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006B1 -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006B1
KR100878006B1 KR1020080038173A KR20080038173A KR100878006B1 KR 100878006 B1 KR100878006 B1 KR 100878006B1 KR 1020080038173 A KR1020080038173 A KR 1020080038173A KR 20080038173 A KR20080038173 A KR 20080038173A KR 100878006 B1 KR100878006 B1 KR 100878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mage
unit
switchgear
switc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진규
Original Assignee
(주)태양이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양이엔시 filed Critical (주)태양이엔시
Priority to KR1020080038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40Display of information, e.g. of data or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는, 수배전반을 탑재 보호하는 수배전반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 주기와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대한 셋팅값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과, 셋팅값을 처리 및 저장하는 연산 모듈로 구성된 감시 세팅부와; 감시 세팅부에 의해 세팅된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 주기 마다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등을 켜고,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가 완료된 후 전등을 끄는 전등 온/오프부와; 수배전함의 상하좌우 내면에 각각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 및 한 쌍의 제2가이드와,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고 양단이 각각 제1,2가이드와 이동 가능하게 맞물려 고정되는 제1,2볼스크류와, 카메라를 고정하고 제1,2볼스크류가 관통하도록 개구되어 배치되는 제1,2너트부와, 전등 온/오프부에 의해 전등이 켜 있는 동안 카메라가 상하좌우로 움직이도록 제1,2볼스크류를 각각 회전시키는 제1,2이송모터로 구성된 카메라 이송부와;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대한 셋팅값을 참조해서 카메라 이송부를 제어하여 카메라를 일정 위치에 위치시키고, 카메라가 정지된 일정 시간 동안 수배전반 내부의 일정 영역을 촬영하여 얻어진 영상을 일정 영역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영상 캡처부와; 수배전반 내부의 일정 영역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영상 캡처부에 의해 최근에 촬영된 영상과 이전에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되 특정 픽셀 이상 서로 상이하면 사고발생 신호를 발신하는 영상 비교부와; 영상 비교부로부터 사고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수배전반의 사고 발생을 외부에 알리는 사고발생 알림부와; 외부에 설치된 레버와, 레버의 상하좌우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된 레버의 상하좌우 움직임에 대응하여 제1,2이송모터를 구동시키는 카메라 이동 조작부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배전반의 내부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변화를 감시해서 이미지에 변화가 있을 때 수배전반에서 사고가 발생함을 미리 감지하여 외부로 알리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Panel board protection case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배전반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미리 감지하여 사고 발생을 외부로 알리는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공장 또는 아파트나 공동주택 등에 마련된 전기실에는 전력회사가 공급하는 고압 또는 특고압 전기를 수전하여 각 수용가의 부하로 배전하는 수배전반이 설치되어 있다. 수배전반은 각 수용가인 빌딩, 아파트, 또는 공동주택의 각층마다 전기를 배전하는데 있어 각종 전기기기들을 포함하고 있다.
수배전반에는 고압의 전기를 수전하는 수전반과 각 수용가에서 사용되는 전기를 배전하는 배전반이 설치되어 각종 전기기기가 포함된다. 전기실에 설치된 수배전반은 고압 전기를 수전하여 각 수용가의 부하로 배전하므로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각 수용가에 전기를 배전해야 한다. 수배전반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큰 화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지속 가능한 감시 장치가 요구된다.
수배전반에는 고압의 전기를 수전하므로 각종 전기기기의 오동작은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수배전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대형 사고로 이어지기 전에 사고 발생을 신속하게 외부로 알리고 더 이상의 피해 확산을 사전에 차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수배전반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미리 감지하여 사고 발생을 외부로 알리는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배전반을 탑재 보호하는 수배전반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 주기와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대한 셋팅값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과, 셋팅값을 처리 및 저장하는 연산 모듈로 구성된 감시 세팅부와; 감시 세팅부에 의해 세팅된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 주기 마다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등을 켜고,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가 완료된 후 전등을 끄는 전등 온/오프부와; 수배전함의 상하좌우 내면에 각각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 및 한 쌍의 제2가이드와,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고 양단이 각각 제1,2가이드와 이동 가능하게 맞물려 고정되는 제1,2볼스크류와, 카메라를 고정하고 제1,2볼스크류가 관통하도록 개구되어 배치되는 제1,2너트부와, 전등 온/오프부에 의해 전등이 켜 있는 동안 카메라가 상하좌우로 움직이도록 제1,2볼스크류를 각각 회전시키는 제1,2이송모터로 구성된 카메라 이송부와;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대한 셋팅값을 참조해서 카메라 이송부를 제어하여 카메라를 일정 위치에 위치시키고, 카메라가 정지된 일정 시간 동안 수배전반 내부의 일정 영역을 촬영하여 얻어진 영상을 일정 영역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영상 캡처부와; 수 배전반 내부의 일정 영역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영상 캡처부에 의해 최근에 촬영된 영상과 이전에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되 특정 픽셀 이상 서로 상이하면 사고발생 신호를 발신하는 영상 비교부와; 영상 비교부로부터 사고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수배전반의 사고 발생을 외부에 알리는 사고발생 알림부와; 외부에 설치된 레버와, 레버의 상하좌우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된 레버의 상하좌우 움직임에 대응하여 제1,2이송모터를 구동시키는 카메라 이동 조작부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배전반의 내부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변화를 감시해서 이미지에 변화가 있을 때 수배전반에서 사고가 발생함을 미리 감지하여 외부로 알리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카메라를 이송시켜 수배전반 내부를 촬영해서 케이스 외부에 수배전반 내부를 촬영한 화면을 표시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의 내측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의 외측을 보인 예시도이다.
입력부(110)는 수배전함 외부에 설치되어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 주기와 카메라 촬영 영역 크기를 설정하는 입력창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눌리는 숫자 버튼을 입력받아 입력된 숫자 버튼에 대응한 숫자 정보를 감시 세팅부(210)에 전달한다. 입력부(110)는 감시 세팅부(210)에 숫자 정보를 전달할 때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 주기와 카메라 촬영 영역 크기에 대한 수치를 전달한다.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 주기는 카메라 촬영 영역 크기를 고려하여 정해지며 카메라 촬영 영역 크기가 크면 감시 주기는 작아지고 카메라 촬영 영역 크기가 작아지면 감시 주기는 커진다. 카메라 촬영 영역 크기가 크면 카메라의 해상도 대비 정밀도가 떨어지고 카메라 촬영 영역 크기가 작아지면 카메라의 해상도 대비 정밀도가 높아진다.
감시 세팅부(210)는 입력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 주기와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대응한 숫자 정보를 조합하여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 주기와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세팅한다. 감시 세팅부(210)는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 주기와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대한 셋팅값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과, 셋팅값을 처리 및 저장하는 연산 모듈로 구성된다. 감시 세팅부(210)의 입력 모듈은 입력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 주기와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대한 셋팅값을 입력받고, 연산 모듈은 입력 모듈에 의해 입력된 셋팅값에 오류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오류가 없을 경우 메모리에 저장한다.
감시 세팅부(210)는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 주기와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세팅하여 수배전반 내부의 전체 영역에 대해 카메라의 촬영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을 고려하여 카메라의 이송 경로를 세팅한다. 이송 경로는 전체 영역의 좌측 상단에서 시작하여 우측으로 움직이고 카메라의 촬영 영역 크기만큼 아래로 이동한 후 좌측으로 움직임을 반복하여 우측 하단에서 마친다. 다른 이송 경로로는 외곽에서 시작해서 외곽을 돈 다음 중심으로 점점 이동하여 중심에서 마친다. 예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의 이송 경로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전등 온/오프부(220)는 감시 세팅부(210)에 의해 세팅된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 주기마다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등(310)을 켜고,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가 완료된 후 전등(310)을 끈다. 전등 온/오프부(220)는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 주기마다 전등(310)을 켜서 카메라 촬영에 필요한 광을 제공하고 카메라 촬영에 의해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가 완료되면 전등(310)을 끈다. 전등 온/오프부(220)는 수배전반 내부를 감시하는 동안 전등(310)을 켜는데 전등(310)의 온 시점은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 주기의 시작 시점에 의해 정해지고 전등(310)의 오프 시점은 카메라 이송부(230)에 의해 카메라(320)가 이동하면서 수배전반 내부를 모두 촬영한 완료 시점에 의해 정해진다.
카메라 이송부(230)는 전등 온/오프부(220)에 의해 전등이 켜 있는 동안 카메라의 촬영 영역 크기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에 상응하게 이송 모터(330)를 제어해서 카메라(320)를 이동시킨다. 카메라 이송부(230)는 촬영 영역 크기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이송 모터(330)를 제어해서 카메라(320)를 이동시킨 후 카메라 촬영 시간 동안 카메라(320)를 정지한다.
카메라 이송부(230)는 수배전함의 상하 내면에 각각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와, 수배전함의 좌우 내면에 각각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 의 제2가이드와,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고 양단이 각각 제1,2가이드와 이동 가능하게 맞물려 고정되는 제1,2볼스크류와, 카메라를 고정하고 제1,2볼스크류가 관통하도록 개구되어 배치되는 제1,2너트부와, 전등 온/오프부에 의해 전등이 켜 있는 동안 카메라가 상하좌우로 움직이도록 제1,2볼스크류를 각각 회전시키는 제1,2이송모터로 구성된다. 카메라 이송부(230)는 제1이송모터를 구동하여 제1볼스크류를 회전시켜 제1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제1너트부를 이동시켜 제1너트부에 고정된 카메라(320)를 상하로 이송시킨다. 또한, 카메라 이송부(230)는 제2이송모터를 구동하여 제2볼스크류를 회전시켜 제2가이드를 따라 좌우로 제2너트부를 이동시켜 제2너트부에 고정된 카메라(320)를 좌우로 이송시킨다. 제1너트부와 제2너트부는 하나의 몸체에 직교하게 형성되어 제1,2볼스크류가 제1,2너트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영상 캡처부(240)는 카메라(320)의 촬영 영역 크기에 상응하게 카메라(320)를 이동시키고, 일정 시간 동안 카메라(320)를 정지시킨 후 다시 이동시킴을 반복하여 카메라(320)에 의해 수배전반 내부를 모두 촬영하여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를 완료한다. 영상 캡처부(240)는 미리 설정된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 모터(330)를 제어하여 카메라(320)를 이동시키며 카메라(320)의 정지 위치를 미리 설정하여 항상 같은 위치에서 수배전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 캡처부(240)는 카메라 이송부(230)에 의해 카메라(320)가 이동된 후 정지된 일정 시간 동안 수배전반 내부의 소정 영역을 촬영하여 얻어진 영상을 소정 영역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영상 캡처부(240)는 수배전반 내부를 촬영한 영상을 영상 비교부(250)에 제공한다. 영상 캡처부(240)는 전등(310) 이 켜지고 카메라 이송부(230)에 의해 카메라(320)가 이동한 다음 일정 시간 동안 정지한 시점에 카메라(320)를 제어하여 수배전반 내부를 촬영한다.
영상 비교부(250)는 수배전반 내부의 소정 영역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영상 캡처부(240)에 의해 최근에 촬영된 영상과 이전에 촬영된 영상을 비교해서 특정 픽셀 이상 서로 상이하면 사고발생 알림부(120)에 사고발생을 알린다. 영상 비교부(250)는 최근에 촬영된 영상과 이전에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는데 이전에 촬영된 영상은 최근에 촬영된 영상을 제외하고 이전 시점에 촬영된 영상일 수 있다. 영상 비교부(250)는 영상 비교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이전 시점에 촬영된 영상을 다수 확보하여 최근에 촬영된 영상과 이전에 촬영된 다수의 영상을 비교해서 특정 픽셀 이상 서로 상이하면 사고발생 알림부(120)에 사고발생을 알린다.
사고발생 알림부(120)는 영상 비교부(250)로부터 사고발생을 수신하면 수배전반의 사고 발생을 외부에 알린다. 사고발생 알림부(120)는 수배전반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조기 경고를 실행한다. 사고발생 알림부(120)는 조기 경고를 실행하여 외부에 수배전반의 사고 발생을 알려 관리자가 사고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자는 수배전함의 문을 열고 수배전반에서 발생한 사고를 관찰한 다음 사후 조치를 취한다.
카메라 이동 조작부(260)는 수배전반 보호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된 레버(340)의 상하좌우 음직임을 감지하여 감지된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제1,2이송모터에 전달한다. 레버(340)는 수배전반 보호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상하좌우로 움직인다. 레버(340)가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상하좌우로 움 직일 때 카메라 이동 조작부(260)는 레버(34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하좌우 움직임 신호를 제1,2이송모터에 출력한다. 제1,2이송모터는 상하좌우 움직임 신호에 따라 제1,2볼스크류를 회전시켜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킨다.
표시부(130)는 카메라(3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외부에 표시한다. 표시부(130)는 카메라 이송부(230) 및 카메라 이동 조작부(260)에 의해 움직이는 카메라(3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배전반 보호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항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의 내측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의 외측을 보인 예시도.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110 : 입력부 120 : 사고발생 알림부
130 : 표시부 200 : 제어부
210 : 감시 세팅부 220 : 전등 온/오프부
230 : 카메라 이송부 240 : 영상 캡처부
250 : 영상 비교부 260 : 카메라 이동 조작부
310 : 전등 320 : 카메라
330 : 이송 모터 340 : 레버

Claims (1)

  1. 수배전반을 탑재 보호하는 수배전반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 주기와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대한 셋팅값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과, 셋팅값을 처리 및 저장하는 연산 모듈로 구성된 감시 세팅부와;
    감시 세팅부에 의해 세팅된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 주기 마다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등을 켜고, 수배전반 내부의 감시가 완료된 후 전등을 끄는 전등 온/오프부와;
    수배전함의 상하좌우 내면에 각각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 및 한 쌍의 제2가이드와,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고 양단이 각각 제1,2가이드와 이동 가능하게 맞물려 고정되는 제1,2볼스크류와, 카메라를 고정하고 제1,2볼스크류가 관통하도록 개구되어 배치되는 제1,2너트부와, 전등 온/오프부에 의해 전등이 켜 있는 동안 카메라가 상하좌우로 움직이도록 제1,2볼스크류를 각각 회전시키는 제1,2이송모터로 구성된 카메라 이송부와;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대한 셋팅값을 참조해서 카메라 이송부를 제어하여 카메라를 일정 위치에 위치시키고, 카메라가 정지된 일정 시간 동안 수배전반 내부의 일정 영역을 촬영하여 얻어진 영상을 일정 영역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영상 캡처부와;
    수배전반 내부의 일정 영역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영상 캡처부에 의해 최 근에 촬영된 영상과 이전에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되 특정 픽셀 이상 서로 상이하면 사고발생 신호를 발신하는 영상 비교부와;
    영상 비교부로부터 사고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수배전반의 사고 발생을 외부에 알리는 사고발생 알림부와;
    외부에 설치된 레버와, 레버의 상하좌우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된 레버의 상하좌우 움직임에 대응하여 제1,2이송모터를 구동시키는 카메라 이동 조작부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
KR1020080038173A 2008-04-24 2008-04-24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 KR100878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173A KR100878006B1 (ko) 2008-04-24 2008-04-24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173A KR100878006B1 (ko) 2008-04-24 2008-04-24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006B1 true KR100878006B1 (ko) 2009-01-28

Family

ID=40482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173A KR100878006B1 (ko) 2008-04-24 2008-04-24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00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544B1 (ko) * 2009-10-30 2010-06-21 창성전기 주식회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CN109638667A (zh) * 2019-01-18 2019-04-16 合肥智鼎电控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检修的新型电气柜
KR102039026B1 (ko) * 2019-05-03 2019-10-31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카메라를 이용한 전기 설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300611B1 (ko) * 2021-03-16 2021-09-09 주식회사 한우리이엔지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
KR20210148652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에너지로드 온도 감시카메라를 구비한 수배전반
KR20220037867A (ko) * 2020-09-18 2022-03-25 홍현기 배전반 감시시스템
KR20220054043A (ko) * 2020-10-23 2022-05-02 (주)와이제이솔루션 매트릭스 영상 재구성을 적용한 수배전반 안전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92218A (ko) * 2020-12-24 2022-07-01 (주)대륜엔지니어링 Ess용 통합배전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049A (ko) * 2003-09-24 2007-01-03 쥬부일렉트릭파워가부시끼가이샤 아크 감시 시스템
KR20070001316U (ko) * 2007-12-05 2007-12-26 임성황 전력기기 내부점검용 내시경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049A (ko) * 2003-09-24 2007-01-03 쥬부일렉트릭파워가부시끼가이샤 아크 감시 시스템
KR20070001316U (ko) * 2007-12-05 2007-12-26 임성황 전력기기 내부점검용 내시경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544B1 (ko) * 2009-10-30 2010-06-21 창성전기 주식회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CN109638667A (zh) * 2019-01-18 2019-04-16 合肥智鼎电控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检修的新型电气柜
KR102039026B1 (ko) * 2019-05-03 2019-10-31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카메라를 이용한 전기 설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48652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에너지로드 온도 감시카메라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2379093B1 (ko) * 2020-06-01 2022-03-28 주식회사 에너지로드 온도 감시카메라를 구비한 수배전반
KR20220037867A (ko) * 2020-09-18 2022-03-25 홍현기 배전반 감시시스템
KR102459064B1 (ko) * 2020-09-18 2022-10-25 홍현기 배전반 감시시스템
KR20220054043A (ko) * 2020-10-23 2022-05-02 (주)와이제이솔루션 매트릭스 영상 재구성을 적용한 수배전반 안전모니터링 시스템
KR102424971B1 (ko) 2020-10-23 2022-07-25 (주)와이제이솔루션 매트릭스 영상 재구성을 적용한 수배전반 안전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92218A (ko) * 2020-12-24 2022-07-01 (주)대륜엔지니어링 Ess용 통합배전반
KR102508542B1 (ko) * 2020-12-24 2023-03-09 (주)대륜엔지니어링 Ess용 통합배전반
KR102300611B1 (ko) * 2021-03-16 2021-09-09 주식회사 한우리이엔지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006B1 (ko)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
KR102045795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배전반 방재 시스템
KR101663538B1 (ko) 수배전반의 화재 제어 장치
JP3681543B2 (ja) 監視カメラ装置
JPH11331822A (ja) 監視カメラ装置
KR20130027890A (ko) 비접촉식 온도 감시 장치
KR101011269B1 (ko) 다중렌즈를 갖는 돔형 카메라
WO2019113213A1 (en) Sensing and alert system for electrical switchgear
KR20140108035A (ko) 주차관리 시스템 및 주차관리 방법
US20150093102A1 (en) 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CN108124134A (zh) 一种智能通讯远程监控装置
KR20190115710A (ko)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52501B1 (ko) 공동주택의 인입선 고정식 수배전함
CN102905099B (zh) 图像投影设备
RU162453U1 (ru) Опорно-поворо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858341B1 (ko) 공동주택의 배전형 전선라인 구조
KR100878010B1 (ko) 공동주택의 매설 전선라인 고정관
KR20230037132A (ko) 전기설비 수배전함 내의 화재 영상 감지를 위한 지능형 영상 감지 시스템
KR102508542B1 (ko) Ess용 통합배전반
EP1381003B1 (en) Surveillance camera apparatus
JP2018114752A (ja) 成形品取出システム
TWM464777U (zh) 監控裝置
KR20160088467A (ko) 프라이버시 보호용 감시 카메라
CN112991675A (zh) 电力检修现场作业范围监护系统及监护方法
KR102349020B1 (ko)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