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034B1 - 결함 제거장치 및 결함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결함 제거장치 및 결함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034B1
KR102303034B1 KR1020200101941A KR20200101941A KR102303034B1 KR 102303034 B1 KR102303034 B1 KR 102303034B1 KR 1020200101941 A KR1020200101941 A KR 1020200101941A KR 20200101941 A KR20200101941 A KR 20200101941A KR 102303034 B1 KR102303034 B1 KR 102303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val
defect
blocking member
treated
inj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헌
김동철
이창연
정동언
김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01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13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heating or insulating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Abstract

본원발명은 처리 대상물을 향해 화염을 발생하여 결함을 제거하는 결함 제거장치로서, 처리 대상물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공정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을 구비하며, 처리 대상물에 이격하여 위치되는 제거부 및 복수의 분사홀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제거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결함 제거 공정 중 발생된 부산물이 결함 제거기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함 제거기의 분사홀이 부산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처리 대상물에 대해 결함 제거 공정을 실시할 때, 분사홀의 막힘으로 인한 결함 제거 공정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함 제거장치 및 결함 제거방법{APPARATUS FOR REMOVING DEFECT AND METHOD FOR REMOVING DEFECT}
본 발명은 결함 제거장치 및 결함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처리 대상물로부터 결함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결함 제거장치 및 결함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편은 몰드로 용강을 통과시킨 후, 몰드 하측의 냉각대를 거쳐 냉각됨에 따라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주편의 표면에는 핀홀, 미세크랙 등과 같은 결함이 발생될 수 있다. 표면 결함을 가지는 주편을 압연기에서 압연하게 되면, 주편의 파단과 같은 조업 사고를 초래하거나, 제품에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주편이 제조되면, 주편 표면을 용삭하여 결함을 제거하는 스카핑(scarfing) 공정을 거친 후에 압연 등의 추가 공정을 실시한다.
주편 표면의 결함을 제거하는 스카핑 장치는 주편의 표면을 용융시키기 위한 화염을 발생시키기 위해 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을 포함한다. 그리고, 스카핑 장치는 주편의 폭에 따라, 상기 주편의 표면과 마주하는 면적이 조절되도록 수평 이동한다. 이에, 주편의 폭에 따라 스카핑 장치를 수평 이동시키면, 상기 스카핑 장치의 복수의 분사홀 중, 일부가 주편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카핑 공정 시에, 스카핑 장치는 주편과 마주하는 복수의 분사홀로부터 가스를 분사하여 화염을 발생시키고, 주편의 외측에 위치된 복수의 분사홀에서는 가스를 분사시키지 않는다.
스카핑 장치에서 화염이 발생되면, 주편 표면이 용융된 용융물 및 용융물이 산화된 스케일(scale) 등과 같은 부산물이 발생될 수 있고, 이 부산물은 분사되는 가스에 의해 비산될 수 있다. 이때, 비산된 부산물이 주편 외측에 위치된 스카핑 장치의 분사홀에 부착 또는 고착되는 경우, 상기 분사홀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현재 스카핑 공정을 수행하는 주편에 비해 넓은 폭의 주편에 대해 스카핑 공정을 실시할 때, 막힌 분사홀로부터 가스가 분사되지 않아 주편 표면에 결함이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국공개특허 10-2001-0019724
본 발명은 결함 제거 공정 중 발생된 부산물이 결함 제거기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결함 제거장치 및 결함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처리 대상물로 가스를 분사하는 분사홀이 부산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결함 제거장치 및 결함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처리 대상물을 향해 화염을 발생하여 결함을 제거하는 결함 제거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물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공정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을 구비하며, 상기 처리 대상물에 이격하여 위치되는 제거부; 및 상기 복수의 분사홀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거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차단부재; 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분사홀은 상기 처리 대상물의 폭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복수의 분사홀의 나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분사홀은 상기 처리 대상물의 이동방향으로 나열 배치되고, 상기 처리 대상물이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차단부재의 길이는, 상기 처리 대상물의 이동방향으로의 첫 번째 분사홀의 일측 끝과 마지막 분사홀의 타측 끝 간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크다.
상기 제거부는, 복수의 상부 분사홀을 구비하고, 상기 처리 대상물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제거부 및 복수의 하부 분사홀을 구비하며, 상기 처리 대상물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상부 제거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차단부재 및 상기 제1차단부재와 반대쪽에서 상기 하부 제거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차단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상부 제거부 연장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하부 제거부 연장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상부 분사홀 및 복수의 하부 분사홀 각각은 상기 처리 대상물의 폭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고,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복수의 하부 분사홀의 나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복수의 상부 분사홀의 나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상부 분사홀 및 복수의 하부 분사홀 각각은 상기 처리 대상물의 이동방향으로 나열 배치되고, 상기 처리 대상물이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1차단부재의 길이는, 상기 처리 대상물의 이동방향으로, 첫 번째 하부 분사홀에서 마지막 하부 분사홀까지의 거리 이상이며, 상기 처리 대상물이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2차단부재의 길이는, 상기 처리 대상물의 이동방향으로, 첫 번째 상부 분사홀에서 마지막 상부 분사홀까지의 거리 이상이다.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상부 제거부에 비해 상기 하부 제거부와 인접하고,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하부 제거부에 비해 상기 상부 제거부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 제거부 연장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바디; 및 상기 하부 제거부 연장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상부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하부바디에 연결된다.
상기 제1차단부재와 상기 상부 제거부 사이에 상기 상부바디가 위치되도록,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상부바디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차단부재와 상기 하부 제거부 사이에 상기 하부바디가 위치되도록,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하부바디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재의 내부에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유로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함 제거방법은 결함을 제거하고자 하는 처리 대상물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처리 대상물의 폭에 따라, 제거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과정; 상기 제거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분사홀을 커버하는 과정; 상기 제거부의 노출된 분사홀로부터 공정가스를 분사하는 과정; 상기 처리 대상물을 용융시키고 결함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거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분사홀을 커버하는 과정은, 상기 제거부 중, 상기 처리 대상물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거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과정은, 상기 처리 대상물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 제거부와 하측에 배치된 하부 제거부 간의 중첩 면적이 조절되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제거부를 수평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분사홀을 커버하는 과정은, 상기 상부 제거부 중, 상기 하부 제거부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의 상부 분사홀을 커버하는 과정; 및 상기 하부 제거부 중, 상기 상부 제거부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의 하부 분사홀을 커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제거부를 수평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제거부 각각을 상기 처리 대상물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제거부 중, 상기 상부 제거부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의 하부 분사홀을 커버하는 과정은, 상기 상부 제거부와 함께 제1차단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제1차단부재가 상기 하부 제거부 중, 상기 상부 제거부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의 하부 분사홀과 마주보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제거부 중, 상기 하부 제거부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의 상부 분사홀을 커버하는 과정은, 상기 하부 제거부와 함께 제2차단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제2차단부재가 상기 상부 제거부 중, 상기 하부 제거부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의 상부 분사홀과 마주보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차단부재 내부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처리 대상물은 주편을 포함하고, 결함은 주편 표면에 형성된 결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결함 제거 공정 중 발생된 부산물이 결함 제거기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함 제거기의 분사홀이 부산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처리 대상물에 대해 결함 제거 공정을 실시할 때, 분사홀의 막힘으로 인한 결함 제거 공정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처리 대상물 표면에 결함이 제거되지 않는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사홀 막힘으로 인해 결함 제거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크기의 처리 대상물에 대해 결함 제거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함 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의 상부 및 하부 제거부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의 수평 이동에 의한 공정영역과 비공정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차단부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결함 제거기의 분사홀이 결함 제거 공정 중 발생된 부산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결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함 제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결합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결함을 제거하고자 하는 처리 대상물로, 용강을 응고시켜 제조한 주편(Slab)을 예를들어 설명한다.
또한, 결함 제거장치로서, 처리 대상물의 표면을 용융시켜 결함을 제거하는 스카핑 장치로 예를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함 제거장치는 주편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공정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을 구비하며, 주편과 이격되어 위치되는 결함 제거기 및 복수의 분사홀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결함 제거기의 연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차단부를 포함한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결함 제거장치는 주편의 상부표면과 하부표면에 형성된 결함을 제거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함 제거장치의 결함 제거기는 주편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배치되도록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결함 제거장치는 주편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결함 제거기 및 주편의 하측에 위치되는 상부 결함 제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단부는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 각각으로 부산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결함 제거장치는 부산물이 하부 결함 제거기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차단부 및 상부 결함 제거기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거부 및 차단부의 개수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함 제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와, 제1 및 제2차단부를 구비하는 결함 제거장치로 예를들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함 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은 주편이 이동하는 방향(X축 방향)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주편의 폭 방향(Y축 방향)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및 하부 제거부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함 제거장치는 주편 표면을 가열하여 용융, 산화시킨 후, 산화된 용융물 즉, 스케일(scale)과 같은 부산물을 주편 외측으로 밀어 제거하는 방법으로 주편 표면의 결함을 제거한다.
이러한 결함 제거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주편(S)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며, 주편(S)을 향해 화염을 생성하도록 공정가스(g)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1220a, 1220b)을 구비하고, 주편의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며, 상하로 이격 배치된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 상부 결함 제거기(1000a)에 설치되어 결함 제거 공정 중에 발생된 부산물(P)이 하부 결함 제거기(1000b)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차단부(2000a)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b)에 설치되어 결함 제거 공정 중에 발생된 부산물이 상부 결함 제거기(1000a)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차단부(2000b)를 포함한다.
그리고, 결함 제거장치는 주편의 이동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 각각의 후방에 위치되어 주편(S)으로 처리수(A)를 분사하는 상부 및 하부 분사부(3000a, 3000b), 주편(S)의 통과가 가능하고,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 제1 및 제2차단부(2000a, 2000b), 상부 및 하부 분사부(3000a, 3000b)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는 후드(4000), 주편(S)의 폭에 따라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 각각을 주편(S)의 폭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상부 및 하부 수평 이동부(5000a, 5000b)를 포함한다.
또한, 결함 제거장치는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 각각으로 화염 발생을 위한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 공급부(6000), 주편(S)을 후드(4000)를 향해 이동시키거나, 후드(4000) 밖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7000),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 각각을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 지지부(8000a, 8000b),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 각각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상부 및 하부 지지부(8000a, 8000b)에 연결된 상부 및 하부 승하강부(9000a, 9000b)를 포함할 수 있다.
주편(S)은, 그 단면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슬라브(slab), 블룸(bloom) 및 빌렛(billet)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편(S)의 표면 즉, 상부표면(Fu) 및 하부표면(Fb)에는 개재물이나 가스의 혼입, 표면의 과냉 등에 의한 결함이 발생될 수 있다. 주편 표면의 결함은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기 때문에, 표면의 결함을 제거하여 최종 제품을 생산한다.
후드(4000)는 이송부(7000)에 의하여 이동하는 주편(S)이 통과하도록 주편(S)의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되고, 내부공간을 가진다. 그리고 후드(4000)는 내부로 주편(S)이 진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개구인 입구(4100) 및 후드(4000) 내로 진입된 주편(S)이 밖으로 반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개구인 출구(4200)를 가진다. 또한, 결함 제거 공정 중에 발생된 부산물(P)을 집진할수 있도록, 후드(400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집진기가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지지부(8000a, 8000b) 각각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4000) 내부에서 주편(S)의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지지부(8000a)와 하부 지지부(8000b)는 후드(4000) 내부에서 상하로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 지지부(8000a, 8000b)에는 후술되는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가 주편(S)의 폭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8100a, 8100b)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8100a, 8100b)는 상부 및 하부 지지부(8000a, 8000b)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수단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며, 예컨대 레일(rail)일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승하강부(9000a, 9000b)는 주편(S)의 두께에 따라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부 승하강부(9000a)는 상부 지지부(8000a)에 연결되고, 하부 승하강부(9000b)는 하부 지지부(8000b)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 승하강부(9000a, 9000b) 각각은 상부 및 하부 지지부(8000a, 8000b) 각각을 승하강 동작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컨대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주편의 이동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 분사부(3000a, 3000b) 각각은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의 후방에 위치되어(도 1 참조), 주편(S)의 상부 및 하부표면(Fu, Fb)을 향해 처리수(A) 예컨대 물(water)을 분사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 분사부(3000a, 3000b)는 처리수(A)의 분사가 가능한 노즐 또는 배관 형태일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는 주편(S)의 상부 및 하부표면(Fu, Fb)을 용융시키기 위한 화염이 생성되도록, 주편(S)의 상부 및 하부표면(Fu, Fb)을 향해 공정가스(g)를 분사한다. 여기서, 공정가스(g)는 산소가스와 연료가스를 포함할 수 있고, 연료가스는 예컨대 액화천연가스(LNG) 일 수 있다.
상부 결함 제거기(1000a)는 후드(4000) 내부로 진입한 주편(S)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주편(S)의 상부표면(Fu)을 향해 화염 발생을 위한 공정가스(g)를 분사한다. 이러한 상부 결함 제거기(1000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 발생을 위한 공정가스(g)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이하, 상부 분사홀(1220a))이 마련된 상부 제거부(1200a) 및 상부 제거부(1200a)를 지지하는 상부본체(1100a)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제거부(1200a)는 주편(S)의 이동방향(X축 방향)과 교차하는 주편의 폭 방향(Y축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며, 하측으로 공정가스(g)를 토출하여 분사하는 복수의 상부 분사홀(1220a)이 마련된 상부몸체(1210a)를 포함한다.
상부몸체(1210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편(S)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주편(S)의 상부표면(Fu)을 향하는 상부몸체(1210a)의 일면 예컨대 하부면에는 도 4와 같이 공정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상부 분사홀(1220a)이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상부 분사홀(1220a) 각각은 상부몸체(1210a)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고, 주편(S)을 향하는 끝단 즉, 하부 끝단이 상부몸체(1210a) 밖으로 노출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복수의 상부 분사홀(1220a)은 상부몸체(1210a)의 연장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복수의 상부 분사홀(1220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편(S)의 폭 방향(Y축 방향)으로 나열된 형태가 된다.
복수의 상부 분사홀(1220a)은 산소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산소 분사홀과, 연료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연료가스 분사홀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산소 분사홀은 상대적은 낮은 압력의 산소가스(이하, 저압의 산소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과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의 산소가스(이하, 고압의 산소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연료가스 분사홀 각각은, 상대적은 낮은 압력의 연료가스(이하, 저압의 연료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과,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의 연료가스(이하, 고압의 연료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상부 분사홀(1220a)은 주편의 폭 방향(Y축 방향) 뿐만 아니라, 주편(S)이 이동하는 방향(X축 방향)로도 나열 배치되는데, 서로 다른 압력 또는 다른 종류의 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상부 분사홀(1220a)이 주편(S)의 이동방향으로 나열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수의 상부 분사홀(1220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의 산소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1산소가스 분사홀(1221), 저압의 연료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1연료가스 분사홀(1222), 고압의 산소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2산소가스 분사홀(1223) 및 고압의 연료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2연료가스 분사홀(1224)을 포함한다.
이때, 후드(4000) 내부로 진입된 주편(S)을 향해 저압의 가스가 분사된 후 고압의 가스가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홀이 배치된다. 즉, 제1산소가스 분사홀(1221)과 제1연료가스 분사홀(1222)의 전방에 제2산소가스 분사홀(1223)과 제2연료가스 분사홀(1224)이 배치된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제2산소가스 분사홀(1223)과 제2연료가스 분사홀(1224)의 후방에 제1산소가스 분사홀(1221)과 제1연료가스 분사홀(1222)이 배치된다. 이때, 산소가스 분사홀과 연료가스 분사홀의 배치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후드(4000)의 입구(4100)로부터 출구(4200)쪽으로 제1산소가스 분사홀(1221), 제1연료가스 분사홀(1222), 제2산소가스 분사홀(1223), 제2연료가스 분사홀(1224)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상부몸체(1210a) 내부에는 복수의 제1산소가스 분사홀(1221), 복수의 제1연료가스 분사홀(1222), 복수의 제2산소가스 분사홀(1223), 복수의 제2연료가스 분사홀(1224)과 각기 연통되도록 가스가 이동하는 복수의 가스유로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가스유로는 원료 공급부(6000)와 연결되어, 상기 원료 공급부(6000)로부터 제공된 가스를 제1산소가스 분사홀(1221), 제1연료가스 분사홀(1222), 제2산소가스 분사홀(1223), 제2연료가스 분사홀(1224) 각각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부 제거부(1200a)에 의하면, 제1 및 제2산소가스 분사홀(1221, 1223), 제1 및 제2연료가스 분사홀(1222, 1224)로부터 분사되는 산소가스 및 연료가스에 의해 화염이 발생된다. 이에 주편(S)의 상부표면(Fu)이 가열 및 용융되어 상기 상부표면(Fu)에 용융층(M)이 생성된다(도 1 참조).
상부본체(1100a)는 상부 제거부(1200a)를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상부 제거부(1200a)를 지지한 상태로 주편(S)의 폭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 지지부(8000a)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부본체(1100a)는 상부 지지부(8000a) 상에 체결된 상태로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본체(1100a)에는 상부 지지부(8000a)에 마련된 가이드 부재(8100a)를 따라 활주할 수 있는 이동체가 마련될 수 있고, 이동체는 예컨대 롤(roll) 또는 바퀴(wheel)일 수 있다.
이러한 상부본체(1100a)는 예컨대, 주편(S)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상부바디(1110a) 및 상기 제1상부바디(1110a)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제1상부바디(1110a)의 일측 끝단(이하, 일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상부바디(1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제거부(1200a)는 제1상부바디(1110a)와 제2상부바디(1120a)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1상부바디(1110a)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부 제거부(1200a)는 제1상부바디(1110a)와 제2상부바디(1120a)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제1상부바디(1110a)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지지부(8000a)에 마련된 가이드 부재(8100a)를 따라 활주하는 이동체는 제1상부바디(1110a)에 장착될 수 있다.
하부 결함 제거기(1000b)는 후드(4000) 내부로 진입한 주편(S)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주편(S)의 하부표면(Fb)을 향해 화염 발생을 위한 공정가스(g)를 분사한다. 이러한 하부 결함 제거기(1000b)는 상술한 상부 결함 제거기(1000a)와 그 배치 위치만이 상이하고, 동일한 구성 및 형상을 가진다. 이에, 하부 결함 제거기(1000b)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하부 결함 제거기(1000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 발생을 위한 공정가스(g)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이하, 하부 분사홀(1220b))이 마련된 하부 제거부(1200b) 및 하부 제거부(1200b)를 지지하는 하부본체(1100b)를 포함한다.
하부 제거부(1200b)는 주편의 폭 방향(Y축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복수의 하부 분사홀(1220b)이 마련된 하부몸체(1210b)를 포함한다. 하부몸체(1210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편(S)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주편(S)의 하부표면(Fb)을 향하는 하부몸체(1210b)의 일면 예컨대 상부면에는 도 4와 같이 공정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하부 분사홀(1220b)이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하부 분사홀(1220b)은 상술한 복수의 상부 분사홀(1220a)과 동일하게 마련된다. 즉, 복수의 하부 분사홀(1220b)은 저압의 산소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1산소가스 분사홀(1221), 저압의 연료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1연료가스 분사홀(1222), 고압의 산소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2산소가스 분사홀(1223) 및 고압의 연료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2연료가스 분사홀(1224)을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몸체(1210b) 내부에는 제1 및 제2산소가스 분사홀(1221, 1223), 제1 및 제2연료가스 분사홀(1222, 1224) 각기 연통되도록 가스가 이동하는 복수의 가스유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가스유로는 원료 공급부(6000)와 연결된다.
이러한 하부 제거부(1200b)에 의하면, 제1 및 제2산소가스 분사홀(1221, 1223), 제1 및 제2연료가스 분사홀(1222, 1224)로부터 분사되는 산소가스 및 연료가스에 의해 화염이 발생된다. 이에 주편(S)의 하부표면(Fb)이 가열 및 용융되어 상기 하부표면(Fb)에 용융층(M)이 생성된다(도 1 참조).
하부본체(1100b)는 후드(4000) 내부에서 하부 제거부(1200b)를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상술한 상부본체(1100a)와 유사한 구성 및 형상일 수 있다. 즉, 하부본체(1100b)는 하부 지지부(8000b) 상에 체결된 상태로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지지부(8000b)에 연결 또는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본체(1100b)는 주편(S)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하부바디(1110b) 및 제1하부바디(1110b)의 일측 끝단(이하, 일단)의 반대 끝단(이하, 타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하부바디(1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하부바디(1110b, 1120b)를 구비하는 하부본체(1100b)는 상부본체(1100a)와 그 형상이 유사하나, 제2하부바디(1120b)가 제2상부바디(1120a)와 반대쪽에 배치된다. 즉, 제2상부바디(1120a)는 제1상부바디(1110a)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2하부바디(1120b)는 제1하부바디(1110b)의 타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하부 제거부(1200b)는 제1하부바디(1110b)와 제2하부바디(1120b)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1하부바디(1110b)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하부본체(1100b)에는 하부 지지부(8000b)에 마련된 가이드 부재(8100b)를 따라 활주할 수 있는 이동체가 마련될 수 있고, 이동체는 예컨대 롤(roll) 또는 바퀴(wheel)일 수 있다.
원료 공급부(6000)는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 각각으로 화염 발생을 위한 공정가스(g)를 공급한다. 이러한 원료 공급부(6000)는 저압의 산소가스 및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제1산소 공급부(6100), 제1연료 공급부(6200), 고압의 산소가스 및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제2산소 공급부(6300), 제2연료 공급부(64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산소 공급부(6100, 6300) 각각은 저압 및 고압의 산소가스가 저장된 제1 및 제2산소 저장부(6110, 6310)와, 산소가스를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 각각으로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산소라인(6120, 6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산소라인(6120, 6320)은 상부 및 하부몸체(1210a, 1210b) 내에서 복수의 제1 및 제2산소가스 분사홀(1221, 1223)과 각기 연결된 가스유로와 연결되고, 각 가스유로와의 연통을 조절하도록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연료 공급부(6200, 6400) 각각은 저압 및 고압의 연료가스가 저장된 제1 및 제2연료 저장부(6210, 6410)와, 연료가스를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 각각으로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연료라인(6220, 64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연료라인(6220, 6420)은 상부 및 하부몸체(1210a, 1210b) 내에서 복수의 제1 및 제2연료가스 분사홀(1222, 1224)과 각기 연결된 가스유로와 연결되고, 각 가스유로와의 연통을 조절하도록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수평 이동부(5000a, 5000b)는 결함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편(S)의 폭(Ws)에 따라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 각각을 주편(S)의 폭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상부 수평 이동부(5000a)는 예컨대, 공압 또는 유입 실린더일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수평 이동부(5000a)는 상부 결함 제거기(1000a)에 장착된 상부 구동체(5100a) 및 일단이 상부 구동체(5100a)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부 지지부(8000a)에 고정되도록 장착된 상부 고정부재(520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수평 이동부(5000a)에 의하면, 상부 구동체(5100a) 내부로의 예컨대 에어(air)의 공급 여부 또는 에어의 공급 위치에 따라 상기 상부 구동체(5100a)가 상부 고정부재(5200a)의 타단쪽으로 전진 이동하거나 또는 반대쪽으로 후진 이동한다. 이에, 상부 구동체(5100a)에 연결된 상부 결함 제거기(1000a)가 주편(S)의 폭 방향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부본체(1100a)에 장착된 이동체가 상부 지지부(8000a)의 가이드 부재(8100a)를 따라 활주함에 따라, 상부 결함 제거기(1000a) 전체가 수평이동 할 수 있다.
하부 수평 이동부(5000b)는 상부 수평 이동부(5000a)와 그 설치 위치만이 상이하며,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하부 수평 이동부(5000b)는 하부 결함 제거기(1000b)에 장착된 하부 구동체(5100b) 및 일단이 하부 구동체(5100b)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 지지부(8000b)에 고정되도록 장착된 하부 고정부재(5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부 고정부재(5200b)의 타단이 하부 지지부(8000b)에 장착 고정되는 위치는 상부 고정부재(5200a)의 타단이 상부 지지부에 장착 고정되는 위치와 반대쪽이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의 수평 이동에 의한 공정영역과 비공정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차단부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제1 및 제2차단부(2000a, 2000b)는 결함 제거 공정중에 발생된 용융물 또는 스케일과 같은 부산물(P)이 상부 및 하부 제거부(1200a, 1200b)에 부착 또는 고착되는 것을 방지 또는 차단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제1 및 제2차단부(2000a, 2000b)는 결함 제거 공정 중에 주편(S)의 외측에 위치되는 복수의 상부 분사홀(1220a) 및 복수의 하부 분사홀(1220b)의 적어도 일부에 부산물이 부착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2 및 도 3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차단부(2000a)는 하부 결함 제거기(1000b)의 연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 결함 제거기(1000a)의 외측에 연결되고, 제2차단부(2000b)는 상부 결함 제거기(1000a)의 연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 결함 제거기(1000b)의 외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부 결함 제거기(1000a)의 외측이란, 상부 제거부(1200a)가 장착된 상부본체(1100a)의 바깥을 의미하고, 하부 결함 제거기(1000b)의 외측이란, 하부 제거부(1200b)가 장착된 하부본체(1100b)의 바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차단부(2000a, 2000b)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의 앞서,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의 수평 이동에 의한 공정영역(PAu, PAb)과 비공정 영역(NPAu, NPAb)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주편(S)의 폭(Ws)은 제조하고자 하는 최종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에,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는 주편(S)의 폭(Ws)에 따라 그 위치가 조정되도록 수평 이동된다. 즉, 주편(S)의 폭(Ws)이 클수록, 도 2 및 도 5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제거부(1200a, 1200b) 각각이 주편(S)과 마주보는 면적이 크도록 그 위치를 조정한다. 반대로, 주편(S)의 폭(Ws)이 작을수록,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부 및 하부 제거부(1200a, 1200b) 각각이 주편(S)과 마주보는 면적이 작도록 그 위치를 조정한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주편(S)의 폭(Ws)이 클수록 주편(S)과 마주보는 상부 분사홀(1220a)의 개수 및 하부 분사홀(1220b)의 개수가 많도록 하고, 주편(S)의 폭(Ws)이 작을수록 주편(S)과 마주보는 상부 분사홀(1220a)의 개수 및 하부 분사홀(1220b)의 개수가 적도록 위치를 조정한다. 또 다른 말로 설명하면, 주편(S)의 폭(Ws)이 클수록 상부 제거부(1200a)와 하부 제거부(1200b) 간이 중첩 면적이 크고, 주편(S)의 폭(Ws)이 작을수록 상부 제거부(1200a)와 하부 제거부(1200b) 간의 중첩 면적이 작도록 한다.
이에, 결함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편(S)의 폭(Ws)에 따라, 상부 제거부(1200a)와 하부 제거부(1200b) 각각의 일부는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호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생길 수 있다. 이때, 상부 제거부(1200a)와 하부 제거부(1200b)에 있어서, 상호 중첩되는 영역은 결함 제거 공정시에 분사홀로부터 공정가스(g)를 분사시키는 영역(이하, 공정영역(PAu, PAb))이고, 상호 중첩되지 않는 영역은 결함 제거 공정시에 분사홀로부터 공정가스(g)를 분사시키지 않는 영역(이하, 비공정 영역(NPAu, NPAb))이다(도 6 참조).
여기서, 상부 제거부(1200a)와 하부 제거부(1200b)가 중첩되는 영역의 분사홀(1220a, 1220b)로부터 공정가스를 분사시키고, 중첩되지 않는 영역의 분사홀(1220a, 1220b)로부터 공정가스를 분사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은, 원료 공급부(6000)와 복수의 상부 분사홀(1220a) 및 복수의 하부 분사홀(1220b) 각각의 연통을 제어함으로써 제어 가능하다. 즉, 복수의 상부 분사홀(1220a)과 각기 연통되도록 상부몸체(1210a)에 마련된 복수의 가스유로와 원료 공급부(6000) 간의 연통을 제어하고, 복수의 하부 분사홀(1220b)과 각기 연통되도록 하부몸체(1210b)에 마련된 복수의 가스유로와 원료 공급부(6000) 간의 연통을 제어함으로써 제어 가능하다.
주편(S) 폭(Ws)에 따라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를 수평 이동시키는데 있어서, 공정영역(PAu, PAb)의 주편(S) 폭 방향의 길이가 적어도 주편(S) 폭(Ws)과 동일하거나, 주편(S) 폭(Ws)에 비해 크도록 한다. 즉, 상부 및 하부 제거부(1200a, 1200b) 각각의 공정영역(PAu, PAb)의 주편(S) 폭 방향 길이가 주편(S) 폭(Ws)의 100% 이거나, 주편 폭(Ws)의 100%를 초과하도록 크게한다. 이때, 공정영역(PAu, PAb)의 주편(S) 폭 방향 길이가 주편 폭(Ws)의 100%를 초과하도록 크게하는데 있어서, 주편 폭(Ws)의 110%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결함 제거 공정 시에 발생된 부산물이 상부 및 하부 제거부(1200a, 1200b) 각각의 비공정 영역(NPAu, NPAb)으로 비산되면, 비공정 영역(NPAu, NPAb)의 분사홀(1220a, 1220b)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결함 제거 공정 중에 상부 및 하부 제거부(1200a, 1200b)의 비공정 영역(NPAu, NPAb)에 부산물(P)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1 및 제2차단부(2000a, 2000b)를 마련한다.
제1차단부(2000a)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결함 제거기(1000a)에 설치되어, 결함 제거 공정 중에 하부 제거부(1200b)의 비공정 영역(NPAb)으로 부산물(P)이 이동 또는 향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제1차단부(2000a)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결함 제거기(1000a)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부 결함 제거기(1000a)에 연결된 제1차단부재(2100a)를 포함한다. 또한, 제1차단부(2000a)는 용융물 또는 스케일과 같은 고온의 부산물(P)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차단부재(2100a)의 내부에 마련되어 냉매를 순환시키는 제1냉매유로(220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차단부재(2100a)는 하부 결함 제거기(1000b),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제거부(1200b)의 연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plate) 형상일 수 있다. 이때, 하부 제거부(1200b)의 연장방향은 주편(S)의 폭 방향 및 상부 제거부(1200a)의 연장방향과 동일하므로, 제1차단부재(2100a)는 주편(S)의 폭 방향 및 상부 제거부(1200a)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인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차단부재(2100a)는 결함 제거 공정 시에, 하부 제거부(1200b)의 비공정 영역(NPAb)과 마주볼 수 있도록, 상부 결함 제거기(1000a)의 상부본체(1100a)에 설치된다. 즉, 제1차단부재(2100a)는 상부본체(1100a)의 일측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된다. 그리고, 제1차단부재(2100a)는 상부본체(1100a) 중 제2상부바디(1120a)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차단부재(2100a)는 제2상부바디(1120a)로부터 일측 외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차단부재(2100a)는 제1상부바디(1110a)에 비해 하부 제거부(1200b)와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상부바디(1120a) 중, 제1상부바디(1110a)에 연결된 일단과, 하부 제거부(1200b)를 향하는 타단 중, 타단과 인접하도록 또는 타단에 제1차단부재(2100a)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결함 제거 공정 시에, 하부 제거부(1200b)의 비공정 영역(NPAb)과 제1차단부재(2100a) 간의 틈을 줄이거나, 틈이 없도록하여 부산물(P)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차단부재(2100a)가 하부 제거부(1200b)의 연장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L1)는 하부 제거부(1200b) 연장길이(Lb)에 비해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차단부재(2100a)의 연장길이(L1)는 하부 제거부 연장길이(Lb)의 90%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70% 이하일 수 있다. 제1차단부재(2100a)의 연장길이(L1)는 바람직하게는 하부 제거부 연장길이(Lb)의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차단부재(2100a)는 그 연장방향(Y축 방향)과 교차하는 X축 방향의 길이 즉, 주편(S)이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길이(R1)(도 7 참조)가 하부 제거부(1200b) 상에서 X축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복수의 하부 분사홀(1220b)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차단부재(2100a)는 그 X축 방향의 길이(R1)(도 7 참조)가 양쪽 끝의 분사홀 즉, 첫 번째 분사홀과 마지막 분사홀 간의 거리(Rhb)(도 4 참조)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크도록 마련된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하부몸체(1210b)에서 주편(S)의 이동방향(X축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하부 분사홀(1220b) 중, 상기 주편(S)의 이동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첫 번째 하부 분사홀(1221)의 일측 끝과 마지막 하부 분사홀(1224)의 타측 끝 간의 거리(Rhb)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크게 마련된다. 즉, 제1차단부재(2100a)는 그 X축 방향의 길이(R1)가 첫 번째 하부 분사홀(1221)에서 마지막 하부 분사홀(1224)까지의 거리 이상이다. 또 다른 말로 설명하면, 첫 번째 하부 분사홀(1221)과 마지막 하부 분사홀(1224) 간의 최대거리(Rhb)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크게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부 제거부(1200b)에는 X축 방향으로 제1산소가스 분사홀(1221), 제1연료가스 분사홀(1222), 제2산소가스 분사홀(1223), 제2연료가스 분사홀(1224)이 병렬로 마련된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하부 제거부(1200b)에는 X축 방향으로 4 개의 분사홀(1221, 1222, 1223, 1224)이 나열 배치된다. 따라서, 제1차단부재(2100a)는 X축 방향의 길이(R1)가, 첫 번째 분사홀인 제1산소가스 분사홀(1221)과 마지막 분사홀인 제2연료가스 분사홀(1224) 사이의 거리(Rhb)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크도록 마련된다(도 4 및 도 7 참조).
제1냉매유로(2200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단부재(2100a) 내부로 냉매가 이동 또는 순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차단부재(2100a)의 내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제1냉매유로(2200a)는 냉매 예컨대, 물(water)이 이동하는 통로(2220), 통로(2220)의 일단에 마련된 개구이며,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구(2210) 및 통로(2220)의 타단에 마련된 개구이며,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구(2230)를 포함한다. 유입구(2210)에는 냉매를 제공하는 냉매 저장부(2310a)가 연결되고, 배출구(2230)에는 제1차단부재(2100a)를 순환한 후 배출되는 냉매를 회수하여 저장하는 회수부(2320a)가 연결될 수 있다.
제2차단부(2000b)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결함 제거기(1000b)에 설치되어, 결함 제거 공정 중에 상부 제거부(1200a)의 비공정 영역(NPAu)으로 부산물(P)이 부착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제2차단부(2000b)는 상술한 제1차단부(2000a)와 그 설치 위치가 상이하나, 그 구성이 동일하다. 즉, 제2차단부(2000b)는 하부 결함 제거기(1000b)의 타측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 결함 제거기(1000b)에 연결된 제2차단부재(2100b)를 포함한다. 또한, 제2차단부(2000b)는 제2차단부재(2100b)의 내부에 마련되어 냉매를 순환시키는 제2냉매유로(2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차단부재(2100b)는 결함 제거 공정 시에, 상부 제거부(1200a)의 비공정 영역(NPAu)과 마주볼 수 있도록, 하부본체(1100b)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차단부재(2100b)는 제2하부바디(1120b)로부터 타측 외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하부바디(1120b)는 제2상부바디(1120a)와 반대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2차단부재(2100b)는 제1차단부재(2100a)와 반대쪽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2하부바디(1120b) 중 제1하부바디(1110b)에 연결된 일단과, 상부 결함 제거기(1000a)를 향하는 타단 중, 타단과 인접하도록 또는 타단에 제2차단부재(2100b)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주편(S)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제1차단부재(2100a)는 상부 제거부(1200a)의 일측 외부에 위치되고, 제2차단부재(2100b)는 하부 제거부(1200b)의 타측 외부에 위치된다. 이렇게 제1차단부재(2100a)와 제2차단부재(2100b)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은, 주편(S)의 폭(Ws)에 따라 상부 제거부(1200a) 및 하부 제거부(1200b)가 수평 이동하는데 있어서, 서로 엇갈리게 이동하기 때문이다. 즉, 주편(S)의 폭(Ws)에 따라 상부 및 하부 제거부(1200a, 1200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 제거부(1200a)의 비공정 영역(NPAu)이 하부 제거부(1200b)의 타측 외부에 위치되고, 하부 제거부(1200b)의 비공정 영역(NPAb)이 상부 제거부(1200a)의 일측 외부에 위치되기 때문이다.
제2차단부재(2100b)는 그 연장길이(L2)가 상부 제거부(1200a)의 연장길이(Lu) 비해 작도록 마련되고, 제1차단부재(2100a)와 동일한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차단부재(2100b)는 그 연장길이(L2)가 상부 제거부(1200a) 연장길이(Lu)의 90%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70% 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차단부재(2100b)의 연장길이(L2)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제거부 연장길이(Lu)의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차단부재(2100b)는 그 연장방향(Y축 방향)과 교차하는 X축 방향의 길이가 제1차단부재(2100a)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차단부재(2100b)는 X축 방향의 길이가 상부 제거부(1200a) 상에서 X축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복수의 상부 분사홀(1220a)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차단부재(2100b)는 X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부 제거부(1200a)에 마련된 첫 번째 분사홀인 제1산소가스 분사홀(1221)과 마지막 분사홀인 제2연료가스 분사홀(1224) 사이의 거리(Rhu)(도 4 참조)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도록 마련된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상부몸체(1210a)에서 주편(S)의 이동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상부 분사홀(1220a) 중, 상기 주편(S)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첫 번째 하부 분사홀(1221)의 일측 끝과 마지막 하부 분사홀(1224)의 타측 끝 간의 거리(Rhu)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크게 마련된다. 즉, 제2차단부재(2100b)는 그 X축 방향의 길이(R1)가 첫 번째 상부 분사홀(1221)에서 마지막 상부 분사홀(1224)까지의 거리 이상이다. 또 다른 말로 설명하면, 첫 번째 하부 분사홀(1221)과 마지막 하부 분사홀(1224) 간의 최대거리(Rhu)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크게 마련된다.
제2냉매유로(2200b)는 제2차단부재(2100b) 내부로 냉매가 이동 또는 순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차단부재(2100b)의 내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제2냉매유로(2200b)는 상술한 제1냉매유로(2200a)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제2냉매유로(2200b)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냉매가 이동하는 통로, 통로의 일단에 마련된 유입구 및 통로의 타단에 마련된 배출구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 각각이 상부 및 하부 제거부(1200a, 1200b)와, 상부 및 하부 제거부(1200a, 1200b)를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본체(1100a, 1100b)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차단부(2000a, 2000b)가 상부 및 하부본체(1100a, 1100b)에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 각각이 상부 및 하부본체(1100a, 1100b) 없이 상부 및 하부 제거부(1200a, 1200b)를 구비할 수 있고, 제1 및 제2차단부(2000a, 2000b) 각각이 상기 상부 및 하부 제거부(1200a, 1200b)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결함 제거장치가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와, 제1 및 제2차단부(2000a, 2000b)를 구비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즉, 상부 및 하부 제거부(1200a, 1200b)와, 제1 및 제2차단부(2000a, 2000b)를 구비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결함 제거기 즉, 하나의 제거부를 구비할 수 있고, 하나의 차단부를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표면의 결함을 제거하고자 하는 처리 대상물로 주편을 예를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를 이용하여 상부표면 및 하부표면의 결함을 제거하고,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의 수평 이동이 필요한 다양한 처리 대상물의 결함 제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결함 제거장치가 처리 대상물의 표면을 용융시켜 결함을 제거하는 스카핑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분사홀을 통해 공정가스를 분사하고, 결함 제거 공정 중 발생된 부산물에 의한 분사홀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함 제거장치를 이용한 결함 제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처리 대상물로 용강을 응고시켜 제조된 주편을 예를들어 설명한다.
먼저, 결함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편(S)의 폭(Ws)에 따라, 상부 제거부(1200a)와 하부 제거부(1200b)가 상호 중첩되는 면적을 조절한다. 예컨대, 이전에 결함 제거 공정을 수행했던 주편(도 2 및 도 5 참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의 주편에 대해 결함 제거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상부 및 하부 제거부(1200a, 1200b)가 상호 중첩되는 면적이 감소하도록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상부 수평 이동부(5000a)를 동작시켜 예컨대 상부 결함 제거기(1000a)를 타측 방향으로 당기고, 하부 수평 이동부(5000b)를 동작시켜 예컨대 하부 결함 제거기(1000b)를 일측 방향으로 당긴다. 이에,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부 및 하부 제거부(1200a, 1200b)가 상호 중첩되는 면적 또는 Y축 방향으로 중첩되는 길이가 도 2 및 도 5에 비해 감소한다.
이러한 수평 이동에 의해, 도 6과 같이 상부 제거부(1200a)와 하부 제거부(1200b)가 상호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되는데, 이 영역이 결함 제거 공정 시에 공정가스(g)를 분사시키지 않는 비공정 영역(NPAu, NPAb)이다. 이때, 하부 제거부(1200b)의 하부 비공정 영역(NPAb)의 상측에는 제1차단부(2000a)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부 제거부(1200a)의 상부 비공정 영역(NPAu)의 하측에는 제2차단부(2000b)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주편(S)의 폭(Ws)에 따른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의 수평 이동이 종료되면, 결함 제거 공정을 시작한다.
이를 위해, 이송부(7000)를 이용하여 주편(S)을 후드(4000) 내로 이동시키고, 원료 공급부(6000)를 이용하여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로 공정가스(g)를 공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료 공급부(6000)의 제1산소 공급부(6100)는 제1산소가스 분사홀(1221)로 저압의 산소가스를 공급하고, 제1연료 공급부(6200)는 제1연료가스 분사홀(1222)로 저압의 연료가스를 공급한다. 또한, 제2산소 공급부(6300)는 제2산소가스 분사홀(1223)로 고압의 산소가스를 공급하고, 제2연료 공급부(6400)는 제2연료가스 분사홀(1224)로 고압의 연료가스를 공급한다. 이때, 제1산소 공급부(6100)로터 공급되는 산소가스의 압력은 0.01 kg/cm2 내지 0.03 kg/cm2, 제1연료 공급부(6200)로부터 분사되는 연료가스의 압력은 0.5 kg/cm2 내지 1.0 kg/cm2 일 수 있다. 또한, 제2산소 공급부(6300)로부터 공급되는 산소가스의 압력은 3.0 kg/cm2 내지 4.0 kg/cm2, 제2연료 공급부(6400)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압력은 2 kg/cm2 내지 3 kg/cm2일 수 있다.
이에,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 각각의 제1산소가스 분사홀(1221), 제1연료가스 분사홀(1222)을 통해 저압의 산소가스 및 연료가스가 분사되고, 제2산소가스 분사홀(1223), 제2연료가스 분사홀(1224)을 통해 고압의 산소가스 및 연료가스가 분사된다. 그리고, 제1산소가스 분사홀(1221) 및 제1연료가스 분사홀(1222)을 통해 분사되는 저압의 산소가스와 연료가스 간의 반응에 의해 화염이 생성되고, 제2산소가스 분사홀(1223) 및 제2연료가스 분사홀(1224)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산소가스와 연료가스 간의 반응에 의해 화염이 생성된다.
후드(4000) 내로 진입한 주편(S)은 상기 후드(4000)의 출구(4200)쪽으로 점차 이동한다. 이때, 주편(S)의 상부 및 하부표면(Fu, Fb)은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 각각의 제1산소가스 분사홀(1221) 및 제1연료가스 분사홀(1222)로부터 분사되는 저압의 산소가스 및 연료가스 간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화염의 열에 의해 예열된다.
이후, 예열된 주편(S)의 상부 및 하부표면(Fu, Fb)은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 각각의 제2산소가스 분사홀(1223) 및 제2연료가스 분사홀(1224)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산소가스 및 연료가스 간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화염의 열에 의해 용융된다. 그리고, 주편(S)의 상부 및 하부표면(Fu, Fb)으로부터 용융되어 생성된 용융물은 제1산소가스 분사홀(1221) 또는 제2산소가스 분사홀(1223)로부터 분사되는 산소가스에 의해 산화된다.
후드(4000) 내부로 진입한 주편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 후방에 위치된 주편(S)의 소정의 길이 또는 소정 면적에 대해 용융 및 산화가 진행 되고나면, 이송부(7000)의 동작을 중지하여 주편(S)의 이동을 중지한다. 이후,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의 후방에 위치된 상부 및 하부 분사부(3000a, 3000b)를 통해 처리수(A) 예컨대 냉각수를 분사한다. 이에, 주편(S)의 상부 및 하부표면(Fu, Fb)에 있는 용융물 또는 용융물이 산화된 스케일 등과 같은 공정 부산물(P)이 주편(S) 외측으로 밀려 내려간다. 이에, 후드(4000) 내로 진입되어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로부터 발생된 화염에 예열 및 용융 과정을 거친 주편(S)의 상부표면(Fu) 및 하부표면(Fb)의 결함이 제거된다.
다음으로, 다시 이송부(7000)를 동작시켜, 주편(S) 중 결함이 제거된 영역 또는 구간을 후드(4000) 밖으로 반출시키고, 결함이 아직 제거되지 않은 영역 또는 구간을 후드(4000) 내로 진입시킨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화염을 발생시켜 주편(S)의 상부표면(Fu)과 하부표면(Fb)을 예열, 용융, 산화시킨 뒤에 처리수(A)를 분사하여 주편(S) 표면으로부터 부산물을 밀어낸다.
한편,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 각각의 공정영역(PAu, PAb)의 분사홀(1220a, 1220b)로부터 분사된 공정가스(g)에 의해 화염이 발생되고, 그 화염에 의해 용융물이 생성된다. 그리고 그 용융물은 산소가스에 산화된다. 그런데, 주편(S)의 상부표면(Fu) 및 하부표면(Fb) 각각에서 생성된 용융물 및 상기 용융물이 산화된 스케일과 같은 부산물(P)은 연속으로 분사되는 공정가스(g) 또는 처리수(A)에 의해 비산될 수 있다. 그리고 비산된 부산물(P)은 상부 결함 제거기(1000a)의 비공정 영역(NPAu)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b)의 비공정 영역(NPAb)으로 향할 수 있다.
이때, 상부 결함 제거기(1000a)의 비공정 영역(NPAu)에 있는 복수의 상부 분사홀(1220a)은 하부 결함 제거기(1000b)에 장착된 제1차단부(2000a)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또한, 하부 결함 제거기(1000b)의 비공정 영역(NPAb)에 있는 복수의 하부 분사홀(1220b)은 상부 결함 제거기(1000a)에 장착된 제1차단부(2000a)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이에, 결함 제거 공정 시에 용융물 및 스케일과 같은 부산물(P)이 비산하더라도, 이 부산물(P)이 상부 및 하부 제거부(1200a, 1200b) 각각의 비공정 영역(NPAu, NPAb)에 부착 또는 고착될 수 없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제거부(1200a, 1200b) 각각의 비공정 영역(NPAu, NPAb)에 있는 분사홀(1220a, 1220b)이 비산된 부산물(P)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현재 결함 제거 공정 중인 주편에 비해 큰 폭의 주편에 대해 결함 제거 공정을 실시할 때, 분사홀(1220a, 1220b) 막힘으로 인한 결함 제거 공정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주편(S) 표면에 결함이 제거되지 않는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사홀(1220a, 1220b) 막힘으로 인해 상부 및 하부 결함 제거기(1000a, 1000b)의 수명 또는 교체 주기가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크기의 처리 대상물에 대해 결함 제거 공정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함 제거 공정중 발생된 부산물(P)은 고온이나, 제1 및 제2차단부재(2100a, 2100b) 내부에는 냉매유로(2200a, 2200b)가 마련되어 냉매가 순환되고 있기 때문에, 비산된 부산물(P)의 열에 의해 제1 및 제2차단부재(2100a, 2100b)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0a: 상부 결함 제거기 1100a: 상부본체
1200a: 상부 제거부 1220a: 상부 분사홀
1000b: 하부 결함 제거기 1100b: 하부본체
1200b: 하부 제거부 1220b: 하부 분사홀
2000a: 제1차단부 2000b: 제2차단부

Claims (18)

  1. 처리 대상물을 향해 화염을 발생하여 결함을 제거하는 결함 제거장치로서,
    상기 처리 대상물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공정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을 구비하며, 상기 처리 대상물에 이격하여 위치되는 제거부; 및
    상기 복수의 분사홀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거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차단부재;
    를 포함하는 결함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사홀은 상기 처리 대상물의 폭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복수의 분사홀의 나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결함 제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사홀은 상기 처리 대상물의 이동방향으로 나열 배치되고,
    상기 처리 대상물이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차단부재의 길이는, 상기 처리 대상물의 이동방향으로의 첫 번째 분사홀의 일측 끝과 마지막 분사홀의 타측 끝 간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큰 결함 제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는,
    복수의 상부 분사홀을 구비하고, 상기 처리 대상물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제거부 및 복수의 하부 분사홀을 구비하며, 상기 처리 대상물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상부 제거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차단부재 및 상기 제1차단부재와 반대쪽에서 상기 하부 제거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결함 제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상부 제거부 연장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하부 제거부 연장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결함 제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부 분사홀 및 복수의 하부 분사홀 각각은 상기 처리 대상물의 폭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고,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복수의 하부 분사홀의 나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복수의 상부 분사홀의 나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결함 제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부 분사홀 및 복수의 하부 분사홀 각각은 상기 처리 대상물의 이동방향으로 나열 배치되고,
    상기 처리 대상물이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1차단부재의 길이는, 상기 처리 대상물의 이동방향으로, 첫 번째 하부 분사홀에서 마지막 하부 분사홀까지의 거리 이상이며,
    상기 처리 대상물이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2차단부재의 길이는, 상기 처리 대상물의 이동방향으로, 첫 번째 상부 분사홀에서 마지막 상부 분사홀까지의 거리 이상인 결함 제거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상부 제거부에 비해 상기 하부 제거부와 인접하고,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하부 제거부에 비해 상기 상부 제거부와 인접하게 설치된 결함 제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제거부 연장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바디; 및
    상기 하부 제거부 연장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상부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하부바디에 연결된 결함 제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재와 상기 상부 제거부 사이에 상기 상부바디가 위치되도록,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상부바디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차단부재와 상기 하부 제거부 사이에 상기 하부바디가 위치되도록,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하부바디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결함 제거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의 내부에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유로가 마련된 결함 제거장치.
  12. 결함을 제거하고자 하는 처리 대상물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처리 대상물의 폭에 따라, 제거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과정;
    상기 제거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분사홀을 커버하는 과정;
    상기 제거부의 노출된 분사홀로부터 공정가스를 분사하는 과정;
    상기 처리 대상물을 용융시키고 결함을 제거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결함 제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분사홀을 커버하는 과정은,
    상기 제거부 중, 상기 처리 대상물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결함 제거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과정은,
    상기 처리 대상물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 제거부와 하측에 배치된 하부 제거부 간의 중첩 면적이 조절되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제거부를 수평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분사홀을 커버하는 과정은,
    상기 상부 제거부 중, 상기 하부 제거부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의 상부 분사홀을 커버하는 과정; 및
    상기 하부 제거부 중, 상기 상부 제거부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의 하부 분사홀을 커버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결함 제거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제거부를 수평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제거부 각각을 상기 처리 대상물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결함 제거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제거부 중, 상기 상부 제거부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의 하부 분사홀을 커버하는 과정은,
    상기 상부 제거부와 함께 제1차단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제1차단부재가 상기 하부 제거부 중, 상기 상부 제거부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의 하부 분사홀과 마주보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제거부 중, 상기 하부 제거부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의 상부 분사홀을 커버하는 과정은,
    상기 하부 제거부와 함께 제2차단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제2차단부재가 상기 상부 제거부 중, 상기 하부 제거부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의 상부 분사홀과 마주보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결함 제거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차단부재 내부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결함 제거방법.
  18.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대상물은 주편을 포함하고, 결함은 주편 표면에 형성된 결함을 포함하는 결함 제거방법.
KR1020200101941A 2020-08-13 2020-08-13 결함 제거장치 및 결함 제거방법 KR102303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941A KR102303034B1 (ko) 2020-08-13 2020-08-13 결함 제거장치 및 결함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941A KR102303034B1 (ko) 2020-08-13 2020-08-13 결함 제거장치 및 결함 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034B1 true KR102303034B1 (ko) 2021-09-16

Family

ID=77926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941A KR102303034B1 (ko) 2020-08-13 2020-08-13 결함 제거장치 및 결함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0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724A (ko) 1999-08-30 2001-03-15 이구택 스카핑 머신의 스케일 비산 방지장치
KR20110000127A (ko) * 2009-06-26 2011-01-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케일 비산 방지장치
KR20170003826A (ko) * 2015-06-30 2017-01-10 주식회사 포스코 스카핑 장치
KR20190075384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포스코 스카핑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724A (ko) 1999-08-30 2001-03-15 이구택 스카핑 머신의 스케일 비산 방지장치
KR20110000127A (ko) * 2009-06-26 2011-01-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케일 비산 방지장치
KR20170003826A (ko) * 2015-06-30 2017-01-10 주식회사 포스코 스카핑 장치
KR20190075384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포스코 스카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3055B2 (ja) スラブ、薄スラブ、型鋼のクリーニングを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00057073A (ko) 주조 및 압연 공정을 통해 금속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1622083A (zh) 热轧钢带的冷却装置和方法
KR20100034768A (ko) 연속 작동, 반연속 작동 및 배치 작동을 위한 콤팩트하고 유연한 csp 시스템
CN106424623A (zh) 一种连铸板坯侧前方吹扫的火焰清理装置及方法
KR102303034B1 (ko) 결함 제거장치 및 결함 제거방법
JP5130970B2 (ja) 鋼材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US9782849B2 (en) Scarfing machine for scarfing hot and cold workpieces made of steel, such as slabs, blocks and billets
JPWO2018056164A1 (ja) 熱延鋼板の冷却装置及び冷却方法
JP3654213B2 (ja) 形鋼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JP2018103248A (ja) H形鋼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JP2019535530A (ja) 液体金属から鋳物を製造するためのキャタピラ鋳造機およびその方法
KR101423606B1 (ko) 주편 절단 장치
KR101701983B1 (ko) 플라즈마 토치 및 이를 구비하는 주편 표면 처리 장치
JP5335812B2 (ja) 鋼片の溶削装置及び鋼片の溶削方法
KR101214313B1 (ko) 강편의 용삭 장치 및 그 노즐 막힘 검출 방법
KR102166613B1 (ko) 슬래그 낙하 차단 장치
KR20210032796A (ko) 절단 장치 및 절단 방법
JP3617448B2 (ja) 鋼板の水切り方法および装置
KR102638366B1 (ko) 연속 주조 주편의 2 차 냉각 방법 및 장치
KR20190075384A (ko) 스카핑 장치
KR100197640B1 (ko) 업세팅 프레스의 프레스공구의 냉각장치 및 그 장치의 작동방법
JP6885270B2 (ja) スラブの溶削方法
KR20020051964A (ko) 전로의 다기능 슬래그 컷팅장치
KR860001950Y1 (ko) 강스트립의 연속 냉간압연 어닐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