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184B1 -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184B1
KR102064184B1 KR1020180033037A KR20180033037A KR102064184B1 KR 102064184 B1 KR102064184 B1 KR 102064184B1 KR 1020180033037 A KR1020180033037 A KR 1020180033037A KR 20180033037 A KR20180033037 A KR 20180033037A KR 102064184 B1 KR102064184 B1 KR 102064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oad
air
flow path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2221A (ko
Inventor
조태준
백두성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3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184B1/ko
Publication of KR20190112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using a liquid curt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은, 도로에 수직하게 배치된 기둥 구조물, 상기 기둥 구조물의 기초부에 형성된 물 탱크, 상기 물 탱크에 저장하기 위한 물 또는 우수가 집수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 또는 상기 도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물 탱크의 일측과 연결된 집수 기구, 상기 기둥 구조물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도로의 공기를 상기 간극으로 흡입한 후 상기 간극을 따라 상승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 기구, 상기 도로의 공기가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강제로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된 송풍 기구,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공기와 접촉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의 외주부 또는 상기 유로 형성 기구의 내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접촉 기구, 및 상기 유로 형성 기구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접촉 기구가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된 물 또는 우수를 상기 회전 접촉 기구에 제공하는 제1 물 공급 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SYSTEM FOR CLEANING AIR OF ROAD}
본 발명은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물 또는 우수(rain water, 雨水)를 이용하여 도로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와 환경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환경 문제 및 수자원 부족 현상에 대한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여기서, 환경 문제는 지구 온난화 등과 같은 기후악화 및 대기 오염으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한 각종 국제 협약이 강화되는 추세이다. 또한, 물 부족 현상은 다수의 국가에서 이미 심각한 실정이며, 그 때문에 물 절약 및 수자원 확보를 위한 노력이 각국에서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수자원 확보를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물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면, 국내에서는 우수와 같은 물을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하수(下水)와 함께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우수와 같은 물의 경우에는 가정과 공장 등의 하수와 달리 비교적 깨끗한 물이므로, 농업용 및 청소용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물을 적절히 모아서 필요한 부분에 사용할 수 있다면, 물 부족 현상을 방지하고, 수자원 확보 측면에서도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일예로, 싱가폴의 베이 가든(bay gardens)에는 우수와 같은 물의 집수가 가능한 인공나무가 다수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베이 가든의 인공나무는 관광이나 물 집수 등과 같은 활용성에 비해서 제작 비용 및 공간 확보의 측면에서 적용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도로 상에 설치된 가로등이나 교통신호등의 기둥에 물을 집수하는 발명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제10-1373452호(빗물 재활용 가로등, 출원일: 2013.07.11)에는 가로등에 빗물을 집수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집수된 빗물을 가로등의 주변에 있는 화분에 공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공장과 차량에서 발생되는 배출 가스는 대기 오염의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배출 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이나 미세먼지는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흡입되어 각종 질환을 유발하고 있다. 특히, 도로의 경우에는 차량과 보행자가 함께 이동하는 공간이므로, 차량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 및 미세분진 등이 보행자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도로 주변의 대기 오염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도로의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살수차를 이용한 습식 청소 방식이 실시되고 있다. 즉, 살수차가 도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도로 상에 물을 살포하면, 도로의 청소 효과와 함께 도로의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그렇지만, 살수차로 도로를 청소하는 방법은 수돗물을 사용하므로 물 낭비가 심하고, 살수차와 운전자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며, 도심의 복잡한 도로 사정을 감안하면 작업의 효율성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로의 물을 이용하여 도로의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로의 상황에 따라 도로의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정화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부로부터의 동력 공급 없이도 자체 생성된 동력만으로 원활하게 운영 및 유지할 수 있는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기둥 구조물을 포함하고, 도로 또는 지상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 기구; 상기 도로 또는 지상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된 송풍 기구;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공기와 접촉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의 외주부 또는 상기 유로 형성 기구의 내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접촉 기구; 및 상기 유로 형성 기구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접촉 기구가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미세먼지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물을 상기 회전 접촉 기구에 제공하는 물 공급 기구;를 포함하는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에 수직하게 배치된 기둥 구조물, 상기 기둥 구조물의 기초부에 형성된 물 탱크, 상기 물 탱크에 저장하기 위한 물 또는 우수가 집수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 또는 상기 도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물 탱크의 일측과 연결된 집수 기구, 상기 기둥 구조물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도로의 공기를 상기 간극으로 흡입한 후 상기 간극을 따라 상승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 기구, 상기 도로의 공기가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강제로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된 송풍 기구,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공기와 접촉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의 외주부 또는 상기 유로 형성 기구의 내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접촉 기구, 및 상기 유로 형성 기구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접촉 기구가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된 물 또는 우수를 상기 회전 접촉 기구에 제공하는 제1 물 공급 기구를 포함하는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로 형성 기구는, 상기 기둥 구조물의 외주를 감싸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둥 구조물과의 사이에 상기 공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관형 부재, 상기 관형 부재의 하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흡입구에 배치되고, 상기 도로의 공기를 상기 공기 유로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 가이드, 및 상기 관형 부재의 상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배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전 접촉 기구는, 상기 기둥 구조물의 외주부 또는 상기 유로 형성 기구의 내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 또는 상기 유로 형성 기구에 배치된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접촉 기구는, 상기 회전 부재의 표면에서 상기 공기 유로를 향해 얇은 두께의 디스크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물 공급 기구가 제공하는 물 또는 우수에 의해서 수막이 표면에 형성된 날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기둥 구조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물 공급 기구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우수에 충돌하는 가이드 베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날개 부재의 하측을 따라 복수개가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은, 상기 기둥 구조물의 상부에 배치되고, 태양광 또는 바람으로부터 전기를 생성하여 상기 송풍 기구와 상기 회전 접촉 기구 및 상기 제1 물 공급 기구에 공급하는 발전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다르게, 상기 회전 접촉 기구는, 상기 기둥 구조물의 외주부 또는 상기 유로 형성 기구의 내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의 표면에서 상기 공기 유로를 향해 얇은 두께의 디스크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물 공급 기구가 제공하는 물 또는 우수에 의해서 수막이 표면에 형성된 날개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기둥 구조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물 공급 기구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우수에 충돌하는 가이드 베인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거나,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링형의 원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표면에 복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물 공급 기구는, 상기 유로 형성 기구에 상기 회전 부재를 향해 배치된 제1 분사 노즐, 상기 제1 분사 노즐과 상기 물 탱크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1 물 공급관, 및 상기 물 탱크 내의 물 또는 우수를 상기 제1 분사 노즐로 펌핑하도록 상기 제1 물 공급관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분사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집수 기구는, 상기 기둥 구조물의 상부 및 상기 도로의 상부에 홀 형상으로 형성된 물 유입부, 및 상기 물 유입부로 유입된 물 또는 우수를 상기 물 탱크로 안내하도록 상기 물 유입부와 상기 물 탱크에 연통되게 형성된 물 집수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은, 상기 물 탱크의 타측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물 탱크 내의 물 또는 우수를 상기 도로 상으로 분사하여 상기 도로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2 물 공급 기구, 및 상기 도로에 배치되고, 상기 도로를 통과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 중 적어도 하나의 하중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물 공급 기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물 공급 기구는, 상기 차량이 주행되는 도로를 향해 상기 물 또는 우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 또는 상기 유로 형성 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2 분사 노즐, 상기 제2 분사 노즐과 상기 물 탱크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 물 공급관, 및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된 물 또는 우수를 상기 제2 분사 노즐로 펌핑하도록 상기 제2 물 공급관에 배치된 제2 분사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은, 상기 기둥 구조물에 배치되고 주간과 야간을 식별하는 주야 식별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물 공급 기구와 상기 송풍 기구 및 상기 회전 접촉 기구는 주간에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제2 물 공급 기구는 야간에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은, 도로에 내리는 빗물을 집수 기구가 집수한 후 집수 기구의 물 또는 우수를 이용하여 도로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구조이므로, 유수의 활용성을 향상시켜 수자원 확보에 따른 물 부족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고, 도로의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유수가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도로의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에 의한 각종 질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은, 도로의 표면에 물 또는 우수를 직접 분사하는 방식 또는 흡입한 도로의 공기에 물 또는 우수를 분사하는 방식을 도로의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므로, 도로의 상황에 적합한 방식으로 도로의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의 작동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주간과 야간에 차량과 보행자의 통행량 변화에 맞춰서 도로의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그로 인해서 물 또는 우수 분사로 인한 운전자와 보행자의 불만, 불쾌감, 주행 또는 보행의 방해 등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은, 태양광 또는 바람으로부터 동력을 생성하여 제1 물 공급 기구와 송풍 기구 및 회전 접촉 기구에 전달됨과 아울러 도로를 따라 이동하는 차량과 보행자의 하중 변화로부터 동력을 생성하여 제2 물 공급 기구에 전달되는 구조이므로,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외부 동력원이 불필요하고,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자체적으로 확보하여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의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은, 제1 물 공급 기구에서 공급된 물 또는 우수에 의해서 회전 접촉 기구의 날개 부재의 표면에 수막이 형성됨과 아울러 날개 부재가 회전 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상태에서 도로의 공기가 공기 유로를 따라 강제 이송되는 구조이므로, 도로의 공기가 날개 부재의 수막을 거치는 과정에서 도로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서 에어 워셔 또는 사이클론 공기정화기 등과 같은 공기의 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도로의 공기가 기둥 구조물의 하부에서 공기 유로로 유입된 후 기둥 구조물의 상부로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도로의 공기가 기둥 구조물 주위의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차량과 보행자가 도로에 많은 상태에서도 작동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에 대한 주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회전 접촉 기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회전 접촉 기구의 변형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에 대한 주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회전 접촉 기구(16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는 기둥 구조물(110), 물 탱크(120), 집수 기구(130, 132, 134), 유로 형성 기구(140), 송풍 기구(150), 회전 접촉 기구(160), 제1 물 공급 기구(170), 및 제2 물 공급 기구(180), 동력 제공 기구(190), 및 발전 기구(20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은 물 또는 우수(W)를 활용하여 도로(112)의 주변 공기를 정화하는 시스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은 도로(112)의 공기를 흡입한 후 물 또는 우수(W)에 접촉시키는 방식 및 물 또는 우수(W)를 도로(112)의 주변에 분사하는 방식으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기둥 구조물(110)은 도로(112)에 수직하게 배치된 기둥 형상의 구조물로서, 도로(112)에 설치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기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둥 구조물(110)은 도로(112)를 따라 배치된 가로등주, 교통신호등주, 전신주, 표시판과 안내판의 기둥, 무인 교통 카메라의 기둥 등이 모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기둥 구조물(110)은 가로등주 등의 도로 기둥 구주물이 아니라 공기 정화 시스템(100)에 사용되는 기둥 구조물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은 가로등주 등에 적용할 수도 있지만, 가로등주와 같은 도로 기둥 구조물과 무관하게 도로 또는 지상에 설치되어 미세먼지 등을 정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기둥 구조물을 포함하고 도로 또는 지상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 기구, 상기 도로 또는 지상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된 송풍 기구,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공기와 접촉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의 외주부 또는 상기 유로 형성 기구의 내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접촉 기구, 및 상기 유로 형성 기구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접촉 기구가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미세먼지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물을 상기 회전 접촉 기구에 제공하는 물 공급 기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둥 구조물은 가로등주 등이 아니라 공기 정화 시스템(100)에만 적용되는 독자적인 기둥 구조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 구성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동일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둥 구조물(110)이 가로등주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로(112)는 차도(114) 또는 보도(116)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차도(114)는 차량(C)이 주행하기 위한 도로이고, 보도는 보행자(P)가 보행하기 위한 도로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차도(114)와 보도(116)가 서로 이웃하게 형성된 도로(112)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기둥 구조물(110)은 차도(114)와 보도(116)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둥 구조물(110)은 차도(114) 또는 보도(116) 중 어느 하나만으로 형성된 도로(112)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물 탱크(120)는 물 또는 우수(W)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기둥 구조물(110)의 기초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물 탱크(120)가 기둥 구조물(110)의 기초부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둥 구조물(110)의 기초부의 옆에 별도의 구성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기둥 구조물(110)의 기초부는 기둥 구조물(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차도(114)와 보도(116) 사이의 지면에 매립 고정될 수 있다. 기둥 구조물(110)의 기초부는 기둥 구조물(110)의 지지 안정성을 높이도록 기둥 구조물(110)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둥 구조물(110)은 도로(112)를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물 탱크(120)는 기둥 구조물(110)들의 기초부에 개별적으로 각각 형성된 후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기둥 구조물(110)들의 기초부에 단수개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집수 기구(130, 132, 134)는 물 탱크(120)에 물 또는 우수(W)를 집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기둥 구조물(110) 또는 도로(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집수 기구(130, 132, 134)가 기둥 구조물(110)과 차도(114) 및 보도(116)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집수 기구(130, 132, 134)의 일단부는 물 탱크(120)의 일측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집수 기구(130, 132, 134)의 타단부는 기둥 구조물(110)과 차도(114) 및 보도(116)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물 또는 우수(W)는 기둥 구조물(110)과 차도(114) 및 보도(116)에 내린 후 집수 기구(130, 132, 134)를 통해 물 탱크(120)의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집수 기구(130, 132, 134)는, 기둥 구조물(110)에 형성된 제1 집수 기구(130), 보도(116)에 형성된 제2 집수 기구(132), 및 차도(114)에 형성된 제3 집수 기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집수 기구(130)는 제1 물 유입부(130a) 및 제1 물 집수 통로(130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물 유입부(130a)는 기둥 구조물(110)의 외부에 내리는 빗물이 유입되도록 기둥 구조물(110)의 상부 또는 외주부 중 적어도 하나에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물 집수 통로(130b)는 제1 물 유입부(130a)로 유입된 물 또는 우수(W)를 물 탱크(120)로 안내하도록 제1 물 유입부(130a)와 물 탱크(120)에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물 집수 통로(130b)가 기둥 구조물(110)의 내부에 통로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제2 집수 기구(132)는 제2 물 유입부(132a) 및 제2 물 집수 통로(132b)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물 유입부(132a)는 보도(116) 상에 내리는 빗물이 유입되도록 보도(116)의 상부에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물 유입부(132a)가 후술하는 제2 도로 부재(194)들 사이의 틈새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제2 물 집수 통로(132b)는 제2 물 유입부(132a)로 유입된 물 또는 우수(W)를 물 탱크(120)로 안내하도록 제2 물 유입부(132a)와 물 탱크(120)에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물 집수 통로(132b)가 후술하는 제1 도로 부재(192)와 제2 도로 부재(194)의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3 집수 기구(134)는 제3 물 유입부(134a) 및 제3 물 집수 통로(134b)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물 유입부(134a)는 차도(114) 상에 내리는 빗물이 유입되도록 차도(114)의 상부에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 물 유입부(148)가 후술하는 제2 도로 부재(194)들 사이의 틈새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제3 물 집수 통로(134b)는 제3 물 유입부(148)로 유입된 물 또는 우수(W)를 물 탱크(120)로 안내하도록 제3 물 유입부(148)와 물 탱크(120)에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물 집수 통로(132b)가 후술하는 제1 도로 부재(192)와 제2 도로 부재(194)의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로 형성 기구(140)는, 기둥 구조물(110)과의 사이에 공기가 유동되기 위한 공기 유로(140a)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기둥 구조물(110)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유로 형성 기구(140)는 기둥 구조물(110)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로 형성 기구(140)의 공기 유로(140a)는 기둥 구조물(110)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로(140a)의 하단부는 도로(112)를 향해 형성된 흡입구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고, 공기 유로(140a)의 상단부는 외부를 향해 형성된 배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유로 형성 기구(140)의 공기 유로(140a)에서는, 도로(112)의 주변에 있는 제1 공기(A1)가 흡입된 후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고, 그 유동 과정에서 제2 물 공급 기구(180)와 회전 접촉 기구(160)에 의해 제1 공기(A1)가 제2 공기(A2)로 정화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로 형성 기구(140)는, 관형 부재(142), 흡입 가이드(144), 및 배출 가이드(146)를 포함할 수 있다.
관형 부재(142)는 기둥 구조물(110)의 외주를 감싸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형 부재(142)는 기둥 구조물(110)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공기 유로(14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관형 부재(142)는 기둥 구조물(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관형 부재(142)는 기둥 구조물(110)의 기둥부 또는 기초부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흡입 가이드(144)는 관형 부재(142)의 하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흡입구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흡입 가이드(144)는 관형 부재(142)의 하부 중에서 도로(112)와 마주보는 부위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흡입 가이드(144)는 도로(112)의 제1 공기(A1)를 공기 유로(140a)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흡입 가이드(144)의 입구는 도로(112)를 향해서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 가이드(146)는 관형 부재(142)의 상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배출구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배출 가이드(146)는 관형 부재(142)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출 가이드(146)는 공기 유로(140a)의 제2 공기(A2)를 외부 대기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 가이드(146)의 출구는 상측을 향해서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송풍 기구(150)는 제1 공기(A1)와 제2 공기(A2)를 공기 유로(140a)를 따라 강제로 유동시키는 구성으로서, 공기 유로(140a) 상에 배치될 수 잇다. 즉, 제1 공기(A1)는 송풍 기구(150)의 송풍력에 의해 유로 형성 기구(140)의 흡입 가이드(144)에 흡입된 후 공기 유로(140a)를 따라 유동될 수 있고, 제2 공기(A2)는 송풍 기구(150)의 송풍력에 의해 공기 유로(140a)에서 배출 가이드(146)로 유동된 후 배출 가이드(146)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송풍 기구(150)는 흡입 가이드(144) 또는 배출 가이드(14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 기구(150)가 배출 가이드(146)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송풍 기구(150)는 외부에서 전기를 전달받아 작동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발전 기구(200)로부터 전기를 전달 받아서 작동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회전 접촉 기구(160)는 공기 유로(140a)를 통과하는 제1 공기(A1)와 접촉하는 구성으로서, 기둥 구조물(110)의 외주부 또는 유로 형성 기구의 내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접촉 기구(160)가 기둥 구조물(110)의 외주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회전 접촉 기구(160)는 회전 부재(162), 구동 부재(164), 및 날개 부재(166)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부재(162)는 기둥 구조물(110)의 외주부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회전 부재(162)는 기둥 구조물(110)의 외주부를 감싸는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부재(162)는 유로 형성 기구(140)와의 사이에 공기 유로(140a)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회전 부재(162)의 중공부(162a)에는 기둥 구조물(110)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으며, 기둥 구조물(110)의 외주부에는 회전 부재(162)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회전 부재(162)는 기둥 구조물(110)의 외주부에 공전 가능한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162)는 기둥 구조물(1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회전 부재(162)는 서로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구동 부재(164)는 회전 부재(162)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써, 기둥 구조물(110) 또는 유로 형성 기구(14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부재(164)가 기둥 구조물(110)와 회전 부재(162)의 연결 부위에 배치된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 부재(164)의 일측은 회전 부재(162)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기둥 구조물(110)에 고정될 수 있고, 구동 부재(164)의 타측은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회전 부재(162)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구동 부재(164)는 외부에서 전기를 전달받아 작동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발전 기구(200)로부터 전기를 전달 받아서 작동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구동 부재(164)의 회전 구동력은, 복수개의 회전 부재(162)에 개별적으로 각각 전달되거나, 복수개의 회전 부재(162) 중의 어느 하나에만 전달될 수 있다.
날개 부재(166)는 공기 유로(140a)를 통과하는 제1 공기(A1)와 접촉하는 구성으로써, 제1 공기(A1)에 함유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제2 공기(A2)로 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날개 부재(166)의 표면에는 제1 물 공급 기구(170)에서 제공된 물 또는 우수(W)에 의해 수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날개 부재(166)는 회전 부재(162)의 표면에서 공기 유로(140a)를 향해 얇은 두께의 디스크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날개 부재(166)는 회전 부재(162)의 외주부를 원형으로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날개 부재(166)는 회전 부재(162)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접촉 기구(160)의 날개 부재(166)는 회전 부재(162)의 표면에 회전 부재(162)의 회전 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날개 부재(166)는 회전 부재(16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날개 부재(166)는 회전 부재(162)의 회전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므로, 공기 유로(140a) 내의 제1 공기(A1)는 날개 부재(166)를 따라 배출 가이드(146)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날개 부재(166)는 다양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날개 부재(166)의 경사 각도가 지면에 대하여 30도 내외의 각도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물 공급 기구(170)는 물 탱크(120)에 저장된 물 또는 우수(W)를 회전 접촉 기구(160)의 날개 부재(166)에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유로 형성 기구(140)의 관형 부재(142)에 날개 부재(166)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물 공급 기구(170)가 물 또는 우수(W)를 공급하면, 공기 유로(140a)의 내부로 분사된 물 또는 우수(W)에 의해서 날개 부재(166)의 표면에 수막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기(A1)는 공기 유로(140a)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유로(140a)에 분사된 물 또는 우수(W) 및 날개 부재(166)의 수막에 접촉하여 물 또는 우수(W)에 의해 제1 공기(A1)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포집 및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물 공급 기구(170)과 회전 접촉 기구(160)는 사이클론 공기 정화기 또는 에어 워셔와 같이 물 또는 우수(W)의 세척 성능을 이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물 공급 기구(170)는, 제1 분사 노즐(172), 제1 물 공급관(174), 및 제1 분사 펌프(17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사 노즐(172)은 날개 부재(166)의 표면을 향해 물 또는 우수(W)를 분사하도록 유로 형성 기구(140)의 관형 부재(142)의 내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분사 노즐(172)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또는 우수(W)를 분사하기 위한 홀 구조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에 대한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노즐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분사 노즐(172)로 물 또는 우수(W)를 분무 타입으로 분사하는 노즐이 사용되거나, 물 또는 우수(W)를 넓게 퍼지는 타입으로 분사하는 노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분사 노즐(172)은 관형 부재(142)의 내주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분사 노즐(172)은 관형 부재(142)의 내주부에 상하 방향 및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분사 노즐(172)은 날개 부재(166)에 분사된 물 또는 우수(W)가 하측으로 흘러 내리므로, 관형 부재(142)의 상부로 갈수록 배치 개수가 증가되는 형상으로 관형 부재(142)의 내주부에 배치되거나, 관형 부재(142)의 상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제1 물 공급관(174)은 제1 분사 노즐(172)과 물 탱크(120)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물 공급관(174)은 별도의 호스 또는 파이프로 형성되어 관형 부재(142)의 내주부에 배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관형 부재(142)의 내부에 물 또는 우수(W)의 공급을 위한 통로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즉, 제1 물 공급관(174)은 관형 부재(142)에 내장된 호스 또는 파이프로 형성되거나, 관형 부재(142)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물 또는 우수(W)의 통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물 공급관(174)의 하단부는 기둥 구조물(110)의 기초부를 관통하여 물 탱크(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물 공급관(174)은 물 탱크(120)의 내부에 배치된 하단부로부터 복수개의 제1 분사 노즐(172)을 향해 분기된 형상으로 관형 부재(142)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사 펌프(176)는 물 탱크(120)의 내부에 저장된 물 또는 우수(W)를 제1 분사 노즐(172)로 펌핑하는 구성으로서, 제1 물 공급관(174)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분사 펌프(176)가 제1 물 공급관(174)의 하단부에 배치될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제1 분사 펌프(176)는 외부에서 전기를 전달받아 작동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발전 기구(200)로부터 전기를 전달 받아서 작동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기둥 구조물(110)의 기초부에는 제1 분사 노즐(172)에서 분사된 물 또는 우수(W)를 물 탱크(120)로 다시 회수하는 물 회수구(17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물 회수구(178)로 회수되는 물 또는 우수(W)에는 제1 공기()에서 제거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물 회수구(178)는 기둥 구조물(110)의 기초부에 관통되게 배치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 회수구(178)의 상단부는 기둥 구조물(110)과 유로 형성 기구(140)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로(140a)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물 회수구(178)의 하단부는 물 탱크(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물 공급 기구(180)는 물 탱크(120) 내의 물 또는 우수(W)를 도로(112) 상으로 분사하여 도로(112)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물 탱크(120)의 타측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물 공급 기구(180)는 차량(C)에 의해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이 주로 발생되기 때문에 물 또는 우수(W)를 도로(112) 중에서 차도(114)를 향해 분사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도(114)에서는 차량(C)의 배기 가스, 차량(C)의 타이어 마모, 및 차도(114)의 아스팔트 마모 등에 의해 다량의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물 공급 기구(180)는, 제2 분사 노즐(182), 제2 물 공급관(184), 및 제2 분사 펌프(18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사 노즐(182)은 차량(C)이 주행되는 도로(112)의 차도(114)를 향해 물 또는 우수(W)를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기둥 구조물(110) 또는 유로 형성 기구(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분사 노즐(182)은 차량(C)의 운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차량(C)의 바퀴 또는 차도(114)의 표면으로 물 또는 우수(W)를 분사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분사 노즐(182)이 유로 형성 기구(140)의 하부에 소정의 분사 각도로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제2 물 공급 기구(140)는 차량(C)의 운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차량(C)의 바퀴 및 차도(114)의 표면 등에 묻은 미세 먼지 및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2 물 공급관(184)은 제2 분사 노즐(182)과 물 탱크(120)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물 공급관(184)은 물 탱크(120) 내의 물 또는 우수(W)를 제2 분사 노즐(182)로 안내할 수 있다. 제2 물 공급관(184)의 하단부는 물 탱크(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물 공급관(184)의 상단부는 제2 분사 노즐(182)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분사 펌프(186)는 물 탱크(120)에 저장된 물 또는 우수(W)를 제2 분사 노즐(182)로 펌핑하는 구성으로서, 제2 물 공급관(184)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분사 펌프(186)는 동력 제공 기구(190)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동력 제공 기구(19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동력 제공 기구(190)는 도로(112)를 통과하는 차량(C) 또는 보행자(P) 중 적어도 하나의 하중 변화를 이용하여 제2 물 공급 기구(18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도로(112)의 차도(114) 및 보도(1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력 제공 기구(190)는 제2 물 공급 기구(180)의 제2 분사 펌프(186)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제2 분사 펌프(186)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동력 제공 기구(190)가 차도(114)와 보도(116)에 모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도(114) 또는 보도(116)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차도(114)에 설치된 동력 제공 기구(150)는 차량(C)의 주행시 차도(114)에 작용되는 하중의 변화를 이용하여 제2 물 공급 기구(180)의 동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보도(116)에 설치된 동력 제공 기구(190)는 보행자(P)의 보행시 보도(116)에 작용되는 하중의 변화를 이용하여 제2 물 공급 기구(180)의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력 제공 기구(190)는, 제1 도로 부재(192), 제2 도로 부재(194), 탄성 부재(196), 및 구동력 제공 유닛(198)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도(114)와 보도(116)에 설치된 동력 제공 기구(190)의 구조가 서로 동일 유사하므로, 차도(114)와 보도(116)에 설치된 동력 제공 기구(190)를 구분하지 않고 동력 제공 기구(19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동력 제공 기구(190)는 전기에 의해서 작동할 수도 있다.
제1 도로 부재(192)는 도로(112)의 하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도로(112)의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도로 부재(194)는 제1 도로 부재(192)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구성으로서, 차량(C) 또는 보행자(P)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로 부재(194)는 도로(112)의 도로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도로(112)의 상황 및 동력 제공 기구(190)의 설계 조건에 따라 적당한 넓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로 부재(194)의 하부는 구동력 제공 유닛(198)과 연결될 수 있다.
탄성 부재(196)는 제2 도로 부재(194)를 상승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 도로 부재(192)와 제2 도로 부재(19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196)는, 제2 도로 부재(194)의 하강시 탄성적으로 눌리면서 탄성력이 저장될 수 있고, 제2 도로 부재(194)에 작용되는 하중이 제거되면 제2 도로 부재(194)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제2 도로 부재(194)를 원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다.
구동력 제공 유닛(198)은 제2 도로 부재(194)의 승강시 제2 도로 부재(194)와 연동하여 제2 물 공급 기구(180)의 제2 분사 펌프(186)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제2 도로 부재(194)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분사 펌프(186)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력 제공 유닛(198)은 제2 도로 부재(194)의 승강 동작을 에너지로 전환한 후 제2 분사 펌프(186)에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력 제공 유닛(198)은, 제2 도로 부재(194)의 승강 동작을 이용하여 전기를 저장한 후 제2 분사 펌프(186)에 전기적인 방식으로 전달하거나, 제2 도로 부재(194)의 승강 동작을 이용하여 테엽과 스프링 등의 탄성 에너지 또는 유압실린더 등의 유압 에너지로 저장한 후 제2 분사 펌프(186)에 기계적인 방식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발전 기구(200)는 송풍 기구(150)와 회전 접촉 기구(160) 및 제1 물 공급 기구(170)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태양광 또는 바람으로부터 전기를 생성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전 기구(200)는 기둥 구조물(110)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전 기구(200)는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광 발전기 또는 바람으로부터 전기를 생성하는 풍력 발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발전 기구(200)가 태양광 발전기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은 주간과 야간을 식별하기 위한 주야 식별 기구(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야 식별 기구(210)는 기둥 구조물(110)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주야 식별 기구(210)는 기둥 구조물(110)의 가로등에 배치될 수 있으며, 주변의 빛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야 식별 기구(210)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주야 식별 기구(210)는 제1 물 공급 기구(170), 제2 물 공급 기구(180), 송풍 기구(150), 및 회전 접촉 기구(160)의 작동을 조절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제1 물 공급 기구(170)와 송풍 기구(150) 및 회전 접촉 기구(160)는 태양광 발전하는 발전 기구(200)에 의해 작동되기 때문에 주간에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물 공급 기구(180)는 차량(C)의 운전을 방해하거나 차량(C)과 차도(114)의 주변에 있는 사람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야간에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야 식별 기구(210)에 의해 주간으로 판단되면, 제1 물 공급 기구(170)와 송풍 기구(150) 및 회전 접촉 기구(160)는 작동하되, 제2 물 공급 기구(180)의 작동은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주야 식별 기구(210)에 의해 야간으로 판단되면, 제1 물 공급 기구(170)와 송풍 기구(150) 및 회전 접촉 기구(160)의 작동은 중단하되, 제2 물 공급 기구(180)는 작동할 수 있다.
한편, 본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은, 물 탱크(12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기구(미도시) 및 집수 기구(130, 132, 134)에 집수되는 우수(빗물) 또는 물(W)을 감지하는 집수 감지 기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위 감지 기구는 물 또는 우수(W)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물 탱크(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위 감지 기구의 수위가 설정 수위 이하이면, 동력 제공 기구(190) 또는 발전 기구(200)의 동력이 제1 물 공급 기구(170), 제2 물 공급 기구(180), 송풍 기구(150), 및 회전 접촉 기구(16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물 탱크(120)에 저장된 물 또는 우수(W)가 부족한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집수 감지 기구는 물 또는 우수(W)의 유동을 감지하는 유량 센서 또는 물 또는 우수(W)를 감지하는 물 감지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집수 감지 기구는 집수 기구(130, 132, 134)에 배치될 수 있다. 집수 감지 기구에 물 또는 우수(W)가 감지되면, 동력 제공 기구(190) 또는 발전 기구(200)의 동력이 제1 물 공급 기구(170), 제2 물 공급 기구(180), 송풍 기구(150), 및 회전 접촉 기구(16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왜냐하면, 집수 감지 기구에 물 또는 우수(W)가 감지되는 상황은, 도로(112)에 비가 내리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그 상황에서는 도로(112)의 제1 공기(A1)를 물 또는 우수(W)로 정화시키기 위한 작동이 불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물 또는 우수(W)는 기둥 구조물(110)에 형성된 제1 물 유입부(130a)를 통해 집수된 후 제1 물 집수 통로(130b)를 따라 물 탱크(120)에 저장된다. 여기서, 물 탱크(120)에는 우수(빗물)이 저장될 수도 있고, 상수도관이 연결되어 공급된 물이 저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물 탱크(120)에 우수가 저장되고 우수(W)를 사용하는 경우를 일예로써 설명한다.
한편, 우수(W)는 보도(116)에 형성된 제2 유수 유입부(148)를 통해 집수된 후 제2 물 집수 통로(132b)를 따라 물 탱크(120)에 저장된다. 또한, 우수(W)는 차도(114)에 형성된 제3 유수 유입부(148)를 통해 집수된 후 제3 물 집수 통로(134b)를 따라 물 탱크(120)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집수 기구(130, 132, 134)는 기둥 구조물(110), 보도(116), 및 차도(114)에 내린 우수(W)를 물 탱크(120)에 모두 집수시켜 저장한다.
한편, 동력 제공 기구(190)와 발전 기구(200)는 동력을 생성 및 저장한다. 동력 제공 기구(190)는 보행자(P)가 보도(116)를 보행하거나 차량(C)이 차도(114)를 주행함에 따라 제1 도로 부재(192)에 작용되는 하중의 변화를 이용하여 동력을 생성 및 저장한다. 발전 기구(200)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 및 저장한다.
주야 식별 기구(210)는 기둥 구조물(110)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여 주간인지 아니면 야간인지를 식별한다.
만약에, 주야 식별 기구(210)에 의해 주간으로 식별되면, 발전 기구(200)가 제1 물 공급 기구(170)의 제1 분사 펌프(176), 회전 접촉 기구(160)의 구동 부재(164), 및 송풍 기구(150)에 전기를 전달하고, 그에 반하여 동력 제공 기구(190)는 제2 물 공급 기구(180)의 제2 분사 펌프(186)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물 공급 기구(180)가 차도(114)에 공급하는 우수(W)로 인한 차량(C)의 운전 방해 및 운전자와 보행자의 불쾌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접촉 기구(160)의 구동 부재(164)는 발전 기구(200)의 전기에 의해 작동하여 회전 부재(162)를 회전시킨다. 회전 부재(162)는 기둥 구조물(110)의 외주부를 중심으로 하여 원주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물 공급 기구(170)의 제1 분사 펌프(176)는 발전 기구(200)의 전기에 의해 작동하고, 제1 분사 노즐(172)이 회전 부재(162)로 우수(W)를 분사한다. 제1 분사 노즐(172)에 의해 분사된 우수(W)는 회전 부재(162)와 날개 부재(166)의 표면에 수막을 형성한다. 회전 부재(162)와 날개 부재(166)가 회전되므로, 회전 부재(162)와 날개 부재(166)의 표면 전체에 수막이 지속적으로 생성 및 유지될 수 있다.
송풍 기구(150)는 발전 기구(200)의 전기에 의해 작동하여 유로 형성 기구(140)의 공기 유로(140a)에 송풍 압력을 제공한다. 그로 인해서, 송풍 기구(150)는, 도로(112)의 차도(114) 주변에 있는 제1 공기(A1)를 흡입 가이드(144)로 흡입하고, 흡입 가이드(144)로 흡입된 제1 공기(A1)를 공기 유로(140a)로 유동시키며, 공기 유로(140a)를 통과한 제2 공기(A2)를 배출 가이드(146)로 배출한다.
이때, 제1 공기(A1)는 공기 유로(140a)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회전 부재(162)와 날개 부재(166)에 접촉함과 아울러 공기 유로(140a)에 분사된 우수(W)와도 접촉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 부재(162)와 날개 부재(166)의 표면에 형성된 수막은 제1 공기(A1)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제1 공기(A1)를 세척하여 제1 공기(A1)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공기 유로(140a)에 분사된 우수(W)는 공기 유로(140a)의 내부에서 제1 공기(A1)와 접촉하여 제1 공기(A1)로부터 미세먼지와 오염물질만을 포집한다. 즉, 회전 접촉 기구(160)와 제1 물 공급 기구(170)는 에어 워셔와 사이클론 공기 정화기의 공기 정화 방식과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제1 공기(A1)를 정화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주야 식별 기구(210)에 의해 주간으로 식별되면, 동력 제공 기구(190)가 제2 물 공급 기구(180)의 제2 분사 펌프(186)에 동력을 전하고, 그에 반하여 발전 기구(200)는 제1 물 공급 기구(170)의 제1 분사 펌프(176), 회전 접촉 기구(160)의 구동 부재(164), 및 송풍 기구(150)에 전기를 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물 공급 기구(180)가 차도(114)에 우수(W)를 공급함으로써 발생되는 차량(C)의 운전 방해 및 운전자와 보행자의 불쾌감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발전 기구(200)의 발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1 물 공급 기구(170), 회전 접촉 기구(160), 및 송풍 기구(150)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동력 제공 기구(190)의 제2 도로 부재(194)는 보행자(P) 또는 차량(C)이 지나가는 과정에서 보행자(P) 또는 차량(C)의 하중에 의해 하강한 후 보행자(P) 또는 차량(C)이 지나가면 탄성 부재(196)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제2 도로 부재(194)가 승강되면, 동력 제공 기구(190)의 구동력 제공 유닛(198)은 제2 도로 부재(194)의 승강 동작에 따라 동력을 생성한 후 저장한다.
제2 물 공급 기구(180)의 제2 분사 펌프(186)는 동력 제공 기구(190)의 동력에 의해 작동하고, 제2 분사 노즐(182)이 우수(W)를 차도(114)의 표면이나 차량(C)의 바퀴로 분사한다. 제2 분사 노즐(182)에 의해 분사된 우수(W)는 차도(114) 또는 차량(C)의 바퀴에 존재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물 공급 기구(180)에서 분사되는 우수(W)에 의해서 도로(112)의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은 발전 기구(200)와 동력 제공 기구(190)에 의해 자체적으로 동력을 생성한 후 주야 식별 기구(210)에 의해 작동이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외부 동력원이나 제어 시스템이 불필요하고, 안정적으로 도로(112) 주변의 공기를 쾌적하게 만들 수 있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과 상이한 점은, 송풍 기구(150)의 작동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동된다는 점이다.
즉,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은 제1 공기(A1)를 하부에서 흡수하여 제2 공기(A2)를 상부로 배출하는 구조이지만, 도 3에 도시된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은 제1 공기(A1)를 상부에서 흡수하여 제2 공기(A2)를 하부로 배출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과 비교하여 구성요소는 서로 유사하나 작동 방식이 서로 다른 차이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은, 송풍 기구(150)의 송풍력에 의해 도로(112) 주변의 제1 공기(A1)를 배출 가이드(146)로 흡입한 후 공기 유로(140a)를 따라 유동될 수 있고, 공기 유로(140a)를 따라 유동된 제2 공기(A2)를 흡입 가이드(144)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회전 접촉 기구(160)의 날개 부재(166)가 회전 부재(162)의 외주부에 도 4에 도시된 나선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100)은, 시스템의 설계 조건 및 주변 상황에 따라 공기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공기의 흡입 방향과 배출 방향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회전 접촉 기구(160)의 변형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도 4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회전 접촉 기구(16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접촉 기구(260)가 도 4에 도시된 회전 접촉 기구(160)와 상이한 점은, 회전 부재(162)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개의 날개 부재(260)가 링형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도 5에 도시된 회전 부재(162)는, 도 4에 도시된 회전 부재(162)와 달리 하나의 구성 요소로서 일체형 원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날개 부재(266)는, 도 4에 도시된 날개 부재(166)와 달리 회전 부재(162)의 표면에 복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날개 부재(266)는 회전 부재(162)의 회전 방향을 따라 링형의 원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원판형의 날개 부재(266)에는 제1 공기(A1)가 통과되기 위한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접촉 기구(360)가 도 4에 도시된 회전 접촉 기구(160)와 상이한 점은, 회전 부재(162)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가이드 베인(368)이 형성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 베인(368)은 제1 물 공급 기구(170)로부터 공급되는 우수(W)와 충돌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우수(W)를 분산시켜 날개 부재(166)에 우수(W)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이드 베인(368)은 우수(W)의 분사력을 회전 부재(162)에 전달하여 회전 부재(162)를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이드 베인(368)은 회전 부재(162)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가이드 베인(368)은 회전 부재(162)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60도 각도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 베인(368)은 날개 부재(166)의 하측을 따라 회전 부재(162)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베인(368)은 제1 물 공급 기구(170)에서 분사된 우수(W)를 분산시켜 날개 부재(166)의 하측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베인(368)은 회전 부재(162)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 베인(368)은 날개 부재(166)의 나선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물 공급 기구(170)에서 분사된 우수(W)는 가이드 베인(368)을 따라 날개 부재(166)에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베인(368)이 회전 부재(162)의 표면에 돌기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 부재(162)의 표면에 그루브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접촉 기구(460)가 도 4에 도시된 회전 접촉 기구(160)와 상이한 점은, 도 4에 도시된 날개 부재(166)가 생략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회전 접촉 기구(460)는, 도 4에 도시된 날개 부재(166)가 생략되어 원통형의 회전 부재(162)만이 기둥 구조물(110)에 배치된 구조이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회전 접촉 기구(460)는 도 4에 도시된 회전 접촉 기구(160)과 비교해서 수막이 형성될 표면적이 감소될 수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회전 접촉 기구(160)보다 더욱 단순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회전 부재(162)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베인(468)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베인(468)은 제1 물 공급 기구(170)로부터 공급되는 우수(W)와 충돌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6에 도시된 가이드 베인(368)과 비교해서 구조와 역할이 동일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다르게, 회전 부재(162)는, 가이드 베인(468) 대신에 돌기 형상 또는 홈 형상의 다양한 패턴이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가이드 베인(468)이나 다양한 패턴이 모두 생략되어 외측면이 매끈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110: 기둥 구조물
120: 물 탱크
130, 132, 134: 집수 기구
140: 유로 형성 기구
150: 송풍 기구
160: 회전 접촉 기구
170: 제1 물 공급 기구
180: 제2 물 공급 기구
190: 동력 제공 기구
A1: 제1 공기
A2: 제2 공기
W: 우수

Claims (15)

  1. 삭제
  2. 도로에 수직하게 배치된 기둥 구조물;
    상기 기둥 구조물의 기초부에 형성된 물 탱크;
    상기 물 탱크에 저장하기 위한 물 또는 우수가 집수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 또는 상기 도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물 탱크의 일측과 연결된 집수 기구;
    상기 기둥 구조물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도로의 공기를 상기 간극으로 흡입한 후 상기 간극을 따라 상승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 기구;
    상기 도로의 공기가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강제로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된 송풍 기구;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공기와 접촉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의 외주부 또는 상기 유로 형성 기구의 내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접촉 기구; 및
    상기 유로 형성 기구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접촉 기구가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된 물 또는 우수를 상기 회전 접촉 기구에 제공하는 제1 물 공급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형성 기구는, 상기 기둥 구조물의 외주를 감싸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둥 구조물과의 사이에 상기 공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관형 부재; 상기 관형 부재의 하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흡입구에 배치되고, 상기 도로의 공기를 상기 공기 유로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 가이드; 및 상기 관형 부재의 상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배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접촉 기구는, 상기 기둥 구조물의 외주부 또는 상기 유로 형성 기구의 내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 또는 상기 유로 형성 기구에 배치된 구동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의 표면에서 상기 공기 유로를 향해 얇은 두께의 디스크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물 공급 기구가 제공하는 물 또는 우수에 의해서 수막이 표면에 형성된 날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물 공급 기구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우수에 충돌하는 가이드 베인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날개 부재의 하측을 따라 복수개가 일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기둥 구조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구조물의 상부에 배치되고, 태양광 또는 바람으로부터 전기를 생성하여 상기 송풍 기구와 상기 회전 접촉 기구 및 상기 제1 물 공급 기구에 공급하는 발전 기구;
    를 더 포함하는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9. 도로에 수직하게 배치된 기둥 구조물;
    상기 기둥 구조물의 기초부에 형성된 물 탱크;
    상기 물 탱크에 저장하기 위한 물 또는 우수가 집수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 또는 상기 도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물 탱크의 일측과 연결된 집수 기구;
    상기 기둥 구조물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도로의 공기를 상기 간극으로 흡입한 후 상기 간극을 따라 상승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 기구;
    상기 도로의 공기가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강제로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된 송풍 기구;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공기와 접촉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의 외주부 또는 상기 유로 형성 기구의 내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접촉 기구; 및
    상기 유로 형성 기구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접촉 기구가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된 물 또는 우수를 상기 회전 접촉 기구에 제공하는 제1 물 공급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형성 기구는, 상기 기둥 구조물의 외주를 감싸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둥 구조물과의 사이에 상기 공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관형 부재; 상기 관형 부재의 하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흡입구에 배치되고, 상기 도로의 공기를 상기 공기 유로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 가이드; 및 상기 관형 부재의 상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배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접촉 기구는,
    상기 기둥 구조물의 외주부 또는 상기 유로 형성 기구의 내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의 표면에서 상기 공기 유로를 향해 얇은 두께의 디스크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물 공급 기구가 제공하는 물 또는 우수에 의해서 수막이 표면에 형성된 날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기둥 구조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물 공급 기구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우수에 충돌하는 가이드 베인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일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거나,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링형의 원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표면에 복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 공급 기구는,
    상기 유로 형성 기구에 상기 회전 부재를 향해 배치된 제1 분사 노즐;
    상기 제1 분사 노즐과 상기 물 탱크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1 물 공급관; 및
    상기 물 탱크 내의 물 또는 우수를 상기 제1 분사 노즐로 펌핑하도록 상기 제1 물 공급관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분사 펌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기구는,
    상기 기둥 구조물의 상부 및 상기 도로의 상부에 홀 형상으로 형성된 물 유입부; 및
    상기 물 유입부로 유입된 물 또는 우수를 상기 물 탱크로 안내하도록 상기 물 유입부와 상기 물 탱크에 연통되게 형성된 물 집수 통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의 타측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물 탱크 내의 물 또는 우수를 상기 도로 상으로 분사하여 상기 도로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2 물 공급 기구; 및
    상기 도로에 배치되고, 상기 도로를 통과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 중 적어도 하나의 하중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물 공급 기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 기구;
    를 더 포함하는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물 공급 기구는,
    상기 차량이 주행되는 도로를 향해 상기 물 또는 우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기둥 구조물 또는 상기 유로 형성 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2 분사 노즐;
    상기 제2 분사 노즐과 상기 물 탱크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 물 공급관; 및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된 물 또는 우수를 상기 제2 분사 노즐로 펌핑하도록 상기 제2 물 공급관에 배치된 제2 분사 펌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구조물에 배치되고, 주간과 야간을 식별하는 주야 식별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물 공급 기구와 상기 송풍 기구 및 상기 회전 접촉 기구는 주간에 작동되고, 상기 제2 물 공급 기구는 야간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KR1020180033037A 2018-03-22 2018-03-22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KR102064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037A KR102064184B1 (ko) 2018-03-22 2018-03-22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037A KR102064184B1 (ko) 2018-03-22 2018-03-22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221A KR20190112221A (ko) 2019-10-04
KR102064184B1 true KR102064184B1 (ko) 2020-01-09

Family

ID=68208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037A KR102064184B1 (ko) 2018-03-22 2018-03-22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1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297B1 (ko) * 2020-02-26 2021-01-06 주식회사 현진기업 수중 흡입식 미세먼지 저감 및 수질정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417B1 (ko) * 2019-12-30 2020-05-15 주식회사 이코블록 미세먼지제거 및 안개발생기능을 갖는 사계절용 조경 시설물
KR102303765B1 (ko) * 2019-12-31 2021-09-23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고층 복합 구조물
KR102178220B1 (ko) * 2020-03-11 2020-11-12 박기현 이동형 미세먼지 저감 장치
KR102231382B1 (ko) * 2020-08-04 2021-03-23 송인선 습식공기정화부가 구비된 태양광 공기청정기
KR102241939B1 (ko) * 2021-02-08 2021-04-19 주식회사 빌트이엔씨 기둥형 친환경 하이브리드 미세먼지 저감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323B1 (ko) * 2016-05-11 2017-05-11 박도현 친환경 미세먼지 필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323B1 (ko) * 2016-05-11 2017-05-11 박도현 친환경 미세먼지 필터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297B1 (ko) * 2020-02-26 2021-01-06 주식회사 현진기업 수중 흡입식 미세먼지 저감 및 수질정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221A (ko) 2019-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4184B1 (ko) 도로의 공기 정화 시스템
CN201598591U (zh) 清扫机
CN113574324B (zh) 塔式空气净化装置及其空气净化方法
CN102588860A (zh) 一种太阳能路灯光伏板的清洁方法
CN102011372A (zh) 一种隧道吹扫除尘车
KR102096741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춘 가로등 시스템
CN205919210U (zh) 一种多功能路灯
KR101964855B1 (ko) 우수 자동 분사 시스템
KR20190000846U (ko) 서울특별시를 위한 능동형 미세먼지 저감기술
CN104429833A (zh) 一种基于太阳能路灯供电的地下水绿化带灌溉系统
CN106195820A (zh) 一种多功能路灯
KR102178220B1 (ko) 이동형 미세먼지 저감 장치
CN106258827A (zh) 一种园林用雨水收集喷洒装置
CN210345233U (zh) 一种公路路灯
CN110685240A (zh) 一种具有散热功能的环保型交通护栏
CN207831180U (zh) 一种自清洁路灯
CN108150940A (zh) 一种节能路灯
CN210979666U (zh) 一种带有防护装置的led太阳能路灯
CN210424757U (zh) 一种具有喷淋功能的led路灯
CN106049322A (zh) 路标清洗器
JP2003340228A (ja) 大気汚染浄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07746149U (zh) 一种爬杆清洗装置
CN108150939A (zh) 一种便于维修的节能路灯
CN110193257A (zh) 一种车载自检测喷雾除尘系统
KR102117878B1 (ko) 미세먼지 집진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살수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