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463B1 - 다기능 차단장치 및 다기능 차단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차단장치 및 다기능 차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463B1
KR102304463B1 KR1020200085291A KR20200085291A KR102304463B1 KR 102304463 B1 KR102304463 B1 KR 102304463B1 KR 1020200085291 A KR1020200085291 A KR 1020200085291A KR 20200085291 A KR20200085291 A KR 20200085291A KR 102304463 B1 KR102304463 B1 KR 102304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blocking
function
body temperature
b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자
Original Assignee
(주)고려진공안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려진공안전 filed Critical (주)고려진공안전
Priority to KR1020200085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출입인을 통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출입하는 사람에 대해 방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차단장치 및 다기능 차단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는, 출입인의 신원확인을 수행하는 검색부 및 출입의 통제와 방역을 수행하는 차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다기능 차단방법은, 출입 등록단계, 신원 확인단계, 확진 판정단계 및 조치단계를 수행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차단장치 및 다기능 차단방법 {A Versatile crossing gate and method for blocking off a passage using the crossing gate}
본 발명은 출입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편으로는 출입자의 출입을 선별적으로 승인·차단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출입자의 방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차단장치 및 다기능 차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가축 전염병들이 발생하면 적절한 방역대책을 수립하여 시행하게 되는데, 방역작업의 일환으로 질병의 발생장소 주변을 소독하거나,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 및 사람을 소독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20-1810566호에서는 가축이 통과할 때 방역을 수행하는 가축 전염병의 방역 및 차단 시스템을 제안하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01001호에서는 방역지점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방역하는 차량 방역 시스템을 제안하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76007호 및 10-1671972호에서는 축산 농가 및 일반건물 등의 출입구에 설치하여 외래출입자의 방역을 수행하는 출입구 방역장치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이들 선행기술은 사람이 통과할 때 방역을 수행하기는 하지만, 분사되는 소독액이 통과하는 사람의 얼굴에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키가 작은 사람이 통과할 때 소독액이 얼굴에도 분사되는 단점을 해소할 수 없다.
학교와 같이 출입구를 통과하는 사람이 학생과 선생님으로 특정할 수 있는 특수한 장소는, 한편으로는 출입하는 사람을 통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출입하는 대상인 학생과 선생님에 대해 방역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공연장과 같이, 미리 예약 또는 표를 구입한 사람만이 통과할 수 있는 출입구에서도, 한편으로는 출입하는 사람을 통제하여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출입하는 사람에 대해 방역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편으로는 출입인을 통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출입하는 사람에 대해 방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를 이용하여 한편으로는 출입을 통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출입인에 대해 방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차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차단장치는, 출입인의 신원확인을 수행하는 검색부 및 출입의 통제와 방역을 수행하는 차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검색부는,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로 접근하는 사람 또는 주변의 사람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재생하는 영상 재생부,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를 통과하려는 사람의 체온을 영상을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체온 측정용 카메라 및 직접 체온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체온 직접 측정부를 포함하는 체온 감지부,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로 접근하는 사람이 소지한 무선통신장치, 타 다기능 차단장치 및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를 통과하고자 하는 사람이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 또는 상기 관리서버와의 대화용으로 사용되는 마이크,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를 통과하고자 하는 사람 또는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 주변의 사람에게 음성 및 음향 정보를 제공하는 스피커 및 상기 영상 재생부, 상기 체온 감지부, 상기 통신부,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체온 측정용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사람의 확진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위치하여 사람의 통과를 차단하거나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위치하여 사람의 통과를 허용하는 차단 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아치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현한 다기능 아치 및 상기 다기능 아치를 사람의 진행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표면에 소독액이 코팅된 방역 매트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차단방법은,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다기능 차단장치를 이용하는 다기능 차단방법이며, 출입 등록단계, 신원 확인단계, 확진 판정단계 및 조치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출입 등록단계에서는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의 출입 예정자가 자신이 소유한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프로세서에 접속하여 수행하며,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인증과정을 거친 출입 예정자 소유의 무선통신수단을 등록한다. 상기 신원 확인단계에서는 상기 제어프로세서가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로 접근하는 출입 예정자의 무선통신수단과 통신을 수행하여 신원을 확인하거나, 신원의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별도의 확인과정을 거쳐 출입 예정자의 신원을 확인한다. 상기 확진 판정단계에서는 상기 신원 확인단계에서 신원이 확인된 출입 예정자에 대하여 상기 체온 측정용 카메라 또는 상기 체온 직접 측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프로세서가 확진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조치단계에서는 상기 제어 프로세서가 수행하며, 상기 확진 판정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차단 바의 불활성화로 통과허용, 상기 다기능 아치를 통과하는 출입 예정자에 소독액 방사, 상기 차단 바의 활성화로 통과차단, 및 관리자나 경비원의 호출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차단장치 및 다기능 차단방법은, 출입 인원이 대규모이지만 출입이 허용되는 대상을 특정할 수 있을 때, 한편으로는 출입에 필요한 신원 조회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출입인원의 방역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어, 학교나 공연장과 같이 대규모의 사람들이 출입하게 되는 곳의 출입 및 방역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차단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차단방법(20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차단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a는 다기능 차단장치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1b는 다기능 차단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차단장치(100)는 검색부(110) 및 차단부(120)로 구현할 수 있다.
검색부(110)는 영상 재생부(111), 체온 감지부(112), 통신부(113), 소독액 저장탱크(114), 마이크(115), 스피커(116), 및 제어 프로세서(117)를 구비한다.
영상 재생부(111)는 다기능 차단장치(100)에 접근하는 사람(출입 예정자) 및 주변의 사람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재생한다. 재생되는 정보로는 다기능 차단장치(100)를 통과하기 위해 준수해야 하는 과정(순서)의 설명, 통과하는 사람의 고유정보(이름, 사진, 체온 등), 순서나 규정을 지키지 않는 무단 통과자의 사진(동영상 포함) 등을 재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출입하고자 하는 장소에 대한 정보 등 운영자에 의해 다양한 정보가 재생될 수 있다.
체온 감지부(112)는 다기능 차단장치(100)에 접근하는 사람의 체온을 간접 강제 또는 집접 강제로 감지하며, 이를 위해 간접 강제용 체온 측정용 카메라(112-1) 및 직접 강제용 체온 직접 측정부(112-2)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체온 측정용 카메라(112-1)는 다기능 차단장치(100) 전방의 일정 거리에 접근하는 사람을 촬영한 영상을 후술하는 제어 프로세서(117)에 전송하며, 제어 프로세서(117)는 전달받은 영상을 분석하여 통과를 원하는 사람의 체온을 결정한다. 체온 측정용 카메라(112-1)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한 결과 해당인의 체온이 통과기준을 만족하지 못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 프로세서(117)는 체온 직접 측정부(112-2)를 통해 해당 출입자에게 체온을 한 번 더 측정할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체온 측정용 카메라(112-1)의 활용이 어려운 경우에 체온 측정용 카메라(112-1)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체온 측정용 카메라(112-1)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한 체온의 측정에 비해 체온 직접 측정부(112-2)에서 측정한 체온이 더 정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미 공개된 비접촉 상태로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를 사용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통신부(113)는 다기능 차단장치(100)에 접근하는 사람이 소지하고 있는 무선통신장치(이하 스마트폰)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외부의 서버(미도시) 또는 타 다기능 차단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블루투스 통신모듈(113-1) 및 와이파이 통신모듈(113-2)을 포함한다.
소독액 저장탱크(114)는 후술하는 차단부(120)의 다기능 아치(122)를 통과하는 사람에게 방사하는 소독액을 저장한다. 소독액의 종류는 방역의 필요에 따라 다르게 될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소독액 저장탱크(114)가 검색부(110)의 구성요소로 기재하고 도시하였지만,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마이크(115)는 다기능 차단장치(100)를 통과하고자 하는 사람이 제어 프로세서(117)나 차단 관리 서버(미도시)는 물론 다기능 차단장치(100)를 통제하는 관리인에게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수단이다.
스피커(116)는 제어 프로세서(117)나 차단 관리 서버(미도시)가 다기능 차단장치(100)를 통과하는 사람과 주변 사람에게 필요한 정보를 음성 또는 음향으로 전달한다.
제어 프로세서(117)는 영상 재생부(111), 체온 감지부(112), 통신부(113), 소독액 저장탱크(114), 마이크(115), 및 스피커(116)의 동작과 후술하는 차단부(120)의 동작을 제어하여, 다기능 차단장치(100)의 통과가 허락되는 사람에 대한 정보 수집, 다기능 차단장치(100)를 통과하는 사람의 체온을 기준과 비교하여 해당인의 통과 여부 판단과 판단 결과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제어하고, 주변의 타 다기능 차단장치(100) 및 차단 관리 서버(미도시)와의 정보 교환을 제어한다.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차단장치(100)를 통과하고자 하는 사람이 제어 프로세서(117)에 액세스하여 다기능 차단장치(100)의 통과를 사전에 등록하고자 할 때, 해당인은 자신 소유의 스마트폰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차단장치(100)에 액세스할 수 있는 앱을 설치하여야 한다. 앱을 설치한 사람은 제어 프로세서(117)에 액세스하여 소정의 과정을 거쳐 등록할 수 있는데, 이때 제어 프로세서(117)에 등록되는 것은 스마트폰의 ID가 될 것이다. 등록 과정은 제어 프로세서(117)가 주관하게 될 것이고, 해당인은 제어 프로세서(117)가 요구하는 정보를 입력하기만 하면 될 것이다.
차단부(120)는 차단 바(121), 다기능 아치(122) 및 방역 매트(123)를 구비한다.
차단 바(121)는 사람의 통과를 제한하지 않을 때에는 세워져 있어(불활성) 후술하는 다기능 아치(122)를 사람이 통과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지만, 제어 프로세서(117)의 제어에 따라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작(활성)하게 되면 사람의 통행을 방해하게 될 것이다. 차단 바(121)는 다기능 아치(122)와는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다기능 아치(122)에 부착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다기능 아치(122)는, 진입이 허용된 사람이 통과하도록 아치 형태로 구현하며, 검색부(110)와 분리된 상태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검색부(110)의 일면과 접촉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기능 아치(122)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프레임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감지센서(122-1) 및 소독액 방출 노즐모듈(122-2)이 설치되어 있다.
감지센서(122-1)는 다기능 차단장치(100)로 접근하는 사람의 키를 측정하여 제어 프로세서(117)에 전송하며, 다기능 아치(122)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독액 방출 노즐모듈(122-2)은 다기능 아치(122)를 통과하는 사람에게 소독액을 분사하며, 예를 들면, 다기능 아치(122)를 통과하는 사람의 진행방향에 따라 다기능 아치(122)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소독액을 분사하거나, 진출입하는 과정을 진입, 통과, 및 진출과 같이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방향으로 설치한 3개의 노즐을 구비하는 실시 예가 가능하다. 다기능 아치(122)의 양 측면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되지만, 이들 중에서 제어 프로세서(117)의 제어에 따라 선택된 소독액 방출 노즐모듈(122-2)만 소독액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출입자의 키에 따라 소독액의 분사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방역 매트(123)는 다기능 아치(122)를 통과하는 사람의 진행방향으로 다기능 아치(122)의 하부에 길게 설치되며, 사람이 밟는 상부 면에 소독액이 코팅되어 있어, 다기능 아치(122)를 통과하는 사람이 밟을 때 신발의 바닥을 소독할 수 있도록 한다. 방역 매트(123)에는 사람의 진행방향으로 복수의 위치감지센서(123-1)를 연속하여 설치함으로써, 방역 매트(123)를 사람이 통과할 때, 다기능 아치(123)를 중심으로 사람의 상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복수의 위치감지센서(123-1)가 감지한 정보를 제어 프로세서(117)에 전달하면, 제어 프로세서(117)는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사람의 위치를 파악하며, 이에 따라 소독액 방출 노즐모듈(122-2)의 방향을 조절하거나 소독액 방출 노즐모듈(122-2)을 구성하는 3개의 노즐 중 어느 노즐이 소독액을 분사할 것인가를 결정함으로써, 소독액 방출 노즐모듈(122-2)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차단방법(20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차단방법(200)은, 출입 등록단계(210), 신원 확인단계(220), 확진 판정단계(230), 조치단계(240) 및 무단통과 판단단계(250)를 수행한다.
출입 등록단계(210)는 출입 예정자와 제어 프로세서(117)가 수행하며, 제어 프로세서(117)는 출입 예정자로부터 정보를 수집 & 평가하여 출입자로 등록한다. 출입 예정자는 본인 소유의 스마트폰에 출입등록을 위한 앱을 설치한 후 앱을 활성화하여 제어 프로세서(170)에 액세스하고, 제어 프로세서(117)에서 요구하는 인증과정을 거쳐 다기능 차단장치(100)를 출입할 권한을 획득한다. 출입이 허락된 스마트폰의 ID는 제어 프로세서(117)에 등록 & 저장된다. 출입 등록단계(210)의 출입 예정자는, 출입 예정지가 학교일 때에는 학생 및 교사가 주요 대상이 되며, 공연장일 때에는 티켓을 구매한 고객이 될 것이다. 티켓을 구매한 고객이 해당 앱을 다운로드 한 후 앱을 활성화하여 출입대상으로 등록하였을 경우, 해당 고객은 공연 당일 공연장의 출입구를 통과할 때 구매한 티켓을 관리인에게 보여주고 출입의 허가를 받는 것이 아니라, 제어 프로세서(117)에 등록이 된 스마트폰을 소지하기만 하면 다기능 차단장치(100)가 설치된 출입구를 그대로 통과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신원 확인단계(220)에서는 제어 프로세서(117)가 다기능 차단장치(110)로 접근하는 사람의 신원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확인(221)하는 데, 접근하는 사람이 등록된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신원확인절차를 수행하지 않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된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지 않았을 경우(No)에는 별도의 개별 신원확인 절차를 수행(222)하여야 한다. 별도의 신원확인 절차는 출입 예정자와 제어 프로세서(117) 사이의 정보 교환으로 가능하며, 이때 영상 재생부(111), 마이크(115) 및 스피커(116)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확진 판정단계(230)는, 신원 확인단계(220)에서 신원 확인이 완료된 때에 수행하고, 영상생성 & 전송단계(231), 확진 여부 1차 판단단계(232), 체온 재측정 단계(233) 및 확진 여부 2차 판단단계(234)를 수행함으로써 신분상으로는 출입이 허락된 사람이라도 특정 질병 때문에 출입을 차단할 필요가 있는가를 2차적으로 판단한다.
영상생성 & 전송단계(231)에서는 체온 측정용 카메라(112-1)가 신원이 확인된 사람의 체온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 프로세서(117)에 전송한다. 확진 여부 1차 판단단계(232)에서는, 체온 측정용 카메라(112-1)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제어 프로세서(117)가 분석하여 해당인의 확진 여부를 판단한다. 체온 재측정 단계(233)는 확진 여부 1차 판단단계(232)에서 확진이 예상된다고 판단한 때(Yes)에 수행하며, 해당인이 체온 직접 측정부(112-2)에서 체온을 재측정하도록 한다. 확진 여부 2차 판단단계(234)에서는, 체온 직접 측정부(112-2)에 측정한 체온을 제어 프로세서(117)가 분석하여 해당인의 확진 여부를 최후로 판단한다.
조치단계(240)는 제어 프로세서(117)가 수행하며, 확진 판정단계(230)에서의 판단 결과 및 후술하는 무단통과 판단단계(250)의 판단결과에 따라, 통과허용 & 소독액 분사단계(241), 차단 바 활성 & 호출 단계(242), 조치결과 재생 & 정보 교환단계(243)를 수행한다.
통과허용 & 소독액 분사단계(241)에서는 체온 검사 결과 미 확진이라고 판단한 때, 즉, 확진 여부 1차 판단단계(232) 및 확진 여부 2차 판단단계(234)에서 미확진이라고 판단한 때(No)에 제어 프로세서(117)에서 동작을 제어하며, 출입이 허가된 사람이 다기능 아치(122)를 통과할 수 있도록 차단 바(121)를 제거(불활성)하고, 다기능 아치(122)에 설치된 감지센서(122-1), 소독액 방출 노즐 모듈(122-2) 및 위치감지센서(123-1)를 제어하여 다기능 아치(122)를 통과하는 사람에게 소독액을 방사한다. 제어 프로세서(117)가 방역 매트(123)에 설치한 위치감지센서(123-1)의 정보를 이용하여 다기능 아치(122)를 통과하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 소독액 방출 노즐 모듈(122-2)에서 소독액이 분사되는 방향을 조절하여 소독액의 분사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차단 바 활성 & 호출 단계(242)는, 확진 여부 2차 판단단계(234)에서 확진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및 후술하는 무단통과 판단단계(250)에서 무단으로 통과하고 있다고 판단한 때(250, Yes)에 수행하며, 한편으로는 차단 바(121)를 활성화하여 다기능 아치(122)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관리자 또는 경비원을 호출한다.
조치결과 재생 & 정보 교환단계(243)에서는 조치결과 즉 통과허용 & 소독액 분사단계(241), 차단 바 활성 & 호출 단계(242)의 내용을 재생하거나, 타 다기능 차단기 또는 차단 관리 서버(미도시)와 정보를 교환하여, 출입의 통제 및 방역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조치결과는 영상 재생부(111) 또는 스피커(116)에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다기능 차단장치(100)를 출입하려는 사람의 신원정보 중 일부, 체온 정보, 및 확진 여부를 포함한다. 정보의 교환은 일정한 장소에 복수의 다기능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임의의 한 다기능 차단장치에서 발생한 확진 정보 및 무단 통과 발생 정보를 타 다기능 차단기에 전달함으로써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확진 발생 상황 무단 통과 발생 상황을 각각의 다기능 차단장치(100)의 영상 재생부(111)에서 재생하도록 하거나, 스피커 또는 경고등(122-4)를 추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일정한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다기능 차단장치(100)를 중앙에서 제어하는 차단 관리 서버(미도시) 또는 관리자가 있는 경우에는, 임의의 다기능 차단장치(100)의 통제 및 조치는 개별 제어 프로세서(117)와 더불어 차단 관리 서버 및 관리자가 수행하도록 한다.
무단통과 판단단계(250)에서는 다기능 차단장치(100)를 통과에 필요한 절차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로 통과하려고 하는 사람이 있는가를 판단하며, 출입 등록단계(210), 신원 확인단계(220), 확진 판정단계(230) 및 조치단계(240)를 수행하는 도중에 수시로 수행한다. 무단으로 통과하는 사람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Yes)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치 단계(240) 중 차단 바 활성 & 호출단계(242)를 수행하도록 하여 출입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검색부
111: 영상 재생부 112: 체온 감지부
113: 통신부 114: 소독액 저장탱크
115: 마이크 116: 스피커
117: 제어 프로세서
120: 차단부
121: 차단 바 122: 다기능 아치
123: 방역 매트

Claims (8)

  1. 출입인을 통제하고 출입하는 사람에 대해 방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차단장치에 있어서,
    출입인의 신원확인을 수행하는 검색부 및 출입의 통제와 방역을 수행하는 차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검색부는,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로 접근하는 사람 또는 주변의 사람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재생하는 영상 재생부;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를 통과하려는 사람의 체온을 영상을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체온 측정용 카메라 및 직접 체온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체온 직접 측정부를 포함하는 체온 감지부;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로 접근하는 사람이 소지한 무선통신장치, 타 다기능 차단장치 및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를 통과하고자 하는 사람이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 또는 상기 관리서버와의 대화용으로 사용되는 마이크;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를 통과하고자 하는 사람 또는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 주변의 사람에게 음성 및 음향 정보를 제공하는 스피커; 및
    상기 영상 재생부, 상기 체온 감지부, 상기 통신부,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체온 측정용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사람의 확진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위치하여 사람의 통과를 차단하거나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위치하여 사람의 통과를 허용하는 차단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아치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현한 다기능 아치; 및
    상기 다기능 아치를 사람의 진행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표면에 소독액이 코팅된 방역 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의 출입 예정자가 자신이 소유한 무선통신수단과 접속하여, 인증과정을 거친 출입 예정자 소유의 무선통신수단을 등록하고,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로 접근하는 출입 예정자의 무선통신수단과 통신을 수행하여 신원을 확인하거나, 신원의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별도의 확인과정을 거쳐 출입 예정자의 신원을 확인하며,
    상기 신원이 확인된 출입 예정자에 대하여 상기 체온 측정용 카메라 또는 상기 체온 직접 측정부를 이용하여 확진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확진 판정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차단 바의 불활성화로 통과허용, 상기 다기능 아치를 통과하는 출입 예정자에 소독액 방사, 상기 차단 바의 활성화로 통과차단 및 관리자나 경비원의 호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단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다기능 아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기능 아치로 진입하려는 사람의 키를 측정하는 감지센서;
    상기 다기능 아치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다기능 아치를 통과하는 사람에게 소독액을 분사하는 소독액 방출 노즐 모듈; 및
    상기 다기능 아치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경고등; 을
    더 포함하는 다기능 차단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소독액 방출 노즐 모듈에 소독액을 공급하는 소독액 저장탱크; 를
    더 구비하는 다기능 차단장치.
  4. 제2항에 기재된 다기능 차단장치를 이용하는 다기능 차단방법이며,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의 출입 예정자가 자신이 소유한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프로세서에 접속하여 수행하며,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인증과정을 거친 출입 예정자 소유의 무선통신수단을 등록하는 출입 등록단계;
    상기 제어프로세서가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로 접근하는 출입 예정자의 무선통신수단과 통신을 수행하여 신원을 확인하거나, 신원의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별도의 확인과정을 거쳐 출입 예정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신원 확인단계;
    상기 신원 확인단계에서 신원이 확인된 출입 예정자에 대하여 상기 체온 측정용 카메라 또는 상기 체온 직접 측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프로세서가 확진 여부를 판정하는 확진 판정단계; 및
    상기 제어 프로세서가 수행하며, 상기 확진 판정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차단 바의 불활성화로 통과허용, 상기 다기능 아치를 통과하는 출입 예정자에 소독액 방사, 상기 차단 바의 활성화로 통과차단, 및 관리자나 경비원의 호출을 수행하는 조치단계; 를
    수행하는 다기능 차단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신원 확인단계는,
    상기 제어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다기능 차단장치로 접근하는 사람이 소지하는 상기 무선통신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무선통신장치가 등록이 되어 있는가의 여부로 신원을 판단하는 원격 신원확인단계; 및
    상기 원격 신원확인단계에서 신원의 확인이 되지 않은 사람에 대해서는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를 이용하여 개별로 신원을 확인하는 개별 신원확인단계; 를
    수행하는 다기능 차단방법.
  6. 제4항에서, 상기 확진 판정단계는,
    상기 체온 측정용 카메라가 진입 예정자의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영상생성 & 전송단계;
    상기 제어 프로세서가 수신한 진입 예정자의 영상을 분석하여 진입 예정자의 확진 여부를 판단하는 확진 여부 1차 판단단계;
    상기 확진 여부 1차 판단단계에서 확진이 의심스럽다고 판단한 진입 예정자에게 상기 체온 직접 측정부를 통해 체온을 재측정하도록 하는 체온 재 측정단계; 및
    상기 제어 프로세서가 상기 체온 재 측정단계에서 측정한 체온을 분석하여 진입 예정자의 확진 여부를 2차로 판단하는 확진 여부 2차 판단단계; 를
    수행하는 다기능 차단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조치 단계는,
    상기 확진 여부 1차 판단단계 및 상기 확진 여부 2차 판단단계에서 진입 예정자가 확진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때 수행되며, 상기 차단 바를 불활성화하여 진입 예정자가 상기 다기능 아치를 통과하도록 하고, 통과하는 진입 예정자에게 소독액을 분사하는 통과허용 & 소독액 방사단계;
    상기 확진 여부 2차 판단단계에서 확진을 판단한 진입 예정자에 대해 수행하며, 상기 차단 바를 활성화하여 상기 진입 예정자의 진입을 차단하고, 관리인 또는 경비원을 호출하는 차단 바 활성 & 호출단계; 및
    상기 통과허용 & 소독액 방사단계와 상기 차단 바 활성 & 호출 단계를 거친 후 상기 제어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조치결과 즉 진입이 허용되거나 허용되지 않은 사람의 신원정보, 체온정보, 확진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하고, 타 다기능 차단장치, 복수의 다기능 차단장치를 제어하는 차단관리서버 또는 관리자와 조치결과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조치결과 재생 & 정보 교환단계; 를
    수행하는 다기능 차단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출입 등록단계, 상기 신원 확인단계, 상기 확진 판정단계 및 상기 조치단계를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출입 등록단계, 상기 신원 확인단계, 상기 확진 판정단계 및 상기 조치단계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지 않고 통과하려는 사람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무단통과 판단단계; 를 더 수행하며,
    상기 무단통과 판단단계에서 무단으로 통과하는 사람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차단 바 활성 & 호출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다기능 차단방법.
KR1020200085291A 2020-07-10 2020-07-10 다기능 차단장치 및 다기능 차단방법 KR102304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291A KR102304463B1 (ko) 2020-07-10 2020-07-10 다기능 차단장치 및 다기능 차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291A KR102304463B1 (ko) 2020-07-10 2020-07-10 다기능 차단장치 및 다기능 차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463B1 true KR102304463B1 (ko) 2021-09-24

Family

ID=7791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291A KR102304463B1 (ko) 2020-07-10 2020-07-10 다기능 차단장치 및 다기능 차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4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488B1 (ko) * 2012-10-26 2013-06-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산 농장용 소독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76007B1 (ko) * 2016-05-18 2016-11-14 (주)아성온 출입구 방역장치
KR20170011266A (ko) * 2015-07-22 2017-02-02 진준태 열감지식 차단도어를 구비한 감염원 살균 자동 게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488B1 (ko) * 2012-10-26 2013-06-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산 농장용 소독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70011266A (ko) * 2015-07-22 2017-02-02 진준태 열감지식 차단도어를 구비한 감염원 살균 자동 게이트
KR101676007B1 (ko) * 2016-05-18 2016-11-14 (주)아성온 출입구 방역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4110C2 (ru) Лифтов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ользователей лифта по территории здания
US8857569B2 (en) Elevator access control system
US7382895B2 (en) Tailgating and reverse entry detection, alarm, recording and prevention using machine vision
CN113053012A (zh) 一种智慧社区访客管理系统
JP2005504382A (ja) 出入りを得るための安全方法、出入り確認装置、エレベータ
JP2008152328A (ja) 不審者監視システム
KR101906009B1 (ko) 축산시설 출입 관리 시스템
JP7220373B2 (ja) ゲート装置及びシステム
JP2008065763A (ja) 生体認証とロボット装置を組み合わせた入退室管理システム、入退室管理ロボット装置、および入退室管理ロボット装置のプログラム
CN106817417A (zh) 一种基于物联网和安全云的区域安全防控系统
US10713912B2 (en) Access-monitoring device with at least one video unit
KR102304463B1 (ko) 다기능 차단장치 및 다기능 차단방법
JP2010261159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7093236A (zh) 一种基于模糊视频识别的双门禁管理系统
US20210400483A1 (en) Verifying a path of a mobile wireless device based on wireless mapping
KR20140077651A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1191986A1 (ja) 訪問支援装置、訪問支援方法、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2006079236A (ja) 集合住宅における通行人管理システム
US20120262269A1 (en) Method for monitoring a space accessible through a control door and control door
KR102611113B1 (ko) 이중 출입문 인터로킹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3372A (ko) 소형컴퓨터를 이용한 차량번호인식 주차장 관리시스템
GB2596187A (en) Access control system
KR20220055682A (ko) 비대면 외부인 출입관리 시스템
KR20230134183A (ko) Uwb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탑승자 층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자 층 관리 방법
CN114170717A (zh) 一种隔离用开关门监测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