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887B1 -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 및 마감패널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 및 마감패널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887B1
KR102296887B1 KR1020190031603A KR20190031603A KR102296887B1 KR 102296887 B1 KR102296887 B1 KR 102296887B1 KR 1020190031603 A KR1020190031603 A KR 1020190031603A KR 20190031603 A KR20190031603 A KR 20190031603A KR 102296887 B1 KR102296887 B1 KR 102296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iner
finishing
finishing pane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935A (ko
Inventor
이승원
이회랑
Original Assignee
네오비엠(주)
이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비엠(주), 이승원 filed Critical 네오비엠(주)
Priority to KR1020190031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887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uperposed elements which overlap each other and of which the flat outer surface includes an acute angle with the surface to cov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1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to finish off an edge or corner of a wall or floor covering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 및 마감패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전방패널과 후방패널 사이에 중심 보강층이 적층되어 3층으로 형성되며, 일측과 타측에 각각 요부형 인너 끼움부와 철부형 아우터 끼움부가 형성된 마감패널이 고정 라이너 끼움단계를 통해 끼워진 후 고정핀에 의하여 외벽에 고정되는 마감패널 고정단계; 및 다른 마감패널 안착 고정단계의 반복을 통해 외벽에 마감패널이 덮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표면에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라인이 구비되도록 하여 심플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중심 보강층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일정한 폭의 줄눈이 세로로 형성되어 우천시 줄눈을 통해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 및 마감패널 시공방법{FINISHING PANEL JOINT STRUCTURE AND FINISHING PANEL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STRUCTURE}
이 건 발명은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 및 마감패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3층으로 적층된 패널몸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인너 끼움부와 아우터 끼움부가 구비되어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가운데 가로방향으로 결합된 상하부에 각각 리어 끼움부와 프론트 끼움부를 갖는 고정 라이너가 끼워져 고정핀으로 벽체에 고정되는 과정의 반복을 통하여 건축 구조물의 표면에 마감패널이 덮혀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외부 마감재로 석재, 목재 등의 자연소재를 이용한 타일이나 판재,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동, 티타늄 등을 이용한 복합패널이 사용되며, 근래에는 친환경적인 소재인 황토 등의 유기물질 및 세라믹 등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석재, 목재 등의 자연소재를 이용한 외장재는 자연미가 돋보이기는 하나, 강도가 약하며 무게 때문에 건축구조물에 부하가 걸리는 한편 진동에 의하여 타일이나 판재가 떨어질 우려가 있고,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일반 강판으로도 외장 패널을 제조 및 사용하고 있는데, 일반 강판은 내식성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외장성이 떨어지는 한계를 가지므로, 별도의 분체도장 및 필름을 부착하여 내식성 및 외장성을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별도의 시공 공정이 추가되어 작업 효율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동, 스테인레스, 알루미늄과 같은 내식성 및 외장성이 우수한 소재를 이용하여 외장 패널을 제조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소재 자체가 매우 고가여서 원가 측면에서 고급 주택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될 뿐, 광범위하게 사용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1407544호(2014.06.03)의 평잇기용 마감패널이 제안되어 광범위하게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로 개재되는 보강패널에 의하여 두께를 얇게 하지 못하는 원인이 있었고, 하나의 마감패널에 좌우측의 다른 마감패널이 겹쳐지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클립을 준비하고, 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작업시간이 더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2128호(2017.01.06)의 아트패널 설치구조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아트패널 설치구조는 단위아트패널의 단부가 가로방향으로 반복되게 걸려지도록 배열된 상부전면에 받침부재가 구비되고, 받침부재와 단위아트패널이 고정핀에 의하여 고정되어지도록 하여 별도의 클립 없이도 시공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흡음성, 단열성, 외부 소음 차단 및 진동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으나, 단위아트패널을 구성하는 전면패널부재의 배면에 후면패널부재가 합성수지층에 의하여 부착된 상태에서 전후면 패널에 각각 일측 걸림편과 타측걸림편이 단순하게 절곡되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시공 후 걸려진 부분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합성수지층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우천시 빗물이 걸림편 사이를 통해 내부로 누수되는 가운데 단위아트패널의 전면과 받침부재의 표면을 통해 흘러 내리게 됨에 따라 얼룩이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2128호(2017.01.06)
이 건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표면에 마감패널 덮혀지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라인이 구비되도록 하여 심플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중심 보강층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하여 시공 후 전방패널과 후방패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일정한 폭의 줄눈이 세로로 형성되어 우천시 줄눈을 통해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외벽(W)에 사각판 형태의 마감패널(10)이 고정 라이너(20)에 고정되는 것을 반복하여 덮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마감패널(10)의 패널몸체(100)는 전방패널(110)과 후방패널(120) 사이에 중심 보강층(130)이 적층되어 3층으로 형성되어지는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10)의 패널몸체(100) 일측에는 요부형 인너 끼움부(14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철부형 아우터 끼움부(15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패널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요부형 인너 끼움부(140)는 상기 패널몸체(100)의 전방패널(110)이 상기 중심 보강층(130)과 후방패널(120)을 감싸면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후방패널(120)의 후방 내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외측으로 ⊃형으로 절곡되어 인너 끼움홈(141)과 외측 연장편(142)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 연장편(142)의 외측 단부에는 탄성 단턱부(143)가 절곡되어 형상되고, 상기 패널몸체(100)의 타측에 형성된 철부형 아우터 끼움부(150)는 상기 패널몸체(100)의 전방패널(110)이 상기 중심 보강층(130)과 후방패널(120)을 감싸면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후방패널(120)과 단턱진 돌출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51)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수평 절곡되어 아우터 끼움편(15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패널(10)의 패널몸체(100)는 불연알루미늄적층패널(CP;Non Combustible Aluminium Composite Panel)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전방패널(110)과 후방패널(120)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중심 보강층(130)은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요부형 인너 끼움부(140)와 철부형 아우터 끼움부(150)의 결합부에 상기 고정 라이너(20)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라이너(20)는 라이너 몸체(200) 상단, 후방에 상기 마감패널(10)의 상부가 끼워지는 리어 끼움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라이너 몸체(200) 하단, 전방에는 또 다른 마감패널(10)의 하부가 안착되어지는 프론트 끼움부(22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리어 끼움부(210)는 라이너 몸체(200) 상단부가 후방으로 절곡되고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패널 걸림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끼움부(220)는 라이너 몸체(200) 하단부가 전방으로 절곡되고 다시 상방으로 절곡되어 패널 안착부(221)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 라이너(20)의 상단, 후방에 형성된 리어 끼움부(210)에 상기 마감패널(10)의 패널몸체(100) 상단부가 끼워져 다수의 고정핀(P)에 의하여 상기 건축 구조물의 외벽(W)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라이너(20)의 하단, 전방에 형성된 프론트 끼움부(220)에는 또 다른 마감패널(10)의 패널몸체(100) 하단부가 안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건축 구조물의 외벽(W)에 마감패널(10)이 고정 라이너(20)에 고정되는 것을 반복하여 덮혀지도록 구비된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 라이너(20)의 라이너 몸체(200) 상단, 후방에 구비된 패널 걸림부(211)에 상기 마감패널(10)의 상부가 끼워져 걸려지도록 하는 고정 라이너 끼움단계(S100)와; 상기 고정 라이너(20)의 라이너 몸체(200) 상단, 후방에 구비된 패널 걸림부(211)에 상기 마감패널(10)의 상부가 끼워져 상기 고정 라이너(20) 및 마감패널(10)의 상부가 고정핀(P)에 의하여 외벽(W)에 고정되는 마감패널 고정단계(S200); 및 상기 고정 라이너(20)의 라이너 몸체(200) 하단에 구비된 패널 안착부(221)에 다른 마감패널(10)의 하부가 끼워져 안착된 후 상기 다른 마감패널(10)의 상부가 다른 고정 라이너(20)의 라이너 몸체(200) 상단, 후방에 구비된 패널 걸림부(211)에 끼워져 고정핀(P)에 의하여 외벽(W)에 고정되는 다른 마감패널 안착 고정단계(S30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라이너 끼움단계(S100), 다른 마감패널 안착 고정단계(S300)에서 일측의 마감패널(10)에 구비된 요부형 인너 끼움부(140)의 인너 끼움홈(141)에 후방패널(120)과 단턱진 돌출부(151)가 형성된 철부형 아우터 끼움부(150)의 아우터 끼움편(152)이 끼워지되, 상기 요부형 인너 끼움부(140)와 철부형 아우터 끼움부(150)가 겹쳐지는 부분의 하부로 고정 라이너(20)의 단부가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3층으로 적층된 패널몸체의 일측과 타측에 중심 보강층을 감싸는 형태를 갖는 각각의 인너 끼움부와 아우터 끼움부가 구비되어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높은 평활도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중심 보강층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하여 시공 후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변형 내지는 파손을 방지하여 수명이 더 연장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패널몸체 사이에 틈새가 없어지도록 하여 우천시 내부로 빗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가로방향으로 결합된 상하부에 각각 리어 끼움부와 프론트 끼움부를 갖는 고정 라이너가 끼워져 고정핀으로 벽체에 고정됨으로써,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라인이 구비되도록 하여 심플한 느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일정한 폭의 줄눈이 세로로 형성되어짐으로써, 줄눈을 통해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빗물로 인한 얼룩거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이 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이 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는 시공 후 외부의 충격에 충분하게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변형 내지는 파손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높은 평활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우천시 빗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얼룩거림 현상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빗물이 한 곳으로 모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 구조물의 외벽(W)에 사각판 형태의 마감패널(10)이 고정 라이너(20)에 의하여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반복하여 덮혀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마감패널(10)은 정사각 또는 직사각의 높은 평활도과 유지될 수 있는 패널몸체(100)로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패널몸체(100)는 전방패널(110)과 후방패널(120) 사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중심 보강층(130)이 적층되어 3겹 또는 3층을 갖도록 형성되어 높은 평활도 이외에 흡음성, 단열성, 외부 소음 차단 및 진동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패널몸체(100)는 불연알루미늄적층패널(CP;Non Combustible Aluminium Composite Panel)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전방패널(110)과 후방패널(120)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지고, 중심 보강층(130)은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몸체(100)의 일측에는 인너 끼움부(14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아우터 끼움부(150)가 형성되어 각각의 인너 끼움부(140)에 아우터 끼움부(150)가 끼워지도록 결합되어짐으로써, 건축 구조물의 외벽(W)에 가로 방향으로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누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요부형 인너 끼움부(140)는 패널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패널몸체(100)의 전방패널(110)이 상기 중심 보강층(130)을 감싸면서 후방으로 절곡되어지고, 상기 후방패널(120)의 후방 내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외측으로 ⊃형으로 절곡되어 인너 끼움홈(141)과 외측 연장편(142)이 형성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인너 끼움부(140)의 외측 연장편(142) 외측 단부에는 전방으로 절곡되어 외측으로 절곡된 탄성 단턱부(143)가 형성되어짐으로써, 이웃하는 패널몸체(100)의 타측에 형성된 아우터 끼움부(150)가 축방향으로 끼워질 때 상기 탄성 단턱부(143)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틈새가 없이 고정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철부형 아우터 끼움부(150)는 상기 패널몸체(100)의 타측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패널몸체(100)의 전방패널(110)이 상기 중심 보강층(130)을 감싸면서 후방으로 절곡된 돌출부(151)가 형성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후방패널(120)의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돌출부(151)가 형성되어짐으로써, 상기 패널몸체(100)의 중심 보강층(130)을 보호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변형 내지는 파손되는 것을 막아 수명이 연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돌출부(151)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수평 절곡되어 아우터 끼움편(152)이 형성되어 상기 인너 끼움홈(141)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요부형 인너 끼움부(140)와 철부형 아우터 끼움부(150)가 결합되어지는 결합부에는 상기 고정 라이너(20)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패널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요부형 인너 끼움부(140)와 상기 패널몸체(100)의 타측에 형성된 철부형 아우터 끼움부(150)는 일정한 폭의 줄눈이 세로로 형성되어짐으로써, 내구성 확보와 미감을 더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줄눈을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흘러내리는 빗물이 고정 라이더(20)의 단부를 통해 하부로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 라이너(20)는 패널몸체(100)의 상부와 하부가 외벽(W)의 표면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하는 가운데 하부로 위치된 패널몸체(100)의 상부에 상부로 위치된 패널몸체(100)의 하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겹쳐지도록 한 것으로 박판형태를 갖는 라이너 몸체(200)의 상단, 후방에 리어 끼움부(210)가 형성되며, 하단, 전방에 프론트 끼움부(220)가 형성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 라이너(20)의 상단, 후방에 형성된 리어 끼움부(210)에는 상기 마감패널(10)의 패널몸체(100) 상단부가 끼워져 다수의 고정핀(P)에 의하여 상기 건축 구조물의 외벽(W)에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 라이너(20)의 하단, 전방에 형성된 프론트 끼움부(220)에는 또 다른 마감패널(10)의 패널몸체(100) 하단부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리어 끼움부(210)는 고정 라이너(20)의 상단, 후방에 형성된 것으로 라이너 몸체(200) 상단부가 후방으로 절곡되고,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패널 걸림부(211)가 형성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끼움부(220)는 고정 라이너(20)의 하단, 전방에 형성된 것으로 라이너 몸체(200) 하단부가 전방으로 절곡되고 다시 상방으로 절곡되어 패널 안착부(221)가 형성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 건 발명에서 상기 고정 라이너(20)의 수평방향 길이(L)는 마감패널(10)의 가로폭(L')에 2배, 3배, 4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나의 고정 라이너(20)의 다수개의 마감패널(10)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을 높이는 가운데 전체적으로 균일한 평활도를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건 발명에서 상기 하나의 고정 라이너(20)에 다수개의 마감패널(10)이 끼워진 형태를 갖도록 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고정라이너(20)의 단부는 반드시 마감패널(10)이 결합되어지는 하부의 수평방향 이음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건 발명에서는 마감패널(10)이 끼워지는 고정 라이너(20)의 단부가 서로 맞대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2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고정 라이너(20)의 단부와 타측의 고정 라이너(20)가 맞대어지는 상부측 전방으로 프론트 끼움부(220)가 제거된 형태를 갖는 별도의 브라켓(BK)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맞대어지는 부분의 결합력 내지는 강도를 높여 국부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이 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이 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10)은 건축 구조물의 외벽(W)에 마감패널(10)이 고정 라이너(20)에 고정되는 것을 반복하여 덮혀지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마감패널의 시공 과정은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고정 라이너 끼움단계(S100)로 고정 라이너(20)의 라이너 몸체(200)에 구비된 패널 걸림부(211)에 상기 마감패널(10)의 상부가 끼워져 걸려지도록 한 후 상기 고정 라이너(20)의 라이너 몸체(200)와 마감패널(10)이 관통되는 고정핀(P)에 의하여 외벽(W)에 고정되어지도록 한다(마감패널 고정단계(S200)).
상기 일측의 마감패널(10)에 구비된 요부형 인너 끼움부(140)의 인너 끼움홈(141)에 철부형 아우터 끼움부(150)의 아우터 끼움편(152)이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요부형 인너 끼움부(140)와 철부형 아우터 끼움부(150)가 겹쳐지는 부분의 하부로 고정 라이너(20)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핀(P)은 약 40~50Cm의 간격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다른 마감패널 안착 고정단계(S300)로 상기 고정 라이너(20)의 라이너 몸체(200) 하단에 구비된 패널 안착부(221)에 다른 고정 라이너(20)가 상부에 끼워진 다른 마감패널(10)의 하부가 끼워져 안착된 후 고정핀(P)에 의하여 외벽(W)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일측의 마감패널(10)에 구비된 요부형 인너 끼움부(140)의 인너 끼움홈(141)에 철부형 아우터 끼움부(150)의 아우터 끼움편(152)이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요부형 인너 끼움부(140)와 철부형 아우터 끼움부(150)가 겹쳐지는 부분의 하부로 고정 라이너(20)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한다.
10:마감패널 20:고정 라이너
100:패널몸체 110:전방패널
120:후방패널 130:중심 보강층
140:요부형 인너 끼움부 150: 철부형 아우터 끼움부
210:리어 끼움부 220:프론트 끼움부
S100:고정 라이너 끼움단계 S200:마감패널 고정단계
S300:다른 마감패널 안착 고정단계

Claims (7)

  1. 건축 구조물의 외벽(W)에 사각판 형태의 마감패널(10)이 고정 라이너(20)에 고정되는 것을 반복하여 덮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마감패널(10)의 패널몸체(100)는 전방패널(110)과 후방패널(120) 사이에 중심 보강층(130)이 적층되어 3층으로 형성되어지는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10)의 패널몸체(100) 일측에는 요부형 인너 끼움부(14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철부형 아우터 끼움부(15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패널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요부형 인너 끼움부(140)는 상기 패널몸체(100)의 전방패널(110)이 상기 중심 보강층(130)과 후방패널(120)을 감싸면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후방패널(120)의 후방 내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외측으로 ⊃형으로 절곡되어 인너 끼움홈(141)과 외측 연장편(142)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 연장편(142)의 외측 단부에는 탄성 단턱부(143)가 절곡되어 형상되고, 상기 패널몸체(100)의 타측에 형성된 철부형 아우터 끼움부(150)는 상기 패널몸체(100)의 전방패널(110)이 상기 중심 보강층(130)과 후방패널(120)을 감싸면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후방패널(120)과 단턱진 돌출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51)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수평 절곡되어 아우터 끼움편(15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라이너(20)는 라이너 몸체(200) 상단, 후방에 상기 마감패널(10)의 상부가 끼워지는 리어 끼움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라이너 몸체(200) 하단, 전방에는 또 다른 마감패널(10)의 하부가 안착되어지는 프론트 끼움부(22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리어 끼움부(210)는 라이너 몸체(200) 상단부가 후방으로 절곡되고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패널 걸림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끼움부(220)는 라이너 몸체(200) 하단부가 전방으로 절곡되고 다시 상방으로 절곡되어 패널 안착부(221)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 라이너(20)의 상단, 후방에 형성된 리어 끼움부(210)에 상기 마감패널(10)의 패널몸체(100) 상단부가 끼워져 다수의 고정핀(P)에 의하여 상기 건축 구조물의 외벽(W)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라이너(20)의 하단, 전방에 형성된 프론트 끼움부(220)에는 또 다른 마감패널(10)의 패널몸체(100) 하단부가 안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10)의 패널몸체(100)는 불연알루미늄적층패널(CP;Non Combustible Aluminium Composite Panel)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전방패널(110)과 후방패널(120)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중심 보강층(130)은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형 인너 끼움부(140)와 철부형 아우터 끼움부(150)의 결합부에 상기 고정 라이너(20)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
  5. 삭제
  6. 건축 구조물의 외벽(W)에 마감패널(10)이 고정 라이너(20)에 고정되는 것을 반복하여 덮혀지도록 구비된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 라이너(20)의 라이너 몸체(200) 상단, 후방에 구비된 패널 걸림부(211)에 상기 마감패널(10)의 상부가 끼워져 걸려지도록 하는 고정 라이너 끼움단계(S100)와;
    상기 고정 라이너(20)의 라이너 몸체(200) 상단, 후방에 구비된 패널 걸림부(211)에 상기 마감패널(10)의 상부가 끼워져 상기 고정 라이너(20) 및 마감패널(10)의 상부가 고정핀(P)에 의하여 외벽(W)에 고정되는 마감패널 고정단계(S200); 및
    상기 고정 라이너(20)의 라이너 몸체(200) 하단에 구비된 패널 안착부(221)에 다른 마감패널(10)의 하부가 끼워져 안착된 후 상기 다른 마감패널(10)의 상부가 다른 고정 라이너(20)의 라이너 몸체(200) 상단, 후방에 구비된 패널 걸림부(211)에 끼워져 고정핀(P)에 의하여 외벽(W)에 고정되는 다른 마감패널 안착 고정단계(S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 라이너 끼움단계(S100), 다른 마감패널 안착 고정단계(S300)에서 일측의 마감패널(10)에 구비된 요부형 인너 끼움부(140)의 인너 끼움홈(141)에 후방패널(120)과 단턱진 돌출부(151)가 형성된 철부형 아우터 끼움부(150)의 아우터 끼움편(152)이 끼워지되, 상기 요부형 인너 끼움부(140)와 철부형 아우터 끼움부(150)가 겹쳐지는 부분의 하부로 고정 라이너(20)의 단부가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시공방법.
  7. 삭제
KR1020190031603A 2019-03-20 2019-03-20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 및 마감패널 시공방법 KR102296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03A KR102296887B1 (ko) 2019-03-20 2019-03-20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 및 마감패널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03A KR102296887B1 (ko) 2019-03-20 2019-03-20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 및 마감패널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935A KR20200111935A (ko) 2020-10-05
KR102296887B1 true KR102296887B1 (ko) 2021-09-02

Family

ID=72808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603A KR102296887B1 (ko) 2019-03-20 2019-03-20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 및 마감패널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8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466A (ja) * 1999-07-09 2001-01-23 Ig Tech Res Inc 外装材の取付構造
KR101466214B1 (ko) * 2014-02-25 2014-11-28 우정특수기업 주식회사 복합아트패널 제조방법
KR101830848B1 (ko) * 2015-06-29 2018-02-22 이승원 아트패널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7801A (ko) * 2008-12-29 2010-07-08 주신기업(주)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466A (ja) * 1999-07-09 2001-01-23 Ig Tech Res Inc 外装材の取付構造
KR101466214B1 (ko) * 2014-02-25 2014-11-28 우정특수기업 주식회사 복합아트패널 제조방법
KR101830848B1 (ko) * 2015-06-29 2018-02-22 이승원 아트패널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935A (ko)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87878A1 (en) Structural composite hybrid beam(schb) consisting of cold-formed steel and cast-in-place concrete having attached fire-resistant coating material and constructing method of the schb
JP2021513622A (ja) 断熱材に結合される少なくとも1つの硬化セメント質層を備えたプレハブ断熱建築用パネル
CN105822009A (zh) 混凝土保温复合构件板、外墙围护结构及装配方法
JP4711971B2 (ja) 複合構成部材および複合構成部材を製造する方法
EP2295665A1 (en) Composite panel for civil, industrial and residential building, particularly for curtain walls, floor slabs and roofing panels in prefabricated buildings
KR100793511B1 (ko) 건축용 단열 복합패널
JP5695938B2 (ja) 防音パネル
KR102265305B1 (ko) 데크 마감용 몰딩
US8863454B2 (en) Pultruded part for use as a frame member for an exterior wall construction for a building
KR101447001B1 (ko) 커튼월의 단열박스 결합구조
KR102296887B1 (ko)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 및 마감패널 시공방법
CA2736969C (en) A stepped structure
KR101530359B1 (ko)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KR102120050B1 (ko) 방음 내진보강용 실내 복합내장마감재
US20050194082A1 (en) Renovation method, especially for outdoor pools, and the renovation coating used
KR102185241B1 (ko) 외벽 마감패널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JP2015506426A (ja) 円錐又は半円錐状の突起部を有するコネクター
KR102303438B1 (ko) 외벽마감용 불연외장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416529B1 (ko) 건축용 마감재
KR100986615B1 (ko) 설비 매입형 벽 패널
RU67135U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EP3059354B1 (en) Structural module and method for mounting structural modules
KR102142992B1 (ko) 건축구조물의 외장패널 결합구조
KR101578455B1 (ko) 건물의 중층 시스템
KR100415273B1 (ko) 욕실용 조립식 내장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