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257B1 - 공기우산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우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257B1
KR101633257B1 KR1020150157876A KR20150157876A KR101633257B1 KR 101633257 B1 KR101633257 B1 KR 101633257B1 KR 1020150157876 A KR1020150157876 A KR 1020150157876A KR 20150157876 A KR20150157876 A KR 20150157876A KR 101633257 B1 KR101633257 B1 KR 101633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exhaust
snow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철
Original Assignee
신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철 filed Critical 신영철
Priority to KR1020150157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257B1/ko
Priority to CN201580063492.1A priority patent/CN106998864B/zh
Priority to PCT/KR2015/012590 priority patent/WO2016085215A1/ko
Priority to US15/529,291 priority patent/US1085201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우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공이 형성된 공기흡입관과; 상기 공기흡입관과 동심원상으로 상기 공기흡입관을 내부에 수용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비나 눈을 내부로 안내하는 집수유도관이 결합된 집수관과; 상기 집수관과 동심원상으로 상기 집수관을 내부에 수용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내부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안내관이 결합된 배기관과; 상기 집수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공기흡입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흡입관을 통해 이동된 외부공기를 상기 집수관과 상기 배기관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연통관과; 상기 배기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관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된 후, 상기 배기안내관으로 내부공기가 배기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와 상기 집수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기를 경유한 내부공기를 상기 배기안내관과 상기 집수유도관 사이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기안내관을 통해 배기된 내부공기가 상기 배기안내관의 상부에 일정면적 공기막을 형성하여 상기 배기안내관의 하부로 비와 눈이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우산장치{AIR UMBRELLA DEVICE}
본 발명은 공기우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지붕이 없는 개방된 공간에서 우천시 별도의 차단막 없이 공기의 흡입과 분사에 의해 일정면적을 비와 눈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는 공기우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버스정류장, 공공건물, 음식점 외부 등의 장소에는 눈, 비 등을 차단하기 위해 차양장치가 설치된다. 차양장치는 비나 눈이 오지 않는 경우 접혀진 상태로 유지하고, 비나 눈이 올 경우 펼쳐서 사용한다.
종래 차양장치의 일례가 등록특허 제10-0662106호 "차양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개시된 바 있다.
종래 차양장치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그 크기와 규모가 다양하며, 설치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차양장치를 펼치고 접기 위해 관리자가 수동으로 구동하거나, 별도의 구동모터를 이용해 자동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이에 차양장치의 구동과 관리에 상당한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양막을 펼치거나 접을 필요 없이 공기의 흡입과 분사에 의해 공기막을 형성해 일정면적을 비와 눈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는 공기우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우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우산장치는,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공이 형성된 공기흡입관과; 상기 공기흡입관과 동심원상으로 상기 공기흡입관을 내부에 수용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비나 눈을 내부로 안내하는 집수유도관이 결합된 집수관과; 상기 집수관과 동심원상으로 상기 집수관을 내부에 수용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내부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안내관이 결합된 배기관과; 상기 집수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공기흡입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흡입관을 통해 이동된 외부공기를 상기 집수관과 상기 배기관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연통관과; 상기 배기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관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된 후, 상기 배기안내관으로 내부공기가 배기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와 상기 집수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기를 경유한 내부공기를 상기 배기안내관과 상기 집수유도관 사이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기안내관을 통해 배기된 내부공기가 상기 배기안내관의 상부에 일정면적 공기막을 형성하여 상기 배기안내관의 하부로 비와 눈이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기관의 바닥면과 상기 송풍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관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안내부는, 상기 송풍기의 상부를 커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집수유도관과 상기 배기안내관 사이로 연장형성된 복수개의 공기안내관과; 상기 복수개의 공기안내관에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집수유도관과 상기 배기안내관 사이에 링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공기안내관을 따라 이동된 내부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수관의 하부로부터 상기 배기관의 외부로 연장형성되어 비나 눈을 외부로 배출하는 저수조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습부로부터 외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습부에서 흡습 응축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습배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우산장치는 별도의 차단막 없이 공기의 흡입과 배출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막으로 비와 눈으로부터 안전한 차단영역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공연장 등에 설치되어 급작스런 우천시에 관람객들의 대피처로 이용될 수 있고, 비닐하우스나 연약한 지붕 위에 설치하면 적설피해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축구경기장 관중석이나 도심의 노상 버스정류장에 본 발명의 공기우산장치가 설치될 경우 별도의 우산 없이도 안전하게 비와 눈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비가 오기 전 후 대기의 습도가 높고 안개가 끼어 있을 때, 본 발명의 공기우산장치를 가동하면 습윤한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내부공기를 반복적으로 대기중에 방사하므로 일정범위 공간에 안개로 인한 시정장애를 개선하며, 쾌적한 분위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우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우산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우산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우산장치(200)가 설치되어 눈(S)을 차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우산장치(2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공기우산장치(200)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우산장치(200)는 별도의 차단막 없이 하부에서 상방향을 향해 비스듬하게 배출되는 내부공기(A)가 일정면적 공기막을 형성하여 눈(S)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공기우산장치(200)는 배기관(230)의 하부에 위치한 여러명의 사람들이 눈과 비를 피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우산장치(200)는 외부공기(B)를 내부로 유입하는 공기흡입관(210)과, 상부에서 하부로 떨어지는 비와 눈(S) 등을 포집하는 집수관(220)과, 내부공기(A)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230)과, 집수관(220)의 내부에 수용되며 공기흡입관(210)의 하부에 결합되어 공기흡입관(210)을 통해 이동된 외부공기(B)를 집수관(220)과 배기관(23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연통관(240)과, 배기관(23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공기흡입관(210)으로 외부공기(B)가 유입된 후 배기안내관(231)으로 내부공기(A)가 배기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기(260)와, 배기관(230) 내부로 이동된 외부공기(B)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부(250)와, 송풍기(260)와 집수관(220) 사이에 배치되어 송풍기(260)를 경유한 내부공기(A)를 배기안내관(231)과 집수유도관(221) 사이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부(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내부공기(A)는 본 발명의 공기우산장치(200)의 내부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의미하며, 외부공기(B)는 외부에서 공기흡입관(210)을 통해 공기우산장치(2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의미하며, 부호 C는 집수관(220)에 포집되는 빗물 또는 눈이 녹은 물을 의미한다. 내부공기(A)와 외부공기(B)의 구분은 제습부(250)를 경유하였는지 여부로 판단된다.
공기흡입관(210)과 집수관(220) 및 배기관(230)은 동심원상으로 서로 중첩적으로 배치된다. 공기흡입관(210)이 가운데 배치되고, 집수관(220)이 공기흡입관(210)을 수용하게 배치되고, 배기관(230)이 공기흡입관(210)의 외측에 배치된다. 공기흡입관(210)과 배기관(230)은 연통관(240)에 의해 공기가 연통되게 연결된다.
공기흡입관(210)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수직하게 배치된다. 공기흡입관(210)의 상부에는 외부공기(B)를 흡입하는 흡입헤드(211)가 구비된다. 흡입헤드(211)는 구 형태 또는 반구 형태로 형성된다. 흡입헤드(211)의 표면에는 외부공기(B)를 흡입하는 흡입공(211a)이 복수개 관통형성된다.
공기흡입관(210)의 하부는 연통관(240)에 연통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흡입헤드(211)로 유입된 외부공기(B)는 공기흡입관(210)을 경유하여 연통관(240)을 통해 배기관(230)과 집수관(22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된다. 공기흡입관(210)과 흡입헤드(211)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집수관(220)은 공기흡입관(210)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집수관(220)은 공기흡입관(210)과 연통관(240)을 내부에 수용하게 배치된다.
집수관(220)의 상부에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커지는 나팔관 형태로 형성된 집수유도관(221)이 구비된다. 집수유도관(221)은 눈 또는 비를 집수관(220)으로 안내한다. 집수유도관(221)의 경사면을 따라 눈과 비가 집수관(220) 내부로 유입된다.
집수관(220)의 하부에는 집수관(220)을 따라 하부로 이동된 눈과 빗물(C)이 포집되는 하부경사관(223)이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경사관(223)의 하부에는 눈과 빗물(C)을 배기관(23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외부배수관(225)이 연결된다.
외부배수관(225)은 배기관(230)의 배수관노출공(233)을 통해 배기관(230)의 외부로 연장되고, 외부배수관(225)으로부터 지면까지 연장된 저수조연결관(225a)은 저수조(280)와 연결되어 빗물과 눈 녹은 물(C)을 저수조(280)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집수유도관(221)의 내부에는 열선히터(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동절기에 눈이 집수유도관(221)의 표면에 부착된 후 얼어붙어 눈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동절기에 열선히터(미도시)가 구동되어 집수유도관(221)의 표면에서 눈이 녹아서 집수관(220)으로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집수관(220)의 표면에는 공기배출공(227)이 복수개 구비된다. 공기배출공(227)은 연통관(240)의 공기이동관(24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공기이동관(245)을 따라 이동된 외부공기(B)가 공기배출공(227)을 통해 집수관(220)과 배기관(23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배기관(230)은 집수유도관(221)의 외측에 배치된다. 배기관(230)의 상부에는 나팔관형태로 배치되어 공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기안내관(231)이 배치된다.
배기관(230)은 공기안내부(270)을 통해 이동된 내부공기(A)를 대기중으로 방출하여 일정 두께의 공기벽이 형성되도록 한다. 공기벽에 의해 눈 또는 비가 하부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배기안내관(231)의 하부에 눈과 비를 피할 수 있는 차단영역(L, 도 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기안내관(231)의 길이는 집수유도관(221)에 비해 길게 형성되는 것이 공기벽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집수관(220)과 배기관(230)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배기관(230)의 높이는 일반적인 성인의 키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관(230)의 외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관(220)의 외부배수관(225)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배수관노출공(233)이 관통형성된다.
연통관(240)은 공기흡입관(210)과 집수관(220)을 서로 결합하며, 공기흡입관(210)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기관(230) 내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연통관(24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관(220) 내부에 수용된다. 연통관(240)은 공기흡입관(210)과 동축상으로 배치되는 연통관본체(241)와, 연통관본체(241)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공기흡입관(210)의 하부가 삽입되는 흡입관연결공(243)과, 연통관본체(241)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연장형성되어 집수관(220)의 공기배출공(227)과 결합되는 공기이동관(245)을 포함한다.
흡입관연결공(243)은 공기흡입관(21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연통관본체(241)에는 흡입관연결공(243)이 관통형성된다. 연통관본체(241)는 공기흡입관(210)과 동축상에 배치되어 공기흡입관(210)으로 유입된 외부공기(B)가 흡입관연결공(243)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연통관본체(241)의 하부는 막혀 있어 유입된 외부공기(B)가 모두 공기이동관(245)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공기이동관(245)은 연통관본체(241)의 외주방향 외측으로 집수관(220)의 내벽면까지 연장형성된다. 공기이동관(245)의 단부영역은 개방형성되고 공기배출공(227)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제습부(250)는 배기관(230)의 최하부에 위치하여, 배기관(230) 내부로 이동된 외부공기(B)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한다. 제습부(250)는 외부공기(B)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제습필터나 제습부재로 형성된다.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는 외부공기(B)는 제습부(250)를 경유하여 이동되면서 수분을 잃게 된다.
제습부(250)에 흡수된 수분은 제습배수관(251)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 후 저수조(280)로 이동된다.
송풍기(260)는 집수관(220)과 제습부(250) 사이의 공간에 결합되어 강제로 외부공기(B)와 내부공기(A)가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한다. 송풍기(260)는 회전구동되며 외부공기(B)가 공기흡입관(210)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음압을 형성한다. 또한, 송풍기(260)는 제습부(250)를 경유한 내부공기(A)가 배기관(230)을 통해 배출되도록 송풍압력을 인가한다.
송풍기(260)는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회전날개(261)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송풍기(260)는 공기안내부(270)의 하우징(271) 내부에 수용되게 구비되어, 회전날개(261)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공기(A)의 기류가 모두 공기안내부(270)로 이동되도록 한다.
송풍기(260)는 팬구동부(265)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팬구동부(26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230)의 바닥에 위치되는 구동모터(265)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모터(265)의 구동축과 결합된 전동축이 제습부(250)를 관통하여 송풍기(26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송풍기(260)를 회전구동할 수 있다.
팬구동부(265)는 이 외에도 외부공기(B)와 내부공기(A)의 이동경로에 간섭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송풍기(260)가 회전되면, 공기흡입관(21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배기관(230)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공기막(air curtain)이 형성된다.
여기서, 송풍기(260)에는 인버터(미도시)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인버터(미도시)의 결합에 의해 관리자는 송풍기(260)를 정역 회전할 수 있다. 송풍기(260)의 정방향 구동은 비와 눈을 차폐하는 공기우산으로 기능할 때이고, 역방향 구동은 초기 구동시 공기흡입관(210)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공기흡입관(210)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공기안내부(270)는 송풍기(260)에서 제습부(250)를 경유하여 송풍기(260)로 이동된 내부공기(A)를 집수유도관(221)과 배기안내관(231) 사이의 공간으로 균일하게 공급한다. 공기안내부(270)는 송풍기(260)의 상부를 커버하여 내부공기(A)를 집중시키는 하우징(271)과, 하우징(271)에 연통되게 집수유도관(221)과 배기안내관(231) 사이로 연장형성된 복수개의 공기안내관(273)과, 복수개의 공기안내관(273)의 상부에 연결되어 내부공기(A)를 배출시키는 배기링(275)을 포함한다.
하우징(271)은 송풍기(26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하우징(271)은 송풍기(26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공기(A)가 온전히 모여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 송풍기(26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기류의 압력이 손실되지 않고 집수유도관(221)과 배기안내관(231) 사이로 배출될 수 있다. 기류의 압력 손실이 크지 않을수록 차단영역(L)은 더 넓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공기안내관(273)은 집수관(220)의 하부구조와 간섭되지 않게 하우징(271)에 모여진 내부공기(A)를 집수유도관(221)과 배기안내관(231) 사이로 분산하여 이동시킨다. 공기안내관(273)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이거나,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기링(275)은 복수개의 공기안내관(273)에 연통되게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된다. 배기링(275)이 원형인 이유는 집수유도관(221)과 배기안내관(231)이 나팔관 형태이므로, 그 사이의 공간인 원형공간에 균일하게 내부공기(A)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배기링(275)은 단면이 반원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은 개방형성되어 내부공기(A)를 배출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공기우산장치(200)의 동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치를 위해 사용자는 직경이 서로 다른 공기흡입관(210), 집수관(220), 배기관(230)을 서로 동심원 상으로 배치하고, 집수관(220)의 하부에 연통관(240)을 결합시킨다. 연통관(240)의 공기이동관(245)의 단부가 공기배출공(227)에 대응되게 위치를 조절하고, 흡입관연결공(243)에 공기흡입관(210)의 하부를 삽입하여 공기흡입관(210), 집수관(220), 연통관(240)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 때, 각 구성들 간의 고정은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거나, 용접을 할 수 있다.
집수관(220)의 하부경사관(223)에 연장된 외부배수관(225)은 배기관(230)의 배수관노출공(233)을 통해 외부로 노출시킨다.
외부배수관(225)의 하부에는 제습부(250)와 송풍기(260) 및 공기안내부(270)가 적층적으로 배치된다. 이 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습부(250), 공기안내부(270) 및 송풍기(26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배기관(230) 내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팬구동부(265)는 내부 구성들과 공기의 이동경로에 간섭을 주지 않는 범위에 설치된다.
그리고, 공기우산장치(200)를 설치하는 지면 아래에 저수조(280)를 설치하여 집수관(220)으로 유입된 눈과 빗물(C)이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제습부(250)에서 외부공기(B)로부터 흡수한 물도 저주조(280)로 이동된다.
비와 눈이 오지 않는 경우에는 송풍기(26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갑자기 비와 눈이 오는 경우, 관리자는 송풍기(260)에 전원을 공급한다. 송풍기(260)가 회전하면서 공기흡입관(210)으로 공기가 흡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헤드(211)의 흡입공(211a)으로 흡입된 외부공기(B)는 공기흡입관(210)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연통관본체(241)로 유입된 후 공기이동관(245)을 따라 공기배출공(227)으로 이동된다.
외부공기(B)는 공기배출공(227)으로 배출되어 배기관(230)의 내벽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된다.
하부로 이동된 외부공기(B)는 제습부(250)를 경유하며, 수분이 제거된다. 수분이 제거된 내부공기(A)는 회전날개(261)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송풍압에 의해 공기안내부(270)의 하우징(271)에 모여지고, 공기안내관(273)을 따라 분기되어 이동된다. 그리고, 배기링(275)을 통해 집수유도관(221)과 배기안내관(231) 사이 공간으로 대기중으로 비스듬하게 배출된다.
이 때, 배출되는 내부공기(A)는 배기안내관(231)과 집수유도관(221) 사이의 이격 공간 만큼의 두께로 배출되며, 공기막을 형성한다. 공기막의 압력에 의해 공기막으로 낙하되는 눈과 비는 집수관(220) 측으로 유도되어 이동된다.
즉, 집수유도관(221)의 상부에는 공기흡입관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량 만큼의 저기압 흡입기장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눈이나 비가 공기막 내부에 도달하면 집수유도관(221) 상부에 형성된 저기압 흡입기장 쪽으로 휘어져 들어와서 중력에 의해 집수관(220)으로 유도되며, 배기관(230) 상부에 형성된 공기막 둘래만큼의 공간 아래쪽에는 비나 눈의 노출에서 안전한 차단영역(L)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공기막이 형성되는 배기안내관(231)의 하부에는 눈과 비가 차단되는 차단영역(L)이 형성된다. 보행자는 비가 오는 경우 배기안내관(231)의 하부에 멈춰 서서 비와 눈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송풍기(260)의 회전속도를 가감하여 공기막의 길이를 증가할 경우 차단영역(L)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비와 눈의 량에 따라 송풍기(260)의 회전속도를 가감할 수도 있다.
한편, 집수관(220)으로 유입된 비와 눈은 하부로 이동된 후 저수조(280)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공기우산장치는 별도의 차단막 없이 공기의 흡입과 배출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막으로 비와 눈으로부터 안전한 차단영역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공연장 등에 설치되어 급작스런 우천시에 관람객들의 대피처로 이용될 수 있고, 비닐하우스나 연약한 지붕 위에 설치하면 적설피해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축구경기장 관중석이나 도심의 노상 버스정류장에 본 발명의 공기우산장치가 설치될 경우 별도의 우산없이도 안전하게 비와 눈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저수조에 저장된 비와 눈은 깨끗한 상태로 포집되어 유용한 용처에서 재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공기우산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00 : 공기우산장치 210 : 공기흡입관
211 : 흡입헤드 211a : 흡입공
220 : 집수관 221 : 집수유도관
223 : 하부경사관 225 : 외부배수관
225a : 저수조연결관 227 : 공기배출공
230 : 배기관 231 : 배기안내관
233 : 배수관노출공 240 : 연통관
241 : 연통관본체 243 : 흡입관연결공
245 : 공기이동관 250 : 제습부
251 : 제습배수관 260 : 송풍기
261 : 회전날개 265 : 팬구동부
270 : 공기안내부 271 : 하우징
273 : 공기안내관 275 : 배기링
280 : 저수조
A : 내부공기
B : 외부공기
C : 눈과 빗물

Claims (5)

  1.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공이 형성된 공기흡입관과;
    상기 공기흡입관과 동심원상으로 상기 공기흡입관을 내부에 수용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비나 눈을 내부로 안내하는 집수유도관이 결합된 집수관과;
    상기 집수관과 동심원상으로 상기 집수관을 내부에 수용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내부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안내관이 결합된 배기관과;
    상기 집수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공기흡입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흡입관을 통해 이동된 외부공기를 상기 집수관과 상기 배기관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연통관과;
    상기 배기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관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된 후, 상기 배기안내관으로 내부공기가 배기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와 상기 집수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기를 경유한 내부공기를 상기 배기안내관과 상기 집수유도관 사이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부와;
    상기 배기관의 바닥면과 상기 송풍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관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안내관을 통해 배기된 내부공기가 상기 배기안내관의 상부에 일정면적 공기막을 형성하여 상기 배기안내관의 하부로 비와 눈이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집수관의 하부에는 직경이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되어 비나 눈을 포집하는 하부경사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경사관의 하부에는 비나 눈을 상기 배기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외부배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연통관은 상기 하부경사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안내부는,
    상기 송풍기의 상부를 커버하여 내부공기를 집중시키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집수유도관과 상기 배기안내관 사이로 연장형성된 복수개의 공기안내관과;
    상기 복수개의 공기안내관에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집수유도관과 상기 배기안내관 사이에 링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공기안내관을 따라 이동된 내부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우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배수관으로부터 상기 배기관의 외부로 연장형성되어 비나 눈을 외부로 배출하는 저수조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우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로부터 외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습부에서 흡습 응축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습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우산장치.
KR1020150157876A 2014-11-24 2015-11-11 공기우산장치 KR101633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876A KR101633257B1 (ko) 2015-11-11 2015-11-11 공기우산장치
CN201580063492.1A CN106998864B (zh) 2014-11-24 2015-11-23 空气雨伞装置
PCT/KR2015/012590 WO2016085215A1 (ko) 2014-11-24 2015-11-23 공기우산장치
US15/529,291 US10852017B2 (en) 2014-11-24 2015-11-23 Air umbrella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876A KR101633257B1 (ko) 2015-11-11 2015-11-11 공기우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257B1 true KR101633257B1 (ko) 2016-06-27

Family

ID=5634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876A KR101633257B1 (ko) 2014-11-24 2015-11-11 공기우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179B1 (ko) * 2021-09-28 2022-02-14 이향제 다기능 에어우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241B1 (ko) * 1987-01-28 1989-12-18 삼성전관 주식회사 촬상관 잔상 측정장치
JPH06257812A (ja) * 1993-03-09 1994-09-16 Tategu Sogo Shosha Futaba:Kk キッチン用換気設備
KR20140020101A (ko) * 2012-08-08 2014-02-18 권영억 냉,난방 수단을 구비하는 우산
KR101495681B1 (ko) * 2014-11-24 2015-02-25 신영철 공기우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241B1 (ko) * 1987-01-28 1989-12-18 삼성전관 주식회사 촬상관 잔상 측정장치
JPH06257812A (ja) * 1993-03-09 1994-09-16 Tategu Sogo Shosha Futaba:Kk キッチン用換気設備
KR20140020101A (ko) * 2012-08-08 2014-02-18 권영억 냉,난방 수단을 구비하는 우산
KR101495681B1 (ko) * 2014-11-24 2015-02-25 신영철 공기우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179B1 (ko) * 2021-09-28 2022-02-14 이향제 다기능 에어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2017B2 (en) Air umbrella device
KR101495681B1 (ko) 공기우산장치
KR100854165B1 (ko) 무동력 미세먼지 집진장치
MX2010012531A (es) Respirador de cumbrera con ventilacion de aire forzado impulsado.
KR101543603B1 (ko) 방수형 환기구캡
KR101633257B1 (ko) 공기우산장치
JP2004124764A (ja) ガスタービン吸気フィルタ装置
WO2014036613A1 (en) Rotor ventilator
KR102017179B1 (ko)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
AU2013313029B2 (en) Ventilator and blade therefor
KR20120028482A (ko) 우산 건조기
ES2297213T3 (es) Metodo de extraccion de aire caliente y/o humedo de un invernadero cerrado como minimo parcialemte.
US9074374B1 (en) Gutter cleaning apparatus
CN1384317A (zh) 减湿器
JP2002213805A (ja) 脱臭、抗菌、集塵作用を伴うエアコン用風向変更アタッチメント
KR101504512B1 (ko) 기능성 부직포를 갖는 축사 환풍 설비
CN115085018A (zh) 一种电力设施用具有集水除尘功能的防尘电力柜
KR20140074670A (ko) 가습필터부의 무동력구동이 가능한 가습기
CN109682055B (zh) 一种面向室内通风设备的固定架
CN109610932B (zh) 一种室内通风设备的把手固定、旋转方法
RU118725U1 (ru) Дефлектор
CN211441998U (zh) 一种风冷式充电桩装置
KR102303765B1 (ko) 초고층 복합 구조물
CN208547063U (zh) 一种洁净室新风送风装置
CN208398207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