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002B1 - 디스플레이 조립체, 디스플레이,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해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조립체, 디스플레이,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해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002B1
KR102301002B1 KR1020207015524A KR20207015524A KR102301002B1 KR 102301002 B1 KR102301002 B1 KR 102301002B1 KR 1020207015524 A KR1020207015524 A KR 1020207015524A KR 20207015524 A KR20207015524 A KR 20207015524A KR 102301002 B1 KR102301002 B1 KR 102301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ntact
housing
electrically conductive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0400A (ko
Inventor
위안 왕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70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4Metal ca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59Repairing; De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하우징,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electrically conductive easy-peel adhesive),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에 부착된 전기 전도체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와 접촉하는 전도성 장착면을 포함하고, 전도성 장착면은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전기 전도체에 견고하게 부착되며; 전기 전도체 상에는 제1 접촉 위치가 배치되고, 장착면 상에는 제2 접촉 위치가 배치되며; 제1 접촉 위치와 제2 접촉 위치가 전원에 연결될 때,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가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해체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조립체, 디스플레이,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해체 방법
본 출원은 중국 특허청에 2017년 12월 5일에 출원된 중국 특허출원 제201711267927.1호("DISPLAY ASSEMBLY, DISPLAY, TERMINAL, AND DISPLAY DISMANTLEMENT METHOD")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이며, 그 전체 내용이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조립체, 디스플레이,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해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디스플레이 제조 분야에서, 전체 디스플레이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케이싱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가 수리되어야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을 해체하기가 다소 어렵다.
현재, 사람들은 주로 접착제가 고온에서 상대적으로 약한 접착력을 가진다는 특징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해체한다. 가열 플랫폼 상에서 또는 가열 막대 등을 이용하여 접착제 부분을 직접 가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과 접착 조립체 또는 제품이 먼저 히터 박스에 넣어지고, 접착제의 온도가 70
Figure 112020054812589-pct00001
내지 80
Figure 112020054812589-pct00002
에 도달할 때, 접착 디스크를 이용하여 직접 디스플레이 모듈을 당기거나 또는 도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밀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해체를 구현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을 가열하고 강제로 해체하는 이러한 방식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매우 쉽게 변형되거나 손상된다.
본 발명은 결함이 있는 디스플레이를 수리하는 동안 손상없이 디스플레이 모듈을 신속하게 해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조립체,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해체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가 하우징,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electrically conductive easy-peel adhesive),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에 부착된 전기 전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와 접촉하는 전도성 장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면은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상기 전기 전도체에 부착되고; 상기 전기 전도체 상에는 제1 접촉 위치가 배치되고, 상기 장착면 상에는 제2 접촉 위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접촉 위치와 상기 제2 접촉 위치가 전원에 연결될 때,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상기 하우징이 손상 없이 빠르게 해체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의 전압 방향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유지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적층된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표시면 및 상기 표시면에 대향하는 제1 하부면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보는 제2 하부면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면은 상기 제1 하부면 또는 상기 제2 하부면 상에 배치된 도전체이고, 상기 도전체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이다. 상기 하우징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전도성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 전도성인) 상기 전기 전도체는 전체 하우징일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하우징 또는 상기 하우징의 표면 상에 위치하는 전도층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상부 및 하부 접착면이 모두 전도성일 수 있도록, 전기 전도성인 상기 도전체와 상기 전기 전도체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하우징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 접촉 위치와 상기 제2 접촉 위치가 상기 전원에 동시에 연결될 때,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접착성이 약해져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상기 하우징을 손상없이 분해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접착면이 전기 전도성일 수 있도록, 상기 도전체는 금속 프레임 또는 전도성 접착층이다.
상기 하우징은 금속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 전도체는 상기 하우징 자체이다. 즉,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과 상기 하우징이 전기 전도성일 수 있도록, 상기 전체 하우징은 상기 전기 전도체이다.
상기 제1 접촉 위치는 상기 전기 전도체의 임의의 표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접촉 위치는 접촉 채널에 연결되며, 상기 접촉 채널은 상기 제2 접촉 위치에 대한 전력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접촉 위치와 상기 제2 접촉 위치는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상부 및 하부 접착면에 대해 각각 전기를 전도한다.
상기 접촉 채널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를 관통하는 스루홀(through hole)이거나, 또는 상기 접촉 채널은 상기 제2 접촉 위치로부터 연장된 리드(lead)이다. 다른 요구사항에 따라 다른 접촉 채널이 예약될 수 있다. 리드가 접촉 채널로서 사용되어 외부에서 전원에 연결하는 경우, 접촉 채널 위치가 하우징 내부에 특별히 설정될 필요가 없고, 제조 프로세스가 단순화된다. 또한, 접촉 채널 위치를 차폐하는 다른 전자 부품이 외부에서 전원을 연결하기 위해 먼저 해체될 필요가 없어서, 작동이 용이해진다.
상기 전기 전도체는 상기 하우징 위에 배치된 상기 전도성 접착층이다. 상기 제1 접촉 위치는 제1 접촉 채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촉 위치는 제2 접촉 채널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촉 채널은 상기 제1 접촉 위치에 대한 전력 연결을 제공하고, 상기 제2 접촉 채널은 상기 제2 접촉 위치에 대한 전력 연결을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상부 및 하부 접착면에 전기를 전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상기 제1 접촉 채널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전도성 접착층을 관통하는 스루홀이고, 상기 제2 접촉 채널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를 관통하는 스루홀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접촉 채널과 상기 제2 접촉 채널은 각각 상기 제1 접촉 위치와 상기 제2 접촉 위치로부터 연장된 리드이다. 다른 요구사항에 따라 다른 접촉 채널이 예약될 수 있다. 리드가 접촉 채널로서 사용되어 외부에서 전원에 연결하는 경우, 접촉 채널 위치가 하우징 내부에 특별히 설정될 필요가 없다. 또한, 접촉 채널 위치를 차폐하는 다른 전자 부품이 외부에서 전원 공급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먼저 해체될 필요가 없어서, 작동이 용이해진다.
상기 도전체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적층된 전도성 접착층인 경우, 상기 도전체는 상기 제2 하부면 상에 배치되고, 다른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조립체 구조에 적응한다. 상기 하우징은 미들 프레임(middle frame), 또는 프론트 하우징(front housing), 또는 브레이스(brace)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전도성 접착층은 금속 필름층 또는 금속성 재료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즉 전술한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해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해체 방법은,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장착면과 하우징의 전기 전도체 사이에 전압이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상의 제1 접촉 위치와 상기 전기 전도체 상의 제2 접촉 위치를 각각 직류 전원의 양극과 음극에 연결하는 단계 - 상기 전기 전도체는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하우징의 표면 상에 배치된 전도성 접착층을 포함하고 있음 -; 및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상기 전기 전도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에 부착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장착면과 상기 하우징의 전기 전도체 사이에 전압이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상의 제1 접촉 위치와 상기 전기 전도체 상의 제2 접촉 위치를 각각 직류 전원의 양극과 음극에 연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유지 방향이 전압 방향을 변경하여 결정됨으로써, 손상된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하우징을 해체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가 손상되지 않은 하우징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유지됨으로써, 여러 번의 재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는 하우징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되고, 제1 접촉 위치와 제2 접촉 위치가 하우징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도성 부분의 표면 상에 각각 사전 설정된 디스플레이 모듈 이용 구조를 이용한다. 디스플레이가 고장나서 수리해야 할 경우, 상기 제1 접촉 위치와 상기 제2 접촉 위치가 전원에 동시 연결되어 전압차가 생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상부 및 하부 접착면 사이에 전압차가 생성된다.
물체 표면 상의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접착성이 전압에 따라 변하고,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접착성이 특정 전압에서 빠르게 약해지기 때문에,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는 양극 또는 음극에서 물체 표면으로부터 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하우징이 손상없이 빠르게 해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아래의 설명의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나타낼 뿐이며, 당업자는 창조적 노력없이 이러한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제3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제4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제5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제6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해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일부에 불과하며 전부가 아니다. 창의적 노력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의해 획득되는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할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조립체(display assembly)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디스플레이에 적용되고, 디스플레이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는 하우징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electrically conductive easy-peel adhesive)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이용 아키텍처를 이용한다.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하우징은 결함이 있는 디스플레이를 수리하는 동안 손상없이 신속하게 해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하우징,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에 부착되는 전기 전도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와 접촉하는 전도성 장착면을 포함하고, 전도성 장착면은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전도체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제1 접촉 위치는 전도체 상에 배치되고, 제2 접촉 위치는 장착면 상에 배치된다. 제1 접촉 위치와 제2 접촉 위치가 전원에 연결될 때,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는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된다.
본 발명의 하우징은 미들 프레임(middle frame), 또는 프론트 하우징(front housing), 또는 브레이스(brace) 중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터치 패널-액정 표시 장치(Touch Panel-Liquid Crystal Display, TP-LCD) 모듈, 터치 패널-유기 발광 다이오드(Touch Panel-Organic Light-Emitting Diode, TP-OLED) 모듈, 터치 패널(Touch Panel, TP),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중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하우징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이용 아키텍쳐를 이용하고, 제1 접촉 위치와 제2 접촉 위치는 하우징 및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각각 사전 설정된다. 디스플레이가 고장나서 수리해야 할 경우, 제1 접촉 위치와 제2 접촉 위치가 동시에 전원에 연결되어 전압차가 생성된다. 이 경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상부 및 하부 접착 표면 사이에 전압차가 생성된다. 물체 표면 상의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접착성이 전압에 따라 변하고,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접착성이 특정 전압에서 빠르게 약해지기 때문에,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는 양극 또는 음극에서 물체 표면으로부터 꽤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렇게 하면,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하우징이 손상없이 신속하게 해체된다. 또한, 전원의 전압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유지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내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손상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은 해체될 수 있고, 하우징 상에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를 유지하고 이 접착제를 새로운 디스플레이 모듈에 부착할 수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의 하우징이 손상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를 유지하고 이 접착제를 새로운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해 하우징이 해체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디스플레이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위해 하우징이 미들 프레임이고 디스플레이 모듈이 터치 패널-액정 표시 장치 모듈인 예가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적층된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표시면 및 표시면에 대향하는 제1 하부면을 포함하고,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보는 제2 하부면을 포함한다. 장착면은 제1 하부면 또는 제2 하부면 상에 배치된 도전체이고, 도전체는 전기 전도성이다. 다음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세부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하우징이 금속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즉, 미들 프레임(10)이 금속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전기 전도체가 전체 하우징이고; 도전체가 디스플레이 모듈의 금속 프레임이며; 금속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 하부면 상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미들 프레임(10)은 금속성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전체 미들 프레임(10)은 전기 전도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10)에는 마운팅 브라켓(12)이 제공되고, 도전체와 마주보는 마운팅 브라켓(12)의 표면이 전기 전도체의 표면(11)으로서 파악된다. 본 실시예에서, 미들 프레임(10)은 측벽16)과 빔(17)을 포함하고, 마운팅 브라켓(12)은 미들 프레임(10)의 빔(17)이다. 디스플레이 모듈(30)은 디스플레이 패널(340),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적층된 터치 패널(35), 및 디스플레이 패널(340)을 지지하는 금속 프레임(33)을 포함한다. 금속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패널(340)의 주변을 덮는 금속층으로서 표시면으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금속층이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340)의 주변을 둘러싸는 구조물일 수 있다. 도전체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의 금속 프레임(33)이고, 디스플레이 모듈(30)의 금속 프레임(33)은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20)의 표면 상에 배치되고,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20)의 다른 표면이 마운팅 브라켓(12)의 표면(11)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접촉 위치는 중간 프레임(10)의 임의의 표면 상에 배치된다. 즉, 제1 접촉 위치는 장착 브라켓(12)의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20)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표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접촉 위치(32)는 금속 프레임(33) 상에 배치되고, 제2 접촉 위치(32)는 접촉 채널(36)에 연결되며, 접촉 채널(36)은 제2 접촉 위치(32)에 대한 전력 연결을 제공한다. 접촉 채널(36)은 마운팅 브라켓(12),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20), 및 금속 프레임(33)을 관통하는 스루홀(through hole)이다. 스루홀이 외부에서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접촉 채널로서 사용될 때, 외부 전원은 스루홀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바닥에 대해 전기를 직접 전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접촉 채널(36)은 제2 접촉 위치(32)로부터 연장된 리드(lead)일 수 있다. 리드가 접촉 채널로 사용되어 외부에서 전원에 연결하는 경우, 접촉 채널 위치가 하우징 내부에서 특별히 설정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 공정이 단순화된다. 또한, 접촉 채널 위치를 차폐하는 다른 전자 부품은 외부에서 전원에 연결하기 위해 먼저 해체될 필요가 없어서 작동을 용이하게 한다. 결함이 있는 디스플레이(100)를 수리하는 동안, 외부 전원의 단부가 미들 프레임(10)의 임의의 표면 상의 제1 접촉 위치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가 접촉 채널(36)을 통해 제2 접촉 위치(32)에 연결된다. 2개의 단부 사이에 전압 차이가 생성될 때,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20)의 접착성이 빠르게 약화된다. 이렇게 하면, 미들 프레임(1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은 손상없이 빠르게 해체된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하우징이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전기 전도체는 하우징 상에 배치된 전도성 접착층이다. 즉,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와 접촉하는 전기 전도체의 표면이 전도성 접착층의 표면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은 예를 들어 미들 프레임이다. 미들 프레임(10)은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1 전도성 접착층(13)은 마운팅 브라켓(12) 상에 적층되며, 전기 전도체는 제1 전도성 접착층(13)이고, 제1 전도성 접착층(13)의 표면(11)은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20)와 접촉한다.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도전체가 디스플레이 모듈(30)의 금속 프레임(33)이고, 디스플레이 모듈(30)의 금속 프레임(33)은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20)의 표면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접촉 위치(14)는 제1 전도성 접착층(13)에 배치되고, 제1 접촉 위치(14)는 제1 접촉 채널(15)에 연결되며, 제1 접촉 채널(15)은 제1 접촉 위치(14)에 대한 전력 연결을 제공하고, 제1 접촉 채널(15)은 미들 프레임(10)과 제1 전도성 접착층(13)을 관통하는 스루홀이다. 제2 접촉 위치(32)가 금속 프레임(33) 상에 배치되고, 제2 접촉 위치(32)는 제2 접촉 채널(37)에 연결되며, 제2 접촉 채널(37)은 제2 접촉 위치(32)에 대한 전력 연결을 제공하고, 제2 접촉 채널(37)은 마운팅 브라켓(12), 전기 전도성 이지풀 접착제(20), 및 금속 프레임(33)을 관통하는 스루홀이다. 스루홀은 접촉 채널로서 사용됨으로써, 외부 전원이 제1 접촉 채널(15)과 제2 접촉 채널(37)을 이용하여 미들 프레임(10)의 제1 전도성 접착층(13)과 디스플레이 모듈(30)의 금속 프레임에 대해 전기를 전도하도록 돕는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제1 접촉 채널(15)과 제2 접촉 채널(37)은 대안적으로 제1 접촉 위치(14)와 제2 접촉 위치(32)로부터 각각 연장된 리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수리를 위해 해체될 때, 외부 전원이 제1 접촉 채널(15)과 제2 접촉 채널(37)을 차폐하는 전자 부품의 해체없이 제1 접촉 위치(14)와 제2 접촉 위치(32)에 대해 전기를 직접 전도하도록 돕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2 실시예와는 달리, 하우징이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도전체가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도성 접착층이며; 전도체가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적층된 전도성 접착층인 경우, 도전체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 하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은 예를 들어 미들 프레임이다. 미들 프레임(10)은 금속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전체 미들 프레임(10)은 전기 전도체이다. 디스플레이 모듈(30)은 디스플레이 패널(341) 상에 적층된 전도성 접착층(38)을 포함하고, 전도성 접착층(38)은 터치 패널(35)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디스플레이 패널(341)의 표면 상에 배치되며, 도전체는 전도성 접착층(38)이고,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전도성 접착층(38)은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20)의 표면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전체와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패널(341)의 표면이 비전도성이다. 제1 접촉 위치는 미들 프레임(10)의 임의의 표면 상에 배치된다. 즉, 제1 접촉 위치는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20)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마운팅 브라켓(12)의 표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접촉 위치(32)가 전도성 접착층(38)에 배치되고, 제2 접촉 위치(32)는 접촉 채널(36)에 연결되며, 접촉 채널(36)은 제2 접촉 위치(32)에 대한 전력 연결을 제공한다. 접촉 채널(36)은 마운팅 브라켓(12),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20), 및 전도성 접착층(38)을 관통하는 스루홀이다. 스루홀이 외부에서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접촉 채널로서 사용될 때, 외부 전원은 스루홀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바닥에 대해 직접 전기를 전도할 수 있다. 외부 전원이 제2 접촉 위치에 대해 전기를 전도하도록 돕기 위해, 접촉 채널(36)이 제2 접촉 위치(32)로부터 연장된 리드일 수 있다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제3 실시예와는 달리, 하우징이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전기 전도체가 하우징 상에 배치된 전도성 접착층이며, 즉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와 접촉하는 표면이 전도성 접착층의 표면이고; 도전체가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2 전도성 접착층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은 예를 들어 미들 프레임이다. 미들 프레임(10)은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1 전도성 접착층(13)은 미들 프레임(10) 상에 적층되며, 전기 전도체는 제1 전도성 접착층(13)이다. 제1 전도성 접착층(13)의 표면(11)이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20)와 접촉한다. 디스플레이 모듈(30)은 디스플레이 패널(341) 상에 적층된 제2 전도성 접착층(39)을 포함하고, 제2 전도성 접착층(39)은 터치 패널(35)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디스플레이 패널(341)의 제1 하부면 상에 배치되며, 전도체는 디스플레이 모듈(30) 상에 적층된 제2 전도성 접착층(39)이고,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제2 전도성 접착층(39)은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20)의 표면 상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전체와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패널(341)의 표면이 비전도성이다. 제1 접촉 위치(14)는 제1 전도성 접착층(13)에 배치되고, 제1 접촉 위치(14)는 제1 접촉 채널(15)에 연결되며, 제1 접촉 채널(15)은 제1 접촉 위치(14)에 대한 전력 연결을 제공하고, 제1 접촉 채널(15)는 미들 프레임(10)과 제1 전도성 접착층(13)을 관통하는 스루홀이다. 제2 접촉 위치(32)는 제2 전도성 접착층(39)에 배치되고, 제2 접촉 위치(32)는 제2 접촉 채널(37)에 연결되며, 제2 접촉 채널(37)은 제2 접촉 위치(32)에 대한 전력 연결을 제공하고, 및 제2 접촉 채널(37)은 마운팅 브라켓(12),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20), 및 제2 전도성 접착층(39)을 관통하는 스루홀이다. 외부 전원은 스루홀을 이용하여 제 접촉 위치(14)와 제2 접촉 위치(32) 모두에 대해 전기를 전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제1 접촉 채널(15)과 제2 접촉 채널(37)은 제1 접촉 위치(14)로부터 연장된 리드일 수 있다.
도전체가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적층된 전도성 접착층인 경우, 도전체는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2 하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제4 실시예와는 달리, 미들 프레임(10)은 단차부(18)를 더 포함하고, 마운팅 브라켓(12)은 미들 프레임(10)의 단차부(18)이며, 단차부(18)의 위치가 빔(17)의 위치보다 높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이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도전체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2 전도성 접착층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은 예를 들어 미들 프레임이다. 미들 프레임(10)은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1 전도성 접착층(13)은 마운팅 브라켓(12) 상에 적층되며, 전기 전도체는 제1 전도성 접착층(13)이고, 제1 전도성 접착층(13)의 표면(11)이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20)와 접촉한다. 디스플레이 모듈(30)은 터치 패널(35) 상에 적층된 제2 전도성 접착층(39)을 포함하고, 제2 전도성 접착층(39)은 디스플레이 패널(343)과 마주보는 터치 패널(35)의 제2 하부면 상에 배치되고, 도전체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적층된 제2 전도성 접착층(39)이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장착면이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20)와 마주보는 제2 전도성 접착층(39)의 표면이고, 디스플레이 모듈(30)은 제2 전도성 접착층(39)을 이용하여 미들 프레임의 단차에 부착된다. 도전체와 접촉하는 터치 패널의 표면이 비전도성이다. 제1 접촉 위치(14)가 제1 전도성 접착(13)에 배치되고, 제1 접촉 위치(14)는 제1 접촉 채널15)에 연결되며, 제1 접촉 채널(15)은 제1 접촉 위치(14)에 대한 전력 연결을 제공하고, 제1 접촉 채널(15)은 미들 프레임(10)과 제1 전도성 접착층(13)을 관통하는 스루홀이다. 제2 접촉 위치(32)가 제2 전도성 접착층(39)에 배치되고, 제2 접촉 위치(32)는 제2 접촉 채널(37)에 연결되며, 제2 접촉 채널(37)은 제2 접촉 위치(32) 에 대한 전력 연결을 제공하고, 제2 접촉 채널(37)은 마운팅 브라켓(12),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20), 및 제2 전도성 접착층(39)을 관통하는 스루홀이다. 외부 전원이 스루홀을 이용하여 제1 접촉 위치(14)와 제2 접촉 위치(32) 모두에 대해 전기를 전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제1 접촉 채널(15)과 제2 접촉 채널(37)은 제1 접촉 위치(14)로부터 연장된 리드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 제5 실시예와는 달리, 하우징은 금속 재료로 제조되고, 도전체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도성 접착층이다. 구체적으로, 미들 프레임(10)이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전체 미들 프레임(10)이 전기 전도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0)은 터치 패널(35) 상에 적층된 전도성 접착층(38)을 포함하고, 전도성 접착층(38)은 디스플레이 패널(343)과 마주보는 터치 패널(35)의 제2 하부면 상에 배치되고, 도전체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적층된 전도성 접착층(38)이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장착면이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20)와 마주보는 전도성 접착층(38)의 표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접촉 위치는 미들 프레임(10)의 임의의 표면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접촉 위치는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20)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마운팅 브라켓(12)의 표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접촉 위치(32)는 전도성 접착층(38)에 배치되고, 제2 접촉 위치(32)는 접촉 채널(36)에 연결되며, 접촉 채널(36)은 제2 접촉 위치(32)에 대한 전력 연결을 제공한다. 접촉 채널(36)은 마운팅 브라켓(12),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20), 및 전도성 접착층(38)을 관통하는 스루홀이다. 스루홀은 접촉 채널로서 사용되고, 외부 전원이 접촉 채널(36)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전도성 접착층에 대해 전기를 전도하도록 돕는다. 접촉 채널(36)이 제2 접촉 위치(32)로부터 연장된 리드일 수 있다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가 고장나서 수리를 위해 해체될 필요가 있으면, 접촉 채널을 차폐하는 다른 전자 부품이 먼저 해체되어 특정 접촉 채널 위치를 찾을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금속 프레임 또는 전도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도전체를 디스플레이 모듈 위에 적층하는 방식 및 전도성 접착층을 중간 프레임 위에 적층하는 방식에 대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적층 방식은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방식일 수 있다. 금속 프레임은 철 프레임 또는 구리 포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도성 접착층은 금속 필름층 또는 금속성 재료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더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는 백라이트 소스 및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임의의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포함하고, 백라이트 소스는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위한 광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를 제공한다. 단말기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즉 전술한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내의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하우징을 손상없이 신속하게 해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해체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는 하우징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아키텍쳐를 사용하고,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상부 및 하부 접착 표면이 모두 전도성이며, 제1 접촉 위치는 하우징 상에 미리 설정되고, 제2 접촉 위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미리 설정된다. 제1 접촉 위치와 제2 접촉 위치가 동시에 전원에 연결될 때, 제1 접촉 위치와 제2 접촉 위치 사이에 전도성 루프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이다. 디스플레이 해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1. 디스플레이 모듈의 장착면과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에 부착된 전기 전도체 사이에 전압이 생성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 상의 제1 접촉 위치와 전기 전도체 상의 제2 접촉 위치를 각각 직류 전원의 양극과 음극에 연결한다. 전압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유지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전기 전도체는 하우징 또는 하우징의 표면 상에 배치된 전도성 접착층이다.
전기 전도체가 하우징인 경우, 제1 접촉 위치는 하우징의 임의의 표면 상에 위치하고, 제2 접촉 위치는 접촉 채널에 연결된다. 접촉 채널이 하우징과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를 관통하는 스루홀인 경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장착면와 하우징의 전기 전도체 사이에 전압이 생성될 수 있도록, 외부 전원의 단부가 하우징의 임의의 표면 상의 제1 접촉 위치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가 스루홀을 통해 제2 접촉 위치에 연결됨으로써,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접착성이 변경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접촉 채널은 제2 접촉 위치로부터 연장된 리드일 수 있다. 리드가 접촉 채널로서 사용되어 외부에서 전원에 연결할 때, 디스플레이 모듈과 하우징 이외의 더 많은 전자 부품을 먼저 해체하여 특정 접촉 채널 위치를 찾을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이 용이하다.
전기 전도체가 전도성 접착층의 일부 영역에 대해 전기를 전도하는 경우, 제1 전도성 접착층이 하우징 상에 적층되고, 제1 접촉 위치는 제1 전도성 접착층에 위치하며, 제1 접촉 위치는 제1 접촉 채널에 연결되고, 제2 접촉 위치는 제2 접촉 채널에 연결된다. 제1 접촉 채널은 하우징과 제1 전도성 접착층을 관통하는 스루홀이고, 제2 접촉 채널은 하우징과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를 관통하는 스루홀이다.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장착면과 전기 전도체 사이에 전압이 생성될 수 있도록, 외부 전원이 스루홀을 이용하여 제1 접촉 위치와 제2 접촉 위치에 대해 직접 전기를 전도함으로써,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접착성을 변화시킨다. 제1 접촉 채널과 제2 접촉 채널이 대안적으로 제1 접촉 위치와 제2 접촉 위치로부터 각각 연장된 리드일 수 있다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외부 전원이 리드에 직접 연결됨으로써, 접촉 채널을 차폐하는 전자 부품의 해체를 방지할 수 있다.
S2.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하우징을 제거한다. 이 단계에서,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직류 전압의 방향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접착성이 약화될 때, 하우징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손상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이 해체될 수 있고, 하우징 상에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를 유지하고 이 접착제를 새로운 디스플레이 모듈에 부착할 수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의 하우징이 손상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를 유지하고 이 접착제를 새로운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해 하우징이 해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해체 방법에 따르면,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가 디스플레이 모듈과 하우징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제1 접촉 위치와 제2 접촉 위치가 하우징과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미리 설정된다. 디스플레이가 고장나서 수리될 필요가 있으면,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접착성이 전압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상부 및 하부 접착 표면 사이에 전압이 생성될 수 있도록, 제1 접촉 위치와 제2 접촉 위치는 외부 직류 전원에 동시에 연결된다.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접착성은 변하기 때문에, 접착면 상의 물체가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의 표면으로부터 쉽게 제거된다. 이렇게 하면,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하우징은 손상없이 해체된다.
위에서 개시된 것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청구항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전술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항에 따라 이루어지는 등가의 수정을 구현하는 프로세스 중 전부 또는 일부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조립체(display assembly)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하우징,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electrically conductive easy-peel adhesive),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에 부착된 전기 전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와 접촉하는 전도성 장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장착면은 상기 전기 전도체와의 사이에 있는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상기 전기 전도체에 부착되고; 상기 전기 전도체 상에는 제1 접촉 위치가 배치되고, 상기 장착면 상에는 제2 접촉 위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접촉 위치와 상기 제2 접촉 위치가 전원에 연결될 때,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하우징은 금속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 전도체는 상기 하우징이며, 상기 제1 접촉 위치는 상기 전기 전도체의 임의의 표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접촉 위치는 접촉 채널에 연결되며, 상기 접촉 채널은 상기 제2 접촉 위치에 대한 전력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촉 채널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를 관통하는 스루홀(through hole)이거나; 또는
    상기 전기 전도체는 상기 하우징 상에 배치된 전도성 접착층이고, 상기 제1 접촉 위치는 제1 접촉 채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촉 위치는 제2 접촉 채널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촉 채널은 상기 제1 접촉 위치에 대한 전력 연결을 제공하고, 상기 제2 접촉 채널은 상기 제2 접촉 위치에 대한 전력 연결을 제공하며, 상기 제1 접촉 채널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전도성 접착층을 관통하는 스루홀이고, 상기 제2 접촉 채널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전기 전도성 이지필 접착제를 관통하는 스루홀인,
    디스플레이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적층된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표시면 및 상기 표시면에 대향하는 제1 하부면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보는 제2 하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면은 상기 제1 하부면 또는 상기 제2 하부면 상에 배치된 도전체이고, 상기 도전체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디스플레이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금속 프레임 또는 전도성 접착층인, 디스플레이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접착층은 금속 필름층 또는 금속성 재료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미들 프레임(middle frame), 또는 프론트 하우징(front housing), 또는 브레이스(brace) 중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 조립체.
  6. 디스플레이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백라이트 소스와 제1항의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소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에 대한 광원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07015524A 2017-12-05 2018-11-30 디스플레이 조립체, 디스플레이,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해체 방법 KR102301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267927.1A CN109870837B (zh) 2017-12-05 2017-12-05 显示组件、显示器、终端及显示器拆卸方法
CN201711267927.1 2017-12-05
PCT/CN2018/118526 WO2019109866A1 (zh) 2017-12-05 2018-11-30 显示组件、显示器、终端及显示器拆卸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400A KR20200070400A (ko) 2020-06-17
KR102301002B1 true KR102301002B1 (ko) 2021-09-09

Family

ID=6675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524A KR102301002B1 (ko) 2017-12-05 2018-11-30 디스플레이 조립체, 디스플레이,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해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292865A1 (ko)
EP (1) EP3690525B1 (ko)
JP (1) JP6999814B2 (ko)
KR (1) KR102301002B1 (ko)
CN (1) CN109870837B (ko)
AU (1) AU2018378519B2 (ko)
WO (1) WO20191098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8394A (zh) * 2021-06-29 2021-09-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558279A (zh) 2004-01-30 2004-12-29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US20080196828A1 (en) 1999-07-14 2008-08-21 Gilbert Michael D Electrically Disbonding Adhesive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CN104698681A (zh) 2015-03-18 2015-06-10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液晶模组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2218B1 (en) 1999-07-14 2008-02-19 Eic Laboratories, Inc. Electrically disbonding materials
EP1914285A1 (en) * 2005-08-09 2008-04-23 The Yokohama Rubber Co., Ltd. Electropeeling composition, and making use of the same, adhesive and electropeeling multilayer adhesive
CN100529864C (zh) * 2005-11-09 2009-08-19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器
SE531351C2 (sv) * 2007-06-05 2009-03-03 Stora Enso Ab Laminatstruktur innefattande elektrokemiskt försvagningsbart lim
JP2009058733A (ja) 2007-08-31 2009-03-19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放射線画像撮影装置
JP2009133936A (ja) 2007-11-29 2009-06-18 Sharp Corp 表示装置
WO2010122943A1 (ja) * 2009-04-21 2010-10-28 日東電工株式会社 加熱膨張型再剥離性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KR101327743B1 (ko) * 2010-04-27 2013-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2013998A1 (en) * 2010-07-28 2012-02-02 Nokia Corporation . Telecommunic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JP2012053211A (ja) 2010-08-31 2012-03-15 Sharp Corp 操作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938858B2 (ja) * 2011-07-27 2016-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US9098242B2 (en) * 2011-09-30 2015-08-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ver layers mounted to displays
WO2014157406A1 (ja) * 2013-03-27 2014-10-0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電気剥離性粘着剤組成物、及び電気剥離性粘着シート、並びに電気剥離性粘着シートの使用方法
US10604684B2 (en) * 2013-03-27 2020-03-31 Lintec Corporation Electrically peelable adhesive composition and electrically peelabl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using electrically peelable adhesive sheet
US20160062034A1 (en) * 2013-04-18 2016-03-0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20140140325A (ko) * 2013-05-29 2014-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5046433A1 (ja) * 2013-09-27 2015-04-0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電気剥離性粘着剤組成物、及び電気剥離性粘着シート、並びに電気剥離性粘着シートの使用方法
CN103745663B (zh) * 2014-01-20 2016-06-08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易拆解显示装置
JP2015161818A (ja) 2014-02-27 2015-09-07 日東電工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
EP3262132A1 (en) * 2015-02-27 2018-01-03 Henkel AG & Co. KGaA Debondable reactive hot melt adhesives
KR102612642B1 (ko) * 2015-10-16 2023-12-1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양면 점착 시트, 양면 점착 시트 접합체, 및 피착체의 접합·분리 방법
JP6768281B2 (ja) 2015-10-16 2020-10-1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接合体分離方法
KR102558476B1 (ko) * 2016-07-21 2023-07-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압력 센서를 구비한 전자 장치
CN107728833A (zh) * 2016-08-12 2018-02-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装置
JP6648834B2 (ja) * 2016-10-19 2020-02-14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627625B1 (ko) * 2016-10-20 202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기 방전 보호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892248B2 (ja) * 2016-11-15 2021-06-23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10503041B2 (en) * 2016-11-30 2019-12-10 E Ink Corporation Laminated electro-optic display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2364470B1 (ko) * 2017-08-23 2022-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6828A1 (en) 1999-07-14 2008-08-21 Gilbert Michael D Electrically Disbonding Adhesive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CN1558279A (zh) 2004-01-30 2004-12-29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CN104698681A (zh) 2015-03-18 2015-06-10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液晶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90525B1 (en) 2022-08-24
EP3690525A4 (en) 2020-08-12
EP3690525A1 (en) 2020-08-05
US20200292865A1 (en) 2020-09-17
AU2018378519B2 (en) 2021-04-08
KR20200070400A (ko) 2020-06-17
AU2018378519A1 (en) 2020-05-21
JP6999814B2 (ja) 2022-01-19
JP2021505945A (ja) 2021-02-18
CN109870837B (zh) 2021-10-15
WO2019109866A1 (zh) 2019-06-13
CN109870837A (zh)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0376B1 (en) Durable flexible circuit board for transparent display board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JP2020505629A (ja) ディスプレイ画面組立品、ディスプレイ画面組立品を組み立てるための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
CN103543559B (zh) 直下式背光模组
KR102301002B1 (ko) 디스플레이 조립체, 디스플레이,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해체 방법
US20100165642A1 (en) Fixing structure for printed circuit board of backlight module
JP2017105664A (ja) 複層ガラス
CN103117253A (zh) 功率模块的封装结构
US20150122403A1 (en) Display Device with Non-Transparent Heat Dissipat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30928B1 (ko) 전압인가의 열선을 포함한 패널의 가열접합구조
US9638400B2 (en) OLED lighting module
WO2013179482A1 (ja) 有機el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6922229B2 (ja) Ledバックライト
KR10080702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5624088B2 (ja) 有機elモジュール
JP2015055639A (ja) 表示装置
JP5803748B2 (ja) 有機el発光装置
KR20230030692A (ko) 패널 하부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5035692A1 (zh) 一种led光源及使用该led光源的载体
KR20150098170A (ko) 전도성 테이프를 이용한 발광소자용 배선 장치 및 방법
JP2020030229A (ja) 電極端子および液晶調光フィルム
KR20140035802A (ko) Oled 조명 모듈
US8573793B2 (en) Electrode plate for external electrode lamp and backlight
JP2017130662A (ja) Ledバックライト
JP2017130563A (ja) Led素子用基板
WO2007135743A1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