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688B1 -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및 스마트 전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및 스마트 전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688B1
KR102305688B1 KR1020210049635A KR20210049635A KR102305688B1 KR 102305688 B1 KR102305688 B1 KR 102305688B1 KR 1020210049635 A KR1020210049635 A KR 1020210049635A KR 20210049635 A KR20210049635 A KR 20210049635A KR 102305688 B1 KR102305688 B1 KR 102305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s
information
tube body
bending
las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현
Original Assignee
이노머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머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머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9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with program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combined with measuring of be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는 철근 절단 절곡라인에 배치되어 철근들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계수부와, 계수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이용하여 철근들의 수량 정보를 산출하고, 철근들의 수량 정보를 보유 철근들의 재고 수량 정보와 비교하여 보유 철근들의 재고 수량 정보를 실시간 갱신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및 스마트 전송시스템{Automatic inventory identification device for the number of cuts and bends applied to the rebar cutting and bending line, and a smart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및 스마트 전송시스템에 과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 절단 절곡라인에 공급되는 철근을 개수하고, 이를 이용해 전체 철근의 재고를 파악할 수 있는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및 스마트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은 철을 막대 모양으로 만들어 주로 인장력을 지탱하는 건설재료로, 토목공학과 건축공학 등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는 역학 구조체 중 하나이다. 이때, 상기 철근은 주로 탄소강을 주재료로 형성되며, 압축력을 받는 콘크리트와 합쳐 철근 콘크리트의 구조물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철근은 표면에 리브와 마디 등의 돌기가 돌설된 봉강으로 형성된 이형철근과 돌기 없이 매끈한 원형단면의 봉강으로 형성된 원형철근으로 나뉜다.
각종 산업현장에서 철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규격으로 생산된 철근을 필요한 길이에 따라 일정 길이로 절단하거나 절곡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철근을 절단하거나 절곡하는 작업은 철근 절단/절곡 장치를 통해 수행된다.
철근 절단/절곡 장치는 컨베이어에 안착된 철근들을 이송하는 이송부와, 이송된 철근들을 절단/절곡하는 절단/절곡부와, 배출된 철근들이 저장 및 보관되는 보관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철근이 절단 또는 절곡되기 전 작업자가 직접 절단/절곡 장치에 투입된 철근을 일일이 카운팅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작업자는 매 작업마다 투입되는 철근을 지속적으로 카운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작업자가 카운팅한 철근의 수량에 이상이 있을 경우 오버 커팅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절단/절곡되는 철근의 수량 파악이 이루어 지지 않아, 정확한 재고 파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의 절단/절곡 작업 시 장비로 투입되는 철근을 자동으로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철근의 개수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철근의 재고를 파악할 수 있는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및 스마트 전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는 철근 절단 절곡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철근들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계수부; 및 상기 계수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철근들의 수량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철근들의 수량 정보를 보유 철근들의 재고 수량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보유 철근들의 재고 수량 정보를 실시간 갱신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계수부는, 상기 철근들의 상측에 배치되는 실린더 바디; 상기 실린더 바디에 의해 상기 철근들이 정렬된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철근들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철근들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상기 철근들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바디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레일을 포함하는 튜브 본체; 상기 튜브 본체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튜브 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튜브 본체의 내부공간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튜브 본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유압포트; 및 상기 튜브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고, 상기 튜브 본체의 내부공간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튜브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으로 선형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튜브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튜브 본체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철근들로부터 반사된 상기 레이저 광을 수신하여 제1 신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1 신호들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한 후, 상기 튜브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튜브 본체의 타 측에서 일 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철근들로부터 반사된 상기 레이저 광을 수신하여 제2 신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2 신호들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들을 제1 데이터들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 신호들을 제2 데이터들로 변환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1 데이터들과 상기 제2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데이터들과 상기 제2 데이터들의 일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들과 상기 제2 데이터들이 일치할 경우, 상기 제1 데이터들로부터, 신호별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들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신호별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들을 제1 기준 정보와 개별 비교하여, 신호별 철근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기준 정보와, 상기 신호별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가 동일할 경우, 상기 철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기준 정보와, 상기 신호별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가 상이할 경우, 상기 철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정보는, 상기 철근들이 지지되는 지지면에 반사된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근이 있다고 판단된, 상기 신호별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들을, 제2 기준 정보와 개별 비교하여, 신호별 철근의 굵기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 정보는,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별 철근의 굵기에 관한 임계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근들의 수량 정보, 상기 보유 철근들의 재고 수량 정보 및 상기 철근들의 굵기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근 절단 절곡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계수부를 승강시키고, 상기 철근들을 수직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면서, 상기 철근들로부터 가해지는 반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면의 상측에 배치되고, 신장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신축로드; 상기 신축로드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신축로드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압플레이트; 상기 제1 가압플레이트에 의해 하향 이동되면서 상기 지지면에 배치된 상기 철근들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압플레이트; 상기 제1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제2 가압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압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탄성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가압플레이트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탄성 지지부재로부터 가해지는 반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로드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근들은 상기 실린더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면 상에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 상에 나란히 배열된 상기 철근들을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철근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근 이송부는, 상기 철근들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는 복수의 서포트 유닛; 상기 복수의 서포트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철근들의 하부를 지지 및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고정 롤러; 상기 고정 롤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철근들의 두께에 대응하여 승강되면서 상기 철근들의 상부를 탄성적으로 지지 및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승강 유닛; 상기 고정 롤러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롤러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롤러 구동 액추에이터; 상기 복수의 서포트 유닛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승강 유닛이 수용되는 복수의 지지 브라켓; 및 상기 승강 유닛과 상기 복수의 지지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 유닛을 상기 고정 롤러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복수의 지지 브라켓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복수의 승강 서포트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승강 서포트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철근들의 두께에 대응하여 승강되면서, 상기 철근들의 상부를 지지 및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승강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롤러 및 상기 승강 롤러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롤러 바디; 및 상기 롤러 바디의 외면에 배치되고, 축방향을 따라 상기 철근들이 개별 수용되는 복수의 철근 수용홈이 마련되는 탄성체 재질의 롤러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송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상기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로부터 상기 철근들의 수량 정보, 상기 보유 철근들의 재고 수량 정보 및 상기 철근들의 굵기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의 이상을 감지하며, 상기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에 상기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의 상태 및 상기 관리서버에 저장된 상기 철근들의 수량 정보, 상기 보유 철근들의 재고 수량 정보 및 상기 철근들의 굵기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되는 관리자 단말; 상기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와 상기 관리서버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중계장치; 및 상기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자 단말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중계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철근의 절단/절곡 작업 시 철근 절단 절곡라인에 배치되는 철근들을 감지하고, 철근들의 수량 정보를 산출하여 보유 철근들의 재고 수량 정보와 비교하도록 구성되므로, 보유 철근들의 재고 수량 정보를 실시간 갱신하여 정확한 재고 파악이 가능하고, 철근들의 수량을 자동으로 파악하여 이를 데이터화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철근들의 수량을 정확히 파악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오버 커팅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불량발생 확률을 낮추고, 이에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의 계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의 실린더 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의 감지센서가 튜브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철근들을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의 계수부가 가압부에 의해 승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의 가압부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의 철근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의 계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의 실린더 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10)(이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10)'라 함)는 계수부(11) 및 제어부(12)를 포함한다.
계수부(11)는 철근 절단 절곡라인(2)에 배치된 철근 가공 장치(21)에 설치되어 철근들(R)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계수부(11)는 철근들(R)의 상측에 배치되는 실린더 바디(111)와, 실린더 바디(111)에 의해 철근들(R)이 정렬된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더(112)와, 철근들(R)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슬라이더(112)에 의해 이동되면서 철근들(R)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철근들(R)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센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철근들(R)은 실린더 바디(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면(2A) 상에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실린더 바디(111)는 튜브 본체(1111), 복수의 유압포트(1112) 및 피스톤(1113)을 포함할 수 있다.
튜브 본체(1111)는 내부에 피스톤(1113)이 배치되고, 외부에 슬라이더(112)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레일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유압포트(1112)는 튜브 본체(1111)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튜브 본체(1111)의 내부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유압포트(1112)는 튜브 본체(1111)의 내부공간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튜브 본체(1111)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튜브 본체(1111)의 내부에 수용된 피스톤(1113)은 튜브 본체(111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압작용에 의해 튜브 본체(1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피스톤(1113)은 튜브 본체(1111)의 내부에 수용되고, 슬라이더(11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1113)은 튜브 본체(111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거나, 튜브 본체(1111)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슬라이더(112)와 함께 튜브 본체(1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으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의 감지센서가 튜브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철근들을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감지센서(1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본체(1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튜브 본체(1111)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이동되면서, 철근들(R)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철근들(R)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광을 수신하여 제1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센서(113)는 생성된 제1 신호들을 제어부(12)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1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본체(1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튜브 본체(1111)의 타 측에서 일 측으로 이동되면서, 철근들(R)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철근들(R)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광을 수신하여 제2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센서(113)는 생성된 제2 신호들을 제어부(12)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113)는 대상물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투사부와, 대상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수신하고, 이의 신호를 제어부(12)로 전송하는 광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2)는 철근 가공 장치(21)에 배치되어 계수부(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부(12)는 계수부(11)에서 감지된 신호를 이용하여 철근들(R)의 수량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철근들(R)의 수량 정보를 보유 철근들(R)의 재고 수량 정보와 비교하여 보유 철근들(R)의 재고 수량 정보를 실시간 갱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12)가 철근들(R)의 수량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2)는, 감지센서(113)로부터 제1 신호들과 제2 신호들이 수신되면, 수신된 제1 신호들을 제1 데이터들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제2 신호들을 제2 데이터들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데이터들에는 레이저 광의 이동 시간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즉, 각 데이터들에는 감지센서(113)에서 조사된 레이저 광이 철근들(R)에 반사되어 수신될 때까지의 이동 시간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데이터들에는 튜브 본체(1111)의 일 측에서 타 측 방향으로 나열된 철근들(R)에 대한 레이저 광의 이동 시간 정보가 포함되고, 제2 데이터들에는 튜브 본체(1111)의 타 측에서 일 측 방향으로 나열된 철근들(R)에 대한 레이저 광의 이동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신호들과 제2 신호들이 각각 데이터들로 변환되어 저장되면, 제어부(12)는 동일 철근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들 간의 비교를 위하여 제2 데이터들을 역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즉, 제1 데이터들은 감지센서(113)가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이동되면서 순차적으로 감지한 신호들이 변환된 데이터들이고, 제2 데이터들은 감지센서(113)가 타 측에서 일 측으로 이동되면서 순차적으로 감지한 신호들이 변환된 데이터들이므로, 제1 데이터들과 제2 데이터들을 비교하기 위하여 제2 데이터들을 역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들과 제2 데이터들이 정렬되면, 제어부(12)는 제1 데이터들과, 제2 데이터들을 서로 비교하여, 제1 데이터들과 제2 데이터들의 일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제1 데이터들과 제2 데이터들이 일치할 경우,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데이터들로부터, 신호별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들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는 데이터들에 포함된 레이저 광의 이동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참고로, 레이저 광의 이동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것은, 빛의 이동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 값을 환산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신호별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들을 산출되면, 제어부(12)는 산출된 신호별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들을 미리 저장된 제1 기준 정보와 개별 비교하여, 신호별 철근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제1 기준 정보와, 신호별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가 동일할 경우, 철근(R)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기준 정보와, 신호별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가 상이할 경우, 철근(R)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정보는 철근들(R)이 지지되는 지지면(2A)에 반사된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일 수 있다.
즉, 제어부(12)는 제1 기준 정보와, 신호별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가 동일할 경우, 레이저 광이 지지면(2A)에 반사된 것으로 판단하여 철근(R)이 없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는 제1 기준 정보와, 신호별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가 상이할 경우, 레이저 광이 철근(R)에 반사된 것으로 판단하여 철근(R)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신호별 철근의 유무가 판단되면, 제어부(12)는 철근(R)이 있다고 판단한 결과들을 취합하여 철근들(R)의 수량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는 제1 데이터들과 제2 데이터들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철근 가공 장치(21)에 마련된 알림수단을 통해 외부로 이상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철근(R)이 있다고 판단된, 신호별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들을, 미리 저장된 제2 기준 정보와 개별 비교하여, 신호별 철근의 굵기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정보는,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별 철근(R)의 굵기에 관한 임계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는 철근(R)이 있다고 판단된 신호별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들을, 개별적으로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별 철근(R)의 굵기에 관한 임계 정보들과 비교하여, 각 철근(R)의 굵기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10)는 표시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3)는 철근 가공 장치(21)에 배치되어 제어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부(12)를 통해 산출된 철근들(R)의 수량 정보, 보유 철근들(R)의 재고 수량 정보 및 철근들(R)의 굵기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3)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의 계수부가 가압부에 의해 승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의 가압부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10)는 가압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14)는 철근 절단 절곡라인(2)에 배치되어 계수부(11)를 승강시키고, 철근들(R)을 수직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면서, 철근들(R)로부터 가해지는 반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압부(14)는, 지지면(2A)의 상측에 배치되고, 신장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신축로드(141)와, 신축로드(141)의 단부에 배치되고, 신축로드(141)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압플레이트(1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14)는, 제1 가압플레이트(142)에 의해 하향 이동되면서 지지면(2A)에 배치된 철근들(R)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압플레이트(143)와, 제1 가압플레이트(142)와 제2 가압플레이트(143) 사이에 배치되고, 제2 가압플레이트(14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탄성 지지부재(144)와, 제1 가압플레이트(142)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탄성 지지부재(144)로부터 가해지는 반력을 개별적으로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로드셀(14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로드셀(145)은 제어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탄성 지지부재(144)로부터 가해지는 반력들에 대한 신호들을 제어부(12)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는 복수의 로드셀(145)로부터 송신된 신호들을 수신하여 이를 반력 값에 관한 데이터들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들 간의 비교를 통해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는 반력 값에 관한 데이터들 중 다른 반력 값을 가지는 데이터를 식별하고,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감지한 로드셀(145) 및 상기 로드셀(145)에 반력을 가한 탄성 지지부재(144)를 검출하여 표시부(13)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표시부(13)에 표시된 로드셀(145) 및 탄성 지지부재(144)에 반력을 가하는 철근(R)에 이상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의 철근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10)는 철근 이송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철근 이송부(15)는 지지면(2A) 상에 나란히 배열된 철근들(R)을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철근 이송부(15)는 철근들(R)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는 복수의 서포트 유닛(151)과, 복수의 서포트 유닛(1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철근들(R)의 하부를 지지 및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고정 롤러(1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철근 이송부(15)는 고정 롤러(152)의 상측에 배치되고, 철근들(R)의 두께에 대응하여 승강되면서 철근들(R)의 상부를 탄성적으로 지지 및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승강 유닛(153)과, 고정 롤러(152)에 결합되어 고정 롤러(152)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롤러 구동 액추에이터(15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철근 이송부(15)는 복수의 서포트 유닛(151)에 결합되어 내부에 승강 유닛(153)이 수용되는 복수의 지지 브라켓(155)과, 승강 유닛(153)과 복수의 지지 브라켓(155) 사이에 배치되고, 승강 유닛(153)을 고정 롤러(152)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탄성 부재(15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강 유닛(153)은 복수의 지지 브라켓(155)의 내부에 수용되고, 복수의 탄성 부재(156)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복수의 승강 서포트 유닛(1531)과, 복수의 승강 서포트 유닛(15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철근들(R)의 두께에 대응하여 승강되면서, 철근들(R)의 상부를 지지 및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승강 롤러(15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롤러(152) 및 승강 롤러(1532)는, 각각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롤러 바디(R1)와, 롤러 바디(R1)의 외면에 배치되고, 축방향을 따라 철근들(R)이 개별 수용되는 복수의 철근 수용홈(R3)이 마련되는 탄성체 재질의 롤러 커버(R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송시스템(1)(이하 '스마트 전송시스템(1)'이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스마트 전송시스템(1)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10)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마트 전송시스템(1)은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10), 관리서버(20), 관리자 단말(30), 제1 중계장치(40) 및 제2 중계장치(50)를 포함한다.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10)는 철근 절단 절곡라인(2)에 배치된 철근 가공 장치(21)에 설치되어 철근들(R)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계수부(11)와, 계수부(11)에서 감지된 신호를 이용하여 철근들(R)의 수량 정보를 산출하고, 철근들(R)의 수량 정보를 보유 철근들(R)의 재고 수량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보유 철근들(R)의 재고 수량 정보를 실시간 갱신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10)는 철근들(R)의 수량 정보, 상기 보유 철근들(R)의 재고 수량 정보 및 철근들(R)의 굵기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부(13)와, 철근 절단 절곡라인(2)에 배치되어 계수부(11)를 승강시키고, 철근들(R)을 수직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면서, 철근들(R)로부터 가해지는 반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가압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10)는 지지면(2A) 상에 나란히 배열된 철근들(R)을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철근 이송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10)로부터 철근들(R)의 수량 정보, 보유 철근들(R)의 재고 수량 정보 및 철근들(R)의 굵기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10)의 이상을 감지하며,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30)은 관리서버(20)에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10)의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10)의 상태 및 관리서버(20)에 저장된 철근들(R)의 수량 정보, 보유 철근들(R)의 재고 수량 정보 및 철근들(R)의 굵기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중계장치(40)는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10)와 관리서버(20)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중계장치(50)는 관리서버(20)와 관리자 단말(30)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철근의 절단/절곡 작업 시 철근 절단 절곡라인(2)에 배치되는 철근들(R)을 감지하고, 철근들(R)의 수량 정보를 산출하여 보유 철근들의 재고 수량 정보와 비교하도록 구성되므로, 보유 철근들의 재고 수량 정보를 실시간 갱신하여 정확한 재고 파악이 가능하고, 철근들(R)의 수량을 자동으로 파악하여 이를 데이터화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철근들(R)의 수량을 정확히 파악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오버 커팅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불량발생 확률을 낮추고, 이에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 스마트 전송시스템
10.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11. 계수부
111. 실린더 바디
1111. 튜브 본체
1112. 복수의 유압포트
1113. 피스톤
112. 슬라이더
113. 감지센서
12. 제어부
13. 표시부
14. 가압부
141. 신축로드
142. 제1 가압플레이트
143. 제2 가압플레이트
144. 탄성 지지부재
145. 로드셀
15. 철근 이송부
151. 복수의 서포트 유닛
152. 고정 롤러
153. 승강 유닛
1531. 복수의 승강 서포트 유닛
1532. 승강 롤러
154. 롤러 구동 액추에이터
155. 복수의 지지 브라켓
156. 복수의 탄성 부재
R1. 롤러 바디
R2. 롤러 커버
R3. 복수의 철근 수용홈
20. 관리서버
30. 관리자 단말
40. 제1 중계장치
50. 제2 중계장치
2. 철근 절단 절곡라인
2A. 지지면
21. 철근 가공 장치
R. 철근들

Claims (16)

  1. 철근 절단 절곡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철근들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계수부; 및
    상기 계수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철근들의 수량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철근들의 수량 정보를 보유 철근들의 재고 수량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보유 철근들의 재고 수량 정보를 실시간 갱신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수부는,
    상기 철근들의 상측에 배치되는 실린더 바디;
    상기 실린더 바디에 의해 상기 철근들이 정렬된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철근들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철근들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상기 철근들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바디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레일을 포함하는 튜브 본체;
    상기 튜브 본체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튜브 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튜브 본체의 내부공간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튜브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유압포트; 및
    상기 튜브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고, 상기 튜브 본체의 내부공간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튜브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으로 선형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튜브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튜브 본체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철근들로부터 반사된 상기 레이저 광을 수신하여 제1 신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1 신호들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한 후,
    상기 튜브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튜브 본체의 타 측에서 일 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철근들로부터 반사된 상기 레이저 광을 수신하여 제2 신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2 신호들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들을 제1 데이터들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 신호들을 제2 데이터들로 변환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1 데이터들과 상기 제2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데이터들과 상기 제2 데이터들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들과 상기 제2 데이터들이 일치할 경우, 상기 제1 데이터들로부터, 신호별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들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신호별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들을 제1 기준 정보와 개별 비교하여, 신호별 철근의 유무를 판단하는,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기준 정보와, 상기 신호별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가 동일할 경우, 상기 철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기준 정보와, 상기 신호별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가 상이할 경우, 상기 철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정보는, 상기 철근들이 지지되는 지지면에 반사된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인,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근이 있다고 판단된, 상기 신호별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 정보들을, 제2 기준 정보와 개별 비교하여, 신호별 철근의 굵기 정보를 결정하는,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정보는,
    레이저 광의 이동 거리별 철근의 굵기에 관한 임계 정보들을 포함하는,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들의 수량 정보, 상기 보유 철근들의 재고 수량 정보 및 상기 철근들의 굵기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210049635A 2021-04-16 2021-04-16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및 스마트 전송시스템 KR102305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635A KR102305688B1 (ko) 2021-04-16 2021-04-16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및 스마트 전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635A KR102305688B1 (ko) 2021-04-16 2021-04-16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및 스마트 전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688B1 true KR102305688B1 (ko) 2021-09-28

Family

ID=7792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635A KR102305688B1 (ko) 2021-04-16 2021-04-16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및 스마트 전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6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921A (ko) * 2002-01-24 2003-07-31 (주) 자이오넥스 공급망 계획 시스템 및 방법
KR101155467B1 (ko) * 2010-07-16 2012-06-15 보성테크 주식회사 실시간 smt 생산 라인 자재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921A (ko) * 2002-01-24 2003-07-31 (주) 자이오넥스 공급망 계획 시스템 및 방법
KR101155467B1 (ko) * 2010-07-16 2012-06-15 보성테크 주식회사 실시간 smt 생산 라인 자재 운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2632B2 (ja) ボイラ火炉内の作業足場用主梁構造、作業足場用主梁搬送装置、及び作業足場の設置方法
EP1222975A2 (en) Press brake worksheet positioning system
KR102305688B1 (ko) 철근 절단 절곡라인의 절단 절곡개수 자동 재고 파악 장치 및 스마트 전송시스템
CN110763321B (zh) 一种电子吊秤的组合式检定方法
CN101362570B (zh) 电梯的缆绳诊断系统
JP2014087813A (ja) 鋼板形状矯正方法
CN107530996B (zh) 冲压系统以及冲压系统的控制方法
CN102114498B (zh) 半自动t型导轨扭曲校直机直线度检测装置
US71949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stiffness of articles
KR100211550B1 (ko) 이동식 하부 플래튼을 지니는 유압식 벤딩프레스
JP6269976B2 (ja) U形プレス成形機における異常検出方法、異常検出装置とu形プレス成形方法、上記u形プレス成形機
KR102319295B1 (ko) 철근의 절단 절곡라인의 규격별 스마트 관리 및 공장의 plc 원격 제어 시스템
US10271662B2 (en) Station for detecting, controlling, checking and comparing physical parameters of a mattress, a pillow and the like
KR101731269B1 (ko) 조립식 레일이동형 리프팅-운송 설비 및 이의 시공 구축방법
KR20130143214A (ko) 코일 슬리브 위치 조절장치
CN210180154U (zh) 一种步进炉棒材上料调整装置
CN104511486A (zh) 位置检测装置及其控制方法
CN116214168A (zh) 车辆零部件装配方法、装配系统及工装
KR101778075B1 (ko) 실시간 공정데이터 기반의 롤포밍장치
KR20160103899A (ko) 철강 플랜트의 경향 감시 장치
KR102347609B1 (ko) 자동 연속 구동식 철근가공물 카트 시스템
KR102287889B1 (ko) 작업 발판의 응력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발판 안전 관리 시스템
CN113065183B (zh) 一种施工方案的优化方法及优化装置、优化系统
CN209310776U (zh) 一种长材钢坯弯度检测装置
CN103143985A (zh) 大口径直缝焊管钢板自动对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