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578B1 - 포개어 보관할 수 있는 냄비 - Google Patents

포개어 보관할 수 있는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578B1
KR102300578B1 KR1020210006353A KR20210006353A KR102300578B1 KR 102300578 B1 KR102300578 B1 KR 102300578B1 KR 1020210006353 A KR1020210006353 A KR 1020210006353A KR 20210006353 A KR20210006353 A KR 20210006353A KR 102300578 B1 KR102300578 B1 KR 102300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lid
pot body
flang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락
Priority to KR102021000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4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가 형성되는 구조임에도 크기가 서로 다른 냄비와 뚜껑의 세트구성을 포개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냄비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벽체 상단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손잡이가 형성되는 냄비본체와, 상기 냄비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냄비본체는 바디 상단 테두리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플랜지에 지지되게 손잡이를 장착하고, 손잡이는 장착부와 파지부로 구성하되, 장착부의 상단에는 플랜지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부와, 파지부가 플랜지의 외측에서 플랜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단차를 갖도록 구성되게 상,하방향으로 절곡되어진 연장벽체를 형성하여 냄비본체를 포갠 상태에서 포개어진 냄비본체간 마찰을 최소화하고 냄비의 포개어진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포개어 보관할 수 있는 냄비{Pots that can be stacked}
본 발명은 음식을 조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냄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구조임에도 크기가 서로 다른 냄비와 뚜껑의 세트구성을 포개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조리용기 중에서 가정에서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 중의 하나가 냄비이다.
냄비는 용도에 따라 14cm, 16cm, 20cm, 25cm 등의 단위로 냄비본체의 크기별로 다양하게 출시되며, 사용방법에 따라서 손잡이가 한 개 있는 편수냄비, 손잡이 두 개가 양측에 있는 양수냄비로 분류되고,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냄비는 각각 개별구성품으로도 판매가 되지만 일치된 디자인으로 주방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세트 구성으로도 많은 판매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냄비 세트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크기가 서로 다른 냄비본체와 뚜껑이 여러 개 구성되기 때문에 포장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포장부피가 지나치게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유통과정에서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장할 때 충진재를 삽입하는데 이에 소모되는 충진재가 불필요하게 많이 사용되므로 물류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크기가 서로 다른 냄비본체만을 포개어서 보관하고, 함께 포개어질 수 없는 뚜껑만을 별도로 모아서 포장하거나, 또는 뚜껑에 달려있는 꼭지를 떼어낸 후 뚜껑을 포개어 포장하고 소비자가 물건을 수령한 후 꼭지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같은 방식도 결국 가정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뚜껑에 꼭지가 일체로 장착된 상태이고, 뚜껑을 포개어 보관할 수 없으므로 보관하기가 매우 까다로우며, 협소한 싱크대 공간에서 냄비본체와 뚜껑이 각각 보관부피를 너무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0023호(2013.11.15)에서와 같이 뚜껑 손잡이(꼭지)를 착탈식으로 구성하고 뚜껑에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꼭지로 여러 개의 뚜껑을 번갈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포장부피 및 보관부피를 최소화하도록 한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것도 결국은 뚜껑의 부피만을 조금 줄여주는데 그치는 것이어서 냄비세트의 포장부피는 여전히 너무 크고 완충재를 많이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양수냄비의 경우에는 양측에 형성된 손잡이로 인하여 냄비본체를 적층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부피를 많이 줄이지 못하며, 적층하여 포개어 보관하더라도 적층된 손잡이끼리 또는 손잡이와 냄비본체 간에 맞닿게 되기 때문에 유통과정이나 보관 중에 맞닿은 부위가 서로 마찰되면서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냄비가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금속 속성으로 인하여 마찰에 의한 스크래치가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품가치가 떨어지고 출고 및 유통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출고과정에서 완충포장을 꼼꼼하게 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고, 이러한 완충포장으로 인하여 결국 포장부피가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손잡이가 서로 맞닿아 냄비를 포개어 보관할 때도 스크래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뚜껑을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은 여전히 해결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냄비본체와 뚜껑, 손잡이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크기가 서로 다른 냄비본체와 뚜껑을 모두 포개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포개어진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편수는 물론 양수 구조의 냄비를 포개더라도 손잡이간에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충진재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고 벽체 상단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손잡이가 형성되는 냄비본체와, 상기 냄비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냄비본체는 바디 상단 테두리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플랜지에 지지되게 손잡이를 장착하고, 손잡이는 장착부와 파지부로 구성하되, 장착부의 상단에는 플랜지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부와, 파지부가 플랜지의 외측에서 플랜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단차를 갖도록 구성되게 상,하방향으로 절곡되어진 연장벽체를 형성하여 냄비본체를 포갠 상태에서 포개어진 냄비본체간 마찰을 최소화하고 냄비의 포개어진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포개어 보관할 수 있는 양수냄비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의 냄비를 세트 구성함에도 불구하고 냄비본체와 뚜껑을 동시에 포개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 부피를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유통과정에서도 포장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손잡이의 이중 절곡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손잡이가 판재로 구성됨에도 불구하고 자체 보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파지부를 잡고 냄비를 들어올일 때 절곡된 부위가 플랜지의 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손잡이가 용접 구조로 제작되더라도 손잡이의 장착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수 구조의 냄비임에도 불구하고 적층하여 포갤 수 있으며, 냄비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손잡이 간 또는 손잡이와 냄비 본체간 마찰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표면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뚜껑에 형성된 이형재(탄성재)로 인하여 완충기능을 부가하여 별도의 완충재를 채워넣지 않더라도 자체 완충기능을 수행하므로 유통과정에서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충격을 감쇄시키고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필요하게 완충재 소모를 방지하고 포장재료를 줄여서 포장비를 절감할 수 있고, 포장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뚜껑을 냄비본체와 일체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보관공간이 필요치 않으므로 싱크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포개어진 상태에서도 필요한 냄비를 꺼내고자 할 때 냄비본체에 맞는 뚜껑이 냄비본체 바로 아래에 보관되기 때문에 냄비가 여러 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도 사용하고자 하는 냄비본체 및 뚜껑을 매우 쉽게 빼낼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냄비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손잡이 장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손잡이를 들어올리는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냄비가 포개어지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냄비가 포개어지는 구조의 단면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냄비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뚜껑의 저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냄비의 구조를 나타낸 냄비본체와 뚜껑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냄비본체에 뚜껑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3은 냄비본체의 손잡이 장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냄비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냄비본체(100)와, 냄비본체(100)의 개구된 상부에 뚜껑(20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부를 개폐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냄비본체(100)는 바디(120)와 바디(120)의 상단 테두리에 편수 또는 양수로 사용하기 위한 손잡이(140)로 구성되는 것으로, 바디(120)의 벽체 상단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플랜지(122)가 형성되며, 플랜지(122)에 밀착되게 손잡이(140)가 결합되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때, 손잡이(140)는 바디(120)에 장착되는, 바람직하게는 벽체 외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플랜지(122)의 하단부에 밀착되게 장착부(14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장착부(142)의 상단에는 파지부(144)가 바깥쪽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냄비본체(100)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바디(120)와 손잡이(140)를 스팟 용접 등에 의한 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장착부(142)는 바디(120)의 외경에 대응되게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장착부(142)와 파지부(144)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간단하게 가공이 가능한 것으로, 파지부(144)를 판재로 구성함으로써 손잡이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142)의 상단에는 플랜지(122)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부(146)와, 파지부(144)가 플랜지(122)의 외측에서 플랜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단차를 갖도록 구성되게 상,하방향으로 절곡되어진 연장벽체(14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142)는 바디(120)의 외면에 밀착되게 수직으로 이루어지고 받침부(146)는 장착부(142)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구조를 가지고, 연장벽체(148)는 다시 받침부(146)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며, 파지부(144)는 다시 연장벽체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형성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렇게 이중 절곡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손잡이가 판재로 구성됨에도 불구하고 보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파지부를 잡고 들어올일 때 손잡이의 하중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플랜지(12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용접부위에 편하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부위가 쉽게 떨어지지 않으며 냄비본체(100)의 손잡이 장착구조의 내구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손잡이(140)가 판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냄비본체(100)를 포갠 상태에서 포개어진 손잡이(140) 간에 또는 냄비와 손잡이간에 마찰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냄비의 포개어진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장벽체(148)는 냄비본체(100)에 뚜껑(200)을 닫은 상태에서 뚜껑(200)의 상면과 파지부(144)의 상면이 수평을 이루는 높이로 형성되게 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수평으로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방식으로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냄비본체(100)에 음식물이 담겨진 상태에서 뚜껑(200)을 닫고 냄비를 서로 쌓을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상대적으로 작은 냄비를 바닥에 놓고 그 상부에 상대적으로 큰 냄비를 적층하더라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냄비에 음식물을 담은 상태로도 냉장고 등에 넣어서 보관할 때 협소한 냉장고 내부의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뚜껑(200)은 냄비본체(100)의 플랜지(122)에 안착되되, 뚜껑(200)의 외주연이 연장벽체(148)의 내면에 밀착 지지되어 유동되지 않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냄비본체(100)를 여러 크기로 제작할 때 차순위 냄비본체(100)의 받침부(146)가 그보다 큰 냄비본체(100)의 플랜지(122)에 안착되도록 하면 냄비본체(100)간의 마찰면적으로 최소화하여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냄비본체(100)와 뚜껑(200)은 크기를 달리하는 복수의 냄비본체(100a, 100b, 100c,…100n)와 뚜껑(200a, 200b, 200c,…200n)으로 구성되어 세트를 구성하는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차순위 뚜껑의 외경이 냄비본체의 바닥에 삽입되게 형성되어 차순위 뚜껑을 먼저 냄비본체에 수납한 상태에서 차순위 냄비본체를 포개어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장 큰 냄비본체(100a)를 준비하고, 그 안에 차순위 크기의 뚜껑(200b)을 먼저 넣고 그 뚜껑(200b)과 쌍을 이루는 냄비본체(100b)를 쌓고, 다시 차순위 크기의 뚜껑(200c)을 먼저 넣고 그 뚜껑(200c)과 쌍을 이루는 냄비본체(100c)를 쌓고 최종적으로 가장 큰 냄비본체(100a)와 쌍을 이루는 뚜껑(200a)을 덮어서 순차적으로 포갬으로써 냄비가 세트로 구성될 때 보관부피 또는 포장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뚜껑(200)의 두께만큼 미세하게 손잡이가 뜬 상태를 유지하므로 뚜껑의 두께는 최대한 얇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뚜껑(200)은 냄비본체와 긴밀히 결합되고 뚜껑(200)을 냄비본체(100)에 수납한 상태에서 유동을 방지하고 완충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덮개판(220)의 하부에 연질의 실링부(2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크기의 냄비를 포개어 보관할 때 뚜껑(200)을 먼저 삽입한 후에 냄비(100)를 넣어서 보관하더라도 냄비와 냄비간의 표면 보호를 위한 완충재 또는 보호재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링부(240)는 냄비본체(100)에 개구된 상부의 플랜지(122)에 밀착될 수 있게 내턱을 형성함으로써 냄비본체(100)와 뚜껑(200)이 긴밀히 밀폐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상기 뚜껑(200)의 실링부(240)에는 유로(242)가 형성되어 증기 배출 또는 물빠짐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뚜껑(200)이 닫힌 상태에서도 음식물 조리시 유로를 통하여 증기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냄비 내부의 물이나 국물을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냄비를 기울여서 내부의 물이나 국물을 간편하게 배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220)은 스테인리스 테의 내측에 투시창을 형성하여 냄비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스테인리스 테와 실링부(240)를 접착 구성할 때 그 사이에 투시창이 위치되도록 하거나 스테인리스 테와 실링부(240)를 접착하고 투시창을 실링부(240)에 매립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투시창이 뚜껑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100: 냄비본체
120: 바디 122: 플랜지
140: 손잡이 142: 장착부 144: 파지부
146: 받침부 148: 연장벽체
200: 뚜껑
220: 덮개판
240: 실링부

Claims (4)

  1. 상부가 개구되된 바디(120)의 벽체 상단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손잡이(140)가 형성되는 냄비본체(100)와, 상기 냄비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냄비본체(100)와 뚜껑(200)은 크기를 달리하는 복수의 냄비본체(100a, 100b, 100c,…100n)와 뚜껑(200a, 200b, 200c,…200n)으로 구성되어 세트를 구성하게 되는 냄비를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포개어 보관할 수 있는 냄비에 있어서,
    상기 냄비본체(100)의 바디(120)는 벽체 상단 테두리 외측으로 플랜지(122)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40)는 플랜지(122)의 하단부에 스팟 용접에 의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바디(120)의 외경에 대응되게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장착부(142)와, 장착부(142)의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파지부(144)가 금속판을 절곡한 판재로 구성되되, 장착부(142)의 상단에는 손잡이(140)의 보강이 이루어지면서도 하중의 쏠림을 방지하여 용접부위에 편하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플랜지(122)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부(146)와, 파지부(144)가 플랜지(122)의 외측에서 플랜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단차를 갖도록 구성되게 상,하방향으로 절곡되어진 연장벽체(148)가 형성된 손잡이가 이중 절곡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146)는 냄비본체(100)를 포개어 보관할 때 냄비본체(100)간의 마찰면적을 줄여 표면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여러 크기로 이루어져 포개어지는 차순위 냄비본체(100)의 받침부(146)가 그보다 큰 냄비본체(100)의 플랜지(122)에 안착되게 형성되며,
    냄비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방식으로 적층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벽체(148)는 냄비본체(100)에 뚜껑(200)을 닫은 상태에서 뚜껑(200)의 상면과 파지부(144)의 상면이 수평을 이루는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뚜껑(200)은 냄비본체(100)의 플랜지(122)에 안착되되, 뚜껑(200)의 외주연이 연장벽체(148)의 내면에 밀착 지지되어 유동되지 않게 되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차순위 뚜껑의 외경이 냄비본체의 바닥에 삽입되게 형성되어 차순위 뚜껑을 먼저 냄비본체에 수납한 상태에서 차순위 냄비본체를 포개어 보관이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200)을 냄비본체(100)에 수납한 상태에서 유동을 방지하고 완충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덮개판(220)의 하부에 연질의 실링부(240)가 형성되어 냄비본체(100)를 포갠 상태에서 포개어진 냄비본체간 마찰을 최소화하고 냄비의 포개어진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개어 보관할 수 있는 냄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06353A 2021-01-15 2021-01-15 포개어 보관할 수 있는 냄비 KR102300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353A KR102300578B1 (ko) 2021-01-15 2021-01-15 포개어 보관할 수 있는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353A KR102300578B1 (ko) 2021-01-15 2021-01-15 포개어 보관할 수 있는 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578B1 true KR102300578B1 (ko) 2021-09-10

Family

ID=7777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353A KR102300578B1 (ko) 2021-01-15 2021-01-15 포개어 보관할 수 있는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57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0318U (ko) * 1984-12-05 1986-06-26
KR100291862B1 (ko) * 1993-04-26 2001-06-01 클롭쉬텍 게르트 중적형 남비셋트
WO2007080416A1 (en) * 2006-01-13 2007-07-19 Thomas Plant (Birmingham) Limited A lid
CN200970148Y (zh) * 2006-11-24 2007-11-07 张珠江 一种野炊锅
KR20130045201A (ko) * 2011-10-24 2013-05-03 메이어 인텔렉츄얼 프로퍼티즈 리미티드 포개질 수 있는 조리기구 집합
KR102180917B1 (ko) * 2020-03-30 2020-11-19 김성수 투명창이 구비되는 스텐 뚜껑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0318U (ko) * 1984-12-05 1986-06-26
KR100291862B1 (ko) * 1993-04-26 2001-06-01 클롭쉬텍 게르트 중적형 남비셋트
WO2007080416A1 (en) * 2006-01-13 2007-07-19 Thomas Plant (Birmingham) Limited A lid
CN200970148Y (zh) * 2006-11-24 2007-11-07 张珠江 一种野炊锅
KR20130045201A (ko) * 2011-10-24 2013-05-03 메이어 인텔렉츄얼 프로퍼티즈 리미티드 포개질 수 있는 조리기구 집합
KR102180917B1 (ko) * 2020-03-30 2020-11-19 김성수 투명창이 구비되는 스텐 뚜껑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61100318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7177B2 (ja) 積み重ね可能なプラスチック容器
US20130098920A1 (en) Nestable Cookware Assemblies
CA2654963A1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stacking means
MX2007010253A (es) Recipiente sellante con partes superiores y partes inferiores apilables.
CA2825633A1 (en) Lid for a pan, plate, bowl or the like
KR102300578B1 (ko) 포개어 보관할 수 있는 냄비
KR200431140Y1 (ko) 김치 맛과 보관성 개선용 김치 누름판
CA2749773C (en) Container assembly with removable lid
KR200483857Y1 (ko) 식자재 운반 및 보관용 용기
KR200474242Y1 (ko)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KR100606603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진공용기
JP4522409B2 (ja)
KR102074054B1 (ko) 다중 적층이 가능한 냄비
KR20030016349A (ko) 밀폐용기
KR20220144577A (ko) 적층식 밀폐용기
KR101161650B1 (ko)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
CN220501449U (zh) 一种便于密封的消毒液包装桶
KR101652409B1 (ko) 이중덮개형 진공 밀폐용기
KR102215632B1 (ko) 보조용기가 구비되는 포장용기
CN213664959U (zh) 一种拼装调味罐架
JP7332212B2 (ja) 包装用容器
KR200497711Y1 (ko) 수평형 밀폐 용기
JP2014510678A (ja) 鍋、プレート、ボウル類の蓋
CN214241941U (zh) 一种便捷式塑料包装箱
US20060118566A1 (en) Metal trashc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