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552B1 - 의료용 시린지 - Google Patents

의료용 시린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552B1
KR102302552B1 KR1020190028894A KR20190028894A KR102302552B1 KR 102302552 B1 KR102302552 B1 KR 102302552B1 KR 1020190028894 A KR1020190028894 A KR 1020190028894A KR 20190028894 A KR20190028894 A KR 20190028894A KR 102302552 B1 KR102302552 B1 KR 102302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disposed
plunger
stopp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611A (ko
Inventor
선 정
이덕희
황선문
최준호
송윤선
김경아
Original Assignee
(주)휴바이오메드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바이오메드,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휴바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19002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552B1/ko
Priority to EP20770230.9A priority patent/EP3919094A4/en
Priority to US17/436,737 priority patent/US20220184317A1/en
Priority to PCT/KR2020/002680 priority patent/WO2020184867A1/ko
Priority to CN202080020963.1A priority patent/CN113573749A/zh
Priority to JP2021553019A priority patent/JP7259072B2/ja
Publication of KR20200109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01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 A61M5/31505Integral with the syringe barrel, i.e. connected to the barrel so as to make up a single complete piece or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1Piston pumps, e.g.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3Suction drainage systems comprising sensors or indicators for physical values
    • A61M1/732Visual indicating means for vacuum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01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3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 A61B2017/0056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creating a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79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suction of debr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81Treatment of vulnerable pla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5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means inserted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01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 A61M2005/31508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provided on the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3Syringe, pist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44Measuring or controlling pressure at the body treatment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2Blood circul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실린더;및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1 방향으로 진퇴 이동하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돌기는 상기 플런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토퍼와 복수의 상기 돌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플런저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의료용 시린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시린지{Medical syringe}
실시예는 의료용 시린지에 관한 것이다.
혈관조형술 분야는 혈관으로 미세한 주사바늘 등을 삽입하여 혈관내의 질환을 치료하는 의료분야 중 하나이다. 특히 혈관에 혈전이 쌓일 경우 뇌졸중, 동맥 경화 등 위험하고 큰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따라서 혈관 내부의 혈전을 제거하는 것은 중요한 의료수술 중 하나이다.
그 중 혈전을 용해하여 제거하는 방법 이외에, 혈전이 있는 부위에 기계적으로 기구를 직접 삽입하여 혈전을 분쇄하거나 흡입하는 방법이 있다. 시린지나 펌프장치를 이용하여, 혈관 내를 음압이나 양압을 만들어, 혈전을 분쇄하거나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펌프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과도한 압력으로 인하여, 혈관이 손상될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혈관에 연결되는 펌프장치는 부피가 크며 장비가 고가인 단점이 있다.
시린지의 경우, 혈전 흡입 후, 시술자가 시린지의 플런저를 놓는 경우, 압력 차에 의하여, 플런저가 빨려들어가면서 의료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7661호(2013.08.21.공고)
본 발명은 구성이 간소하고 조작이 용이하며, 의료사고를 줄일 수 있는 의료용 시린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내측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1 방향으로 진퇴 이동하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돌기는 상기 플런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토퍼와 복수의 상기 돌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플런저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의료용 시린지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런저는 상기 돌기가 배치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하며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는 상기 플런저의 길이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돌기가 배치되지 않는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는 단면이 십자 형태를 갖도록 수직하게 교차하여 배치되는 제1 파트와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제2 파트에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가 지나가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 파트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는 단면이 십자 형태를 갖도록 수직하게 교차하여 배치되는 제1 파트와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원호형 플레이트이며. 상기 돌기의 중심각은 예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 중 상기 제2 파트에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는 상기 플런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돌기와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2 돌기보다 상기 플런저의 씰링부재보다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각각. 상기 제1 파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일측 돌기와 상기 제1 파트의 타측에 배치되는 타측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의 교차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일측 돌기와 상기 타측 돌기는 회전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돌기의 일측 돌기와 타측 돌기는 상기 제1 파트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돌기의 일측 돌기와 타측 돌기는 상기 제1 파트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측 돌기는 상기 제2 파트의 상면 및 하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파트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일측 돌기와, 상기 제2 파트의 하면에 배치되는 상기 일측 돌기는 상기 제2 파트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돌기의 일측 돌기는 상기 제2 파트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돌기의 타측 돌기는 상기 제2 파트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2-1 돌기와 상기 제2-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1 돌기는 상기 제2-2 돌기보다 상기 제1 돌기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1 돌기 사이의 제1 거리는 상기 제2-1 돌기와 상기 제2-2 돌기 사이의 제2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는 단면이 십자 형태를 갖도록 수직하게 교차하여 배치되는 제1 파트와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제2 파트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플런저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가 관통하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플런저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스토퍼가 관통하는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홈은 복수의 상기 돌기 중 상기 플런저의 씰링부재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상기 돌기와, 상기 씰링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홈은 복수의 상기 돌기 중 상기 플런저의 핸들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상기 돌기와, 상기 핸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혈전을 뽑아낸 상태에서, 플런저를 고정시켜 시술이 용이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부피가 큰 흡입 장치가 필요없이, 시린지만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혈전을 흡입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혈전을 흡입하면서, 신체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시린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실린더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플런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3의 A-A에서 제1 돌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3의 B-B에서 제2-1 돌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3의 C-C에서 제2-2 돌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1 돌기와 스토퍼가 제1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핸들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흡입 전 시린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흡입 후 시린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흡입 후 시린지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흡입 후 시린지의 또 다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 매니폴드에 연결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시린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시린지(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료용 시린지(10)는, 실린더(100)와 플런저(200)와 음압계(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00)는 내측에 원통형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00)는 전방에 노즐을 포함하고, 후방은 개방되어 플런저(200)가 삽입된다. 플런저(200)는 실린더(100)의 내측에 배치된다. 플런저(200)는 실린더(100) 내측에서 제1 방향(S)으로 진퇴 이동한다. 또한, 플런저(200)는 실린더(100) 내부에서 제1 방향(S)과 평행인 축중심(C)을 기준하여 회전 가능하게 실린더(100)에 배치된다. 실린더(100)에는 음압계(1)가 배치될 수 있다. 음압계(1)를 통해 시술자는 시술 과정 중에 혈관 내부의 음압을 측정할 수 있다.
도 2는 실린더(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린더(100)는 스토퍼(110)를 포함한다. 스토퍼(110)는 실린더(100)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배치된다. 스토퍼(110)는 플런저(200)가 삽입되는 실린더(100)의 입구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플런저(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플런저(200)의 바디(210)의 일측에는 핸들(220)이 배치된다. 플런저(200)의 타측에는 씰링부재(230)가 배치될 수 있다. 시술자는 핸들(220)을 잡고, 플런저(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바디(210)는 제1 파트(211)와 제2 파트(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211) 및 제2 파트(212)는 평면 형태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1 파트(211)와 제2 파트(212)는 단면이 십자 형태를 이루도록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플런저(200)는 복수의 돌기(300)를 포함한다. 돌기(300)는 플런저(20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토퍼(110)와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제1 방향(S)을 기준으로 돌기(300)는 스토퍼(110)에 구속됨으로써, 시술 중에 압력차에 의해 플런저(200)가 실린더(100) 내측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돌기(300)는 제1 파트(211)와 제2 파트(212) 중 제2 파트(212)에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300)는 플런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돌기(300)는 제1 돌기(310)와 제2 돌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300) 중 제1 돌기(310)는 씰링부재(230)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돌기(300)이다. 제2 돌기(320)는 제1 돌기(310)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핸들(220)에 가깝게 배치되는 돌기(300)이다. 그리고 제2 돌기(320)는 제2-1 돌기(321)와 제2-2 돌기(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돌기(321)와 제2-2 돌기(322) 중 제2-1 돌기(321)는 상대적으로, 제1 돌기(310)에 가깝게 배치되는 돌기(300)이며, 제2-2 돌기(322)는 상대적으로 핸들(220)에 가깝게 배치되는 돌기(300)이다.
플런저(2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돌기(310)와 제2-1 돌기(321) 사이의 제1 거리(L1)는 제2-1 돌기(321)와 제2-2 돌기(322)의 사이의 제2 거리(L2)는 상이할 수 있다.
제1 파트(211)는 플런저(200)의 회전 방향으로 스토퍼(110)가 관통하는 제1 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400)은 제1 돌기(310)와 씰링부재(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트(212)는 플런저(200)의 회전방향으로 스토퍼(110)가 관통하는 제2 홈(5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홈(500)은 제2-2 돌기(322)와 핸들(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A-A에서 제1 돌기(3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돌기(310)는 중심각(R)이 예각인 원호형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1 돌기(310)는 제2 파트(212)에 배치되며, 스토퍼(110)가 관통하는 통로(u)가 형성되도록 제1 파트(211)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기(31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기(310)는 제1 파트(211)의 일측에 배치되는 일측 돌기(310A)와, 제1 파트(211)의 타측에 배치되는 타측 돌기(3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211)와 제2 파트(212)의 교차 중심(C)을 기준으로, 일측 돌기(310A)와 타측 돌기(310B)는 회전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측 돌기(310A)와 타측 돌기(310B)는 제1 파트(211)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측 돌기(310A)는 제2 파트(212)의 상면 및 하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트(212)의 상면에 배치되는 일측 돌기(310Aa)와, 제2 파트(212)의 하면에 배치되는 일측 돌기(310Ab)는 제2 파트(212)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타측 돌기(310B)는 제2 파트(212)의 상면 및 하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트(212)의 상면에 배치되는 타측 돌기(310Ba)와, 제2 파트(212)의 하면에 배치되는 타측 돌기(310Bb)는 제2 파트(212)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제1 돌기(310)는 4개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B-B에서 제2-1 돌기(32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1 돌기(321)는 중심각(R)이 예각인 원호형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2-1 돌기(321)는 제1 돌기(310)와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제2-1 돌기(321)는 제2 파트(212)에 배치되며, 스토퍼(110)가 관통하는 통로(u)가 형성되도록 제1 파트(211)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1 돌기(321)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돌기(321)는 제1 파트(211)의 일측에 배치되는 일측 돌기(3211A)와, 제1 파트(211)의 타측에 배치되는 타측 돌기(3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211)와 제2 파트(212)의 교차 중심(C)을 기준으로, 일측 돌기(321A)와 타측 돌기(321B)는 회전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측 돌기(321A)는 제2 파트(212)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타측 돌기(321B)는 제2 파트(212)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1 돌기(321)는 제1 돌기(310)에 비해, 스토퍼(110)가 지나가는 통로(u)의 면적이 넓다. 이는 플런저(200)의 진퇴 이동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반면에, 제1 돌기(310)의 통로(u)의 면적은 제2 돌기(320)의 통로(u)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좁다. 이는 제1 돌기(310)가 스토퍼(110)에 걸리는 위치는 플런저(200)가 실린더(100)로부터 최대한 빠진 상태이기 때문에 플런저(200)의 진퇴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 보다 플런저(200)의 제1 돌기(310)가 스토퍼(110)에 용이하게 걸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9는 도 3의 C-C에서 제2-2 돌기(32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2 돌기(322)는 중심각(R)이 예각인 원호형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2-2 돌기(322)는 제1 돌기(310)와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제2-2 돌기(322)는 제2 파트(212)에 배치되며, 스토퍼(110)가 관통하는 통로(u)가 형성되도록 제2 파트(212)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2 돌기(322)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2 돌기(322)는 제1 파트(211)의 일측에 배치되는 일측 돌기(322A)와, 제1 파트(211)의 타측에 배치되는 타측 돌기(3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211)와 제2 파트(212)의 교차 중심(C)을 기준으로, 일측 돌기(322A)와 타측 돌기(322B)는 회전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측 돌기(322A)는 제2 파트(212)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타측 돌기(322B)는 제2 파트(212)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2 돌기(322)는 제1 돌기(310)에 비해, 스토퍼(110)가 지나가는 통로(u)의 면적이 넓다. 이는 플런저(200)의 진퇴 이동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제1 돌기(310)와 스토퍼(110)가 제1 방향(S)으로 오버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시술자가 핸들(220)을 조작하여 플런저(200)를 회전시키면, 제1 돌기(310)와 스토퍼(110)가 제1 방향(S)으로 기준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런저(200)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제1 돌기(310)가 스토퍼(110)에 걸리기 때문에, 플런저(200)의 이동이 구속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진 않았으나, 제2 돌기(320)도 시술자가 핸들(220)을 조작하여 플런저(200)를 회전시키면, 제2 돌기(320)와 스토퍼(110)가 제1 방향(S)으로 기준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핸들(220)은 상하면(222)의 폭(w)보다 측면(221)의 높이(h)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하면(222)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핸들(220)의 형상은, 시술자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2는 흡입 전 시린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a)와 같이, 흡입 전에는 플런저(200)가 실린더(100) 내측으로 최대한 밀려 있는 상태이다. 도 12의 (b)와 같이, 플런저(2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스토퍼(110)와 제2 홈(500)이 정렬된다. 도 5 및 도 12를 참조하면, 스토퍼(110)가 제2 홈(500)에 위치하면서, 플런저(200)는 축중심(C)을 기준으로 180° 범위로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으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다. 제1 공간(S1)에서, 플런저(200)의 움직임은 제1 돌기(310)와 제2 돌기(320)에 의해 구간별로 구속된다. 반면에, 제2 공간(S2)에서, 플런저(200)의 움직임은 제1 돌기(310)와 제2 돌기(320)에 의해 구속 받지 않고 모든 구간(흡입양 0ml~60ml)에서 자유롭다.
따라서 사용자(의사) 필요에 따라 약액을 한번에 투입하는 등 자유롭게 플런저(200)를 움직이려면 제2공간(S2)을 선택하면 되고, 혈전을 흡착하면서 플런저(200)를 고정시키려면 제1공간(S1)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2홈(500)을 제1파트(211)에도 형성하여 플런저(200)를 360°범위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돌기(310)와 제2 돌기(320)는 스토퍼(110)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이다.
도 13은 흡입 후 시린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a)와 같이, 시술자가 플런저(200)를 당기면, 실린더(100) 내측으로 일정양(예를 들어 30ml)의 혈전이 흡입될 수 있다. 도 13의 (a) 및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제2-2 돌기(322)가 스토퍼(11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플런저(200)를 당기 후, 플런저(200)를 회전시키면, 제2-2 돌기(322)가 스토퍼(110)에 걸리면서 플런저(200)의 진입 방향으로 플런저(200)는 구속된다. 때문에 사용자가 플런저(200)를 손에서 놓더라도 압력 차에 의해 플런저(200)가 실린더(100) 내측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시술자는 음압계(1)를 통해 환자의 혈관의 음압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흡입 후 시린지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a)와 같이, 시술자가 플런저(200)를 더 당기면, 실린더(100) 내측으로 일정양(예를 들어 45ml)의 혈전이 흡입될 수 있다. 도 14의 (a) 및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제2-1 돌기(321)가 스토퍼(11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플런저(200)를 더 당기 후, 플러저를 회전시키면, 제2-1 돌기(321)가 스토퍼(110)에 걸리면서 플런저(200)의 진입 방향으로 플런저(200)는 구속된다. 때문에 사용자가 플런저(200)를 손에서 놓더라도 압력 차에 의해 플런저(200)가 실린더(100) 내측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시술자는 음압계(1)를 통해 환자의 혈관의 음압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는 흡입 후 시린지의 또 다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의 (a)와 같이, 시술자가 플런저(200)를 최대한 당기면, 실린더(100) 내측으로 일정양(예를 들어 60ml)의 혈전이 흡입될 수 있다. 도 15의 (a) 및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제1 돌기(310)가 스토퍼(11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플런저(200)를 완전히 당기 후, 플러저를 회전시키면, 제1 돌기(310)가 스토퍼(110)에 걸리면서 플런저(200)의 진입 방향으로 플런저(200)는 구속된다. 때문에 사용자가 플런저(200)를 손에서 놓더라도 압력 차에 의해 플런저(200)가 실린더(100) 내측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시술자는 음압계(1)를 통해 환자의 혈관의 음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돌기(310)는 플런저(2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스토퍼(110)와 제1 홈(400)이 정렬된다. 플런저(20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스토퍼(110)가 제1 홈(400)을 관통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도 6 및 도 15를 참조하면, 스토퍼(110)가 제1 홈(400)에 위치하면서, 플런저(200)는 축중심(C)을 기준으로 180° 범위로 제3 공간(S3)과 제4 공간(S4)으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다. 제3 공간(S3)에서, 플런저(200)의 움직임은 제1 돌기(310)와 제2 돌기(320)에 의해 구간별로 구속된다. 반면에, 제4 공간(S4)에서, 플런저(200)의 움직임은 제1 돌기(310)와 제2 돌기(320)에 의해 구속 받지 않고 모든 구간(흡입양 0ml~60ml)에서 자유롭다.
따라서, 스토퍼(110)는 제1 파트(211)의 일측 돌기(310A)뿐만 아니라 타측 돌기(310B)와도 용이하게 정렬된다.
사용자(의사) 필요에 따라 약액을 한번에 투입하는 등 자유롭게 플런저(200)를 움직이려면 플런저(200)를 회전시켜 제4공간(S4)을 선택하면 되고, 혈전을 흡착하면서 플런저(200)를 고정시키려면 제3공간(S3)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홈(400)을 대응되는 플런저(200)의 나머지 부분에 추가로 형성하여 플런저(200)를 360°범위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6 매니폴드에 연결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시린지(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시린지(10)는 복수의 밸브(31)를 갖는 매니폴드(30)에 연결될 수 있다. 매니폴드(30)에는 혈관에 삽입되는 기구들이 연결될 수 있다. 매니폴드(30)에는 양압계를 구비하고 혈관내에 약물을 주입하는 시린지(20)가 연결될 수도 있다. 시술자는 매니폴드(30)의 밸브(31)의 개폐를 조작하여 혈관내에서 음압이나 양압을 형성하여 약물을 주입하거나 혈전을 흡입하는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시린지(10)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의료용 시린지
100: 실린더
110: 스토퍼
200: 플런저
210: 바디
220: 핸들
211: 제1 파트
212: 제2 파트
300: 돌기
310: 제1 돌기
320: 제2 돌기

Claims (15)

  1. 내측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실린더;및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1 방향으로 진퇴 이동하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돌기는 상기 플런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토퍼와 복수의 상기 돌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플런저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돌기가 배치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하며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단면이 십자 형태를 갖도록 수직하게 교차하여 배치되는 제1 파트와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플런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파트에 배치되는 제1 돌기와 제2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2 돌기보다 상기 플런저의 씰링부재에 보다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각각 상기 제1 파트를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일측 돌기와 상기 제1 파트를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되는 타측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의 일측 돌기와 타측 돌기는 상기 제2 파트의 상면 및 하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배치되되, 상기 제1 돌기의 일측 돌기와 타측 돌기는 각각 상기 스토퍼가 지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파트와 이격되어 있으며, 중심각이 예각인 원호형 플레이트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기의 일측 돌기는 상기 제2 파트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돌기의 타측 돌기는 상기 제2 파트의 하면에 배치되되, 상기 제2 돌기의 일측 돌기와 타측 돌기는 각각 상기 스토퍼가 지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파트와 이격되어 있으며, 중심각이 예각인 원호형 플레이트 구조를 포함하는 의료용 시린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의 일측 돌기와 타측 돌기는 상기 제1 파트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의료용 시린지.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돌기는 상기 제2 파트의 상면 및 하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파트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일측 돌기와, 상기 제2 파트의 하면에 배치되는 상기 일측 돌기는 상기 제2 파트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의료용 시린지.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는 제2-1 돌기와 제2-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1 돌기는 상기 제2-2 돌기보다 상기 제1 돌기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1 돌기 사이의 제1 거리는 상기 제2-1 돌기와 상기 제2-2 돌기 사이의 제2 거리와 상이한 의료용 시린지.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플런저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스토퍼가 관통하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플런저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스토퍼가 관통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의료용 시린지.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은 복수의 상기 돌기 중 상기 플런저의 씰링부재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씰링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의료용 시린지.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은 복수의 상기 돌기 중 상기 플런저의 핸들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상기 제2 돌기와 상기 핸들 사이에 배치되는 의료용 시린지.
KR1020190028894A 2019-03-13 2019-03-13 의료용 시린지 KR102302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894A KR102302552B1 (ko) 2019-03-13 2019-03-13 의료용 시린지
EP20770230.9A EP3919094A4 (en) 2019-03-13 2020-02-25 MEDICAL SYRINGE
US17/436,737 US20220184317A1 (en) 2019-03-13 2020-02-25 Medical syringe
PCT/KR2020/002680 WO2020184867A1 (ko) 2019-03-13 2020-02-25 의료용 시린지
CN202080020963.1A CN113573749A (zh) 2019-03-13 2020-02-25 医用注射器
JP2021553019A JP7259072B2 (ja) 2019-03-13 2020-02-25 医療用シリン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894A KR102302552B1 (ko) 2019-03-13 2019-03-13 의료용 시린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611A KR20200109611A (ko) 2020-09-23
KR102302552B1 true KR102302552B1 (ko) 2021-09-16

Family

ID=7242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894A KR102302552B1 (ko) 2019-03-13 2019-03-13 의료용 시린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84317A1 (ko)
EP (1) EP3919094A4 (ko)
JP (1) JP7259072B2 (ko)
KR (1) KR102302552B1 (ko)
CN (1) CN113573749A (ko)
WO (1) WO20201848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285B1 (ko) 2020-08-28 2022-07-18 신정훈 백래시의 제어구조를 가진 태양광 발전용 회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9829A1 (en) * 2009-07-10 2011-01-1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lush Syring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34650B1 (fr) * 1988-08-01 1990-11-02 Labouze Joseph Seringue non reutilisable
CA2197671A1 (en) * 1994-06-15 1995-12-21 Hubert Menendez Locking device for syringe or like instrument
AUPN615095A0 (en) * 1995-10-24 1995-11-16 Astra Pharmaceuticals Pty Ltd Tamper evident syringe design
ES2659994T3 (es) * 2007-06-12 2018-03-2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onjunto de jeringa que incluye un mecanismo de prevención de reutilización
JP2009028527A (ja) * 2007-06-28 2009-02-12 Tokai Univ 注射器
US20100076370A1 (en) * 2008-09-23 2010-03-25 Infusion Advancement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urging catheter systems
CN201500348U (zh) * 2009-07-10 2010-06-09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易见回血的注射器
CN201969078U (zh) * 2010-12-21 2011-09-14 深圳市昕力医疗设备开发有限公司 六档式抽吸真空注射器
KR101297661B1 (ko) 2011-10-12 2013-08-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린지 펌프 시뮬레이터
JP2013226198A (ja) * 2012-04-24 2013-11-07 Terumo Corp シリンジおよび装着具
MX365722B (es) * 2013-01-30 2019-06-11 Terrence Armstrong Sean Jeringa.
BR112017012429B1 (pt) * 2014-12-12 2022-09-13 Wake Forest University Health Sciences Seringa e subcombinação
DE102015000999A1 (de) * 2015-01-27 2016-07-28 Sarl Omsi Kolben für Spritzen und Spritz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9829A1 (en) * 2009-07-10 2011-01-1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lush Syring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59072B2 (ja) 2023-04-17
KR20200109611A (ko) 2020-09-23
EP3919094A1 (en) 2021-12-08
CN113573749A (zh) 2021-10-29
WO2020184867A1 (ko) 2020-09-17
JP2022526081A (ja) 2022-05-23
US20220184317A1 (en) 2022-06-16
EP3919094A4 (en) 202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4003C2 (ru) Устройства,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оставки жидкостей
US5439022A (en) Lavage valve
KR101929603B1 (ko) 말초 iv 카테터를 통한 채혈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6500155B2 (en) Safety angled indwelling needle and a protective shield for a safety angled indwelling needle
DE69233344T2 (de) Implantierbare Einlassöffnung
CA1293417C (en) Biopsy device
ES2578677T3 (es) Conjunto de aguja de enromado doble
EP2273926B1 (en) A practical and safe needle biopsy device
US8475403B2 (en) Aspirating and injecting device with biased closed distal opening
JP2016511123A (ja) 複数の区画室を具備するシリンジ
WO2003002182A1 (en) Apparatus for inserting guide wire for use in catheter
BRPI0901474A2 (pt) sonda de biópsia com lúmen hipodérmico
DE602004013072T2 (de) Nadelschutz mit Merkmalen zum Führen einer Sonde
KR102302552B1 (ko) 의료용 시린지
US5395350A (en) Paracentesis valve
US10835724B2 (en) Biopsy spacer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337008B1 (ko) 혈관접속을 위한 의료용 연결기구
US10557552B2 (en) Trough seal
SE467442B (sv) Engaangshylsa foer venoes provtagning enligt vakuumroersmetodiken
US9615845B2 (en) Calculus retrieving/removing device and method
KR20160029497A (ko) 의료용 약물주입 여과기
KR101672701B1 (ko) 보유 와이퍼를 구비한 mri 생검 타겟팅 큐브
JP2024019362A (ja) 医療器具および医療器具セット
BE1024992B1 (nl) Toegang verschaffend apparaat
WO1995021641A1 (en) Valv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