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096B1 - 배터리 소화용 매트 및 배터리 소화용 매트가 구비된 배터리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소화용 매트 및 배터리 소화용 매트가 구비된 배터리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096B1
KR102303096B1 KR1020210009465A KR20210009465A KR102303096B1 KR 102303096 B1 KR102303096 B1 KR 102303096B1 KR 1020210009465 A KR1020210009465 A KR 1020210009465A KR 20210009465 A KR20210009465 A KR 20210009465A KR 102303096 B1 KR102303096 B1 KR 102303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agent
battery
fire
inn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덕우
오경민
이현균
박정호
조해원
김문형
신건섭
Original Assignee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9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14Powders;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B65D90/325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due to explosion, e.g. inside the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의 배터리 소화용 매트는 고온의 열에 견딜 수 있는 난연재질로 형성되고 하면에 소화약제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밀봉된 형태로 장착되고 일정 온도의 열이 가해지면 녹는 내부부재와, 상기 내부부재에 충진되고 분말유리를 발포하여 알갱이 형태로 제조되는 소화약재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약제는 입자 사이즈가 1~4mm인 제1소화약제와, 입자 사이즈가 0.1~0.3mm인 제2소화약제가 체적비 7:3으로 혼합되도록 제조되어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가 발생된 배터리만 덮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소화용 매트 및 배터리 소화용 매트가 구비된 배터리 보관장치{FIRE EXTINGUISHING MATS FOR BATTERY AND BATTERY STORAGE TRA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배터리에 화재 진압용 매트를 덮어 배터리 화재를 소화하고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터리 화재 진압용 매트 및 화재 진압용 매트가 구비된 배터리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배터리는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장치, 비상전력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내부의 다양한 화학반응 등에 의해 차체 발열될 수 있고,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 등에 의해 손상을 입을 경우 배터리 내부에서 단락이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될 수 있어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이를 진압하기 위한 다양한 소화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리튬 배터리용 소화팩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125884(2020년 11월 05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밀폐상자팩에 소화약제를 담아두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고, 밀폐상자팩의 각 면에는 다수의 구멍이 구비되어 있고, 이 구멍은 평소에는 가연성시트로 막혀 있으며 화재시에 이 가연성시트가 고온에 의해 용해되어 밀폐상자팩이 발화되기 전에 소화약제가 구멍을 통해 주변으로 쏟아지는 구조로서 리튬배터리 화재시 그 불꽃이나 열기로 가연성시트가 녹아 밀폐상자팩의 소화약제가 주변으로 쏟아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리튬 배터리용 소화팩은 리튬이온 배터리를 감싸도록 보관하는 밀폐상자팩이 필요하고 밀폐상자팩 내부에 소화약제가 구비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기존의 배터리를 보관하는 보관장치나 에너지 저장장치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125884(2020년 11월 05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가 보관되어 있는 곳에 구비하고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가 발생된 배터리만 덮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배터리를 소화하는 배터리 소화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가 보관되어 있는 보관장치에 배터리 소화용 매트를 설치하여 배터리 화재시 배터리 소화용 매트가 자동으로 배터리를 덮어 화재를 진압하는 배터리 소화용 매트가 구비된 배터리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 소화용 매트는 고온의 열에 견딜 수 있는 난연재질로 형성되고 하면에 소화약제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밀봉된 형태로 장착되고 일정 온도의 열이 가해지면 녹는 내부부재와, 상기 내부부재에 충진되고 분말유리를 발포하여 알갱이 형태로 제조되는 소화약재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약제는 입자 사이즈가 1~4mm인 제1소화약제와, 입자 사이즈가 0.1~0.3mm인 제2소화약제가 체적비 7:3으로 혼합된다.
상기 커버부재는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유리 섬유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화약제는 폐유리를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만들고 분말 유리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하여 일정 사이즈의 알갱이 형태로 제조되는 다공성 유리과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부재는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녹을 수 있는 섬유 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커버부재의 내면에 수평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내부부재는 커버부재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1내부부재와, 제1내부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내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내부부재에는 제1인산암모늄 및 석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화분말 형태인 제1소화약제가 충진되고, 제2내부부재에는 분말유리를 발포하여 제조되는 알갱이 형태의 제2소화약재가 충진되어, 배터리 화재 발생시 배터리에 먼저 제1소화약제가 배터리에 감싸지면서 1차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고, 이후 제2소화약제가 배터리에 감싸지면서 2차 화재 진압이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부재는 외부부재의 내부에 밀봉된 형태로 장착되고 일정 온도의 열이 가해지면 녹으며, 제1소화약제가 충진되는 제1내부부재와, 상기 제1내부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2소화약제가 충진되는 제2내부부재와, 상기 제2내부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3소화약제가 충진되는 제3내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소화약제는 제1인산암모늄 및 석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화분말이고, 제2소화약제는 분말유리를 발포하여 알갱이 형태로 제조되고 입자 사이즈가 0.1~0.3mm이며, 제3소화약제는 입자 사이즈가 1~4mm이고 분말유리를 발포하여 알갱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터리 소화용 매트는 배터리가 보관되어 있는 곳에 구비되고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가 발생된 배터리만 덮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배터리를 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보관장치는 배터리가 보관되어 있는 보관장치에 배터리 소화용 매트를 설치하여 배터리 화재시 배터리 소화용 매트가 자동으로 배터리를 덮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화용 매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화용 매트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화용 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화용 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화용 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화용 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화용 매트가 구비된 배터리 보관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화용 매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화용 매트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화용 매트의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화용 매트(10)는 고온의 열에 견딜 수 있는 난연재질로 형성되는 커버부재(20)와, 커버부재(20)의 내부에 밀봉된 형태로 장착되고 일정온도의 열이 가해지면 제거되는 내부부재(30)와, 내부부재(30)에 충진되는 알갱이 형태의 소화약재(4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 소화용 매트(10)는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될 때 배터리를 덮을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되고, 커버부재(20)는 배터리를 덮어줄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하고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난연성 섬유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재(20)는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탄소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재(20)는 직사각형 형태, 원형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면부(24)와, 상면부(24)의 가장자리에서 연결되는 측면부(26)와, 측면부(26)의 하면에 연결되는 하면부(28)로 구성되어 내부부재(30)가 삽입되는 충분한 공간을 갖는다. 그리고, 하면부(26)에는 소화약재(40)가 배출되는 배출구(22)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배출구(22)의 형태 및 사이즈는 배터리의 사이즈 및 배터리의 높이, 형태 등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면부재(30)는 커버부재(20)의 내면에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내면부재(30)는 일 예로, 하나의 커버부재(20) 내부에 커버부재(20)의 수평방향으로 제1내면부재(32), 제2내면부재(34), 제3내면부재(36) 및 제4내면부재(38)가 서로 접촉된 상태로 배열되고, 각 내면부재의 내부에는 알갱이 형태의 소화약제(40)가 충진된다.
소화약제(40)는 폐유리를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만든 후 분말 형태의 폐유리를 발포하여 일정 사이즈를 갖는 과립 형태의 알갱이 소화약제를 제조한다. 이때, 폐유리는 폐차에서 발생되는 폐차 유리가 사용될 수 있고, 일반적인 폐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소화약제(40)는 SiO2 70~75%, Na2O 10~15%, CaO 7~11%, Al2O3 0.5~5%, MgO 1~5%, K2O 1~4% 혼합된 조성물로 구성된다.
그리고 소화약제(40)는 무게가 가볍고, 비중이 작기 때문에 취급, 운송 및 보관이 용이하고 수분, 열, 부식 및 유기 용제 등의 외부 환경요인에 강하다.
소화약제(40)는 불연성이고,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며, 환경 친화적이고, 화재 진압후 쉽게 제거될 수 있고, 용융되지 않은 소화부재는 재사용이 가능하다.
소화약제(40)는 비독성이고, 섬유용제에 무반응이며, 무취 비알레그리성이고, 방사선학적으로 무해하여 사용시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소화약제(40)의 입자크기는 1~4mm이고, 구형이면서 복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배터리에서 유출되는 전해액을 흡수할 수 있어 전해액 유출에 따른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소화약제(40)의 체적밀도(Bulk density)는 240±30 kg/m3 이다.
소화약제(40)는 입자 사이즈가 1~4mm인 소화약제와, 입자 사이즈가 0.1~0.3mm인 소화약제를 혼합하여 동일 공간에 최대로 많은 소화약제가 충진되도록 하고 소화약제가 배터리를 감쌀 때 배터리의 외면에 빈공간이 없이 촘촘하게 감싸도록 하여 소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입자 사이즈가 1~4mm인 소화약제와, 입자 사이즈가 0.1~0.3mm인 소화약제의 체적비는 7:3으로 하면 배터리를 감싸는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실시예에 배터리 소화용 매트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가 발생되 배터리에 소화용 매트(10)를 덮는다. 이때, 소화용 매트(10)는 자동으로 덮일 수 있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덮을 수 있다.
그러면 내부부재(30)가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녹으면서 내부부재(30)에 충진된 소화약제(40)가 내부부재(30)의 외부로 배출되고, 이때 커버부재(20)의 배출구(22)를 통해 소화약제(40)가 배출되어 배터리의 외면을 감싸게 된다.
이때, 배터리 화재 특성상 배터리에서 여러번 폭발이 발생되면서 일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타게 되는데, 이때 최초에 배터리의 외면에 접촉된 소화약제(40)가 배터리의 열에 의해 용융되어 배터리 외면에 감싸게 되어 배터리 내부로의 산소전달을 차단하는 질식효과를 발휘하고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막는다.
그리고 배터리의 화재 시간이 길어지면 복수의 내부부재 중 중앙에 위치된 제2내부부재(34) 및 제3내부부재(36)에 충진된 소화약제(40)가 배터리를 먼저 감싸고 배터리에서 녹아내리면 가장자리에 위치된 제1내부부재(32) 및 제4내부부재(38)에 충진된 소화약제(40)가 다시 배터리를 감싸면서 배터리의 화재가 최대한 외부로 번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커버부재(20)는 탄소 섬유로 형성되므로 배터리의 열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 커버부재(20)가 열에 의해 변형되거나 타지 않아 배터리의 화재가 외부로 번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소화약제는 입자 사이즈가 1~4mm인 소화약제와, 입자 사이즈가 0.1~0.3mm인 소화약제가 체적비 7:3으로 혼합되어 동일한 공간에 최대의 소화약재가 충진될 수 있어 소화성능을 향상시키고 배터리의 외면에 소화약제가 접촉될 때 배터리 외면에 빈 공간이 없이 소화약제가 접촉될 수 있어 그만큼 소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화용 매트의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화용 매트는 배터리 화재시 발생되는 열에 견딜 수 있는 난연재질로 형성되는 커버부재(20)와, 커버부재(20)의 내부에 밀봉된 형태로 장착되고 분말 형태의 제1소화약재(42)가 충진되는 제1내부부재(62)와, 제1내부부재(62)의 상면에 배치되고 알갱이 형태의 제2소화약재(44)가 충진되는 제2내부부재(64)를 포함한다.
커버부재(2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커버부재(20)와 동일하고 하면에 소화약제(40)가 배출되는 배출구(22)가 형성된다.
제1소화약제(42)는 분말 형태이고 주성분이 제1인산암모늄 및 석분으로 구성되어 배터리의 외면에 감싸지면서 냉각소화 효과, 질식효과, 방진효과 및 열방사 차단효과를 발생한다. 그리고 제2소화약제(44)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소화약제(40)와 동일한 분말 형태의 폐유리를 발포하여 일정 사이즈를 갖는 과립 형태의 알갱이 소화약제가 사용된다.
커버부재(20)의 내부 하측에는 복수의 제1내부부재(62)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내부부재(62)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제2내부부재(64)가 배치된다.
따라서, 소화용 매트(10)를 배터리에 덮으면 제1내부부재(62)가 먼저 터지면서 제1소화약제(42)가 배터리의 외면에 감싸지고, 이어서 제2내부부재(64)가 터지면서 제2소화약제(44)가 배출되어 제1소화약제(42)에 감싸지게 되어 배터리 소화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화용 매트는 제1소화약제(42)와 제2소화약제(44)의 성분이 다르기 때문에 분말 형태인 제1소화약제(42)가 먼저 배터리의 외면을 감싸면서 1차 냉각소화 및 질식 소화작용을 수행하면서 초기 화재를 진압하고, 이어서 알갱이 형태의 제2소화약제(44)가 배터리의 외면에 2차로 감싸지면 제2소화약제가 용융되면서 배터리의 외면에 감싸지면서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2차 질식소화 작용을 수행하여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므로 화재 진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화용 매트의 단면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화용 매트는 배터리 화재시 발생되는 열에 견딜 수 있는 난연재질로 형성되는 커버부재(20)와, 커버부재(20)의 내부에 밀봉된 형태로 장착되고 분말 형태의 1차 소화약재(82)가 충진되는 제1내부부재(72)와, 알갱이 형태이고, 입자 사이즈가 0.1~0.3mm인 알갱이 형태의 2차 소화약제(84)가 충진되는 제2내부부재(74)와, 알갱이 형태이고, 입자 사이즈가 1~4mm인 3차 소화약제(86)가 충진되는 제3내부부재를 포함한다.
커버부재의 내면에는 하측에 복수의 제1내부부재(72)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내부부재(72)의 상면에 복수의 제2내부부재(74)가 적층되고, 제2내부부재(74)의 상면에 복수의 제3내부부재(76)가 적층된다.
커버부재(2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커버부재(20)와 동일한 형태 및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제1내부부재(72), 제2내부부재(74) 및 제3내부부재(76)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내부부재(3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1차 소화약제(82)는 분말 형태이고 주성분이 제1인산암모늄 및 석분으로 구성되고, 2차 소화약제(84) 및 3차 소화약제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소화약제(40)와 동일한 폐유리를 발포하여 일정 사이즈를 갖는 과립 형태의 알갱이 소화약제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에 따른 소화용 매트는 화재가 발생된 배터리에 매트를 덮으면 분말 형태인 1차 소화약제(82)가 먼저 배터리의 외면에 감싸지면서 1차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고, 입자 사이즈가 0.1~0.3mm인 알갱이 형태인 2차 소화약제(84)가 배터리 외면에 감싸지면서 2차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고, 입자 사이즈가 1~4mm의 알갱이 형태인 3차 소화약제(86)가 배터리 외면에 감싸지면서 3차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므로 화재 진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화용 매트의 단면도이다.
제4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화용 매트는 배터리 화재시 발생되는 열에 견딜 수 있는 난연재질로 형성되고 하면에 소화약제가 배출되는 배출구(22)가 형성되는 커버부재(20)와, 커버부재(20)의 배출구(22)에 배치되고 분말 형태의 제1소화약재(200)가 충진되며 배터리의 화재시 열에 의해 제거되는 제1포켓부재(210)와, 커버부재(20)의 내부에 밀봉된 형태로 장착되고 알갱이 형태의 제2소화약재(230)가 충진되며 배터리의 화재시 열에 의해 제거되는 제2포켓부재(240)를 포함한다.
제1소화약제(200)는 분말 형태이고 주성분이 제1인산암모늄 및 석분으로 구성되어 배터리의 외면에 감싸지면서 질식효과, 방진효과 및 열방사 차단효과를 발생한다. 그리고 제2소화약제(23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소화약제(40)와 동일한 분말 형태의 폐유리를 발포하여 일정 사이즈를 갖는 과립 형태의 알갱이 소화약제가 사용된다.
제1포켓부재(210)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재(20)의 하면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배터리 화재시 발생되는 열에 빠르게 제거되기 때문에 제1소화약제(200)가 배터리의 외면에 깜싸지는 시간이 빨라질 수 있어 화재 방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포켓부재(210)가 배출구(22)를 막는 형태로 설치되어 제1소화약제(200)가 모두 커버부재(20)에서 배출되면 커버부재(20)의 배출구(22)가 개방되고 제2소화약제(230)가 커버부재(20)에서 배출되므로 제1소화약제(200)가 먼저 배터리의 외면에 감싸진 후 제2소화약제(230)가 배터리 외면에 감싸지게 되어 소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화용 매트가 설치된 배터리 보관장치의 단면도이다.
배터리 보관장치는 분리부재에 의해 복수의 구역으로 분리되고 각 구역에 배터리(100)가 저장되는 저장소(110)와, 저장소(110)의 상측에 매달린 상태로 배치되는 소화용 매트(10)와, 배터리 화재시 소화용 배트(10)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저장소(110)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배터리가 저장되는 건물일 수 있고, 배터리(100)가 장기적 또는 일시적으로 보관될 수 있는 어떠한 보관소도 적용이 가능하다.
소화용 매트(10)는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소화용 매트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구동장치는 소화용 매트가 저장소의 천정에 매달린 상태로 배치하는 와이어(140)와, 와이어(140)가 감겨지는 풀리부(130)와, 풀리부(13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0)를 포함한다.
저장소(110)의 내부에는 저장소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저장소 내부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온도센서 및 연기 감지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저장소 내부의 온도 및 연기가 설정치 이상일 경우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유닛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배터리 보관장치는 복수의 구역 중 어느 한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가 발생된 구역의 온도센서 및 연기 감지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유닛은 해당 구역의 구동모터(120)를 작동하여 소화용 매트(10)를 배터리에 덮는다. 그러면 위의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소화용 매트가 작용하여 배터리의 화재를 진압하고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배터리 소화용 매트 20: 외부부재
22: 배출구 30: 내부부재
40: 소화약제

Claims (9)

  1. 고온의 열에 견딜 수 있는 난연재질로 형성되고 하면에 소화약제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밀봉된 형태로 장착되고 일정 온도의 열이 가해지면 녹는 내부부재; 및 상기 내부부재에 충진되는 소화약제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부재는 커버부재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1내부부재와, 제1내부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내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내부부재에는 제1인산암모늄 및 석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화분말 형태인 제1소화약제가 충진되고,
    제2내부부재에는 분말유리를 발포하여 제조되는 알갱이 형태이고 설정된 온도에서 용융되어 배터리에 감싸지는 제2소화약제가 충진되고, 상기 제2소화약제는 입자 사이즈가 1~4mm인 소화약제와, 입자 사이즈가 0.1~0.3mm인 소화약제가 체적비 7:3으로 혼합되며,
    배터리 화재 발생시 제1소화약제가 배터리에 감싸지면서 1차 소화작용을 수행하고, 제1소화약제의 투입이 완료된 후 제2소화약제가 배터리에 감싸지면서 2차 소화 작용을 수행하는 배터리 소화용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유리 섬유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부재는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녹을 수 있는 섬유 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배터리 소화용 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화약제는 폐유리를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만들고 분말 유리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하여 일정 사이즈의 알갱이 형태로 제조되는 다공성 유리과립으로 형성되는 배터리 소화용 매트.
  4. 삭제
  5. 고온의 열에 견딜 수 있는 난연재질로 형성되고 하면에 소화약제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밀봉된 형태로 장착되고 일정 온도의 열이 가해지면 녹는 내부부재; 및 상기 내부부재에 충진되는 소화약제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배출구를 막고 커버부재의 하면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제1소화약제가 충진되는 제1포켓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밀봉된 형태로 장착되고 제2소화약제가 충진되는 제2포켓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소화약제는 분말 형태이고 주성분이 제1인산암모늄 및 석분으로 구성되고, 제2소화약제는 분말유리를 발포하여 제조되는 알갱이 형태이고 설정된 온도에서 용융되어 배터리에 감싸지며,
    배터리 화재 발생시 제1소화약제가 배터리에 감싸지면서 1차 소화작용을 수행하고, 제1소화약제의 투입이 완료된 후 제2소화약제가 배터리에 감싸지면서 2차 소화 작용을 수행하는 배터리 소화용 매트.
  6. 고온의 열에 견딜 수 있는 난연재질로 형성되고 하면에 소화약제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밀봉된 형태로 장착되고 일정 온도의 열이 가해지면 녹는 내부부재; 및 상기 내부부재에 충진되는 소화약제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밀봉된 형태로 장착되고 일정 온도의 열이 가해지면 녹으며, 제1소화약제가 충진되는 제1내부부재;
    상기 제1내부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2소화약제가 충진되는 제2내부부재; 및
    상기 제2내부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3소화약제가 충진되는 제3내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소화약제는 제1인산암모늄 및 석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화분말이고, 제2소화약제는 분말유리를 발포하여 알갱이 형태로 제조되고 입자 사이즈가 0.1~0.3mm이며, 제3소화약제는 입자 사이즈가 1~4mm이고 분말유리를 발포하여 알갱이 형태이며,
    배터리 화재 발생시 제1소화약제가 배터리에 감싸지면서 1차 소화작용을 수행하고, 제1소화약제의 투입이 완료된 후 제2소화약제 및 제3소화약제가 순차적으로 배터리에 감싸지면서 2차 소화 작용을 수행하는 배터리 소화용 매트.
  7. 삭제
  8. 분리부재에 의해 복수의 구역으로 분리되고 각 구역에 배터리가 저장되는 저장소; 상기 저장소의 상측에 매달린 상태로 배치되는 소화용 매트; 및 상기 배터리 화재시 소화용 매트가 배터리를 감싸도록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용 매트는 고온의 열에 견딜 수 있는 난연재질로 형성되고 하면에 소화약제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에 밀봉된 형태로 장착되고 일정 온도의 열이 가해지면 녹는 내부부재; 및 상기 내부부재에 충진되는 소화약제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부재는 커버부재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1내부부재와, 제1내부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내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내부부재에는 제1인산암모늄 및 석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화분말 형태인 제1소화약제가 충진되고,
    제2내부부재에는 분말유리를 발포하여 제조되는 알갱이 형태이고 설정된 온도에서 용융되어 배터리에 감싸지는 제2소화약제가 충진되고, 상기 제2소화약제는 입자 사이즈가 1~4mm인 소화약제와, 입자 사이즈가 0.1~0.3mm인 소화약제가 체적비 7:3으로 혼합되며,
    배터리 화재 발생시 제1소화약제가 배터리에 감싸지면서 1차 소화작용을 수행하고, 제1소화약제의 투입이 완료된 후 제2소화약제가 배터리에 감싸지면서 2차 소화작용을 수행하는 배터리 저장장치.
  9. 삭제
KR1020210009465A 2021-01-22 2021-01-22 배터리 소화용 매트 및 배터리 소화용 매트가 구비된 배터리 보관장치 KR102303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465A KR102303096B1 (ko) 2021-01-22 2021-01-22 배터리 소화용 매트 및 배터리 소화용 매트가 구비된 배터리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465A KR102303096B1 (ko) 2021-01-22 2021-01-22 배터리 소화용 매트 및 배터리 소화용 매트가 구비된 배터리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096B1 true KR102303096B1 (ko) 2021-09-16

Family

ID=77926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465A KR102303096B1 (ko) 2021-01-22 2021-01-22 배터리 소화용 매트 및 배터리 소화용 매트가 구비된 배터리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09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9116A (zh) * 2021-11-16 2022-02-18 吉林大学 一种锂离子胶囊电池阻燃封装包的封装方法
CN114597475A (zh) * 2022-03-23 2022-06-07 珠海冠宇动力电池有限公司 一种电池
WO2023080454A1 (ko) * 2021-11-03 2023-05-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CN116169378A (zh) * 2022-12-12 2023-05-26 中碳海巢(北京)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防火锂离子电池
KR102564844B1 (ko) 2023-04-25 2023-08-09 이용권 리튬배터리용 소화물질
WO2024014638A1 (ko) * 2022-07-15 2024-01-18 주식회사 티엘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억제 시트
KR102663803B1 (ko) 2023-01-27 2024-05-07 주식회사 수산씨에스엠 전기차 화재 진압용 물팩이 구비된 컨테이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4267A (ja) * 1993-10-29 1995-05-16 Takenaka Komuten Co Ltd 昇降式消火装置
US20120048577A1 (en) * 2010-08-27 2012-03-01 Gregory Keaton Ball Fire suppression device
US20190314658A1 (en) * 2018-04-17 2019-10-17 Cellblock Fcs, Llc Device for extinguishing a fire
KR20200125884A (ko) 2019-04-28 2020-11-05 이용권 리튬배터리용 소화팩
KR102188110B1 (ko) * 2020-04-10 2020-12-07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해체 시스템용 배터리 보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4267A (ja) * 1993-10-29 1995-05-16 Takenaka Komuten Co Ltd 昇降式消火装置
US20120048577A1 (en) * 2010-08-27 2012-03-01 Gregory Keaton Ball Fire suppression device
US20190314658A1 (en) * 2018-04-17 2019-10-17 Cellblock Fcs, Llc Device for extinguishing a fire
KR20200125884A (ko) 2019-04-28 2020-11-05 이용권 리튬배터리용 소화팩
KR102188110B1 (ko) * 2020-04-10 2020-12-07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해체 시스템용 배터리 보관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454A1 (ko) * 2021-11-03 2023-05-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CN114069116A (zh) * 2021-11-16 2022-02-18 吉林大学 一种锂离子胶囊电池阻燃封装包的封装方法
CN114069116B (zh) * 2021-11-16 2024-02-13 吉林大学 一种锂离子胶囊电池阻燃封装包的封装方法
CN114597475A (zh) * 2022-03-23 2022-06-07 珠海冠宇动力电池有限公司 一种电池
WO2024014638A1 (ko) * 2022-07-15 2024-01-18 주식회사 티엘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억제 시트
CN116169378A (zh) * 2022-12-12 2023-05-26 中碳海巢(北京)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防火锂离子电池
CN116169378B (zh) * 2022-12-12 2024-01-26 中碳海巢(北京)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防火锂离子电池
KR102663803B1 (ko) 2023-01-27 2024-05-07 주식회사 수산씨에스엠 전기차 화재 진압용 물팩이 구비된 컨테이너
KR102564844B1 (ko) 2023-04-25 2023-08-09 이용권 리튬배터리용 소화물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096B1 (ko) 배터리 소화용 매트 및 배터리 소화용 매트가 구비된 배터리 보관장치
KR102662134B1 (ko) 열 폭주 완화 배터리 하우징
KR20170039144A (ko) 갈바닉 셀을 운반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54314B1 (ko) 압축공기포를 이용한 ess 화재 예방 시스템
CN110433419B (zh) 锂电热失控火灾抑制胶囊及锂离子电池
KR102330073B1 (ko) 에너지 저장장치용 소화 시스템
KR102178601B1 (ko) 압축공기포를 이용한 ess 화재 예방 시스템
US11311758B2 (en) Device for extinguishing a fire
KR20160135229A (ko) 전기화학 셀을 운반하는 장치 및 방법
JP5974520B2 (ja) 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モジュール
CN105849933A (zh) 带有热逸溃减缓的便携式电能储存器件
KR102382661B1 (ko) 화재방지 수단이 구비된 배터리팩 커버
US20220016459A1 (en) Aerosol fire suppression materials, systems and methods of implementation
AU2012393961A1 (en) Fire containment case for portable battery operated electronic devices
CN105742728A (zh) 一种锂离子二次电池
AU2021296595B2 (en) Battery systems
KR102485458B1 (ko) 전기 자동차 화재 진압용 소방 트레일러
KR20200120194A (ko) 리튬배터리용소화약제자동공급함
CN108922998A (zh) 一种锂电池的防爆阻燃结构
KR20200125884A (ko) 리튬배터리용 소화팩
JPH04162347A (ja) 電池パック
KR102546165B1 (ko) 이동 가능한 배터리 소화 시스템
US20230344074A1 (en) Apparatus for suppressing a battery fire
CN212118820U (zh) 电池模块及电池柜
CN219545392U (zh) 一种锂电池充电储存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