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352B1 - 배전반의 열화 및 화재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열화 및 화재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352B1
KR101260352B1 KR1020120088356A KR20120088356A KR101260352B1 KR 101260352 B1 KR101260352 B1 KR 101260352B1 KR 1020120088356 A KR1020120088356 A KR 1020120088356A KR 20120088356 A KR20120088356 A KR 20120088356A KR 101260352 B1 KR101260352 B1 KR 101260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uation
fire
suspected
uni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제
Original Assignee
(주)유니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스디 filed Critical (주)유니스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열화 및 화재 감시 시스템은, 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20), 제어부(30), 데이터 저장부(40), 모니터(50), 스피커(60), 입력부(70)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부(30)는, 카메라(20)로부터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전송받은 후 데이터 저장부(40)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소정의 시간 이상 동안 아무런 이상이 없으면 소정 시간 이전의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영상이 소정 시간 미만의 짧은 시간 동안 밝아졌다 어두워지면 방전 의심 상황임으로 판단하고, 영상이 지속적으로 밝아지면서 밝아지는 부위의 밝기가 조금씩 변한다면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하고, 방전 의심 상황이나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되면 모니터(50)에 방전 의심 상황 또는 화재 의심 상황을 표시하면서 스피커(60)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구성의 결과, 설치비용이 과다하지 않으면서도 배전반 내부의 열화 및 화재여부를 정확히 판단하고 신속하게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배전반의 열화 및 화재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A SYSTEM FOR MONITORING THE DETERIORATION AND FIRE OF DISTRIBUTION PANEL,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배전반의 열화 및 화재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 절연물의 열화 및 화재 발생 여부를 카메라로 감시하고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은 아파트, 빌딩, 공장, 변전소, 제철소 등의 전력 수용가 측에 설치되어 고전압의 전력을 저전압으로 변환하여 해당 설비에 공급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배전반은 고전압의 전기를 공장 또는 사용자가 필요한 전압으로 낮추어 공급하거나 정전사고 등으로부터 전체 설비를 보호하도록 에폭시 몰드형 계기용변류기, 계기용변압기, 전력량계량기, 부싱, 지지애자, 부하개폐기, 진공차단기 등 다양한 내부설치기기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내부설치기기들에는 고전압상황에서 발생하는 코로나, 부분방전, 섬락 등의 방전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여러 종류의 절연물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절연물에는 공극 또는 박리 등과 같은 갭(gap)이 제조공정 중의 어떤 이유나 동작 중의 냉각 및 가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갭은 높은 전계가 인가될 때마다 부분 전기방전을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부분 방전이 반복되면 절연물이 서서히 침식되고 절연내력(dielectric strength)을 감소시킴으로써 결국 심각한 절연 파괴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절연물 내의 갭을 미리 제거하여 부분 방전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러 원인을 고려할 때 갭을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렵다. 또한, 절연물의 절연 특성은 제조 단계에서는 양호하더라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절연 열화는 배전반의 동작 중에 발생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검사가 어렵다. 따라서 항상 정확하게 절연 특성을 파악하기가 불가능하므로 예측하지 못한 중대한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종래부터 부분 방전을 측정하여 열화를 감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부분방전 측정법은, 절연 열화 발생시 나타나는 부분방전을 감지하기 위하여 배전반 내부에 부분방전용 접촉센서를 설치하는 방법과, 배전반 외함에 UHF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를 부착 설치하는 방법과, 외함에 특수 제작된 정전용량성 센서를 부착 설치하는 방법과, 차단기 접지선에 유도성 센서를 부착 설치하는 방법 등으로 다양한 방법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부분방전 측정법은 배전반에서 부분 방전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만을 검출할 수 있었을 뿐, 각각의 설치 기기의 절연 열화의 정도를 개별적으로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절연 파괴를 사전에 예측하기도 어렵다. 또한, 종래의 부분방전 측정법은 전력설비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 펄스 또는 초음파 센서 또는 안테나와 같은 고가의 건(gun) 타입의 테스트 기기로 검출한 후, 이를 데이터의 형식으로 컴퓨터 쪽으로 옮겨와서 분석하여 부분 방전 상태를 판정하는 시험이나, 시험 관리자의 수작업에 의해 정기 검진 시기에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설치 기기의 절연 파괴를 실시간으로 예측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에서는 전력설비 내부에서 어느 한 부위와 같은 국부적인 활선 상태를 열 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획득한 열 화상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전력설비를 정전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진단하는 열 화상 진단 시스템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열 화상 진단 시스템은 복수 개의 절연 기기별로 활선 상황을 촬영한 대용량 열 화상 데이터를 취급함에 따라서, 활선 상황을 실시간으로 처리하기에 대형 컴퓨팅 시스템을 요구하거나, 고가의 열 화상 카메라를 복수 개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고, 실시간으로 절연 열화를 감시 및 예측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에서는 무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여 부분 방전(partial discharge)에 대응한 전자파를 검출하는 방식이 있으나,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을 단순히 진단하려고만 할 뿐, 개개의 설치 기기의 열화를 감시할 수는 없는 한계가 있었고 절연 파괴를 예측할 정도의 정밀한 감시를 위한 구체적인 수단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진동 측정법은 변압기가 운전할 때 떨리는 현상을 이용하여 변압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변압기의 철심에 진동센서를 달아 놓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즉, 이 방법은 변압기가 정상적으로 운전할 때의 진동신호와 변압기에 이상이 발생한 때의 진동신호를 구별하여 변압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나, 변압기에 걸리는 부하사용에 따른 노이즈에 대한 영향이 심하여 정밀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구체적으로 열화 발생 부위를 찾기 위해서는 3개 이상의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열화 부위를 추정하여야 하므로 절차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게재된 발명과 같이, 초고주파 진동센서를 이용한 열화 감지장치가 있다. 이 발명에서는 열화가 시작되어 부분 방전에 의해서 발생하는 초고주파 진동을 초고주파 진동센서로 감지하지만 아주 작은 스파크나 불빛만 발생되고 진동이 미미한 경우에는 알 수 없으며, 방전 발생시 방전 부위에 검은색의 자국이나 흔적이 없는 경우 정확한 위치를 찾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에 게재된 발명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배전반 설비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시하고 화재 발생이라고 판단될 때에는 관리자 및 소방서에 화재 발생위치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나 관리자가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영상신호와 화재 발생경보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하고, 관리자가 확인하지 않으면 화재가 아닌 경우에도 소방서로 화재 신고가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고, 소방서에서 화재신고를 받고 화재 진화를 위해 출동한 때에는 이미 화재가 진행되어 큰 피해가 발생한 이후인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3'에 게재된 발명은, 배전반 및 시설물에 화재감시제어기(WB-FR2)를 설치함으로써 배전반 또는 시설물에서의 화재발생시 상황별로 무인 자동 정밀분석을 통하여 경보 및 자동소화 기능을 수행하고 통신을 통해 원격복구, 정전감시 및 자기고장 진단통보 등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배전반마다 고가의 장비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077441 B1 2011. 10. 20. KR 10-2001-0106646 A 2001. 12. 07. KR 10-0816984 B1 2008. 03. 19.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비용이 과다하지 않으면서도 배전반 내부의 열화 및 화재여부를 정확히 판단하고 신속하게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는 배전반의 열화 및 화재 감시 시스템과 그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열화 및 화재 감시 시스템은, 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20), 제어부(30), 데이터 저장부(40), 모니터(50), 스피커(60), 입력부(70)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부(30)는, 카메라(20)로부터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전송받은 후 데이터 저장부(40)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소정의 시간 이상 동안 아무런 이상이 없으면 소정 시간 이전의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영상이 소정 시간 미만의 짧은 시간 동안 밝아졌다 어두워지면 방전 의심 상황으로 판단하고, 영상이 지속적으로 밝아지면서 밝아지는 부위의 밝기가 조금씩 변한다면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하고, 방전 의심 상황이나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되면 모니터(50)에 방전 의심 상황 또는 화재 의심 상황을 표시하면서 스피커(60)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열화 및 화재를 감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스템의 제어부(30)가, 카메라(20)로부터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전송받은 후 데이터 저장부(40)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카메라(2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이 소정 시간 미만의 짧은 시간 동안 밝아졌다 어두워지면 방전 의심 상황으로 판단하고, 카메라(2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이 지속적으로 밝아지면서 밝아지는 부위의 밝기가 조금씩 변한다면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하는 단계; 방전 의심 상황이나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되면 모니터(50)에 방전 의심 상황 또는 화재 의심 상황을 표시하면서 스피커(60)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도록 하고, 소정의 시간 이상 동안 아무런 이상이 없으면 소정 시간 이전의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열화 및 화재 감시 시스템은 설치비용이 과다하지 않으면서도 배전반 내부의 열화 및 화재여부를 정확히 판단하고 신속하게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배전반 내부에 카메라가 설치된 모습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모니터 화면 구성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카메라에 비친 화면의 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각 내부설치기기별로 화면 영역을 설정한 모습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열화 및 화재 감시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배전반 내부에 카메라(20)가 설치된 모습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배전반(10) 내부에는 다수의 내부설치기기들(11~15)이 설치되어 있다. 다수의 내부설치기기들(11~15)은 부싱, 지지애자, 고압차단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각종 절연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는 이 모든 내부설치기기들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만일 하나의 카메라로 배전반(10) 내부의 모든 내부설치기기들을 촬영할 수 없다면 다수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모든 내부설치기기들을 촬영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카메라(20)는 배전반(10) 내부의 영상을 촬영한다. 제어부(30)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제어한다. 데이터 저장부(40)는 제어부(30)의 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모니터(50)는 관리자에게 배전반(10)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스피커(60)는 경보신호를 출력한다. 입력부(70)는 관리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역할을 하며 버튼, 키보드, 터치패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관리자는 모니터(50)와 스피커(60)를 통해 배전반의 상태를 알 수 있고 입력부(70)를 통해 시스템에 필요한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전력차단부(80)는 배전반(10)으로의 전력을 차단할 수 있고, 소화기(85)는 배전반(10)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불을 끄는 역할을 한다. 무선통신부(90)는 제어부(30)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휴대폰)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해 준다.
배전반(10)의 가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배전반의 문은 닫혀 있게 되며, 배전반 내부는 매우 어두운 상태에 있게 된다. 배전반(10) 내부의 내부설치기기들에서 방전이 일어나면, 방전에 의한 불빛으로 인해 짧은 시간에 깜빡 거리면서 주변이 약간 밝아진다. 또 배전반(10) 내부의 내부설치기기들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지속적으로 빛을 발하면서 빛이 조금씩 움직인다.
카메라(20)를 통해 배전반(10) 내부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제어부(30)는 전송받은 영상의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40)에 저장하면서, 영상을 분석하여 방전 또는 화재 여부를 판단한다.
영상을 분석하여 방전 또는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어떤 내부설치기기가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예를 들어 1초 미만의 시간 동안 밝아졌다 어두워지면 그 내부설치기기에서 방전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는 방전 의심 상황으로 판단한다. 또 어떤 내부설치기기가 지속적으로, 예를 들어 3초 이상 밝아지면서 밝아지는 부위의 밝기가 조금씩 변한다면 그 내부설치기기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한다.
만일 소정의 시간 동안 방전 의심 상황 또는 화재 의심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면, 소정 시간 이전의 영상은 삭제한다. 예를 들어 기록저장시간을 1분으로 정해둔다면, 최근 1분 동안의 영상에서 방전 의심 상황이나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할 영상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1분 이전의 영상은 삭제한다. 그러나 최근 1분의 영상 중에 방전 의심 상황이나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할 영상이 포함되어 있으면 그 영상은 삭제하지 않고 계속 보관한다.
방전 의심 상황이나 화재 의심 상황이 없는 상황에서 일정한 시간 이전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이유는 데이터 저장부(40)의 저장용량을 다 소모하여 더 이상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모니터 화면 구성이다. 모니터(50)는 방전 의심 상황이나 화재 의심 상황이 발생한 경우 그 상황이 발생한 배전반(10) 내부의 상황을 표시한다.
배치도 표시부(51)에는 그 배전반(10) 내부의 각 내부설치기기들이 해당 위치에 표시되고 방전 의심 상황이나 화재 의심 상황이 발생한 내부설치기기에 해당하는 위치가 반짝이면서 의심 상황이 발생한 내부설치기기를 표시한다. 종류 표시부(52)에서는 의심 상황의 종류가 방전 의심 상황인지 아니면 화재 의심 상황인지를 표시한다. 문제기기명 표시부(53)은 의심 상황이 발생한 내부설치기기의 명칭을 표시한다. 근거화면 표시부(54)는 방전 의심 상황이나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하게 한 근거화면을 동영상으로 표시한다. 만일 카메라가 현재 촬영한 화면에서도 밝기가 계속 변화하면서 방전 의심 상황이나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할 요소가 있으면 현재의 영상을 근거화면 표시부(54)에서 보여주지만, 카메라가 현재 촬영한 화면에서는 밝기의 변화가 전혀 없어 방전 의심 상황이나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할 요소가 없다면 방전 의심 상황이나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하게 만든 부분의 동영상을 근거화면 표시부(54)에서 보여준다.
또 방전 의심 상황이나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되면, 스피커(60)를 통해 경보 신호를 출력한다. 경보 신호는 일정한 주파수의 고음을 지속적으로 출력하는 일반적인 사이렌 소리가 될 수도 있고 "화재 의심" 또는 "방전 의심"과 같은 음성 출력이 될 수도 있다.
관리자는 경보 신호가 울리고 모니터(50)에 배전반(10) 내부의 상태가 표시되면 근거화면 표시부(54)의 영상을 보고 방전 또는 화재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관리자가 근거화면 표시부(54)의 영상을 보고 방전 또는 화재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입력장치(70)을 통해 상황 해제 명령을 입력하여 스피커(60)의 경보 신호를 중단시킨다.
만일 관리자가 근거화면 표시부(54)의 영상을 보고 방전 또는 화재라고 판단하면, 관리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방전이 일어났다고 판단되면 관리자는 그 내부설치기기를 교체할 수 있다. 또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전력 차단 명령을 입력하여 전력차단부(80)로 하여금 그 배전반(10)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고, 소화기 작동 명령을 입력하여 소화기(85)를 작동시켜 배전반(10)의 불을 끌 수도 있다.
배치도 표시부(51)에 그 배전반(10) 내부의 각 내부설치기기들이 해당 위치에 표시되기 위해서는 데이터 저장부(40)에 각 배전반(10)의 배치도가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즉 데이터 저장부(40)에 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내부설치기기들의 위치를 좌표화하여 그려진 배치도가 저장되어 있어야 하고 각 내부설치기기의 명칭이나 종류도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또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면에서 어느 부분이 어느 내부설치기기에 대응되는지를 미리 설정해주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카메라에 비친 화면의 예이다. 도 4의 화면에는 내부설치기기들(11~15)이 보인다. 사람은 도 3의 화면으로부터 내부설치기기들(11~15)을 쉽게 구분할 수 있으나 제어부(30)가 도 4의 화면으로부터 내부설치기기들(11~15)을 쉽게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관리자가 수동으로 각 내부설치기기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을 설정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내부설치기기를 포함하는 화면 영역 1(101)을 설정해줄 수 있다. 나중에 제어부가 화면 영역 1(101)에서 불빛을 검출하면 내부설치기기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도 3의 모니터 화면에서 배치도 표시부(51)의 내부설치기기(11)를 반짝이게 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나머지 내부설치기기들에 대해서도 각각 화면 영역 2(102), 화면 영역 3(103), 화면 영역 4(104), 화면 영역 5(105)를 설정해주고 각 화면 영역을 해당되는 내부설치기기에 대응하여 저장해둔다. 그러면 해당 화면 영역에서 불빛이 검출될 경우 그에 해당하는 내부설치기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배치도 표시부(51)의 해당 부분을 반짝이게 표시할 수 있다.
또 화재 의심 상황은 불이 번질 수 있는 상황이므로 관리자의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 그러나 관리자가 배전반(10)을 통제하는 장치{모니터(50), 스피커(60) 및 입력부(70)}의 앞에 24시간 대기할 수 없으므로 시스템의 경보신호에도 불구하고 전력차단부(80)의 작동과 소화기(85)의 작동을 신속하게 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시간을 미리 설정해 놓고 그 시간 내에 관리자의 대응이 없을 경우 제어부(30)가 자동적으로 전력차단부(80)를 작동시킨 후 소화기(85)를 작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차단부 반응시간을 1분으로, 소화기 반응시간을 30초로 설정한 상태에서, 경보신호 발생 후 1분 동안 관리자가 아무런 대응이 없으면 자동적으로 전력차단부(80)를 작동시켜 배전반(10)으로 가는 전력을 차단한다. 전력 차단 후에도 배전반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불빛이 촬영되어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되면, 전력차단 30초 후 자동적으로 소화기(85)가 작동하여 배전반 내의 불을 끄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화재발생시 관리자가 자리에 없더라도 자동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 관리자가 잠시 모니터(50), 스피커(60), 입력부(70)로 이루어진 통제장치 앞을 떠날 경우,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시스템에 입력하고 이동통신 알림모드로 설정하면, 화재 의심 상황이 발생했을 때 무선통신부(9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그 근거화면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관리자는 화재 의심 상황이 발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근거화면을 보고, 상황 해제 명령을 내리거나, 전력차단부(80)의 작동 명령 또는 소화기(85)의 작동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무선통신부(90)는 이동통신 단말기처럼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만 주고 받는 기능만 있으면 되므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 무선통신부(90)를 구현하는 구체적 기술은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0: 배전반 11: 내부설치기기 1
12: 내부설치기기 2 13: 내부설치기기 3
14: 내부설치기기 4 15: 내부설치기기 5
20: 카메라 30: 제어부
40: 데이터 저장부 50: 모니터
51: 배치도 표시부 52: 종류 표시부
53: 문제기기명 표시부 54: 근거화면 표시부
60: 스피커 70: 입력부
80: 전력차단부 85: 소화기
90: 무선통신부 101: 화면 영역 1
102: 화면 영역 2 103: 화면 영역 3
104: 화면 영역 4 105: 화면 영역 5

Claims (8)

  1. 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20), 제어부(30), 데이터 저장부(40), 모니터(50), 스피커(60), 입력부(70)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부(30)는, 카메라(20)로부터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전송받은 후 데이터 저장부(40)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소정의 시간 이상 동안 아무런 이상이 없으면 소정 시간 이전의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영상이 소정 시간 미만의 짧은 시간 동안 밝아졌다 어두워지면 방전 의심 상황으로 판단하고, 영상이 지속적으로 밝아지면서 밝아지는 부위의 밝기가 조금씩 변한다면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하고, 방전 의심 상황이나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되면 모니터(50)에 방전 의심 상황 또는 화재 의심 상황을 표시하면서 스피커(60)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모니터(50)에 방전 의심 상황 또는 화재 의심 상황을 표시함에 있어서,
    모니터 화면은 배치도 표시부(51), 종류 표시부(52), 문제기기명 표시부(53), 근거화면 표시부(54)로 구성되고,
    상기 배치도 표시부(51)에는 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내부설치기기들의 위치를 좌표화하여 그려진 배치도를 표시하면서 의심 상황이 발생한 내부설치기기가 반짝이면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종류 표시부(52)에는 의심 상황의 종류가 방전 의심 상황인지 또는 화재 의심 상황인지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문제기기명 표시부(53)에는 의심 상황이 발생한 내부설치기기의 명칭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근거화면 표시부(54)에는 방전 의심 상황이나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하게 한 근거화면을 동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열화 및 화재 감시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력차단부(80)와 소화기(85)를 더 포함하고,
    화재 의심 상황 표시 후, 관리자로부터 입력부(70)를 통해 전력 차단 명령을 입력받으면 제어부(30)는 전력차단부(80)를 작동시켜 배전반으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관리자로부터 입력부(70)를 통해 소화 명령을 입력받으면 제어부(30)는 소화기(85)를 작동시켜 불을 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열화 및 화재 감시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무선통신부(90)를 더 포함하고,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를 입력하고 이동통신 알림모드로 설정하면, 화재 의심 상황이 발생했을 때 무선통신부(90)를 통해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근거화면을 전송하고 관리자의 명령을 무선통신부(9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열화 및 화재 감시 시스템.
  5. 배전반의 열화 및 화재를 감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스템의 제어부(30)가,
    카메라(20)로부터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전송받은 후 데이터 저장부(40)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카메라(2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이 소정 시간 미만의 짧은 시간 동안 밝아졌다 어두워지면 방전 의심 상황으로 판단하고, 카메라(2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이 지속적으로 밝아지면서 밝아지는 부위의 밝기가 조금씩 변한다면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하는 단계;
    방전 의심 상황이나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되면 모니터(50)에 방전 의심 상황 또는 화재 의심 상황을 표시하면서 스피커(60)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도록 하고, 소정의 시간 이상 동안 아무런 이상이 없으면 소정 시간 이전의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모니터(50)에 방전 의심 상황 또는 화재 의심 상황을 표시함에 있어서,
    모니터 화면은 배치도 표시부(51), 종류 표시부(52), 문제기기명 표시부(53), 근거화면 표시부(54)로 구성되고,
    상기 배치도 표시부(51)에는 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내부설치기기들의 위치를 좌표화하여 그려진 배치도를 표시하면서 의심 상황이 발생한 내부설치기기가 반짝이면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종류 표시부(52)에는 의심 상황의 종류가 방전 의심 상황인지 또는 화재 의심 상황인지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문제기기명 표시부(53)에는 의심 상황이 발생한 내부설치기기의 명칭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근거화면 표시부(54)에는 방전 의심 상황이나 화재 의심 상황으로 판단하게 한 근거화면을 동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화재 의심 상황 표시 후 관리자로부터 입력부(70)를 통해 전력 차단 명령을 입력받으면 제어부(30)가 전력차단부(80)를 작동시켜 배전반으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단계;
    관리자로부터 입력부(70)를 통해 소화 명령을 입력받으면 제어부(30)가 소화기(85)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이동통신 알림모드로 설정된 경우, 화재 의심 상황이 발생했을 때 무선통신부(90)를 통해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근거화면을 전송하는 단계;
    관리자의 명령을 무선통신부(90)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0088356A 2012-06-29 2012-08-13 배전반의 열화 및 화재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101260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70382 2012-06-29
KR1020120070382 2012-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352B1 true KR101260352B1 (ko) 2013-05-07

Family

ID=4866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356A KR101260352B1 (ko) 2012-06-29 2012-08-13 배전반의 열화 및 화재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3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564B1 (ko) 2014-05-13 2014-06-26 주식회사 케이디티 2D Array 열화상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721235B1 (ko) 2017-01-16 2017-03-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합 센싱 모듈을 이용한 사고 감지 시스템
KR101880864B1 (ko) * 2017-11-24 2018-07-20 이황희 배전반 화재 관리시스템
KR101896663B1 (ko) * 2017-06-08 2018-09-07 이앤엠 주식회사 테블릿 pc를 이용한 스마트 분전반 자동제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8628A (ja) * 1997-09-26 1999-04-09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変電所におけるカメラ監視方式のアーク検出方法
JP2009118585A (ja) 2007-11-02 2009-05-2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配電設備の劣化診断装置
KR100964544B1 (ko) * 2009-10-30 2010-06-21 창성전기 주식회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8628A (ja) * 1997-09-26 1999-04-09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変電所におけるカメラ監視方式のアーク検出方法
JP2009118585A (ja) 2007-11-02 2009-05-2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配電設備の劣化診断装置
KR100964544B1 (ko) * 2009-10-30 2010-06-21 창성전기 주식회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564B1 (ko) 2014-05-13 2014-06-26 주식회사 케이디티 2D Array 열화상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721235B1 (ko) 2017-01-16 2017-03-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합 센싱 모듈을 이용한 사고 감지 시스템
KR101896663B1 (ko) * 2017-06-08 2018-09-07 이앤엠 주식회사 테블릿 pc를 이용한 스마트 분전반 자동제어 장치
KR101880864B1 (ko) * 2017-11-24 2018-07-20 이황희 배전반 화재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219B1 (ko) 배전함의 감시 시스템
KR102045795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배전반 방재 시스템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KR102057494B1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2382151B1 (ko) 배전반 이상 모니터링 장치
KR101379223B1 (ko) 전력기기 조작자의 안전 강화 기능을 갖는 도어 록킹 시스템
KR101325040B1 (ko) 통합관제시스템
KR101260352B1 (ko) 배전반의 열화 및 화재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102032406B1 (ko) 재난 경보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3465B1 (ko)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US20100085671A1 (en) Arc monitor
KR102303585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수배전반의 이상징후를 감지하는 방법
CN110651307A (zh) 远程防灾系统
KR20210062935A (ko) Io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배전반 시스템
CN112562246A (zh) 电气设备火灾监测系统
KR102043441B1 (ko) IoT 기반 이동통신용 스마트 분전반 제어 장치
CN104777398A (zh) 包括警报诊断显示器的绝缘监测的方法及设备
KR20090078186A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감시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03342B1 (ko)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화재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제어반
KR20170123295A (ko) 산불 감시 시스템
KR100913113B1 (ko) 광역의 무인단속 장치에 대한 통합적인 유지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663489B1 (ko) 열화상 감지 센서를 이용한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제조설비의 화재 모니터링 장치
JP2003250231A (ja) 電力用通信装置の通信監視システム
KR100440786B1 (ko) 디지털영상 원격감시 및 비상감지시스템
KR101190244B1 (ko) 배전반의 열 감지 및 원격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