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245A -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 - Google Patents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245A
KR20230095245A KR1020210184530A KR20210184530A KR20230095245A KR 20230095245 A KR20230095245 A KR 20230095245A KR 1020210184530 A KR1020210184530 A KR 1020210184530A KR 20210184530 A KR20210184530 A KR 20210184530A KR 20230095245 A KR20230095245 A KR 20230095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building
finishing
fixing
bod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3363B1 (ko
Inventor
유재욱
Original Assignee
유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욱 filed Critical 유재욱
Priority to KR1020210184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363B1/ko
Publication of KR20230095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05Connecting; Fastening of roof covering supported directly by the roof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2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by locking the edge of one slab or sheet within the profiled marginal portion of the adjacent slab or sheet, e.g. using separate 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마감부재의 결합되는 부분의 틈새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지붕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각 고정부재를 통해 건축물의 지붕에 설치되면서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마감부재를 포함하되, 고정부재는 건축물의 지붕과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외면에 형성된 고정판과; 고정판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끼움홈을 가진 고정부를 포함하고, 마감부재는 몸체판과;, 몸체판의 양쪽 사이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돌출부와; 몸체판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몸체판과 수직을 이루면서 끼움홈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와; 제1끼움부에 가까운 돌출부와 몸체판의 인접한 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된 끼움홈과; 제1끼움부의 반대편으로 몸체판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몸체판과 수직을 이루면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의 끼움홈의 가장 깊은 한쪽 끝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제2끼움부를 포함하며, 다수의 마감부재를 각각의 고정부재를 통해 건축물의 지붕에 설치하면서 서로 이웃하게 설치하면, 끼움홈에 제1끼움부가 끼워지면서 마감부재가 건축물의 지붕에 고정되고, 마감부재의 끼움홈에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의 제2끼움부가 끼움홈의 가장 깊은 한쪽 끝에 밀착되어 끼워지면서, 각 마감부재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에서 마감부재가 강풍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막아주는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마감부재가 제1끼움부와 끼움홈의 사이로 몸체판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의 몸체판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Finishing material for roof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각각의 마감부재의 결합되는 부분의 틈새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면서, 건축물의 지붕에서 마감부재가 강풍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막아주는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감재는 건축물의 지붕 또는 외벽에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건축물의 지붕 또는 외벽을 미려하게 마감하였다.
즉, 건축물의 지붕 또는 외벽의 인테리어 효과를 부각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판체와, 상기 판체의 일단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판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또 다른 판체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판체의 일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절곡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상기 판체와 평행하게 연장형성된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판체의 타단부에서 또 다른 판체의 수평부가 삽입되는 요입부가 형성된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의 경우에는 돌출부와 결합부의 결합되는 부분의 틈새로 빗물이 유입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유입된 빗물은 피스공을 통해 배출될 우려가 있었다.
즉, 특허문헌1이 건축물의 지붕에 설치되면, 빗물에 의해 건축물의 지붕이 오염될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1 :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077801호(2010.07.08. 공개.)
이에 본 발명은, 각각의 마감부재의 결합되는 부분의 틈새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종래보다 막아주면서, 건축물의 지붕에서 마감부재가 강풍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막아주는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각 고정부재를 통해 건축물의 지붕에 설치되면서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마감부재를 포함하되, 고정부재는 건축물의 지붕과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외면에 형성된 고정판과; 고정판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끼움홈을 가진 고정부를 포함하고, 마감부재는 몸체판과;, 몸체판의 양쪽 사이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돌출부와; 몸체판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몸체판과 수직을 이루면서 끼움홈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와; 제1끼움부에 가까운 돌출부와 몸체판의 인접한 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된 끼움홈과; 제1끼움부의 반대편으로 몸체판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몸체판과 수직을 이루면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의 끼움홈의 가장 깊은 한쪽 끝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제2끼움부를 포함하며, 다수의 마감부재를 각각의 고정부재를 통해 건축물의 지붕에 설치하면서 서로 이웃하게 설치하면, 끼움홈에 제1끼움부가 끼워지면서 마감부재가 건축물의 지붕에 고정되고, 마감부재의 끼움홈에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의 제2끼움부가 끼움홈의 가장 깊은 한쪽 끝에 밀착되어 끼워지면서, 각 마감부재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부재가 제1끼움부와 끼움홈의 사이로 몸체판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의 몸체판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2끼움부가 끼움홈의 가장 깊은 한쪽 끝에 밀착되어 끼워져서, 제2끼움부와 끼움홈의 사이는 빗물이 유입되기 어려울 정도로 밀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끼움부가 몸체판과 수직을 이루기 때문에, 빗물은 제2끼움부에 걸려서 제2끼움부와 끼움홈의 사이로 이동하지 못하는 효과가 있다.
즉, 각각의 마감부재의 결합되는 부분의 틈새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종래보다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정부재의 체결구멍이 빗물이 유입되기 어려운 부분에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체결구멍을 통해 빗물이 배출되지 못하는 효과가 있다.
즉, 건축물의 지붕이 빗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종래보다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빗물에 의해 체결부재에 녹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끼움부가 몸체판과 수직을 이루기 때문에, 혹시나 각각의 마감부재의 결합되는 부분의 틈새를 통과한 빗물은 제1끼움부에 걸려서 건축물의 지붕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효과가 있다.
즉, 건축물의 지붕이 빗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종래보다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강풍 등의 외력 발생 시, 마감부재의 밀착부와 이웃하게 설치되는 마감부재의 몸체판에서 마찰이 발생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풍 등의 외력 발생 시, 고정부재의 밀착부와 마감부재의 몸체판에서도 마찰이 발생되는 효과가 있다.
즉, 건축물의 지붕에서 마감부재가 강풍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혹시나 제2끼움부와 끼움홈의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더라도, 마감부재의 밀착부와 고정부재의 밀착부에 의해 빗물이 건축물의 지붕을 향해 이동하지 못하는 효과가 있다.
즉, 건축물의 지붕이 빗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종래보다 더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절곡되어 형성되는 밀착부 및 보강부에 의해 고정부재의 강도가 상승되기 때문에, 강풍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고정부재가 휘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끼움홈과 유사한 형태의 제2끼움부가 끼움홈에 밀착되어 꽉 끼워져서, 제2끼움부와 끼움홈의 사이는 빗물이 유입되기 어려울 정도로 밀폐되는 효과가 있다.
즉, 각각의 마감부재의 결합되는 부분의 틈새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종래보다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강풍 등의 외력 발생 시, 제2끼움부의 끝부분이 걸림부에 걸리기 때문에, 건축물의 지붕에서 마감부재가 강풍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혹시나 제2끼움부와 끼움홈의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더라도, 마감부재의 걸림부에 의해 빗물이 건축물의 지붕을 향해 이동하지 못하는 효과가 있다.
즉, 건축물의 지붕이 빗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종래보다 더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2보강부에 의해 고정부재의 강도가 상승되기 때문에, 강풍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고정부재가 휘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의 설치된 상태의 부분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의 설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의 설치된 상태의 부분확대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의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의 설치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의 설치된 상태의 부분확대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의 상세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1000)는 건축물의 지붕(1)을 마감하기 위해 상기 건축물의 지붕(1)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1000)는 건축물의 지붕(1)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고정부재(100)와; 각 상기 고정부재(100)를 통해 건축물의 지붕(1)에 설치되면서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마감부재(2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00)는 건축물의 지붕(1)의 길이 및 폭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00) 및 마감부재(200)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건축물의 지붕(1)과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2)로 체결되는 체결구멍(111)이 외면에 다수 형성된 고정판(110)과; 상기 고정판(11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끼움홈(121)을 가진 고정부(12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20)는 고정판(110)과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고정판(110)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재(200)는 몸체판(210)과;, 상기 몸체판(210)의 양쪽 사이 즉, 중앙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돌출부(220)와; 상기 몸체판(21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판(210)과 수직을 이루면서 끼움홈(121)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230)와; 상기 제1끼움부(230)에 가까운 돌출부(220)와 몸체판(210)의 인접한 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된 끼움홈(240)과; 상기 제1끼움부(230)의 반대편으로 몸체판(21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판(210)과 수직을 이루면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200)의 끼움홈(240)의 가장 깊은 한쪽 끝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제2끼움부(25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판(210)은 고정판(110)보다 면적이 넓은 형태로 형성되며, 돌출부(220)는 사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상기 몸체판(210)에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홈(240)은 'ㄷ' 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재(200)는 제1끼움부(230)와 끼움홈(240)의 사이로 몸체판(21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200)의 몸체판(210)에 밀착되는 밀착부(26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260)는 몸체판(2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판(210)에서 적어도 하나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고정부(12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마감부재(200)의 몸체판(210)과 다른 마감부재(200)의 몸체판(210)의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부(130)와; 상기 삽입부(130)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다른 마감부재(200)의 몸체판(210)에 밀착되는 밀착부(131)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130)는 고정부(120)와 수직을 이루며, 밀착부(131)는 상기 삽입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부(130)가 일정한 형태로 다수 절곡되어 상기 삽입부(130)에서 다수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130)는 밀착부(131)에 의해 강도가 상승하게 되며, 상기 밀착부(131)는 삽입부(13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체결구멍(111)의 주변으로 고정판(110)이 절곡되어 형성된 보강부(112)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112)는 고정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판(110)이 일정한 형태로 다수 절곡되어 상기 고정판(110)에서 다수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110)은 보강부(112)에 의해 강도가 상승하게 되며, 상기 보강부(112)는 체결구멍(111)의 주변으로 고정판(1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1000')는 상기 건축물의 지붕(1)을 마감하기 위해 상기 건축물의 지붕(1)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1000')는 건축물의 지붕(1)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고정부재(100')와; 각 상기 고정부재(100')를 통해 건축물의 지붕(1)에 설치되면서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마감부재(2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00')는 건축물의 지붕(1)의 길이 및 폭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00') 및 마감부재(200')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건축물의 지붕(1)과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2)로 체결되는 체결구멍(111')이 외면에 다수 형성된 고정판(110')과; 상기 고정판(11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끼움홈(121')을 가진 고정부(12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20')는 고정판(110')과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고정판(110')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재(200')는 몸체판(210')과;, 상기 몸체판(210')의 양쪽 사이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돌출부(220')와; 상기 몸체판(21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판(210')과 수직을 이루면서 끼움홈(121')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230')와; 상기 제1끼움부(230')에 가까운 돌출부(220')와 몸체판(210')의 인접한 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된 끼움홈(240')과; 상기 제1끼움부(230')의 반대편으로 몸체판(210')의 한쪽이 절곡되어 끼움홈(240')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200')의 끼움홈(240')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제2끼움부(25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판(210')은 고정판(110')보다 면적이 넓은 형태로 형성되며, 돌출부(220')는 사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상기 몸체판(210')에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홈(240')와 제2끼움부(250')는 'ㄷ' 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재(200')는 제1끼움부(230')와 끼움홈(240')의 사이로 몸체판(21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200')의 제2끼움부(250')의 끝부분이 밀착되어 걸리는 걸림부(26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260')는 몸체판(2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판(210')에서 적어도 하나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고정부(12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몸체판(210')에 밀착되는 밀착부(130')와; 상기 밀착부(130')가 절곡되어 형성된 제1보강부(131')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130')는 고정부(120')와 수직을 이루며, 제1보강부(131')는 상기 밀착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밀착부(130')가 일정한 형태로 다수 절곡되어 상기 밀착부(130')에서 다수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착부(130')는 제1보강부(131')에 의해 강도가 상승하게 되며, 상기 제1보강부(131')는 밀착부(13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체결구멍(111')의 주변으로 고정판(110')이 절곡되어 형성된 제2보강부(112')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보강부(112')는 고정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판(110')이 일정한 형태로 다수 절곡되어 상기 고정판(110')에서 다수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110')은 제2보강부(112')에 의해 강도가 상승하게 되며, 상기 제2보강부(112')는 체결구멍(111')의 주변으로 고정판(1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1000'')는 상기 건축물의 지붕(1)을 마감하기 위해 상기 건축물의 지붕(1)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1000'')는 건축물의 지붕(1)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고정부재(100'')와; 각 상기 고정부재(100'')를 통해 건축물의 지붕(1)에 설치되면서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마감부재(2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00'')는 건축물의 지붕(1)의 길이 및 폭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00'') 및 마감부재(200'')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건축물의 지붕(1)과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2)로 체결되는 체결구멍(111'')이 외면에 다수 형성된 고정판(110'')과; 상기 고정판(11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끼움홈(121'')을 가진 고정부(12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20'')는 고정판(110'')과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고정판(110'')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재(200'')는 몸체판(210'')과;, 상기 몸체판(210'')의 양쪽 사이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돌출부(220'')와; 상기 몸체판(21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판(210'')과 수직을 이루면서 끼움홈(121'')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230'')와; 상기 제1끼움부(230'')에 가까운 돌출부(220'')와 몸체판(210'')의 인접한 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된 끼움홈(240'')과; 상기 제1끼움부(230'')의 반대편으로 몸체판(210'')의 한쪽이 기울어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200'')의 끼움홈(240'')에 기울어진 형태로 끼워지는 제2끼움부(25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판(210'')은 고정판(110'')보다 면적이 넓은 형태로 형성되며, 돌출부(220'')는 삼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상기 몸체판(210'')에서 다수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고정부(12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몸체판(210'')에 밀착되는 밀착부(130'')와; 상기 밀착부(130'')가 절곡되어 형성된 제1보강부(131'')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130'')는 고정부(120'')와 수직을 이루며, 제1보강부(131'')는 상기 밀착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밀착부(130'')가 일정한 형태로 다수 절곡되어 상기 밀착부(130'')에서 다수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착부(130'')는 제1보강부(131'')에 의해 강도가 상승하게 되며, 상기 제1보강부(131'')는 밀착부(13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체결구멍(111'')의 주변으로 고정판(110'')이 절곡되어 형성된 제2보강부(112'')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보강부(112'')는 고정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판(110'')이 일정한 형태로 다수 절곡되어 상기 고정판(110'')에서 다수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110'')은 제2보강부(112'')에 의해 강도가 상승하게 되며, 상기 제2보강부(112'')는 체결구멍(111'')의 주변으로 고정판(1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1000)를 건축물의 지붕(1) 크기에 맞게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10)의 체결구멍(111)과 건축물의 지붕(1)을 체결부재(2)로 체결하면서, 고정부재(100)를 상기 건축물의 지붕(1)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마감부재(200)의 제1끼움부(230)를 고정부재(100)의 끼움홈(121)에 끼워서, 상기 마감부재(200)를 건축물의 지붕(1)에 고정한다.
그 다음, 상기 건축물의 지붕(1)에 고정된 마감부재(200)의 끼움홈(240)에,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200)의 제2끼움부(250)를 상기 끼움홈(240)의 가장 깊은 한쪽 끝에 밀착시켜 끼운다.
그러면, 상기 마감부재(200)의 밀착부(260)는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200)의 몸체판(210)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00)의 삽입부(130)는 마감부재(200)의 몸체판(210)과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200)의 몸체판(210)의 사이로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부재(100)의 밀착부(131)는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200)의 몸체판(210)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200)와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200)의 사이에는 빗물이 흐르는 공간(300)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다수의 상기 마감부재(200)를 각각의 고정부재(100)를 통해 건축물의 지붕(1)에 설치하면서 서로 이웃하게 설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1000)로 상기 건축물의 지붕(1)을 마감한다.
여기서, 각 상기 마감부재(200)의 사이에는 공간(300)이 형성되며, 건축물의 지붕용 마감재(1000)의 조립 순서는 설치 환경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끼움부(250)는 끼움홈(240)의 가장 깊은 한쪽 끝에 밀착되어 끼워지기 때문에, 각각의 마감부재(200)의 결합되는 부분의 틈새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131)(260)는 몸체판(210)에 밀착되기 때문에, 강풍 등의 외력 발생 시,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1000')를 건축물의 지붕(1) 크기에 맞게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10')의 체결구멍(111')과 건축물의 지붕(1)을 체결부재(2)로 체결하면서, 고정부재(100')를 상기 건축물의 지붕(1)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마감부재(200')의 제1끼움부(230')를 고정부재(100')의 끼움홈(121')에 끼워서, 상기 마감부재(200')를 건축물의 지붕(1)에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00')의 밀착부(130')는 상기 고정부재(100')에 고정된 마감부재(200')의 몸체판(210')에 밀착된다.
그 다음, 상기 건축물의 지붕(1)에 고정된 마감부재(200')의 끼움홈(240')에,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200')의 제2끼움부(250')를 밀착시켜 끼운다.
여기서, 상기 제2끼움부(250')는 끼움홈(240')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2끼움부(250')는 끼움홈(240')에 꽉 끼워진다.
그러면,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상기 마감부재(200')의 제2끼움부(250')의 끝부분은 마감부재(200')의 걸림부(260')에 밀착되어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200')와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200')의 사이에는 빗물이 흐르는 공간(300')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부(220')의 사이에는 공간(300')이 형성된다.
그래서, 다수의 상기 마감부재(200')를 각각의 고정부재(100')를 통해 건축물의 지붕(1)에 설치하면서 서로 이웃하게 설치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1000')로 상기 건축물의 지붕(1)을 마감한다.
여기서, 각 상기 마감부재(200')의 사이에는 공간(300')이 형성되며, 건축물의 지붕용 마감재(1000')의 조립 순서는 설치 환경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끼움부(250')는 끼움홈(240')에 밀착되어 꽉 끼워지기 때문에, 각각의 마감부재(200')의 결합되는 부분의 틈새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강풍 등의 외력 발생 시, 제2끼움부(250')의 끝부분은 걸림부(260')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1000'')를 건축물의 지붕(1) 크기에 맞게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10'')의 체결구멍(111'')과 건축물의 지붕(1)을 체결부재(2)로 체결하면서, 고정부재(100'')를 상기 건축물의 지붕(1)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마감부재(200'')의 제1끼움부(230'')를 고정부재(100'')의 끼움홈(121'')에 끼워서, 상기 마감부재(200'')를 건축물의 지붕(1)에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00'')의 밀착부(130'')는 상기 고정부재(100'')에 고정된 마감부재(200'')의 몸체판(210'')에 밀착된다.
그 다음, 상기 건축물의 지붕(1)에 고정된 마감부재(200'')의 끼움홈(240'')에,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200'')의 제2끼움부(250'')를 끼운다.
여기서, 상기 제2끼움부(250'')는 끼움홈(240'')에 기울어진 형태로 끼워진다.
그래서, 다수의 상기 마감부재(200'')를 각각의 고정부재(100'')를 통해 건축물의 지붕(1)에 설치하면서 서로 이웃하게 설치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1000'')로 상기 건축물의 지붕(1)을 마감한다.
여기서, 상기 건축물의 지붕용 마감재(1000'')의 조립 순서는 설치 환경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다양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100' : 고정부재 110,110' : 고정판
111,111' : 체결구멍 112 : 보강부
112' : 제2보강부 120,120' : 고정부
121,121' : 끼움홈 130 : 삽입부
130' : 밀착부 131 : 밀착부
131' : 제1보강부 200,200' : 마감부재
210,210' : 몸체판 220,220' : 돌출부
230,230' : 제1끼움부 240,240' : 끼움홈
250,250' : 제2끼움부 260 : 밀착부
260' : 걸림부 300,300' : 공간
1000,1000' :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

Claims (8)

  1. 건축물의 지붕(1)에 설치되는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지붕(1)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고정부재(100)와; 각 상기 고정부재(100)를 통해 건축물의 지붕(1)에 설치되면서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마감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100)는 건축물의 지붕(1)과 체결부재(2)로 체결되는 체결구멍(111)이 외면에 형성된 고정판(110)과; 상기 고정판(11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끼움홈(121)을 가진 고정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부재(200)는 몸체판(210)과;, 상기 몸체판(210)의 양쪽 사이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돌출부(220)와; 상기 몸체판(21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판(210)과 수직을 이루면서 끼움홈(121)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230)와; 상기 제1끼움부(230)에 가까운 돌출부(220)와 몸체판(210)의 인접한 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된 끼움홈(240)과; 상기 제1끼움부(230)의 반대편으로 몸체판(21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판(210)과 수직을 이루면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200)의 끼움홈(240)의 가장 깊은 한쪽 끝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제2끼움부(250)를 포함하며,
    다수의 상기 마감부재(200)를 각각의 고정부재(100)를 통해 건축물의 지붕(1)에 설치하면서 서로 이웃하게 설치하면,
    상기 끼움홈(121)에 제1끼움부(230)가 끼워지면서 마감부재(200)가 건축물의 지붕(1)에 고정되고,
    상기 마감부재(200)의 끼움홈(240)에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200)의 제2끼움부(250)가 상기 끼움홈(240)의 가장 깊은 한쪽 끝에 밀착되어 끼워지면서, 각 상기 마감부재(200)의 사이에는 공간(3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200)는 제1끼움부(230)와 끼움홈(240)의 사이로 몸체판(21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200)의 몸체판(210)에 밀착되는 밀착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0)는 고정부(12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마감부재(200)의 몸체판(210)과 다른 마감부재(200)의 몸체판(210)의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부(130)와; 상기 삽입부(130)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다른 마감부재(200)의 몸체판(210)에 밀착되는 밀착부(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0)는 체결구멍(111)의 주변으로 고정판(110)이 절곡되어 형성된 보강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
  5. 건축물의 지붕(1)에 설치되는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지붕(1)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고정부재(100')와; 각 상기 고정부재(100')를 통해 건축물의 지붕(1)에 설치되면서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마감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100')는 건축물의 지붕(1)과 체결부재(2)로 체결되는 체결구멍(111')이 외면에 형성된 고정판(110')과; 상기 고정판(11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끼움홈(121')을 가진 고정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부재(200')는 몸체판(210')과;, 상기 몸체판(210')의 양쪽 사이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돌출부(220')와; 상기 몸체판(21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판(210')과 수직을 이루면서 끼움홈(121')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230')와; 상기 제1끼움부(230')에 가까운 돌출부(220')와 몸체판(210')의 인접한 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된 끼움홈(240')과; 상기 제1끼움부(230')의 반대편으로 몸체판(210')의 한쪽이 절곡되어 끼움홈(240')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200')의 끼움홈(240')에 밀착되어 끼워지는 제2끼움부(250')를 포함하며,
    다수의 상기 마감부재(200')를 각각의 고정부재(100')를 통해 건축물의 지붕(1)에 설치하면서 서로 이웃하게 설치하면,
    상기 끼움홈(121')에 제1끼움부(230')가 끼워지면서 마감부재(200')가 건축물의 지붕(1)에 고정되고,
    상기 마감부재(200')의 끼움홈(240')에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200')의 제2끼움부(250')가 밀착되어 끼워지면서, 각 상기 마감부재(200')의 사이에는 공간(3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200')는 제1끼움부(230')와 끼움홈(240')의 사이로 몸체판(21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이웃하게 설치되는 다른 마감부재(200')의 제2끼움부(250')의 끝부분이 밀착되어 걸리는 걸림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0')는 고정부(120')의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몸체판(210')에 밀착되는 밀착부(130')와; 상기 밀착부(130')가 절곡되어 형성된 제1보강부(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0')는 체결구멍(111')의 주변으로 고정판(110')이 절곡되어 형성된 제2보강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
KR1020210184530A 2021-12-22 2021-12-22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 KR102643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530A KR102643363B1 (ko) 2021-12-22 2021-12-22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530A KR102643363B1 (ko) 2021-12-22 2021-12-22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245A true KR20230095245A (ko) 2023-06-29
KR102643363B1 KR102643363B1 (ko) 2024-03-04

Family

ID=8694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530A KR102643363B1 (ko) 2021-12-22 2021-12-22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3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9215U (ko) * 1985-10-03 1987-04-13
JP2007120250A (ja) * 2005-10-31 2007-05-17 Takamata Seisakusho:Kk 吊子
KR20100077801A (ko) 2008-12-29 2010-07-08 주신기업(주)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9215U (ko) * 1985-10-03 1987-04-13
JP2007120250A (ja) * 2005-10-31 2007-05-17 Takamata Seisakusho:Kk 吊子
KR20100077801A (ko) 2008-12-29 2010-07-08 주신기업(주) 건축용 패널의 이음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363B1 (ko) 202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196B1 (ko)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20230095245A (ko)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
KR20160001838U (ko) 커튼월 결합구조
KR100614959B1 (ko) 커텐박스 결합구조체
FI61541B (fi) Laett monter- och demonterbar byggnad samt saett foer montering daerav
KR20190140751A (ko) 원형 기둥의 마감패널 체결구조
WO2010001478A1 (ja) フェンス
KR20090005206U (ko) 천장 설치용 조립형 커튼 레일
KR100880339B1 (ko) 창호프레임
KR20100040420A (ko) 건축물 벽체용 내,외장재 설치구조
KR102173879B1 (ko) 조립성 및 방수성이 향상된 외장패널 조립체
KR102601675B1 (ko) 건축물의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200419957Y1 (ko) 건축벽 판넬 조립구조
KR102247640B1 (ko)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내진보강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마감구조체
KR102000262B1 (ko) 오픈 조인트 방식의 외벽패널 고정장치
JP2007039907A (ja) 養生シートの取付構造
KR20080000952U (ko) 힌지 게이트를 갖는 가설펜스
KR100318006B1 (ko)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532942B1 (ko) 건축물의 천장용 마감재
KR100191351B1 (ko) 달반자 구조
KR20220112928A (ko)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
KR200422988Y1 (ko) 건축용 결속편형 조립식 판넬
KR20110115723A (ko)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
KR960009404Y1 (ko)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고정용 쐐기
KR100955106B1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노출 콘크리트 패널 시공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