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183B1 - 전원연결유닛이 구비된 루버를 포함하는 루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원연결유닛이 구비된 루버를 포함하는 루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183B1
KR102301183B1 KR1020200127935A KR20200127935A KR102301183B1 KR 102301183 B1 KR102301183 B1 KR 102301183B1 KR 1020200127935 A KR1020200127935 A KR 1020200127935A KR 20200127935 A KR20200127935 A KR 20200127935A KR 102301183 B1 KR102301183 B1 KR 102301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rt
louver
connection
p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성
Original Assignee
이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성 filed Critical 이윤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유닛이 구비된 루버를 포함하는 루버 시스템은, 내측에 환기통로가 형성되도록 둘레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환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부재를 포함하는 루버 및 상기 루버의 프레임 일측에 구비되며, 별도로 구비되는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의 적어도 일단에 구비되는 연결커넥터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커넥터가 연결될 경우 상기 루버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연결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원연결유닛이 구비된 루버를 포함하는 루버 시스템{Louver System Having Louver Having Power Supply Connecting Unit}
본 발명은 루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루버에 전원연결유닛이 구비되어 커넥터 방식으로 전선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환경에 구애되지 않고 루버를 설치할 수 있는 루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버는 폭이 좁은 판이 비스듬히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배열된 형태를 가지며, 건축 구조물 등에 설치되어 채광량 조절, 통풍, 외부 이물질 유입 방지, 환기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루버는 그 활용도가 높아 공조실, 주차장, 벽체, 기계실 등과 같은 장소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수평으로 배열된 판의 각도 조절을 통해 개도량을 조절하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은 루버는 건축 구조물의 시공사와 다른 업체에 의해 시공이 완료된 건축 구조물에 후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건축 구조물의 내부 구조는 설치될 루버의 스펙과는 호환되지 않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특히 루버의 운용을 위해 전력을 전달하는 전선을 연결하는 과정은 전원의 위치 및 건물 구조의 형태에 따라 상이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준비된 전선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전선의 길이가 모자라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경우 별도의 전선 연장 과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것은 물론, 루버의 설치 이후 외관이 깔끔하게 정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3577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루버에 전선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환경에 구애되지 않고 루버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루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원연결유닛이 구비된 루버를 포함하는 루버 시스템은, 내측에 환기통로가 형성되도록 둘레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환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부재를 포함하는 루버 및 상기 루버의 프레임 일측에 구비되며, 별도로 구비되는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의 적어도 일단에 구비되는 연결커넥터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커넥터가 연결될 경우 상기 루버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연결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은 좌측프레임부, 우측프레임부, 상부프레임부 및 하부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프레임부, 상기 우측프레임부, 상기 상부프레임부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루버 각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컨트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연결유닛은 상기 좌측프레임부, 상기 우측프레임부, 상기 상부프레임부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부 중 상기 제어컨트롤러가 구비된 프레임부를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연결유닛은, 상기 연결커넥터가 삽입 체결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매립되는 연결소켓 및 상기 연결소켓으로부터 전력이 필요한 상기 루버의 각부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커넥터에 의해 전달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소켓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슬라이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커넥터는 상기 전선의 양단 모두에 구비되며, 상기 전선의 양단에 구비되는 연결커넥터 중 어느 하나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커넥터가 연결될 경우 상기 연결커넥터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콘센트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센트유닛은 상기 루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센트유닛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컨버터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콘센트유닛은, 상기 루버 각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센트유닛은 상기 루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유닛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컨버터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좌측프레임부, 우측프레임부, 상부프레임부 및 하부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좌측프레임부, 우측프레임부, 상부프레임부 또는 하부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루버 각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컨트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연결유닛은 상기 제어컨트롤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원연결유닛이 구비된 루버를 포함하는 루버 시스템은, 루버의 프레임 일측에 전원연결유닛이 구비되어 연결커넥터가 구비된 전선을 간편하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환경에 구애되지 않고 루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합리적인 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을 위한 콘센트에 전류센서모듈 및 컨버터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어 전류값에 따른 루버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루버에 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에 있어서, 전선의 연결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에 있어서, 콘센트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에 있어서, 전원연결유닛 및 슬라이드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에 있어서, 전원연결유닛 및 슬라이드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에 있어서, 전원연결유닛, 슬라이드유닛 및 권취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에 있어서, 콘센트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에 있어서, 전선(50)의 연결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은 루버(100)와, 전원연결유닛(140)과, 콘센트유닛(200)을 포함한다.
루버(100)는 내측에 환기통로가 형성되도록 둘레를 형성하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어 환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부재(120)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루버(100)의 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좌측프레임부(110a), 우측프레임부(110b), 상부프레임부(110c) 및 하부프레임부(110d)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프레임(110)의 형태는 본 실시예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이와 같은 좌측프레임부(110a), 우측프레임부(110b), 상부프레임부(110c) 또는 하부프레임부(110d) 중 어느 하나에는, 루버(100) 각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컨트롤러(13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어컨트롤러(130)는 좌측프레임부(110a)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다.
전원연결유닛(140)은 프레임(110) 일측에 구비되며, 별도로 구비되는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50)의 케이블(52)의 적어도 일단에 구비되는 연결커넥터(54)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전원연결유닛(140)에 연결커넥터(54)가 연결될 경우 루버(100)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전원연결유닛(140)은 세부적으로 연결커넥터(54)가 삽입 체결되는 결합홀(142)이 형성되며, 이와 같은 결합홀(142)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프레임(110)에 매립되는 연결소켓(141)과, 연결소켓(141)으로부터 전력이 필요한 루버(100)의 각부로 연결되어 연결커넥터(54)에 의해 전달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라인(143, 도 5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연결커넥터(54)를 연결소켓(141)의 결합홀(142)에 삽입하여 체결하는 것으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져 전력을 루버(100) 측에 공급할 수 있으며, 연결커넥터(54)와 연결소켓(141) 간의 결합 형태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커넥터(54)와 연결소켓(141)은 서로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원연결유닛(140)은 좌측프레임부(110a), 우측프레임부(110b), 상부프레임부(110c) 또는 하부프레임부(110d) 중 제어컨트롤러(130)가 구비된 프레임부를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전원연결유닛(140)과 제어컨트롤러(130)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제어컨트롤러(130)가 좌측프레임부(110a)에 구비되므로, 전원연결유닛(140)은 상부프레임부(110c) 또는 하부프레임부(110d)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연결유닛(140)은 우측프레임부(110b)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연결커넥터(54)는 전선(50)의 양단 모두에 구비되는 형태를 가지며, 따라서 일측의 연결커넥터(54)는 전원연결유닛(140)에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인 타측의 연결커넥터(54)는 콘센트유닛(200)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콘센트유닛(200)은 전선(50)의 양단에 구비되는 연결커넥터(54) 중 어느 하나가 연결 가능하도록 결합홀(221)이 형성된 전원공급소켓(220)을 포함하며, 연결커넥터(54)가 연결될 경우 연결커넥터(54)를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유닛(200)은 전원공급소켓(220) 외에도 일반적인 플러그소켓(210)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전원공급소켓(220) 및 플러그소켓(21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루버(100)의 프레임(110) 일측에 전원연결유닛(140)이 구비되어 연결커넥터(54)가 구비된 전선(50)을 간편하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환경에 구애되지 않고 루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합리적인 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에 있어서, 콘센트유닛(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콘센트유닛(200)은 벽체 내부에 매립된 전류센서모듈(230) 및 컨버터모듈(240)을 더 포함한다.
전류센서모듈(230)은 루버(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컨버터모듈은(240)은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전류값에 따른 루버(10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루버에 효율적으로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콘센트유닛(200)에 전류센서모듈(230) 및 컨버터모듈(240)이 모두 구비되는 형태를 가지나, 본 실시예와 달리 전류센서모듈(230) 또는 컨버터모듈(240)은 어느 하나만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양측 모두가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에 있어서, 전원연결유닛(140) 및 슬라이드유닛(15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은 전원연결유닛(140)의 연결소켓(141)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슬라이드유닛(150)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유닛(150)이 구비됨으로 인해, 연결소켓(141)을 소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에 따라 그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전선(50)의 연결 과정을 보다 탄력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연결소켓(141)이 구비되는 우측프레임부(110b)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릿(111)이 형성되며, 연결소켓(141)은 이와 같은 슬릿(111)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슬라이드유닛(150)은 슬릿(111)을 차폐하도록 구비되며, 연결소켓(141)을 슬릿(111) 상에 고정시키는 슬라이드부재(151)를 포함한다. 슬라이드부재(151)는 슬릿(111)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연결소켓(141)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드유닛(150)은 슬릿(111)을 기준으로 하여, 이와 같은 슬라이드부재(151)의 상부 일부 및 하부 일부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153)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부재(153)는 우측프레임부(110b)의 내부공간(S)에 구비되어 슬라이드부재(151)가 후방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전후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하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재(153)는 우측프레임부(110b) 전면 내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후방돌출부(153a)와, 후방돌출부(153a)로부터 연결소켓(141)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153b)를 포함하고, 이와 같은 연장부(153b)에는 슬라이드부재(151)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원활하게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부재(154)가 구비된다.
따라서 슬라이드부재(151)는 상부에 위치된 가이드부재(153)의 후방돌출부(153a)와 하부에 위치된 가이드부재(153)의 후방돌출부(153a) 사이 범위에서 상하 이동될 수 있으며, 이는 연결소켓(141)의 행정거리를 결정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에 있어서, 전원연결유닛(140) 및 슬라이드유닛(15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2실시예와 같이 전원연결유닛(140) 및 슬라이드유닛(150)을 포함하며, 그 세부 구조 역시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는 슬라이드유닛(150)의 슬라이드부재(151)의 내측 면에 복수 개의 고정돌기(152)가 상하 방향을 따라 더 구비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베어링부재(154)는 슬라이드부재(151)의 내측 면에 형성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고정돌기(152) 사이의 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연결소켓(140) 및 슬라이드부재(150)가 상하 이동 시 복수 단계에 걸친 고정 위치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에 있어서, 전원연결유닛(140), 슬라이드유닛(150) 및 권취유닛(16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와 같이 전원연결유닛(140) 및 슬라이드유닛(150)을 포함하며, 그 세부 구조 역시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는 슬라이드유닛(150)의 가이드부재(153) 중 연장부(153b)의 전방에 구비되는 위치센서(155)를 더 포함하며, 이와 같은 위치센서(155)가 슬라이드부재(151)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110) 내부공간(S)의 소정 위치에는 전력공급라인(143)의 일부를 권취하도록 구비되는 권취유닛(160)이 구비되며, 이와 같은 권취유닛(160)은 연결소켓(141)의 상하 이동에 따라 당겨지거나 늘어지게 되는 전력공급라인(143)의 권취량을 조절하여 내부공간(S)에서 전력공급라인(143)이 다른 구성에 간섭되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센서(155)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51)의 위치를 감지하게 되므로, 연결소켓(141)의 위치에 따른 전력공급라인(143)의 상태를 고려하여 권취유닛(160)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권취유닛(160)은 위치센서(155)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되는 구동모터(161)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력공급라인(143)의 일부를 권취하는 풀리(162)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권취유닛(160)은 프레임(110) 내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한 구비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권취유닛(160)은 우측프레임부(110b)와 상부프레임부(110c)의 연결 지점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에 있어서, 콘센트유닛(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콘센트유닛(200)은, 루버(100) 각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컨트롤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앞에서 제어컨트롤러(130)가 좌측프레임부(100a), 우측프레임부(100b), 상부프레임부(100c) 또는 하부프레임부(100d)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예와 달리, 제어컨트롤러(130)는 콘센트유닛(200)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콘센트유닛(200)은, 루버(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센서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콘센트유닛(200)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컨버터모듈(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콘센트유닛(20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러그소켓(210), 전원공급소켓(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컨트롤러(13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루버(100) 각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컨트롤러(130)는 좌측프레임부(100a), 우측프레임부(100b), 상부프레임부(100c) 또는 하부프레임부(100d)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전원연결유닛(140)은 제어컨트롤러(130)에 구비된다.
즉, 앞에서 전원연결유닛(140)이 좌측프레임부(100a), 우측프레임부(100b), 상부프레임부(100c) 또는 하부프레임부(100d) 중 제어컨트롤러(130)가 구비된 프레임부를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예와 달리, 전원연결유닛(140)은 제어컨트롤러(130)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50: 전선
52: 케이블
54: 연결커넥터
100: 루버
110: 프레임
120: 셔터부재
130: 제어컨트롤러
140: 전원연결유닛
141: 연결소켓
143: 전력공급라인
150: 슬라이드유닛
151: 슬라이드부재
153: 가이드부재
154: 베어링부재
160: 권취유닛
161: 구동모터
162: 풀리
200: 콘센트유닛
210: 플러그소켓
220: 전원공급소켓
230: 전류센서모듈
240: 컨버터모듈

Claims (11)

  1. 내측에 환기통로가 형성되도록 둘레를 형성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상기 환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부재(120)를 포함하는 루버(100); 및
    상기 루버(100)의 프레임(110)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별도로 구비되는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50)의 적어도 일단에 구비되는 연결커넥터(54)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커넥터(54)가 연결될 경우 상기 루버(100)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연결유닛(140);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110)은 좌측프레임부(110a), 우측프레임부(110b), 상부프레임부(110c) 및 하부프레임부(110d)를 포함하며,
    좌측프레임부(110a), 우측프레임부(110b), 상부프레임부(110c) 또는 하부프레임부(110d)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루버(100) 각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컨트롤러(130)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연결유닛(140)은 좌측프레임부(110a), 우측프레임부(110b), 상부프레임부(110c) 또는 하부프레임부(110d) 중 상기 제어컨트롤러(130)가 구비된 프레임부를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원연결유닛(140)은,
    상기 연결커넥터(54)가 삽입 체결되는 결합홀(14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142)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좌측프레임부(110a), 우측프레임부(110b), 상부프레임부(110c) 또는 하부프레임부(110d) 중 상기 제어컨트롤러(130)가 구비된 프레임부를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에 매립되는 연결소켓(141); 및
    상기 연결소켓(141)으로부터 전력이 필요한 상기 루버(100)의 각부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커넥터(54)에 의해 전달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라인(143);
    을 포함하는,
    루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141)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상기 좌측프레임부(110a), 우측프레임부(110b), 상부프레임부(110c) 또는 하부프레임부(110d) 중 상기 제어컨트롤러(130)가 구비된 프레임부를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인, 상기 연결소켓(141)이 매립되는 프레임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드유닛(150)을 더 포함하는,
    루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커넥터(54)는 상기 전선(50)의 양단 모두에 구비되며,
    상기 전선(50)의 양단에 구비되는 연결커넥터(54) 중 어느 하나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커넥터(54)가 연결될 경우 상기 연결커넥터(54)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콘센트유닛(200)을 더 포함하는,
    루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유닛(200)은 상기 루버(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센서모듈(230)을 포함하는,
    루버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유닛(200)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컨버터모듈(240)을 더 포함하는,
    루버 시스템.
  8. 내측에 환기통로가 형성되도록 둘레를 형성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상기 환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부재(120)를 포함하는 루버(100); 및
    상기 루버(100)의 프레임(110)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별도로 구비되는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50)의 적어도 일단에 구비되는 연결커넥터(54)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커넥터(54)가 연결될 경우 상기 루버(100)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연결유닛(140);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110)은 좌측프레임부(110a), 우측프레임부(110b), 상부프레임부(110c) 및 하부프레임부(110d)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연결유닛(140)은 좌측프레임부(110a), 우측프레임부(110b), 상부프레임부(110c) 또는 하부프레임부(110d)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연결유닛(140)은,
    상기 연결커넥터(54)가 삽입 체결되는 결합홀(14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142)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좌측프레임부(110a), 우측프레임부(110b), 상부프레임부(110c) 또는 하부프레임부(110d) 중 어느 하나에 매립되는 연결소켓(141); 및
    상기 연결소켓(141)으로부터 전력이 필요한 상기 루버(100)의 각부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커넥터(54)에 의해 전달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라인(143);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커넥터(54)는 상기 전선(50)의 양단 모두에 구비되고,
    상기 전선(50)의 양단에 구비되는 연결커넥터(54) 중 어느 하나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커넥터(54)가 연결될 경우 상기 연결커넥터(54)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콘센트유닛(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콘센트유닛(200)은,
    상기 루버(100) 각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컨트롤러(130);를 더 포함하는,
    루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유닛(200)은 상기 루버(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센서모듈(230)을 포함하는,
    루버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유닛(200)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컨버터모듈(240)을 더 포함하는,
    루버 시스템.
  11. 삭제
KR1020200127935A 2020-07-28 2020-10-05 전원연결유닛이 구비된 루버를 포함하는 루버 시스템 KR102301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93484 2020-07-28
KR1020200093484 2020-07-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183B1 true KR102301183B1 (ko) 2021-09-10

Family

ID=7777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935A KR102301183B1 (ko) 2020-07-28 2020-10-05 전원연결유닛이 구비된 루버를 포함하는 루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1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049B1 (ko) 2022-06-17 2023-10-06 이윤호 루버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465B1 (ko) * 2006-06-19 2007-02-16 (주)단건축사사무소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
KR20170072099A (ko) * 2015-12-16 2017-06-26 김달용 전력 사용량에 연동되는 IoT 자동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986951B1 (ko) * 2018-07-18 2019-06-07 장현정 루버 제어장치
JP2019206863A (ja) * 2018-05-30 2019-12-05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電動遮蔽装置
KR102135777B1 (ko) 2019-12-16 2020-07-21 손정진 자동화 루버 창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465B1 (ko) * 2006-06-19 2007-02-16 (주)단건축사사무소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
KR20170072099A (ko) * 2015-12-16 2017-06-26 김달용 전력 사용량에 연동되는 IoT 자동 원격 제어 시스템
JP2019206863A (ja) * 2018-05-30 2019-12-05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電動遮蔽装置
KR101986951B1 (ko) * 2018-07-18 2019-06-07 장현정 루버 제어장치
KR102135777B1 (ko) 2019-12-16 2020-07-21 손정진 자동화 루버 창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049B1 (ko) 2022-06-17 2023-10-06 이윤호 루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1183B1 (ko) 전원연결유닛이 구비된 루버를 포함하는 루버 시스템
US20060076113A1 (en) Pair glass window and door system equipped with remote controllable auto blind
KR101655097B1 (ko) 공동주택 단지내 전력케이블 방호장치
US11499685B1 (en) Fixture for a light assembly
CN107658805A (zh) 一种线缆收纳装置
KR20200062279A (ko) 슬라이딩 도어용 리니어 모터
JP4452347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配線取付構造
DE102015117374A1 (de) Steuereinrichtung für eine Absperrvorrichtung
CN105423515B (zh) 风口装置以及包括该风口装置的风管机
KR100863265B1 (ko) 배선 덕트의 연결구
KR102281163B1 (ko) 주차장용 레이스웨이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CN211400074U (zh) 窗式空调器
CN210980082U (zh) 一种空调室内机及其连接线的走线结构
US10598397B2 (en) Ventilation fan
CN111059636A (zh) 窗式空调器
EP3224443B1 (en) Ventilation profile with ventilation device
CN108179945B (zh) 一种滑动门用直线电机系统
KR102543824B1 (ko) 전장용 배선 전용관이 구비된 레이스웨이 조명장치 및 그 구성 방법
US11462871B2 (en) Power supply box for use with an architectural-structure covering
CN220302362U (zh) 一种吹地扇
KR102585278B1 (ko) 승하강 무대 장치
CN210579388U (zh) 天线支架结构及路灯控制箱
US9562627B2 (en) Luminaire and improved lighting system
CN212037118U (zh) 用作窗帘盒的集成化安装结构
CN212617820U (zh) 一种冷通道走线及灯槽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