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484B1 -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 - Google Patents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484B1
KR102296484B1 KR1020210054082A KR20210054082A KR102296484B1 KR 102296484 B1 KR102296484 B1 KR 102296484B1 KR 1020210054082 A KR1020210054082 A KR 1020210054082A KR 20210054082 A KR20210054082 A KR 20210054082A KR 102296484 B1 KR102296484 B1 KR 102296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ox body
cap
hsci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공사
Priority to KR1020210054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03Filling materials, e.g. solid or fluid insulation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HSCI 양극 케이블을 사용하는 현장에서 케이블의 필요한 길이를 재단하고 바로 사용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길이를 재단한 후, 케이블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작업을 생략시킬 수 있도록 하는,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SPLICE BOX FOR CONNECTION OF HSCI CABLE}
본 발명은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HSCI 양극 케이블을 사용하는 현장에서 케이블의 필요한 길이를 재단하고 바로 사용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길이를 재단한 후, 케이블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작업을 생략시킬 수 있도록 하는,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은 소정의 목적을 가지고 지면에 내설되는 등으로 현장에 구비된다.
종래에는, 도면으로 예상측정된 길이를 산출하고, 양극케이블로 공사를 수행하는 경우, 실제 현장에서 요구되는 길이와 상이한 경우가 많다.
이는 케이블의 필요길이를 반영한 도면을 작성한 시점과 실제 설치시점의 공백기간이 발생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길이의 차이는 실제 설치현장에서의 건물 이동배치나 지하 구조물의 간섭 등에 따라서도 발생한다.
그러나, HSCI 양극 케이블은 스펙저하의 문제로 케이블들을 인위적으로 중간에서 연결할 수 없으며, 케이블의 길이가 짧은 경우 결국 재시공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 케이블의 경우, [표 1]과 같이 여유분의 케이블을 구비하기 때문에, 권선기로 감아놓은 케이블을 풀어주는 경우 물결형상으로 케이블이 꼬여 있기 때문에 인력으로 풀어줘야 하는 번거로움도 존재한다.
만약, 꼬임을 풀어주지 않는 경우, 전선관 내 입선이 힘들뿐만 아니라 케이블이 직선으로 나아가지 못하여 케이블의 사용물량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케이블을 현장에서 재단하고, 재단한 길이만큼의 케이블을 인위적으로 연결한다면 해결될 문제이기는 하지만, 종래 케이블을 인위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원자력발전소 TECHNICAL SPEC.에서 요구하는 케이블의 중간 연결 금지에 대한 조항을 위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원자력발전소 TECHNICAL SPEC.에서 요구하는 케이블의 중간 연결 금지에 대한 조항을 위반하지 않으면서도, 케이블을 사용하는 현장에서 케이블의 필요한 길이를 재단하고, 재단된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만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장치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636441호의 광섬유 케이블들을 상호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기술은, 광섬유 구성체 및 이를 수용하기 위한 박스. 박스하부(81)의 짧은 측부(107)로 부터 광케이블(101 내지 104)들을 위한 유입구(111, 112, 113, 114)들이 측면으로 나란히 돌출한다. 구성체는 지지대(122)를 포함하고, 카세트(117, 118, 119, 120)들을 고정하고 스택형성가능한 모듈(135, 136)들이 삽입지지식으로 상기 지지체에 수용된다. 지지체(122)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곡선형의 외형(123, 124)을 가진다. 빈 저장공간(126) 및 섬유(125)들을 통과시키기 위한 지지체가 대기섬유들을 저장하기 위한 지지체 다음에 제공되기 전에, 빈 전이공간(116)이 제공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케이블을 박스에 직접 결합하는 것일 뿐, HSCI 양극 케이블에 적용하는 경우, 케이블 간의 연결을 시켜야 하므로, 상술된 기술에도 불구하고, TECHNICAL SPEC.에서 요구하는 케이블의 중간 연결 금지에 대한 조항을 수용할 수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36441호(2006.10.18.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06794호(1999.02.25.) 등록특허공보 제10-2198453호(2021.01.05. 공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5-057573호(1995.03.03.)
본 발명의 목적은, HSCI 양극 케이블을 사용하는 현장에서 케이블의 필요한 길이를 재단하고 바로 사용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길이를 재단한 후, 케이블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작업을 생략시킬 수 있도록 하는,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는, 결합을 위해 상측에 폭이 넓어지도록 확장된 영역을 구비하고 내부에 오목한 홈이 형성된 박스몸체(10)와; 상기 박스몸체(10)의 오목한 홈의 개방된 영역을 폐쇄하도록 결합되는 상부캡(20)과; 상기 상기 캡(20)의 관통홀에 케이블의 고정을 위해 결합되는 케이블 그랜드(40)와; 상기 박스몸체(10)의 오목한 홈 내부에서 케이블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스플릿볼트(50)와; 상기 스플릿볼트(50)와 케이블을 제외한 박스몸체(10)의 오목한 홈 내부 영역에 충진된 컴파운트 충진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박스몸체(10)의 폭이 넓어지도록 확장된 영역의 하측에서 패킹(30)이 구비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캡(20)에는 나사산(21)이 형성되고,
상기 박스몸체(10) 내벽에는 상기 나사산(21)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1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캡(20)이 박스몸체(10)에 나사산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박스몸체(10)의 하측 관통홀에는, 케이블통과시 충진가루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냅 부싱(B)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에 의하면, 공수절감 측면에서 전선 및 전선관 지중 설치 공임을 절감할 수 있고, 전선관 지중 매설용 터파기 및 되메우기의 총체적 감소가 가능하며, 납품시 감겨있는 케이블을 설치현장에서 인력으로 풀어야하는 공수가 소모되지 않고, 전선관 작업시 케이블 양단이 결선되어 있지 않고 자유로워 인력으로 쉽게 입선이 가능하며, 도면 상 산출한 양극 케이블이 짧더라도 재시공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아서 추가 인력과 공기 투입이 필요 없다.
또한, 공정개선 측면에서, HSCI 양극 제작시 사내에서 케이블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용이하고 속도가 향상되며, 도면 상 산출된 길이를 가지는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운반시 용이하다.
아울러, 케이블 길이와 상관없이 제작이 가능하여 대량생산 및 규격화가 가능고, 이에 따라 연간 확보 물량이 증가하여 향후 타 발전소 및 플랜트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자재 이동시 케이블이 손상될 위험이 없어서 피복 품질에 대한 우려가 없고, 원자력발전소 TECHNICAL SPEC.에서 요구하는 케이블의 중간 연결 금지에 대한 조항을 준수하면서도 연결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가 장착된 케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를 평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HSCI 양극 케이블을 사용하는 현장에서 케이블의 필요한 길이를 재단하고 바로 사용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길이를 재단한 후, 케이블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작업을 생략시킬 수 있도록 하는,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면으로 예상측정된 길이를 산출하고, 양극케이블로 공사를 수행하는 경우, 실제 현장에서 요구되는 길이와 상이한 경우가 많다. 이는 케이블의 필요길이를 반영한 도면을 작성한 시점과 실제 설치시점의 공백기간이 발생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길이의 차이는 실제 설치현장에서의 건물 이동배치나 지하 구조물의 간섭 등에 따라서도 발생한다.
그러나, HSCI 양극 케이블은 스펙저하의 문제로 케이블들을 인위적으로 중간에서 연결할 수 없으며, 케이블의 길이가 짧은 경우 결국 재시공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 케이블의 경우, [표 1]과 같이 여유분의 케이블을 구비하기 때문에, 권선기로 감아놓은 케이블을 풀어주는 경우 물결형상으로 케이블이 꼬여 있기 때문에 인력으로 풀어줘야 하는 번거로움도 존재한다.
만약, 꼬임을 풀어주지 않는 경우, 전선관 내 입선이 힘들뿐만 아니라 케이블이 직선으로 나아가지 못하여 케이블의 사용물량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Figure 112021048981782-pat00001
따라서, 본 출원인은 HSCI 아노드가 구비된 케이스의 단부에 설치되어 HSCI 양극 케이블(이하, '케이블'로 지칭)의 연결을 가능하도록 하는 스플라이스박스(1)를 착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이스박스(1)는 첨부된 도면을 통해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가 장착된 케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를 평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따른 스플라이스박스(1)는, 도 1과 같이 HSCI 아노드가 구비된 케이스의 단부에 결합된 마감캡에 장착된다.
이때, 케이스 내에 HSCI 아노드와 함께 충진된 충진재 또는 에폭시캡은 종래 기술을 응용한 것이고,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이스박스(1)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이스박스(1)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스플라이스박스(1)는, 첨부된 도면의 도 2와 같이, 마감캡에 형성된 홀에 안착되어 구비되는 박스몸체(10)를 포함하는데, 상기 박스몸체(10)는 마감캡에 안착되기 위하여 상면에 폭이 넓어지도록 확장된 영역을 구비하여, 확장된 영역이 마감캡의 상면에 얹혀진 상태로 볼트와 너트, 그리고 와셔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이때, 확장된 영역과 마감캡의 상면 사이에는 패킹(30)이 구비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박스몸체(10)는 내측에 상부캡(2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캡(20)은 박스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홈부를 폐쇄하는 기능을 하되, 케이블의 관통을 위한 관통홀이 상부캡(2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몸체(10)는 홈부의 바닥면 일측에 케이블의 관통을 위한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박스몸체(10)의 관통홀에는 스냅 부싱(B)을 첨부된 도면의 도 2와 같이 결합함으로써, 케이블을 박스몸체(10) 하측의 관통홀을 통과시킬 때, 내부 충진가루가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캡(20)은 원주방향 외측으로 나사산(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박스몸체(10)의 상부캡(20)의 나사산(21)에 맞닿는 내벽에는 나사산(21)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상부캡(20)의 케이블 관통을 위해 관통되는 관통홀에는 케이블그랜드(40)가 결합되는데, 상기 케이블 그랜드(40)는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 습기나 공기 등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자체로서 케이블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박스몸체(10) 내부 일측으로는 케이블연결용 볼트인 스플릿볼트(50)가 구비되며, 상기 스플릿볼트(50)는 2개의 HSCI 양극 케이블을 연결하는 기능을 하며, 이와 같이 케이블과 스플릿볼트(50)를 제외한 박스몸체(10) 내부의 나머지 영역에는 컴파운트 충진재가 충진되도록 구성된다.
즉, 부연하면 케이블의 사용처에서 케이블의 필요한 길이를 재단한 후, 도 1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케이블과 재단된 케이블을 스플릿볼트를 이용하여 연결한 뒤, 재단된 케이블을 케이블그랜드(40)와 상부캡(20)을 이용하여 고정한 후, 박스몸체(10) 내부에 컴파운드 충진재를 충진한 뒤 케이블을 삽입고정하는 것이다.
한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박스몸체(10) 일측(하측)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케이블을 관통시킬 때, 스냅 부싱 대신 관통홀의 내경에 [표 2]에 따른 가압부재의 기능을 하면서 기밀유지 기능을 하는 폐쇄캡를 더 포함하여 적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폐쇄캡은,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케이블이 관통될 수 있는 홀을 포함함이 당연하며, 폐쇄캡을 포함하는 경우 폐쇄캡의 홀이 케이블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하고, 폐쇄캡의 구비를 위한 박스몸체(10)의 관통홀의 직경을 더 확장시킬 수 있다.
Figure 112021048981782-pat00002
[표 2]에 따른 폐쇄캡은, 단면형상으로 도시되었다. 이러한 단면형상에 따른 폐쇄캡은 실제로 링(ring) 형상으로 구성됨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폐쇄캡은 그 외경이 힌지를 이용하여 절첩될 수 있도록 2개의 보조접철부와 2개의 보조접철부 사이에 중간접철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간접철부의 내면에는 2개의 돌출벽이 수평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폐쇄캡의 내경에는 'ㅛ'자 형상을 가지는 ㅛ자캡이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ㅛ자캡이 결합되는 폐쇄캡의 내벽은 빈공간이 되도록 관통되어 있다.
이때, 빈공간을 제외한 폐쇄캡의 내벽에는 별도의 스틸 등의 재질로 된 보조벽이 내삽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ㅛ자캡를 폐쇄캡의 내경 중 빈 공간에 밀어서 끼워 결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ㅛ자캡의 2개의 돌출된 벽 사이에는 스프링이 수용되며, 상기 스프링의 다른 단부는 폐쇄캡의 외경의 내면에 구성된 2개의 돌출벽 사이에 수용되어 스프링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폐쇄캡은 중간접철부가 보조접철부에 의해 다소 오목하게 눌릴 수 있게 되며, 이때,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밀어주는 힘이 작용하도록 하여 박스몸체(10)와 케이블 사이에 기밀유지를 위한 힘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때문에, 패킹(30)을 통해 스플라이스박스(1)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더라도, 2개의 구조에서 기밀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기밀성을 더욱 우수하게 하고, 아울러, 스플라이스박스(1) 내부에 충진된 컴파운드 충진재(60)가 스플라이스박스(1)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이스박스(1)에 의하면, 공수절감 측면에서 전선 및 전선관 지중 설치 공임을 절감할 수 있고, 전선관 지중 매설용 터파기 및 되메우기의 총체적 감소가 가능하며, 납품시 감겨있는 케이블을 설치현장에서 인력으로 풀어야하는 공수가 소모되지 않고, 전선관 작업시 케이블 양단이 결선되어 있지 않고 자유로워 인력으로 쉽게 입선이 가능하며, 도면 상 산출한 양극 케이블이 짧더라도 재시공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아서 추가 인력과 공기 투입이 필요 없다.
또한, 공정개선 측면에서, HSCI 양극 제작시 사내에서 케이블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용이하고 속도가 향상되며, 도면 상 산출된 길이를 가지는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운반시 용이하다.
아울러, 케이블 길이와 상관없이 제작이 가능하여 대량생산 및 규격화가 가능고, 이에 따라 연간 확보 물량이 증가하여 향후 타 발전소 및 플랜트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자재 이동시 케이블이 손상될 위험이 없어서 피복 품질에 대한 우려가 없고, 원자력발전소 TECHNICAL SPEC.에서 요구하는 케이블의 중간 연결 금지에 대한 조항을 준수하면서도 연결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때문에, 본 발명은 한국전력기술에서 설계 개선 사항에 공식으로 채택된 바 있으므로, 산업성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1 : 스플라이스박스
10 : 박스몸체 11 : 제2 나사산
20 : 상부캡 21 : 나사산
30 : 패킹 40 : 케이블그랜드
50 : 케이블연결용 볼트(스플릿볼트) 60 : 컴파운드 충진재

Claims (4)

  1. 결합을 위해 상측에 폭이 넓어지도록 확장된 영역을 구비하고 내부에 오목한 홈이 형성된 박스몸체(10)와;
    상기 박스몸체(10)의 오목한 홈의 개방된 영역을 폐쇄하도록 결합되는 상부캡(20)과;
    상기 상기 상부캡(20)의 관통홀에 케이블의 고정을 위해 결합되는 케이블 그랜드(40)와;
    상기 박스몸체(10)의 오목한 홈 내부에서 케이블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스플릿볼트(50)와;
    상기 스플릿볼트(50)와 케이블을 제외한 박스몸체(10)의 오목한 홈 내부 영역에 충진된 컴파운트 충진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박스몸체(10)의 하측 관통홀에는,
    가압부재의 기능을 하면서 기밀유지 기능을 하는 폐쇄캡을 포함하되,
    상기 폐쇄캡은,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케이블이 관통될 수 있는 홀을 포함하고,
    폐쇄캡의 외경이 힌지를 이용하여 접철될 수 있도록 2개의 보조접철부와 2개의 보조접철부 사이에 중간접철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접철부의 내면에는 2개의 돌출벽이 수평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며,
    폐쇄캡의 내경에는 'ㅛ'자 형상을 가지는 ㅛ자캡이 구성되고,
    상기 ㅛ자캡의 2개의 돌출된 벽 사이에는 스프링이 수용되며, 상기 스프링의 다른 단부는 폐쇄캡의 외경의 내면에 구성된 2개의 돌출벽 사이에 수용되어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스몸체(10)의 폭이 넓어지도록 확장된 영역의 하측에서 패킹(30)이 구비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박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20)에는 나사산(21)이 형성되고,
    상기 박스몸체(10) 내벽에는 상기 나사산(21)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1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캡(20)이 박스몸체(10)에 나사산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박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박스몸체(10)의 하측 관통홀에는, 케이블통과시 충진가루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냅 부싱(B)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박스.
KR1020210054082A 2021-04-27 2021-04-27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 KR102296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082A KR102296484B1 (ko) 2021-04-27 2021-04-27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082A KR102296484B1 (ko) 2021-04-27 2021-04-27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484B1 true KR102296484B1 (ko) 2021-09-01

Family

ID=77779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082A KR102296484B1 (ko) 2021-04-27 2021-04-27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48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7573A (ja) 1993-08-06 1995-03-03 Hitachi Cable Ltd 回転ヒレ付屋外用架橋ポリエチレン絶縁電線の押出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9990006794A (ko) 1997-06-10 1999-01-25 가네꼬 히사시 시각 보정 기능을 구비한 무선 호출 수신기
KR100636441B1 (ko) 1999-10-08 2006-10-18 뿌예 소씨에떼 아노님 광섬유 케이블들을 상호연결하기 위한 장치
KR20070075840A (ko) * 2006-01-16 2007-07-24 주식회사 케이피 일렉트릭 변압기의 방수형 단자
EP2601718B1 (de) * 2010-08-04 2016-02-24 Hella KGaA Hueck & Co Beleuchtungsvorrichtung und dichtelement hierfür
KR102198453B1 (ko) 2020-09-14 2021-01-05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KR102242815B1 (ko) * 2021-02-08 2021-04-21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케이블 패킹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7573A (ja) 1993-08-06 1995-03-03 Hitachi Cable Ltd 回転ヒレ付屋外用架橋ポリエチレン絶縁電線の押出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9990006794A (ko) 1997-06-10 1999-01-25 가네꼬 히사시 시각 보정 기능을 구비한 무선 호출 수신기
KR100636441B1 (ko) 1999-10-08 2006-10-18 뿌예 소씨에떼 아노님 광섬유 케이블들을 상호연결하기 위한 장치
KR20070075840A (ko) * 2006-01-16 2007-07-24 주식회사 케이피 일렉트릭 변압기의 방수형 단자
EP2601718B1 (de) * 2010-08-04 2016-02-24 Hella KGaA Hueck & Co Beleuchtungsvorrichtung und dichtelement hierfür
KR102198453B1 (ko) 2020-09-14 2021-01-05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KR102242815B1 (ko) * 2021-02-08 2021-04-21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케이블 패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77853B (zh) 具有包覆成型的中跨接入部位的配线电缆组件
CA2065090C (en) Fiber optic cable having spliceless branch and method of making
US6181861B1 (en) Arrangement for branching a telecommunications cable containing several stranded elements with optical fibers
JP2007133416A (ja) 可撓性光クロージャ及び他の可撓性光学組立体
JP2008501154A (ja) 別個のコネクタポートを有するテザー組立体
CN102007439A (zh) 光纤接合盒
KR101039826B1 (ko) 접이식 조정장치를 갖는 정보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KR100777263B1 (ko)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2296484B1 (ko)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
CN205826927U (zh) 室内外综合布线ftth光纤接续盒
KR101142604B1 (ko) 초전도 케이블의 중간 접속 구조의 조립 방법
CN101533136A (zh) 防雷击层绞式光缆
WO1997042531A1 (en) Protector used for pulling end of cable connector
JP2019022290A (ja) 電線収容設備における保護管の取付具
US7994426B1 (en) Slack cable arrangement for underground electric service conduit connected to service boxes on the sides of buildings
EP0875777A2 (de) Kabelmuffe für Lichtwellenleiterkabel
KR100736833B1 (ko)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시설구조
JPH06118253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直埋敷設方法及びピットボックス
JP4919646B2 (ja) マンホール構造及びケーブル敷設方法
US5046814A (en) Longitudinal sealing device for an optical cable core
JP7306848B2 (ja) 分岐管継手の設置構造および施工方法
RU157806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места сращивания оптического волокна
KR100384420B1 (ko) 저심선용 광케이블 접속함체
CN207817272U (zh) 一种具有三点固定结构的螺帽密封光缆接头盒
CA3159875A1 (en) Optical fiber splice closure and method of joining fiber optic c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