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009B1 - 추락 방지 승강기 - Google Patents

추락 방지 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009B1
KR102300009B1 KR1020190175025A KR20190175025A KR102300009B1 KR 102300009 B1 KR102300009 B1 KR 102300009B1 KR 1020190175025 A KR1020190175025 A KR 1020190175025A KR 20190175025 A KR20190175025 A KR 20190175025A KR 102300009 B1 KR102300009 B1 KR 102300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fluid
elevator
squar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2760A (ko
Inventor
김남수
Original Assignee
김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수 filed Critical 김남수
Priority to KR1020190175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0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82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2Structur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도로 상의 보도육교나 대중교통의 하나인 지하철을 이용시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승강에 따른 흔들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되어 보다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추락 방지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중앙 측으로 승하강로가 형성되게 설치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동식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제1 커플링에 의해 감속기와 연결되고 그 감속기와 제2 커플링에 의해 상기 승하강로 내의 양측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구동스크류와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스크류 상에 상하단의 양측으로 너트하우징이 장착된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프레임으로 전면에 여닫히는 도어가 설치되어 장착되는 승강대;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대가 추락하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대를 지지하며, 상기 승강대와의 충돌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쇄시키는 추락 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추락 방지 승강기{FALL PREVENTION LIFT}
본 발명은 추락 방지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도로 상의 보도육교나 대중교통의 하나인 지하철을 이용시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승강에 따른 흔들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되어 보다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추락 방지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상의 보도육교를 이용하거나 대중교통 중의 하나인 지하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 또는 깊이에 있는 보도육교나 지하철 승강장 등을 계단을 이용하여 올라 가거나 내려가게 되는 데, 신체 건강한 이용자의 경우에는 부담없이 계단을 이용하여 보도육교나 지하철 승강장으로 내려갈 수 있었으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은 그 옆에서 도와주는 사람 없이는 보 도육교나 지하철을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근래에 들어 장애인 등의 휠체어를 탑재할 수 있는 판형태의 리프트가 설치되었는 데, 이는 보도육교의 측프레임이나 지하철 계단의 일측벽으로 가이드레일을 설치한 후 그 가이드레일 상에서 구동수단에 의해 왕복되도록 절첩되는 이송판을 설치하여 장애인의 휠체어 등을 탑재시켜 이동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같은 리프트의 경우, 장애인 혼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보조 요원이 있어야 사용 가능한 번거로움은 물론 휠체어가 탑재되는 이송판이 협소하여 탑재된 상태가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이송 중에 작은 충격이나 사소한 부주위에 의하여 휠체어가 이송판으로부터 이탈되어 큰 사고가 발생하는 위험부담을 늘 가지고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 들어서는 장애인뿐만 아니라 노약자 등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상으로부터 보도육교의 상부 또는 지하철 승강장으로 건축물에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등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보도육교 또는 지하철 승강장으로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건축물에 설치되는 와이어 로프방식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그대로 적용하여 설치하고 있어, 설치작업이 복잡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이 높은 문제점과 아울러 승강에 따른 흔들림이 많이 발생하여 탑승자가 불안해하는 가장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와이어 로프방식에 따른 승강대가 정확한 위치로 정지되지 않는 문제 점도 발생하였을 뿐만 아니라 많은 사고의 위험을 가지고 있어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오히려 사용을 꺼려하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54600호 한국등록특허 제10-203051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도로 상의 보도육교나 대중교통의 하나인 지하철을 이용시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승강에 따른 흔들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되어 보다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추락 방지 승강기를 제공한다.
또한, 승강대가 적재된 인원 또는 짐 등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낙하하거나, 승강대를 체결하고 있는 장착프레임의 파손에 따라 승강대가 하강하는 경우에 있어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승강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추락 방지 승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승강기는, 지상으로부터 도로 상의 보도육교 또는 지하철 승강장으로 설치되는 추락 방지 승강기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중앙 측으로 승하강로가 형성되게 설치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동식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제1 커플링에 의해 감속기와 연결되고 그 감속기와 제2 커플링에 의해 상기 승하강로 내의 양측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구동스크류와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스크류 상에 상하단의 양측으로 너트하우징이 장착된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프레임으로 전면에 여닫히는 도어가 설치되어 장착되는 승강대;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대가 추락하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대를 지지하며, 상기 승강대와의 충돌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쇄시키는 추락 방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락 방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대가 추락하는 경우 상기 승강대가 안착되는 상부 지지플레이트;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 지지플레이트;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의 각 모서리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의 하부 일측 다른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시키는 두 개의 완충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기둥; 및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기둥의 상부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기둥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둥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육각 기둥 형태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육각 프레임; 및 상기 육각 프레임의 6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동 렉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육각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상기 육각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홈;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육각 프레임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동 렉기어와 밀착되어 상기 육각 기둥을 제동시키는 제동부; 및 상기 지지홈의 하측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육각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육각 프레임이 하강하여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상기 제동부로 공급하는 탄성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동홈에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받침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받아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상기 육각 프레임 방향으로 전진시켜 주는 전진 실린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동 렉기어와 대향하는 전면에 상기 제동 렉기어에 대응하는 형상의 밀착 렉기어를 형성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제동 렉기어와 밀착되어 상기 육각 프레임이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체; 및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향하는 상기 제동 플레이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는 슬라이딩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받침대는,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육각 프레임을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지지홈의 하측에 안착되는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의 상측에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탱크; 및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상기 전진 실린더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전진 실린더로 전달하는 유체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상부 평판;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에 안착되는 하부 평판;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부;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축되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시켜 주는 유체 공급 고리; 및 상기 간격 지지부가 안착되는 상기 상부 평판의 하측면 및 상기 하부 평판의 상측면에 대칭 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간격 지지부의 상측 또는 하측이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고리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신장되어 상기 간격 지지부를 압축시켜 상기 간격 지지부의 탄성력을 증가시켜 주는 탄성 조절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고리는,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사각 고리;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사각 고리와 교차 연결 설치되는 제2 사각 고리;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상부로부터 상기 상부 평판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유체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제1 지지관;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 평판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유체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제2 지지관;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상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상기 제1 지지관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1 유체 파우치; 및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하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상기 제2 지지관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2 유체 파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는, 상기 상부 평판의 하측면 또는 상기 하부 평판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으로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밀려나와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간격 지지부를 수축시켜 주는 안착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도로 상의 보도육교 또는 대중교통의 하나인 지하철을 이용시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승강대의 승강수단을 구동스크류와 너트하우징을 사용함에 따라 승강에 따른 흔들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되어 보다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양측의 구동스크류가 등속도로 회전되는 추락 방지 승강기를 제공함으로써, 승강대의 승강이 불안정하지 않고 정확하면서 안전한 승강이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최대한의 안전성을 보장함과 아울러 간단한 구조로 인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승강대가 적재된 인원 또는 짐 등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낙하하거나, 승강대를 체결하고 있는 장착프레임의 파손에 따라 승강대가 하강하는 경우에 있어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승강대를 지지함으로써, 승강대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이 추락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안전사고를 당하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승강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추락 방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완충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4의 제동부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제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유체 공급 고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탄성 조절 실린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탄성 조절 실린더에 의한 간격 지지부의 수축 방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승강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승강기(10)는, 지상으로부터 도로 상의 보도육교 또는 지하철 승강장으로 설치되는 저층용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본체프레임(100), 구동부(200), 장착프레임(400), 승강대(500) 및 추락 방지부(600)를 포함한다.
본체프레임(100)은, 베이스 플레이트(B) 상의 중앙 측으로 승강대(500)가 연결 설치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기 위한 공간인 승하강로(150)가 형성되게 설치된다.
구동부(200)는, 본체프레임(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동식 구동모터(220)의 구동축과 제1 커플링(220a)에 의해 감속기(240)와 연결되고 그 감속기와 제2 커플링(240a)에 의해 승하강로 내의 양측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구동스크류(300)와 연결되어 회전시킨다.
장착프레임(400)은, 본체프레임(100)의 하측에 설치되어 본체프레임(100)을 지지하며, 구동스크류(300) 상에 상하단의 양측으로 너트하우징(420)이 장착된다.
승강대(500)는, 장착프레임(400)으로 전면에 여닫히는 도어가 설치되어 장착되며, 승하강로(150)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한다.
추락 방지부(600)는, 본체프레임(100)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어 승강대(500)가 추락하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승강대(500)를 지지하며, 승강대(500)와의 충돌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승강기(10)는,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도로 상의 보도육교 또는 대중교통의 하나인 지하철을 이용시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승강대의 승강수단을 구동스크류와 너트하우징을 사용함에 따라 승강에 따른 흔들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되어 보다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양측의 구동스크류가 등속도로 회전되는 추락 방지 승강기를 제공함으로써, 승강대의 승강이 불안정하지 않고 정확하면서 안전한 승강이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최대한의 안전성을 보장함과 아울러 간단한 구조로 인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추락 방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추락 방지부(600)는, 상부 지지플레이트(610), 하부 지지플레이트(620), 탄성 지지대(700) 및 두 개의 완충 지지대(80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플레이트(6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승강대(500)가 추락하는 경우 승강대(500)가 안착된다.
하부 지지플레이트(620)는, 상부 지지플레이트(61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플레이트(6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된다.
탄성 지지대(700)는, 상부 지지플레이트(610)와 하부 지지플레이트(620)의 각 모서리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상부 지지플레이트(610)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완충 지지대(800)는, 베이스 플레이트(B)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하부 지지플레이트(620)의 하부 일측 다른 일측을 지지하며, 하부 지지플레이트(62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추락 방지부(600)는, 승강대(500)가 적재된 인원 또는 짐 등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낙하하거나, 승강대(500)를 체결하고 있는 장착프레임(400)의 파손에 따라 승강대(500)가 하강하는 경우에 있어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승강대(500)를 지지함으로써, 승강대(500)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이 추락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안전사고를 당하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완충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완충 지지대(800)는, 베이스 플레이트(810), 지지 기둥(820) 및 기둥 지지부(83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810)는, 베이스 플레이트(B)의 상측면 고정 설치되며, 상부로부터 지지 기둥(820)이 연장 형성된다.
지지 기둥(820)은, 베이스 플레이트(810)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기둥 지지부(830)이 삽입되기 위한 지지홈(822)이 형성된다.
기둥 지지부(830)는,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 기둥(820)의 상부에서 형성된 지지홈(822)을 통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며, 탄성 받침대(824)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플레이트(62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둥 지지부(830)는, 지지 플레이트(831), 육각 프레임(832) 및 제동 렉기어(83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83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지지플레이트(620)를 지지하며, 하부면으로부터 육각 프레임(832)이 연장 형성된다.
육각 프레임(832)은, 육각 기둥 형태로 지지 플레이트(831)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6개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제동 렉기어(833)이 형성된다.
제동 렉기어(833)는, 육각 프레임(832)의 6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동 플레이트(8233)가 밀착됨에 따라 육각 프레임(832)의 하강을 저지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지 기둥(820)은, 기둥 바디(821), 지지홈(822), 제동부(823) 및 탄성 받침대(824)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821)는, 베이스 플레이트(810)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육각 프레임(832)이 삽입되기 위한 지지홈(822)이 형성된다.
지지홈(822)은, 육각 프레임(8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기둥 바디(821)의 상부에 육각 프레임(8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홈의 하측에 탄성 받침대(824)가 안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일측면에 제동부(823)가 형성된다.
제동부(823)는, 제동 렉기어(833)와 대향하는 지지홈(822)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육각 프레임(832)이 하강함에 따라 제동 렉기어(833)와 밀착되어 육각 기둥을 제동시킨다.
즉, 제동부(82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프레임(832)의 3면에 제동 렉기어(833)가 설치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3개(823a, 823b, 823c)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탄성 받침대(824)는, 지지홈(822)의 하측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상측에 안착되는 육각 프레임(832)을 지지하며, 육각 프레임(832)이 하강하여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제동부(823)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 받침대(824)는, 상판(8241), 하판(8242), 지지 스프링(8243), 유체 탱크(8244) 및 유체 공급관(82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8241)은, 지지 스프링(8243)에 의하여 지지되어 하판(8242)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육각 프레임(832)을 지지하며, 육각 프레임(832)이 하강함에 따라 하판(8242)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유체 탱크(8244)를 압축시켜 준다.
하판(8242)은, 상판(8241)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지지홈(822)의 하측에 안착되며, 상판(8241)과의 사이에 지지 스프링(8243)과 유체 탱크(8244)가 설치된다.
지지 스프링(8243)은, 상판(8241)과 하판(8242)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하판(8242)의 상측에서 상판(8241)을 지지한다.
유체 탱크(8244)는, 상판(8241)과 하판(8242) 사이에 설치되며, 상판(8241)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유체 공급관(8245)를 통해 공급한다.
유체 공급관(8245)은, 유체 탱크(8244)로부터 전진 실린더(8232)로 연장 형성되며, 유체 탱크(8244)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진 실린더(8232)로 전달한다.
도 7은 도 4의 제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동부(823)는, 안착 플레이트(8231), 전진 실린더(8232), 제동 플레이트(8233), 슬라이딩홈(8234), 탄성체(8235) 및 슬라이딩바아(8236)를 포함한다.
안착 플레이트(8231)는, 제동 렉기어(833)와 대향하는 지지홈(822)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동홈(8221)에 안착되며, 후면에 설치되는 전진 실린더(8232)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전진함에 따라 전면에 연결 설치되는 제동 플레이트(8233)를 제동 렉기어(833)와 밀착시켜 준다.
전진 실린더(8232)는, 안착 플레이트(8231)의 후면에 설치되며, 탄성 받침대(824)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유체공급관(8237)를 통해 전달받아 안착 플레이트(8231)를 육각 프레임(832) 방향으로 전진시켜 준다.
제동 플레이트(8233)는, 안착 플레이트(8231)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며, 제동 렉기어(833)와 대향하는 전면에 제동 렉기어(833)에 대응하는 형상의 밀착 렉기어(G)를 형성하며, 안착 플레이트(8231)가 전진함에 따라 제동 렉기어(833)와 밀착되어 육각 프레임(832)이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제동시킨다.
슬라이딩홈(8234)은, 안착 플레이트(8231)의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슬라이딩바아(8236)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하측에 탄성체(8235)가 설치된다.
탄성체(8235)는, 슬라이딩홈(8234)의 하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딩홈(8234)애 안착되는 슬라이딩바아(8236)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슬라이딩바아(8236)는, 슬라이딩홈(8234)에 대향하는 제동 플레이트(8233)의 후면에 설치되며, 슬라이딩홈(8234)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탄성체(8235)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8은 도 2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대(700)는, 상부 평판(710), 하부 평판(720), 간격 지지부(730), 유체 공급 고리(740) 및 탄성 조절 실린더(750)를 포함한다.
상부 평판(710)은, 간격 지지부(730)에 의하여 하부 평판(7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 지지플레이트(610)를 간격 지지부(730)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하부 평판(720)은, 간격 지지부(730)에 의하여 상부 평판(7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하부 지지플레이트(620)의 상측에 안착된다.
간격 지지부(730)는, 용수철 등과 같은 탄성체로 형성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한다.
유체 공급 고리(740)는,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축되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L)를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공급시켜 준다.
탄성 조절 실린더(750)는, 간격 지지부(730)가 안착되는 상부 평판(710)의 하측면 및 하부 평판(720)의 상측면에 대칭 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간격 지지부(730)의 상측 또는 하측이 설치되며, 유체 공급 고리(740)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신장되어 간격 지지부(730)를 압축시켜 간격 지지부(730)의 탄성력을 증가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700)는, 단순히 탄성력을 이용하여 물체를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진동이나 충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 탄성력을 형성하는 간격 지지부(730)를 이에 따라 압축시켜 간격 지지부(730)에 의한 탄성력을 증가시켜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 사이의 간격이 더이상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진동이나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유체 공급 고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유체 공급 고리(740)는, 제1 사각 고리(741), 제2 사각 고리(742), 제1 지지관(743), 제2 지지관(744), 제1 유체 파우치(745) 및 제2 유체 파우치(746)를 포함한다.
제1 사각 고리(741)는,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사각 고리(742)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연결되며, 상측에 제1 지지관(743)이 설치되고, 고리의 내측 공간에 제1 유체 파우치(745)가 설치된다.
제2 사각 고리(742)는,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사각 고리(741)와 교차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제2 지지관(744)이 설치되고, 고리의 내측 공간에 제2 유체 파우치(746)가 설치된다.
제1 지지관(743)은, 제1 사각 고리(741)의 상부로부터 상부 평판(710)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제1 유체 파우치(745)로부터 공급되는 유체(L)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며, 상부 평판(710)에 설치되는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유체(L)를 전달한다.
제2 지지관(744)은, 제2 사각 고리(742)의 하부로부터 하부 평판(720)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제2 유체 파우치(746)로부터 공급되는 유체(L)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며, 하부 평판(720)에 설치되는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유체(L)를 전달한다.
제1 유체 파우치(745)는,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제1 사각 고리(741)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제2 사각 고리(742)의 상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제1 지지관(743)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공급한다.
제2 유체 파우치(746)는,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제2 사각 고리(742)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제1 사각 고리(741)의 하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제2 지지관(744)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탄성 조절 실린더(750)로 공급한다.
도 10은 도 8의 탄성 조절 실린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탄성 조절 실린더(750)는, 하우징(751) 및 안착 플런저(752)를 포함한다.
하우징(751)은, 상부 평판(710)의 하측면 또는 하부 평판(720)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유체(L)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안착 플런저(752)가 연결 설치된다.
안착 플런저(752)는, 하우징(751)에 안착되며, 하우징(751)으로 유체(L)가 공급됨에 따라 유체(L)의 압력에 의해 하우징(751)으로부터 밀려나와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간격 지지부(730)를 수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조절 실린더(750)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간격 지지부(730)를 압축시키 아니하여 간격 지지부(730)의 길이가 t1이 되도록 하나, 상부 평판(710)과 하부 평판(720)이 압축됨에 따라 유체 공급 고리(74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L)에 의하여 간격 지지부(730)를 압축시켜 간격 지지부(730)의 길이가 t2(t1 > t2)으로 줄어들도록 하여 이에 대응하여 간격 지지부(730)에 의한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추락 방지 승강기
100: 본체프레임
200: 구동부
300: 구동스크류
400: 장착프레임
500: 승강대
600: 추락 방지부
700: 탄성 지지대
800: 완충 지지대

Claims (10)

  1. 지상으로부터 도로 상의 보도육교 또는 지하철 승강장으로 설치되는 추락 방지 승강기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중앙 측으로 승하강로가 형성되게 설치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동식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제1 커플링에 의해 감속기와 연결되고 그 감속기와 제2 커플링에 의해 상기 승하강로 내의 양측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구동스크류와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스크류 상에 상하단의 양측으로 너트하우징이 장착된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프레임으로 전면에 여닫히는 도어가 설치되어 장착되는 승강대;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대가 추락하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대를 지지하며, 상기 승강대와의 충돌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쇄시키는 추락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락 방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대가 추락하는 경우 상기 승강대가 안착되는 상부 지지플레이트;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 지지플레이트;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의 각 모서리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의 하부 일측 다른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시키는 두 개의 완충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상부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상부 평판;
    상기 하부 지지플레이트에 안착되는 하부 평판;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부;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축되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시켜 주는 유체 공급 고리; 및
    상기 간격 지지부가 안착되는 상기 상부 평판의 하측면 및 상기 하부 평판의 상측면에 대칭 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간격 지지부의 상측 또는 하측이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고리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신장되어 상기 간격 지지부를 압축시켜 상기 간격 지지부의 탄성력을 증가시켜 주는 탄성 조절 실린더;를 포함하는, 추락 방지 승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고리는,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사각 고리;
    사각 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사각 고리와 교차 연결 설치되는 제2 사각 고리;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상부로부터 상기 상부 평판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유체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제1 지지관;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 평판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유체가 전달되기 위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되는 제2 지지관;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상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상기 제1 지지관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1 유체 파우치; 및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제2 사각 고리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평판과 상기 하부 평판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1 사각 고리의 하측면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상기 제2 지지관의 유체 이동 통로를 통해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로 공급하는 제2 유체 파우치;를 포함하는, 추락 방지 승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조절 실린더는,
    상기 상부 평판의 하측면 또는 상기 하부 평판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으로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밀려나와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간격 지지부를 수축시켜 주는 안착 플런저;를 포함하는, 추락 방지 승강기.
KR1020190175025A 2019-12-26 2019-12-26 추락 방지 승강기 KR102300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025A KR102300009B1 (ko) 2019-12-26 2019-12-26 추락 방지 승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025A KR102300009B1 (ko) 2019-12-26 2019-12-26 추락 방지 승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760A KR20210082760A (ko) 2021-07-06
KR102300009B1 true KR102300009B1 (ko) 2021-09-07

Family

ID=7686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025A KR102300009B1 (ko) 2019-12-26 2019-12-26 추락 방지 승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0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6254A (zh) * 2017-05-05 2017-07-21 苏州廖若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缓冲机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274B1 (ko) * 2002-11-25 2004-07-21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저층용 승강기
DE102015211488A1 (de) 2015-06-22 2016-12-22 Thyssenkrupp Ag Sicherheitseinrichtung einer Aufzugsanlage
KR102030514B1 (ko) 2019-03-29 2019-10-10 김구현 관리유지가 용이한 승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6254A (zh) * 2017-05-05 2017-07-21 苏州廖若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缓冲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760A (ko)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1117A (en) Safety device arrangement
JP2004043177A (ja)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
WO2006024173A1 (en) Elevator pit safety device
CN109132774A (zh) 一种电梯紧急制动装置
KR102300009B1 (ko) 추락 방지 승강기
KR20120130087A (ko) 이단 승강기 장치
CN112661049A (zh) 一种轨道车提升机构
CN107848752B (zh) 用于电梯系统轨道的减震器
JP2006160413A (ja) エレベータレールの底部受装置
JP6277453B2 (ja) 着座式避難装置
KR100441274B1 (ko) 저층용 승강기
JP4514298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880970A3 (de) Verfahren zum Optimieren des Gewichts eines Gegengewichts eines Aufzugsystems
JP2011195308A (ja) 油圧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リニューアルされたロープ式エレベータ
CN105731208A (zh) 施工升降机及其防冲顶装置
JP2542972Y2 (ja)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シュー伸設機構
WO2001081227A1 (fr) Ascenseur
CN216258997U (zh) 一种电梯导轨攀爬脚架
JP2005162374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JP6222864B1 (ja) エレベータのバッファ装置
CN109516345A (zh) 一种可调式电梯绳头结构
CN210366541U (zh) 一种具有急停功能的防坠落电梯
CN218931379U (zh) 具有防溜功能的电梯
CN219365208U (zh) 一种旧楼加装电梯的准平层楼道结构
EP4201862A1 (en) Buff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