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290B1 -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290B1
KR102302290B1 KR1020200065441A KR20200065441A KR102302290B1 KR 102302290 B1 KR102302290 B1 KR 102302290B1 KR 1020200065441 A KR1020200065441 A KR 1020200065441A KR 20200065441 A KR20200065441 A KR 20200065441A KR 102302290 B1 KR102302290 B1 KR 102302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lip
wire harness
corrugated pipe
straight mov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훈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00065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는: 와이어하네스를 보호하고, 돌출부와 홈부가 반복 형성되는 보호주름관과, 보호주름관의 둘레를 감싸 결합하면서 홈부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체결부재를 통해 차체에 결합되는 고정클립과, 보호주름관에 마련되고, 보호주름관에 설치된 고정클립의 조립 위치 변경시 보호주름관에서 고정클립의 길이방향 이동을 도와주는 직진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WIREHARNESS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하네스를 보호주름관에 삽입 설치하여 고정클립을 통해 차체에 고정함에 있어 직진이동부를 이용하여 고정클립을 분리하지 않아도 보호주름관에서 길이방향 수평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정클립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에 의한 부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많이 있다. 이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져 있어서 와이어링이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케이블, 밴드 클립등의 서포트부재를 사용하여서 와이어하네스를 고정하도록 한다.
와이어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들을 지칭한다. 와이어하네스는 고정클립 또는 프로텍터를 통해 차체에 고정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고정클립을 이용하여 조립하는 경우에는 와이어하네스를 보호주름관에 설치한 후 고정클립으로 보호주름관을 잡아주고서 차체에 고정하므로 와이어하네스를 차체의 조립할 수 있다.
이때, 고정클힙의 내측면에는 보호주름관의 홈부분에 삽입되어 보호주름관의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고정클립은 보호주름관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보호주름관에 고정클립을 고정함에 있어 걸림돌기가 보호주름관의 홈부에 끼워져 결합됨에 따라 차종에 따라 고정클립의 차체 조립위치가 변경되어 고정길이의 여유가 부족한 경우 고정클립을 분리하여 위치를 조절한 후 다시 조립해야 하는 등 조립성이 저하되고, 조립 작업시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부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657호(2009.02.26, 발명의 명칭: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와이어하네스를 보호주름관에 삽입 설치하여 고정클립을 통해 차체에 고정함에 있어 직진이동부를 이용하여 고정클립을 분리하지 않아도 보호주름관에서 길이방향 수평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정클립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에 의한 부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는, 와이어하네스를 보호하고, 돌출부와 홈부가 반복 형성되는 보호주름관; 상기 보호주름관의 둘레를 감싸 결합하면서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체결부재를 통해 차체에 결합되는 고정클립; 및 상기 보호주름관에 마련되고, 상기 보호주름관에 설치된 상기 고정클립의 조립 위치 변경시 상기 보호주름관에서 상기 고정클립의 길이방향 이동을 도와주는 직진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와이어하네스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1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에 대응되어 상기 와이어하네스의 다른 일부를 감아주는 제2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제1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바디부에 마련된 걸림부가 삽입 장칙되는 걸림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마운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진이동부는 상기 보호주름관의 직진이동구간에서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직진이동부의 직경은 상기 돌출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직진이동부에 설치된 상기 고정클립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클립과 상기 직진이동부는 회전방지부에 의해 상호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직진이동부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방지돌부; 및 상기 회전방지돌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클립의 직진이동을 도와주면서 상기 고정클립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는, 와이어하네스를 보호주름관에 삽입 설치하여 고정클립을 통해 차체에 고정함에 있어 직진이동부를 이용하여 고정클립을 분리하지 않아도 보호주름관에서 길이방향 수평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정클립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에 의한 부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에서, 직진이동부의 확대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에서, 고정클립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직진이동부를 이용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에서, 직진이동부에 이동차단부를 구비한 변형에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에서, 직진이동부의 확대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에서, 고정클립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직진이동부를 이용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에서, 직진이동부에 이동차단부를 구비한 변형에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는, 보호주름관(100), 고정클립(200) 및 직진이동부(300)를 포함한다.
보호주름관(100)은 와이어하네스(10)를 보호하고, 돌출부(110)와 홈부(120)가 반복 형성되는 구성이다.
보호주름관(100)은 주름 형태로 형성되어 와이어하네스(1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고정클립(200)은 보호주름관(100)의 둘레를 감싸 결합하면서 홈부(120)에 끼워지는 걸림돌기(205)를 형성하고, 체결부재(30)를 통해 차체(20)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고정클립(200)은 와이어하네스(10)의 일부를 안착하여 지지하는 제1바디부(210)와, 제1바디부(210)에 대응되어 와이어하네스(10)의 다른 일부를 감아주는 제2바디부(220)와, 제1바디부(210)와 제2바디부(220)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230)와, 제1바디부(210)에 설치되고, 제2바디부(220)에 마련된 걸림부가 삽입 장칙되는 걸림홀이 형성되며, 체결부재(30)를 통해 차체(20)에 고정되는 마운팅부(240)를 포함한다.
체결부재(30)는 차체(20)의 나사홀에 체결되는 체결볼트 또는 차체(20)에 구비되는 볼트에 체결되는 체결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부(220)는 밴드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밴드부는 와이어하네스의 다른 일부를 감아준 후 마운팅부의 걸림부의 소정 위치에 걸림으로써, 와이어하네스를 지지할 수 있다,
힌지부(230)는 제1바디부(210)와 제2바디부(220)의 외측 모서리에서 외측으로 원호형상으로 구부려져 구성된다.
힌지부(230)는 제1바디부(210)와 제2바디부(220)의 두께에 비해 훨씬 얇게 형성되므로 제1바디부(210)에 대한 제2바디부(22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직진이동부(300)는 보호주름관(100)에 마련되고, 보호주름관(100)에 설치된 고정클립(200)의 조립 위치 변경시 보호주름관(100)에서 고정클립(200)의 길이방향 이동을 도와주는 구성이다.
직진이동부(300)는 보호주름관(100)의 직진이동구간에서 평평하게 형성된다.
직진이동부(300)의 직경은 보호주름관(100)의 돌출부(1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직진이동부(300)에 설치된 고정클립(200)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진이동부(300)는 단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고정클립(200)과 직진이동부(300)는 회전방지부(400)에 의해 상호 회전이 방지된다.
회전방지부(400)는, 직진이동부(300)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방지돌부(410)와, 회전방지돌부(410)에 삽입되어 고정클립(200)의 직진이동을 도와주면서 고정클립(20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홈부(420)를 포함한다.
회전방지돌부(410)는 직진이동부(30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잠차적으로 협소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회전방지돌부(410)는 단면에서 볼 때 대략 굴곡진 이등변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지만 필요에 따라 반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직진이동부(300)에는 고정클립(200)의 길이방향 이동량을 확인 가능하도록 고정클립(200)의 걸림돌기(205)에 접촉되는 이동량확인부(5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량확인부(500)는 직진이동부(300)의 둘레에 길이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갖도록 다수개 형성된다.
이동량확인부(500)는 단면에서 볼 때, 걸림돌기(205)의 걸림 이동을 안내하면서 걸림돌기(205)와 부딪쳐 소리알림을 발생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직진이동부(300)의 외측면에는 고정클립(200)의 길이방향 직진 이동을 제한한 이동차단부(6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차단부(600)는 직진이동부(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차단돌기를 포함한다.
이동차단부(600)는 보호주름관(100)의 돌출부(110)의 외경에 비해 직진이동부(300)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차단부(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판체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며 고정클립(200)을 직진이동부(300)에서 직진 이동하여 조립위치를 변경하는 상태를 살펴 보면, 어느 하나의 조립위치에서 고정클립(200)을 보호주름관(100)의 홈부(12)에 걸림돌기(205)를 삽입하고, 체결부재(30)를 이용하여 고정클립(200)을 차체(20)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연이어, 다른 하나의 고정클립(200)을 직진이동부(300)에 설치된 상태에 있으므로 차종에 따른 조립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직진이동부(300)의 직진이동구간을 따라 고정클립(200)을 조립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조립위치에 도달한 후 체결부재(30)를 이용하여 차체(20)에 고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정클립(200)을 분리하지 않아도 고정클립(200)이 직진이동부(300)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직진 이동을 통해 조립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랍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병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는, 와이어하네스를 보호주름관에 삽입 설치하여 고정클립을 통해 차체에 고정함에 있어 직진이동부를 이용하여 고정클립을 분리하지 않아도 보호주름관에서 길이방향 수평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정클립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에 의한 부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와이어하네스 20: 차체
30: 체결부재 100: 보호주름관
110: 돌출부 120: 홈부
200: 고정클립 205: 걸림돌기
210: 제1바디부 220: 제2바디부
230: 힌지부 240: 마운팅부
300: 직진이동부 400: 회전방지부
410: 회전방지돌부 420: 회전방지홈부
500: 이동량확인부 600: 이동차단부

Claims (4)

  1. 와이어하네스를 보호하고, 돌출부와 홈부가 반복 형성되는 보호주름관;
    상기 보호주름관의 둘레를 감싸 결합하면서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체결부재를 통해 차체에 결합되는 고정클립; 및
    상기 보호주름관에 마련되고, 상기 보호주름관에 설치된 상기 고정클립의 조립 위치 변경시 상기 보호주름관에서 상기 고정클립의 길이방향 이동을 도와주는 직진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클립과 상기 직진이동부는 회전방지부에 의해 상호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직진이동부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방지돌부; 및
    상기 회전방지돌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클립의 직진이동을 도와주면서 상기 고정클립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와이어하네스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1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에 대응되어 상기 와이어하네스의 다른 일부를 감아주는 제2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제1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바디부에 마련된 걸림부가 삽입 장칙되는 걸림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마운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이동부는 상기 보호주름관의 직진이동구간에서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직진이동부의 직경은 상기 돌출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직진이동부에 설치된 상기 고정클립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
  4. 삭제
KR1020200065441A 2020-05-29 2020-05-29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 KR102302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441A KR102302290B1 (ko) 2020-05-29 2020-05-29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441A KR102302290B1 (ko) 2020-05-29 2020-05-29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290B1 true KR102302290B1 (ko) 2021-09-14

Family

ID=7777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441A KR102302290B1 (ko) 2020-05-29 2020-05-29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2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850A (ko) * 1995-06-21 1999-02-25 레이몽알렝 전선다발 포장용 튜브형 외피채널
JP2013013232A (ja) * 2011-06-29 2013-01-1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ルゲートチューブへのクランプ取付構造
JP2014241666A (ja) * 2013-06-11 2014-12-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ルゲートクランプおよびコルゲートクランプ付きワイヤーハーネス
KR20160086206A (ko) * 2015-01-09 2016-07-19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하네스 차체 고정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2019087432A (ja) * 2017-11-08 2019-06-06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850A (ko) * 1995-06-21 1999-02-25 레이몽알렝 전선다발 포장용 튜브형 외피채널
JP2013013232A (ja) * 2011-06-29 2013-01-1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ルゲートチューブへのクランプ取付構造
JP2014241666A (ja) * 2013-06-11 2014-12-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ルゲートクランプおよびコルゲートクランプ付きワイヤーハーネス
KR20160086206A (ko) * 2015-01-09 2016-07-19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하네스 차체 고정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2019087432A (ja) * 2017-11-08 2019-06-06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0223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の固定構造
JP6035626B2 (ja) 外装部材と後付け部品との取り付け構造
KR102302289B1 (ko) 와이어하네스 차체 고정클립
KR20150106835A (ko) 그로밋 및 와이어 하니스
JP2018153059A (ja)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の取り付け構造
CN104242178A (zh) 车门用配线装置
JP4963265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5990756A (en) Ferrite bead for cable installations having one piece encasement
KR102302290B1 (ko) 와이어하네스 고정장치
WO2016098559A1 (ja)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電線
JP2008236938A (ja) 分岐プロテクタ
JP5675327B2 (ja) 保護管固定構造
JP7316991B2 (ja) 固定構造
KR102112154B1 (ko) 와이어링 프로텍터
WO2020250575A1 (ja) クランプ体、コネクタユニット、及び電線付きコネクタユニット
KR101446655B1 (ko) 다공 그로멧을 포함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JP2013192381A (ja) ワイヤハーネス保護材及び外装部材付きワイヤハーネス
JP7256220B2 (ja) 外装構造体、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20190136747A (ko) 방호관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설비, 방호관 결합부를 구비하는 데드엔드 커버
KR102529733B1 (ko) 와이어링 고정용 밴드케이블
WO2019009043A1 (ja) 細長部材の保持構造
JP2023055316A (ja) プロテクタ設置部材
KR102496090B1 (ko) 위치 조절용 고정클립
JPH10210627A (ja) 電線外装材
JP2003259528A (ja) ワイヤハーネス用外装材、該外装材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の外装方法および外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