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794B1 -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 Google Patents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794B1
KR102298794B1 KR1020200070284A KR20200070284A KR102298794B1 KR 102298794 B1 KR102298794 B1 KR 102298794B1 KR 1020200070284 A KR1020200070284 A KR 1020200070284A KR 20200070284 A KR20200070284 A KR 20200070284A KR 102298794 B1 KR102298794 B1 KR 102298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rbyk
ink composition
inkjet ink
functional groups
acrylic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라타 엔도
전성제
김동수
오주석
김명석
Original Assignee
한국다이요잉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다이요잉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다이요잉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0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7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2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3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trialcohols, e.g.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1Inks specially adapted for printing processes involving curing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with UV-curing following the prin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점도의 특성을 유지하며, 밀착력과 표면 경도 모두가 우수한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3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 2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 (n:1~9) 를 포함하며,
조성물 전체 함량 중, 3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는 30~40 wt%, 2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는 30~40 wt%,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 (n:1~9)는 2~ 5 wt% 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UV CURABLE TYPE INK-JET INK COMPOSITION}
본 발명은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킹 잉크(Marking ink)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 로 지칭) 상에 전자 부품을 조립하기 전 인쇄 회로 기판 제조에서의 마지막 단계에 사용되는 것으로, 마킹 잉크는 부품 지정문(Component designator), 테스트 포인트(test points) 및 기타 회로 기판을 조립, 평가, 서비스하는데 도움을 주는 다른 특징들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마킹 잉크의 사용 분야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인쇄 회로 기판을 사용하는 모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PCB) 위에 인식용 문자나 기호를 나타내기 위하여 마킹 잉크를 인쇄하는 공정으로는 잉크젯을 이용한 마킹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며, 잉크젯 마킹 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밀착력 및 표면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잉크젯 잉크 조성물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잉크젯 잉크 조성물은, 밀착력과 표면 경도의 차이가 크게 나며, 양 물성 모두가 만족스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잉크젯 잉크의 특성상 저점도의 특성을 갖기 위해 다관능기(3개의 관능기 이상)의 모노머 혹은 폴리머의 사용이 제한되었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 10-2015-0050581 호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 10-2016-0044877 호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 10-2009-0084057 호
본 발명은, 다관능기(3개의 관능기 이상)의 모노머를 포함해도, 저점도의 특성을 유지하며, 밀착력과 표면 경도 모두가 우수한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 내었다.
(1) 3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 2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 (n:1~9) 를 포함하는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로서,
조성물 전체 함량 중, 3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는 30~40 wt%, 2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는 30~40 wt%,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 (n:1~9)는 2~5 wt% 로 포함하는,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2) 상기 3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인,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3) 상기 2 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는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인,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4) 상기 (1) 의 조성물에,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5) 조성물 전체 함량 중,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는 2~6 wt%, 및 상기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는 1~3wt% 로 포함하는,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6) 상기 (1) 의 조성물에, UV 광개시제, 착색제, 및 분산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7) 상기 UV 광개시제는 적어도 2 개의 광개시제의 조합을 포함하는,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8) 상기 착색제는 Si 및 Al 코팅된 루틸형 산화티탄 및 Si, Al 및 Zr 코팅된 루틸형 산화티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9) 상기 분산제는, DISPERBYK-111, DISPERBYK-110, DISPERBYK-118, DISPERBYK-140, DISPERBYK-142, DISPERBYK-163, DISPERBYK-2150, DISPERBYK-2200, DISPERBYK-2205, DISPERBYK-2163, DISPERBYK-2013, DISPERBYK-180, DISPERBYK-2155, DISPERBYK-2009, DISPERBYK-168, DISPERBYK-2164, DISPERBYK-2118, DISPERBYK-2008, DISPERBYK-9076, DISPERBYK-9077 및 DISPERBYK-205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10) 표면 경도가 6H 이상인,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본 발명의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은, 다관능기(3개의 관능기 이상)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저점도의 특성을 유지하며, 밀착력과 표면 경도 모두가 우수하다.
본 발명자들은, 잉크젯 마킹 방식에 적용 가능한 잉크젯 잉크 조성물로서, 저점도를 나타내면서, 밀착력 및 표면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은, 3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 2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 (n:1~9) 를 포함하고, 조성물 전체 함량 중, 3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는 30~40 wt%, 2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는 30~40 wt%,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 (n:1~9)는 2~5 wt% 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잉크젯 잉크 조성물은 EO(Ethylene Oxide)기가 치환된 아크릴레이트와 함께, 특정 아크릴 모노머들을 포함함으로써, 목적하는 효과에 이를 수 있으며, 종래 기술에서는 이와 같은 특정 아크릴 모노머들을 각각 30~40 wt% 포함하는 잉크젯 잉크 조성물을 찾아볼 수 없었다.
모노머
종래 다관능기(3개의 관능기 이상)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 가교밀도의 증가에 따라 내마모성이 향상되거나 도막의 경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나, 저점도를 나타내지 못하고, 또한 도막을 브리틀(brittle)하게 만들기 때문에 취성이 낮고 충격에 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3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와 2 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를 특정 함량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개선하였다.
본 발명의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은, 3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 및 2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고,
조성물 전체 함량 중, 3 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는 30~40 wt%, 2 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는 30~40 wt%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크릴 모노머'의 '아크릴'은, '(메타)아크릴' 또는 '아크릴' 둘 모두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3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
본 발명에는 3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를 조성물 전체 함량 중, 30~40 wt%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4 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가 사용될 경우, 분자 내 관능기수가 증가함에 따라, 조성물 전체의 점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또한 점도 증가에 따라 인쇄성 및 토출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바 장비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4 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는 사용하지 않는다.
3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의 예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실레이티드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이다.
또한, 3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는 30~40 wt%, 바람직하게는 33~37 wt%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저점도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유리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밀착력, 표면 경도, 점도 및 내용제성 면에서 불리하다.
(2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
본 발명에는 2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를 조성물 전체 함량 중, 30~40 wt%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는 도막의 기본적인 골격을 이룰 수 있으므로, 2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가 나타내는 물성은 도막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저점도를 나타내면서, 향상된 밀착력과 표면 경도를 나타내기 위한 모노머로서, 2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는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3-메틸펜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이다.
2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가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경우, 우수한 표면 경도를 나타내며, 반응성이 빠르기 때문에 잉크젯 잉크 조성물로 사용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2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는 30~40 wt%, 바람직하게는 33~37 wt%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의 경우, 저점도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유리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밀착력, 표면 경도 및 점도 면에서 불리하다.
(추가적인 모노머)
본 발명은, 상기 3 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 및 2 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에 더하여, 추가적인 모노머를 단독 또는 2 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모노머는, 3 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 및 2 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로 예시된 화합물일 수 있고, 추가적인 모노머는 조성물 전체 함량 중, 1~9 wt%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2 종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성물 전체 함량 중,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는 2~6 wt%,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는 1~3 wt% 포함하는 것이 저점도를 나타내고, 밀착력과 표면 경도 모두를 우수하게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
본 발명의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아크릴 모노머로서, EO 는 에틸렌 옥사이드이며, n (유닛수) 은 1~9 의 정수를 나타낸다.
조성물에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도막에 유연성이 부여되기 때문에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고, 내마모성, 내용제성 및 도막의 경도를 유지 및 향상될 수 있다.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의 n 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크게 상승하게 되어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이 저하되고, 인쇄성 및 토출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바, 잉크젯 잉크 조성물로서의 사용이 어렵다. 이에, 상기 n 은 바람직하게는 1~7,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인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의 시판품으로서는, 에톡시화(3)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6)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9)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또한,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는 2~5 wt%, 바람직하게는 3~5 wt%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밀착력, 표면 경도 및 점도 면에서 불리하며, 특히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 면에서 불리하다.
본 발명에서,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의 점도는, 실온 (약 20~25℃) 에서 40~300 cps 이고, 바람직하게는 40~200cps, 더욱 바람직하게는 40~80 cps 이며,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Tg)는 50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의 분자량 Mw 는 1000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Mw 는 500미만이다.
본 발명에서,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의 점도, 유리전이온도 및 분자량 각각의 범위가 상기 제시된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밀착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잉크젯 인쇄시 헤드의 막힘이 발생하지 않아 잉크젯 잉크 조성물로서의 사용이 용이하다.
그 외
본 발명에서,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은 UV 광개시제, 착색제, 및 분산제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에 포함되는 UV 광개시제는 벤조인과 그 알킬에테르류, 아세토페논류, 안트라퀴논류, 티오크산톤류, 케탈류, 벤조페논류, α-아미노아세토페논류, 아실포스핀옥사이드류 또는 옥심에스테르류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비아세틸, 벤조인, 벤질,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 아이소프로필에테르,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1,1-디클로로아세토페논,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페놀케톤, p-아이소프로필-α-하이드록시아이소부틸페논, N,N-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 에틸-p-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1-클로로안트라퀴논, 2-아밀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4-디메틸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아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벤질디메틸케탈, 벤조페논, 메틸 벤조페논, 트리메틸 벤조페논(TZT), 4-벤조일 4'-메틸디페닐 술피드, 4,4'-디클로로벤조페논, 디에틸티오잔톤(DETX), 2-아이소프로필티오잔톤(ITX),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온-1(IRGACURE907),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몰포리노페닐)-부탄온-1(IRGACURE 369), 2-디메틸아미노-2-(4-메틸벤질)-1-(4-몰포리닐페닐)-부탄온-1(IRGACURE 379),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IRGACURE 819),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TPO), 비스(에타 5-2,4-사이클로펜타디엔-1-일)비스[2,6-디플루오로 -3-(1H-피롤-1-일)페닐]티타니움, 2-히드록시-1-{1-[4-(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페닐]-1,3,3-트리메틸-인단-5-일}-2-메틸-프로판-1-온 (ESACURE ONE), 1-프로파논, 1-[4-[(4-벤조일페닐)티오]페닐]-2-메틸-2-[(4-메틸페닐)설포닐] (ESACURE 1001M), 비스-N,N-[4- 디메틸아미노벤조일)옥시에틸렌-l-일]-메틸아민(ESACURE A198)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UV 광개시제는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광개시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에 포함되는 착색제는 루틸형 산화티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루틸형 산화티탄 착색제로서 Al 및 Si 에 의해 표면 처리된(코팅된) 루틸형 산화티탄 또는 Si, Al 및 Zr 에 의해 표면 처리된(코팅된) 루틸형 산화티탄을 포함할 수 있고, Al 및 Si 에 의해 표면 처리된(코팅된) 루틸형 산화티탄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에 포함되는 분산제는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착색제의 분산 안정화에 적합하다는 면에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BYK 사의 DISPERBYK-111, DISPERBYK-110, DISPERBYK-118, DISPERBYK-140, DISPERBYK-142, DISPERBYK-163, DISPERBYK-2150, DISPERBYK-2200, DISPERBYK-2205, DISPERBYK-2163, DISPERBYK-2013, DISPERBYK-180, DISPERBYK-2155, DISPERBYK-2009, DISPERBYK-168, DISPERBYK-2164, DISPERBYK-2118, DISPERBYK-2008, DISPERBYK-9076, DISPERBYK-9077 및 DISPERBYK-2055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본 발명의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이란 UV 조사 공정을 거쳐, 경화될 수 있는 잉크젯 잉크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은, 저점도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연필 경도가 6H 이상인 우수한 표면 경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난 함량으로 반응물을 교반기를 이용하여 2,000 rpm의 속도로 45 ℃ 에서 1.5시간 동안 혼합 후 안료 및 분산제를 추가하여 입경이 0.2㎛인 지르코니아 비드를 사용하여 3시간 동안 분산시켰다. 이후, 1 ㎛의 필터로 여과하여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마킹잉크 기판 제조
잉크젯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압전방식(piezoelectric type)의 프린트헤드에 적용하여 포토 솔더 레지스트 (PSR)가 도포되어 있는 회로 형성 인쇄 배선판 1.6T FR-4(150mm x 95 mm)상에 도포하였다. 그리고, 인쇄 배선판 상에 도포된 마킹잉크 용액에 대하여 UV LED 램프를 이용하여 150mJ/cm2로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광경화를 진행하였다. 상기 광경화 이후, 열풍 순환식 건조로에서 150 ℃ 온도에서 60분간 열경화를 진행하여 마킹잉크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20059690409-pat00001
1) 3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
2) 2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
3)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 (n:1~9)
4) 추가적인 아크릴 모노머
5) UV 광개시제
6) 착색제
7) 분산제
평가항목 1 : 연필 경도
각 시험편에 코어의 끝이 평평하게 되도록 깎은 B 내지 9H의 연필을 약 45° 의 각도로 압박하여, 도막의 박리가 생기지 않는 연필의 경도를 기록하였다.
평가항목 2 : 밀착성
경화된 조성물 표면을 1mm 폭으로 칼을 이용하여 30°의 각도로 표면에 형태의 눈금을 100개(10X10)를 만들어서, 점착테이프로 밀착시킨 후 순간적으로 떼어낸다. 떼어낸 후 떨어진 눈금이 없으면 PASS로 하며, 떨어진 눈금이 있으면 NG로 한다.
Figure 112020059690409-pat00002
: PASS,
Figure 112020059690409-pat00003
,
Figure 112020059690409-pat00004
: NG
평가항목 3 : 표면 경화성
경화된 조성물 표면을 알코올로 적신 하얀 천을 이용하여 문지른 후 하얀 천에 잉크 묻어남 정도를 판별하였고, 또한 경화된 조성물 표면을 손으로 만졌을 때, 손 지문의 전사 유무를 가지고 판정하였다.
◎ : 손 지문의 전사는 없으며, 잉크 묻어남도 전혀 없음.
○ : 손 지문의 전사는 없으나, 잉크 묻어남이 조금 관찰 됨.
△ : 손 지문의 전사가 있으며, 잉크 묻어남이 조금 관찰 됨.
X : 손 지문의 전사가 있으며, 잉크 지워짐이 발생 됨.
평가항목 4 : 내용제성
경화된 조성물을 폴리 메틸 아크릴레이트(PMA)용액에 상온 30분동안 담지 한 후 하얀 천으로 문질러 잉크 묻어남 정도를 판별하였다,
◎ : 잉크 묻어남도 전혀 없음.
○ : 잉크 묻어남이 조금 관찰 됨.
△ : 잉크 묻어남이 조금 관찰 되며, 부분적으로 지워짐.
X : 잉크 지워짐이 발생 됨.
평가항목 5 : 점도
잉크의 점도 범위
8 cps 미만 : NG
8~15 cps : PASS
15 cps 초과 : NG
상기 평가항목 1 내지 5까지의 측정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59690409-pat00005
상기 [표 2] 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조성물은 저점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연필경도가 6H 로서, 비교예 1 내지 13 의 조성물에 비하여 표면 경도면에서 우수하며, 밀착력, 표면 경화성 및 내용제성이 우수한 물성을 나타낸다.

Claims (10)

  1. 3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 2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 (n:1~9) 를 포함하는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로서,
    조성물 전체 함량 중, 3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는 30~40 wt%, 2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는 30~40 wt%, 트리메틸올프로판 (EO)n 트리아크릴레이트 (n:1~9)는 2~5 wt% 로 포함하는,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3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인,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2 개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는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인,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 함량 중,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는 2~6 wt%,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는 1~3wt% 로 포함하는,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UV 광개시제, 착색제, 및 분산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UV 광개시제는 적어도 2 개의 광개시제의 조합을 포함하는,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착색제는 Si 및 Al 코팅된 루틸형 산화티탄 및 Si, Al 및 Zr 코팅된 루틸형 산화티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9. 제 6 항에 있어서, 분산제로서 DISPERBYK-111, DISPERBYK-110, DISPERBYK-118, DISPERBYK-140, DISPERBYK-142, DISPERBYK-163, DISPERBYK-2150, DISPERBYK-2200, DISPERBYK-2205, DISPERBYK-2163, DISPERBYK-2013, DISPERBYK-180, DISPERBYK-2155, DISPERBYK-2009, DISPERBYK-168, DISPERBYK-2164, DISPERBYK-2118, DISPERBYK-2008, DISPERBYK-9076, DISPERBYK-9077 및 DISPERBYK-205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 경도가 6H 이상인,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KR1020200070284A 2020-06-10 2020-06-10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KR102298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284A KR102298794B1 (ko) 2020-06-10 2020-06-10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284A KR102298794B1 (ko) 2020-06-10 2020-06-10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794B1 true KR102298794B1 (ko) 2021-09-07

Family

ID=7779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284A KR102298794B1 (ko) 2020-06-10 2020-06-10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7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04044A (zh) * 2023-01-04 2023-04-25 广东希贵光固化材料有限公司 一种脲醛树脂层压板用uv涂料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1033A (ko) * 2003-06-14 2004-12-31 정경원 자외선 경화성 하드코팅제 조성물
KR20070094066A (ko) * 2006-03-16 2007-09-2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Semi-IPN 구조 형성에 의한 UV 경화형 아크릴점착제 점착물성 개선방법 및 이에 의한 UV 경화형아크릴 점착제
KR20090084057A (ko) 2008-01-31 2009-08-05 한국다이요잉크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의 잉크젯 마킹용 잉크 조성물과인쇄회로기판의 잉크젯 마킹용 잉크 제조방법 및 마킹방법
KR20150037615A (ko) * 2013-09-30 2015-04-08 다이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프린트 배선판용 백색 경화형 조성물, 이것을 사용한 경화 도막 및 프린트 배선판
KR20150050581A (ko) 2012-10-24 2015-05-08 아그파-게바에르트 엔.브이. 복사선 경화성 잉크젯 잉크
KR20160044877A (ko) 2014-10-16 2016-04-26 한국다이요잉크 주식회사 잉크젯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솔더레지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5647A (ko) * 2016-07-11 2016-08-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형 하드코팅 도료 조성물
KR20170129435A (ko) * 2016-05-17 2017-11-27 마이크로크래프트코리아 주식회사 잉크젯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 배선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1033A (ko) * 2003-06-14 2004-12-31 정경원 자외선 경화성 하드코팅제 조성물
KR20070094066A (ko) * 2006-03-16 2007-09-2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Semi-IPN 구조 형성에 의한 UV 경화형 아크릴점착제 점착물성 개선방법 및 이에 의한 UV 경화형아크릴 점착제
KR20090084057A (ko) 2008-01-31 2009-08-05 한국다이요잉크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의 잉크젯 마킹용 잉크 조성물과인쇄회로기판의 잉크젯 마킹용 잉크 제조방법 및 마킹방법
KR20150050581A (ko) 2012-10-24 2015-05-08 아그파-게바에르트 엔.브이. 복사선 경화성 잉크젯 잉크
KR20150037615A (ko) * 2013-09-30 2015-04-08 다이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프린트 배선판용 백색 경화형 조성물, 이것을 사용한 경화 도막 및 프린트 배선판
KR20160044877A (ko) 2014-10-16 2016-04-26 한국다이요잉크 주식회사 잉크젯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솔더레지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29435A (ko) * 2016-05-17 2017-11-27 마이크로크래프트코리아 주식회사 잉크젯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 배선판
KR20160095647A (ko) * 2016-07-11 2016-08-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형 하드코팅 도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04044A (zh) * 2023-01-04 2023-04-25 广东希贵光固化材料有限公司 一种脲醛树脂层压板用uv涂料
CN116004044B (zh) * 2023-01-04 2023-10-20 广东希贵光固化材料有限公司 一种脲醛树脂层压板用uv涂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7302B2 (en) Printing ink
US20070112094A1 (en) Printing ink
JP5111039B2 (ja) 重合性化合物、重合開始剤、および染料を含有する光硬化性組成物
JP7206055B2 (ja) 光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インク組成物
JP2009114290A (ja) 光硬化性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組成物、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7160549B2 (ja) 光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インク組成物
JP5786350B2 (ja) 紫外線硬化型インク組成物
JPWO2006075654A1 (ja) インクジェット用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
JP2010209183A (ja) インク組成物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09040880A (ja) 光硬化型インク組成物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物
JP2011213934A (ja) 放射線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インク組成物
US20060098064A1 (en) Printing ink for ink-jet printing
KR102298794B1 (ko) Uv 경화형 잉크젯 잉크 조성물
WO2012132423A1 (ja) インクジェット用光硬化性熱硬化性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
WO2008093071A1 (en) A printing ink
JP2011122063A (ja) 紫外線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インキおよび印刷物
US11098211B2 (en) Photocurable inkjet primer ink composition, inkjet ink set and inkjet recording method
WO2008156523A1 (en) Uv inkjet resist
KR102191705B1 (ko) Uv led 경화형 잉크 조성물
JP7186508B2 (ja) モデル材用組成物
JP6952859B1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組成物
JP5994913B2 (ja) 紫外線硬化型インク組成物
JP6075429B2 (ja) 紫外線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組成物
KR20200043202A (ko) 잉크젯용 잉크 조성물
KR102273963B1 (ko) 경화성 잉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