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938A - 다전원 통합분전반 - Google Patents

다전원 통합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938A
KR20160122938A KR1020150052699A KR20150052699A KR20160122938A KR 20160122938 A KR20160122938 A KR 20160122938A KR 1020150052699 A KR1020150052699 A KR 1020150052699A KR 20150052699 A KR20150052699 A KR 20150052699A KR 20160122938 A KR20160122938 A KR 20160122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se
space
hinge plate
pow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0648B1 (ko
Inventor
오병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52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648B1/ko
Publication of KR20160122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통신단자함 공간에 멀티 전원콘센트를 설치함으로써 다수의 통신기기에 전원이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멀티 전원콘센트를 이용하여 통신기기에 사용되는 전선이 깔끔하게 마감되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하고 전선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전원 통합분전반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다전원 통합분전반{CONSOLIDATION CABINET PANEL}
본 발명은 다전원 통합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단자함 공간에 멀티 전원콘센트를 설치함으로써 다수의 통신기기에 전원이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멀티 전원콘센트를 이용하여 통신기기에 사용되는 전선이 깔끔하게 마감되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하고 전선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전원 통합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빌딩 등과 같은 건물의 단위세대에는 옥외의 상용전원을 옥내로 인입하여 필요 개소에 분기하는 개폐기나 회로의 쇼트, 누전 등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차단기를 구비하는 분전반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 전화, 인터넷 랜(LAN), 텔레비전등의 정보통신 회선이나 각종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통신단자함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분전반과 통신단자함을 별개로 분리하여 설치할 경우 별도의 자재와 시공으로 설치비용이 상승되고 유지보수 작업의 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을 불필요하게 많이 차지하므로 최근에는 분전반과 통신단자함의 일체형 구조인 이른바 통합분전반이 시장의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통합분전반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 내부를 통신단자함 공간(A)과 분전반 공간(B)으로 분할하는 분할판(20)으로 구성되며, 통신단자함 공간에는 통신기기가 설치되고, 분전반 공간(B)에는 전원기기 및 전원기기에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다수의 차단기가 설치된다.
이 때, 각종 통신기기에 전기를 접속할 수 있도록 전원콘센트(30)가 통신단자함에 설치되는 데, 종래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단자함의 측면에 설치공을 형성하고 전원콘센트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되어 전체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인터넷 환경의 발달로 통신단자함에 설치되는 통신기기가 TV 분배기, 통신분배기, TV 증폭기, 데이터 허브, 홈 네트워크선로 등과 같이 다양화되어 다수의 전원콘센트가 필요하나, 종래의 통신단자함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전원콘센트는 주로 2구 콘센트였기 때문에 사용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통신단자함 공간에는 통신기기에 사용되는 다수의 전선이 배열되는 데, 정리되지 않고 배열됨에 따라 미관이 좋지 않고 작업중에 전선을 건드려서 전선이 끊어지거나 통신기기에서 빠지는 등 사용이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통합분전반의 통신단자함에는 다수의 통신기기에 전원이 접속될 수 있도록 멀티 전원콘센트를 설치한 다전원 통합분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통신기기에 사용되는 전선이 깔끔하게 마감되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하고 전선이 훼손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는 다전원 통합분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판과, 전면판, 후면판, 우측면판 및 록아웃 구조로 다수의 인입공이 형성되는 좌측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좌측공간을 통신단자함 공간으로 사용하고, 케이스의 우측공간을 분전반 공간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분할하는 분할판과; 상기 케이스의 통신단자함 공간의 좌측바닥에서 양단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과 이격되게 전후면 방향으로 설치되어 통신단자함 공간에 설치되는 각종 통신기기에 전기를 접촉할 수 있도록 마련된 멀티 전원콘센트와; 일단은 상기 좌측면판의 측면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멀티 전원콘센트의 좌측면에 고정되는 전선마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전원 통합분전반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단자함 공간의 바닥의 좌측의 전면부분과 후면부분에는 내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레일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멀티 전원콘센트의 저면에는 상기 레일부재의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여 멀티 전원콘센트와 케이스의 좌측면판의 사이의 공간을 증감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홈 내에는 일단은 레일부재의 단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가이드돌기에 지지되어 멀티 전원콘센트를 케이스의 좌측면판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선마감부재는 하부경첩판과, 연결경첩판 및 상부경첩판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경첩판은 하단은 상기 멀티 전원콘센트의 좌측면에 고정되며 상단은 멀티 전원콘센트에서 돌출되고, 상기 상부경첩판은 좌측단은 상기 케이스의 좌측면판의 측면상단에 착탁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경첩판은 우측단이 상기 하부경첩판의 상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측단은 상기 상부경첩판의 타단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전원 통합분전반은 통신단자함 공간에 멀티 전원콘센트를 설치함으로써 다수의 통신기기에 전원이 접속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멀티 전원콘센트를 이용하여 통신기기에 사용되는 전선이 깔끔하게 마감되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하고 전선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통합분전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전원 통합분전반의 사시도이며,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전원 통합분전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5는 도3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전원 통합분전반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전원 통합분전반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전원 통합분전반의 사시도이며,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전원 통합분전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5는 도3의 A-A선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전원 통합분전반(100)은 케이스(110), 분할판(120), 멀티 전원콘센트(130) 및 전선마감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바닥판(111)과, 전면판(112), 후면판(113), 우측면판(114) 및 좌측면판(11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상면이 개방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면판(115)에는 록아웃구조로 인입공(116)이 형성되어, 전선을 인입할 때에는 인입공을 막는 폐색판을 제거하여 사용하며, 개방된 상면에는 미도시된 커버를 통해 마감된다.
이와 같은 케이스는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ABS수지, 또는 금속 및 비금속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경우 일체형 사출 제작이 가능하고, 금속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할 경우 프레스 및 절곡 가공 등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분할판(120)은 상기 케이스의 좌측공간을 통신단자함 공간(A)으로 사용하고, 케이스의 우측공간을 분전반 공간(B)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분할하는 판으로서, 상기 통신단자함 공간에는 TV 분배기, 통신분배기, TV 증폭기, 데이터 허브, 홈 네트워크선로와 같은 다양한 통신기기가 장착되고, 상기 분전반 공간에는 전원기기 및 이를 제어하는 차단기등이 설치된다.
상기 멀티 전원콘센트(130)는 상기 케이스의 통신단자함 공간의 좌측바닥에 설치되어 다양한 통신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통신기기의 다양화에 의해 최소 6구 이상의 다전원 멀티 전원콘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멀티 전원콘센트(130)는 양단이 상기 전면판(112)과 후면판(113)과 이격되게 전후면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좌측면판(115)에 형성된 인입공(116)으로 통해 인입된 전선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112)과 멀티 전원콘센트(130) 사이의 공간 및 후면판(113)과 멀티 전원콘센트(130) 사이의 공간을 걸쳐 통신기기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선마감부재(140)은 일단은 상기 좌측면판(115)의 측면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멀티 전원콘센트(130)의 좌측면에 고정되어서, 좌측면판(115)과 멀티 전원콘센트(130) 사이의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전원 통합분전반은 케이스의 좌측면판(115)과 멀티 전원콘센트(130) 사이의 공간을 증감함과 더불어 전선이 유동없이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입공(116)으로 인입되는 전선량이 적은 경우에는 케이스의 좌측면판(115)과 멀티 전원콘센트(130) 사이의 공간을 감소시키고, 인입공(116)으로 인입되는 전선량이 많은 경우에는 케이스의 좌측면판(115)과 멀티 전원콘센트(130) 사이의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케이스의 좌측면판과 멀티 전원콘센트 사이의 공간을 증감함에 따라 상기 전선마감부재(140)의 길이 역시 증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단자함 공간 바닥의 좌측 전면부분과 후면부분에는 내부에 가이드홈(211)이 형성된 레일부재(210)가 설치되고, 상기 멀티 전원콘센트(130)의 저면에는 상기 레일부재(210)의 가이드홈(2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이드돌기(221)를 구비한 가이드부재(2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211) 내에는 일단은 레일부재(210)의 단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가이드돌기(221)에 지지되어, 레일부재(210)의 단부를 지점으로 상기 가이드돌기(221)를 케이스의 좌측면판(115) 측으로 가압함으로서 멀티 전원콘센트(130)를 케이스의 좌측면판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00)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인입공(116)으로 인입되는 전선량에 따라,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전원콘센트(130)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케이스의 좌측면판(115)과 멀티 전원콘센트(130) 사이의 공간을 증감할 수 있고, 탄성부재(300)에 의해 멀티 전원콘센트(130)가 케이스의 좌측면판(115) 측으로 가압됨으로서 전선을 유동없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선마감부재(140)은 하부경첩판(141)과, 연결경첩판(142) 및 상부경첩판(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경첩판(141)은 그 하단은 상기 멀티 전원콘센트(130)의 좌측면에 고정되며 상단은 멀티 전원콘센트(130)에서 돌출되고, 상기 상부경첩판(143)은 좌측단은 상기 케이스의 좌측면판의 측면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경첩판(142)은 우측단이 상기 하부경첩판(141)의 상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측단은 상기 상부경첩판(143)의 타단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나아가, 상기 케이스의 좌측면판의 측면상단에는 자석(400)이 부착되고, 상기 상부경첩판(143)의 좌측단에는 상기 상부경첩판(143)의 좌측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판(144)이 형성되어 상기 부착판(144)이 상기 자석(4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하부경첩판(141)과, 연결경첩판(142), 상부경첩판(143) 및 부착판(144)의 회동구조는 공지된 바와 같이 경첩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고, 회동핀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선마감부재(140)는 길이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멀티 전원콘센트(130)가 좌우로 이동하여 케이스의 좌측면판(115)과 멀티 전원콘센트(130) 사이의 공간이 증감되더라도 전선을 깔끔하게 마감할 수 있게 된다.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콘센트(13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케이스의 좌측면판과 멀티 전원콘센트 사이의 공간이 감소되는 경우에는 연결경첩판(142)과 상부경첩판(143)이 "ㄱ"자 형상으로 회동되여 전선을 마감하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콘센트(13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케이스의 좌측면판과 멀티 전원콘센트 사이의 공간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연결경첩판(142)과 상부경첩판(143)이 "-"자 형상으로 회동되여 전선을 마감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부착판(144)은 상부경첩판(143)의 좌측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부경첩판과 부착판의 각도에 상관없이 자석면에 언제나 밀착되게 부착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전원 통합분전함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전원콘센트가 더 필요한 경우 분할판의 좌측면에 멀티 전원콘센트(130-1)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전원 통합분전반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단자함 공간에 멀티 전원콘센트(130)를 설치함으로써 다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으며, 전선마감부재(140)에 의해 통신기기에 연결되는 전선을 깔끔하게 마감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110: 케이스 115: 좌측면판
120: 분할판 130: 멀티 전원콘센트
140: 전선마감부재 141: 하부경첩판
142: 연결경첩판 143: 상부경첩판
144: 부착판 210: 레일부재
220: 가이드부재 300: 탄성부재
400: 자석

Claims (4)

  1. 바닥판과, 전면판, 후면판, 우측면판 및 록아웃 구조로 다수의 인입공이 형성되는 좌측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좌측공간을 통신단자함 공간으로 사용하고, 케이스의 우측공간을 분전반 공간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분할하는 분할판과;
    상기 케이스의 통신단자함 공간의 좌측바닥에서 양단이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과 이격되게 전후면 방향으로 설치되어 통신단자함 공간에 설치되는 각종 통신기기에 전기를 접촉할 수 있도록 마련된 멀티 전원콘센트와;
    일단은 상기 좌측면판의 측면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멀티 전원콘센트의 좌측면에 고정되는 전선마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전원 통합분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자함 공간의 바닥의 좌측의 전면부분과 후면부분에는 내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레일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멀티 전원콘센트의 저면에는 상기 레일부재의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여 멀티 전원콘센트와 케이스의 좌측면판의 사이의 공간을 증감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홈 내에는 일단은 레일부재의 단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가이드돌기에 지지되어 멀티 전원콘센트를 케이스의 좌측면판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전원 통합분전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마감부재는
    하부경첩판과, 연결경첩판 및 상부경첩판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경첩판은 하단은 상기 멀티 전원콘센트의 좌측면에 고정되며 상단은 멀티 전원콘센트에서 돌출되고, 상기 상부경첩판은 좌측단은 상기 케이스의 좌측면판의 측면상단에 착탁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경첩판은 우측단이 상기 하부경첩판의 상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측단은 상기 상부경첩판의 타단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전원 통합분전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좌측면판의 측면상단에는 자석이 부착되고,
    상기 상부경첩판의 좌측단에는 상기 상부경첩판의 좌측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판이 형성되어 상기 부착판이 상기 자석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전원 통합분전반.
KR1020150052699A 2015-04-14 2015-04-14 다전원 통합분전반 KR101710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699A KR101710648B1 (ko) 2015-04-14 2015-04-14 다전원 통합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699A KR101710648B1 (ko) 2015-04-14 2015-04-14 다전원 통합분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938A true KR20160122938A (ko) 2016-10-25
KR101710648B1 KR101710648B1 (ko) 2017-02-28

Family

ID=57446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699A KR101710648B1 (ko) 2015-04-14 2015-04-14 다전원 통합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6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453B1 (ko) * 2020-09-14 2021-01-05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WO2021034797A1 (en) * 2019-08-20 2021-02-25 Commscope Technologies Llc Power distribution panels and methods of making power termination connec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887U (ja) * 1992-02-25 1993-09-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一体型回路装置ならびにコネクタ一体型回路付き筐体
KR200362309Y1 (ko) * 2004-06-11 2004-09-16 전은숙 콘센트가 구비된 통합배선 단자함
KR101010309B1 (ko) * 2008-06-10 2011-01-27 (주)금광이앤티 단자함
KR101127551B1 (ko) * 2010-08-31 2012-03-23 남영기전 주식회사 세대 통합형 단자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887U (ja) * 1992-02-25 1993-09-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一体型回路装置ならびにコネクタ一体型回路付き筐体
KR200362309Y1 (ko) * 2004-06-11 2004-09-16 전은숙 콘센트가 구비된 통합배선 단자함
KR101010309B1 (ko) * 2008-06-10 2011-01-27 (주)금광이앤티 단자함
KR101127551B1 (ko) * 2010-08-31 2012-03-23 남영기전 주식회사 세대 통합형 단자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4797A1 (en) * 2019-08-20 2021-02-25 Commscope Technologies Llc Power distribution panels and methods of making power termination connections
KR102198453B1 (ko) * 2020-09-14 2021-01-05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결선이 용이한 전기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648B1 (ko)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52666B2 (en) The electric power connecting kit
US9627873B2 (en) Customizable bus systems
US20180287322A1 (en) Electrical receptacle with in-line power unit
CN203859355U (zh) 一种智能家居电力连接系统
CN105556755A (zh) 用于可移动插座的通电导轨的装置
US10700469B2 (en) Modular electrical wiring system and methods therefor
US20170141505A1 (en) Retractable recessed electrical outlet and data port assembly
KR101710648B1 (ko) 다전원 통합분전반
KR20180068446A (ko) 콘센트 설치 구조
CN204696394U (zh) 可移动电力连接系统
CN203252216U (zh) 一种便于布线的电视柜
CN104993340A (zh) 一种室内电力连接系统
KR200465224Y1 (ko)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
CA2976631C (en) Retractable recessed electrical outlet and data port assembly
CN205141308U (zh) 一种建筑室内插座扩展安装盒结构
WO2009153582A1 (en) Power supply system
CN215732701U (zh) 一种智能建筑的弱电箱
CN206060103U (zh) 一种接线盒
CN209329260U (zh) 一种自带充电线的墙插座
CN106207676B (zh) 扩展式智能供电装置
CN220042591U (zh) 排线整齐的弱电安装保护装置
CN203734085U (zh) 具有多个usb的充电墙壁插座
CN106207764A (zh) 一种配电母线系统
CN209184076U (zh) 低压抽出式成套智能开关柜
CN208434228U (zh) 一种风电机组控制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