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179B1 -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179B1
KR102017179B1 KR1020170181229A KR20170181229A KR102017179B1 KR 102017179 B1 KR102017179 B1 KR 102017179B1 KR 1020170181229 A KR1020170181229 A KR 1020170181229A KR 20170181229 A KR20170181229 A KR 20170181229A KR 102017179 B1 KR102017179 B1 KR 102017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exhaust port
dust collector
corrugated pip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195A (ko
Inventor
유희종
Original Assignee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1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1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분진을 포함하는 주변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 상기 흡기구와 배기구 사이에 배치되어 흡기구 및 배기구와 상호 연통되며, 물을 저장하는 본체와, 본체에 내설되어 분진을 집진할 수 있게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와, 물을 빨아올려 살수부로 전달하는 펌프로 구성된 집진기; 상기 흡기구와 배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주변공기를 흡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기; 상기 흡기구와 배기구, 집진기 및 송풍기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주변공기가 이동할 수 있게 통로로 이용되는 주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흡입구와 배기구, 집진기 및 송풍기에 주름관이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상호 연통되게 연결한 다음 분진을 포함하는 주변공기를 흡입하여 분사되는 물을 매개로 분진을 집진하고, 분진이 제거된 주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사용이 완료된 이후에는 각각 분리하여 보관하는 구조이므로 현장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 및 운반도 매우 편리하다.

Description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Dust collection apparatus for work place}
본 발명은 운반의 편의성과 보관의 용이성 및 현장조립의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작업중에 발생되는 유해물질들은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대표적인 요소로서 장시간에 걸쳐서 비산먼지나 유해물질을 흡입하면 인체의 심폐계통에 치명적인 질병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집진장치를 통해 비산되는 분진, 유리섬유 가루 등의 유해물질을 집진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집진장치는 단일화한 일체형 구조를 이루로 대부분이 대형화되어 있고 이에 따라 운반 및 보관이 매우 힘든 문제가 있었다.
또한, 주변이 오픈된 실내 공간에서는 주변공기를 흡입하여 분진(먼지, 유리섬유 등)을 집진하여 제거한 공기를 배출하더라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밀폐된 공간에서는 분진을 제거한 공기를 배출할 경우 내부에서 순환되면서 분진을 촉진하게 되므로 통상 배기구를 배기창에 인접되게 설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좋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배기창이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배기구를 설치할 방법이 없었으며,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반복으로 일어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5244호(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2013.08.05)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2470호(터널 공사용 분진 집진 제거 장치/2007.02.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 기구물 간에 연결을 착탈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운반의 편의성과 보관의 용이성 및 현장조립의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창의 높이에 상관없이 배기구를 쉽게 거치할 수 있는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진을 포함하는 주변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
상기 흡기구와 배기구 사이에 배치되어 흡기구 및 배기구와 상호 연통되며, 물을 저장하는 본체와, 본체에 내설되어 분진을 집진할 수 있게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와, 물을 빨아올려 살수부로 전달하는 펌프로 구성된 집진기;
상기 흡기구와 배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주변공기를 흡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기;
상기 흡기구와 배기구, 집진기 및 송풍기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주변공기가 이동할 수 있게 통로로 이용되는 주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기구에는,
접었다 펼쳤다 할 수 있는 주름관과, 접혀진 주름관의 하부를 떠받치는 받침부, 및 배기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접혀진 주름관이 펼쳐지지 않게 억류하는 억류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주름관의 일단부에는 한 쌍의 줄과, 줄의 말단에 각각 설치되는 무게추로 구성된 거치기구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흡입구와 배기구, 집진기 및 송풍기에 주름관이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상호 연통되게 연결한 다음 분진을 포함하는 주변공기를 흡입하여 분사되는 물을 매개로 분진을 집진하고, 분진이 제거된 주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사용이 완료된 이후에는 각각 분리하여 보관하는 구조이므로 현장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 및 운반도 매우 편리하다.
또한, 배기구에 설치되어 접혔다 펼쳐졌다는 주름관을 통해 높은 곳에 위치된 배기창까지 쉽게 연장하여 설치해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진이 제거된 주변공기를 외부로 배출해 줄 수 있어 실내에 분진유발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이 완료된 주름관은 접은 다음 받침부 및 억류부를 매개로 고정하면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이 비교적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주름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거치기구를 이용하여 배기창에 손쉽게 거치해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의 전체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에서 집진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에서 흡기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사장용 분진장치에서 배기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의 전체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에서 배기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에서 배기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의 전체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에서 집진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에서 흡기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사장용 분진장치에서 배기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실시 예에 따른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는, 흡기구(10)와 배기구(20), 집진기(30), 송풍기(40) 및 주름관(50)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의하면 공사장 내의 분진(먼지)을 빠르게 흡입하여 집진해 줌에 따라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공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흡기구(10)는 송풍기(40)의 흡입력을 매개로 공사장 내의 주변공기(분진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기구(10)의 일단(도 3 기준으로 우측)에는 좌에서 우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깔대기형상의 가이드관이 일체(또는 일체형)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기관(10)의 타단(도 3 기준으로 좌측)에는 주름관(50)이 나사볼트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관과 상호 연통된 구조를 이룬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기구(20)는 집진기(20)를 거친 주변공기를 송풍기(40)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매개로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기구(20)의 일단(도 1 기준으로 우측)에는 주름관(50)이 나사볼트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와 상호 연통된 구조를 이룬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집진기(30)는 본체(31)와 살수부(32) 및 펌프(33)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흡기구(10)와 배기구(20) 사이에 배치되어 흡기구(10) 및 배기구(20)와 상호 연통된 구조를 이루며, 흡기구(10)를 통해 유입된 주변공기의 분진에 물을 분사하여 집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체(31)는 전체적으로 박스형태를 이루는 부재로서, 내부에는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고, 양측에는 구멍이 각각 형성되며, 구멍에는 주름관(50)이 나사볼트를 매개로 각각 설치되어 흡기구(10)와 집진기(30), 배기구(20)와 집진기(30)을 상호 연결시켜 준다.
또한, 상기 본체(31)의 상부에는 힌지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가 구비되며, 이를 통해 부족한 물을 채워 넣거나, 내부에 설치되는 살수부(32)와 펌프(33)를 손쉽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31)에는 내부에 오염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 라인이 구비된다.
상기 살수부(32)는 본체(31)에 내설되며 노즐이 구비된 파이프라인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펌프(33)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노즐을 통해 하향으로 분사(또는 분무)하여 분진을 집진한다.
상기 살수부(32)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펌프(33)는 본체(31)에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본체(31)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본체(31)의 내측에 설치해 주었다.
상기 펌프(33)는 살수부(32)와 연결되는 수중펌프로서, 본체(31)에 저장된 물을 빨아올려 살수부(32)로 전달해 주는 기능을 한다.
특히, 집진제거되어 물에 혼입된 슬러지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펌프(33) 주변으로 필터를 설치해 주는 것이 좋다.
상기 송풍기(40)는 흡기구(10)와 배기구(20) 사이에 설치되어 흡기구(10)를 통해 외부공기(분진을 포함하는 공기)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하고, 흡입된 외부공기(분진이 제거된 공기)을 배출구(20)를 통해 배출할 수 있는 바람을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과 같이, 흡기구(10)와 집진기(30) 사이, 그리고 집진기(30)와 배기구(20) 사이에 각각 설치시켜 주었으며, 필요에 따른 흡기구(10)와 집진기(30) 사이, 또는 집진기(30)와 배기구(20) 사이에 설치해 줄 수도 있다.
상기 송풍기(40)는 주름관(50)을 매개로 흡기구(10)와 집진기(30) 및 배기구(20)와 상호 연통된 구조를 이룬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주름관(50)은 스프링구조의 철사 주위로 합성수지 필름을 입혀 형성한 자바라형태의 관으로서, 양단에는 각 기구물(흡기구, 집진기, 송풍기, 배출기를 칭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플런지가 형성된다.
또한, 기구물과 플런지 사이(틈)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런지와 기구물 사이에는 실링재가 설치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기구(10)와 배기구(20), 집진기(30) 및 송풍기(40)의 하면에는 운반의 편의를 위해 캐스터(바퀴)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흡기구(10)와 배기구(20) 및 송풍기(40)의 상면에는 손잡이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 흡입구(10)와 배기구(20)가 적용된 것으로 기재 및 도시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흡입구(10)와 배기구(20)는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흡입구(10)와 배기구(20), 집진기(30) 및 송풍기(40)에 주름관(5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상호 연통되게 연결한 다음 분진을 포함하는 주변공기를 흡입하여 분사되는 물을 매개로 분진을 집진하고, 분진이 제거된 주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사용이 완료된 이후에는 각각 분리하여 보관하는 구조이므로 현장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 및 운반도 매우 편리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10), 송풍기(40), 집진기(30), 송풍기(40), 배기구(20) 순으로 배치한 다음 기구물(흡기구, 집진기, 송풍기, 배출기를 칭함) 사이에 주름관(50)을 설치하여 내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집진기(30)와 송풍기(40)가 동작하게 되며, 송풍기(40)에 의해 흡입구(10)를 통해 분진을 포함하는 주변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된 주변공기(분진 포함)는 주름관(50)을 따라 이동되어 집진기(30)를 통과해 배기구(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상기 주변공기(분진 포함)가 집진기(30)를 통과하는 과정에 집진기(30)의 살수부(32)로부터 분사(또는 분무)되는 물에 의해 주변공기에 포함된 분진이 집진되고, 분진이 제거된 주변공기만이 송풍기(40)에 의해 유도되어 배기구(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 예의 경우 벽체가 설치되지 않은 오픈된 장소나 벽체가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외부와 연통되는 배기창이 비교적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배기구(20)를 바깥쪽으로 배치할 수 있는 장소라면 사용이 가능하지만, 도 8과 같이 배기창이 비교적 높은 곳에 위치된 밀폐된 장소의 경우에는 배기구(20)를 배기창쪽으로 설치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어렵고 배기구(20)를 통해 배출되는 주변공기가 오히려 실내를 맴돌면서 분진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배기구(20)에 주름관(50')을 더 보강하여 배기창이 높은 곳에 위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주름관(50')을 매개로 배기창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의 전체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에서 배기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에서 배기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2실시 예는 앞선 제1실시 예와 전반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배기구(20)에 받침부(21)와 억류부(22) 및 주름관(50')이 더 보강된다는 점만 상이하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주름관(50')은 스프링구조의 철사 주위로 합성수지 필름을 입혀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접었다 펼쳤다 할 수 있는 자바라형태의 관으로서, 배기구(20)에 일체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31)는 배기구(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접혀진 주름관(50')의 하부를 떠받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억류부(32)는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배기구(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접혀진 주름관(50')이 펼쳐지지 않게 억류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억류부(32)는 지지대(22a)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지지대(22a)는 억류부(32)를 회전시켰을 때 함께 회전되어 일단이 받침부(21)의 상면에 수직하게 입설되면서 접혀진 주름관(50')이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접혔다 펼쳐졌다는 주름관(50')을 통해 높은 곳에 위치된 배기창까지 연장하여 쉽게 가설해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진이 제거된 주변공기를 외부로 배출해 줄수 있어 실내에 분진유발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이 완료된 주름관(50')은 접은 다음 받침부(21) 및 억류부(22)를 매개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관 및 운반이 비교적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단순히 주름관(50')을 펼친 상태에서 주름관(50')의 단부를 배기창에 걸치게 되면, 잘 걸쳐지지도 않을 뿐더러 주름관(50')의 자중에 의해 낙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배기창 등에 주름관(50')의 단부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거치기구(60)를 보강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기구(60)는 줄(61)과 무게추(62)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주름관(50')의 단부에 긴 줄(61)을 감아 줄(61)의 양단부가 충분히 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줄(61)의 양단부에 무게추(62)를 설치한다.
일 예로서, 상기 주름관(50')의 단부를 배기창에 거치시키고자 할 경우 배기창의 단면을 기준으로 한쪽 무게추(62)는 바깥쪽에 위치시키고 다른 쪽 무게추(62)는 안쪽에 배치시켜 무게 중심을 맞춰 주면 주름관(50')을 배기창에 손쉽게 거치할 수 있다.
그리고 거치기구(60)의 사용이 완료되면 주름관(50')으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거나 주름관(50')에 설치된 상태로 보관하면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흡기구 20: 배기구 21: 받침부
22: 억류부 22a: 지지대 30: 집진기
31: 본체 32: 살수부 33: 펌프
40: 송풍기 50,50': 주름관 60: 거치기구
61: 줄 62: 무게추

Claims (3)

  1. 분진을 포함하는 주변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
    상기 흡기구와 배기구 사이에 배치되어 흡기구 및 배기구와 상호 연통되며, 물을 저장하는 본체와, 본체에 내설되어 분진을 집진할 수 있게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와, 물을 빨아올려 살수부로 전달하는 펌프로 구성된 집진기;
    상기 흡기구와 배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주변공기를 흡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기;
    상기 흡기구와 배기구, 집진기 및 송풍기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주변공기가 이동할 수 있게 통로로 이용되는 주름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구에는,
    접었다 펼쳤다 할 수 있는 주름관과, 접혀진 주름관의 하부를 떠받치는 받침부, 및 배기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접혀진 주름관이 펼쳐지지 않게 억류하는 억류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의 일단부에는 한 쌍의 줄과, 줄의 말단에 각각 설치되는 무게추로 구성된 거치기구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
  3. 삭제
KR1020170181229A 2017-12-27 2017-12-27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 KR102017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229A KR102017179B1 (ko) 2017-12-27 2017-12-27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229A KR102017179B1 (ko) 2017-12-27 2017-12-27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195A KR20190079195A (ko) 2019-07-05
KR102017179B1 true KR102017179B1 (ko) 2019-09-02

Family

ID=67225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229A KR102017179B1 (ko) 2017-12-27 2017-12-27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1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6458A (zh) * 2020-03-19 2020-06-30 合肥潜望镜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降尘结构
KR102407768B1 (ko) 2021-07-01 2022-06-10 주식회사 레이크머티리얼즈 유기금속 화합물 공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099B1 (ko) * 2022-04-20 2023-05-31 서석준 선택적 송풍이 가능한 노지용 온풍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277Y1 (ko) 2002-01-31 2002-05-21 이태삼 실내 집진처리기
KR200471096Y1 (ko) * 2013-06-19 2014-02-07 김세진 집진 정화장치
KR101664865B1 (ko) 2016-03-25 2016-10-13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집진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470B1 (ko) 2005-07-25 2007-02-15 신한건설산업(주) 터널 공사용 분진 집진 제거 장치
KR20110102074A (ko) * 2010-03-10 2011-09-16 대경건설 (주) 오일미스트용 포터블 집진기
KR101295244B1 (ko) 2011-06-13 2013-08-12 주식회사 이지포텍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277Y1 (ko) 2002-01-31 2002-05-21 이태삼 실내 집진처리기
KR200471096Y1 (ko) * 2013-06-19 2014-02-07 김세진 집진 정화장치
KR101664865B1 (ko) 2016-03-25 2016-10-13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집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6458A (zh) * 2020-03-19 2020-06-30 合肥潜望镜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降尘结构
KR102407768B1 (ko) 2021-07-01 2022-06-10 주식회사 레이크머티리얼즈 유기금속 화합물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195A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179B1 (ko)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
US11653800B2 (en) Handheld vacuum cleaner
US10716444B2 (en) Vacuum cleaner having cyclonic separator
CN111075953B (zh) 冲洗阀、粉尘收集器和粉尘收集系统
US4676811A (en) Wet air cleaning apparatus
KR200491534Y1 (ko) 핸디형 진공청소기
JP6397232B2 (ja) 有害物質含有塗装材除去システム
CN109045869A (zh) 一种环保治理用除尘推车装置
KR102000240B1 (ko) 대기 미세먼지 정화장치를 포함하는 청소차
KR20220000685A (ko) 공사현장의 비산먼지 제거장치
WO2004050305A1 (en) Abrasive cleaning plant with single-block plastic booth and integrated feeding and filtering device
KR101991083B1 (ko) 전기 집진기를 이용한 공기 청정 시스템
CN207288236U (zh) 一种纺织机械用去尘装置
JP6526257B2 (ja) 換気扇
JP3323843B2 (ja) 洗浄装置
KR102156106B1 (ko) 건축물 철거 환경 개선 기능이 탑재된 철거용 외형 구조물 유닛
CN208912698U (zh) 一种单循环的风淋室
KR101908648B1 (ko) 집진기
JPH09119797A (ja) エアコンの室内機の清掃方法および清掃排出物の捕捉器
CN215143218U (zh) 一种路灯杆生产用喷涂废气处理装置
CN220633571U (zh) 一种扬尘处理装置
CN114011606B (zh) 一种电力防腐阻燃涂料专用喷涂装置
KR102145880B1 (ko) 다목적 청소장치
KR101372510B1 (ko)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부
CN217327405U (zh) 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