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765B1 - 초고층 복합 구조물 - Google Patents

초고층 복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765B1
KR102303765B1 KR1020190178820A KR20190178820A KR102303765B1 KR 102303765 B1 KR102303765 B1 KR 102303765B1 KR 1020190178820 A KR1020190178820 A KR 1020190178820A KR 20190178820 A KR20190178820 A KR 20190178820A KR 102303765 B1 KR102303765 B1 KR 102303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fan
inlet pipe
hollow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7124A (ko
Inventor
조태준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8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7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4/00Buildings for combinations of different purpos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main groups E04H1/00-E04H13/00 of this subclass, e.g. for double purpose; Buildings of the drive-in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45B25/143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auto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03D1/02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coaxially arran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horizon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4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 F03D9/35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within towers, e.g. using chimney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12Ground supported umbrellas or sunshades on a single post, e.g. resting in or on a surface there be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은, 지상에 마련되며, 먼지제거유닛이 마련되는 하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단에 연결되며, 풍력발전유닛이 마련되는 상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고층 복합 구조물{SUPER-TALL COMPLEX STRUCTURE}
본 발명은 초고층 복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연의 기능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 에너지 생산과 미세먼지제거와 같은 부가적 기능도 발휘할 수 있는 초고층 복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놀이시설 또는 공원 등에 초고층 구조물을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가든스 바이 더 베이(Gardens by the Bay)가 대표적이다.
가든스 바이 더 베이는 2012년 6월에 오픈한 싱가포르 최대 규모의 공원으로서, 거대한 나무 조형물로 꾸며진 야외 정원인 수퍼트리 그로브(Supertree Grove)가 유명하다.
수퍼트리 그로브는 최고 16층 높이의 수직 야외 정원으로서 가든스 바이 더 베이의 상징적인 역할을 하는 곳이다. 보행자 도로가 있어 산책이 가능하고 밤에는 아름다운 조명과 불빛이 켜져 관광 명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수퍼트리 그로브는 시각적으로 사람에게 아름다운 경관만 제공할 뿐 아무런 부가적인 기능을 하지 않는다. 만약, 16층 높이로 세워진 초고층 복합 구조물 또는 건축물이 친환경적인 기능까지 할 수 있다면 일거양득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일본등록특허 제02600489호 (1997.04.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물을 미스트 상태로 분무함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초고층 복합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먼지가 제거된 정화된 공기에 수분 미스트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가습기의 기능도 할 수 있는 초고층 복합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면에 그늘을 제공할 수도 있고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초고층 복합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은, 지상에 마련되며, 먼지제거유닛이 마련되는 하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단에 연결되며, 풍력발전유닛이 마련되는 상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물은,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단에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차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양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해서 확장 및 축소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차양 프레임 및 상기 차양 프레임에 마련되는 차양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양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이동에 따라 폴딩되는 복수개의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기상 상태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풍력발전유닛은, 복수개로 마련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마련되는 대공간 구조물; 상기 대공간 구조물을 관통하며, 무주공간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유입되는 개구부가 관통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된 유입관;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마련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풍력발전유닛은, 복수개로 마련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마련되는 대공간 구조물; 상기 대공간 구조물을 관통하며, 무주공간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유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관통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된 유입관;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유입관의 관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풍력발전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회전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이중관으로 형성되는 중공 부재 및 상기 중공 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먼지제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먼지제거유닛은, 상기 중공 부재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중공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마련되는 회전 접촉 부재; 상기 회전 접촉 부재의 하부 및 상기 중공 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지중에 매립되는 저수조; 및 상기 중공 부재의 이중관에 형성된 물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접촉 부재는 상기 중공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회전 접촉 부재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디스크 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 접촉 부재와 상기 디스크 부재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회전 접촉 부재와 상기 디스크 부재의 표면 전체에 수막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 부재와 상기 회전 접촉 부재 사이에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흡착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이중관으로 형성되는 중공 부재 및 상기 중공 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먼지제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먼지제거유닛은, 공기유입부 및 공기유출부가 형성되는 상기 중공 부재; 및 상기 공기유입부와 상기 공기유출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공 부재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존재하는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제거부는 워터 미스트에 의한 먼지 흡착, 팬의 회전에 의한 먼지 흡착 또는 필터에 의한 먼지 흡착에 의해서 공기에 존재하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은 물을 미스트 상태로 분무함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은 먼지가 제거된 정화된 공기에 수분 미스트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중 습도를 조절하거나 가변함으로써 가습기의 기능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은 지면에 그늘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야외에 마련될 경우 쉼터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은 바람의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의 상부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의 상부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에 마련되는 풍력발전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풍력발전유닛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에 마련되는 풍력발전유닛의 블레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 중 상부 구조물에 적용된 차양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8에 따른 차양 유닛의 차양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의 하부 구조물에 마련된 먼지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의 상부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의 상부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에 마련되는 풍력발전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풍력발전유닛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에 마련되는 풍력발전유닛의 블레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 중 상부 구조물에 적용된 차양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8에 따른 차양 유닛의 차양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의 하부 구조물에 마련된 먼지제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1000)은 초고층 타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1000)은, 지상에 마련되며, 먼지제거유닛(미도시)이 마련되는 하부 구조물(1600) 및 상기 하부 구조물(1600)의 상단에 연결되며, 풍력발전유닛(미도시)이 마련되는 상부 구조물(11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1000)은 지상에 마련되며 기초 지지 구조물의 역할을 하는 하부 구조물(1600) 및 하부 구조물(1600)의 상단에 마련되는 상부 구조물(11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1000)에서 "구조물"은 건축물, 건물 또는 타워 등을 포함하는 개념임을 밝혀둔다.
초고층 복합 구조물(1000)은 25층 건물과 유사한 높이를 가지며, 이 중 하부 구조물(1600)은 대략 40 m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부 구조물(1100)은 대략 60 m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1000)은 25층 건물 정도의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상부 구조물(1100)은 바람에 의한 횡하중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하부 구조물(1600)은 상부 구조물(1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하부 구조물(1600)은 상부 구조물(1100) 보다 크게 형성되고 더욱 단단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1600)은 지면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구조물(1600)은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상부 구조물(1100)은 바람 등에 의한 풍하중 또는 횡하중을 견딜 수 있으면서도 하부 구조물(1600) 보다는 가벼운 것이 좋다. 따라서, 상부 구조물(1100)는 송전탑과 같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부 구조물(1100)은 송전탑과 같이 스틸(steel) 부재로 된 트러스(truss)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구조물(1100)은, 상기 하부 구조물(1600)의 상단에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1200) 및 상기 지지 프레임(1200)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차양 유닛(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차양 유닛(1300)은 햇빛을 차단하여 그늘을 만들어 주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차양 유닛(1300)은 초고층 복합 구조물(1000)의 주변 지상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에게 그늘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여기서, 차양 유닛(1300)은 상부 구조물(1100)의 지지 프레임(1200)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200)은 송전탑과 같이 트러스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2000)의 상부 구조물(21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2000)의 하부 구조물(미도시)은 도 1에 도시된 하부 구조물(1600)과 동일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구조물(2100)은 지지 프레임(2200)이 복수개로 마련되며 트러스 구조가 아니라 일반적인 기둥 또는 빌딩의 형태를 가지는 점에서 도 1의 경우와 차이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부 구조물(2100)은 지지 프레임(2200)이 4개로 마련되어 있다. 4개의 지지 프레임(2200)은 차양 유닛(2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4개의 지지 프레임(2200) 사이의 간격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차양 유닛(2300)은 방사상 또는 둥글게 배치된 4개의 지지 프레임(2200)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부 구조물(2100)에는 풍력발전유닛(290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풍력발전유닛(2900)은 복수개로 마련되는 기둥 또는 빌딩 형태의 지지 프레임(22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풍력발전유닛(2900)은 높은 곳에 위치하는 상부 구조물(2100)에 작용하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기 때문에 충분한 바람을 맞을 수 있는 높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풍력발전유닛(2900)은, 복수개로 마련되는 상기 지지 프레임(2200)의 사이에 마련되는 대공간 구조물(116), 상기 대공간 구조물(116)을 관통하며 무주공간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유입되는 개구부(177,178)가 관통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된 유입관(179), 상기 유입관(179)의 내부에 마련되는 회전축(172) 및 상기 회전축(172)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관(179)을 통해 유입된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회전축(172)을 회전시키는 블레이드(173)를 포함할 수 있다.
풍력발전유닛(2900)은 무주공간 즉, 기둥이 없는 공간에 마련되어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대공간 구조물(116)은 돔(Dome)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대공간 구조물(116)의 내부에는 사람의 활동 또는 생활을 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179)은 상기 대공간 구조물(116)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179)의 관통방향은 상기 대공간 구조물(116)의 길이방향 또는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개구부(171, 178)는 무주공간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대공간 구물(116)의 외면에 노출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유입관(179)이 대공간 구조물(116)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면, 무주공간에서 발생되는 수직풍이 상기 유입관(179)의 개구부(177, 178)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대공간 구조물(116)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부는 수직은 대공간 구조물(116)의 외면에서 각각 노출될 상기 개구부(177, 178)를 통하여 상기 유입관(179)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공간 구조물(116)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부는 수평풍 또한 상기 개구부(177, 178)를 통하여 상기 유입관(179)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대공간 구조물(116)은 돔 형상의 상부돔(미도시)과 역돔 형상의 하부돔(미도시)을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수평풍이 상기 상부돔 또는 하부돔의 외면을 타고 상기 개구부(177, 178)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대공간 구조물(116)에 마련되는 상기 유입관(179)의 관통방향은 상기 대공간 구조물(116)의 길이방향(수평방향) 또는 높이방향(수직방향) 중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72)은 상기 유입관(179)의 관통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유입관(179)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관(179)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 상기 회전축(172) 또한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72)은 상기 유입관(179)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는바, 그 일단은 상기 유입관(179)의 일측 개구부(177)에 마련된 지지부재(17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입관(179)의 타측 개구부(178)에 마련된 지지부재(17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72)이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발전되는 구성은, 해당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일반 산업분야의 공지기술이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가 모호하지 않도록 그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된다.
상기 블레이드(17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72)의 외면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관(179)의 내부로 유입된 바람에 가압을 받아 상기 회전축(172)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17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축(172)에 다수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173)는 바람에 가압을 받아 회전되는 회전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풍력발전유닛(2900)은, 초고층 복합 구조물(200)의 상부 즉, 상부 구조물(2100)에서 강하게 부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초고층 복합 구조물(2000)에서 필요로 하는 전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충당할 수 있다.
도 5에는 풍력발전유닛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풍력발전유닛(2900)은, 복수개로 마련되는 상기 지지 프레임(2200)의 사이에 마련되는 대공간 구조물(116), 상기 대공간 구조물(110)을 관통하며 무주공간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유입될 수 있는 개구부(181,182)가 관통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된 유입관(179, 도 4 참조), 상기 유입관(179)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유입관(179)의 관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회전축(183) 및 상기 회전축(183)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관(179)을 통해 유입된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회전축(183)을 회전시키는 블레이드(18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유입관(179)은 도 5의 대공간 구조물(116)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관(179)은, 도 4에 따른 풍력발전유닛(2900)의 유입관(179)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구성설명이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회전축(183)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유입관(179)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관(179)의 내면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83)에 마련되는 상기 블레이드(184)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83)의 회전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회전축(18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84)는 상기 회전축(183)의 외면에서 양측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184)는 상기 회전축(183)에 대하여 교호로 배치되어 S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184)는 상기 유입관(179)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81) 또는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182)로 유입되는 바람에 가압을 받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183) 또는 도 4에 도시된 회전축(172)은 양방향으로 회전되어 발전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유입관(179)으로 유입되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축(172,183)의 회전방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172,183)은 양방향 발전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172,183)이 양방향으로 회전되어 전기적 발전되는 구성은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상에서는 그 구체적인 구성 설명이 생략된다.
그리고, 도 5에 따른 풍력발전유닛(2900)의 블레이드(184)는 바람뿐만 아니라 강우에 영향을 받아 상기 회전축(183)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184)는, 상기 유입관(179)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회전축(183)에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유입관(179)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81)를 통하여 상기 유입관(179)의 내부로 유입되는 강우에 가압을 받아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풍력발전유닛(2900)도, 초고층 복합 구조물(2000)의 상부 구조물(2100)에 강하게 부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초고층 복합 구조물(2000)에서 사용되는 전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충당할 수 있고, 또한, 바람뿐만 아니라 강우시에도 전기적 에너지를 발전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 대공간 구조물을 향해 부는 바람이 상기 대공간 구조물에 형성된 발전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대공간 구조물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풍하중에 의해 상기 대공간 구조물 내지 초고층 복합 구조물에 연직 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도면 부호 "112"는 대공간 구조물(116)을 지지 프레임(2200)에 연결 및 고정하는 케이블이다.
한편, 풍력발전유닛은 대공간 구조물 없이 블레이드만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발전유닛의 블레이드(190,290)는 지지 프레임(1200,220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회전 날개(194,294)를 포함할 수 있다.
일체형 블레이드(190,290)는 트러스 구조의 지지 프레임(1200)에도 적용될 수 있고, 기둥 형태의 지지 프레임(22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일체형 블레이드(190)는 회전축(미도시)이 삽입되는 회전 지지부(195), 바람에 의해서 회전하는 회전 날개(194), 회전 지지부(195)와 회전 날개(194)를 연결하는 연결부(193,196)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93,196)는 링 모양의 날개 지지부(196), 회전 지지부(195)와 날개 지지부(196)를 연결하는 브릿지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a)에는 블레이드(190)의 하단에만 회전 지지부(195)와 연결부(193,196)가 도시되어 있는데, 블레이드(190)의 상단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날개(194)는 복수개가 상하로 형성되되 나선형 모양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바람을 받게 되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에 도시된 블레이드(290)는 복수개의 회전 날개(294), 복수개의 회전 날개(294)의 중심에 마련되며 지지 프레임(1200,2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295), 회전축(295)의 단부를 수용하는 베어링부(296), 베어링부(296)와 회전 날개(294)를 연결하는 연결부(29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날개(294)는 바람을 잘 받도록 동일한 방향을 향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1000,2000)의 상부 구조물(1100,2100)에 마련된 차양 유닛(1300,2300)은 지지 프레임(1200,2200)에 형성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고 모양이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차양 유닛(1300,2300)이 항상 펼쳐져 있을 수도 있고 날씨에 따라서 접힐 수도 있다. 바람이 많이 부는 경우에는 차양 유닛(1300,2300)을 접는 것이 좋을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양 유닛(2300)은, 지지 프레임(2200)에 대해서 확장 및 축소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차양 프레임(2400) 및 차양 프레임(2400)에 마련되는 차양스크린(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양스크린은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양스크린은 햇빛 차단 뿐만 아니라 우산의 기능도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차양 프레임(2400)은, 지지 프레임(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부재(2415) 및 슬라이딩부재(2415)의 이동에 따라 폴딩(folding)되는 복수개의 링크부재(2410,2420,2430,24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a)는 차양 프레임(2400)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의 (b)는 차양 프레임(2400)이 폴딩 또는 접힌 상태를 나타낸다.
지지 프레임(2200)에는 슬라이딩부재(2415)가 지지 프레임(2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되고, 슬라이딩부재(2415)의 위쪽에는 제1힌지부재(2425)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힌지부재(2425)는 지지 프레임(2200)에 설치되지만 지지 프레임(2200)을 따라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딩부재(2415)에는 제1 링크부재(2410)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링크부재(2410)의 가운데 부분에는 제2 힌지부재(2417)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제3 힌지부재(2445)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및 제3 힌지부재(2417,2445)는 제1 링크부재(2410) 상에서 고정된 위치에 마련되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 힌지부재(2445)에는 제2 링크부재(244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 힌지부재(2445)는 제2 링크부재(2440)의 일단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일단 보다 조금 안쪽 즉 타단 쪽으로 조금 이동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링크부재(2440)의 타단에는 힌지부재가 마련되지 않으며 그 대신 차양 스크린의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힌지부재(2425)에는 제3 링크부재(242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 링크부재(2420)의 타단은 제2 힌지부재(241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 링크부재(2420)의 가운데 부분에는 제4 힌지부재(2435)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힌지부재(2435)가 제3 링크부재(2420) 상에 설치된 위치는 고정되는데 제4 힌지부재(2435)는 제2 힌지부재(2417)와 가까운 지점에 마련될 수 있다.
제4 힌지부재(2435)에는 제4 링크부재(243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4 링크부재(2430)의 타단은 제5 힌지부재(243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2 링크부재(2440)의 일단도 제5 힌지부재(243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힌지부재(2445)와 제5 힌지부재(2437)는 인접하게 된다.
여기서, 차양 유닛(2300)을 펼치거나 접기 위해서는 차양 프레임(2400)을 펼치거나 접어야 하는데, 사람의 힘으로 할 수는 없다. 차양 프레임(2400)을 펼치거나 접기 위해서 차양 유닛(2300)은, 지지 프레임(2200)을 따라 슬라이딩부재(2415)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유압잭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8(a)의 상태에서 슬라이딩부재(2415)가 지지 프레임(2200)을 따라 아래쪽으로 움직이기만 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 프레임(2400)이 접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는 슬라이딩부재(2415)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날씨가 맑거나 햇빛이 강한 경우 또는 비가 오는 경우에는 차양 프레임(2400)을 펼치게 된다. 다만, 비가 오는 경우에도 바람이 심한 경우에는 차양 유닛(2300)을 접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이 심한 경우에는 바람에 의해서 차양 유닛(2300)이 파손되거나 파손된 차양 유닛(2300)에 의해 사람이 다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부는 기상 상태에 따라 슬라이딩부재(2415)를 움직이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기상 상태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기상센서(미도시) 및 상기 기상센서와 연동하여 상기 구동부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1000)의 하부 구조물(1600)에는 먼지제거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먼지제거유닛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구조물(1600)은 이중관(1620)으로 형성되는 중공 부재(101) 및 상기 중공 부재(101)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먼지제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먼지제거유닛은, 상기 중공 부재(101)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중공 부재(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마련되는 회전 접촉 부재(1700), 상기 회전 접촉 부재(1700)의 하부 및 상기 중공 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지중에 매립되는 저수조(1800) 및 상기 중공 부재(101)의 이중관에 형성된 물 분사부(163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 부재(101)는 하부 구조물(1600)의 외벽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중공 부재(101)가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중공 부재(101)는 상부에서 하부로 살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원추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중공 부재(101)는 이중관(1620)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부재(101)의 이중관(1620)을 따라 저수조(1800)에 저장된 물이 상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이중관(1620)과 연통되도록 중공 부재(101)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물 분사부(1630)가 형성될 수 있다.
물 분사부(1630)는 중공 부재(101)의 내부에 마련된 회전 접촉 부재(1700)를 향해서 물을 분사하는 부분이다. 중공 부재(101)의 이중관 부분을 통해서 공급된 물을 강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물 분사부(1630)는 노즐(Nozzle)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물 분사부(1630)는 물을 스프레이 하거나 미스트(Mist)의 형태로 분사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물 분사부(1630)를 통해서 분사되는 물은 저수조(180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다. 저수조(1800)는 하부 구조물(1600)이 설치되는 지면(1900)의 지중에 형성되며, 지면(1900)을 통해 스며드는 우수(빗물)을 포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수조(1800)의 일측에는 저장된 물을 물 분사부(1630)까지 공급하기 위한 펌프(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중공 부재(101)의 이중관(1620) 하단은 저수조(1800)에 저장된 물에 잠기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 부재(101)의 내부에는 회전 접촉 부재(1700)가 마련될 수 있는데, 회전 접촉 부재(1700)는 중공 부재(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전 접촉 부재(1700)는 중공 부재(101)의 내부에 마련되는 원통형 회전 부재로서 상하 방향을 따라 3개의 회전 접촉 부재(1700)가 분할 형성되어 있다. 회전 접촉 부재(1700)의 외면과 중공 부재(101)의 내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는데, 물 분사부(1630)에서 분사된 물이 회전 접촉 부재(1700)의 외면을 모두 적실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 접촉 부재(1700)의 외면 내지 표면에 묻은 물로 인해서 공기 중의 먼지 또는 미세먼지 등이 회전 접촉 부재(1700)의 외면에 흡착된다. 흡착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회전 접촉 부재(1700)의 외면은 매끈하게 형성되기 보다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회전 접촉 부재(1700)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디스크 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복수개의 디스크 부재를 붙여서 회전 접촉 부재(1700)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회전 접촉 부재(1700)의 외면에는 요철이 존재하게 되어 먼지 흡착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 접촉 부재(1700)와 상기 디스크 부재의 회전으로 인해 회전 접촉 부재(1700)와 상기 디스크 부재의 표면 전체에 수막이 형성되어 중공 부재(101)와 회전 접촉 부재(1700) 사이에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착 제거할 수 있다.
회전 접촉 부재(1700)는 물 분사부(1630)에서 분사되는 물의 힘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별도의 회전 구동부(1640)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전 구동부(1640)는 회전 접촉 부재(1700)의 상부 측에 마련되어 회전 접촉 부재(1700)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전 구동부(1640)는 물 분사부(1630)의 작동과 연동하여 회전 접촉 부재(1700)를 회전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중공 부재(101)의 하단 일측에는 중공 부재(101)와 회전 접촉 부재(1700) 사이의 간격과 연통되는 공기 유입부(1950)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부(1950)는 지면(1900)과 가까운 높이에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유입부(1950)에는 공기 흡입수단(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유입부(195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중공 부재(101)와 회전 접촉 부재(1700) 사이의 간격을 통해서 상승하게 된다. 이처럼 공기가 상승하는 중에 물 분사부(1630)에서 물이 분사되어 회전 접촉 부재(1700)의 외면을 적시게 되고 회전 접촉 부재(1700)가 회전을 하게 되면, 공기는 회전 접촉 부재(1700)의 외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은 회전 접촉 부재(1700)의 외면에 흡착된다. 따라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공기가 중공 부재(101)의 상단을 통해서 배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공기 유입부(195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A1)에는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지만, 중공 부재(101)의 상단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A2)는 오염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공기이다.
회전 접촉 부재(1700)의 외면에 흡착되어 있는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은 물 분사부(1630)에서 공급되는 물에 의해서 세척되어 저수조(1800)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이때, 오염물질이 포함된 물이 저수조(180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저수조(1800)의 상부에 여과수단(미도시)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저수조(1800)에 저장된 물은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중공 부재(101)의 일측에는 세척수 공급부(1970)가 마련될 수 있다. 세척수 공급부(1970)의 하단은 저수조(1800)에 잠기도록 마련되고, 세척수 공급을 위한 펌프(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세척수 공급부(1970)는 저수조(1800)에 저장된 물을 지면(1900)으로 분사하여 지면을 청소하는데 사용하거나 지면의 온도를 낮추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A3 참조).
도 10에는 도 9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구조물(2600)은 이중관으로 형성되는 중공 부재(101) 및 중공 부재(101)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먼지제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제거유닛은, 공기유입부(101a) 및 공기유출부(101b)가 형성되는 중공 부재(101) 및 공기유입부(101a)와 공기유출부(101b) 사이에 위치하도록 중공 부재(101)의 내부에 마련되어 공기유입부(101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존재하는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제거부(140,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먼지제거부(140,150)는 워터 미스트(Water mist)에 의한 먼지 흡착, 팬의 회전에 의한 먼지 흡착 또는 필터에 의한 먼지 흡착에 의해서 공기에 존재하는 먼지 등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0에서 A1, A2, A3는 각각 중공 부재(101)에 유입되는 공기를 의미하며, A1은 먼지,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함유된 공기를 의미하고, A2는 팬 흡착부(140)에 의해서 1차적으로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의미하며, A3는 필터 여과부(150)에 의해서 2차적으로 오염물질이 제거된 정화 공기를 의미한다.
중공 부재(101)의 내부에는 먼지제거부(140,150)가 마련될 수 있다. 먼지제거부(140,150)는 중공 부재(10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A1,A2)에 포함된 먼지,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부분이다. 먼지제거부(140,150)는 건식상태에서 공기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습식상태에 공기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먼지제거부(140,150)는, 공기유입부(101a)로 유입되는 공기(A1,A2)의 유동방향을 따라 공기유입부(101a)의 전방에 마련되는 팬 흡착부(140) 및 공기(A1,A2)의 유동방향을 따라 팬 흡착부(140)의 전방에 마련되는 필터 여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제거부(140,150)와 공기유출부(101b) 사이에는 공기 송풍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의 경우에는 필터 여과부(150)를 통과한 공기(A3)를 공기유출부(101b)로 보내는 공기 송풍부(160)가 필터 여과부(150)와 공기유출부(101b)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송풍부(160)도 중공 부재(10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송풍부(160)에 의해서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이 포함된 외부 공기가 중공 부재(10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송풍부(160)는 블로워(Blower)의 형태를 가지며, 송풍팬(161), 송풍팬(161)을 구동하는 팬구동부(162) 및 팬구동부(162)를 지지하는 지지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팬구동부(162)는 송풍팬(161)을 회전시키는 모터이며 송풍팬(161)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63)는 송풍팬(161)과 팬구동부(162)가 중공 부재(101)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팬구동부(162)를 고정 지지하는 부재이다. 지지부(163)는 로드(rod) 형태로 마련되어 팬구동부(162)를 지지하되 Y자 형태로 배치된 3개의 지지부(163)를 이용하여 팬구동부(162)를 고정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팬(161)은 정화된 공기(A3)를 중공 부재(101)의 외부로 배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서 송풍팬(161)이 팬구동부(162)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 흡착부(140)는 공기유입부(101a)의 전방에 마련됨으로써 공기유입부(101a)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A1)가 가장 먼저 팬 흡착부(140)에 의해 먼지,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오염물질”은 외부 공기(A1)에 포함된 미세먼지, 먼지 등의 물질을 의미한다.
팬 흡착부(140)는 공기(A1)의 유동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팬(141)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팬(141)은 공기유입부(101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A1)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다.
복수개의 팬(141)의 중심을 통과하는 샤프트(142)에 복수개의 팬(141)이 고정될 수 있다. 복수개의 팬(141)은 샤프트(14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팬(141)과 샤프트(142)는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142)는 중공 부재(101)의 길이방향 내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샤프트 지지부(143,14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샤프트 지지부(143,145)는 샤프트(1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샤프트(142)와 샤프트 지지부(143,145)의 연결부위에 베어링(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샤프트 지지부(143,145)는 로드(rod)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3개의 샤프트 지지부(143,145)가 Y자 형태로 배치되어 샤프트(142)를 회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팬 흡착부(140)는 복수개의 팬(141)을 회전시키는 별도의 구동부가 없다. 팬 흡착부(140)의 팬(141)은 공기유입부(102)를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A1)의 유동에 의해서 회전하게 된다. 즉, 팬 흡착부(140)의 팬(141)은 아이들(Idle) 상태에서 공기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복수개의 팬(141)은 샤프트(14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팬(141)은 동일한 방향으로 샤프트(142)에 배치되어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일부의 팬(141)은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공기가 팬(141)을 통과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간도 길어지고, 그 결과 정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팬 흡착부(140)는 공기(A1)에 포함된 오염물질 중에서 비교적 입자가 작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먼지제거유닛은 건식 상태의 공기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습식 상태의 공기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습식 상태의 공기에 포함된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은 수분과 함께 팬(141)이 날개 표면에 흡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공기를 습식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미스트 공급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미스트 공급부(130)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팬 흡착부(140)의 전방에는 필터 여과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팬 흡착부(140)에 의해서 오염물질이 1차적으로 제거된 공기(A2)는 팬 흡착부(140)의 전방에 마련된 필터 여과부(150)로 유입되어 오염물질이 2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필터 여과부(150)는 중공 부재(101)의 내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 여과부(150)와 중공 부재(101)의 내면 사이에 틈새가 있다면, 그 틈새를 통과하는 공기는 오염물질이 2차적으로 제거될 수 없다.
필터 여과부(150)는 메쉬(mesh) 형태를 가지는 금속 필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팬 흡착부(140) 보다는 비교적 입자의 크기가 큰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 여과부(150)에 의해서 오염물질이 2차적으로 제거된 공기(A3)는 공기 송풍부(160)에 의해서 공기유출부(101b)를 통해 강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공기유출부(101b)를 통해서 중공 부재(101)의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A3)에는 수분이 함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1000,2000)은 가습기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은 습식 상태로 공기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습식 상태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중공 부재(101)의 내부에서 공기에 수분을 공급해야 하는데,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먼지제거유닛은 미스트 공급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중공 부재(101)에는 워터 미스트(water mist)를 분무하는 다수개의 미스트 공급부(130)가 형성되며, 미스트 공급부(130)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중공 부재(101)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중공 부재(101)의 위쪽에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워터 미스트를 분무하도록 미스트 공급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미스트 공급부(130)는, 공기유입부(101a)를 향해 비스듬하게 워터 미스트를 분무하는 제1 공급부(131),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제1 공급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팬 흡착부(140)에 워터 미스트를 분무하는 제2 공급부(132,133) 및 팬 흡착부(140)와 필터 여과부(150) 사이에 워터 미스트를 분무하는 제3 공급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급부(131)는 공기유입부(102)를 통해서 중공 부재(101)의 내부에 처음으로 유입되는 공기(A1) 즉, 건조 상태의 공기(A1)에 워터 미스트 또는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공급부(131)는 직하 방향으로 워터 미스트 또는 수분을 분무(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공기유입부(101a)를 향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워터 미스트 또는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공기유입부(101a)를 향해서 수분 또는 워터 미스트를 공급하기 때문에 중공 부재(101)의 내부에 유입되자 마자 공기(A1)가 수분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공급부(131)는 워터 미스트 또는 수분을 분무, 분사 또는 공급할 수 있도록 노즐(nozzle)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유입부(101a)와 팬 흡착부(140)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A1)가 많은 수분과 접촉할 수 있도록 제1 공급부(132)는 다수개의 노즐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2 공급부(132,133)는 팬 흡착부(140)에 수분 또는 워터 미스트를 공급하도록 팬 흡착부(140)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공급부(132,133)에서 공급되는 수분 또는 워터 미스트는 공기 뿐만 아니라 팬(141)의 날개에도 접촉될 수 있다. 즉, 팬(141)의 날개 표면에 수분이 묻어 있게 된다.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팬 흡착부(140)의 팬(141)은 공기의 유동에 의해서 회전하기 때문에 팬(141)의 회전속도가 빠르지 않다. 따라서, 공기가 팬(141)에 충돌하면서 공기의 흐름이 팬(141)에 의해서 막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입자 크기가 작은 오염물질(먼지 또는 미세먼지)은 수분 또는 워터 미스트에 흡착되어 팬(141)의 날개 표면에 부착 또는 흡착될 수 있다. 공기에 포함된 입자 크기가 작은 오염물질은 팬(141)의 날개 표면에 수분과 함께 흡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 오염물질은 수분의 표면장력에 의해서 팬(141)의 날개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팬(141)의 표면에 흡착된 오염물질은 제2 공급부(132,133)에서 계속 공급되는 수분에 의해서 씻겨 나갈 수 있다. 팬(141)의 날개 표면에서 씻겨진 오염물질은 중공 부재(101)의 내면 하부에 모여서 중공 부재(101)의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3 공급부(134)는 팬 흡착부(140)와 필터 여과부(150) 사이의 영역에 워터 미스트 또는 수분을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팬 흡착부(140)에서 나온 공기(A2)는 수분과 접촉하여 습식 상태로 필터 여과부(150)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A3)에 함유된 비교적 입자가 큰 오염물질은 필터 여과부(150)에 흡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 역시 수분의 표면장력에 의해서 오염물질을 필터 여과부(150)에 흡착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필터 여과부(150)에 흡착된 오염물질은 제3 공급부(134)에서 공급되는 수분 또는 워터 미스트에 의해 씻겨서 중공 부재(101)의 내부로 떨어져 제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팬(141)의 날개 표면과 필터 여과부(150)에 흡착된 오염물질은 미스트 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수분 또는 워터 미스트에 의해 씻겨진 후 중공 부재(101)의 내면에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공 부재(101)의 내면에 떨어진 수분(w+p)에는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오염물질이 흡착된 수분(w+p)은 중공 부재(101)의 내면에 관통 연결된 배수관(104,105)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중공 부재(101)에서 배출될 수 있다.
2개의 배수관(104,105)이 하나로 모인 통합배수관(106)을 통해 배출된 오염물질이 흡착된 수분(w+p)은 오염물 제거탱크(110)로 모이게 된다.
오염물 제거탱크(110)에서는 침전에 의해서 오염물질을 분리 제거하거나 각종 화학적 처리를 통해서 오염물질을 제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오염물 제거탱크(110)에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물(W1)은 저수조(120)에 저장될 수 있다. 저수조(120)에는 오염물질이 제거된 물(W1) 뿐만 아니라 빗물(W2)을 공급하는 우수관(129)이 연결될 수도 있다.
저수조(120)에 저장된 물(W)은 펌프(122)에 의해서 미스트 공급부(13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 복합 구조물(1000,2000)은 물을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저수조(120)와 펌프(122)를 연결하는 제1 유로(121), 펌프(122)와 미스트 공급부(130)를 연결하는 제2 유로(123)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유로(123)는 제1 내지 제4 공급부(131,132,133,134)와 연결되도록 중공 부재(101)의 이중관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2000: 초고층 복합 구조물
1100,2100: 상부 구조물
1200,200: 지지 프레임
1300,2300: 차양 유닛
1600,2600: 하부 구조물
1700: 회전 접촉 부재
2400: 차양 프레임
2900: 풍력발전유닛

Claims (9)

  1. 지상에 마련되며, 먼지제거유닛이 마련되는 하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단에 연결되며, 풍력발전유닛이 마련되는 상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이중관으로 형성되는 중공 부재 및 상기 중공 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먼지제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먼지제거유닛은,
    공기유입부 및 공기유출부가 형성되는 상기 중공 부재; 및 상기 공기유입부와 상기 공기유출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공 부재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존재하는 먼지를 습식상태에서 제거하는 먼지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제거부는, 상기 공기유입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공기유입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팬 흡착부 및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팬 흡착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필터 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여과부와 상기 공기유출부 사이에 마련되는 공기 송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송풍부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팬구동부 및 상기 팬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송풍팬과 상기 팬구동부가 상기 중공 부재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팬구동부를 고정 지지하는 부재로서 Y자 형태로 배치된 3개의 지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팬구동부를 고정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복합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은,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단에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차양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복합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해서 확장 및 축소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차양 프레임 및 상기 차양 프레임에 마련되는 차양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복합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이동에 따라 폴딩되는 복수개의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복합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기상 상태에 따라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복합 구조물.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유닛은,
    복수개로 마련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마련되는 대공간 구조물;
    상기 대공간 구조물을 관통하며, 무주공간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유입되는 개구부가 관통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된 유입관;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마련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복합 구조물.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유닛은,
    복수개로 마련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마련되는 대공간 구조물;
    상기 대공간 구조물을 관통하며, 무주공간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유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관통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된 유입관;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유입관의 관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복합 구조물.
  8. 삭제
  9. 삭제
KR1020190178820A 2019-12-31 2019-12-31 초고층 복합 구조물 KR102303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20A KR102303765B1 (ko) 2019-12-31 2019-12-31 초고층 복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20A KR102303765B1 (ko) 2019-12-31 2019-12-31 초고층 복합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124A KR20210087124A (ko) 2021-07-12
KR102303765B1 true KR102303765B1 (ko) 2021-09-23

Family

ID=7685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820A KR102303765B1 (ko) 2019-12-31 2019-12-31 초고층 복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7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073B1 (ko) * 2014-12-09 2017-05-18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풍력 발전이 가능한 초고층 복합 빌딩 시스템
CN107795178A (zh) * 2017-12-20 2018-03-13 姚景城 一种具有遮雨功能的通信塔
KR101989069B1 (ko) * 2018-07-20 2019-06-14 대성중공업 타워형 자가발전 및 미세먼지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0489B2 (ja) 1990-05-18 1997-04-16 鹿島建設株式会社 超々高層ビル
KR20140022275A (ko) * 2012-08-14 2014-02-24 유제우 접이식 모자
KR20150026425A (ko) * 2013-09-03 2015-03-11 유재춘 전동 접이식 어닝을 구비한 파고라
KR102064184B1 (ko) * 2018-03-22 2020-01-09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073B1 (ko) * 2014-12-09 2017-05-18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풍력 발전이 가능한 초고층 복합 빌딩 시스템
CN107795178A (zh) * 2017-12-20 2018-03-13 姚景城 一种具有遮雨功能的通信塔
KR101989069B1 (ko) * 2018-07-20 2019-06-14 대성중공업 타워형 자가발전 및 미세먼지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124A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2017B2 (en) Air umbrella device
US8544488B2 (en) Collapsible canopy
US9822545B1 (en) Deployable shading structure
KR101376553B1 (ko)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CN108774979A (zh) 一种桥梁建设用便于移动的护栏清洗装置
KR101964903B1 (ko) 개방공간용 공기정화장치
CN108018804A (zh) 一种具有高效除尘功能和地面降温功能的潮汐护栏
KR102303765B1 (ko) 초고층 복합 구조물
KR102080068B1 (ko) 옥외용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고정식 그늘막
KR102050364B1 (ko) 옥외용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접이식 그늘막
CN207121956U (zh) 集水装置以及集水系统
CN104481198B (zh) 一种与景观灯配套的避雨装置
CN207605519U (zh) 户外水膜除霾净化塔
CN105327570A (zh) 一种基于高大建筑的水幕除尘及广告牌系统
CN205217443U (zh) 行道树清洁设备
KR102312955B1 (ko) 스마트 전자동 개폐형 그늘막
US20200346161A1 (en) Air pollution remediation system for large open-air spaces
CN207228717U (zh) 一种彩钢车棚
KR101633257B1 (ko) 공기우산장치
EP2901907B1 (en) Vacuum cleaner with wet scrubber
CN207121953U (zh) 集水装置以及集水系统
JP2008075323A (ja) 上向き伸縮屋根装置
CN204326688U (zh) 一种与景观灯配套的避雨装置
CN206375686U (zh) 一种旋转净化景观池
KR20200122978A (ko) 다목적 공기 청정 타워 및 이를 설치하는 복합 건축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