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611B1 -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611B1
KR102300611B1 KR1020210034166A KR20210034166A KR102300611B1 KR 102300611 B1 KR102300611 B1 KR 102300611B1 KR 1020210034166 A KR1020210034166 A KR 1020210034166A KR 20210034166 A KR20210034166 A KR 20210034166A KR 102300611 B1 KR102300611 B1 KR 102300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unit
switchboard
visible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혜영
황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우리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우리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우리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034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수배전을 위한 다수의 부속품(E)이 내장되는 수배전반(100)과; 수배전반(100) 내부에서 부속품(E)을 촬영하여 대응되는 화상신호를 발생하는 제1,2촬영부(210)(220)와; 제1,2촬영부(210)(220)에서 출력되는 다수의 부속품(E) 관련 화상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00)와; 제1,2촬영부(210)(220)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A distributing board capable of vision monitoring}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배전반 내에서 부속품의 열화나 부식등의 이벤트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원격지에 위치된 관리자가 모니터링 결과를 공유 및 대처할 수 있는, 스마트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이란 발전소로부터 공급받은 특고압 전력을 학교, 빌딩, 공장등과 같은 전력수요처로 분배하는 계통의 핵심 설비이다. 이러한 수배전함은, 함체 내부에 계기용 변성기(MOF), 계기용 변압기(PT), 계기용 변류기(CT), 단로기(DS), VCB, MCCB, 피뢰기(LA), 파워퓨즈(PF)등의 수배전에 필요한 각종 부속품이 내장되어 구현된다.
그런데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여러 부속품은, 전기적, 기계적, 환경적, 제작시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열화 및 손상이 발생되며, 그로 인한 스파크 발생, 누유, 절연 파괴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배전반의 셧다운에 의한 정전이나 화재등의 사고등이 발생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국내의 화재 발생 현황을 보면 매년 3만 건 이상의 화재가 발생되는데, 그 중 약 1/3 이상이 전기에 의한 화재로 알려져 있을 만큼 전기화재가 빈번한 실정이다. 이러한 전기화재 원인중 약 65%가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되는 부속품의 열화 및 손상에 따른 발화라고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수배전반을 내장되는 부속품의 열화 및 손상은 수배전반 셧다운은 물론 전기화재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부속품의 열화 및 손상과 같은 이벤트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수배전반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관리자가 모니터링된 수배전반의 이벤트 상황을 공유하고, 공유된 이벤트 상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추후에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각종 부속품에서 열화 및 손상등의 이벤트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원격지에 위치된 관리자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모니터링된 이벤트 상황을 공유하고 분석함으로써, 수배전반의 셧다운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은, 수배전을 위한 다수의 부속품(E)이 내장되는 수배전반(100); 상기 수배전반(100) 내부에서 부속품(E)을 촬영하여 대응되는 화상신호를 발생하는 제1,2촬영부(210)(220); 상기 제1,2촬영부(210)(220)에서 출력되는 다수의 부속품(E) 관련 화상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00); 상기 제1,2촬영부(210)(220)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400); 및 상기 수배전반(100)의 함체(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촬영부(210)(220)를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2위치가변부(510)(5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위치가변부(510)(520)는, 상기 함체(10) 내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레일(511a)(521a)이 형성된 제1.2레일브라켓(511)(521)과, 상기 제1,2레일브라켓(511)(52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게 결합되는 제1,2이동브라켓(512)(522)과, 상기 제1,2이동브라켓(512)(522)에 좌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촬영부(210)(220)를 지지하는 제1,2위치이동레버(513)(5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촬영부(210)는, 상기 수배전반(100)의 함체(110) 내부 일측에 위치되어 촬영되는 부속품(E)의 가시화상 이미지(visible image)를 생성하는 제1가시카메라(211)와, 상기 제1가시카메라(211)를 지지하는 제1촬영헤드(213)와, 상기 제1촬영헤드(213)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시카메라(211)가 촬영하는 위치로 가이드레이저(L)를 조사하는 제1레이저조사부(215)를포함하고; 상기 제2촬영부(220)는, 상기 수배전반(100)의 함체(110) 내부 타측에 위치되어 촬영되는 부속품(E)의 가시화상 이미지(visible image)를 생성하는 제2가시카메라(221)와, 상기 제2가시카메라(221)를 지지하는 제2촬영헤드(223)와, 상기 제2촬영헤드(223)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2가시카메라(221)가 촬영하는 위치로 가이드레이저(L)를 조사하는 제2레이저조사부(2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촬영부(210)는, 상기 제1촬영헤드(213)에 제1가시카메라(211)와 이격되게 지지되는 것으로서, 촬영되는 열화상 이미지(infrared image)를 생성하는 제1적외선카메라(2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촬영부(220)는, 상기 제2촬영헤드(223)에 제2가시카메라(221)와 이격되게 지지되는 것으로서, 촬영되는 열화상 이미지(infrared image)를 생성하는 제2적외선카메라(222)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촬영부(210)는, 상기 제1촬영헤드(213)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1회동지지부(2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촬영부(220)는, 상기 제2촬영헤드(223)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2회동지지부(224)를 더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버(400)는, 상기 제1,2촬영부(210)(220)로부터 전송되는 가시화상 정보 및 열화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410)와, 상기 저장부(410)에 저장된 화상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비교부(420)와, 시계열적으로 분석된 화상 데이터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변화가 발생될 때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신호발생부(430)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촬영부(210)(220) 및 디스플레이(300)를 통하여 함체(110) 내부 특정 부속품(E)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서버(400)의 저장된 제1,2촬영부(210)(220)의 화상데이터를 현재와 과거를 비교하여 특정 부속품(E)의 열화 및 손상에 따른 이벤트 상황의 진행 여부를 판단, 감시를 할 수 있으며. 이벤트 진행 정도에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부속품의 교체시기를 분석할 수 있어 용이한 설비유지 및 인건비 절감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수배전반(100) 내에서 부속품(E)의 열화 및 손상등의 이벤트 상황이 설정 범위 이상으로 진행될 때, 서버(400)는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경고신호를 발생하여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수배전반의 셧다운은 물론 화재등의 2 차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수배전반 내부에 제1,2촬영부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제1,2촬영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제1,2촬영부의 정면도,
도 6은 도 1의 서버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2의 수배전반 내부에 제1,2촬영부를 위치 가변시키기 위한 제1,2위치가변부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제1,2위치가변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은, 수배전을 위한 다수의 부속품(E)이 내장되는 수배전반(100)과; 수배전반(100) 내부에서 부속품(E)을 촬영하여 대응되는 화상신호를 발생하는 제1,2촬영부(210)(220)와; 제1,2촬영부(210)(220)에서 출력되는 다수의 부속품(E) 관련 화상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00)와; 제1,2촬영부(210)(220)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400);를 포함한다.
수배전반(100)은, 분체도장된 철판이 육면체 형태로 절곡 및 용접됨으로써 구현되는 함체(110)와, 출입을 위한 도어(120)와, 통기를 위한 다수의 통기공(130)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수배전반(100)에는, 각종 부속품(E), 예를 들면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압시키는 변압기,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하는 계기용 변압기(PT),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환하는 계기용 변류기(CT), 적산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량기로 구성되는 계기용 변성기(MOF), 전기회로에서 발생되는 이상 고전압을 안전하게 방전하여 기기의 파손을 예방하는 피뢰기(LA), 정상적이지 않는 고압 상태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하는 파워퓨즈(PF)등의 부속품(E)이 내장된다.
도 3은 도 2의 제1,2촬영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제1,2촬영부의 정면도이다.
제1,2촬영부(210)(220)는 수배전반(100) 내부에서 부속품(E)을 촬영하여 대응되는 화상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부속품(E)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도록 여러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여러개의 촬영부중 2 개의 촬영부를 지정하여, 함체(110)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촬영부(210)와, 함체(10) 내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촬영부(220)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제1촬영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의 내부 일측에 위치되어 촬영되는 부속품(E)의 가시화상 이미지(visible image)를 생성하는 제1가시카메라(211)와, 촬영되는 열화상 이미지(infrared image)를 생성하는 제1적외선카메라(212)와, 제1가시카메라(211)와 제1적외선카메라(212)를 지지하는 제1촬영헤드(213)와, 제1촬영헤드(213)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1회동지지부(214)와, 제1촬영헤드(213)의 전방에 설치되어 제1가시카메라(211)가 촬영하는 위치로 가이드레이저(L)를 조사하는 제1레이저조사부(215)와, 제1촬영헤드(213)에 설치된 것으로서 전방측으로 조명용 광을 조사하기 위한 제1조명부(216)를 포함한다.
제2촬영부(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 내부 타측에 위치되어 촬영되는 부속품(E)의 가시화상 이미지(visible image)를 생성하는 제2가시카메라(221)와, 촬영되는 열화상 이미지(infrared image)를 생성하는 제2적외선카메라(222)와, 제2가시카메라(221)와 제2적외선카메라(222)를 지지하는 제2촬영헤드(223)와, 제2촬영헤드(223)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2회동지지부(224)와, 제2촬영헤드(223)의 전방에 설치되어 제2가시카메라(221)가 촬영하는 위치로 가이드레이저(L)를 조사하는 제2레이저조사부(225)와, 제2촬영헤드(223)에 설치된 것으로서 전방측으로 조명용 광을 조사하기 위한 제2조명부(22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촬영부(210)와 제2촬영부(220)는 동일 구성이며,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 부속품(E)의 개수에 따라 많아지거나 적어진다.
제1,2가시카메라(211)(221)는, HD 급 가시화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2M 이상의 픽셀을 포함한다. 이때 제1,2가시카메라(211)(221)가 줌 기능을 가질 때, 관리자는 줌을 이용하여 특정 부속품(E)을 더욱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제1,2적외선카메라(212)(222)는, 부속품(E)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의 양 및 파장에 의하여 다양한 온도 스펙트럼으로 구성되는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제1,2촬영헤드(213)(223)는 제1,2가시카메라(211)(221)와 제1,2적외선카메라(212)(222)를 상호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함과 동시에 제1,2회동지지부(214)(224)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1,2회동지지부(214)(22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촬영헤드(213)(223)를 지지하는 제1,2구체(214a)(224a)와, 제1,2구체(214a)(224a)의 외주면을 감싸게 지지함으로서 제1,2구체(214a)(224a)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1,2구체커버(214b)(224b)와, 제1,2구체커버(214b)(224b)를 지지하는 제1,2커버베이스(214c)(224c)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촬영헤드(213)(223)를 지지하는 제1,2구체(214a)(224a)는 제1,2구체커버(214b)(224b)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360ㅀ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제1,2찰영헤드(213)(223)에 지지되는 제1,2가시카메라(211)(221) 및 제1,2적외선카메라(212)(222)는 촬영 방향을 입체적으로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하고자 하는 특정 부속품(E)의 위치에 관계없이, 제1,2가시카메라(211)(221) 및 제1,2적외선카메라(212)(222)를 특정 부속품(E)을 향하게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1,2레이저조사부(215)(225)는, 제1,2가시카메라(211)(221) 및 제1,2적외선카메라(212)(222)가 촬영하는 위치로 레이저빔(L)을 조사한다. 이러한 제1,2레이저조사부(215)(225)에 의하여, 작업자가 제1,2촬영부(210)(220) 세팅시, 제1,2가시카메라(211)(221) 및 제1,2적외선카메라(212)(222)가 특정 부속품(E)에 정확히 대향되었는지 여부를 현장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세팅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제1,2조명부(216)(226)는, 제1,2가시카메라(211)(221)가 가시화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전방 부속품(E)을 밝게 조명한다. 이에 따라, 어두운 환경에서도 제1,2가시카메라(211)(221)는 전방측 부속품(E)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0)는, 제1,2촬영부(210)(220)에서 전송되는 가시화상 및 열화상 정보로부터 가시화상 화면과 열화상 화면을 출력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300)는, 관리자의 조작에 의하여 다수의 제1,2촬영부(210)(220)에서 전송되는 화상 이미지를 화면에 동시에 표현하거나, 서버(400)에 저장된 화상정보를 현재와 과거를 비교하여 표시하거나, 가시화상 화면과 열화상 화면이 융합된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우측 상단에 변압기에 대응되는 가시화상 화면을 표시하고, 우측 상단에 상기 변압기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에 의하여 생성되는 열화상 화면을 표시하고, 좌측에 가시화상 화면과 열화상 화면이 융합되어 가시적으로 보이는 변압기에 중첩되게 표시하는 융합화상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과도하게 발열되는 특정 부속품을 디스플레이(300)를 통하여 특정할 수 있어 확실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서버(400)는, 제1,2촬영부(210)(220)와 네트워크(N)로 연결된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촬영부(210)(220)로부터 전송되는 가시화상 정보 및 열화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410)와, 저장부(410)에 저장된 화상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비교부(420)와, 시계열적으로 분석된 화상 데이터에서 설정 범위 이상으로 변화가 발생될 때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신호발생부(430)를 포함한다.
제1,2촬영부(210)(220)에서 촬영되는 부속품(E)에 관련된 화상데이터는 저장부(410)에 시계열적으로 저장되고, 현재를 기준으로 특정 시점 이전의 데이터는 자동으로 삭제하여 현재를 기준으로 부속품(E)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계속 업데이트한다.
비교부(420)는 저장부(410)에 저장된 화상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변화값을 추출하고, 이에 따른 비교분석, 판단, 감시를 할 수 있다. 즉, 저장부(410)에 저장된 정상 부속품 화상데이터와, 이후 일정시간이 지난 이후에 저장된 부속품의 화상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열화 및 손상에 의한 이벤트 상황의 진행정도를 판단하는 것이다.
비교부(420)에 의하여 분석되는 부속품(E)의 이벤트 상황으로, 절연 파괴, 지락, 외형변색, 퓨즈동작, 소손발생등이 있다.
경고신호발생부(430)는, 비교부(420)에서 비교된 특정 부속품에서 열화 및 손상이 설정된 값 이상으로 진행되는 이벤트 상황이 진행될 때 경고신호를 자동으로 발생하고 전송함으로서, 원격지의 관리자가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서버(400)에 의하여, 비교분석부(420)는 저장부(410)에 저장된 화상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비교 및 분석하여 특정 부속품(E)의 열화 정도를 분석한다. 예를 들면, 6시간 단위, 12시간 단위, 또는 24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현재의 화상데이터와 과거에 촬영된 화상데이터를 비교하여 특정 부속품(E)에서의 화상 변화를 특정하고, 이러한 화상 변화를 기반으로 하여 특정 부속품의 현재 열화 정도 및 교체시기를 분석한다.
도 7은 도 2의 수배전반 내부에 제1,2촬영부를 위치 가변시키기 위한 제1,2위치가변부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제1,2위치가변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은, 수배전반(100)의 함체(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촬영부(210)(220)를 위치가변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2위치가변부(510)(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치가변부(510)는 제1촬영부(210)를 함체(110) 내부 일측에서 위치 가변시키고, 제2위치가변부(520)는 제2촬영부(220)를 함체(110) 내부 타측에서 위치 가변시키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제1,2위치가변부(510)(520)는, 함체(10) 내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레일(511a)(521a)이 형성된 제1.2레일브라켓(511)(521)과, 제1,2레일브라켓(511)(52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제1,2이동브라켓(512)(522)과, 제1,2이동브라켓(512)(522)에 좌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회동지지브라켓의 제1,2커버베이스(214)(224)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1,2촬영부(210)(220)를 지지하는 제1,2위치이동레버(513)(52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함체(110) 내부에 고정된 제1,2위치가변부(510)(520)를 따라, 제1,2촬영부(210)(220)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배전반에 설치되는 부속품의 위치가 가변되거나, 특정 부속품이 추가로 설치되는 경우, 또는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 부속품이 변경되더라도, 제1촬영부(210)와 제2촬영부(220)를 특정 부속품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켜 촬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제1,2촬영부(210)(222)가 제1,2회동지지부(214)(224)를 구비함으로써, 제1,2촬영헤드(213)(223)에 지지되는 제1,2가시카메라(211)(221) 및 제1,2적외선카메라(212)(222)를 특정 부속품(E)을 향하게 방향 변경할 수 있어, 제1,2위치가변부(510)(520)와의 유기적인 동작 관계에 의하여 부속품(E)이 수배전반 어느 위치에 있던간에 촬영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촬영부(210)(220) 및 디스플레이(300)를 통하여 함체(110) 내부 특정 부속품(E)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서버(400)의 저장된 제1,2촬영부(210)(220)의 화상데이터를 현재와 과거를 비교하여 특정 부속품(E)의 열화 및 손상에 따른 이벤트 상황의 진행 여부를 판단, 감시를 할 수 있으며. 이벤트 진행 정도에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부속품의 교체시기를 분석할 수 있어 용이한 설비유지 및 인건비 절감등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수배전반(100) 내에서 부속품(E)의 열화 및 손상등의 이벤트 상황이 설정 범위 이상으로 진행될 때, 서버(400)는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경고신호를 발생하여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수배전반의 셧다운은 물론 화재등의 2 차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E ... 부속품 100 ... 수배전반
210, 220 ... 제1,2촬영부 211, 222 ... 제1,2가시카메라
212, 222 ... 제1,2적외선카메라 213, 223 ... 제1,2촬영헤드
214, 223 ... 제1,2회동지지부 214a, 224a ... 제1,2구체
214b, 224b ... 제1,2구체커버 214c, 224c ... 제1,2커버베이스
215, 225 ... 제1,2레이저조사부 216, 226 ... 제1,2조명부
300 ... 디스플레이 400 ... 서버
410 ... 저장부 420 ... 비교부
430 ... 경고신호발생부 510, 520 ... 제1,2위치가변부
511, 521 ... 레일브라켓 511a, 521a ... 제1,2레일
512, 522 ... 제1,2이동브라켓 513, 523 ... 제1,2좌우이동레버

Claims (7)

  1. 수배전을 위한 다수의 부속품(E)이 내장되는 수배전반(100);
    상기 수배전반(100) 내부에서 부속품(E)을 촬영하여 대응되는 화상신호를 발생하는 제1,2촬영부(210)(220);
    상기 제1,2촬영부(210)(220)에서 출력되는 다수의 부속품(E) 관련 화상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00);
    상기 제1,2촬영부(210)(220)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400); 및
    상기 수배전반(100)의 함체(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촬영부(210)(220)를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2위치가변부(510)(5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위치가변부(510)(520)는, 상기 함체(10) 내부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레일(511a)(521a)이 형성된 제1,2레일브라켓(511)(521)과, 상기 제1,2레일브라켓(511)(52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게 결합되는 제1,2이동브라켓(512)(522)과, 상기 제1,2이동브라켓(512)(522)에 좌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촬영부(210)(220)를 지지하는 제1,2위치이동레버(513)(5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촬영부(210)는, 상기 수배전반(100)의 함체(110) 내부 일측에 위치되어 촬영되는 부속품(E)의 가시화상 이미지(visible image)를 생성하는 제1가시카메라(211)와, 상기 제1가시카메라(211)를 지지하는 제1촬영헤드(213)와, 상기 제1촬영헤드(213)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시카메라(211)가 촬영하는 위치로 가이드레이저(L)를 조사하는 제1레이저조사부(215)를 포함하고;
    상기 제2촬영부(220)는, 상기 수배전반(100)의 함체(110) 내부 타측에 위치되어 촬영되는 부속품(E)의 가시화상 이미지(visible image)를 생성하는 제2가시카메라(221)와, 상기 제2가시카메라(221)를 지지하는 제2촬영헤드(223)와, 상기 제2촬영헤드(223)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2가시카메라(221)가 촬영하는 위치로 가이드레이저(L)를 조사하는 제2레이저조사부(2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촬영부(210)는, 상기 제1촬영헤드(213)에 제1가시카메라(211)와 이격되게 지지되는 것으로서, 촬영되는 열화상 이미지(infrared image)를 생성하는 제1적외선카메라(2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촬영부(220)는, 상기 제2촬영헤드(223)에 제2가시카메라(221)와 이격되게 지지되는 것으로서, 촬영되는 열화상 이미지(infrared image)를 생성하는 제2적외선카메라(2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촬영부(210)는, 상기 제1촬영헤드(213)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1회동지지부(2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촬영부(220)는, 상기 제2촬영헤드(223)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2회동지지부(2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400)는,
    상기 제1,2촬영부(210)(220)로부터 전송되는 가시화상 정보 및 열화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410)와,
    상기 저장부(410)에 저장된 화상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비교부(420)와,
    시계열적으로 분석된 화상 데이터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변화가 발생될 때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신호발생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
KR1020210034166A 2021-03-16 2021-03-16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 KR102300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166A KR102300611B1 (ko) 2021-03-16 2021-03-16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166A KR102300611B1 (ko) 2021-03-16 2021-03-16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611B1 true KR102300611B1 (ko) 2021-09-09

Family

ID=7777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166A KR102300611B1 (ko) 2021-03-16 2021-03-16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707B1 (ko) 2023-11-06 2024-04-11 우암전자 주식회사 하드웨어 자동 감지 및 분석을 통한 하드웨어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006B1 (ko) * 2008-04-24 2009-01-28 (주)태양이엔시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
KR20180071626A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해강에이피 화재 징후 예방 및 냄새 감지기 시스템
JP2020156131A (ja) * 2019-03-18 2020-09-2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設備点検装置
KR20200132456A (ko) * 2019-05-17 2020-11-25 대경산전(주) 수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006B1 (ko) * 2008-04-24 2009-01-28 (주)태양이엔시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
KR20180071626A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해강에이피 화재 징후 예방 및 냄새 감지기 시스템
JP2020156131A (ja) * 2019-03-18 2020-09-2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設備点検装置
KR20200132456A (ko) * 2019-05-17 2020-11-25 대경산전(주) 수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707B1 (ko) 2023-11-06 2024-04-11 우암전자 주식회사 하드웨어 자동 감지 및 분석을 통한 하드웨어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918B1 (ko) 스마트 배전반 시스템
US7989769B2 (en) In-cabinet thermal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CN110707823A (zh) 一种变电站多维智能远程巡检系统
JP5197642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2300611B1 (ko)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
CN207650323U (zh) 一种电气火灾监控系统
KR102382151B1 (ko) 배전반 이상 모니터링 장치
KR101951700B1 (ko) 전력설비 및 발전설비의 과열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KR20170047979A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수배전반의 열화 진단 시스템
KR102303585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수배전반의 이상징후를 감지하는 방법
KR102234242B1 (ko)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
KR102214964B1 (ko) 열화상 사각지대를 없앤 열화 진단시스템을 가지는 수배전반
KR102600977B1 (ko) 열화상 카메라 모듈과 압전 하베스터 모듈을 이용한 전기기기의 고장 및 열화 진단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623760B1 (ko) 분전반
KR101260352B1 (ko) 배전반의 열화 및 화재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US20220406158A1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monitoring utility systems
CN114998766A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电力高压设备故障检测方法
CN208780775U (zh) 用于开关柜的放电监测系统以及开关柜
KR102508542B1 (ko) Ess용 통합배전반
JP2018207297A (ja) 作業員監視システムおよび作業員監視方法
CN110601376B (zh) 一种高压隔离开关合闸到位监测装置及方法
JPH02121008A (ja) プラント監視装置
DE112016003422T5 (de) Infrarotsensorgruppe mit schutzschalter und hotspot-überwachung
CN112991675A (zh) 电力检修现场作业范围监护系统及监护方法
KR102600722B1 (ko) Ai 기반 과열 방지 및 원격감시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