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453B1 -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 Google Patents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453B1
KR102198453B1 KR1020200117927A KR20200117927A KR102198453B1 KR 102198453 B1 KR102198453 B1 KR 102198453B1 KR 1020200117927 A KR1020200117927 A KR 1020200117927A KR 20200117927 A KR20200117927 A KR 20200117927A KR 102198453 B1 KR102198453 B1 KR 102198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junction box
room
outle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17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통신장비(모뎀 등)가 설치되는 공간과 전기장비(콘센트)가 설치되는 공간의 구분을 통해 통신 케이블과 전기 케이블을 용이하게 결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공간을 갖는 접속함 본체(10)와; 상기 접속함 본체에 고정 설치되며 통신 케이블이 양쪽에서 각각 고정되어 서로 접속되는 접속박스(20)와; 상기 접속함 본체에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30)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함 본체는 내부가 구획벽(40)을 통해 통신실(12)과 전기실(13)로 구획되어 상기 접속박스와 콘센트가 각각 분리 설치되면서 각각의 케이블이 분리 배선되며, 상기 구획벽은 상기 접속함 본체의 마주하는 양쪽 내벽에 상기 통신실과 전기실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홈을 포함하여 상기 통신실과 전기실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통신실과 전기실의 크기를 조절한다.

Description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Cable connection box for telecommunication line with easy wiring}
본 발명은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장비(모뎀 등)가 설치되는 공간과 전기장비(콘센트)가 설치되는 공간의 구분을 통해 통신 케이블과 전기 케이블을 용이하게 결선하는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홈 네트워크, 전화, 인터넷 랜(LAN), TV 등의 통신 회선이나 각종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통신 접속함(단자함)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에 따르면, 전기 공급을 위한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반면 TV가 인터넷 TV로 전환되면서 통신장비(모뎀 등)가 설치되어야 하는데 접속함에는 콘센트를 마련하지 않아 접속함에 구멍을 천공하고 콘센트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속함의 초기 설치 시 콘센트를 설치할 수 있지만 단지 콘센트만을 설치할 뿐 이들의 케이블(통신 케이블, 전기 케이블)의 결선과 배선을 고려하지 않아 결선이 어렵고 케이블의 손상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 제20-0362309호는 내부에 TV분배기와 통신분배기와 TV증폭기 및 데이터허브 등의 통신기기를 설치되고 외면에는 복수개의 전선설치공 또는 세그먼트가 등간격으로 통공 된 단자함본체의 전면에는 프레임과 커버를 고정 및 결합 설치하고, 단자함본체의 상하 및 양 측면에 구멍의 크기를 이중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TV선 록아웃편과 전화선록아웃편이 이중으로 된 이중록아웃부를 형성하며, 단자함본체의 상하 및 양 측면에 에어유통공을 통공한 것에 있어서, 단자함본체의 내면에 설치된 통상의 콘센트와, 단자함본체의 외면에 설치되는 고정면 및 만곡억류면이 형성된 결속브래킷과, 단자함본체의 외면에는 후방으로 연통되는 장착홈을 형성하여 간격유지봉을 장전 설치하도록 한 것이 포함되는 콘센트가 구비된 통합배선 단자함이다.
등록특허 제10-1710648호는 바닥판과, 전면판, 후면판, 우측면판 및 록아웃 구조로 다수의 인입공이 형성되는 좌측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좌측공간을 통신단자함 공간으로 사용하고, 케이스의 우측공간을 분전반 공간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분할하는 분할판과; 상기 케이스의 통신단자함 공간의 좌측바닥에서 양단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과 이격되게 전후면 방향으로 설치되어 통신단자함 공간에 설치되는 각종 통신기기에 전기를 접촉할 수 있도록 마련된 멀티 전원콘센트와; 일단은 상기 좌측면판의 측면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멀티 전원콘센트의 좌측면에 고정되는 전선마감부재를 포함하는 다전원 통합분전반이다.
특허문헌들 모두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을 뿐 케이블의 배선을 고려한 기술이 없다.
등록실용 제20-0362309호 등록특허 제10-171064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장비(모뎀 등)가 설치되는 공간과 전기장비(콘센트)가 설치되는 공간의 구분을 통해 통신 케이블과 전기 케이블을 용이하게 결선하는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공간을 갖는 접속함 본체와; 상기 접속함 본체에 고정 설치되며 통신 케이블이 양쪽에서 각각 고정되어 서로 접속되는 통신 접속박스와; 상기 접속함 본체에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함 본체는 내부가 구획벽을 통해 통신실과 전기실로 구획되어 상기 통신 접속박스와 콘센트가 각각 분리 설치되면서 각각의 케이블이 분리 배선되며, 상기 구획벽은 상기 접속함 본체의 마주하는 양쪽 내벽에 상기 통신실과 전기실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홈을 포함하여 상기 통신실과 전기실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통신실과 전기실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에 의하면, 접속함에 통신장비(모뎀 등)와 전기장비(콘센트)를 설치하는 공간을 미리 확보하고 이들 공간을 구획하여 케이블(통신 케이블, 전기 케이블)을 결선할 때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결손이 가능할 뿐 아니라 케이블의 간섭으로 인한 손상(피복 박리, 합선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통신장비의 위치(내장, 외장)에 맞춰 콘센트의 플러그홈의 방향을 맞춤으로써 통신장비의 플러그를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플러그 케이블의 손상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에 적용된 콘센트의 스윙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에 적용된 콘센트의 스윙 동작을 보인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접속함 본체(10), 접속함 본체(10) 안에 설치되는 접속박스(통신 접속박스)(20)와 콘센트(30), 접속박스(20)와 콘센트(30)를 서로 분리 상태로 유지시키는 구획벽(40)으로 구성되며, 구획벽(40)은 접속박스(20)와 콘센트(30)에 각각 연결되는 통신 메인선(1)과 전기 메인선(2)이 서로 엉키지 않도록 한다.
접속함 본체(10)는 커버(11)에 의해 개폐되는 공간을 갖는 사각 박스형이며, 벽면 등에 설치(매설, 앵커링 등)되고, 통신 메인선(1)과 전기 메인선(2)이 각각 인입과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접속함 본체(10)는 그 내부가 구획벽(40)을 통해 통신실(12)과 전기실(13)로 구획된다.
또한, 접속함 본체(10)는 구획벽(40)의 이동을 위한 레일(14)을 포함한다.
레일(14)은 구획벽(40)의 이동방향에 맞춰 통신실(12)과 전기실(13)을 따라 형성되며, 그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접속함 본체(10)의 천정과 바닥, 또는 접속함 본체(10)의 배면판 등 다양한 위치가 가능하다.
접속박스(20)는 통신 메인선(1)이 연결되는 공지의 제품이며, 콘센트(30)는 전기 메인선(2)이 연결되면서 통신장비(50)의 플러그(51)가 꽂혀 통신장비(50)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지의 제품이다.
구획벽(40)은 접속함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통신실(12)과 전기실(13)로 구분한다.
구획벽(40)은 바람직하게 용이한 보수를 위하여 접속함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더 나아가서는 통신실(12)과 전기실(13)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예를 들어, 구획벽(40)은 접속함 본체(10)의 레일(12)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홈(41)을 포함하여 레일(12)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의 이동 방향은 통신실(12)쪽 또는 전기실(13)을 향하는 방향이며, 따라서, 통신실(12)쪽으로 이동하여 통신실(12)을 좁히면서 전기실(13)을 넓히고 반대로 전기실(13)쪽으로 이동하여 통신실(12)을 넓히면서 전기실(13)을 좁히게 된다.
또한, 구획벽(40)은 통신실(12)에 설치되는 통신장비(50)(인터넷 TV 모뎀 등)가 전기실(13)에 설치된 콘센트(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통신장비(50)의 플러그 케이블(52)을 움직이지 않고 정렬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정렬홈(42)을 포함한다.
구획벽(40)은 전술한 레일홈(41)과 정렬홈(42)이 구비되면서 크기가 변하지 않는 단일형을 기본으로 한다. 단일형의 구획벽(40)은 통신실(12)과 전기실(13)을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접속함 본체(10)의 배면에서부터 항상 동일한 크기의 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케이블의 배선 작업 시 간섭을 일으킬 수 있으며, 따라서, 구획벽(40)은 크기 가변형도 가능하다.
크기 가변형의 구획벽(40)은 접속함 본체(10)에 지지되는 고정부(43) 및 고정부(43)로부터 확장되는 확장부(44)로 구성된다.
고정부(43)는 벽을 형성하기 위한 형태이면서 안쪽의 상하 양쪽에 레일홈(41)이 구비되고 또한 확장부(44)의 확장과 축소를 위하여 예를 들어 좌측 또는 우측에 확장부(44)의 상하 양쪽을 감싸는 턱(45)이 형성된다.
확장부(44)는 고정부(43)처럼 벽의 형태이며, 고정부(43)의 턱(45)에 전후진 가능하게 연결되고 즉, 고정부(43)의 좌측에 중첩되어 축소됨으로써 앞쪽에 여유 공간을 확보하며 또한 고정부(43)의 앞으로 돌출(확장)되어 케이블의 간섭을 확실하게 막아준다.
고정부(43)와 확장부(44)는 케이블들의 간섭을 막으면서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인 전기실(13)이 과열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다공성의 망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확장부(44)를 더 높은 벽을 형성하는 방향 즉 고정부(43)로부터 먼 곳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은 고정부(43) 또는 접속함 본체(10)에 지지되고 타측은 확장부(44)에 연결되는 판스프링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접속함 본체(10) 안은 구획벽(40)을 통해 통신실(12)과 전기실(13)로 구분되어 있고, 따라서 작업자는 통신 작업과 전기 작업 시 각각의 케이블을 다른 공간에 배선하지 않게 되며 결국 케이블들이 서로 엉키거나 섞이지 않기 때문에 결선이 용이하다.
이 때, 통신 작업과 전기 작업에 필요한 공간 확보를 위하여 구획벽(40)을 이동시키며, 예를 들어 통신 작업 시 구획벽(40)을 콘센트(30)쪽으로 이동시켜 통신실(12)을 더 넓히고, 반대로 전기 작업 시 구획벽(40)을 접속박스(20)쪽으로 이동시켜 전기실(13)을 더 넓힌다. 작업을 완료하면 필요에 따라 구획벽(40)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또한, 접속함에 통신장비(50)를 추가로 설치(또는 기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 통신실(12)에 통신장비(50)를 설치하고 플러그(51)를 전기실(13)에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30)에 꽂아 전원을 공급한다. 이 때, 플로그 케이블(52)을 구획벽(40)의 정렬홈(42)에 삽입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구획벽(40)이 고정부(43)와 확장부(44)로 구성된 경우, 확장부(44)를 고정부(43) 옆에 중첩시켜 여유 공간을 확보하여 통신장비(50)의 설치와 연결 작업을 하고, 그 작업을 완료하면 확장부(44)를 앞으로 당겨 통신실(12)과 전기실(13)을 보다 넓게 구획한다.
지금까지는 도면에서 통신장비(50)가 접속함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장형으로 도시하였으나, 통신장비는 접속함 본체(10)에 설치되는 외장형 가능하다.
외장형의 경우에도 상기 통신장비의 플러그를 접속함 본체(10) 내부의 콘센트(30)에 꽂을 수 있도록 도 4와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콘센트(30) 둘레부에 있는 접속함 본체(10)의 측벽에는 상기 플러그의 인입을 위한 구멍으로 플러그 삽입홀(15)이 형성된다.
플러그 삽입홀(15)은 사용되지 않을 때 마개를 통해 폐쇄될 수 있다.
외장형의 통신장비(60)는 접속함 본체(10)의 외부에 설치되지만 플로그(61)가 플러그 삽입홀(15)을 통해 접속함 본체(10) 내부의 콘센트(30)에 꽂혀 사용된다.
즉, 콘센트(30)는 내장형의 통신장비(50)와 외장형의 통신장비(60)에 공용되는 것이며, 이 때, 통신장비(50,60)의 위치에 관계없이 콘센트(30)에 플러그를 꽂거나 빼는 작업이 쉽고 케이블도 손상되지 않도록 콘센트(30)는 플러그 홈(31)의 방향이 변경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콘센트(30)는 스윙 블록(70)을 통해 접속함 본체(10)에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러그 홈(31)의 위치를 변경한다.
스윙 블록(70)은 콘센트(30)의 저면이 안착 고정되는 콘센트 안착부(71), 안착부(71)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어 콘센트(30)의 양쪽면을 덮는 벽부(72), 양쪽의 벽부(72) 중 하나 이상의 벽부(72)에 형성되며 접속함 본체(10)에 형성되는 보스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축부(73)로 구성된다.
축부(73)는 내부가 빈 중공으로 구성되어 콘센트(30)의 전원선이 수용되도록 하고, 아울러, 벽부(72)와 축부(73)에는 콘센트(30)의 전원선이 수용되도록 둘레부에 내부와 외부가 통하는 홈이 구성된다.
또한, 축부(73)의 외주면 및 축부(73)가 지지되는 접속함 본체(10)의 보스를 서로 치합되는 기어 형태로 형성하여 스윙 블록(70)의 조작감을 주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내장형의 통신장비(50)의 경우 스윙 블록(70)의 스윙을 통해 콘센트(30)의 플러그 홈(31)이 내장형의 통신장비(50)를 향하도록 하고 플러그(51)를 꽂아 사용한다.
한편, 외장형의 통신장비(60)의 경우 스윙 블록(70)의 스윙을 통해 콘센트(30)의 플러그 홈(31)이 플러그 삽입홀(15)을 향하도록 하고 접속함 본체(10)의 외부에 설치된 통신장비(60)의 플러그(61)를 플러그 삽입홀(15)을 통해 접속함 본체(10) 안에 삽입한 후 콘센트(30)에 꽂아 사용한다.
10 : 접속함 본체, 11 : 커버
12 : 통신실, 13 : 전기실
14 : 레일,
20 : 접속박스, 30 : 콘센트
40 : 구획벽, 41 : 레일홈
50,60 : 통신장비, 70 : 스윙 블록
71 : 안착부, 72 : 벽부
73 : 축부,

Claims (4)

  1.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공간을 갖는 접속함 본체(10)와;
    상기 접속함 본체에 고정 설치되며 통신 케이블이 양쪽에서 각각 고정되어 서로 접속되는 접속박스(20)와;
    상기 접속함 본체에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30)와;
    상기 접속함 본체의 측벽 중에서 상기 콘센트와 대응하는 측벽에 내부와 외부가 통하도록 형성되는 플러그 삽입홀(15)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함 본체는 내부가 구획벽(40)을 통해 통신실(12)과 전기실(13)로 구획되어 상기 접속박스와 콘센트가 각각 분리 설치되면서 각각의 케이블이 분리 배선되며,
    상기 구획벽은 상기 접속함 본체에 상기 통신실과 전기실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14)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홈(41)을 포함하여 상기 통신실과 전기실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통신실과 전기실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콘센트는 상기 접속함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윙 블록(70)을 통해 플러그홈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플러그 삽입홀을 향하거나 반대쪽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상기 접속함 본체에 지지되는 고정부(43) 및 상기 고정부에 중첩되거나 확장되도록 연결되는 확장부(44)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의 결선 시 상기 확장부를 상기 고정부에 중첩시켜 공간을 확보하고 정렬홈(42)을 통해 통신장비의 플러그 케이블을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윙 블록은 상기 콘센트가 고정되는 안착부(71), 상기 안착부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벽부(72), 상기 벽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함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축부(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KR1020200117927A 2020-09-14 2020-09-14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KR102198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927A KR102198453B1 (ko) 2020-09-14 2020-09-14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927A KR102198453B1 (ko) 2020-09-14 2020-09-14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453B1 true KR102198453B1 (ko) 2021-01-05

Family

ID=7414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927A KR102198453B1 (ko) 2020-09-14 2020-09-14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4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484B1 (ko) 2021-04-27 2021-09-01 주식회사 삼공사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309Y1 (ko) 2004-06-11 2004-09-16 전은숙 콘센트가 구비된 통합배선 단자함
KR20120020876A (ko) * 2010-08-31 2012-03-08 남영기전 주식회사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101606555B1 (ko) * 2014-11-05 2016-03-28 파워에이스 주식회사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
KR20160122938A (ko) * 2015-04-14 2016-10-25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다전원 통합분전반
CN210985197U (zh) * 2019-11-12 2020-07-10 陕西学考乐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预装式变电站
CN211018014U (zh) * 2019-12-26 2020-07-14 江苏海事职业技术学院 一种电工电子设备的柜体
CN211456271U (zh) * 2020-01-10 2020-09-08 天津市爱尔华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铠装抗冲击开关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309Y1 (ko) 2004-06-11 2004-09-16 전은숙 콘센트가 구비된 통합배선 단자함
KR20120020876A (ko) * 2010-08-31 2012-03-08 남영기전 주식회사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101606555B1 (ko) * 2014-11-05 2016-03-28 파워에이스 주식회사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
KR20160122938A (ko) * 2015-04-14 2016-10-25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다전원 통합분전반
KR101710648B1 (ko) 2015-04-14 2017-02-28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다전원 통합분전반
CN210985197U (zh) * 2019-11-12 2020-07-10 陕西学考乐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预装式变电站
CN211018014U (zh) * 2019-12-26 2020-07-14 江苏海事职业技术学院 一种电工电子设备的柜体
CN211456271U (zh) * 2020-01-10 2020-09-08 天津市爱尔华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铠装抗冲击开关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484B1 (ko) 2021-04-27 2021-09-01 주식회사 삼공사 Hsci 양극 케이블 연결용 스플라이스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7895B1 (en) Device box for wall mounted communications apparatus
JP4686324B2 (ja) 少なくとも2つの接続ボックスを備えたハウジング装置
US7465178B2 (en) Raceway with multi-positionable receptacle blocks
US4308418A (en) Arrangement for hard wiring movable room divider panels
US7183504B2 (en) Electrical floor access module system
US7494356B2 (en) Wireless and adjustable raceway
US20140099830A1 (en) One in four out connector
US20090301774A1 (en) Electrical floor access module system
KR101749649B1 (ko)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세대단자함 장치
KR102198453B1 (ko)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JP2010541181A (ja) 電気通信技術におけるコネクタ
US20150111403A1 (en) Adjustable flat wire raceway
US6902415B2 (en) Four-way electrical circuit splitter for use with modular electrical systems
US6211460B1 (en) Multi-device yoke for a surface raceway system
US7108532B2 (en) Circuit selectable receptacle
JP4564637B2 (ja) 埋め込み形分電盤と縦型分電盤ユニット
KR101710648B1 (ko) 다전원 통합분전반
KR100337281B1 (ko) 배선덕트
KR200236626Y1 (ko) 다목적배선덕트
KR100427847B1 (ko)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KR20010016039A (ko) 힌지식가변형배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정보통신선로용공통장치함
KR20020086348A (ko) 인출구겸용 세대단자함커버와 결합된 세대단자함과 이를이용한 단위세대내 통신선로의 배선시스템
KR200274781Y1 (ko) 빌딩용 시스템박스
JP2927336B2 (ja) ケーブルダクト
JP2573456B2 (ja) 屋内配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