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7801A -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7801A
KR20100077801A KR1020080135844A KR20080135844A KR20100077801A KR 20100077801 A KR20100077801 A KR 20100077801A KR 1020080135844 A KR1020080135844 A KR 1020080135844A KR 20080135844 A KR20080135844 A KR 20080135844A KR 20100077801 A KR20100077801 A KR 20100077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dy
building panel
bent
plate
joi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우
Original Assignee
주신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기업(주) filed Critical 주신기업(주)
Priority to KR1020080135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7801A/ko
Publication of KR20100077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96Repairing or restoring fac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일명 Camz 시스템으로 명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에 의하면, 판체의 일단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판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돌출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상기 판체와 평행하게 연장형성된 수평부를 갖고, 상기 결합부는 요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부가 상기 요입부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하나의 판체와 다른 하나의 판체에 용이하게 결합을 이루어지게 되며, 연결 부위의 높이가 최소화되어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건축용 패널, 돌출부, 결합부

Description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 {Structure for connection of construction pannel}
본 발명은 건축용 내,외벽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의 연결부위의 높이를 최소화하면서 연결부위의 구조는 간소화하는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시공후 시간이 장기간 경과하게 되면, 외부의 기후변화와 내부 시설물의 노화로 인해 리모델링 작업이 이루어진다. 최근 이러한 리모델링 공사에 적용하기 간편하고 다양한 외관 디자인을 연출하기에 적합한 재료로서 각종 금속재의 패널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금속재 패널에 의한 외벽 또는 내벽은 다수의 패널들이 연결되면서 하나의 벽체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패널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벽체는 패널들 간의 연결부위에 의해 외관의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고, 시공 작업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의 건축용 패널은 패널들 간의 연결 부위가 수 회 절곡되어 패널이 이음 구조가 형성되거나,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패널들 간의 연결부위를 수회 절곡시키는 경우에는 패널을 연결하는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패널의 연결부위가 다른 면보다 돌출되는 상태이므로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은 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패널들 간의 연결부위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체결부재를 추가하므로 비용이 상승되고, 체결부재가 패널과 이종(異種) 금속인 경우에는 부식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 작업후에 외관상 연결부위의 외관을 미려하도록 한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 작업이 간단하여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판체와, 상기 판체의 일단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판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또 다른 판체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판체의 일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절곡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상기 판체와 평행하게 연장형성된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판체의 타단부에서 또 다른 판체의 수평부가 삽입되는 요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판체는 직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체는 재질이 구리(Cu), 알루미늄(Al), 아연(Zn) 또는 이들의 합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금속(metal)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 걸림부가 절곡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입부는 상기 판체의 단부에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의 단부에서 다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입부는 단부에 또 다른 판체의 경사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경사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단부에 피스가 체결되는 피스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체의 대략 중앙에는 보강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패널은 시공 작업후에 외관상 연결부위가 높이 최소화되어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간단한 외관구조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음 구조의 구조가 패널의 일단부가 패널의 타단부에 삽입되는 방식에 의해 완료되므로 시공 작업이 간단하여 조립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는 패널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피스를 패널에 미리 조립한 상태에 조립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의 하나의 판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의 조립이 완료된 하나의 판체와 또 다른 판체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100)은 직사각형의 판체(110)와, 상기 직사각형의 판체(110)의 일단에 형성된 돌출부(120)와, 상기 직사각형의 판체(110)의 타단에 형성되어 또 다른 판체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판체(110)의 대략 중앙에는 보강홈(14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판체(110)는 재질이 구리(Cu), 알루미늄(Al), 아연(Zn)이나, 이들의 합금 중에서 선택되는 금속(metal)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러한 금속 재질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판체(110)는 두께가 0.5~1 mm로 박막화가 가능하여 무게가 가벼워서 이음 부위의 구조를 제작하기가 용이하고,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 돌출부(120)는 판체(110)의 일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절곡된 경사부(121)와, 상기 경사부(121)의 단부에서 상기 판체(110)와 평행하게 연장형성된 수평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부(121)는 길이가 3mm 내외로 형성되어 바람직하기는 경사각도가 90도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처럼 경사각도가 90도 보다 작게 형성되면 이음 부위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경사부(121)의 경사각도를 한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 수평부(122)는 길이가 대략 25mm 내외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30)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122)의 단부에는 상기 경사부(121)와 반대방향으로 절곡형성된 걸림부(12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23)는 상기 결합부(130)에 삽입된 또 다른 판체(110A)의 수평부(122A)가 결합부(130)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130)는 판체(110)의 타단부에서 역방향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131)와 상기 제1절곡부(131)의 단부에서 다시 판체(110)와 평행하게 제1절곡부(131)의 역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132)에 의해 형성된 요입부(133)와, 상기 제2절곡부(132)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된 역경사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역경사부(134)는 또 다른 판체(110A)의 경사부(121A)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또 다른 판체(110A)의 수평부(122A)가 삽입된 상태에서 경사부(121A)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절곡부(131)는 길이가 15 mm 내외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절곡부(132)는 길이가 상기 돌출부(120)의 수평부(122) 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또 다른 판체(110A)의 수평부(122A)가 상기 요입부(133)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나의 판체(110)와 또 다른 판체(110A)의 간격(d)은 7 mm 정도 이격된다.
상기 결합부(130)는 피스공(135)이 형성된다. 상기 피스공(135)은 상기 제2절곡부(132)의 단부에서 역경사부(134)가 시작되기 전 영역에 형성되어 피스(150)가 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100)의 조립 작업을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의 조립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패널(100)은 하나의 판체(110)와 이웃하여 또 다른 판체(110A)가 연결설치된다. 그리고 또 다른 판체(110A)에 대하여 동일한 연결방식으로 또 다른 판체가 연결설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판체(110)와 또 다른 판체(110A)의 이음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하나의 판체(110)의 타단부에 형성된 결합부(130)에 피스(150)를 체결한다. 상기 피스(150)는 상기 결합공(130)의 단부에 형성된 피스공(135)에 체결된다.
그리고 또 다른 하나의 판체(110A)의 일단부에 형성된 돌출부(120A)를 하나의 판체(110)의 타단부에 형성된 결합부(130)에 삽입한다. 상기 돌출부(120A)의 수평부(122A)가 상기 결합부(130)의 요입부(133)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수평부(122A)는 판체(120A)에 대하여 경사부(121A)의 경사각도에 의해 판체(110A)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요입부(133)는 제1절곡부(131)와 제2절곡부(132)에 의하여 판체(110)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부(122A)가 형성된 높이와 상기 요입부(133)가 형성된 높이가 대략 일치하게 되므로 또 다른 판체(110A)의 수평부(122A)가 판체(110)의 요입부(133)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상기 경사부(121A)의 각도는 90도 이하로 형성되어 판체(110A)에 대하여 수평부(122A)의 간격을 최소화하고, 상기 판체(110)에 대하여 요입부(133)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수평부(122A)와 요입부(133)가 연결되는 부위가 돌출되지 않게 된다.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하나의 판체(110)의 결합부(130)는 또 다른 판체(110A)의 돌출부(120A)를 완전히 감싸게 된다. 여기서 또 다른 판체(110A)의 수평부(122A)는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23A)가 하나의 판체(110)의 요입부(133)의 내부 상측벽과 접촉된다. 또한, 하나의 판체(110)의 결합부(130)는 단부에 형성된 역경사부(134)가 판체(110A)의 경사부(121A)와 평행하게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또 다른 판체(110A)에 수평부(122A)가 요입부(133)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설명은 이해를 돕기 위해 건축용 패널(100)을 도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 벽체의 내,외벽에 설치되는 패널은 상하 수직방향으로 판체(110)와 또 다른 판체(110A)가 결합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하나의 판체(110)에 삽입된 또 다른 판체(110A)는 상호 이음 구조가 쉽게 분리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이 벽체의 외관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패널(100)은 단열재(10)와 내수합판(20) 및 투습방수지(30)의 외벽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패널(100)은 판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돌출부를 또 다른 판체의 타단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삽입식으로 밀어넣는 방식에 의해서 조립 작업이 완료되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패널은 판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하나의 판체(110)와 또 다른 판체(110A)의 연결 부위의 높이가 최소화되므로 패널의 이음 부위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조립 후에는 또 다른 판체의 타단부에 형성된 역경사부에 의해 결합부에 삽입된 돌출부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조립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의 하나의 판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의 조립이 완료된 하나의 판체와 또 다른 판체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의 조립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이 벽체의 외관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건축용 패널
110,110A ; 판체 120 ; 돌출부
121,121A ; 경사부 122,122A ; 수평부
123,123A ; 걸림부 130 ; 결합부
131 ; 제1 절곡부 132 ; 제2 절곡부
133 ; 요입부 134 ; 역경사부
135 ; 피스공 140 ; 보강홈
150 ; 피스

Claims (8)

  1. 판체와, 상기 판체의 일단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판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또 다른 판체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판체의 일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절곡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상기 판체와 평행하게 연장형성된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판체의 타단부에서 또 다른 판체의 수평부가 삽입되는 요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는 직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된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는 재질이 구리(Cu), 알루미늄(Al), 아연(Zn) 또는 이들의 합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금속(metal) 재질인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 걸림부가 절곡형성된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는 상기 판체의 단부에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의 단부에서 다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는 단부에 또 다른 판체의 경사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경사부가 형성된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단부에 피스가 체결되는 피스공이 형성된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의 대략 중앙에는 보강홈이 형성된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
KR1020080135844A 2008-12-29 2008-12-29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 KR20100077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844A KR20100077801A (ko) 2008-12-29 2008-12-29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844A KR20100077801A (ko) 2008-12-29 2008-12-29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801A true KR20100077801A (ko) 2010-07-08

Family

ID=42639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844A KR20100077801A (ko) 2008-12-29 2008-12-29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7801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009B1 (ko) * 2014-08-26 2015-02-10 주식회사 오크라메탈 결속형 판상 벽면 마감재
KR20180133072A (ko) 2017-06-05 2018-12-13 유재욱 건축물 지붕 및 내,외벽용 마감재
KR20190084507A (ko) 2018-01-08 2019-07-17 유재욱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20190093985A (ko) 2018-02-02 2019-08-12 유재욱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20190094950A (ko) 2018-02-06 2019-08-14 유재욱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20200045763A (ko) * 2018-10-23 2020-05-06 네오비엠(주) 외벽 마감패널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20200111935A (ko) * 2019-03-20 2020-10-05 네오비엠(주)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 및 마감패널 시공방법
KR20200119557A (ko) 2019-04-10 2020-10-20 유재욱 건축물 외벽용 마감재
KR20200126312A (ko) 2019-04-29 2020-11-06 유재욱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KR20220134144A (ko) 2021-03-26 2022-10-05 유재욱 건축물의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20220142237A (ko) 2021-04-14 2022-10-21 유재욱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20230095245A (ko) 2021-12-22 2023-06-29 유재욱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009B1 (ko) * 2014-08-26 2015-02-10 주식회사 오크라메탈 결속형 판상 벽면 마감재
KR20180133072A (ko) 2017-06-05 2018-12-13 유재욱 건축물 지붕 및 내,외벽용 마감재
KR20190084507A (ko) 2018-01-08 2019-07-17 유재욱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20190093985A (ko) 2018-02-02 2019-08-12 유재욱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20190094950A (ko) 2018-02-06 2019-08-14 유재욱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20200045763A (ko) * 2018-10-23 2020-05-06 네오비엠(주) 외벽 마감패널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20200111935A (ko) * 2019-03-20 2020-10-05 네오비엠(주) 건축 구조물용 마감패널 결합구조 및 마감패널 시공방법
KR20200119557A (ko) 2019-04-10 2020-10-20 유재욱 건축물 외벽용 마감재
KR20200126312A (ko) 2019-04-29 2020-11-06 유재욱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KR20220134144A (ko) 2021-03-26 2022-10-05 유재욱 건축물의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20220142237A (ko) 2021-04-14 2022-10-21 유재욱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20230095245A (ko) 2021-12-22 2023-06-29 유재욱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77801A (ko)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
JP2009138478A (ja) Rc柱の補強方法
JP6629109B2 (ja) 外装材の取付具及び外装構造
JP6105353B2 (ja) 窓部連結構造と窓部連結構造を備えた窓部
KR101570509B1 (ko) 건축용 외장재
KR200413240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JP5528078B2 (ja) 構造部材の連結構造
JP3736537B2 (ja) 留め付け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外壁施工構造並びに外壁施工方法
KR101849919B1 (ko) 방화문 보강 구조물
JP648292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及び建物
KR101926476B1 (ko) 건축물의 수직 패널
KR200405447Y1 (ko) 지붕패널
KR200459774Y1 (ko) 건축용 조립 판넬의 연결구조
JP2010185217A (ja) パネル体及び庇
JP2005515334A (ja) 鋼製補強材のためのコネクタ
KR20060020116A (ko)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JP6958836B2 (ja) 軒天見切り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建物の施工方法
JP3921003B2 (ja) 留め付け金具
JP4509017B2 (ja) 壁下端水切り構造
KR200388559Y1 (ko) 조립식 벽체 연결장치
JP4199652B2 (ja) ユニットルームの壁パネル連結構造
JP4350971B2 (ja) 外装材取付具及び外装材取付構造
JP2001220882A (ja) 外壁材の取付金具
KR100577090B1 (ko) 조립식 사이딩
KR200368257Y1 (ko)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2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