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584B1 -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및 통풍 시트용 주름관 - Google Patents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및 통풍 시트용 주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584B1
KR102299584B1 KR1020190049357A KR20190049357A KR102299584B1 KR 102299584 B1 KR102299584 B1 KR 102299584B1 KR 1020190049357 A KR1020190049357 A KR 1020190049357A KR 20190049357 A KR20190049357 A KR 20190049357A KR 102299584 B1 KR102299584 B1 KR 102299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ole
corrugated pipe
bonding
overl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881A (ko
Inventor
김도형
임호섭
이명진
정유정
나세용
나성운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주)
나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주), 나성운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주)
Priority to KR1020190049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584B1/ko
Publication of KR20200125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1Joining tubular articles for forming coaxial connections, i.e. the tubular articles to be joined forming a zero angle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18Pleated or corrugated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Abstract

중앙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필름의 상부에서 제1필름의 제1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2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된 제2필름을 위치시키고, 각각의 외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1필름과 제2필름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중앙부에 제2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3관통홀이 형성된 제3필름을 제2필름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2관통홀 또는 제3관통홀과 인접한 내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2필름과 제3필름의 내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및 중앙부에 제3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4관통홀이 형성된 제4필름을 제3필름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1필름과 제2필름이 결합된 위치보다 외측에서 제3필름과 제4필름의 외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3필름과 제4필름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및 통풍 시트용 주름관{METHOD FOR MANUFATURING OF CORRUGATED TUBE FOR VENTILATION SEAT}
본 발명은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및 통풍 시트용 주름관에 관한 것으로, 통풍 시트의 쿠션과 프레임 사이에서 덕트와 채널커버를 연결하는 주름관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트는 탑승자의 장시간 운전에도 불구하고 탑승자의 피로감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최근 차량의 시트에는 다양한 편의장치들이 설치되어 차량의 가치와 기능성을 높이고 있는데, 예를 들어 시트에 히터기능을 부여한 열선시트가 대표적이다. 이에 더하여, 최근에는 시트의 쾌적성을 위해 강제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통풍 시트에 대한 개발이 활발한데, 시트에 공기를 송출하는 블로워와 블로워에서 송출된 공기를 시트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시트패드로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통풍 시트의 시트패드에는 시트패드로 유입된 공기를 고르게 분포시키도록 상기 다수개의 구멍이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로는 블로워와 연결되어 공기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블로워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를 시트패드의 유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시트패드 하부에는 복수의 필름이 융착된 주름관이 위치되고, 주름관은 커넥터를 통하여 블로워와 연결된다.
주름관은 복수의 필름을 내측부와 외측부를 번갈아가면서 결합하면서 적층하여 제작한다. 종래의 주름관은 결합지점이 필름의 평면상에서 동일한 지점에 위치되어 일원화된 금형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은 있었지만, 외측부를 결합하는 금형에 필름을 삽입하는 경우 필름이 겹쳐진 상태로 삽입되는 문제가 있어 작업의 불편함이 야기되었고, 결합 후 인장 강도 및 파단 신율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666422 B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필름을 중첩하여 제조하는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중첩시키는 필름의 외측부가 겹쳐진 상태로 금형에 삽입되는 문제를 방지하여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작성을 향상시키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은 중앙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필름의 상부에서 제1필름의 제1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2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된 제2필름을 위치시키고, 각각의 외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1필름과 제2필름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중앙부에 제2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3관통홀이 형성된 제3필름을 제2필름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2관통홀 또는 제3관통홀과 인접한 내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2필름과 제3필름의 내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및 중앙부에 제3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4관통홀이 형성된 제4필름을 제3필름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1필름과 제2필름이 결합된 위치보다 외측에서 제3필름과 제4필름의 외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3필름과 제4필름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필름과 제4필름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이후에, 중앙부에 제4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5관통홀이 형성되고 제3필름과 제4필름이 결합된 위치보다 외측으로 연장된 제5필름을 제4필름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4관통홀 또는 제5관통홀에 인접한 내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4필름과 제5필름의 내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필름과 제5필름의 내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이후에, 제1필름 내지 제5필름이 순서대로 결합된 반조립체들을 제5필름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키고, 제3필름과 제4필름이 결합된 위치보다 외측에서 각각의 제5필름을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5필름들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반조립체들을 결합하여 주름관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름관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에, 중앙부에 제1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커버홀이 형성된 커버를 반조립체에 포함된 제1필름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1관통홀을 둘러싸는 내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1필름과 커버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관통홀, 제3관통홀, 제4관통홀 및 제5관통홀은 제1관통홀과 위치 및 크기가 동일하고, 제2필름과 제3필름이 상호 결합되는 제2필름과 제3필름의 내측부와 제4필름 및 제5필름이 상호 결합되는 제4필름과 제5필름의 내측부는 중첩될 수 있다.
제1필름과 제2필름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에서는, 제1필름과 제2필름의 중첩된 외측부를 제1필름의 하부와 제2필름의 상부에서 각각 가압한 상태로 융착시킴으로써 제1필름과 제2필름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제2필름과 제3필름을 결합시키는 단계에서는, 제2관통홀 또는 제3관통홀에 각각 인접한 내측부를 제2필름의 하부와 제3필름의 상부에서 각각 가압한 상태로 융착시킴으로써 제2필름과 제3필름을 결합할 수 있다.
제3필름 및 제4필름은 제1필름 및 제2필름의 외측 단부보다 외측방으로 연장되고, 제3필름과 제4필름을 결합시키는 단계에서는, 제3필름과 제4필름의 외측부는 제1필름과 제2필름의 결합된 외측부보다 외측으로 연장된 위치에서 제3필름의 하부와 제4필름의 상부에서 각각 가압한 상태로 융착시킬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은 중앙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필름의 상부에서 제1필름의 제1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2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된 제2필름을 위치시키고, 각각의 외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1필름과 제2필름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중앙부에 제2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3관통홀이 형성된 제3필름을 제2필름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2관통홀 또는 제3관통홀과 인접한 내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2필름과 제3필름의 내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및 제1필름 내지 제3필름이 순서대로 결합된 반조립체들을 제3필름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키고, 제2필름과 제3필름이 결합된 위치보다 외측에서 각각의 제3필름을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3필름들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반조립체들을 결합하여 주름관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풍 시트용 주름관은 중앙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필름; 제1필름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1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2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되며, 외측부가 제1필름의 외측부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제2필름; 제2필름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2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3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되며, 제3관통홀에 인접한 내측부가 제2필름의 내측부와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제3필름; 및 제3필름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3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4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외측부가 제1필름과 제2필름 사이의 결합된 위치보다 외측에서 제3필름의 외측부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제4필름;을 포함한다.
제2관통홀, 제3관통홀 및 제4관통홀 및 제5관통홀은 제1관통홀과 위치 및 크기가 동일하여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동일한 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
제4필름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4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5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되며, 제5관통홀에 인접한 내측부가 제4필름의 내측부와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제5필름; 및 제5필름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5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6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외측부가 제3필름과 제4필름 사이의 결합된 위치보다 외측에서 제5필름의 외측부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제6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6필름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6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7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되며, 제7관통홀에 인접한 내측부가 제6필름의 내측부와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제7필름; 및 제7필름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7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8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외측부가 제5필름과 제6필름 사이의 결합된 위치보다 내측에서 제7필름의 외측부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제8필름; 제8필름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8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9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되며, 제9관통홀에 인접한 내측부가 제8필름의 내측부와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제9필름; 및 제9필름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9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10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외측부가 제7필름과 제8필름 사이의 결합된 위치보다 내측에서 제9필름의 외측부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제10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6필름은 제5필름에, 제7필름은 제4필름에, 제8필름은 제3필름에, 제9필름은 제2필름에, 제10필름은 제1필름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5필름과 제6필름 사이의 결합면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및 통풍 시트용 주름관에 따르면, 적층되는 필름의 결합위치가 외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중첩되지 않고, 제1필름 및 제2필름의 결합 이후, 제3필름과 제4필름을 결합하기 위한 금형에 제1필름 및 제2필름이 삽입되지 않아 작업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필름의 외측부 결합 위치가 중복되지 않고 다른 선 상에 위치되어 작업자의 가시성이 확보되고 공수를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반조립체를 각각 제조하고 이들을 서로 결합하여 주름관을 제조함으로써 간단한 공정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주름관의 대량 생산에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의 쿠션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의 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래 기슬에 따른 통풍 시트용 주름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주름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7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의 쿠션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의 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통풍 시트의 쿠션(10)은 프레임(50)의 상부에 위치되고, 프레임(50)의 내부로 블로워(미도시)와 연결된 덕트(70)를 통하여 외기가 쿠션(10)으로 공급된다. 특히, 덕트(70)는 커넥터(60) 및 주름관(40)을 통하여 쿠션(10)의 후방에 부착된 채널 커버(20)와 연결되고, 채널 커버(20)는 쿠션(10)에 형성된 유로(미도시)를 밀폐하여 덕트(70)를 통하여 공급된 외기를 쿠션(10)으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통풍 시트용 주름관(40)은 일측이 채널 커버(20)에 결합되고, 타측이 커넥터(60)와 결합되어 통풍 시트의 쿠션(10)과 프레임(50)의 사이에 위치되는 통풍 시트용 주름관(40)이다. 주름관(40)은 접착필름(30) 등에 의해 채널 커버(20)에 결합된다.
주름관(40)은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여 탑승자의 탑승 등에 따른 변형에도 불구하고 기밀을 유지하여 블로워(미도시)로부터 공급된 외기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이 얇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재질의 필름은 얇고 가공이 용이하여 통풍 시트의 패키지 확보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도 3은 종래 기슬에 따른 통풍 시트용 주름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10개의 필름이 적층되어 형성된 5층의 주름관을 도시한 것이다. 즉, 복수의 필름(1 ~ 10)을 순서대로 결합하여 주름관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부에서 바라볼 때 각각의 필름이 결합된 위치가 동일하도록 결합위치가 지면에 수직한 동일선 상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필름(1)과 제2필름(20)이 서로 결합된 외측부, 제3필름(3)과 제4필름(4)이 서로 결합된 외측부, 제5필름(5)과 제6필름(6)이 서로 결합된 외측부, 제7필름(7)과 제8필름(8)이 서로 결합된 외측부 및 제9필름(9)과 제10필름(10)이 서로 결합된 외측부가 모두 동일선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을 따르는 경우, 동일선 상에 위치된 결합위치에 따라 일원화된 금형(X)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어 요구되는 금형이 상대적으로 적은 장점은 갖는다. 다만, 외측부를 결합하는 금형에 필름을 삽입하는 경우 필름이 겹쳐진 상태로 삽입되는 문제가 있어 작업의 불편함이 야기되었고, 결합 후 인장 강도 및 파단 신율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주름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주름관은 중앙부에 제1관통홀(110)이 형성된 제1필름(100); 제1필름(10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1관통홀(110)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2관통홀(210)이 중앙부에 형성되며, 외측부가 제1필름(100)의 외측부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제2필름(200); 제2필름(20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2관통홀(210)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3관통홀(310)이 중앙부에 형성되며, 제3관통홀(310)에 인접한 내측부가 제2필름(200)의 내측부와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제3필름(300); 및 제3필름(30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3관통홀(310)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4관통홀(410)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외측부가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 사이의 결합된 위치보다 외측에서 제3필름(300)의 외측부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제4필름(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통풍 시트용 주름관은 제1필름(100), 제2필름(200), 제3필름(300) 및 제4필름(400)이 바닥에서 상부로 순서대로 결합된다.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은 외측부에서 상호 결합되고, 제2필름(200)과 제3필름(300)은 내측부에서 상호 결합되며,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은 다시 외측부에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외측부란 각 필름의 외측 단부에 인접한 영역이고, 내측부란 각각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인접한 테두리와 인접한 영역이다. 각 필름의 내측부와 외측부는 각각 내부로 유동되는 외기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전체 테두리를 따라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통풍 시트용 주름관은 외측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의 결합위치와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의 결합위치가 서로 상이하다. 특히,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이 서로 결합된 외측부는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 사이의 결합위치보다 외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결합위치가 외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중첩되지 않고, 제1필름(100) 및 제2필름(200)의 결합 이후,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을 결합하기 위한 금형에 제1필름(100) 및 제2필름(200)이 삽입되지 않아 작업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즉, 외측부의 결합 위치가 중복되지 않고 다른 선 상에 위치되어 작업자의 가시성이 확보되고 공수를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제2관통홀(210), 제3관통홀(310) 및 제4관통홀(410) 및 제5관통홀(510)은 제1관통홀(110)과 위치 및 크기가 동일하여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동일한 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
즉, 제1관통홀(110) 내지 제4관통홀(410)은 모두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크기로 정렬되도록 배치되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중첩되는 것으로, 상부에서 바라볼 때 모두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관통홀(210)에 인접한 제2필름(200)의 내측부 및 제3관통홀(310)에 인접한 제3필름(300)의 내측부는 다른 필름의 내측부와 중첩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4필름(40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4관통홀(410)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5관통홀(510)이 중앙부에 형성되며, 제5관통홀(510)에 인접한 내측부가 제4필름(400)의 내측부와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제5필름(500); 및 제5필름(50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5관통홀(510)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6관통홀(510')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외측부가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 사이의 결합된 위치보다 외측에서 제5필름(500)의 외측부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제6필름(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호 결합된 제4필름(400)의 내측부와 제5필름(500)의 내측부는 제2관통홀(210)에 인접한 제2필름(200)의 내측부 및 제3관통홀(310)에 인접한 제3필름(300)의 내측부는 다른 필름의 내측부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6필름(500')과 제5필름(500)은 각각의 외측부에서 서로 결합되되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 사이의 결합된 위치보다 외측에서 결합될 수 있다.
제6필름(500')은 제5필름(500)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것으로, 제5필름(500)과 결합되는 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일 수 있다. 즉, 후술하는 것과 같이 반조립체(1000)를 마주보는 상태로 결합하여 주름관이 완성되도록 제6필름(500')이 제5필름(500)에 대칭되도록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6필름(50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6관통홀(510')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7관통홀(410')이 중앙부에 형성되며, 제7관통홀(410')에 인접한 내측부가 제6필름(500')의 내측부와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제7필름(400'); 및 제7필름(40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7관통홀(410')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8관통홀(310')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외측부가 제5필름(500)과 제6필름(500') 사이의 결합된 위치보다 내측에서 제7필름(400')의 외측부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제8필름(300'); 제8필름(30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8관통홀(310')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9관통홀(210')이 중앙부에 형성되며, 제9관통홀(210')에 인접한 내측부가 제8필름(300')의 내측부와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제9필름(200'); 및 제9필름(20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9관통홀(210')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10관통홀(110')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외측부가 제7필름(400')과 제8필름(300') 사이의 결합된 위치보다 내측에서 제9필름(200')의 외측부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제10필름(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7필름(400')은 제4필름(400)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고, 제8필름(300')은 제3필름(300)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제9필름(200')은 제2필름(200)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고, 제10필름(100')은 제1필름(100)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6필름(500')은 제5필름(500)에, 제7필름(400')은 제4필름(400)에, 제8필름(300')은 제3필름(300)에, 제9필름(200')은 제2필름(200)에, 제10필름(100')은 제1필름(100)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5필름(500)과 제6필름(500') 사이의 결합면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상일 수 있다.
즉, 제5필름(500)과 제6필름(500') 사이에서 결합되는 결합면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반조립체(1000)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제5필름(500)과 제6필름(500')이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이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름의 외측부의 결합위치를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형성하여 금형에 넣고 결합하는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이에 따른 반조립체(1000)를 결합하여 주름관을 제조함으로써 거리가 상부로 갈수록 점점 커지다가 다시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주름관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a 내지 7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7f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은 중앙부에 제1관통홀(110)이 형성된 제1필름(100)의 상부에서 제1필름(100)의 제1관통홀(110)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2관통홀(210)이 중앙부에 형성된 제2필름(200)을 위치시키고, 각각의 외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중앙부에 제2관통홀(210)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3관통홀(310)이 형성된 제3필름(300)을 제2필름(200)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2관통홀(210) 또는 제3관통홀(310)과 인접한 내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2필름(200)과 제3필름(300)의 내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및 중앙부에 제3관통홀(310)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4관통홀(410)이 형성된 제4필름(400)을 제3필름(300)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이 결합된 위치보다 외측에서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의 외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는, 도 7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의 외측 단부에 인접한 외측부를 서로 결합시킨다. 제1필름(100)의 상부에 제2필름(200)이 위치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필름을 상호 결합시키는 것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된 필름의 외측부 또는 내측부의 영역을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부와 하부를 각각 금형에 넣고 가압한 상태로 융착시킴으로써 결합하는 것이다. 특히, 금형에 고주파를 인가하여 필름을 융착시킬 수 있다.
특히,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에서는,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이 하중에 따른 중력에 의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필름(100)이 하부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금형(A)을 낮게 위치시킬 수 있다.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이후에, 도 7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필름(200)의 상부에 제3필름(30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2필름(200)과 제3필름(300)의 제2관통홀(210) 또는 제3관통홀(310)에 인접한 내측부를 중첩시킨 상태로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외측부와 내측부를 서로 번갈아가면서 적층시키면서 결합시킬 수 있다.
제2필름(200)과 제3필름(300)의 내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이후에, 도 7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특히, 제3필름(300) 및 제4필름(400)은 제1필름(100) 및 제2필름(200)보다 외측으로 연장된 크기가 클 수 있다.
제3필름(300) 및 제4필름(400)은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이 중첩되어 결합된 위치보다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의 상호 결합된 외측부는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이 중첩되어 결합된 위치보다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필름(100) 및 제2필름(200)의 중첩되어 결합된 외측부는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을 결합하도록 상부 및 하부에 위치시키는 금형(B)보다 내측에 위치되어 제3필름(300) 및 제4필름(400)을 결합하기 위한 금형(B)에 중첩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이후에, 중앙부에 제4관통홀(410)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5관통홀(510)이 형성되고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이 결합된 위치보다 외측으로 연장된 제5필름(500)을 제4필름(400)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4관통홀(410) 또는 제5관통홀(510)에 인접한 내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4필름(400)과 제5필름(500)의 내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필름(400)과 제5필름(500)의 내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에서, 도 7d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4필름(400)과 제5필름(500)의 내측부는 제2필름(200)과 제3필름(300)의 내측부가 상호 결합되는 위치와 서로 중첩된 위치에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금형(Y)을 이용하여 제4필름(400)과 제5필름(500)을 중첩시킨 상태로 결합할 수 있어 요구되는 금형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제5필름(500)은 제4필름(400)의 외측 단부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제4필름(400)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5필름(500)은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의 서로 결합된 외측부보다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필름(400)과 제5필름(500)의 내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이후에, 제1필름(100) 내지 제5필름(500)이 순서대로 결합된 반조립체(1000)들을 제5필름(500)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키고,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이 결합된 위치보다 외측에서 각각의 제5필름(500)을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5필름(500)들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반조립체(1000)들을 결합하여 주름관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름관을 제조하는 단계는 도 7e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필름(100) 내지 제5필름(500)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결합한 반조립체(1000)들을 제5필름(500)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제5필름(500)들을 중첩시킨 상태로 결합할 수 있다. 반조립체(1000)가 서로 결합되도록 서로 중첩된 제5필름(500)의 외측부는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이 결합된 위치보다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의 외측부를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층을 형성하고, 제3필름(300) 및 제4필름(400)의 외측부를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층을 더 형성하며, 제5필름(500)을 더 결합하여 총 2.5층에 해당하는 반조립체(1000)를 형성하고, 2.5층의 반조립체(1000)를 서로 결합하여 5층에 해당하는 주름관을 제조할 수 있다. 제1필름(100) 및 제2필름(200)은 서로 대칭되도록 동일한 형상을 갖고, 제3필름(300) 및 제4필름(400)은 서로 대칭되도록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조립체(1000)들을 서로 결합하도록 제5필름(500)들을 융착시키는 금형(C)에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의 결합된 외측부 및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의 결합된 외측부가 중첩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조립체(1000)를 각각 제조하고 이들을 결합하여 주름관을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공정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주름관의 대량 생산에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주름관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에, 중앙부에 제1관통홀(110)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커버홀(610)이 형성된 커버(600)를 반조립체(1000)에 포함된 제1필름(100)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1관통홀(110)을 둘러싸는 내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1필름(100)과 커버(600)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름관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에, 제1필름(100)과 커버(600)를 결합시키는 단계에서는, 도 7f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서로 결합되어 주름관을 형성하는 반조립체(1000)들에 포함된 제1필름(100)에 각각 커버(600)를 결합할 수 있다.
커버(600)에는 중앙부에 커버홀(610)이 형성되고, 커버홀(610)은 제1관통홀(110)과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커버홀(610)은 제1관통홀(1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1관통홀(11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600)의 내측부는 커버홀(610)에 인접하여 커버홀(610)을 감싸는 형상일 수 있고, 커버(600)의 내측부가 제1필름(100)에 중첩된 상태로 제1관통홀(1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커버홀(610)을 감싸는 커버의 내측부를 가압하는 금형(D)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커버(600)는 시트의 쿠션 측에 위치된 채널커버에 결합되는 상부커버(600)와 시트 프레임 측에 위치된 커넥터에 결합되는 하부커버(6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600)는 제1필름(100) 내지 제5필름(500)보다 경도가 크고 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600)는 채널커버 또는 커넥터에 단단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제2관통홀(210), 제3관통홀(310), 제4관통홀(410) 및 제5관통홀(510)은 제1관통홀(110)과 위치 및 크기가 동일하고, 제2필름(200)과 제3필름(300)이 상호 결합되는 제2필름(200)과 제3필름(300)의 내측부와 제4필름(400) 및 제5필름(500)이 상호 결합되는 제4필름(400)과 제5필름(500)의 내측부는 중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주름관은 필름들이 결합되는 내측부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내부로 유동되는 외기의 유동을 최소한으로 방해할 수 있다.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에서는,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의 중첩된 외측부를 제1필름(100)의 하부와 제2필름(200)의 상부에서 각각 가압한 상태로 융착시킴으로써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을 서로 가압하도록 제2필름(200)의 상부에 금형(A)이 위치될 수 있다.
제2필름(200)과 제3필름(300)을 결합시키는 단계에서는, 제2관통홀(210) 또는 제3관통홀(310)에 각각 인접한 내측부를 제2필름(200)의 하부와 제3필름(300)의 상부에서 각각 가압한 상태로 융착시킴으로써 제2필름(200)과 제3필름(300)을 결합할 수 있다. 각 필름의 내측부를 가압하기 위한 금형(Y)은 모두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3필름(300) 및 제4필름(400)은 제1필름(100) 및 제2필름(200)의 외측 단부보다 외측방으로 연장되고,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을 결합시키는 단계에서는, 제3필름(300)과 제4필름(400)의 외측부는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의 결합된 외측부보다 외측으로 연장된 위치에서 제3필름(300)의 하부와 제4필름(400)의 상부에서 각각 가압한 상태로 융착시킬 수 있다. 제3필름(300) 및 제4필름(400)의 외측부를 상부에서 가압하는 금형(B)은 제1필름(100) 및 제2필름(200)을 가압하는 금형(A)보다 외측에 위치된 영역을 가압할 수 있다.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a 내지 8c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은 중앙부에 제1관통홀(110)이 형성된 제1필름(100)의 상부에서 제1필름(100)의 제1관통홀(110)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2관통홀(210)이 중앙부에 형성된 제2필름(200)을 위치시키고, 각각의 외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중앙부에 제2관통홀(210)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3관통홀(310)이 형성된 제3필름(300)을 제2필름(200)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2관통홀(210) 또는 제3관통홀(310)과 인접한 내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2필름(200)과 제3필름(300)의 내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및 제1필름(100) 내지 제3필름(300)이 순서대로 결합된 반조립체(2000)들을 제3필름(300)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키고, 제2필름(200)과 제3필름(300)이 결합된 위치보다 외측에서 각각의 제3필름(300)을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3필름(300)들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반조립체(2000)들을 결합하여 주름관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에서는, 도 8a와 같이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의 외측부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의 외측부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을 결합하여 하나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2필름(200)과 제3필름(300)의 내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에서는, 도 8b와 같이 제2필름(200)과 제3필름(300)의 내측부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제1필름(100)과 제2필름(200)의 내측부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1필름(100) 내지 제3필름(300)을 순서대로 결합하여 1.5층의 반조립체(2000)를 형성할 수 있다.
주름관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도 8c와 같이 제3필름(300)들이 서로 마추보도록 반조립체(2000)를 위치시키고, 제3필름(300)의 외측부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5층의 반조립체(2000)가 서로 결합되어 3층의 주름관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 짧고 간단한 공정에 의해 주름관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제1필름 200 : 제2필름
300 : 제4필름 400 : 제4필름
500 : 제5필름 500' : 제6필름
400' : 제7필름 300' : 제8필름
200' : 제9필름 100' : 제10필름
600 : 커버

Claims (14)

  1. 중앙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필름의 상부에서 제1필름의 제1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2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된 제2필름을 위치시키고, 각각의 외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1필름과 제2필름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중앙부에 제2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3관통홀이 형성되면서 제1필름 및 제2필름의 외측 단부보다 외측방으로 연장된 제3필름을 제2필름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2관통홀 또는 제3관통홀과 인접한 내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2필름과 제3필름의 내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및
    중앙부에 제3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4관통홀이 형성되면서 제1필름 및 제2필름의 외측 단부보다 외측방으로 연장된 제4필름을 제3필름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1필름 및 제2필름의 외측 단부보다 외측에서 제3필름과 제4필름의 외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3필름과 제4필름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필름과 제4필름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이후에, 중앙부에 제4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5관통홀이 형성되고 제3필름과 제4필름이 결합된 위치보다 외측으로 연장된 제5필름을 제4필름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4관통홀 또는 제5관통홀에 인접한 내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4필름과 제5필름의 내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4필름과 제5필름의 내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이후에, 제1필름 내지 제5필름이 순서대로 결합된 반조립체들을 제5필름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키고, 제3필름과 제4필름이 결합된 위치보다 외측에서 각각의 제5필름을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5필름들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반조립체들을 결합하여 주름관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주름관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에, 중앙부에 제1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커버홀이 형성된 커버를 반조립체에 포함된 제1필름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1관통홀을 둘러싸는 내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1필름과 커버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제2관통홀, 제3관통홀, 제4관통홀 및 제5관통홀은 제1관통홀과 위치 및 크기가 동일하고, 제2필름과 제3필름이 상호 결합되는 제2필름과 제3필름의 내측부와 제4필름 및 제5필름이 상호 결합되는 제4필름과 제5필름의 내측부는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필름과 제2필름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에서는, 제1필름과 제2필름의 중첩된 외측부를 제1필름의 하부와 제2필름의 상부에서 각각 가압한 상태로 융착시킴으로써 제1필름과 제2필름을 상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필름과 제3필름을 결합시키는 단계에서는, 제2관통홀 또는 제3관통홀에 각각 인접한 내측부를 제2필름의 하부와 제3필름의 상부에서 각각 가압한 상태로 융착시킴으로써 제2필름과 제3필름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필름 및 제4필름은 제1필름 및 제2필름의 외측 단부보다 외측방으로 연장되고,
    제3필름과 제4필름을 결합시키는 단계에서는, 제3필름과 제4필름의 외측부는 제1필름과 제2필름의 결합된 외측부보다 외측으로 연장된 위치에서 제3필름의 하부와 제4필름의 상부에서 각각 가압한 상태로 융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9. 중앙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필름의 상부에서 제1필름의 제1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2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된 제2필름을 위치시키고, 각각의 외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1필름과 제2필름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중앙부에 제2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정렬된 제3관통홀이 형성되면서 제1필름 및 제2필름의 외측 단부보다 외측방으로 연장된 제3필름을 제2필름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2관통홀 또는 제3관통홀과 인접한 내측부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2필름과 제3필름의 내측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및
    제1필름 내지 제3필름이 순서대로 결합된 반조립체들을 제3필름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키고, 제1필름 및 제2필름의 외측 단부보다 외측에서 각각의 제3필름을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제3필름들의 외측부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반조립체들을 결합하여 주름관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049357A 2019-04-26 2019-04-26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및 통풍 시트용 주름관 KR102299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357A KR102299584B1 (ko) 2019-04-26 2019-04-26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및 통풍 시트용 주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357A KR102299584B1 (ko) 2019-04-26 2019-04-26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및 통풍 시트용 주름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881A KR20200125881A (ko) 2020-11-05
KR102299584B1 true KR102299584B1 (ko) 2021-09-10

Family

ID=73249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357A KR102299584B1 (ko) 2019-04-26 2019-04-26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및 통풍 시트용 주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5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079B1 (ko) 2021-05-27 2021-12-02 와이에스텍 주식회사 차량용 통풍시트의 주름관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322Y1 (ko) * 2000-01-06 2000-05-15 오세복 자동차 배기관용 벨로우즈
KR100966455B1 (ko) 2007-06-14 2010-06-28 휘브너 게엠바하 연결프레임과 벨로우즈를 포함하여 철도차량이나 관절형버스와 같이 2개 차체를 연결하는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1476A (en) * 1996-05-17 1998-12-22 Miner Enterprise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bellowed seal
JP3657944B2 (ja) * 2003-02-19 2005-06-08 株式会社フコク 等速ジョイント用樹脂製ブーツの製造方法等速ジョイント用樹脂製ブーツの製造装置
KR20120113895A (ko) * 2011-04-06 2012-10-16 송영민 신축성 개선을 위한 벨로우즈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34378A (ko) * 2011-09-28 2013-04-05 윤주영 벨로우즈 제조방법
KR101666422B1 (ko) 2015-10-07 2016-10-17 현대다이모스(주)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322Y1 (ko) * 2000-01-06 2000-05-15 오세복 자동차 배기관용 벨로우즈
KR100966455B1 (ko) 2007-06-14 2010-06-28 휘브너 게엠바하 연결프레임과 벨로우즈를 포함하여 철도차량이나 관절형버스와 같이 2개 차체를 연결하는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881A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4042B1 (ko) 통풍시트용 채널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2070024B1 (ko) 차량 시트의 통풍기구 및 이를 이용한 가변형 통풍시트
US8821225B2 (en) Vehicle instrument panel
KR102299584B1 (ko)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및 통풍 시트용 주름관
CN102975401B (zh) 材料幅及其制造方法
JP2003532994A (ja) 乗り物シート用センサマット
US20150175107A1 (en) Back beam for vehicle
CN110959295A (zh) 换能器及其制造方法
US20200324673A1 (en) Seat back frame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U2641733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из компози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1666422B1 (ko)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US9872625B2 (en) Airbag for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1044188A (ja) 樹脂製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及び樹脂製エアバッグ
US9474984B1 (en) Coupled balloon
US10640021B2 (en) Cushion cover for ventilation seat
JP5909108B2 (ja) 防振装置用ブラケットの製造方法
US20180319125A1 (en) Inflatable pad structure
CN209864333U (zh) 一种弹性腰围
CN212586842U (zh) 一种窄边框皮套键盘的粘连结构
US10391912B2 (en) Lay in place capillary control system for air suspended seating
US20100162462A1 (en) Fishing Trousers
CN209104207U (zh) 电池模组
TW201000330A (en) Reinforcement element for a bicycle rim
WO2020183208A1 (ja) 複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09793B1 (ko) 시트백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