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848B1 -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848B1
KR102304848B1 KR1020170021510A KR20170021510A KR102304848B1 KR 102304848 B1 KR102304848 B1 KR 102304848B1 KR 1020170021510 A KR1020170021510 A KR 1020170021510A KR 20170021510 A KR20170021510 A KR 20170021510A KR 102304848 B1 KR102304848 B1 KR 102304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electric vehicle
way plug
vehicle battery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5257A (ko
Inventor
김우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1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848B1/ko
Priority to CN201711282060.7A priority patent/CN108461846B/zh
Priority to US15/836,130 priority patent/US10656043B2/en
Publication of KR20180095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28Leak testing of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25Details with respect to the testing of engines or engin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04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 G01M3/04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with electrical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실시예는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 팩 내부에 배치되는 수분 포집부; 상기 수분 포집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수분 배출부; 상기 수분 배출부로의 수분 배출 여부를 검출하는 수분 배출 검출부; 및 상기 수분 배출부로 배출되는 수분양을 확인 및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 배출부에는 원웨이 플러그(one way plug)가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AND METHOD FOR DETECTING COOLING WATER LEAK OF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실시예는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솔린 또는 디젤 등의 석유 연료의 사용에 의한 배기가스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대기오염 방지의 차원에서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출력성능이 우수한 전기 자동차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주행하는 순수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나, 엔진과 구동모터로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연료전지에서 생성되는 전력으로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주행하는 연료전지 자동차(Fuel Cell Electric Vehicle, FCEV) 등이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더불어,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수단으로서 배터리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면 니켈-수소, 리튬-폴리머 계열의 배터리들이 잘 알려져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배터리 모듈 복수 개가 직렬 또는 병렬로 조합된 배터리 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데, 배터리에는 발열이 수반된다.
배터리의 열로 인해 배터리의 방전이 가속화되고, 충전율이 감소되어 배터리 성능이 저하되므로, 배터리 냉각이 필수적이다.
배터리의 열을 식히기 위해 공기의 유동으로 냉각을 하는 공냉식 방법과 냉각수로 배터리를 냉각시키는 수냉각 방법이 있다.
수냉각 방법은 냉각 효율이 높기는 하나, 냉각수의 기밀 상태에 따라 냉각수가 누액되는 경우, 오히려 배터리 팩의 안전성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물은 전도성 물질로서 고전압이 연결된 부위에 흐르게 되면 단락을 일으키며, 단락에 의한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리튬 배터리에 화재가 발생되면, 일반적인 화재보다 진압이 더 어려우며 심한 경우 폭발에 이르기도 한다.
또한, 파우치 형태의 리튬 배터리는 물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파우치 자체의 접합부가 녹아내려 배터리 내부의 전극 및 전해액이 노출되어 전해액 누액 및 배터리 내부의 단락까지 일으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역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는 배터리 팩 내의 냉각수 누액을 검출하고 냉각수를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의한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은 배터리 팩 내부에 배치되는 수분 포집부; 상기 수분 포집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수분 배출부; 상기 수분 배출부로의 수분 배출 여부를 검출하는 수분 배출 검출부; 및 상기 수분 배출부로 배출되는 수분양을 확인 및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 배출부에는 원웨이 플러그(one way plug)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분 포집부에서 포집된 수분이 일정량 이상 누적되면 상기 수분 배출부로 수분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원웨이 플러그에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전도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수분 포집부는 제1 수분 포집부와 제2 수분 포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분 포집부는, 표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수분 포집부 내부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제1 개폐부 상에 배치되는 제1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분 포집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2 개폐부; 및 상기 제2 개폐부 상에 배치되는 제2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 포집부의 내측 및 외측 면에는 흡습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의 바닥면은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은 상술한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닫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이 확인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수 누액 상태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림 횟수가 0이면,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닫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림 횟수가 1회이면,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시간이 일정 시간 미만이면,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닫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림 횟수가 2회 이상이면, 상기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은 배터리 팩 내의 냉각수 누액을 검출하고 냉각수를 배출할 수 있고, 배터리 팩에 생기를 결로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팩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수분 포집부 및 수분 배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에 설치된 원웨이 플러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원웨이 플러그의 개폐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수분 포집부 및 수분 배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100)은 수분 포집부(110), 수분 배출부(130), 수분 배출 검출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수분 포집부(110)는 배터리 팩(100) 내부에 배치되어 배터리 팩 내의 수분을 포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수분 포집부(110)는 원기둥 형태의 형태로 복수 개가 배터리 팩(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팩(100) 내부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이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 모듈이 배치되지 않은 공간에 수분 포집부(110)는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 팩(100) 내의 여유 공간에 복수 개의 수분 포집부(110)가 고루 배치되어 배터리 팩(100) 내부의 수분을 포집할 수 있다.
수분 포집부(100)는 제1 수분 포집부(111)와 제2 수분 포집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분 포집부는, 제1 플레이트(111), 제1 개폐부(미도시) 및 제1 흡수제(11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1)는 수분 포집부(110) 내부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표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의 중앙에는 제1 개폐부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개폐부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제1 개폐부 상에는 제1 흡수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흡수제(111a)는 염화칼슘, 실리카겔, 활성알루미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1 흡수제(111a)의 물질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2 수분 포집부는, 제2 플레이트(112), 제2 개폐부(112b) 및 제2 흡수제(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12)는 제1 플레이트(1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111)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제1 플레이트(111)와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개폐부(112b)는 제2 플레이트(112)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개폐부(112b)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제2 개폐부(112b) 상에는 제2 흡수제(112a)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흡수제(112a)는 제1 흡수제(111a)와 마찬가지로 염화칼슘, 실리카겔, 활성알루미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1 흡수제(111a)의 물질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수분 포집부(110)의 내측 및 외측 면에는 흡습지(113)가 배치될 수 있다.
흡습지(113)는 제1 수분 포집부와 제2 수분 포집부로 포집된 수분이 다시 증발하여 배터리 팩 내부에 머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분 포집부(110)의 내측면이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흡습지(113)는 배터리 팩(100) 내부에 존재하는 미세한 수분 입자를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1 수분 포집부의 제1 흡수제(111a)가 수분 포집부의 하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포집하고 포집된 수분 중 다시 증발하는 수분을 흡습지(113)로 흡수할 수 있으며, 제2 흡수제(112a)는 제1 흡수제(111a)가 소모될 때까지 노출되지 않도록 밀봉시켜 놓을 수 있다.
제1 흡수제(111a)가 포집한 수분이 응결되면 응결된 수분을 배터리 팩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제1 흡수제(111a)에서 응결된 수분이 배출된 후, 밀봉되어 있던 제2 흡수제(112a)를 노출시키도록 제2 플레이트(112)에 제2 개폐부(112b)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개폐부(112b)에는 제1 흡수제(111a)에 포집된 수분이 배출된 후에 오픈될 수 있도록 제2 개폐부(112b)를 작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흡수제(111a)에 포집된 수분이 배출될 때, 후술할 원웨이 플러그가 개방될 수 있는데, 제1 흡수제(111a)에 포집된 수분이 배출된 후 원웨이 플러그가 닫힘 상태에 대한 신호가 후술할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원웨이 플러그의 닫힘 신호가 끝나는 시점에서 제2 개폐부(112b)가 개방될 수 있도록 스위치가 작동할 수 있다.
수분 배출부(130)는 수분 포집부(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수분 배출부(130)는 배터리 팩(100) 하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배치되어 수분 포집부(110)에 포집된 수분을 배터리 팩(10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수분 포집부에서 포집된 수분이 일정량 이상 누적되면 상기 수분 배출부로 수분이 배출될 수 있다.
수분 배출부(130)에는 원웨이 플러그(one way plug)가 배치될 수 있다.
원웨이 플러그(130)는 수분 배출부(130)에 배치되어 배터리 팩(100) 내부에 고인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개폐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에 설치된 원웨이 플러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원웨이 플러그의 개폐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원웨이 플러그(130)는 배터리 팩(100)의 바닥면에 복수의 배출홀(131)이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 바디(132)와 플러그 바디(132)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배출홀(131)들을 개폐하는 날개부(134)를 갖는 탄성체(133)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체(133)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터리 팩(100)의 바닥면에 수분이 없을 때에는 날개부(134)가 닫혀 있다가 수분들이 모여 고이면 수분들의 무게에 의해 날개부(134)가 젖혀지며 배출홀(131)들이 개방되어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수분 배출 검출부(미도시)는 수분 배출부로의 수분 배출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수분 배출 검출부는 원웨이 플러그가 개방되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실제 냉각수의 누액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팩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에 따라 최초에 원웨이 플러그가 개방되고, 이후에 배터리 팩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의 양이 미미하여 냉각수 누액 외에는 수분이 발생할 가능성이 없으므로, 이후 2회 이상 원웨이 플러그가 개방될 경우에는 냉각수 누액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수분 배출부로 배출되는 수분의 양을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다.
원웨이 플러그(130)에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전도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원웨이 플러그(130)의 상단에 전도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고, 전도성 물질이 도포된 영역에 배터리 제어기(Battery Management System: BMS)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원웨이 플러그가 닫혀 있는 경우에 전기가 통하고, 원웨이 플러그가 개방된 경우에는 전기가 통하지 않게되어 전기적 신호의 미발생 시간을 카운트함으로써 원웨이 플러그의 개방 여부를 알 수 있다.
플러그의 개방 여부가 제어부로 전달되어 플러그의 개방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배터리 팩(100)의 바닥면은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105)일 수 있다.
전술한 제1 수분 포집부와 제2 수분 포집부로 흡수되지 못한 수분들 외에 배터리 팩(100) 내부에는 존재하는 냉각수가 배터리 팩(100)의 바닥면(105)의 특정 부위에 흐를 수 있도록 배터리 팩(100)의 바닥면이 경사진 면(105)으로 이루질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팩(100)의 바닥면에는 배출구(120)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팩(100)의 경사면(105) 중앙으로 냉각수가 배출되도록 배터리 팩(100)의 바닥면이 가장자리에 중앙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나 냉각수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120)의 위치에 따라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S100)은 상술한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원웨이 플러그의 닫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110),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S120),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이 확인되면,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을 확인하는 단계(S130), 및 냉각수 누액 상태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원웨이 플러그의 닫힘 상태를 모니터링(S110)할 수 있는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S120)에서, 상기 열림 횟수가 0이면, 원웨이 플러그의 닫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원웨이 플러그의 닫힘 상태를 모니터링(S110) 한 후,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횟수를 검출(S120)할 수 있다.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S120)에서, 상기 열림 횟수가 1회이면 수분 포집부에서 응결된 수분이 배출된 것이므로 냉각수 누액이 확인될 수 있다.
냉각수 누액이 확인(S130)되면, 냉각수 누액 상태를 제어부로 전송(S140)할 수 있다.
그리고,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S120)에서, 상기 열림 횟수가 1회이면,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S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S124)에서,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시간이 일정 시간 미만이면, 원웨이 플러그의 닫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S124)에서,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이면,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을 확인(S130)할 수 있다.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S120)에서, 상기 열림 횟수가 2회 이상이면,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에 의해 배터리 팩 내의 냉각수 누액을 검출하고 냉각수를 배출할 수 있어 배터리 팩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배터리 팩
105: 경사면
110: 수분 포집부
120: 배출홀
130: 원웨이 플러그

Claims (14)

  1. 배터리 팩 내부에 배치되는 수분 포집부;
    상기 수분 포집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수분 배출부;
    상기 수분 배출부로의 수분 배출 여부를 검출하는 수분 배출 검출부; 및
    상기 수분 배출부로 배출되는 수분양을 확인 및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 배출부에는 원웨이 플러그(one way plug)가 배치되며,
    상기 수분 포집부는,
    표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수분 포집부 내부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제1 개폐부 상에 배치되는 제1 흡수제를 포함하는 제1 수분 포집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2 개폐부 및 상기 제2 개폐부 상에 배치되는 제2 흡수제를 포함하는 제2 수분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제1 흡수제에 포집된 수분이 배출된 후에 밀봉되어 있던 상기 제2 흡수제를 노출시키도록 하는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포집부에서 포집된 수분이 일정량 이상 누적되면 상기 수분 배출부로 수분이 배출되는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플러그에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전도성 물질이 도포되는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포집부의 내측 및 외측 면에는 흡습지가 배치되는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의 바닥면은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전기 자동차 배터리팩.
  9. 제1항 내지 제3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닫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이 확인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수 누액 상태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림 횟수가 0이면,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닫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림 횟수가 1회이면,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시간이 일정 시간 미만이면,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닫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을 확인하는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플러그의 열림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림 횟수가 2회 이상이면, 상기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을 확인하는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
KR1020170021510A 2017-02-17 2017-02-17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 KR102304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510A KR102304848B1 (ko) 2017-02-17 2017-02-17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
CN201711282060.7A CN108461846B (zh) 2017-02-17 2017-12-07 电动车用电池组及电动车用电池组冷却水泄漏检测方法
US15/836,130 US10656043B2 (en) 2017-02-17 2017-12-08 Battery pack for electric vehicles and method of detecting cooling water leakage in battery pack for electric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510A KR102304848B1 (ko) 2017-02-17 2017-02-17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257A KR20180095257A (ko) 2018-08-27
KR102304848B1 true KR102304848B1 (ko) 2021-09-27

Family

ID=63166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510A KR102304848B1 (ko) 2017-02-17 2017-02-17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56043B2 (ko)
KR (1) KR102304848B1 (ko)
CN (1) CN10846184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953B1 (ko) 2022-07-29 2022-11-23 주식회사 메타덱스터 전해액이 주입된 배터리의 voc 누출가스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KR102487786B1 (ko) 2022-10-28 2023-01-12 주식회사 메타덱스터 진공챔버를 이용한 배터리의 voc누출가스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7860B1 (fr) * 2017-06-15 2021-04-16 Airbus Group Sas Systeme de charge d'au moins une batterie d'accumulateurs d'un vehicule et procede de gestion de recharge de ladite au moins une batterie
KR102552491B1 (ko) * 2018-04-10 2023-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분 검출 장치 및 방법
CN109269733B (zh) * 2018-09-14 2021-01-05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箱漏液检测方法及系统
CN109904361A (zh) * 2019-02-15 2019-06-18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的电池箱漏液处理方法及系统
CN112140910A (zh) * 2020-09-29 2020-12-29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储液、排液及液位监测功能的电池包
KR102618295B1 (ko) 2021-03-30 2023-12-27 주식회사 민테크 배터리의 전해액 누액 검출장치
DE102021116769A1 (de) 2021-06-30 2023-01-0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blaufanordnung für eine Batterieanordn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6641A (ja) * 2011-10-18 2013-05-13 Mitsubishi Motors Corp 電動車両のバッテリパック搭載構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4662B2 (ja) 2010-02-23 2014-03-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ユニットの排水構造
KR20120059104A (ko) * 2010-11-30 2012-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팩의 수분 배출장치
KR101317523B1 (ko) * 2010-12-20 2013-10-15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보호장치
US9853330B2 (en) * 2012-07-10 2017-12-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hanced conductive fluid sensor for HV liquid cooled battery packs
KR102024367B1 (ko) * 2012-09-12 2019-09-2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모듈 조립체용 액체 냉각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6137458B2 (ja) 2013-03-26 2017-05-3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漏液検出装置
JP2014216248A (ja) 2013-04-26 2014-11-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ケー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6641A (ja) * 2011-10-18 2013-05-13 Mitsubishi Motors Corp 電動車両のバッテリパック搭載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953B1 (ko) 2022-07-29 2022-11-23 주식회사 메타덱스터 전해액이 주입된 배터리의 voc 누출가스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KR102487786B1 (ko) 2022-10-28 2023-01-12 주식회사 메타덱스터 진공챔버를 이용한 배터리의 voc누출가스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61846A (zh) 2018-08-28
US10656043B2 (en) 2020-05-19
US20180238764A1 (en) 2018-08-23
KR20180095257A (ko) 2018-08-27
CN108461846B (zh)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848B1 (ko)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의 냉각수 누액 검출 방법
JP4907362B2 (ja) 安全装置を備えた中型又は大型バッテリーパック
KR101950463B1 (ko) 전지셀의 팽창을 감지하기 위한 프로브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KR101781827B1 (ko) 압력 센서가 구비된 전지팩을 포함하고 있는 차량
KR101165511B1 (ko) 차량용 배터리 팩
JPH11219733A (ja) 充電装置
US10992013B2 (en) Battery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detecting an overheat situation of the battery system
CN112335110B (zh) 电源装置以及具有该电源装置的车辆
CN109904556B (zh) 一种基于新型散热结构的储能蓄电池
CN112103424A (zh) 电池模块、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和包括电池组的蓄能系统
KR20140012244A (ko) 배터리모듈의 가스배출 구조
KR20210012103A (ko)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US11764409B2 (en) Battery system, method for leakage detection inside the battery system, and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system
KR102586103B1 (ko) 배터리 시스템, 배터리 시스템 내부 누출 검출 방법, 및 배터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CN112018322B (zh) 电池的箱体、电池、用电装置、制备电池的方法和装置
KR20220049142A (ko) 전기 차량용 배터리의 열폭주 감지 장치
JP4496997B2 (ja) 二次電池の実装構造
KR20120136826A (ko)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CN209087944U (zh) 锂离子电池组散热系统
KR102590339B1 (ko) 전지 박스 본체, 전지, 전기 장치, 전지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2322910B1 (ko) 배터리 케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170025700A (ko) 이차 전지 모듈
KR102642182B1 (ko) 전지 박스 본체, 전지, 전기 장치, 전지 제조 방법 및 장치
US20240079667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rmal Runaway of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KR20220152845A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