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054B1 - 다중 적층이 가능한 냄비 - Google Patents

다중 적층이 가능한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054B1
KR102074054B1 KR1020180006456A KR20180006456A KR102074054B1 KR 102074054 B1 KR102074054 B1 KR 102074054B1 KR 1020180006456 A KR1020180006456 A KR 1020180006456A KR 20180006456 A KR20180006456 A KR 20180006456A KR 102074054 B1 KR102074054 B1 KR 102074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lid
extension portion
receiving space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8215A (ko
Inventor
김학래
Original Assignee
김학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래 filed Critical 김학래
Priority to KR1020180006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0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8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적층이 가능한 냄비는,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며, 하단에 거치홈이 형성된 한 쌍의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가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는 다른 냄비의 몸체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손잡이에 형성된 상기 거치홈이 다른 몸체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외면이 다른 냄비의 몸체의 내면과 이격된 상태로 적층된다.

Description

다중 적층이 가능한 냄비{POT FOR MULTIPLE STACK}
본 발명은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적인 다중 적층이 가능한 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끓이거나 삶는 데 사용하는 조리용구인 냄비는, 요리의 종류 또는 요리를 섭취하는 인원의 수 등에 따라 맞춤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다.
그리고, 요식업계에서뿐 아니라 단일 가정에서도 이와 같은 냄비를 서로 다른 사이즈로 복수개 구비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이와 같은 다양한 사이즈의 냄비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나,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수납 공간이 협소하므로 복수의 냄비를 적층시켜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종래의 경우 복수의 냄비가 서로 안정적이게 겹쳐지지 않음은 물론, 적층을 위해 분리된 뚜껑 또한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적층된 냄비의 몸체가 서로 접촉되어 마찰이 발생함으로 인해 코팅이 벗겨지거나 분진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이는 요리의 품질을 떨어뜨림은 물론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159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냄비의 몸체에 가해지는 손상 및 오염을 최소화하며 안정적으로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냄비는,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며, 하단에 거치홈이 형성된 한 쌍의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가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는 다른 냄비의 몸체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손잡이에 형성된 상기 거치홈이 다른 몸체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외면이 다른 냄비의 몸체의 내면과 이격된 상태로 적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냄비는 상기 몸체 내의 개방된 수용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부와,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홀과,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꼭지부를 포함하는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의 외곽부 끝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연장부와, 수직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2 연장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는 외측으로 일정각도 라운드진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의 하면에는, 상기 뚜껑이 반전되어 위치될 때 상기 차폐부의 하면에 놓여지는 냄비의 몸체 하단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 적층이 가능한 냄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복수개의 냄비를 적층한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된 냄비 몸체가 하부에 위치된 냄비 몸체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몸체에 가해지는 손상 및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이에 따라 냄비 내부의 코팅 등이 벗겨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오염 최소화 및 코팅의 지속적인 유지에 따라 요리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공간 활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미려한 디자인을 가지므로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냄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냄비가 복수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이 서로 다른 사이즈의 냄비를 각각 덮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냄비들이 사이즈순으로 연속적으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냄비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냄비가 복수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냄비는 크게 제1 냄비(100)와, 상기 제1 냄비(100)보다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어 제1 냄비(100)가 상측에 적층되는 제2 냄비(2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냄비(100) 및 제2 냄비(200)는 각각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 2 몸체(110, 210)와, 상기 제1, 2 몸체(110, 2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2 손잡이(150, 2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손잡이(150)는 도 2와 같이 제1 냄비(100)의 제1 몸체(110)가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는 제2 냄비(200)의 제2 몸체(210) 내에 수용될 때 제2 몸체(210)의 상단(212)에 걸쳐진다.
이러한 상기 제1 손잡이(150)의 하면에는 거치홈(151)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홈(151)은 제1 몸체(110)가 제2 몸체(210) 내에 수용될 때 제2 몸체(210)의 상단(212)이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제1 손잡이(150)가 제2 몸체(210)의 상단(212)에 안정적으로 걸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몸체(210)의 상단(212) 직경은 상기 제1 손잡이(150)에 각각 형성된 거치홈(151) 간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손잡이(150)는 수평 방향을 따라 제1 몸체(110)의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므로 제2 몸체(210) 내에 수납된 상태의 제1 몸체(110)의 외면은 상기 제2 몸체(210)의 내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냄비(100)가 제2 냄비(200)의 상측에 적층되더라도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몸체(110)가 하부에 위치된 제2 몸체(210)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제1 몸체(110)의 외면이 제2 몸체(210)의 내면에 접촉됨에 따라 냄비의 내부 코팅 등이 벗겨지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냄비의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냄비는 금속재질이 아닌 합성수지 재질의 손잡이에 의해 적층되므로 적층된 냄비의 몸체가 서로 접촉되어 발생하는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 냄비(200) 역시 보다 큰 사이즈의 냄비 상측에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손잡이(250)의 하단에도 거치홈(2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손잡이(250)의 거치홈(251)은 제2 몸체(210)가 보다 큰 사이즈의 냄비 몸체 내에 수용될 때 냄비 상단이 삽입되도록 하여 제2 손잡이(250)가 냄비 상단에 안정적으로 걸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 경우 제2 냄비(200) 보다 큰 사이즈의 냄비 몸체 상단 직경은 상기 제2 손잡이(250)에 각각 형성된 거치홈(251) 간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냄비(100)의 상측에도 제1 냄비(100)보다 작은 사이즈의 냄비(미도시)가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냄비(100)의 상측에 적층되는 냄비 역시 제1 냄비(100) 상측에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제1 몸체(110)의 상단(112)이 삽입되는 거치홈이 형성된 손잡이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냄비는 필요에 따라 사이즈를 달리함으로써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적층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이 서로 다른 사이즈의 냄비를 각각 덮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냄비는 뚜껑(50)을 포함한다.
상기 뚜껑(50)은 몸체 내의 개방된 수용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부(60)와,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홀(62)과,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꼭지부(70)를 포함한다.
이러한 뚜껑(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즈가 서로 다른 제1 몸체(110) 내부의 수용공간 또는 제2 몸체(210) 내부의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차폐부(60)의 외곽부 끝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연장부(64a)와, 수직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2 연장부(64b)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2 몸체(110,210)에는 외측으로 일정각도 라운드진 절곡부(R)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R)가 제1, 2 몸체(110,210)에 형성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몸체(110,210)는 절곡부(R)를 경계로 상측이 하측에 비해 직경이 큰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차폐부(60)가 동일한 사이즈의 제1 몸체(110) 내부의 수용공간을 덮을 때는 상기 제1 연장부(64a)는 하면이 제1 몸체의 상단(112)에 걸쳐지고, 상기 제2 연장부(64b)는 제1 몸체(110)의 상단(112) 내주면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반면, 도 5와 같이 차폐부(60)가 큰 사이즈의 제2 몸체(110) 내부의 수용공간을 덮을 때는 상기 제1 연장부(64a)는 제2 몸체(210) 내부에 위치하는 절곡부(R)에 하면이 걸치지고, 제2 연장부(64b)는 절곡부(R) 하측에서 제2 몸체(210) 내주면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냄비는 몸체 내부에 절곡부(R)를 형성하고, 차폐부(60)의 외곽부 끝단에 제1, 2 연장부(64a,64b)를 각각 형성시켜 하나의 뚜껑(50)이 서로 다른 사이즈의 냄비 몸체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50)은 반전되어 제1 몸체(110) 상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폐부(60)의 상면이 제1 몸체(110)의 내부 수용공간을 덮게 되므로 꼭지부(70)는 제1 몸체(110) 내부에 위치되고, 차폐부(6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외부로 노출된 차폐부(60)의 하면에는 다른 사이즈의 제3 냄비(300)의 제3 몸체(310)가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제3 몸체(310)는 안정적인 적층을 위해 하단부가 차폐부(60)의 하면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차폐부(60)의 하면에는 고정돌기(64c)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64c)는 직경이 적층되는 제3 몸체(310)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뚜껑(50)이 반전되어 위치된 상태에서 차폐부(60) 하면에 제3 몸체(310)가 적층될 때 제3 몸체(310) 하단부를 잡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몸체(310) 내부에는 사이즈가 작은 제4 냄비(400)의 제4 몸체(410)가 수용될 수 있으므로 반전된 뚜껑(50) 위에는 복수개의 냄비가 다시 적층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4 몸체(410)의 내부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작은 사이즈의 뚜껑(50a) 역시 반전되어 위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뚜껑(50a) 위에도 냄비가 적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도 6의 냄비들이 사이즈순으로 연속적으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4 냄비(100,200,300,400)는 사이즈순으로 연속적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제1 몸체(110)의 내부 수용공간을 덮는 뚜껑(50)은 반전되어 가장 작은 사이즈의 제4 몸체(410)의 내부 수용공간을 덮도록 위치될 수 있고, 제4 몸체(410)의 내부 수용공간을 덮는 작은 사이즈의 뚜껑(50a)는 가장 큰 사이즈를 가지는 제2 몸체(210) 내부 수용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뚜껑(50,50a)이 각각 위치되면, 제1 내지 제4 냄비(100,200, 300,400)를 연속적으로 적층한 후 남게 되는 뚜껑(50a)을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어져 냄비 보관을 위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50, 50a: 뚜껑 60: 차폐부
62: 배출홀 64a: 제1 연장부
64b: 제2 연장부 64c: 고정돌기
70: 꼭지부 100: 제1 냄비
110: 제1 몸체 150: 제1 손잡이
151, 251: 거치홈 250: 제2 손잡이
200: 제2 냄비 210: 제2 몸체
300: 제3 냄비 310: 제3 몸체
400: 제4 냄비 410: 제4 몸체
R: 절곡부

Claims (4)

  1.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외측으로 일정각도 라운드진 절곡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며, 하단에 거치홈이 형성된 한 쌍의 손잡이; 및
    외곽부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연장부와 수직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2 연장부가 각각 형성되고 하면에 고정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차폐부와, 상기 수용공간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홀과,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꼭지부를 포함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다중 적층이 가능한 냄비에 있어서,
    상기 냄비는,
    상기 몸체가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는 다른 냄비의 몸체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한 쌍의 손잡이에 형성된 상기 거치홈이 상기 다른 냄비의 몸체 상단에 걸쳐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외면이 상기 다른 냄비의 몸체의 내면과 이격된 상태로 적층 될 수 있고,
    상기 뚜껑은,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가 상기 몸체의 상단에 걸쳐지거나 상기 제1연장부가 상기 다른 냄비의 몸체에 형성되는 라운드진 절곡부에 걸쳐져 상기 냄비의 수용공간 또는 상기 다른 냄비의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고,
    반전되어 상기 제1연장부가 상기 몸체의 상단에 걸쳐지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돌기를 통해 상기 몸체 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또 다른 냄비의 몸체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다중 적층이 가능한 냄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06456A 2018-01-18 2018-01-18 다중 적층이 가능한 냄비 KR102074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456A KR102074054B1 (ko) 2018-01-18 2018-01-18 다중 적층이 가능한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456A KR102074054B1 (ko) 2018-01-18 2018-01-18 다중 적층이 가능한 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215A KR20190088215A (ko) 2019-07-26
KR102074054B1 true KR102074054B1 (ko) 2020-02-05

Family

ID=6746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456A KR102074054B1 (ko) 2018-01-18 2018-01-18 다중 적층이 가능한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0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929Y1 (ko) * 2000-03-31 2000-10-16 문신식 적층가능한 냄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21150U1 (de) * 1993-04-26 1996-07-11 Berndes Heinrich Gmbh Co Kg Stapel-Topfset
KR20090011597U (ko) 2008-05-10 2009-11-13 박동철 간단하고 편리한 라면 전용 냄비
KR20130094104A (ko) * 2012-02-15 2013-08-23 정진옥 용기 뚜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929Y1 (ko) * 2000-03-31 2000-10-16 문신식 적층가능한 냄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215A (ko) 201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6317A (ko) 서빙 또는 케이터링 트레이와 통을 위한 장식 홀더
US2298814A (en) Casserole
KR20130045201A (ko) 포개질 수 있는 조리기구 집합
KR102074054B1 (ko) 다중 적층이 가능한 냄비
KR101215123B1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20210002209U (ko) 혼밥용 음식용기 수납케이스
KR20140095141A (ko) 깊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JP5510516B2 (ja) 積み重ね弁当箱
JP2017531517A (ja) 着脱式取っ手を備えた調理容器
JP6767129B2 (ja) 飲食物用皿
KR200475801Y1 (ko)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
KR20150004092U (ko) 조리용 용기 뚜껑
KR102608076B1 (ko) 프라이팬용 밀폐 커버
CN213474002U (zh) 一种包装组件及包装箱
JP3205664U (ja) 電子レンジ用内箱
JPS6320386Y2 (ko)
CN209862599U (zh) 多层便当盒
KR101100928B1 (ko) 조리용품 적층용 스페이서
CN219680322U (zh) 一种便携性户外厨具
KR200361650Y1 (ko) 냄비
KR200471748Y1 (ko)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
US20210030210A1 (en) Stackable cookware
JP3211624U (ja) 電子レンジ調理用蒸し器
JP3201511U (ja) 弁当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