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298B1 - 밀웜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밀웜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3298B1 KR102303298B1 KR1020180149948A KR20180149948A KR102303298B1 KR 102303298 B1 KR102303298 B1 KR 102303298B1 KR 1020180149948 A KR1020180149948 A KR 1020180149948A KR 20180149948 A KR20180149948 A KR 20180149948A KR 102303298 B1 KR102303298 B1 KR 1023032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ed composition
- mealworms
- mealworm
- weight
- fe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Phys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웜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동물성 고단백 사료를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상기 사료 조성물을 산란계에게 급여하는 경우, 일일산란수 및 난각의 두께가 증가하며, 사료 요구율 및 면역력 등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밀웜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밀웜을 함유하는 산란계 사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가축이나 가금의 사육은 대형화 및 기업화되고 있으며, 생산성 및 경제성을 높이기 위하여 한정된 공간에서 사육하는 밀집 사육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밀집 사육의 증가로 인해 가축들의 사료 효율 및 생산성 향상이 축산업계의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생산성의 문제는 가축 및 가금의 영양 상태, 영양효율 및 사육환경과 같은 사육 조건 등 여러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국내외를 막론한 전체 축산업계나 가금업계는 가축 및 가금의 밀집 사육으로 인한 질병으로 폐사 및 생산성 감소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존력을 향상시키고 각종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극대화시키는 가축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의 연구에 관심이 대두 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 다양한 기능성 사료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사료들은 동물 사료에 항생물질을 첨가하거나 또는 약제 및 성장호르몬제와 같은 기능성 물질들을 첨가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들은 가축이나 가금으로 하여금 항생물질이 남용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항생물질의 남용은 결국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성장 악화 및 육질의 저하를 초래하고, 나아가 사람들의 축산물 섭취 시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물질들을 간접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값비싼 기능성 물질의 사용으로 인해 축산 및 가금업계의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단점이 있다.
현재, 선진 각국에서는 축산업의 항생제 사용이 인체에 여러 가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을 우려하여 질병치료를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항생제를 제외한 질병예방 및 성장촉진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사료첨가용 항생제의 사용을 금지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선진국들은 항쟁물질 대체제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항생물질을 사용하지 않은 유기축산으로 축산의 방향을 전환하고 있는 실정이다.
곤충은 동물계 중에서 가장 큰 종군으로 전 세계에 알려진 곤충종류만 수백만 종이고, 우리나라에도 수십만 종의 곤충이 서식하고 있다. 곤충은 지구에 있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최대한 생물자원으로써 단백질의 보고라고 불린다. 곤충의 체내에는 면역력을 늘리고, 천연적인 항생효과를 갖는 갑각소와 항균 펩티드 등이 대량으로 함유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백 종이 넘는 식용곤충들이 음식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남 아시아의 여러 국가에서는 곤충 튀김이 일종의 간식으로 팔리고 있다.
세계 각국들은 이러한 곤충자원의 개발과 이용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이미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전통적으로 누에와 양봉의 2개 곤충만이 겨우 산업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광우병 문제, 어분(fish meal) 의 생산량 감소, 단세포 단백질의 높은 생산비용 등을 이유로 천연항생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곤충 단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동물성 고단백 사료를 생산할 수 있는 밀웜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에서,
사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 % 범위의 밀웜(mealworm) 및 10 내지 25 중량 % 범위의 대두박을 포함하며,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산란계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수학식 1]
수학식 1에서,
M 은 상기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밀웜의 중량 % 를 나타내고,
S 는 상기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대두박의 중량 % 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산란계 사료 조성물을 산란계에게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란계 사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란계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동물성 고단백 사료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밀웜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을 산란계에게 급여시킬 경우 일일산란수, 난각의 두께, 사료 요구율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사료 조성물을 산란계에게 급여시킬 경우 히스티닌과 같은 특정 필수 아미노산이 증가되어 병원균에 대한 면역력이 크게 증대됨으로써 병원균 감염으로 인한 폐사율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수행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좌) 시험계사, (우) 밀웜분말).
도 2는 비교예 1(밀웜 무첨가), 실시예 1 내지 3(각각 밀웜 1 내지 3 중량 % 첨가)의 계란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비교예 1(밀웜 무첨가), 실시예 1 내지 3(각각 밀웜 1 내지 3 중량 % 첨가)의 계란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밀웜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웜" 은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의 곤충의 유충을 의미하며, 일반밀웜, 수퍼밀웜 또는 킹밀웜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거저리 성충은 곡류 속에서 알을 낳는데, 알은 점액질로 되어 있고 크기가 매우 작으며, 1~2주일 후 부화한다. 유충 기간은 약 12주 정도이다. 밀웜은 주로 낚시 미끼용 또는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의 먹이로 사용되어 왔으며, 다른 곤충에 비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밀웜(갈색거저리 유충)은 동물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제일 높고, 성장이 빠르며 번식률이 아주 높다. 또한, 밀웜은 적응력이 강하고, 양식기술을 익히기가 쉬워서 공장에서 양식하거나 분산사육이 가능해서 집중 가공에 적합하며, 겨울철에도 번식을 하므로 계절에 관계없이 4계절 양식을 할 수 있다. 밀기울과 미강 등 농장물 줄기, 겨, 폐기채소 등이 갈색거저리 유충에게 좋은 사료이기 때문에, 농작물의 줄기나 잎 등이 농업작물과 농업유기폐기물을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어 자원낭비와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산란계" 란, 계란생산을 목적으로 사육되는 닭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산란계 사료 조성물일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닭 뿐만 아니라, 꿩, 오리 등과 같이 야생의 조류를 인간생활에 유용하게 길들이고 품종개량을 하여 육성한 조류인 가금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서,
사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 % 범위의 밀웜(mealworm) 및 10 내지 25 중량 % 범위의 대두박을 포함하며,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산란계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수학식 1]
수학식 1에서,
M 은 상기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밀웜의 중량 % 를 나타내고,
S 는 상기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대두박의 중량 % 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밀웜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밀웜을 함유하는 산란계 사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밀웜"은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의 곤충의 유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밀웜, 수퍼밀웜 또는 킹밀웜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밀웜은 단백질 함량이 비교적 높으며, 일반적으로 쌀, 밀, 옥수수 등에서 부족한 라이신이나 트레오닌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아울러, 밀웜의 지방함량은 다른 곤충들과 비슷하며 그 함량이 높고,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지방함량이 높기에 사료배합 시 에너지요구량을 충족시키기에 좋은 원료이다.
특히, 상기 밀웜을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증체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밀웜을 이용하여 부정적인 영향 없이 대두박을 대체할 수 있는 단백질 원료로 이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밀웜을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사료 조성물 내의 대두박 함량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웜은 사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웜은 사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4.5 중량 %, 0.1 내지 4.0 중량 %, 0.5 내지 3.5 중량 %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 % 일 수 있다.
예컨대, 사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밀웜이 상기 중량 % 미만인 경우, 사료 조성물에서의 지방 함량이 부족하여, 사료 배합 시 산란계의 에너지 요구량을 충족시킬 수 없다. 아울러, 이러한 경우 동물의 면역성을 증진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밀웜이 상기 중량 % 를 초과하는 경우, 밀웜의 지방함량에 의해서 산란계의 에너지요구량을 충족시킬 수는 있으나, 비용 상승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밀웜의 함량 대비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반면, 사료 조성물에 밀웜이 첨가됨으로써, 대두박의 함량은 줄어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두박은 사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5 중량 %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대두박이 10 중량 % 미만인 경우, 사료 조성물에서의 단백질 수준이 너무 낮아지게 되어,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시키는 배합비를 작성할 수 없으며, 상기 대두박이 25 중량 % 를 초과하는 경우, 비용 상승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두박은 12 내지 25 중량 %, 14 내지 23 중량 %, 16 내지 21 중량 %, 17 내지 20 중량 % 일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에서, M 은 상기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밀웜의 중량 % 를 나타내고, S 는 상기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대두박의 중량 % 를 나타낸다. 이때, M+S 는 25 이하일 수 있으며, 20 내지 24, 20 내지 23, 또는 20 내지 22 일 수 있으며, 값은 4.0 내지 20.0 %, 6.0 내지 18.0 %, 8 내지 16 % 또는 10.0 내지 15.0 %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밀웜은 그 자체로도 이용 가능하며, 잘게 분쇄된 밀웜 분말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밀웜은 사육 과정에서 생성된 각종 독서를 제거하기 위해, 밀웜을 뜨거운 물에 데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후, 물에서 건져낸 밀웜에서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밀웜을 건조시킨 후 분말 상태로 분쇄하면 밀웜 분말이 완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밀웜을 뜨거운 물에 30분 내지 60분 동안 데치는 것으로 식용 곤충의 표피에 남아 있는 독소는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밀웜의 장기에 남아있는 독소는 완전히 제거되기 힘들다. 장기에 남아 있는 독소를 제거하기 위해 2~5일 동안 밀웜을 굶길 수 있다. 또는 호박, 알로에와 같이 식물 섬유를 다량 함유하는 기능성 사료 또는 쌀겨, 씨눈과 같이 장기를 청소하는 때수건 기능의 기능성 사료를 2~5 일 동안 밀웜에게 먹일 수 있다.
그 후, 상기 밀웜을 약 20 내지 40 ℃ 의 물에 20 내지 30 분 동안 담가둘 수 있다. 20 내지 40 ℃ 의 물에 담겨진 밀웜은 배변 기능이 활성화되므로, 배변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의 배변을 통해 장기에 남아있던 독소가 밀웜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장기의 독소가 제거되고, 뜨거운 물에 데치는 과정을 통해 표피에 독수가 제거된 밀웜은 햇빛에서 건조되거나, 동결 건조된 후 자체 수분 함량이 15 % 이하가 되었을 때, 분쇄기를 통해 분쇄될 수 있다. 만일, 밀웜 자체 수분 함량이 15 % 를 초과하는 경우, 사료배합 시 배합이 용이하게 되지 않고 상기 원료의 저장 시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어, 밀웜의 수분 함량은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분쇄시 단단한 부분은 제거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분쇄된 밀웜을 체에 거를 수 있다. 이때의 체는 가로 1인치, 세로 1인치 내에 100개의 홀이 형성된 100 메시 체일 수 있다.
이렇게 걸러진 밀웜 분말이 사료 조성물에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상기 사료 조성물은 밀웜, 옥수수, 대두박, 채종박, 옥수수글루텐박, 옥수수주정박, 동물성 지방, 염화콜린, L-라이신, DL-메티오닌, 석회석, 제3인산칼슘, 소금, 탄산수소나트륨, 비타민 혼합제, 미네랄 혼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료 조성물은 밀웜 0.01 내지 5.0 중량 %, 옥수수 50 내지 65 중량 %, 대두박 10 내지 25 중량 %, 채종박 3 내지 5 중량 %, 옥수수글루텐박 1 내지 4 중량 %, 옥수수주정박 1.5 내지 3 중량 %, 동물성 지방 0.8 내지 2.0 중량 %, 염화콜린 0.02 내지 0.1 중량 %, L-라이신 0.001 내지 0.05 중량 %, DL-메티오닌 0.05 내지 0.2 중량 %, 석회석 8 내지 13 중량 %, 제3인산칼슘 0.03 내지 0.2 중량 %, 소금 0.3 내지 0.4 중량 %, 탄산수소나트륨 0.01 내지 0.2 중량 %, 비타민 혼합제 0.01 내지 0.2 중량 %, 미네랄 혼합제 0.01 내지 0.2 중량 % 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술한 산란계 사료 조성물은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산란계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수학식 2]
수학식 2에서,
D0 은 밀웜을 포함하지 않는 사료 조성물을 산란계에 8 주간 급여하였을 때의 일일산란수 % 를 나타내고,
D1 은 사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 % 범위의 밀웜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산란계에 8 주간 급여하였을 때의 일일산란수 % 를 나타낸다.
여기서, "일일산란수"는 일계산란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매일의 산란율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계란은 매일 오후 13시에 수거하였으며, 실시예에서 수집한 총 산란개수를 사육수수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학식 2에서, 는 3.5 % 이상일 수 있으며, 4 % 이상, 4.5 % 이상, 5 % 이상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5 % 내지 5.5 % 일 수 있다. 이는 사료 조성물에 밀웜을 포함함으로써, 일일산란수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사료조성물을 급여한 닭은 일일산란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난각의 두께와 난황색이 유의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산란계 사료 조성물은 하기 수학식 3을 만족하는 산란계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수학식 3]
수학식 3에서,
H0 은 밀웜을 포함하지 않는 사료 조성물을 산란계에 8 주간 급여하였을 때, 산란계의 히스티딘 수치를 나타내고,
H1 은 사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0 중량 % 범위의 밀웜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산란계에 8 주간 급여하였을 때, 산란계의 히스티딘 수치를 나타낸다.
여기서, "히스티딘" 이란, 단백질을 구성하는 주요한 아미노산(약 20종) 중 하나로, 최근에 FAO/WHO/UNU(1985) 에서 필수아미노산으로 취급하고 있다. 특히, 히스티딘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주요한 아미노산의 하나로서 면역력 증진, 피부질환 예방, 시력저하 개선, 유아성장 촉진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밀웜을 포함함으로써, 히스티닌과 같은 특정 필수 아미노산이 증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능적 계란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술한 사료 조성물을 산란계에게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란계 사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밀웜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을 정상의 동물에게 급여시킬 경우 일일산란수, 난각의 두께, 사료 요구율에 있어서 밀웜 무첨가 사료 조성물을 급여시킨 경우 대비 우수한 효과가 나타나며, 특히, 히스티닌과 같은 특정 필수 아미노산이 증가되어 병원균에 대한 면역력이 크게 증대되어 병원균 감염으로 인한 폐사율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강원대학교 동물윤리위원회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의 승인 받아 진행하였다. 강원대학교 중보보령관 내 베터리 케이지사에서 41주령 산란계 (Roman brown, 1,973.26±28g) 를 이용하여 사료 내 밀웜을 전체 사료 조성물의 중량 대비 1중량 % 첨가하였다. 그리고, 4처리 6반복 반복당 8수씩 총 192수를 공시하여, 전기 (1일~28일) 와 후기 (29일~56일)로 나누어 총 56일간 사양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케이지 당 한 수씩 배치하였고, 시험 개시 전 일주일의 사료 적응기간 후 일일 섭취수준에 맞추어 1 일 1차례 급이 하였다(도 1 참조). 점등 관리는 16시간 점등 8시간 암전으로 설정하였으며, 조도는 15 lux 를 유지하였다. 그리고, 기타 사양관리는 Hyline brown Management Guide (2014)에 따라 진행하였다.
실시예 2.
밀웜의 첨가수준이 전체 사료 조성물에 대하여 2 중량 % 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실시예 3.
밀웜의 첨가수준이 전체 사료 조성물에 대하여 3 중량 % 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비교예 1.
밀웜을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아래의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사료 조성물의 원료 및 화학성분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처리 | 밀웜(갈색 거저리 유충, %) | |||
비교예 1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
반복수 | 6 | 6 | 6 | 6 |
수수/반복당 | 8 | 8 | 8 | 8 |
합 | 48 | 48 | 48 | 48 |
총 수수 | 192 |
원료, (%) | 밀웜 (%) | ||||
비교예 1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
옥수수 | 59.08 | 59.51 | 59.89 | 60.18 | |
대두박(45%) | 20.21 | 19.19 | 18.32 | 17.51 | |
채종박 | 4.00 | 4.00 | 4.00 | 4.00 | |
옥수수글루텐박 | 2.81 | 2.32 | 1.82 | 1.32 | |
옥수수주정박 | 2.00 | 2.00 | 2.00 | 2.00 | |
밀웜 유충 | - | 1.00 | 2.00 | 3.00 | |
동물성 지방 | 1.00 | 1.00 | 0.99 | 1.00 | |
염화콜린 (50%) | 0.03 | 0.04 | 0.04 | 0.05 | |
L-라이신 (78%) | 0.01 | 0.01 | - | - | |
DL-메티오닌 (100%) | 0.06 | 0.13 | 0.13 | 0.07 | |
석회석 | 10.13 | 10.12 | 10.11 | 10.16 | |
제3인산칼슘 | 0.05 | 0.06 | 0.08 | 0.10 | |
소금 | 0.32 | 0.32 | 0.32 | 0.31 | |
탄산수소나트륨 | 0.10 | 0.10 | 0.10 | 0.10 | |
비타민 프리믹스1 | 0.10 | 0.10 | 0.10 | 0.10 | |
미네랄 프리믹스2 | 0.10 | 0.10 | 0.10 | 0.10 | |
합계 | 100 | 100 | 100 | 100 | |
계산된 조성 (%) |
대사에너지(Kcal/kg) | 2,735 | 2,735 | 2,735 | 2,735 |
조단백질 | 18.00 | 18.00 | 18.00 | 18.00 | |
라이신 | 0.85 | 0.86 | 0.86 | 0.87 | |
메티오닌 + 시스테인 | 0.70 | 0.70 | 0.70 | 0.70 | |
칼슘 | 4.00 | 4.00 | 4.00 | 4.00 | |
사용가능한 인 | 0.42 | 0.43 | 0.43 | 0.43 | |
지방산 조성 (g/100g) |
포화지방산 | 29.17 | 31.69 | 31.50 | 31.15 |
C12:0 | 0.27 | 0.29 | 0.31 | 0.31 | |
C14:0 | 1.29 | 1.43 | 1.45 | 1.41 | |
C16:0 | 19.39 | 20.36 | 20.21 | 20.47 | |
C16:1n-9 | 1.58 | 1.68 | 1.68 | 1.67 | |
C18:0 | 7.61 | 9.34 | 9.09 | 8.61 | |
C18:1n-9 | 33.53 | 33.85 | 33.59 | 34.31 | |
C18:2n-6 | 33.84 | 30.87 | 31.22 | 31.68 | |
C18:3n-3 | 1.88 | 1.91 | 1.94 | 1.92 | |
1Supplied per kilogram of diet: 16,000 IU vitamin A, 3,000 IU vitamin D3, 40 IU vitamin E, 5.0 mg vitamin K3, 5.0 mg vitamin B1, 20 mg vitamin B2, 4 mg vitamin B6, 0.08 mg vitamin B12, 40 mg pantothenic acid, 75 mg niacin, 0.15 mg biotin, 0.65 mg folic acid. 2Supplied per kilogram of diet: 45 mg Fe, 0.25 mg Co, 50 mg Cu, 15 mg Mn, 25 mg Zn, 0.35 mg I, 0.13 mg Se. |
<실험예>
실험예 1. 산란성적
계란은 매일 오후 13시에 수거하였다. 산란율(HDEP, %)은 실험 기간 동안 수집한 총 산란개수를 사육수수로 나누어 구하였다. 평균 난중(g/egg)은 실험 기간 동안 수집한 모든 계란의 무게를 실험 기간 동안 수집한 총 계란 개수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산란량(g/d/bird)은 수집한 계란의 전체 무게를 사육수수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일당 사료 섭취량(g/d/bird)은 7일 마다 총 급여사료에서 수거한 사료 잔량을 공제 한 후 처리당 총 수수와 일로 나누어 계산 하였다. 사료 요구율은 섭취량을 산란량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사료 내 밀웜의 첨가가 산란계의 난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8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항목 | 밀웜 (%) | 표준오차2 | 유의성 검정3 | ||||
비교예 1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선형 | 이차 | ||
일일산란수 (%) | 84.37 | 88.88 | 87.61 | 86.77 | 1.43 | 0.379 | 0.085 |
난중 (g/egg) | 61.37b | 62.81a | 62.54a | 62.65a | 0.37 | 0.042 | 0.089 |
산란량 (g/egg/bird) | 52.08 | 55.93 | 52.72 | 52.42 | 1.33 | 0.717 | 0.134 |
사료섭취량 (g/day/bird) | 101.40 | 106.14 | 100.60 | 101.08 | 1.82 | 0.433 | 0.255 |
사료요구율 | 1.97 | 1.91 | 1.94 | 1.95 | 0.02 | 0.942 | 0.076 |
1데이터는 처리구 당 6 반복을 근거로 한 평균을 나타냄. 2평균의 표준오차. 3밀웜(갈색 거저리 유충) 첨가수준 증가의 선형 및 2차 효과 (0, 1, 2 및 3%). |
표 3을 참조하면, 총 8주 동안 사료 내 밀웜의 첨가에 따른 난중의 경우 무첨가구에 비하여 밀웜 첨가구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또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p>0.05), 일일산란수는 약 2~5%, 산란량에서는 약 3%, 사료요구율의 경우 약 4%까지 각각 무첨가구 대비 수치상으로는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밀웜에 높게 함유되어 있는 동물성 단백질, 아미노산, 지방과 총 에너지 그리고 칼슘과 인의 흡수 이용률이 높기 때문이라고 판단되며 본 실험예에서 이용된 사료 내 단백질과 에너지함량을 비롯한 모든 영양소의 함량을 동일 수준으로 조절해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2. 계란 품질평가
품질 평가에 사용할 계란은 7일마다 반복당 5개씩 무작위로 선택하여 조사하였다. 계란의 외부품질에서 난각색은 Roche Fan으로 측정하였고, 난각 강도(kg/cm2)는 HANDPI Digital Force Gauge (Model HANDPI-HLD-Taipei, Taiwan)으로 측정하였다. 난각 두께(mm)는 shell thickness meter (FHK, P-1,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아울러, 계란의 내부 품질에서 난황색은 Roche Fan으로 측정하고, tripod micrometer(Teclock 0-10mm, Japan)을 이용하여 난백고(mm)를 측정한 후, 호우유닛 (Haugh Unit)을 계산하였다. HU공식은 다음과 같다.
Haughunit = 100Log{H-(1.701×W0.37)+7.57
그리고, 산란계 사료 내 밀웜의 첨가가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표 4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시험구의 계란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항목 | 밀웜 (%) | 표준 오차 | 유의성 검정 | |||||
비교예 1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선형 | 이차 | |||
외부 | 난각 색 | 14.05 | 14.24 | 13.82 | 14.22 | 0.22 | 0.928 | 0.645 |
난각 두께 (mm) | 4.19b | 4.31ab | 4.67a | 4.39ab | 0.10 | 0.046 | 0.064 | |
난각 경도 (kg/cm2) | 0.39 | 0.39 | 0.40 | 0.46 | 0.03 | 0.143 | 0.412 | |
내부 | 난황 색 | 7.21c | 7.29bc | 7.40b | 7.65a | 0.11 | 0.007 | 0.448 |
난백고 (mm) | 7.05 | 7.10 | 7.10 | 6.87 | 0.15 | 0.451 | 0.387 | |
호우 유닛 | 81.60 | 82.04 | 82.28 | 81.35 | 1.16 | 0.924 | 0.563 | |
1데이터는 처리구 당 6 반복을 근거로 한 평균을 나타냄. 2평균의 표준오차. 3밀웜(갈색 거저리 유충) 첨가수준 증가의 선형 및 2차 효과 (0, 1, 2 및 3%). |
표 4를 참조 하면, 산란계 사료 내 밀웜의 첨가 수준이 증가하는 2~3% 에서 난각 두께와 난황색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편, 국내 파란은 연간 약 4만톤, 부화장에서 발생되는 폐란은 약 5천톤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파란율을 개선하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난각품질을 개선하는 것이다.
아울러, 난황색은 계란의 품질을 판단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Delgado-Vargas 등, 1998). 전 세계적으로 소비자들은 금황색, 오렌지 색 등과 같은 짙은 난황색을 선호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sin 등, 2006). 이러한 결과들을 비추어 산란계 사료 내 밀웜의 첨가는 파란율의 감소와 고품질 계란을 생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도 2 참조).
실험예 3. 지방산 및 아미노산 분석
3-1. 난황 내 지방산 분석
56 일령에 생산된 계란을 반복당 5개씩 무작위로 수거하여, 난황을 분리하여, pooling 후 균질화하여 지방산 및 아미노산 분석에 이용하였다. Folch 등(1957)의 방법에 따라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난황 10g을 혼합유기용매(chloroform : methanol = 2:1) 200 mL와 0.88% KCl 6 mL를 가한 후 ultra turrax 2,500rpm에서 3분간 격렬하게 교반하고 원심분리 후 지질층을 1차로 분리한 다음, 이 과정을 3회 반복해서 추출된 지질을 최종적으로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농축된 지질 분획 중 4~5 mg을 검화용 반응 용기에 넣고 0.5N methanolic NaOH(2g NaOH/ 100 mL methanol)를 1 mL 첨가하여 15분간 가열한 후 냉각하였다. 냉각 후 methylation 용 시약인 BF3-methanol 2 mL를 가한 후 다시 15분간 가열 하였다. 실온까지 충분히 냉 각시킨 다음 다시 1 mL의 heptane과 2 mL의 NaCl 포화용액을 가하여 1분간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30분간 방치 한 후 상등액을 1~2 μL를 취하여 지방산 분석용 GLC(ACEM 6000 model, Youngin, Korea)에 주입하여 지방산을 분석하였다. 지방산 분석에 사용한 표준용액으로는 미국 supelco 사의 PUFA No. 2, animal source를 이용하였다. 지방산 분석에 사용된 컬럼은 FFAP capillary column(30 m × 0.25 mm I.D., 0.25 μm film thickness)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Carrier gas로는 nitrogen(1 mL/min)을 이용하였으며, Injection port temp. 240 ℃, detector temp. 250 ℃, oven temp. 160℃, split ratio는 10:1로 하였다.
산란계 사료 내 밀웜의 첨가가 난황 내 지방산에 미치는 영향1은 표 5와 같다.
항목 | 밀웜 (%) | 표준 오차2 | 유의성 검정3 | |||||
비교예 1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선형 | 이차 | |||
포화 지방산 (SFA) | 미리스트산 (C14:0) | 0.43 | 0.47 | 0.45 | 0.47 | 0.01 | 0.084 | 0.597 |
팔미트산 (C16:0) | 25.90 | 26.46 | 26.05 | 26.55 | 0.20 | 0.106 | 0.856 | |
스테아르산 (C18:0) | 9.87 | 8.42 | 9.72 | 9.20 | 0.22 | 0.490 | 0.052 | |
단일 불포화 지방산 (MUFA) |
팔미톨레산 (C16:1c) | 2.85b | 3.16b | 3.60ab | 4.39a | 0.28 | 0.001 | 0.415 |
올레산 (C18:1c9) | 43.96b | 44.89ab | 44.93ab | 45.85a | 0.38 | 0.003 | 0.994 | |
고도 불포화 지방산 (PUFA) |
리놀레산 (C18:2n-6) | 13.26b | 14.12a | 14.37a | 14.31a | 0.35 | 0.044 | 0.209 |
α-리놀렌산 (C18:3n-3) | 0.40b | 0.50a | 0.54a | 0.43b | 0.04 | 0.445 | 0.021 | |
Σ포화지방산 | 36.20 | 35.36 | 36.22 | 36.22 | 0.25 | 0.419 | 0.113 | |
Σ단일불포화지방산 | 48.98 | 49.27 | 48.20 | 49.01 | 0.49 | 0.663 | 0.603 | |
Σ고도불포화지방산 | 13.66b | 14.62a | 14.91a | 14.75a | 0.36 | 0.037 | 0.130 | |
1데이터는 처리구 당 6 반복을 근거로 한 평균을 나타냄. 2평균의 표준오차. 3 밀웜(갈색 거저리 유충) 첨가수준 증가의 선형 및 2차 효과 (0, 1, 2 및 3%). a,b동일 열의 다른 첨자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음 (p<0.05) |
표 5를 참조 하면, 심혈관계 건강에 이로운 불포화지방산 중 혈압 강하에 도움을 주는 팔미톨레산, 리놀레산 및 올레산은 사료 내 밀웜의 첨가 수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특히 알파 리놀렌산의 경우 밀웜의 1~2% 첨가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p<0.05), 알파-리놀렌산은 오메가 3 지방산으로서 알츠하이머(노인성 치매)를 유발하는 유해 단백질인 베타 아밀로이드의 뇌 축적을 억제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혈액속의 콜레스테롤을 저하시켜 주는 기능이 있으며 (Illingworth 와 Ullman, 1990), 심장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춰주는 기능 이외에 고혈압(Henneknes 등, 1990)과 여러 가지 암의 예방과 치료에도 효과적이라고 보고되고 있다(Reddy, 1993). 또한 밀웜에 함유된 지방산은 불포화 지방산으로 본 시험에서도 난황 내 고도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무첨가구 대비 첨가구에서 약 7.45% 정도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산란계 사료 내 밀웜의 첨가는 난황 내 불포화지방산의 증가로 고품질 계란 생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2. 난황 내 아미노산 분석
난황의 아미노산을 분석하기 위해 200 mg의 균질화된 난황을 유리튜브에 담고, 6N HCl 15ml를 넣은 후 115℃에서 24시간 동안 가수분해 하였다. 가수 분해물은 watman no.2를 이용하여 필터링 후 250 ml volumetric flask에 옮겨 담고 증류수를 이용해 250 ml로 채웠다. 그리고, 희석된 용액은 다시 0.25um 내산성 필터를 이용해 필터링 하여 아미노산 분석에 이용하였다. 아미노산 분석은 AccQ·TagTMKit (186003836, Waters, USA)를 이용하여, Fluorescence detector (F-10Axl, Shimadzu, Japan)이 달린 HPLC (DGU-20A3, Shimadzu, Japan)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그리고, 산란계 사료 내 밀웜의 첨가가 난황 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표 6에 나타내었다.
항목 | 밀웜 (%) | 표준 오차 | 유의성 검정 | |||||
비교예 1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선형 | 이차 | |||
필수 아미노산 (%) |
아르지닌 | 0.10 | 0.09 | 0.10 | 0.07 | 0.02 | 0.361 | 0.439 |
히스티딘 | 1.36b | 1.61a | 1.67a | 1.72a | 0.22 | 0.002 | 0.618 | |
이소류신 | 0.05 | 0.05 | 0.05 | 0.04 | 0.01 | 0.358 | 0.422 | |
류신 | 0.13 | 0.13 | 0.14 | 0.09 | 0.02 | 0.335 | 0.387 | |
라이신 | 0.21 | 0.20 | 0.24 | 0.15 | 0.05 | 0.468 | 0.338 | |
메티오닌 | 0.04 | 0.03 | 0.03 | 0.02 | 0.01 | 0.231 | 0.406 | |
페닐알라닌 | 0.05 | 0.05 | 0.05 | 0.04 | 0.01 | 0.231 | 0.406 | |
트레오닌 | 0.17 | 0.16 | 0.17 | 0.13 | 0.03 | 0.382 | 0.502 | |
발린 | 0.10 | 0.10 | 0.12 | 0.08 | 0.02 | 0.421 | 0.443 | |
비필수 아미노산 (%) |
아스파르트산 | 0.20 | 0.18 | 0.22 | 0.17 | 0.03 | 0.774 | 0.614 |
시스테인 | 0.24 | 0.16 | 0.22 | 0.11 | 0.04 | 0.105 | 0.811 | |
글루탐산 | 0.15 | 0.15 | 0.16 | 0.13 | 0.02 | 0.719 | 0.446 | |
글라이신 | 0.02 | 0.01 | 0.02 | 0.01 | 0.01 | 0.474 | 0.686 | |
프롤린 | 0.03 | 0.03 | 0.03 | 0.02 | 0.01 | 0.181 | 0.434 | |
세린 | 0.22 | 0.21 | 0.23 | 0.14 | 0.04 | 0.252 | 0.383 | |
티로신 | 0.06 | 0.07 | 0.08 | 0.06 | 0.01 | 0.811 | 0.179 | |
1데이터는 처리구 당 6 반복을 근거로 한 평균을 나타냄. 2평균의 표준오차. 3 밀웜(갈색 거저리 유충) 첨가수준 증가의 선형 및 2차 효과 (0, 1, 2 및 3%). |
표 6를 참조하면, 이 중 히스티딘은 최근 FAO/WHO/UNU(1985)에서 필수아미노산으로 취급하고 있는데 무첨가구 대비 첨가수준 증가별, 특히 3%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수치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특히, 히스티딘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주요한 아미노산의 하나로서 면역력 증진, 피부질환 예방, 시력저하 개선, 유아성장 촉진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에 본 시험에서도 밀웜의 첨가가 히스티딘과 같은 특정 필수 아미노산의 증가를 나타냄으로서 기능적 계란의 생산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4. 혈액 성상 및 IL-2, 4, 10
사양시험 개시 후 28일과 56일에 반복 당 1수식 선별하여, wing vein에서 EDTA가 처리된 진공 채혈관(vacutainer)과 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채혈관에 각각 5 mL씩 담고 EDTA에 수집한 혈액은 24시간 안에 혈구 분석기(HEMAVET, Drew Scientific Inc., Oxford, CT)를 이용하여 백혈구(white blood cell), 적혈구(red blood cell), 헤모글로빈(hemoglobin), 헤마토크리트(hematocrit), 림프구(lymphocytes), 단핵구(monocytes)을 측정하였고, 나머지 혈액은 원심분리기에서 1,5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 후 혈장을 분리하여, 인터류킨-2와 인터류킨-4 ELISA kit를 이용하여 Standard 및 sample 을 100 uL씩 well에 넣어준 뒤, cover를 덮고 37℃에서 2시간 incubation 하였다. Standard 및 sample을 제거한 뒤, washing 하지 않고, Biotin-antibody (1x)를 100 uL씩 넣어준 뒤, 새 cover를 덮고 37℃에서 1시간 incubation한 다음 처리된 solution을 제거한 뒤, wash buffer를 200 uL씩 well에 넣어준 뒤 총 3번 washing 하였다. 그 다음 HRP-avidin (1x)를 100 uL씩 넣어준 뒤, 새 cover를 덮고 37℃에서 1시간 incubation 한 뒤 처리된 solution을 제거하고, wash buffer를 200 uL씩 well에 넣어준 뒤 총 5번 washing 하였다. TMB Substrate를 90 uL씩 넣어준 뒤, 새 cover를 덮고 37℃에서 15-30분 동안 incubation 한 다음 Stop solution을 50 uL씩 넣어준 뒤,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인터류킨-10은 Standard 및 sample 을 50 uL씩 well에 넣어준 뒤 HRP-conjugate와 Antibody를 각 50 uL씩 넣어주고 37℃에서 1시간 incubation 하였다. 처리된 solution을 제거한 뒤 wash buffer를 200 uL씩 well에 넣어준 뒤 총 3번 washing 한 다음 Substrate A와 substrate B를 각 50 uL씩 넣어준 뒤, well을 잘 섞어주고 37℃에서 15분 동안 incubation 하였다. 마지막으로 Stop solution을 50 uL씩 넣어주고 45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산란계 사료 내 밀웜의 첨가가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을 표 7과 표 8에 나타내었다.
먼저, 표 7은 산란계 사료 내 밀웜의 첨가가 혈액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표이다.
항목 | 밀웜 (%) | 표준 오차2 | 유의성 검정3 | |||||
비교예 1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선형 | 이차 | |||
4주차 | 백혈구 (103/ul) | 36.23 | 32.82 | 35.68 | 32.36 | 2.10 | 0.363 | 0.982 |
적혈구 (106/ul) | 2.88 | 2.60 | 2.74 | 2.60 | 0.09 | 0.103 | 0.407 | |
헤모글로빈 (g/dL) | 8.88 | 8.67 | 8.87 | 8.68 | 0.27 | 0.745 | 0.952 | |
헤마토크리트 (%) | 35.95 | 33.62 | 34.83 | 33.45 | 0.97 | 0.165 | 0.631 | |
림프구 (%) | 94.48 | 91.40 | 91.38 | 91.42 | 1.24 | 0.113 | 0.224 | |
단핵구 (%) | 0.17 | 0.20 | 0.17 | 0.12 | 0.04 | 0.296 | 0.288 | |
8주차 | 백혈구 (103/ul) | 31.60 | 36.14 | 29.56 | 34.88 | 2.11 | 0.734 | 0.856 |
적혈구 (106/ul) | 2.54 | 2.57 | 2.44 | 2.50 | 0.09 | 0.510 | 0.849 | |
헤모글로빈 (g/dL) | 8.33 | 8.62 | 8.23 | 8.15 | 0.36 | 0.571 | 0.618 | |
헤마토크리트 (%) | 33.22 | 34.15 | 32.80 | 33.07 | 1.09 | 0.716 | 0.763 | |
림프구 (%) | 92.68 | 94.70 | 91.27 | 93.58 | 1.37 | 0.906 | 0.914 | |
단핵구 (%) | 0.27 | 0.20 | 0.15 | 0.20 | 0.06 | 0.371 | 0.351 | |
1데이터는 처리구 당 6 반복을 근거로 한 평균을 나타냄. 2평균의 표준오차. 3 밀웜(갈색 거저리 유충) 첨가수준 증가의 선형 및 2차 효과 (0, 1, 2 및 3%). |
표 8은 산란계 사료 내 밀웜의 첨가가 혈액 내 사이토카인(cytokine, pg/ml)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표이다.
항목 | 밀웜 (%) | 표준 오차2 | 유의성 검정3 | |||||
비교예 1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선형 | 이차 | |||
4주차 | 인터류킨-2 | 0.12 | 0.11 | 0.12 | 0.11 | 0.01 | 0.580 | 0.870 |
인터류킨-4 | 0.13a | 0.11b | 0.10bc | 0.09c | 0.01 | 0.031 | 0.531 | |
인터류킨-10 | 1.24 | 1.04 | 1.09 | 1.12 | 0.19 | 0.715 | 0.523 | |
8주차 | 인터류킨-2 | 0.27a | 0.22b | 0.20b | 0.21b | 0.01 | 0.021 | 0.054 |
인터류킨-4 | 0.14 | 0.11 | 0.13 | 0.11 | 0.02 | 0.438 | 0.936 | |
인터류킨-10 | 1.18 | 1.02 | 1.03 | 1.03 | 0.11 | 0.385 | 0.477 | |
1데이터는 처리구 당 6 반복을 근거로 한 평균을 나타냄. 2평균의 표준오차. 3 밀웜(갈색 거저리 유충) 첨가수준 증가의 선형 및 2차 효과 (0, 1, 2 및 3%) a,b,c동일 열의 다른 첨자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음 (p<0.05). |
표 7, 8을 참조하면, 백혈구, 적혈구 림프구 및 단핵구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p>0.05), 무첨가구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신체 면역력의 증강이 질병방어 체계를 더욱 활성화시켜 외부물질에 대한 방어기능을 수행하는 백혈구 및 백혈구계의 활동성을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백혈구계 세포 중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림프구(lymphocyte)와 이를 보조하여 세균이나 진균 감염에 대한 방어기능을 하는 단핵구(monocyte)에서도 밀웜 급여에 따라 무첨가구 대비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IgE 등 면역글로블린 생산 촉진 기능이 있는 인터류킨-4는 전기 구간에서 밀웜의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후기에서도 무첨가구에 비해 갈색저거리 첨가구에서 면역세포 활성 기능이 있는 인터류킨-2가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편, 사이토카인 중에서 친염증 사이토카인은 감염부위에 면역세포 작용을 활성화시키는 유전자로서 인터류킨1-β, 인터류킨-6, 인터류킨-12, 인터류킨-18, TNF-α, IFN-γ 등이 존재한다. iNOS는 산화질소(NO)를 생산하는데 여러 원인에 의해 과다 생성 시 면역세포에서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ubstance)를 발생시켜 친염증 사이토카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세포를 손상시킨다. 이러한 면역반응 과정에서 염증발생 기전은 활성산소와 지질 과산화 작용에 따른 산화 스트레스가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로서 알려져 있다. 따라서 polyphenol 화합물이 다량 함유된 밀웜을 산란계에게 급여할 경우,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여 친염증 사이토카인 유전자 등과 같은 면역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 갈색저거리의 급여 시 항산화작용에 의해 친염증 사이토카인에 영향을 미쳐 전기에는 적응성 면역작용, 후기에는 질병방어 기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무첨가구 대비 첨가구에서 질병에 대한 방어기작이 항목별 낮은 수치를 나타냄으로서 상대적으로 건강한 산란계의 사육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험예 5. 분 중 가스발생량
분내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처리당 6수씩 신선한 계분을 1일간 곤충의 침입을 배제한 상태에서 채취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500 ml 유리용기에 70g씩 담아 호기적으로 보관한 후 암모니아(NH3)와 황하수소(H2S) 농도 측정은 Chaney 와 Marbach(1962)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그리고, 산란계 내 밀웜의 첨가가 유해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1을 표 9에 나타내었다.
항목 | 밀웜 (%) | 표준 오차2 | 유의성 검정3 | ||||
비교예 1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선형 | 이차 | ||
암모니아 | 22.17 | 20.83 | 21.17 | 21.50 | 0.70 | 0.598 | 0.245 |
황화수소 | 2.53 | 2.50 | 2.38 | 2.17 | 0.32 | 0.404 | 0.960 |
1데이터는 처리구 당 6 반복을 근거로 한 평균을 나타냄. 2평균의 표준오차. 3 밀웜(갈색 거저리 유충) 첨가수준 증가의 선형 및 2차 효과 (0, 1, 2 및 3%). |
도 9를 참조하면, 분 중 유해가스인 암모니아와 황화수소 발생량의 경우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p>0.05) 수치상으로 1~2% 첨가수준 정도에서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에 비하여 동물성 단백질 공급원인 밀웜의 급여가 소화율을 높여 가스발생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6. 통계분석
SAS(SAS Inst., Inc., Cary, NC, US) 프로그램의 GLM(general linear model) 절차를 이용하여 밀웜의 첨가수준에 대한 Linear 와 Quadratic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밀웜의 일반성분 분석 및 아미노산 함량을 아래의 표 10에 나타내었다.
일반성분분석 (%) | 영양소 함량 |
건물 | 93.4 |
조단백질 | 73.61 |
조지방 | 4.37 |
조섬유 | 1.16 |
조회분 | 6.49 |
아미노산분석 (%) | 영양소 함량 |
아르지닌 | 4.60 |
히스티딘 | 1.07 |
이소류신 | 1.99 |
류신 | 5.29 |
라이신 | 4.28 |
메티오닌 | 1.65 |
페닐알라닌 | 2.66 |
트레오닌 | 2.55 |
발린 | 3.73 |
시스테인 | 2.55 |
글루탐산 | 9.51 |
글라이신 | 4.29 |
프롤린 | 4.48 |
세린 | 4.33 |
아스파르트산 | 4.76 |
타이로신 | 1.85 |
결론적으로 곤충인 밀웜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며, 특히 1~3 중량% 첨가수준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Claims (7)
- 사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 % 범위의 밀웜(mealworm) 및 17.51 내지 19.19 중량 % 범위의 대두박을 포함하며,
하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만족하는 산란계 사료 조성물:
[수학식 1]
;
[수학식 2]
수학식 1에서,
M 은 상기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밀웜의 중량 % 를 나타내고,
S 는 상기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대두박의 중량 % 를 나타내며,
수학식 2에서,
D0 은 밀웜을 포함하지 않는 사료 조성물을 산란계에 8 주간 급여하였을 때의 일일산란수 % 를 나타내고,
D1 은 사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 % 범위의 밀웜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산란계에 8 주간 급여하였을 때의 일일산란수 % 를 나타낸다.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웜은 수분 함량 15 % 이하로 건조한 분쇄된 분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란계 사료 조성물.
- 삭제
- 제1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산란계 사료 조성물을 산란계에게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란계 사육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9948A KR102303298B1 (ko) | 2018-11-28 | 2018-11-28 | 밀웜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9948A KR102303298B1 (ko) | 2018-11-28 | 2018-11-28 | 밀웜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3793A KR20200063793A (ko) | 2020-06-05 |
KR102303298B1 true KR102303298B1 (ko) | 2021-09-23 |
Family
ID=71089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9948A KR102303298B1 (ko) | 2018-11-28 | 2018-11-28 | 밀웜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329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8176B1 (ko) | 2022-10-07 | 2023-02-10 | 이동훈 | 유용미생물과 밀웜을 활용한 어류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KR20230080225A (ko) | 2021-11-29 | 2023-06-07 | 농업회사법인 착한농부(주) | 밀웜 분변토를 주재로 하는 친환경 유기질 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9825B1 (ko) * | 2020-12-16 | 2023-04-10 | 한경국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육량 및 풍미 강화용 한우 비육 말기 사료 조성물 |
KR102318256B1 (ko) * | 2021-05-20 | 2021-10-27 | 농업회사법인 가온 주식회사 | 효율이 향상된 키토산 사료 조성물 및 이를 통한 친환경 농법 |
KR102552826B1 (ko) * | 2022-09-07 | 2023-07-07 | 대한민국 | 새우류 생산성 및 면역력 개선을 위한 곤충원료 사료조성물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703173A (zh) | 2009-11-30 | 2010-05-12 | 长治市天和牧业发展有限公司 | 一种鸡饲料 |
WO2017125596A1 (en) | 2016-01-21 | 2017-07-27 | Hatchtech Group B.V. | Method of feeding hatched chicks in a climate chamber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8622B1 (ko) * | 2004-02-03 | 2006-01-31 | 주식회사 메디라바텍 | 계란의 생산방법 |
KR100679153B1 (ko) | 2004-08-26 | 2007-02-05 | 진주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 반추동물의 메탄 생성량을 억제하기 위한 사료조성물 |
KR100912468B1 (ko) * | 2008-01-14 | 2009-08-14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대두발효복합사료 및 그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계란및 육류 |
KR101076686B1 (ko) * | 2009-04-09 | 2011-10-26 | 그린테코 주식회사 |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사료 |
KR20110054692A (ko) * | 2009-11-18 | 2011-05-25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갈색거저리를 함유한 사료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 |
US8944007B2 (en) * | 2012-04-25 | 2015-02-03 | Zoo Med Laboratories, Inc. | Mealworm feeder |
KR20160135937A (ko) * | 2015-05-19 | 2016-11-29 |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거저리과 곤충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동물의 성장을 촉진하고 면역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
KR20170014448A (ko) * | 2015-07-30 | 2017-02-08 | (주) 에이티바이오 | 곤충을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
KR20190035977A (ko) * | 2017-09-25 | 2019-04-04 |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 유충으로부터의 추출액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액 |
KR101936816B1 (ko) * | 2017-09-29 | 2019-01-09 | 김종주 | 감귤박 또는 감귤피를 함유하는 곤충 사료용 조성물로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
-
2018
- 2018-11-28 KR KR1020180149948A patent/KR10230329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703173A (zh) | 2009-11-30 | 2010-05-12 | 长治市天和牧业发展有限公司 | 一种鸡饲料 |
WO2017125596A1 (en) | 2016-01-21 | 2017-07-27 | Hatchtech Group B.V. | Method of feeding hatched chicks in a climate chamb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0225A (ko) | 2021-11-29 | 2023-06-07 | 농업회사법인 착한농부(주) | 밀웜 분변토를 주재로 하는 친환경 유기질 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2498176B1 (ko) | 2022-10-07 | 2023-02-10 | 이동훈 | 유용미생물과 밀웜을 활용한 어류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3793A (ko) | 2020-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03298B1 (ko) | 밀웜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 | |
Alfiko et al. | Insects as a feed ingredient for fish culture: Status and trends | |
Zaheer | An updated review on chicken eggs: production, consumption, management aspects and nutritional benefits to human health | |
Elahi et al. | Insect meal as a feed ingredient for poultry | |
Zhu et al. | Effect of in ovo feeding of vitamin C on antioxidation and immune function of broiler chickens | |
Biswas et al. | Dietary protein and lipid requirements for the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juvenile | |
Hašèík et al. | Impact of bee pollen as feed supplements on the body weight of broiler Ross 308 | |
Zhu et al. | Effects of in ovo feeding of vitamin C on post-hatch performance, immune status and DNA methylation-related gene expression in broiler chickens | |
Santizo-Taan et al. | Enriched Ulva pertusa as partial replacement of the combined fish and soybean meals in juvenile abalone Haliotis asinina (Linnaeus) diet | |
EP3378328B1 (en) | Use of animal nutrition fortifying agent | |
Ahmed et al. | A Review of Black Soldier Fly () as a Potential Alternative Protein Source in Broiler Diets | |
Joshua et al. | Development of enriched Artemia and Moina in larviculture of fish and crustaceans: a review | |
Khan et al. |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mealworm scales (Tenebrio molitor)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histomorphology of Japanese quails | |
Arthur | Duck eggs | |
Koutsos et al. | The role of insects for poultry feed: present and future perspective | |
Nieto et al. | Use of Acheta domesticus meal as a full soybean substitute in the feeding of slow-growing chicks | |
Fayed et al. | Water quality change, growth performance, health status in response to dietary inclusion of black soldier fly larvae meal in the diet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 |
James et al. | Effect of animal and plant protein diets on growth and fecundity in ornamental fish, Betta splendens (Regan) | |
Raju et al. | Source variation in nutrient profile and the effects of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larva meal at graded levels in diet on performance, carcass traits, serum biochemical profile and cellular immune response in broiler chicken | |
Japhet et al. | Effect of Vernonia amygdalina leaf extract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of pullet and broiler birds | |
Hossain et al. |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A Proteinous Substitution of Soybean and Fish Meal for Broiler and Layer Chicken: A Review | |
Ahmed et al. | Influence of replacement of fish meal with the earthworm Eisenia fetida on growth performance, feed utilization and blood parameters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 |
Novriadi et al. |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as an Alternative to Marine Ingredients Elicits Superior Growth Performance and Resistance to Vibrio harveyi Infection for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 |
Ward | Effects of extended-rotifers inclusion and live food-enrichment with probiotics on the survival, metamorphosis, development time and growth of mud crab, Scylla paramamosain (Estampador) larvae | |
Kpogue et al. | Optimal feeding frequency for African sneakhead fish (Parachanna obscura, Gunther, 1861) fingerlings reared in captiv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