증은 젊은이를 중심으로 감염자 수가 증대되어 있는 것으로 추측되지만, 자각 증상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치료를 하고 있지 않은 환자가 많고, 감염을 알아차리지 못한 채 성교섭을 행하여 감염을 확대시켜버리는 것이 큰 사회 문제가 되어 있다.
지금까지 클라미디아 감염증의 예방이나 치료 방법에 대해서 여러 가지로 검토되고, 예를 들면 클라미디아속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약이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클라미디아속의 미생물은 세포 내 기생균인 점에서 지속 감염되기 쉽고, 항균약이 듣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클라미디아속의 미생물을 완전히 사멸시키기 위해서는 장기 투여가 바람직하지만, 일반적으로 항균약에는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장기 투여에는 적합하지 않은 경우도 많다.
일본 특허공개 평 9-216824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성이 높고, 장기 투여 가능한 클라미디아 감염증 예방 치료제 및 클라미디아 감염증에 기인하는 불임증의 개선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락토바실러스·카제이를 투여함으로써 클라미디아 감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가 가능한 것을 발견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러스·카제이를 투여함으로써 클라미디아 감염증에 기인하는 불임증도 개선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카제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클라미디아 감염증 예방 치료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카제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클라미디아 감염증에 기인하는 불임증의 개선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미디아 감염증 예방 치료제 제조를 위한 락토바실러스·카제이의 사용, 클라미디아 감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락토바실러스·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카제이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미디아 감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미디아 감염증에 기인하는 불임증의 개선제 제조를 위한 락토바실러스·카제이의 사용, 클라미디아 감염증에 기인하는 불임증의 개선을 위한 락토바실러스·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카제이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미디아 감염증에 기인하는 불임증의 개선 방법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클라미디아 감염증 예방 치료제는 락토바실러스·카제이를 유효 성분으로 해서 경구 투여 또는 감염 개소로의 직접 투여에 의해 클라미디아 감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가 가능한 우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클라미디아에 기인하는 불임증의 개선제는 락토바실러스·카제이를 유효 성분으로 해서 경구 투여 또는 감염 개소로의 직접 투여에 의해 클라미디아에 기인하는 불임증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불임증이란 임신을 희망하여 일정 기간의 성생활을 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성립하지 않는 상태와, 임신해도 유산이나 조산에 의해 태아가 출산까지 성장하지 않는 상태의 양쪽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불임증의 개선제는 암컷의 개체의 출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출산율이란 수컷의 개체와 교배시킨 복수의 암컷의 개체 중 정상으로 출산한 암컷의 개체의 비율을 말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 측정된 질 내의 클라미디아의 균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 있어서 산출된 마우스의 출산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클라미디아 감염증 예방 치료제 및 불임증의 개선제(이하, 모두 「본 발명 예방 치료제」라고 한다)의 유효 성분이 되는 락토바실러스·카제이(Lactobacillus casei)는 이것으로 분류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시판되어 있는 것, ATCC 등의 기탁 기관에 기탁되어 있는 것, 새롭게 발견된 것 또는 그들의 변이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락토바실러스·카제이로서는, 예를 들면 락토바실러스·카제이 YIT 9018, 락토바실러스·카제이 YIT 9029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락토바실러스·카제이 중에서도 락토바실러스·카제이 YIT 9029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카제이에는 과산화수소의 생산 능력은 없고, 안전성이 높은 것이다.
상기 락토바실러스·카제이 중 락토바실러스·카제이 YIT 9029는 본 출원인이 이미 1987년 5월 18일자로 통상산업성 공업기술원 미생물공업기술연구소(또한, 상기 미생물공업기술연구소는 현재에는 독립행정법인 제품평가기술기반기구 특허생물기탁센터가 되어 신주소 일본국 치바켄 키사라즈시 카즈사카마타리 2쵸메 5반치 8 120고시쯔(우편번호 292-0818)로 이전되어 있다)에 FERM BP-1366으로서 기탁하고 있다.
또한, 락토바실러스·카제이 YIT 9018에 대해서도 본 출원인이 이미 1984년 11월 14일자로 통상산업성 공업기술원 미생물공업기술연구소(또한, 상기미생물공업기술연구소는 현재에는 독립행정법인 제품평가기술기반기구 특허생물기탁센터가 되어 신주소 일본국 치바켄 키사라즈시 카즈사카마타리 2쵸메 5반치 8 120고시쯔(우편번호 292-0818)로 이전되어 있다)에 FERM BP-665로서 기탁하고 있다.
본 발명 예방 치료제에 있어서의 상기 락토바실러스·카제이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균체 또는 균체 파쇄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균체의 경우 생균, 사균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 예방 치료제에 있어서의 락토바실러스·카제이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후기하는 제형에 맞춘 양으로 하면 좋지만, 예를 들면 생균으로 1×107~1×1013 CFU를 들 수 있다. 또한, 사균의 경우에는 생균수가 1×107~1×1013 CFU인 것을 가열 등에 의해 사균화하면 좋다. 또한, 그 투여 시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감염 전부터 예방을 목적으로서 투여할 수도 있고, 감염 후에 치료를 목적으로서 투여할 수도 있지만, 클라미디아에 감염된 후에 임신했을 경우 유산·조산의 리스크가 높아지기 때문에 임신 전이며, 또한 감염 전부터 예방을 목적으로 해서 본 발명의 예방 치료제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투여 기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감염 7일전 이전부터 계속해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감염 후 3일간 이상 계속해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 기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2주간의 계속 투여를 예시할 수 있고, 1일당 투여 횟수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일 1~3회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불임증의 개선제로서 투여하는 경우에는 상기 예방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투여하면 좋다.
본 발명 예방 치료제는 상기 락토바실러스·카제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있으면 좋으므로 락토바실러스·카제이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조합시켜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글루코오스, 유당, 수크로오스, 전분, 만니톨, 덱스트린, 지방산 글리세리드, 폴리에틸렌글리콜, 히드록시에틸 전분, 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아미노산, 젤라틴, 알부민, 물, 생리 식염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결합제, 등장화제, 부형제 등의 관용의 첨가제를 적당히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예방 치료제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액제, 분제, 과립제, 캅셀제, 정제, 좌제, 외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제형의 본 발명 예방 치료제는 유산균을 사용한 공지의 제제의 조제법에 따라서 조제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본 발명 예방 치료제는 클라미디아·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 클라미디아·뮤리다럼(Chlamydia muridarum) 등의 클라미디아속의 미생물에 의해 일어나는 클라미디아 감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불임증의 개선제는 클라미디아 감염증에 기인하는 불임증을 개선하여 출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예방 치료제는 경구 투여이어도 경질 투여 등의 비경구 투여 중 어느 것이어도 효과가 있기 때문에 투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투여가 용이하며, 장기 투여에 적합하기 때문에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또한, 락토바실러스·카제이를 소정량 식품에 함유시킴으로써 클라미디아 감염증 예방 치료 작용을 나타내는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즉, 최종 제품에 클라미디아 감염증 예방 치료 작용을 부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식품 첨가물(원료)로서 락토바실러스·카제이를 사용하는 것이며, 락토바실러스·카제이를 함유하는 클라미디아 감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식품 첨가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식품 첨가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락토바실러스·카제이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균체 또는 균체 파쇄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균체의 경우 생균, 사균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식품 첨가용 조성물을 첨가한 최종 제품 중의 락토바실러스·카제이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생균으로 1×107~1×1013 CFU를 들 수 있다. 또한, 사균의 경우에는 생균수가 1×107~1×1013 CFU인 것을 가열 등에 의해 사균화하면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락토바실러스·카제이균액의 제작:
락토바실러스·카제이 YIT 9029(이하,「LcS」라고 한다)를 10㎖의 MRS 배지에서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4℃, 5,000g, 5분간의 조건에서 sucrose-phosphate gultamate buffer(이하, 「SPG 완충액」이라고 한다: 수크로오스 75g/L, L-글루탐산 0.72g/L, 인산 수소2나트륨 12H2O 6.148g/L, 인산 2수소칼륨 0.247g/L, 증류수, pH 7.0) 완충액으로 2회 원심 세정했다. 상청을 제거하고, 1㎖와 10㎖의 SPG 완충액에 재현탁하여 LcS균액을 제작했다. 1㎖의 SPG 완충액에 재현탁한 것은 경질 투여용(LcS 생균수: 1×1010 CFU/㎖)으로 하고, 10㎖의 SPG 완충액에 재현탁한 것은 경구 투여용(LcS 생균수: 1×109 CFU/㎖)으로 했다. 또한, 경질 투여용 및 경구 투여용의 LcS균액을 100℃, 30분간 가열해서 가열 사균액을 제작했다.
참고 제조예 1
락토바실러스·존스니의 균액의 제작
LcS를 락토바실러스·존스니 YIT 0219T(락토바실러스·존스니 기준주: 이하, 「Lj」라고 한다)로 대신하는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Lj균액을 제작했다.
실시예 1
LcS의 투여에 의한 클라미디아 감염증의 예방·치료:
(1) 감염균의 조제
10% 소 태아 혈청을 첨가한 DMEM 배지에서 배양한 McCoy 세포(4×105cells/㎖)의 현탁액을 24구멍 플레이트에 1㎖씩 나누어서 주입하고,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37℃, 24시간 배양했다. 배양 세포 1㎖당 1×105cells의 클라미디아·뮤리다럼(C. muridarum) ATCC VR123T(이하, 「MoPn」이라고 한다)를 감염시킨 후 원심 분리해서 상청을 제거 후 1㎍/㎖가 되도록 cycloheximide를 첨가한 DMEM 배지를 첨가하고, CO2 인큐베이터 내 37℃에서 72시간 배양했다. MoPn 감염 세포를 박리하여 원심 분리해서 얻어진 침전을 SPG 완충액에 현탁했다. MoPn 감염 세포를 초음파 처리(28㎑, 5초, 10회)하고, 원심 분리해서 상청을 분취했다. 상청 중의 MoPn을 4℃, 15,000g, 1시간의 조건으로 SPG 완충액으로 2회 원심 세정한 후 SPG 완충액에 현탁해서 감염액(1×108cells/㎖)을 제작했다.
(2) 마우스로의 MoPn 감염
암컷 마우스의 성주기의 조정을 위해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2.5mg의 프로게스테론(루테움 주입: ASKA Pharmaceutical Co., Ltd.)을 피하에 투여했다. 이 성주기를 조정한 마우스에 상법에 따라서 솜노펜틸로 마취를 행했다. 이 마취 하의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10㎕(MoPn 균수: 1×106cells)의 감염액을 질 내에 주입해서 마우스에게 MoPn을 감염시켰다.
(3) 균액의 투여(각 군은 6마리)
[LcS 생균 경질 투여군]
솜노펜틸 마취 하에서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경질 투여용의 LcS균액 10㎕(1×108 CFU)를 감염 7일 전부터 감염 후 3일째까지 연일 1일 1회 질 내로 투여했다.
[LcS 사균 경질 투여군]
솜노펜틸 마취 하에서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경질 투여용의 LcS 가열 사균액 10㎕를 감염 7일 전부터 감염 후 3일째까지 연일 1일 1회 질 내에 투여했다. LcS 가열 사균액 10㎕는 가열 전의 LcS 생균수가 1×108 CFU의 것이다.
[Lj 생균 경질 투여군]
솜노펜틸 마취 하에서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참고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경질 투여용의 Lj균액 10㎕(1×108 CFU)를 감염 7일 전부터 감염 후 3일째까지 연일 1일 1회 질 내로 투여했다.
[대조 경질 투여군]
솜노펜틸 마취 하에서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10㎕의 SPG 완충액을 감염 7일전부터 감염 후 3일째까지 연일 1일 1회 경질 투여했다.
[LcS 생균 경구 투여군]
손가락으로 보정(保定)한 마우스에 위관을 사용해서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경구 투여용의 LcS균액 100㎕(1×108 CFU)를 감염 7일 전부터 감염 후 3일째까지 연일 1일 1회 경구 투여했다.
[LcS 사균 경구 투여군]
손가락으로 보정한 마우스에 위관을 사용해서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경구 투여용의 LcS 가열 사균액 100㎕를 감염 7일 전부터 감염 후 3일째까지 연일 1일 1회 경구 투여했다. LcS 가열 사균액 100㎕는 가열 전의 LcS 생균수가 1×108 CFU인 것이다.
[Lj 생균 경구 투여군]
손가락으로 보정한 마우스에 위관을 사용해서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참고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경구 투여용의 Lj균액 100㎕(1×108 CFU)를 감염 7일 전부터 감염 후 3일째까지 연일 1일 1회 경구 투여했다.
[대조 경구 투여군]
손가락으로 보정한 마우스에 위관을 사용해서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SPG 완충액 100㎕을 감염 7일 전부터 감염 후 3일째까지 연일 1일 1회 경구 투여했다.
(4) MoPn의 균수의 측정
MoPn 감염 후 3일째에 상법에 따라서 솜노펜틸 마취 하에서 탈혈사시킨 마우스로부터 무균적으로 질 조직을 채취해서 SPG 완충액에 부유시킨 후 -80℃에서 동결 보존했다. 이것을 실온에서 용해해서 호모지나이즈한 후 그 파쇄액의 200㎕를 400㎕의 RNAprotect가 들어간 튜브(정량적 RT-PCR용: Qiagen)로 분취하고, RNA 추출을 행했다. 그 후 Qiagen Onestep RT-PCR kit와 클라미디아·트라코마티스 및 클라미디아·뮤리다럼 특이적 프라이머를 사용한 정량적 RT-PCR법에 의해 측정했다. 보다 상세하게는, 50℃, 30분, 95℃, 15분으로 역전사 반응을 행하고, 94℃, 20초, 55℃, 20초, 72℃, 50초를 1사이클로 해서 45사이클 행했다. 또한, 클라미디아·트라코마티스 및 클라미디아·뮤리다럼 특이적 프라이머의 염기 서열은 포워드 프라이머: TGCATAGATAATTTGTCCTTAACTTG(서열 번호 1), 리버스 프라이머: CGAGATTTGACAACTAACTTACCT(서열 번호 2)이다.
(5) 통계학적 해석
각 군의 MoPn 균수의 평균값 및 표준 편차를 산출하고, 대조군에 대한 투여 군의 통계학적 유의성을 non-parametric Mann-Whitney's U test, 각 군의 통계학적 차이를 다중 비교법(Bonferroni)에 의해 검정했다. 또한, 통계 소프트에는 SPSS Ver. 11(SPSS INC.)을 사용하여 어느 검정에 있어서도 유의 수준은 양측 검정에서 5%로 했다.
(6) 결과
질 내의 MoPn의 균수를 측정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
LcS 생균 경질 투여군에서는 대조 경질 투여군에 비해 질 내의 MoPn 균수가 유의하게 저값이었다(P<0.01). LcS 사균 경질 투여군에도 LcS 생균 경질 투여군과 같은 정도의 유의한 감염 방어 작용이 확인되었다(P<0.01). 한편, Lj 생균 경질 투여군에는 MoPn의 질 내 감염에 대한 감염 방어 작용은 확인되지 않았다. 도 1 중의 **은 P<0.01을 나타낸다.
LcS 생균 경구 투여군에 있어서도 대조 경구 투여군에 비교해서 질 내의 MoPn균수가 유의하게 저값이며(P<0.05), MoPn의 질 내 감염에 대한 감염 방어 작용이 확인되었다. 또한, LcS 사균 경구 투여군에도 LcS 생균 경구 투여군과 같은 정도의 유의한 감염 방어 작용이 확인되었다(P<0.05). 한편, Lj 생균 경구 투여군에는 MoPn의 질 내 감염에 대한 감염 방어 작용은 확인되지 않았다. 도 1 중의 *은 P<0.05를 나타낸다.
실시예 2
LcS의 투여에 의한 마우스 출산율의 개선:
(1) 마우스로의 MoPn 감염
암컷 마우스의 성주기의 조정을 위해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2.5mg의 프로게스테론(루테룸 주입: ASKA Pharmaceutical Co., Ltd.)을 피하에 투여했다. 이 성주기를 조정한 마우스에 상법에 따라서 솜노펜틸로 마취를 행했다. 이 마취 하의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10㎕(MoPn 균수: 1×106cells)의 실시예 1에서 조제한 감염액을 질 내에 주입하여 마우스에 MoPn을 감염시켰다.
(2) 균액의 투여(각 군은 20마리)
[LcS 생균 경질 투여군]
솜노펜틸 마취 하에서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경질 투여용의 LcS균액 10㎕(1×108 CFU)를 감염 7일 전부터 감염 후 3일째까지 연일 1일 1회 질 내로 투여했다.
[대조 경질 투여군]
솜노펜틸 마취 하에서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10㎕의 SPG 완충액을 감염 7일 전부터 감염 후 3일째까지 연일 1일 1회 경질 투여했다.
[LcS 생균 경구 투여군]
손가락으로 보정한 마우스에 위관을 사용해서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경구 투여용의 LcS균액 100㎕(1×108 CFU)를 감염 7일 전부터 감염 후 3일째까지 연일 1일 1회 경구 투여했다.
[대조 경구 투여군]
손가락으로 보정한 마우스에 위관을 사용해서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100㎕의 SPG 완충액을 감염 7일 전부터 감염 후 3일째까지 연일 1일 1회 경구 투여했다.
(3) 마우스의 교배
MoPn 감염 3일째의 마우스를 수컷 1:암컷 1로 5일간 동일 케이지에서 사육하고, 암컷 마우스에 비감염의 수컷 마우스를 교배시켰다. 교배 다음날로부터 교배 종료시까지 매일 조석으로 임신의 지표가 되는 플러그(암컷의 질구에 부착되는 백랍형상 물질)의 확인을 실시했다. 플러그가 확인된 개체는 자웅을 분리하고, 1케이지에 대하여 1마리 사육의 조건으로 감염 32일째까지의 암컷 마우스의 출산의 유무를 관찰했다.
(4) 통계학적 해석
출산율은 Fisher's exact test에 의해 검정했다. 또한, 통계 소프트에는 SPSS Ver. 11(SPSS INC.)을 사용하고, 유의 수준은 양측 검정에서 5%로 했다.
(5) 결과
마우스의 출산의 유무로부터 산출한 출산율을 도 2에 나타냈다. 감염 대조군에서는 출산율은 20%(20마리 중 4마리)이었다. 한편, LcS 경질 투여군의 출산율은 75%(20예 중 15예)이며, MoPn 감염 마우스의 불임증에 대한 현저한 개선 작용이 확인되었다(Pl=0.0012). 또한, LcS 경구 투여군에 있어서도 MoPn 감염 마우스의 불임증에 대한 유의한 개선 작용이 확인되었다(출산율 55%[20예 중 11예], P=0. 0483).
실시예 3
LcS의 투여에 수반하는 클라미디아균수의 추이:
(1) 마우스로의 MoPn 감염
암컷 마우스의 성주기의 조정을 위해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2.5mg의 프로게스테론(루테룸 주입: ASKA Pharmaceutical Co., Ltd.)을 피하에 투여했다. 이 성주기를 조정한 마우스에 상법에 따라서 솜노펜틸로 마취를 행했다. 이 마취 하의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10㎕(MoPn 균수: 1×106cells)의 실시예 1에서 조제한 감염액을 질 내에 주입하여 마우스에 MoPn을 감염시켰다.
(2) 균액의 투여(각 군은 6마리)
[LcS 생균 경질 투여군]
솜노펜틸 마취 하에서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경질 투여용의 LcS균액 10㎕(1×108CFU)를 감염 7일전부터 감염 후 3일째까지 연일 1일 1회 질 내로 투여했다.
[대조 경질 투여군]
솜노펜틸 마취 하에서 마우스 1마리에 대해서 10㎕의 SPG 완충액을 감염 7일전으로부터 감염후 3일째까지 연일 1일 1회 경질 투여했다.
[LcS 생균 경구 투여군]
손가락으로 보정한 마우스에 위관을 사용해서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경구 투여용의 LcS균액 100㎕(1×108 CFU)를 감염 7일 전부터 감염 후 3일째까지 연일 1일 1회 경구 투여했다.
[대조 경구 투여군]
손가락으로 보정한 마우스에 위관을 사용해서 마우스 1마리에 대하여 100㎕의 SPG 완충액을 감염 7일 전부터 감염 후 3일째까지 연일 1일 1회 경구 투여했다.
(3) MoPn의 균 수의 측정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MoPn 감염 후 21일째에 마우스의 질 조직을 채취하여 질 내의 MoPn 균수를 측정했다.
(4) 결과
대조 경질 투여군에서는 감염 후 21일째에 있어서도 6마리 중 3마리로부터 1×105cells/g의 MoPn이 검출되었다. 한편, LcS 생균 경질 투여군에서는 LcS균액의 투여는 감염 후 3일째까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가 지속되어 감염 후 21일째에는 전체 마리로부터 MoPn이 검출되지 않게 되었다.
또한, 대조 경구 투여군에서는 감염 후 21일째에 있어서도 6마리 중 3마리로부터 1×105cells/g의 MoPn이 검출되었다. 한편, LcS 생균 경구 투여군에서는 LcS균액의 투여는 감염후 3일째까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가 지속되어 감염 후 21일째에는 6마리 중 5마리로부터 MoPn이 검출되지 않게 되었다.
본 발명의 클라미디아 감염증 예방 치료제는 클라미디아 감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불임증의 개선제는 클라미디아 감염증에 기인하는 불임증을 개선하여 출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SEQUENCE LISTING <110> Kabushiki Kaisha Yakult Honsha <120> MEDICINE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CHLAMYDIAL INFECTION <130> PF-150002-WO <150> JP2014-101200 <151> 2014-05-15 <160> 2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 tgcatagata atttgtcctt aacttg 26 <210> 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 cgagatttga caactaactt acct 24

Claims (12)

  1. 락토바실러스·카제이만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경구 투여용인 클라미디아 감염증 예방 치료제.
  2. 제 1 항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카제이가 락토바실러스·카제이 YIT 9029(FERM BP-1366)인 클라미디아 감염증 예방 치료제.
  3. 삭제
  4. 락토바실러스·카제이만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경구 투여용인 클라미디아 감염증에 기인하는 불임증의 개선제.
  5. 제 4 항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카제이가 락토바실러스·카제이 YIT 9029(FERM BP-1366)인 불임증의 개선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7032076A 2014-05-15 2015-05-14 클라미디아 감염증 예방 치료제 KR102305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01200 2014-05-15
JP2014101200 2014-05-15
PCT/JP2015/063858 WO2015174481A1 (ja) 2014-05-15 2015-05-14 クラミジア感染症予防治療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454A KR20170002454A (ko) 2017-01-06
KR102305693B1 true KR102305693B1 (ko) 2021-09-28

Family

ID=5448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076A KR102305693B1 (ko) 2014-05-15 2015-05-14 클라미디아 감염증 예방 치료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196917A1 (ko)
EP (1) EP3146975B1 (ko)
JP (1) JP6483098B2 (ko)
KR (1) KR102305693B1 (ko)
CN (1) CN106659745B (ko)
WO (1) WO20151744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3474A1 (en) * 2016-07-11 2018-01-18 Hennepin Life Sciences, Llc Compositions for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CN109922815A (zh) * 2016-10-28 2019-06-21 株式会社益力多本社 无病率降低抑制剂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0045A (zh) * 2011-03-02 2011-07-13 润盈生物工程(上海)有限公司 含益生菌的女性卫生用品及其制备方法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3976B2 (ja) 1995-12-08 2007-08-22 株式会社カネカ クラミジア感染症治療剤
JP4512228B2 (ja) * 2000-03-24 2010-07-28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尿路感染症予防治療剤
JP4667568B2 (ja) * 2000-09-01 2011-04-13 ハウスウェルネスフーズ株式会社 免疫増強組成物
EP2206506A1 (en) * 2008-12-18 2010-07-14 Bracco Imaging S.p.A Probiotic formulations
US9492487B2 (en) * 2010-02-01 2016-11-15 Matthew Ryan Garner Microbial product containing multiple microorganis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0045A (zh) * 2011-03-02 2011-07-13 润盈生物工程(上海)有限公司 含益生菌的女性卫生用品及其制备方法和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96917A1 (en) 2017-07-13
JPWO2015174481A1 (ja) 2017-04-20
WO2015174481A1 (ja) 2015-11-19
EP3146975B1 (en) 2019-10-02
JP6483098B2 (ja) 2019-03-13
KR20170002454A (ko) 2017-01-06
EP3146975A4 (en) 2018-01-31
CN106659745A (zh) 2017-05-10
CN106659745B (zh) 2020-05-22
EP3146975A1 (en)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405B1 (ko)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13583A2 (en) Medicinal vaginal lactobacillus cocktail
Nader-Macías et al. Profiles and technological requirements of urogenital probiotics
JP6587614B2 (ja) プロバイオティクスとしてのラクトバチルス属の菌株
Matur et al. The impact of probiotics on the gastrointestinal physiology
WO2013093941A2 (en) Compositions comprising probiotic lactobacillus strains for improved vaginal health
US20210338749A1 (en) Methods of treatment of inflammatory conditions and associated infections
Lamine et al. Colonic responses to Lactobacillus farciminis treatment in trinitrobenzene sulphonic acid-induced colitis in rats
KR102305693B1 (ko) 클라미디아 감염증 예방 치료제
CN113207282A (zh) 用于治疗癌症的包含副拟杆菌属细菌菌株的组合物
US10456430B1 (en) Lactobacillus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acterial vaginosis
KR20160053445A (ko)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30016298A (ko) 칸디다증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US9827319B2 (en) Combined therapy and prophylaxis for genital tract infections
CN114250186A (zh) 一株缓解细菌性阴道炎的格氏乳杆菌及其应用
EP3021858B1 (fr) Souche cu1 pour traitement et/ou prevention d&#39;un rhumatisme inflammatoire chronique
CA3230059A1 (en) Use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parkinson&#39;s disease
Saradhai et al. Probiotics For Women’s Reproductive Health
WO2023168275A1 (en) Vaginal live bio-therapeu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IT201800006431A1 (it) Composizione di lactobacillus per la prevenzione e il trattamento della vaginosi batterica
Singh et al. Probiotics: defenders of gastrointestinal habitats
Heuvelin et al. Mechanisms Involved in Alleviation of Intestinal Inflammation by
Johannsen Vaginal disorders and probiotics: clinical
KR19990011689A (ko) 락트산 간균을 함유한 질염 치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