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884B1 -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884B1
KR102298884B1 KR1020170019883A KR20170019883A KR102298884B1 KR 102298884 B1 KR102298884 B1 KR 102298884B1 KR 1020170019883 A KR1020170019883 A KR 1020170019883A KR 20170019883 A KR20170019883 A KR 20170019883A KR 102298884 B1 KR102298884 B1 KR 102298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nsor assembly
solar
air condition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3591A (ko
Inventor
한광옥
김용철
한규석
한광준
김상현
이장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9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884B1/ko
Priority to US15/856,903 priority patent/US10792978B2/en
Priority to CN201810097214.3A priority patent/CN108426638A/zh
Publication of KR20180093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sola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64Ventilators and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42Control or determination of height or angle information of sensors or receivers; Goniophot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71Housings; Attachments or accessories for pho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28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rrangements with two or more detectors, e.g. for sensitivity compen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2001/4266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for measuring solar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2001/4266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for measuring solar light
    • G01J2001/4285Pyranometer, i.e. integrating over sp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공조 시스템을 개시한다.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에 평면상으로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표면상에 본딩되며 일정한 단방향 경사 구조를 갖는 리드에 연결되는 다수의 포토 센서, 및 상기 하우징와 체결되며 태양광을 투과하는 센서 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공조 시스템{Sensor assembly for detecting solar insolation for a vehicl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소자 보호를 위한 몰드 구조가 적용되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공조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리드 경사 구조가 적용되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공조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공조 시스템은 주간의 일사량(solar radiation quantity)을 검출하여 일사부하가 크다면 좀 더 시원할 수 있도록 일사 제어를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 공조시스템은 내기 온도와 외기온도 등 여타 여러 가지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토출열량 계산식으로부터 운전자가 설정한 온도 설정 온도치에 대응하는 토출열량이 발생하도록 온도 조절 도어의 개도 및/또는 풍속을 제어한다.
이러한 일사 제어를 위해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의 구성을 보면, 포토 센서, 이 포토 센서가 평면에 배치되는 센서 블럭, 이 센서 블럭에 태양으로부터 투과되는 적외선의 분포를 변경시키는 필터, 맨 상단에 위치되어 센서 블럭 및 필터를 보호하고 적외선을 투과하는 센서 캡 등을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의 경우, 적외선 투과 경로가 태양광, 센서 캡, 필터, 포토 센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필터를 통과해야 되므로 일사량이 약 25% 정도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고도 조건시 적정한 일사량을 확보하기 위해 소요 시간이 더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부연하면, 태양 고도가 10도일 때보다 5도일 때 소요 시간이 약 15-20분 더 요구된다.
또한, 주행 방향에 따라 소요 시간이 더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부연하면, 차량의 주행시 정면의 경우보다 측면에서 태양광을 받게 되면 소요 시간이 더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일사량 확보를 위해 일사 감지 센서의 설치 위치를 상향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센싱 성능은 향상될 수 있으나 도출량이 커져 외관상으로 불리하다. 물론, 이와 반대로 일사 감지 센서의 설치 위치를 하향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외관상으로는 유리할 수 있으나 센싱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토 센서가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기울여 경사를 주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의 부피가 증가되어 소형화에 불리하다. 또한, 전방 경사 또는 후방 경사의 단방향 경사(즉 2차원 경사)만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0565770호(2006.03.22 등록) 2.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5-0093133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필터를 제거하면서도 태양으로부터 포토 센서에 도달하는 일사량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고도 조건에서도 소요 시간을 늘리지 않고 적정한 일사량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방향에 관계없이 적정한 일사량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하고 적정한 일사량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를 적용하여 효율적인 공조를 실행하는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필터를 제거하면서도 태양으로부터 포토 센서에 도달하는 일사량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에 평면상으로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표면상에 본딩되며 일정한 단방향 경사 구조를 갖는 리드에 연결되는 다수의 포토 센서; 및
상기 하우징과 체결되며 태양광을 투과하는 센서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포토 센서는 2개로 구성되며, 일정한 좌우 경사를 이루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포토 센서는, 상기 리드; 상기 리드의 표면상에 설치되는 포토 셀; 및 상기 리드가 상기 일정한 단방향 경사 구조를 유지하도록 하는 몰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부는 투명 재질의 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재질의 몰드는 투명 경질 에폭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토 셀은 포토 다이오드, 포토 트랜지스터, CdS 소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포토 센서는, 상기 몰딩부의 상단 표면에 접착되는 집광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제 1 상단 양측면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 또는 센서 캡의 탈착을 위한 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상단 양측면과 대칭되는 제 2 상단 양측면에는 차량의 대쉬보드와 탈착을 위해 일단이 상기 하우징 표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탄성을 갖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대쉬보드와 체결된 후 고정을 위한 상하 다른 경사각을 갖는 제 1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상단 양측면에는 상기 센서 캡이 상기 하우징과 체결된 후 고정을 위한 사각형의 제 2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의 내측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 및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돌출부는 2개이며, 상기 걸림턱 및 다수의 돌출부는 삼각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은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태양광의 입사에 따른 일사량을 센싱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위에서 기술된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상기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로부터 상기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공기량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히터 컨트롤러;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 조화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은, 공기 순환을 위한 덕트가 배치되는 공조 케이스; 상기 공조 케이스 내에 형성되며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제어하여 히터 코어로부터의 가열 공기와 에바 코어로부터의 냉각 공기를 일정 비율로 변경하여 혼합하는 템프 도어; 상기 템프 도어를 구동하는 템프 엑츄에이터; 상기 가열 공기와 냉각 공기를 상기 템프 도어를 통해 객실로 토출하는 블로워 팬; 및 상기 블로워 팬을 구동하는 블로워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전기 신호의 전류 증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은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 몰드를 적용함으로써 필터를 제거하면서도 태양으로부터 포토 센서에 도달하는 일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포토 센서가 설치되는 리드에 경사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저고도 조건에서도 소요 시간을 늘리지 않고 적정한 일사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전후방 경사뿐만 아니라 좌우 경사 배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3차원 경사가 가능하게 되어 차량의 주행 방향에 관계없이 적정한 일사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하고 적정한 일사량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포토 센서 및 리드의 경사 각도를 유지하면서 태양광을 투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형화, 경량화 등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사 감지 제어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블럭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토 센서를 I-I'축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포토 센서의 좌우 경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별 센싱 성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공조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사 감지 제어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윈도우 글래스(110)를 통해 입사하는 태양광의 일사량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120)가 대쉬보드(150)의 상단 표면상에 설치된다.
물론, 외관상으로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120)의 센서 커버(121)만이 돌출된다. 전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센서 블럭(130)이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120)내에 구성된다. 이 센서 블럭(130)은 센서 커버(121)와 조립된다. 따라서,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120)는 태양광의 일사량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히터 컨트롤러(140)에 전송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블럭(130)의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 블럭(130)은 포토 센서(210)와 이 포터 센서(210)가 배치되는 하우징(230)으로 구성된다.
포토 센서(210)는 태양광의 일사량을 받아 이를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이를 위해 포토 센서(210)는 일정한 단방향 경사 구조를 갖는다. 즉, 전방향 경사 또는 후방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전방향 경사(α)로 도시한 것이다.
하우징(230)은 센서 커버(121)와 체결되며, 대쉬보드(150)의 표면상에서 삽입 체결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하우징(230)의 제 1 상단 양측면에는 탈착홈(231)이 일정한 너비 및 높이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홈(231)은 전후로 2개 형성될 수 있다. 이 탈착홈(231)을 통해 고정 플레이트(220) 또는 센서 캡(121)의 탈착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제 1 상단 양측면에는 센서 캡(121)이 상기 하우징(230)과 체결된 후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사각형의 제 2 돌기(23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30)이 대쉬보드(도 1의 150)에 고정 체결되기 위해, 제 1 상단 양측면과 대칭되는 제 2 상단 양측면에는 체결부(233)가 형성된다. 부연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30)의 좌우로 체결부(233)가 형성된다.
체결부(233)는 차량의 대쉬보드(150)와 탈착을 위해 일단이 상기 하우징(230) 표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탄성을 갖는 형상이다. 따라서, 하방향으로 삽입되면서 안쪽으로 눌린후, 다시 복원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체결부(233)에는 상기 하우징(230)이 상기 대쉬보드(150)와 체결된후 고정을 위한 상하 다른 경사각을 갖는 제 1 돌기(233-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220)는 하우징(230)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안착홈(231)에 삽입 안착된다. 이를 위해, 안착홈(231)은 일정한 깊이를 갖는다. 물론, 고정 플레이트(220)는 포토 센서(210)와 리드(미도시)로 연결되기 위해 전도체 물질이 사용된다. 물론, 하우징(230)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리드와 연결되는 와이어, 커넥터 등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토 센서(210)를 I-I'축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드(320)는 단방향 경사 구조를 갖는다. 부연하면, 좌측단에서 우측단으로 향할 수 있도록 기울기가 증가하는 형상이다. 따라서, 일정한 경사가 형성된다. 즉, 좌측단은 고정 플레이트(220)에 본딩되고, 우측단 표면상에 포토 셀(310)이 부착된다. 특히, 이러한 단방향 경사 구조를 유지하도록 겉을 감싸는 몰딩부(330)가 형성된다. 몰딩부(330)는 태양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의 몰드가 된다. 이러한 투명 재질의 몰드는 투명 경질 에폭시, 투명 경질 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부연하면, 포토 셀(310)이 부착되면, 이후 투명 경질 에폭시를 부어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경질 에폭시가 경화됨으로써 단방향 경사 구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포토 셀(310)로는 포토 다이오드가 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토 트랜지스터, CdS 소자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몰딩부(330)의 상단 표면에 입사되는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는 집광 필름(340)이 추가로 접착될 수 있다. 집광 필름(340)은 여러 가지 방향에서 입사하는 태양광을 가능한 일정한 방향으로 모아 출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집광 필름(340)은 초박막형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포토 센서의 좌우 경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부연하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센서 블럭(130)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우 측면에서 유입되는 태양광을 검출하기 위해, 제 1 포토 센서(410)와 제 2 포토 센서(420)가 각각 일정한 좌우 경사(β)를 이루도록 일정한 거리를 두고 고정 플레이트(220) 표면상에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230)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안착홈의 내측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220)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401) 및 다수의 돌출부(402)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걸림턱(401) 및 다수의 돌출부(402)는 삼각형으로 배열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30)의 상단면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이 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향상의 다각형 형상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별 센싱 성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경우 포토 센서의 각도별 센싱 성능 곡선(510)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토 센서의 각도별 센싱 성능 곡선(520)이 도시된다. 부연하면, 저고도에서 태양광의 센싱 성능이 향상된다. 성능 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센싱 성능이 향상됨을 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조 시스템(600)은 태양(601)으로부터 태양광의 입사에 따른 일사량을 센싱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120), 상기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120)로부터 상기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공기량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히터 컨트롤러(140)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 조화 유닛(61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히터 컨트롤러(140)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기 신호의 전류 증폭 신호로 변환하여 템프 액츄에이터(612) 및 블로워 모터(611) 등에 전송한다.
또한, 공기 조화 유닛(610)은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유닛(610)은, 공기 순환을 위한 덕트(미도시)가 배치되는 공조 케이스(613), 상기 공조 케이스(613) 내에 형성되며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제어하여 히터 코어(615)로부터의 가열 공기와 에바 코어(614)로부터의 냉각 공기를 일정 비율로 변경하여 혼합하는 템프 도어(612-1), 상기 템프 도어(612-1)를 구동하는 템프 엑츄에이터(612), 상기 가열 공기와 냉각 공기를 상기 템프 도어(612-1)를 통해 객실로 토출하는 블로워 팬(611-1), 상기 블로워 팬(611-1)을 구동하는 블로워 모터(61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 유닛(610)은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고자, 외기나 내기를 선택하여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하는 장치로서, 에바 코어(evaporator core)(614), 히터 코어(heater core)(615), 송풍 수단(611,611-1,612,612-1)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풍 수단(611,611-1,612,612-1), 에바 코어(614), 및 히터 코어(615) 등 3개의 구성 부품 간의 배열 관계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과, 에바 코어 및 히터 코어가 공조 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는 세미센터 타입(semicenter type)과, 그리고 3개의 구성 부품이 모두 공조 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 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특정 타입에 한정되지 않는다.
템프 도어(612-1)는 공조 케이스(613)의 내부에 고정 힌지점(미도시)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냉각 공기 또는 가열 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템프 도어(612-1)는 에바 코어(614)와 히터 코어(615) 사이에 장착되며 위치를 가변 제어하여 냉각 공기와 가열 공기를 일정 비율로 믹싱한다.
120: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121: 센서 커버
130: 센서 블럭
140: 히터 컨트롤러
150: 대쉬보드
210: 포토 센서
220: 고정 플레이트
230: 하우징

Claims (1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에 평면상으로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표면상에 본딩되며 일정한 단방향 경사 구조를 갖는 리드에 연결되는 다수의 포토 센서; 및
    상기 하우징와 체결되며 태양광을 투과하는 센서 캡;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포토 센서는,
    상기 리드;
    상기 리드의 표면상에 설치되는 포토 셀; 및
    상기 리드가 상기 일정한 단방향 경사 구조를 유지하도록 겉을 감싸는 몰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포토 센서와 상기 리드로 연결되기 위해 전도체 물질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포토 센서는 2개로 구성되며, 일정한 좌우 경사를 이루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는 투명 재질의 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재질의 몰드는 투명 경질 에폭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셀은 포토 다이오드, 포토 트랜지스터, CdS 소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포토 센서는, 상기 몰딩부의 상단 표면에 접착되는 집광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 1 상단 양측면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 또는 센서 캡의 탈착을 위한 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단 양측면과 대칭되는 제 2 상단 양측면에는 차량의 대쉬보드와 탈착을 위해 일단이 상기 하우징 표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탄성을 갖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대쉬보드와 체결된후 고정을 위한 상하 다른 경사각을 갖는 제 1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단 양측면에는 상기 센서 캡이 상기 하우징과 체결된후 고정을 위한 사각형의 제 2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내측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 및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돌출부는 2개이며, 상기 걸림턱 및 다수의 돌출부는 삼각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은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16. 태양광의 입사에 따른 일사량을 센싱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15 항 어느 한 항의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상기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로부터 상기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공기량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히터 컨트롤러;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 조화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은,
    공기 순환을 위한 덕트가 배치되는 공조 케이스;
    상기 공조 케이스 내에 형성되며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제어하여 히터 코어로부터의 가열 공기와 에바 코어로부터의 냉각 공기를 일정 비율로 변경하여 혼합하는 템프 도어;
    상기 템프 도어를 구동하는 템프 엑츄에이터;
    상기 가열 공기와 냉각 공기를 상기 템프 도어를 통해 객실로 토출하는 블로워 팬; 및
    상기 블로워 팬을 구동하는 블로워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전기 신호의 전류 증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은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KR1020170019883A 2017-02-14 2017-02-14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공조 시스템 KR102298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883A KR102298884B1 (ko) 2017-02-14 2017-02-14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공조 시스템
US15/856,903 US10792978B2 (en) 2017-02-14 2017-12-28 Vehicle sensor assembly for detecting solar radi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ame
CN201810097214.3A CN108426638A (zh) 2017-02-14 2018-01-31 检测太阳辐射的车辆传感器组件和具有该组件的空调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883A KR102298884B1 (ko) 2017-02-14 2017-02-14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공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591A KR20180093591A (ko) 2018-08-22
KR102298884B1 true KR102298884B1 (ko) 2021-09-07

Family

ID=6310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883A KR102298884B1 (ko) 2017-02-14 2017-02-14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공조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92978B2 (ko)
KR (1) KR102298884B1 (ko)
CN (1) CN1084266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845A (ko) * 2019-05-10 2020-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포토 센서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1137A (ja) * 2006-01-26 2007-08-09 New Japan Radio Co Ltd 半導体光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008U (ko) * 1986-07-31 1988-02-17
JPH0615288B2 (ja) 1987-11-21 1994-03-02 株式会社ゼクセル 車両用空調装置
JPH0495728A (ja) 1990-08-07 1992-03-27 Zexel Corp 日射センサ
US5072106A (en) * 1990-09-25 1991-12-10 Zexel Corporation Solar radiation quantity detecting device for automobile air-conditioner
JP2603430Y2 (ja) * 1993-08-06 2000-03-13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日射検出センサ
US5957375A (en) * 1996-10-28 1999-09-28 Eaton Corporation Sunload sensor for automatic climate control systems
DE19753884A1 (de) 1997-12-05 1999-06-10 Behr Gmbh & Co Sensor zur Erfassung der Sonneneinstrahlung
JP2002017058A (ja) * 2000-06-30 2002-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ードレス電力搬送システム、電力搬送端末及び電化機器
JP4122701B2 (ja) * 2000-10-24 2008-07-23 株式会社デンソー 日射センサ
CA2349093A1 (en) * 2001-05-29 2002-11-29 Silonex Inc. Sunload sensor for automotive vehicules
SE0301857D0 (sv) * 2003-06-24 2003-06-24 Uab Accel Elektronika An optical radiation intensity sensor
CN2662600Y (zh) * 2003-08-18 2004-12-08 阳庆电子股份有限公司 易拆装的超薄型隔离罩结构改良
DE10340346A1 (de) 2003-08-29 2005-04-28 Hella Kgaa Hueck & Co Senso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JP4134912B2 (ja) 2004-01-22 2008-08-20 株式会社デンソー 光検出器
KR20050093133A (ko) 2004-03-18 2005-09-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일사량에 따른 차량공조시스템의 제어방법
DE102005011053A1 (de) * 2005-03-10 2006-09-21 Preh Gmbh Sonnensensor in MID-Technik
US7665611B2 (en) * 2006-06-28 2010-02-23 Mark Koch Bottle comprising a temporal indicator
CN201281629Y (zh) * 2008-10-31 2009-07-29 湖北开特汽车电子电器系统有限公司 用于汽车空调控制系统的双通道阳光传感器
CN201497121U (zh) * 2009-09-11 2010-06-02 湖北开特汽车电子电器系统有限公司 用于汽车空调控制系统的双通道阳光传感器
CN102573353A (zh) * 2010-12-31 2012-07-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壳体
CN202163275U (zh) * 2011-07-12 2012-03-14 湖北开特汽车电子电器系统股份有限公司 汽车空调控制系统用阳光传感器
CN103453343A (zh) * 2012-05-31 2013-12-18 全亿大科技(佛山)有限公司 发光二极管灯具
CN202869651U (zh) * 2012-10-11 2013-04-10 凯斯库汽车部件(苏州)有限公司 车载阳光传感器用光敏元件及车辆
CN202965888U (zh) * 2012-12-07 2013-06-05 云梦县迪普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空调的阳光强度传感器
CN103759822A (zh) * 2014-01-29 2014-04-30 江苏日盈电子股份有限公司 光敏元件及安装有该光敏元件的车载阳光传感器和车辆
CN204792806U (zh) * 2015-06-26 2015-11-18 可天士半导体(沈阳)有限公司 一种单通道阳光传感器光敏二极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1137A (ja) * 2006-01-26 2007-08-09 New Japan Radio Co Ltd 半導体光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591A (ko) 2018-08-22
US10792978B2 (en) 2020-10-06
CN108426638A (zh) 2018-08-21
US20180229579A1 (en)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1395B1 (en) Controlling a vehicle
KR101472020B1 (ko) 공기조화기
KR102298884B1 (ko) 차량용 일사 감지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갖는 공조 시스템
EP2388158B1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US20170036512A1 (en) System to prevent harm to children, pets or others left in unattended vehicles in hot weather
JP5449419B2 (ja) 防曇窓ユニット
US7024876B1 (en) Portable cooling unit
JPS6215365B2 (ko)
US20220032729A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US20170299237A1 (en) Solar-powered system
KR20110042884A (ko) 자동차 실내온도 조절시스템
KR20190066185A (ko) 차량용 독립 냉방장치
JP2001228543A (ja) 映像機器のハウジング
US20100189159A1 (en) Sensor f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in the cabin of a motor vehicle, climate control member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in the cabin of a motor vehicle
KR100905546B1 (ko) 차량 내부 온도제어장치
WO2020065285A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CN208247909U (zh) 汽车及车顶散热装置
KR101469774B1 (ko) 공기조화기
EP3224443B1 (en) Ventilation profile with ventilation device
SE468668B (sv) Arrangemang och saett foer ventilering av ett parkerat fordons kupeutrymme.
CN214164713U (zh) 新能源汽车调温防护装置
JP3312378B2 (ja) カーエアコン用日射センサ
JPH0696366B2 (ja) 自動車の日射センサ付空気調和装置
JPH05106903A (ja) 空気調和機
US20220032728A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