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928A -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928A
KR20220112928A KR1020210016456A KR20210016456A KR20220112928A KR 20220112928 A KR20220112928 A KR 20220112928A KR 1020210016456 A KR1020210016456 A KR 1020210016456A KR 20210016456 A KR20210016456 A KR 20210016456A KR 20220112928 A KR20220112928 A KR 20220112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bent part
ceiling
building
bod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욱
Original Assignee
유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욱 filed Critical 유재욱
Priority to KR1020210016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2928A/ko
Publication of KR20220112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 및, 하중에 의해, 천장 및 내,외벽에 설치된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해주는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제1마감부재와;, 각 제1마감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연결부재에 의해 다수 설치되는 제2마감부재를 포함하며, 제1마감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관통구멍이 외면에 다수 형성되며,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 또는,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설치되며 관통구멍을 관통하는 제1체결볼트와, 제1너트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몸체 판과;, 몸체 판의 양쪽이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1,2절곡부와;, 제2절곡부의 한쪽이 몸체 판을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3절곡부와;, 제3절곡부의 한쪽이 몸체 판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4절곡부와;, 제4절곡부의 한쪽이 제3절곡부를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관통구멍이 외면에 다수 형성된 제5절곡부와;, 제5절곡부의 한쪽이 제4절곡부를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6절곡부를 포함하고, 제2마감부재는 몸체 판과;, 몸체 판의 양쪽이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1절곡부와;, 제1절곡부의 한쪽이 몸체 판을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며, 제5절곡부에 밀착되는 제2절곡부와;, 제2절곡부이 한쪽이 제1절곡부를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3절곡부와;, 제3절곡부의 한쪽이 제2절곡부를 마주보지 않도록 절곡 형성된 제4절곡부와;, 제4절곡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공간과;, 제3절곡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과;, 제1,2,3절곡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며, 연결부재는 양쪽이 삽입홈에 삽입되면서 제3,4절곡부를 감싸며, 관통구멍이 외면에 형성된 고정구와;, 관통구멍 및 제5절곡부의 관통구멍 및 관통공간 및 삽입공간을 관통하는 제2체결볼트와;, 제2체결볼트에 체결되어 제5절곡부와 고정구의 사이에 제2,3,4절곡부를 고정해주는 제2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Finishing material for ceiling, interior and exterior wall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건축물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 및, 하중에 의해, 천장 및 내,외벽에 설치된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해주는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는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에 간편한게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을 미려하게 마감하였다.
즉,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의 인테리어 효과를 부각하였다.
하지만,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는 안전상 천장 및 내,외벽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했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지지빔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수평부와, 수평부의 양측에서 하부로 절곡연장되는 측벽부와, 측벽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으로 양단에 걸림홈을 갖는 절곡가능한 복수의 걸림편이 일체로 구성된 연결부재와; 실내의 하부로 노출되는 수평부와, 수평부의 양측에서 상부로 절곡연장되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유지하는 측벽부와, 측벽부의 상부에는 수평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턱이 일체로 구성된 루바부재로 이루어진 상기 걸림편의 양측에는 각각 절곡가능하게 형성되는 루바부재의 측벽부의 후면을 지지하는 이탈방지편이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스크린 루바 고정구조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현재에는 특허문헌1과 다르게 루바부재가 연결부재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해주는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1 :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4980호(2012.07.10. 공개.)
이에 본 발명은, 건축물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 및, 하중에 의해, 천장 및 내,외벽에 설치된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해주는 종래와 다른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에 설치되는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있어서,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제1마감부재와;, 각 제1마감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연결부재에 의해 다수 설치되는 제2마감부재를 포함하며, 제1마감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관통구멍이 외면에 다수 형성되며,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 또는,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설치되며 관통구멍을 관통하는 제1체결볼트와, 제1너트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몸체 판과;, 몸체 판의 양쪽이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1,2절곡부와;, 제2절곡부의 한쪽이 몸체 판을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3절곡부와;, 제3절곡부의 한쪽이 몸체 판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4절곡부와;, 제4절곡부의 한쪽이 제3절곡부를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관통구멍이 외면에 다수 형성된 제5절곡부와;, 제5절곡부의 한쪽이 제4절곡부를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6절곡부를 포함하고, 제2마감부재는 몸체 판과;, 몸체 판의 양쪽이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1절곡부와;, 제1절곡부의 한쪽이 몸체 판을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며, 제5절곡부에 밀착되는 제2절곡부와;, 제2절곡부이 한쪽이 제1절곡부를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3절곡부와;, 제3절곡부의 한쪽이 제2절곡부를 마주보지 않도록 절곡 형성된 제4절곡부와;, 제4절곡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공간과;, 제3절곡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과;, 제1,2,3절곡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며, 연결부재는 양쪽이 삽입홈에 삽입되면서 제3,4절곡부를 감싸며, 관통구멍이 외면에 형성된 고정구와;, 관통구멍 및 제5절곡부의 관통구멍 및 관통공간 및 삽입공간을 관통하는 제2체결볼트와;, 제2체결볼트에 체결되어 제5절곡부와 고정구의 사이에 제2,3,4절곡부를 고정해주는 제2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체결볼트와 제1너트의 체결에 의해 제1마감부재가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에 고정되면서, 연결부재의 제2체결볼트와 제2너트의 체결에 의해 제2마감부재가 제1마감부재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즉, 건축물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에 의해, 제1,2마감부재가 천장 및 내,외벽에 설치된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재의 고정구가 제2마감부재의 제3,4절곡부를 감싸기 때문에, 제2마감부재의 하중에 의해 제2마감부재의 제1절곡부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즉, 하중에 의해 제2마감부재의 제1절곡부 사이가 벌어지면서, 제2마감부재가 천장 및 내,외벽에 설치된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에서 제1,2마감부재가 추락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2밀폐부재에 의해 제2마감부재의 삽입공간이 밀폐되기 때문에, 이물질 및 빗물 등이 제2마감부재의 삽입공간에 쌓이거나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면서 제2마감부재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밀폐부재가 제1밀폐부재보다 두께가 얇기 때문에, 제1밀폐부재와 함께 설치되는 제2밀폐부재가 제2마감부재의 삽입공간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의 설치 상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의 부분확대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의 상세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의 설치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의 제2마감부재 상세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1000)는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1)을 마감하기 위해 상기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1)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1000)는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1)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제1마감부재(100)와;,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연결부재(300)에 의해 다수 설치되는 제2마감부재(2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200)는 제1마감부재(100)와 교차되도록 연결부재(300)에 의해 상기 제1마감부재(10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2마감부재(100)(200) 및 연결부재(300)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관통구멍(111)이 외면에 다수 형성되며,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1) 또는, 상기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1)에 고정된 고정부재(2)에 설치되며 관통구멍(111)을 관통하는 제1체결볼트(3)와, 제1너트(3a)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몸체 판(110)과;, 상기 몸체 판(110)의 양쪽이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1,2절곡부(120)(130)와;, 상기 제2절곡부(130)의 한쪽이 몸체 판(110)을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3절곡부(140)와;, 상기 제3절곡부(140)의 한쪽이 몸체 판(110)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4절곡부(150)와;, 상기 제4절곡부(150)의 한쪽이 제3절곡부(140)를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관통구멍(161)이 외면에 다수 형성된 제5절곡부(160)와;, 상기 제5절곡부(160)의 한쪽이 제4절곡부(150)를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6절곡부(17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절곡부(120)는 몸체 판(110)의 한쪽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제2절곡부(130)는 상기 몸체 판(110)의 반대편 한쪽이 제1절곡부(120)를 마주보도록 수직에 가깝게 절곡되어 형성되고, 제3절곡부(140)는 상기 제2절곡부(130)의 한쪽이 몸체 판(110)을 마주보도록 경사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제4절곡부(150)는 상기 제3절곡부(140)의 한쪽이 몸체 판(110)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형성되고, 제5절곡부(160)는 상기 제4절곡부(150)의 한쪽이 제3절곡부(140)를 마주보도록 수직에 가깝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제6절곡부(170)는 상기 제5절곡부(160)의 한쪽이 제4절곡부(150)를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체결볼트(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 등으로 이루어져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1)에 설치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가 형성된 볼트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1)에 고정된 고정부재(2)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마감부재(200)는 몸체 판(210)과;, 상기 몸체 판(210)의 양쪽이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1절곡부(220)와;, 상기 제1절곡부(220)의 한쪽이 몸체 판(210)을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며, 제5절곡부(160)에 밀착되는 제2절곡부(230)와;, 상기 제2절곡부(230)이 한쪽이 제1절곡부(220)를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3절곡부(240)와;, 상기 제3절곡부(240)의 한쪽이 제2절곡부(230)를 마주보지 않도록 절곡 형성된 제4절곡부(250)와;, 상기 제4절곡부(250)의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공간(260)과;, 상기 제3절곡부(240)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270)과;, 상기 제1,2,3절곡부(220)(230)(240)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28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절곡부(220)는 몸체 판(210)의 양쪽이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제2절곡부(230)는 상기 제1절곡부(220)의 한쪽이 몸체 판(210)을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제3절곡부(240)는 상기 제2절곡부(230)의 한쪽이 제1절곡부(220)를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제4절곡부(250)는 상기 제3절곡부(240)의 한쪽이 제2절곡부(230)를 마주보지 않도록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00)는 양쪽이 삽입홈(280)에 삽입되면서 제3,4절곡부(240)(250)를 감싸며, 관통구멍(311)이 외면에 형성된 고정구(310)와;, 상기 관통구멍(311) 및 제5절곡부(160)의 관통구멍(161) 및 관통공간(260) 및 삽입공간(270)을 관통하는 제2체결볼트(320)와;, 상기 제2체결볼트(320)에 체결되어 제5절곡부(160)와 고정구(310)의 사이에 제2,3,4절곡부(230)(240)(250)를 고정해주는 제2너트(3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310)는 'ㄷ'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체결볼트(320)는 머리부가 형성된 볼트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1000)는 삽입공간(270)에 삽입되며, 제2체결볼트(320)에 관통되는 관통구멍(410)이 외면에 형성된 제1밀폐부재(4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밀폐부재(400)는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1000)는 제1밀폐부재(400)보다 두께가 얇고, 삽입공간(270)에 삽입되며, 제2체결볼트(320)에 관통되는 관통구멍(510)이 외면에 형성된 제2밀폐부재(5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밀폐부재(500)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1000)의 시공을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마감부재(100)를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1)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1) 또는, 상기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1)에 고정된 고정부재(2)에 설치된 제1체결볼트(3)는 몸체 판(110)의 관통구멍(111)을 관통하며, 제1너트(3a)와 체결된다.
즉, 상기 제1마감부재(100)의 몸체 판(110)은 제1체결볼트(3)와 제1너트(3a)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면서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1)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310)의 양쪽을 제2마감부재(200)의 삽입홈(280)에 삽입시키면서 상기 고정구(310)로 제2마감부재(200)의 제3,4절곡부(240)(250)를 감싸고, 제1,2밀폐부재(400)(500)를 순차적으로 상기 제2마감부재(200)의 삽입공간(270)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체결볼트(320)를 순차적으로 고정구(310)의 관통구멍(311) 및, 관통공간(260) 및, 삽입공간(270)에 삽입된 제1,2밀폐부재(400)(500)의 관통구멍(410)(510) 및, 제5절곡부(160)의 관통구멍(161)을 관통시킨 후, 제2너트(330)와 체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마감부재(200)의 제2절곡부(230)가 제1마감부재(100)의 제5절곡부(160)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2마감부재(200)는 제2체결볼트(320)와 제2너트(330)의 체결 즉, 연결부재(300)에 의해 제1마감부재(1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마감부재(200)의 삽입공간(270)은 제1,2밀폐부재(400)(500)에 의해 밀폐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2마감부재(200)를 각각의 제1마감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연결부재(300)에 통해 다수 설치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00)는 제1마감부재(100)와 교차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1000)의 다수의 제2마감부재(200) 일부 또는 전체는 제1절곡부(22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다수의 상기 제2마감부재(200) 일부 또는 전체는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1)에서 더 돌출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1000)의 제1마감부재(100)는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1000)의 제2마감부재(2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4에 도시된 상기 제2마감부재(200)의 형태와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다양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제1마감부재 110 : 몸체 판
111 : 관통구멍 120 : 제1절곡부
130 : 제2절곡부 140 : 제3절곡부
150 : 제4절곡부 160 : 제5절곡부
161 : 관통구멍 170 : 제6절곡부
200 : 제2마감부재 210 : 몸체 판
220 : 제1절곡부 230 : 제2절곡부
240 : 제3절곡부 250 : 제4절곡부
260 : 관통공간 270 : 삽입공간
280 : 삽입홈 300 : 연결부재
310 : 고정구 311 : 관통구멍
320 : 제2체결볼트 330 : 제2너트
400 : 제1밀폐부재 410 : 관통구멍
500 : 제2밀폐부재 510 : 관통구멍
1000 :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

Claims (3)

  1.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1)에 설치되는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1)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제1마감부재(100)와;, 각 상기 제1마감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연결부재(300)에 의해 다수 설치되는 제2마감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마감부재(1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관통구멍(111)이 외면에 다수 형성되며,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1) 또는, 상기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1)에 고정된 고정부재(2)에 설치되며 관통구멍(111)을 관통하는 제1체결볼트(3)와, 제1너트(3a)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몸체 판(110)과;, 상기 몸체 판(110)의 양쪽이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1,2절곡부(120)(130)와;, 상기 제2절곡부(130)의 한쪽이 몸체 판(110)을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3절곡부(140)와;, 상기 제3절곡부(140)의 한쪽이 몸체 판(110)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4절곡부(150)와;, 상기 제4절곡부(150)의 한쪽이 제3절곡부(140)를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관통구멍(161)이 외면에 다수 형성된 제5절곡부(160)와;, 상기 제5절곡부(160)의 한쪽이 제4절곡부(150)를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6절곡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마감부재(200)는 몸체 판(210)과;, 상기 몸체 판(210)의 양쪽이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1절곡부(220)와;, 상기 제1절곡부(220)의 한쪽이 몸체 판(210)을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며, 제5절곡부(160)에 밀착되는 제2절곡부(230)와;, 상기 제2절곡부(230)이 한쪽이 제1절곡부(220)를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3절곡부(240)와;, 상기 제3절곡부(240)의 한쪽이 제2절곡부(230)를 마주보지 않도록 절곡 형성된 제4절곡부(250)와;, 상기 제4절곡부(250)의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공간(260)과;, 상기 제3절곡부(240)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270)과;, 상기 제1,2,3절곡부(220)(230)(240)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28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300)는 양쪽이 삽입홈(280)에 삽입되면서 제3,4절곡부(240)(250)를 감싸며, 관통구멍(311)이 외면에 형성된 고정구(310)와;, 상기 관통구멍(311) 및 제5절곡부(160)의 관통구멍(161) 및 관통공간(260) 및 삽입공간(270)을 관통하는 제2체결볼트(320)와;, 상기 제2체결볼트(320)에 체결되어 제5절곡부(160)와 고정구(310)의 사이에 제2,3,4절곡부(230)(240)(250)를 고정해주는 제2너트(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270)에 삽입되며, 제2체결볼트(320)에 관통되는 관통구멍(410)이 외면에 형성된 제1밀폐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폐부재(400)보다 두께가 얇고, 삽입공간(270)에 삽입되며, 제2체결볼트(320)에 관통되는 관통구멍(510)이 외면에 형성된 제2밀폐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
KR1020210016456A 2021-02-05 2021-02-05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 KR20220112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456A KR20220112928A (ko) 2021-02-05 2021-02-05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456A KR20220112928A (ko) 2021-02-05 2021-02-05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928A true KR20220112928A (ko) 2022-08-12

Family

ID=8280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456A KR20220112928A (ko) 2021-02-05 2021-02-05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29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4980U (ko)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건일 천장용 스크린 루바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4980U (ko)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건일 천장용 스크린 루바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8705B2 (en) Slotted M-track support
US5906080A (en) Bracket for interconnecting a building stud to primary structural components
US6688069B2 (en) Vertical slide clip
AU731914B2 (en) Floor joist and support system therefor
US20180066424A1 (en) Slip Clip
US20140245687A1 (en) Modular system for sub-ceilings
KR20120004980U (ko) 천장용 스크린 루바조립구조
KR101251699B1 (ko) 클립식 데크 패스너의 연결구조
KR20220112928A (ko) 건축물의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
KR102375574B1 (ko) 데크 체결용 클립
KR200441333Y1 (ko) 경량철골식 천장 구조물
KR100614959B1 (ko) 커텐박스 결합구조체
KR20220015746A (ko) 건축물 천장용 마감재
SK500262018U1 (sk) Obkladový stavebný systém
KR102532942B1 (ko) 건축물의 천장용 마감재
KR102474425B1 (ko) 건축물 천장용 마감재
CN210067218U (zh) 一种集成房屋的上梁型材及其安装结构
KR102643363B1 (ko) 건축물 지붕용 마감재
RU2781836C1 (ru)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монтажной системы с применением профиля и монтажная система, в которой использован такой узел
KR102627313B1 (ko)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
RU2781837C1 (ru)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монтажной системы с применением профиля и монтажная система, в которой использован такой узел
KR102123691B1 (ko) 보조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창호브라켓
KR102247641B1 (ko) 건축물용 바닥 구조체
KR200412645Y1 (ko) 앵커볼트
RU2742420C1 (ru) Узел стыковки устройства крепления подвесного потол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