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100B1 -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100B1
KR102302100B1 KR1020200061437A KR20200061437A KR102302100B1 KR 102302100 B1 KR102302100 B1 KR 102302100B1 KR 1020200061437 A KR1020200061437 A KR 1020200061437A KR 20200061437 A KR20200061437 A KR 20200061437A KR 102302100 B1 KR102302100 B1 KR 102302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vehicle
cradle body
unit
wireless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진
Original Assignee
김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진 filed Critical 김효진
Priority to KR1020200061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8Ventil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철(111) 및 흡기홀(112)이 형성된 그릴부(110)와, 그릴부(11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크래들 본체(120)와, 스마트기기(10)를 무선충전하는 무선충전부(130)와, 크래들 본체(120)를 커버하는 배면 케이스(140)와, 스마트기기(10)의 발열을 냉각하는 볼베어링 회전방식의 냉각팬(151)을 구비한 쿨러(150)와, 스마트기기(10)를 지지하는 받침대(160)와, 스마트기기(10)의 디지털신호를 감지하는 자기장 감지센서(미도시)와, 스마트기기(1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클램핑 슬라이더와, 무선충전부(130)를 구동하는 차량 전원부(미도시)와, 클램핑 슬라이더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내장배터리(미도시)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내장배터리를 통해 클램핑 슬라이더를 해제하는, 듀얼 개폐센서부(180)로 구성되어, 스마트기기(10)의 무선충전시에, 스마트기기(10) 뿐만 아니라 무선충전기 내부구성의 발열을 저소음 쿨러(150)에 의해 냉각하여 과열을 방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WIRELESS POWER CHARGER OF SMART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의 무선충전시에, 스마트기기 뿐만 아니라 무선충전기 내부구성의 발열을 저소음 쿨러에 의해 냉각하여 과열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스마트기기를 무선충전하면서 차량에 거치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정된 장착 상태를 유지하여 차량 운행 중에 견고한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무선충전 거치대가 사용된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4395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는,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이 접촉되는 평탄한 지지면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면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무선충전패드가 배치되고, 후면에는 마운트 접속부가 구비되는 크래들 본체와, 크래들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접근시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센서부 및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입력받는 해제 버튼으로 이루어진 스위치유닛, 크래들 본체의 양측에 위치되어 스위치유닛의 신호를 받아 구동되는 구동원 및 구동원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의 양측면에 대한 물림고정 및 해제동작을 수행하는 한 쌍의 클립으로 이루어진 오토 클램프,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장품에 공급하는 전원접속부 및 전원접속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의 단전유무를 감지하는 단전 감지부 및 전원 단전시 충전된 전원을 전장품에 인가하기 위한 비상 전원부로 이루어진 전원유닛, 스위치유닛으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구동원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클램프 제어부, 단전 감지부에 연결되어 단전 감지 신호 인가시 비상 전원부의 전원을 전장품에 인가하는 비상 전원제어부를 포함하여, 무선충전 기능을 제공하면서 스마트기기의 접근시 자동으로 홀더가 동작하여 고정을 수행하고 차량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반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하지만, 무선충전패드가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과 밀착되어 접촉하여서, 무선충전시의 발열로 인한 온도 상승으로 충전효율이 저하되거나 충전이 중지될 수 있고, 심지어는 배터리 스웰링으로 인해 디스플레이의 변형 또는 배터리의 폭발 위험성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4395호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2018.12.0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0339호 (무선 충전 시스템에 적용된 차량용 거치대, 2017.01.26)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기기의 무선충전시에, 스마트기기 뿐만 아니라 무선충전기 내부구성의 발열을 저소음 쿨러에 의해 냉각하여 과열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의 배면이 밀착되고, 밀착면에 요철과 흡기홀이 교차 배열 형성된 그릴부; 상기 그릴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크래들 본체; 상기 크래들 본체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기기를 증폭방식의 전자기 유도 코일에 의해 무선충전하는 무선충전부; 상기 크래들 본체를 커버하며, 차량용 거치대에 거치되고, 하단에 그릴 형상의 통풍구가 형성된, 배면 케이스; 상기 크래들 본체의 내부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그릴부를 통해 외기를 흡기하여 상기 무선충전부를 통과하고 상기 통풍구로 배기하여서, 상기 무선충전부에 의한 상기 스마트기기 및 상기 무선충전부의 발열을 냉각하는 볼베어링 회전방식의 냉각팬을 구비한 쿨러; 상기 크래들 본체의 하단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기기를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스마트기기의 디지털신호를 감지하는 자기장 감지센서; 상기 자기장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의 상단에 치합하는 래크기어가 형성되고 일측은 배면 케이스 일측면으로 노출되고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스마트기기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제1클램프와, 상기 피니언기어의 하단에 치합하는 래크기어가 형성되고 일측은 배면 케이스 타측면으로 노출되고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스마트기기의 타측면을 가압하는 제2클램프로 구성되어, 상기 스마트기기를 고정하는 클램핑 슬라이더; 상기 자기장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충전부를 구동하여 상기 스마트기기를 무선충전하도록 하는 차량 전원부; 상기 모터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내장배터리; 및 상기 배면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내장배터리를 통해 상기 클램핑 슬라이더를 해제하는, 듀얼 개폐센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그릴부의 요철은 상기 스마트기기의 배면과 선접촉 또는 점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홀은 상기 요철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흡기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크래들 본체에 대향하는 상기 그릴부의 내부에서 상기 흡기통로는 상기 무선충전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래들 본체와 결합하는 상기 그릴부의 측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외기를 상기 그릴부의 측면으로부터 흡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부의 흡기홀 또는 상기 배면 케이스의 통풍구를 통해 공기정화기능을 제공하는 이오나이저를 상기 크래들 본체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래들 본체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상단 및 하단과 접촉하도록,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상단과 하단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의 양측면과 각각 접촉하는 제1클램프 및 제2클램프 내측면에는 탄성재질의 다공성 슬립방지패드가 부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의 하단과 접촉하는 상기 받침대의 내측면에는 탄성재질의 다공성 슬립방지패드가 부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를 무선충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충전부와 상기 쿨러를 조합하여 구동하여 차량 실내로 냉풍 또는 온풍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상기 크래들 본체에 대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기기의 무선충전시에, 스마트기기 뿐만 아니라 무선충전기 내부구성의 발열을 저소음 쿨러에 의해 냉각하여 과열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와의 밀착영역을 최소화하도록, 스마트기기의 상단 및 하단과만 접촉하도록 크래들 본체를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아치형의 사이 공간으로 외기가 원활하게 순환하거나 흡기되도록 하여 온도 상승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내장배터리를 통해 클램핑 슬라이더를 해제하여,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 터치하여 스마트기기를 쉽게 탈거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의 분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의 그릴부를 분리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의 클램핑 슬라이더를 분리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의 스마트기기와의 밀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1의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는, 전체적으로, 요철(111) 및 흡기홀(112)이 형성된 그릴부(110)와, 그릴부(11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크래들 본체(120)와, 스마트기기(10)를 무선충전하는 무선충전부(130)와, 크래들 본체(120)를 커버하는 배면 케이스(140)와, 스마트기기(10)의 발열을 냉각하는 볼베어링 회전방식의 냉각팬(151)을 구비한 쿨러(150)와, 스마트기기(10)를 지지하는 받침대(160)와, 스마트기기(10)의 디지털신호를 감지하는 자기장 감지센서(미도시)와, 스마트기기(1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클램핑 슬라이더와, 무선충전부(130)를 구동하는 차량 전원부(미도시)와, 클램핑 슬라이더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내장배터리(미도시)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내장배터리를 통해 클램핑 슬라이더를 해제하는, 듀얼 개폐센서부(180)로 구성되어, 스마트기기(10)의 무선충전시에, 스마트기기(10) 뿐만 아니라 무선충전기 내부구성의 발열을 저소음 쿨러(150)에 의해 냉각하여 과열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우선, 그릴부(11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10)의 배면이 밀착되고, 밀착면에는 요철(111)과 흡기홀(112)이 교차 배열 형성되어서, 스마트기기(10)의 배면과 밀착면 사이의 공간으로 외기를 흡기하여 흡기홀(112)을 통해 크래들 본체(12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그릴부(110)의 요철(111)은 스마트기기(10)의 배면과 선접촉 또는 점접촉하도록 형성되어서, 스마트기기(10)의 배면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무선충전시 무선충전부(130)에 의한 발열이 스마트기기(10)로 최소로 전달되도록 하여서, 스마트기기(10)의 발열을 최대한 낮추어 충전속도를 높이면서, 스마트기기(10)의 자체 배터리의 스웰링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변형과 배터리 폭발의 위험성을 제거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홀(112)은 요철(1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흡기통로(113)를 형성하고, 크래들 본체(120)에 대향하는 그릴부(110)의 내부에서 흡기통로(113)는 무선충전부(130)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서, 흡기홀(112)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바로 통풍구(142)로 배기되지 않고, 크래들 본체(120) 내부 전체를 순환한 후에 통풍구(142)로 배기되도록 하여 스마트기기(10) 뿐만 아니라, 내부구성도 동시에 냉각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크래들 본체(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부(110)가 전면에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내부구성을 수용하도록 한다.
다음, 무선충전부(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 본체(120)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어 스마트기기(10)를 증폭방식의 전자기 유도 코일(131)에 의해 무선충전한다.
다음, 배면 케이스(140)는,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 본체(120)를 커버하며, 차량용 거치대(미도시)에 배면에 형성된 결합구(141)를 통해 체결되어 거치되고, 하단에 그릴 형상의 통풍구(142)가 형성된다.
다음, 쿨러(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 본체(120)의 내부 하단에 형성되어 그릴부(110)의 흡기홀(112)을 통해 외기를 흡기하여 무선충전부(130)를 통과하도록 하고, 이후 배면 케이스(140)의 통풍구(142)로 배기하여서, 무선충전부(130)에 의한 충전시 발생하는 스마트기기(10)와 무선충전부(130)의 발열을 냉각하는 저소음 볼베어링 회전방식의 냉각팬(151)을 구비한다.
여기서, 쿨러(150)는 냉각팬(151)을 전면으로 개방되어 외기를 흡기하도록 하고 하단은 통풍구(142) 방향으로 개방되어 전면으로부터 하단으로 외기를 유동시킨다.
다음, 받침대(1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 본체(120)의 하단 외측에 결합되어 스마트기기(10)를 지지하여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기기(10)의 하단과 접촉하는 받침대(160)의 내측면에는 탄성재질의 다공성 슬립방지패드(161)가 부착 형성되어서, 표면 스크래치 또는 변형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160)는, 스마트기기(10)의 형상에 따라, 크래들 본체(120)에 대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다음, 자기장 감지센서는 무선충전부(130)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스마트기기(10)의 디지털신호를 감지한다.
다음, 클램핑 슬라이더는,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171)와, 모터(171)의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172)와, 피니언기어(172)의 상단에 치합하는 래크기어(173a)가 형성되고 일측은 배면 케이스(140) 일측면으로 노출되고 전방으로 ㄱ자형상으로 절곡되어 스마트기기(10)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제1클램프(173)와, 피니언기어(172)의 하단에 치합하는 래크기어(174a)가 형성되고 일측은 배면 케이스(140) 타측면으로 노출되고 전방으로 ㄱ자형상으로 절곡되어 스마트기기(10)의 타측면을 가압하는 제2클램프(174)로 구성되어, 스마트기기(10)의 그릴부(110)로의 안착을 감지하면 피니언기어(172)의 회전에 의해 제1클램프(173)와 제2클램프(174)가 상호 대향하여 접근하도록 하여 사이의 스마트기기(10)를 압착하여 고정하여 스마트기기(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기기(10)의 양측면과 각각 접촉하는 제1클램프(173) 및 제2클램프(174) 내측면에는 탄성재질의 다공성 슬립방지패드(175)가 부착 형성되어서, 스마트기기(10)의 압착시에 표면 스크래치 또는 변형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차량 전원부는 자기장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무선충전부(130)를 구동하여 스마트기기(10)를 무선충전하도록 시가잭 또는 USB를 통해 차량 전원을 공급한다.
다음, 내장배터리는 모터(171)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하여서, 차량 시동이 꺼져도 클램핑 슬라이더를 구동하도록 모터(171)로 구동전원을 공급하여 여유있게 스마트기기(10)를 탈거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듀얼 개폐센서부(18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케이스(14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내장배터리를 통해 클램핑 슬라이더를 해제하여,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 터치하여 스마트기기(10)를 쉽게 탈거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크래들 본체(120)와 결합하는 그릴부(110)의 측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그릴부(110)의 후크(114)가 크래들 본체(120)의 후크홀(121)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크래들 본체(120)로부터 돌출 형성된 스토퍼(122)에 의해 그릴부(110)와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도록하여, 이격공간을 통해 외기를 그릴부(110)의 측면으로부터 흡기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그릴부(110) 전면의 흡기홀(112)과 이격공간을 통해 동시에 외기를 흡기하도록 하여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크래들 본체(120)는, 스마트기기(10)의 상단 및 하단과만 접촉하도록, 스마트기기(10)와의 밀착영역을 최소화하는 공학적 설계를 통해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아치형(A)으로 라운드져 형성되어, 상단과 하단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서, 아치형(A)의 사이 공간으로 외기가 원활하게 순환하거나 흡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그릴부(110)의 흡기홀(112) 또는 배면 케이스(140)의 통풍구(142)를 통해 공기정화기능을 제공하는 이오나이저(ionizer)를 크래들 본체(120) 내부에 구비하여서, 이오나이저를 통해 차량 내부 오염에 의한 악취를 중화시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10)를 무선충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날씨 또는 차량 내부 환경에 따라, 무선충전부(130)와 쿨러(150)를 조합하여 구동하여 차량 실내로 냉풍 또는 온풍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의 구성에 의해서, 스마트기기의 무선충전시에, 스마트기기 뿐만 아니라 무선충전기 내부구성의 발열을 저소음 쿨러에 의해 냉각하여 과열을 방지하도록 하며, 스마트기기와의 밀착영역을 최소화하도록, 스마트기기의 상단 및 하단과만 접촉하도록 크래들 본체를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아치형의 사이 공간으로 외기가 원활하게 순환하거나 흡기되도록 하여 온도 상승을 최대한 억제하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내장배터리를 통해 클램핑 슬라이더를 해제하여,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 터치하여 스마트기기를 쉽게 탈거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그릴부 111 : 요철
112 : 흡기홀 113 : 흡기통로
114 : 후크 120 : 크래들 본체
121 : 후크홀 122 : 스토퍼
130 : 무선충전부 131 : 전자기 유도 코일
140 : 배면 케이스 141 : 결합구
142 : 통풍구 150 : 쿨러
151 : 냉각팬 160 : 받침대
161 : 슬립방지패드
171 : 모터 172 : 피니언기어
173 : 제1클램프 174 : 제2클램프
175 : 슬립방지패드 180 : 듀얼 개폐센서부

Claims (10)

  1. 스마트기기의 배면이 밀착되고, 밀착면에 요철과 흡기홀이 교차 배열 형성된 그릴부;
    상기 그릴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크래들 본체;
    상기 크래들 본체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기기를 증폭방식의 전자기 유도 코일에 의해 무선충전하는 무선충전부;
    상기 크래들 본체를 커버하며, 차량용 거치대에 거치되고, 하단에 그릴 형상의 통풍구가 형성된, 배면 케이스;
    상기 크래들 본체의 내부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그릴부를 통해 외기를 흡기하여 상기 무선충전부를 통과하고 상기 통풍구로 배기하여서, 상기 무선충전부에 의한 상기 스마트기기 및 상기 무선충전부의 발열을 냉각하는 볼베어링 회전방식의 냉각팬을 구비한 쿨러;
    상기 크래들 본체의 하단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기기를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스마트기기의 디지털신호를 감지하는 자기장 감지센서;
    상기 자기장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의 상단에 치합하는 래크기어가 형성되고 일측은 배면 케이스 일측면으로 노출되고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스마트기기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제1클램프와, 상기 피니언기어의 하단에 치합하는 래크기어가 형성되고 일측은 배면 케이스 타측면으로 노출되고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스마트기기의 타측면을 가압하는 제2클램프로 구성되어, 상기 스마트기기를 고정하는 클램핑 슬라이더;
    상기 자기장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충전부를 구동하여 상기 스마트기기를 무선충전하도록 하는 차량 전원부;
    상기 모터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내장배터리; 및
    상기 배면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내장배터리를 통해 상기 클램핑 슬라이더를 해제하는, 듀얼 개폐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릴부의 요철은 상기 스마트기기의 배면과 선접촉 또는 점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흡기홀은 상기 요철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흡기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크래들 본체에 대향하는 상기 그릴부의 내부에서 상기 흡기통로는 상기 무선충전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크래들 본체와 결합하는 상기 그릴부의 측면에는 상기 크래들 본체로부터 돌출 형성된 스토퍼에 의해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외기를 상기 그릴부의 측면으로부터 흡기하도록 하고,
    상기 크래들 본체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상단 및 하단과 접촉하도록,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상단과 하단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의 흡기홀 또는 상기 배면 케이스의 통풍구를 통해 공기정화기능을 제공하는 이오나이저를 상기 크래들 본체 내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의 양측면과 각각 접촉하는 제1클램프 및 제2클램프 내측면에는 탄성재질의 다공성 슬립방지패드가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의 하단과 접촉하는 상기 받침대의 내측면에는 탄성재질의 다공성 슬립방지패드가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를 무선충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충전부와 상기 쿨러를 조합하여 구동하여 차량 실내로 냉풍 또는 온풍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크래들 본체에 대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
KR1020200061437A 2020-05-22 2020-05-22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 KR102302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437A KR102302100B1 (ko) 2020-05-22 2020-05-22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437A KR102302100B1 (ko) 2020-05-22 2020-05-22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100B1 true KR102302100B1 (ko) 2021-09-13

Family

ID=7779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437A KR102302100B1 (ko) 2020-05-22 2020-05-22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1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17866A1 (en) * 2019-11-05 2022-07-07 Huawei Digital Power Technologies Co., Ltd. Wireless charging base
CN114928986A (zh) * 2022-05-11 2022-08-19 重庆金康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控制方法、装置及车辆
CN116653731A (zh) * 2023-07-27 2023-08-29 河南跃海翼龙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带有冷暖通风开关组件的汽车扶手箱
CN117477729A (zh) * 2023-12-28 2024-01-30 深圳市美仕奇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多功能无线充电器及使用方法
WO2024049078A1 (ko) * 2022-08-29 2024-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015A (ko) * 1997-08-28 1999-03-15 전주범 이온 발생 기능의 전원 충전 장치
KR101700339B1 (ko) 2015-11-16 2017-01-26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무선 충전 시스템에 적용된 차량용 거치대
KR20170122969A (ko) * 2016-04-28 2017-11-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무선충전기용 패드
JP2018503342A (ja) * 2014-12-22 2018-02-01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充電デバイスにおける熱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924395B1 (ko) 2018-08-30 2018-12-03 주식회사 제이케이컴즈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015A (ko) * 1997-08-28 1999-03-15 전주범 이온 발생 기능의 전원 충전 장치
JP2018503342A (ja) * 2014-12-22 2018-02-01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充電デバイスにおける熱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700339B1 (ko) 2015-11-16 2017-01-26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무선 충전 시스템에 적용된 차량용 거치대
KR20170122969A (ko) * 2016-04-28 2017-11-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무선충전기용 패드
KR101924395B1 (ko) 2018-08-30 2018-12-03 주식회사 제이케이컴즈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17866A1 (en) * 2019-11-05 2022-07-07 Huawei Digital Power Technologies Co., Ltd. Wireless charging base
US11991854B2 (en) * 2019-11-05 2024-05-21 Huawei Digital Power Technologies Co., Ltd. Wireless charging base
CN114928986A (zh) * 2022-05-11 2022-08-19 重庆金康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控制方法、装置及车辆
CN114928986B (zh) * 2022-05-11 2024-04-26 重庆金康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控制方法、装置及车辆
WO2024049078A1 (ko) * 2022-08-29 2024-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N116653731A (zh) * 2023-07-27 2023-08-29 河南跃海翼龙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带有冷暖通风开关组件的汽车扶手箱
CN116653731B (zh) * 2023-07-27 2023-10-20 河南跃海翼龙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带有冷暖通风开关组件的汽车扶手箱
CN117477729A (zh) * 2023-12-28 2024-01-30 深圳市美仕奇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多功能无线充电器及使用方法
CN117477729B (zh) * 2023-12-28 2024-03-26 深圳市美仕奇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多功能无线充电器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2100B1 (ko) 차량용 스마트기기 무선충전기
JP2014110580A (ja) 携帯電気機器用冷却ファン付きケース
CN210202301U (zh) 一种用于智能终端的壳体组件及智能终端
CN211673371U (zh) 一种多功能移动沙发
JPH09138047A (ja) クーラーボックス
CN210534673U (zh) 一种计算机主机箱外壳
JP3225043U (ja) 携帯型送風装置
KR20190068322A (ko) 분리용 전자 장치 및 이의 공정 방법
KR102204245B1 (ko) 차량용 휴대폰 무선 충전기
CN213093494U (zh) 一种带无线充电功能的usb扩展坞
CN211691867U (zh) 一种智能汽车钥匙装置
CN113014712A (zh) 多用途智能手机外接手柄
CN208210062U (zh) 一种智能手机降温支座
CN220323695U (zh) 一种拍摄装置散热器及散热组件
CN110279261B (zh) 一种防着凉可放置平板的温控抱枕
CN218237806U (zh) 一种自动控制中央空调开关控制面板
CN217135199U (zh) 一种充电宝保护套
CN214101444U (zh) 一种结合重力感应和温度感应器的手机配件
CN218068813U (zh) 一种无线充电鼠标
KR200405791Y1 (ko) 휴대착용 온열장치
CN215187312U (zh) 一种具有预热功能的无线蓝牙耳机充电仓
CN217935175U (zh) 一种太阳能充电移动电源
CN216184840U (zh) 一种车载导航装置
CN209282857U (zh) 一种手机充电架
CN214014282U (zh) 一种多功能手机散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