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228B1 -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 및 정렬방법 - Google Patents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 및 정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228B1
KR102295228B1 KR1020210014413A KR20210014413A KR102295228B1 KR 102295228 B1 KR102295228 B1 KR 102295228B1 KR 1020210014413 A KR1020210014413 A KR 1020210014413A KR 20210014413 A KR20210014413 A KR 20210014413A KR 102295228 B1 KR102295228 B1 KR 102295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mask
alignment
photomasks
fine metal
moun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훈
김재범
한덕기
Original Assignee
풍원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풍원정밀(주) filed Critical 풍원정밀(주)
Priority to KR1020210014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228B1/ko
Priority to CN202280009076.3A priority patent/CN116710848A/zh
Priority to PCT/KR2022/001003 priority patent/WO202216412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9/00Registration or positioning of originals, masks, frames, photographic sheets or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automatically
    • G03F9/70Registration or positioning of originals, masks, frames, photographic sheets or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automatically for microlithography
    • G03F9/7073Alignment marks and their enviro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9/00Registration or positioning of originals, masks, frames, photographic sheets or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automatically
    • G03F9/70Registration or positioning of originals, masks, frames, photographic sheets or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automatically for microlithography
    • G03F9/7096Arrangement, mounting, housing, environment, cleaning or maintenance of apparatus
    • H01L51/0011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selective deposition, e.g. using a mas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 및 정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 상기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포토 마스크 흡착부; 정렬 기준점이 적어도 두 개 형성되며, 상기 정렬 기준점은 정렬 마크와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정렬 기준부; 및 상기 정렬 기준부와 정렬 마크의 중첩 상태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는 촬영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정렬 기준점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포토 마스크 중 제1포토 마스크에 형성된 정렬 마크에 중첩되고, 나머지는 제1포토 마스크에 인접하여 정렬된 제2포토 마스크에 형성된 정렬 마크에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 및 정렬방법{Multiple photomask aligner which can manufacture fine metal mask for large scaled display and the allign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8세대 대면적 디스플레이 제작용 미세 금속 마스크(fine metal mask)를 용이하게 제작하기 위하여, 복수의 포토 마스크 원자재 또는 복수의 포토 마스크를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8세대의 확장된 유효부를 갖는 미세 금속 마스크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6.5세대 디스플레이 제작용 미세 금속 마스크에 비하여 길이가 연장된 유효부를 갖는 미세 금속 마스크를 제작함에 있어서 생산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의 6.5세대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조용 노광장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산업발전 과정에서 '대형화'는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규모를 확대해 지속 성장하는 토대가 되어왔다. 대형화는 대면적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라인 구축 및 생산 패널 인치의 확대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대면적 라인을 구축, 생산성을 높이고 더 저렴한 원가로 대형 패널을 생산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OLED 소자를 증착하기 위한 핵심 부품이 미세 금속 마스크(Fine metal mask)인데, 기존의 6.5세대 OLED 화소 증착용 미세 금속 마스크로는 더 이상 대면적화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트렌드를 따라잡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따라서, 8세대 OLED 화소 증착용 미세 금속 마스크(이하에서는 "8세대 마스크"로 약칭함)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미세 금속 마스크는 화소가 증착되도록 패턴이 형성된 영역인 유효부와 화소를 증착하는 과정에서 미세 금속 마스크를 패널 위에 안착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마스크 고정 역할을 하도록 상기 유효부의 양단에 형성된 그립부로 구성된다.
다만, 6.5세대 마스크는 유효부의 길이가 1100mm인 반면, 8세대 마스크는 유효부의 길이가 2200mm이며, 여기에 그립부의 길이까지 고려하면 2600mm에 달하여, 최장 2400mm의 길이까지 노광이 가능한 기존의 노광기로써 8세대 마스크를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8세대 마스크의 생산에 적합한 노광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많은 자본이 소요되는 만큼 높은 시장 가격의 형성이 예상되며, 따라서 새로운 노광기의 도입에 따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아울러, 8세대 마스크를 제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포토 마스크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갯수를 합지하는 형태인 바, 각각 선가공된 포토 마스크 2개를 합지하는 과정에서 2개의 포토 마스크간 정렬의 연속성이나 정합성이 확보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와 같이 정렬의 연속성이나 정합성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에는 화소 형성과정에서 화소 불량이 발생되고, 불량화소로 인하여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8세대 마스크를 제작하기 위한 새로운 공정기술 개발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포토 마스크를 높은 정확도로 정렬함으로써, 높은 정렬도를 갖는 8세대 대면적 디스플레이 제조용 미세 금속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노광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와 정렬방법을 새로이 제시함으로써, 8세대 대면적 디스플레이 제조용 미세 금속 마스크를 제조할 때, 새로운 노광기의 개발 필요성을 해소하고 통상의 노광기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포토 마스크를 정렬하기 위한 별도의 얼라이너를 제작하고 복수의 포토 마스크를 간편한 방법으로 정밀하게 정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렬이 완성된 복수의 포토 마스크를 노광기로 이송할 때, 정렬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포토 마스크 접합틀에 제2 포토 마스크 흡착구를 보강 설치하여, 흡착상태에서 노광기로 이송하여 노광함으로써, 정밀한 8세대 미세 금속 마스크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 상기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포토 마스크 흡착부; 정렬 기준점이 적어도 두 개 형성되며, 상기 정렬 기준점은 정렬 마크와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정렬 기준부; 및 상기 정렬 기준부와 정렬 마크의 중첩 상태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는 촬영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정렬 기준점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포토 마스크 중 제1포토 마스크에 형성된 정렬 마크에 중첩되고, 나머지는 제1포토 마스크에 인접하여 정렬된 제2포토 마스크에 형성된 정렬 마크에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포토 마스크 정렬 장치는, 상기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포토 마스크 승강바; 및 상기 복수의 포토 마스크 합지시 경계면에서 포토 마스크들을 지지하는 지지 글라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정렬 기준점의 갯수만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토 마스크의 상부로부터 상기 포토 마스크를 지지하기 위한 접합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합틀 중 상기 포토 마스크와 접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2 포토 마스크 흡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렬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며, 포토 마스크 상에 적어도 1개의 정렬 마크를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정렬 마크가 생성된 적어도 두 개의 포토 마스크들을 노광기의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에 1차 정렬하여 장착하는 제2단계; 상기 장착된 포토 마스크간 정렬 마크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3단계; 및 확인된 정렬 마크의 위치에 따라서 정렬 상태의 완성 여부를 확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상태의 완성여부는 각 포토 마스크에 형성된 정렬 마크와 정렬 기준부의 일치여부로부터 인정되며, 정렬상태가 미완성된 경우 상기 포토 마스크들을 2차 정렬한 후 상기 제3단계부터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포토 마스크를 높은 정확도로 정렬함으로써, 높은 정렬도를 갖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노광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와 정렬방법을 새로이 제시함으로써, 8세대 대면적 디스플레이 제조용 미세 금속 마스크를 제조할 때, 새로운 노광기의 개발 필요성을 해소하고 통상의 노광기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포토 마스크를 정렬하기 위한 별도의 얼라이너를 제작함으로써, 노광 공정 수행 전에 복수의 포토 마스크를 간편한 방법으로 정밀하게 정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렬이 완성된 복수의 포토 마스크를 노광기로 이송할 때, 정렬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포토 마스크 접합틀에 제2 포토 마스크 흡착구를 보강 설치하여, 흡착상태에서 노광기로 이송하여 노광함으로써, 정밀한 8세대 미세 금속 마스크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의 개별적 포토 마스크를 합지하고 정렬도를 확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별도의 정렬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정렬 장치를 측면에서 나타냄과 동시에 포토 마스크의 합지 및 정렬상태 확인을 위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토 마스크 접합틀에 형성되는 제2 포토 마스크 흡착부를 노광기 장착 프레임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8세대 미세 금속 마스크를 제작하는 것으로서, 8세대 미세 금속 마스크는 기존의 6.5세대 미세 금속 마스크보다 유효부의 길이가 2배 길게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8세대 미세 금속 마스크의 전체 길이는 2600mm로서, 1500mm의 6.5세대 미세 금속 마스크 전체 길이 대비 1100mm 더 길다. 한편, 미세 금속 마스크 제조를 위한 일 과정인 노광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노광기는 최대 2500mm 길이의 피처리체를 노광할 수 있기 때문에, 6.5세대 미세 금속 마스크의 1회 전체 노광은 가능하나, 8세대 미세 금속 마스크의 1회 전체 노광은 불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의 개별적 포토 마스크를 합지하고 정렬도를 확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별도의 정렬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정렬 장치를 측면에서 나타냄과 동시에 포토 마스크의 합지 및 정렬상태 확인을 위한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토 마스크 접합틀에 형성되는 제2 포토 마스크 흡착부를 노광기 장착 프레임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는 포토 마스크(130-1, 130-2)가 장착되는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170)에 형성된 흡착부(171)에 관한 평면형상을 나타낸 것인 반면, 도 2와 도 3에서는 접합틀(230)과 제2 포토 마스크 흡착부(231)에 관한 평면 형상을 나타낸 것임을 유념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노광기와는 별도로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170)을 구성하고, 여기에 승강바(173), 지지 글라스 등을 마련한 포토 마스크 정렬 장치(2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포토 마스크 정렬 장치(200)는 정렬 기준부(181) 및 촬영장치로 구성되며 고정된 포토 마스크 정렬 시스템(180)을 구비하고, 포토 마스크를 거치할 수 있는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170)을 포함하는 독립적인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포토 마스크 정렬 장치(200)는,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170); 상기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17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포토 마스크 흡착부(171); 정렬 기준점(182)이 적어도 두 개 형성되며, 상기 정렬 기준점(182)은 정렬 마크(145)와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정렬 기준부(181); 및 상기 정렬 기준부(181)와 정렬 마크(145)의 중첩 상태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는 촬영 장치(183);를 포함하되, 상기 정렬 기준점(182)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포토 마스크 중 제1포토 마스크에 형성된 정렬 마크(145)에 중첩되고, 나머지는 제1포토 마스크에 인접하여 정렬된 제2포토 마스크에 형성된 정렬 마크(145)에 중첩된다.
본 실시예의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170), 포토 마스크 흡착부(171)는 1) 노광기에 구성된 것과 별도로 독립적으로 구성되었고, 2) 정렬 기준부(181)와 촬영 장치(183)를 포함하는 포토 마스크 정렬 시스템(180)이 프레임에 고정되었으며, 3)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다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4)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17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포토 마스크 승강바(173);가 구비되어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중앙부로 승하강하며, 포토 마스크를 지지하여 상기 프레임에 안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복수의 포토 마스크 합지 후 정렬 상태가 확정되면, 포토 파스크의 경계면에 포토 마스크들을 지지하며, 포토 마스크 이동시 이동시 그 정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지지체(2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체(220)는 그 재질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글라스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도 1에 도시된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170)은 포토 마스크가 거치(장착)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프레임에 의하여 둘러싸인 중앙부분은 관통되어 있으며, 포토 마스크가 안착된 투명한 거치판(172)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거치판(172)은 유리판을 주로 채택한다. 유리판은 내열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투명하기 때문에 노광 과정을 수행하는데 적합하기 때문이다. 다만, 유리판이 아닌 적절한 재질이 대체재로 채택될 수도 있다.
아울러, 프레임(170)의 테두리에는 음압이 걸리는 슬릿(slit, 171)이 마련되어 있어 포토 마스크를 거치하면 음압에 의하여 포토 마스크(130)를 프레임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포토 마스크(130)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위 슬릿(171)은 홀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음압을 이용할 수 있는 틈새 공간은 어떠한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170)은 제작된 단위 포토 마스크(130-1, 130-2) 두개가 거치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그러나, 거치될 수 있는 포토 마스크의 수량은 두 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프레임의 크기나 마스크의 길이에 따라서 더 많은 포토 마스크가 거치될 수도 있다.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170)은 단일의 포토 마스크를 고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금속 판재(190)를 노광하는 공정에 사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포토 마스크(130-1, 130-2)를 합지 및 거치하고 이들간의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복수의 포토 마스크를 합지하는 경우 패턴의 정렬이 면밀하게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복수의 포토 마스크를 정밀하게 정렬하여야 하며,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별도로 강구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포토 마스크 정렬 시스템(180)이 탑재된 정렬 장치를 고안하였으며, 이로써, 합지된 포토 마스크의 정렬상태를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고, 노광 과정의 수행에 적합한 정렬 상태를 갖는 합지된 포토 마스크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토 마스크를 제작하는 과정은, 포토 마스크 상에 적어도 1개의 정렬 마크(145)를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정렬 마크(145)가 생성된 적어도 두 개의 포토 마스크들을 노광기의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170)에 1차 정렬하여 장착하는 제2단계; 상기 장착된 포토 마스크간 정렬 마크(145)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3단계; 및 확인된 정렬 마크(145)의 위치에 따라서 정렬 상태의 완성 여부를 확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며, 정렬상태가 미완성된 경우 상기 포토 마스크들을 2차 정렬한 후 상기 제3단계부터 다시 수행하게 된다.
포토 마스크상에 생성되는 정렬 마크(145)는 바람직하게는 패턴이 형성된 영역을 벗어나서 표기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가장 무난한 위치로서는 사각의 포토 마스크 꼭지점 인근의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정렬 마크(145)는 네개의 꼭지점에 모두 생성되어도 좋고, 최소한 장변의 양 단부에 생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정렬 마크(145)는 단위 포토 마스크와 인접하는 단위 포토 마스크의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합한 위치에 표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정렬 마크(145)는 동일한 규격을 갖는 정렬 대상 포토 마스크의 동일한 좌표에 형성됨으로써, 정렬 상태의 확인을 규칙화할 수 있다. 포토 마스크간 정렬 상태의 확인이 완료되면 그대로 정렬 상태를 확정하여 다음 과정인 노광 과정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만일 정렬 상태가 미진하다고 판단되면 다시 정렬하여 재차 정렬 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정렬 상태의 확인은 정렬 상태가 확정될 때까지 계속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정렬상태의 완성여부는 각 포토 마스크에 형성된 정렬 마크와 정렬 기준부의 일치여부로부터 인정될 수 있다.
정렬 상태의 확인은 포토 마스크 정렬 시스템(l80)에 의하여 수행된다. 본 시스템은 정렬 기준점(182)이 적어도 두 개 형성되며, 상기 정렬 기준점(182)은 정렬 마크(145)와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정렬 기준부(181); 및 상기 정렬 기준부(181)와 정렬 마크(145)의 중첩 상태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는 촬영 장치(183);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정렬 기준점(182)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포토 마스크 중 제1포토 마스크에 형성된 정렬 마크(145)에 중첩되고, 나머지는 제1포토 마스크에 인접하여 정렬된 제2포토 마스크에 형성된 정렬 마크(145)에 중첩된다.
도시된 형태는 제1포토 마스크와 제2포토 마스크의 서로 인접되는 꼭지점 영역에 하나씩의 정렬 마크(145)가 형성된 형태를 나타낸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정렬 확인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면 정렬 마크(145)의 갯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렬 기준부(181)는 투명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기준부는 반투명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촬영시 빛의 반사에 의한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정렬 기준점(182)과 정렬 마크(145)의 중첩상태는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정렬 마크(145)는 포토 마스크의 윗면 또는 아랫면에 형성되며 정렬 마크(145)의 형성면은 어느 하나의 면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상기 포토 마스크 정렬 장치(180)는 포토 마스크의 상부에 위치하거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포토 마스크가 거치된 거치부가 투명한 유리이기 때문에 포토 마스크의 하부에서도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포토 마스크는 프레임(170) 상의 기준위치에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렬 시스템(180)은 이로써 포토 마스크의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토 마스크의 거치 위치와 정렬 시스템(180)의 정렬 측정 위치에 대한 기준점이 설정되어야 빠른 시간에 포토 마스크(130) 정렬 상태를 용이하고 정밀하게 확인 및 확정할 수 있게 된다.
정렬 상태의 확인은 촬영장치(183)가 수행하며, 촬영장치(183)에 의하여 촬영된 정렬 상태는 유무선 통신 수단에 의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정렬 상태를 확인한 후, 정렬 상태의 확정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정렬 상태의 확인 결과 재정렬의 필요성이 있으면, 이는 다시 정렬 장치에 전달되어 해당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촬영 장치(183)는 상기 정렬 기준점(182)의 갯수만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나의 이동 가능한 촬영 장치(183)가 이동하면서 정렬 상태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도 1의 정렬 장치를 측면에서 나타냄과 동시에 포토 마스크의 합지 및 정렬상태 확인을 위한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토 마스크 접합틀에 형성되는 제2 포토 마스크 흡착부를 노광기 장착 프레임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포토 마스크(130-1, 130-2)가 접합틀(230)에 고정되고 접합틀(230)에는 제2 포토 마스크 흡착부(231)가 구성되어 포토 마스크(130-1, 130-2)를 노광기로 이동하는 중에도 강하게 흡착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접합틀(230)은 노광기 장착 프레임(240)에 장착하여 노광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3과 같이 포토 마스크(130), 접합틀(230), 노광기 장착 프레임(240)을 세트로 하여 금속 판재에 노광을 함으로써 미세 금속 마스크를 제작하게 된다. 미세 금속 마스크의 제작과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접합틀(230)에 구성된 제2 포토 마스크 흡착부(231)로 인하여 복수의 포토 마스크(130)는 확정된 정렬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45 : 정렬 마크 160 : 플로팅 수단
170 : 포토마스크 장착 프레임 171 : 흡착부
172 : 거치판 173 : 승강바
180 : 포토 마스크 정렬 시스템 181 : 정렬 기준부
182 : 정렬 기준점 183 : 촬영 장치
190 : 금속 판재 200 : 포토 마스크 정렬 장치
220 : 지지체 230 : 접합틀
231 : 제2 포토 마스크 흡착부 240 : 노광기 장착 프레임

Claims (5)

  1.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
    상기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포토 마스크 흡착부;
    정렬 기준점이 적어도 두 개 형성되며, 상기 정렬 기준점은 정렬 마크와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정렬 기준부; 및
    상기 정렬 기준부와 정렬 마크의 중첩 상태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는 촬영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정렬 기준점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포토 마스크 중 제1포토 마스크에 형성된 정렬 마크에 중첩되고, 나머지는 제1포토 마스크에 인접하여 정렬된 제2포토 마스크에 형성된 정렬 마크에 중첩되며,
    상기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포토 마스크 승강바; 및
    상기 복수의 포토 마스크 합지시 경계면에서 포토 마스크들을 지지하는 지지 글라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정렬 기준점의 갯수만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
  4.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
    상기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포토 마스크 흡착부;
    정렬 기준점이 적어도 두 개 형성되며, 상기 정렬 기준점은 정렬 마크와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정렬 기준부; 및
    상기 정렬 기준부와 정렬 마크의 중첩 상태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는 촬영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정렬 기준점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포토 마스크 중 제1포토 마스크에 형성된 정렬 마크에 중첩되고, 나머지는 제1포토 마스크에 인접하여 정렬된 제2포토 마스크에 형성된 정렬 마크에 중첩되며,
    상기 포토 마스크의 상부로부터 상기 포토 마스크를 지지하기 위한 접합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틀 중 상기 포토 마스크와 접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2 포토 마스크 흡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
  5. 제1항의 정렬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며,
    포토 마스크 상에 적어도 1개의 정렬 마크를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정렬 마크가 생성된 적어도 두 개의 포토 마스크들을 노광기의 포토 마스크 장착 프레임에 1차 정렬하여 장착하는 제2단계;
    상기 장착된 포토 마스크간 정렬 마크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3단계; 및
    확인된 정렬 마크의 위치에 따라서 정렬 상태의 완성 여부를 확정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상태의 완성여부는 각 포토 마스크에 형성된 정렬 마크와 정렬 기준부의 일치여부로부터 인정되며, 정렬상태가 미완성된 경우 상기 포토 마스크들을 2차 정렬한 후 상기 제3단계부터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방법.
KR1020210014413A 2021-02-01 2021-02-01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 및 정렬방법 KR102295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413A KR102295228B1 (ko) 2021-02-01 2021-02-01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 및 정렬방법
CN202280009076.3A CN116710848A (zh) 2021-02-01 2022-01-19 用于制造大面积显示器用精细金属掩模的多个光掩模对准装置及对准方法
PCT/KR2022/001003 WO2022164123A1 (ko) 2021-02-01 2022-01-19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 및 정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413A KR102295228B1 (ko) 2021-02-01 2021-02-01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 및 정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228B1 true KR102295228B1 (ko) 2021-08-31

Family

ID=77489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413A KR102295228B1 (ko) 2021-02-01 2021-02-01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 및 정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95228B1 (ko)
CN (1) CN116710848A (ko)
WO (1) WO20221641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123A1 (ko) * 2021-02-01 2022-08-04 풍원정밀㈜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 및 정렬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644A (ko) * 1994-12-29 1996-07-20 윤종용 노광기용 마스크 정렬장치
KR970076093A (ko) * 1996-05-06 1997-12-10 김광호 포토 마스크의 정합 마크 배치 및 이를 이용한 노광 방법
US20050012914A1 (en) * 2002-01-28 2005-01-20 Lin Burn J. Multiple mask step and scan aligner
WO2016112636A1 (zh) * 2015-01-15 2016-07-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掩模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面板中封框胶的固化方法
US20160334674A1 (en) * 2015-05-15 2016-11-17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lignment Exposure Method and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Substrat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228B1 (ko) * 2021-02-01 2021-08-31 풍원정밀(주)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 및 정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644A (ko) * 1994-12-29 1996-07-20 윤종용 노광기용 마스크 정렬장치
KR970076093A (ko) * 1996-05-06 1997-12-10 김광호 포토 마스크의 정합 마크 배치 및 이를 이용한 노광 방법
US20050012914A1 (en) * 2002-01-28 2005-01-20 Lin Burn J. Multiple mask step and scan aligner
WO2016112636A1 (zh) * 2015-01-15 2016-07-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掩模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面板中封框胶的固化方法
US20160334674A1 (en) * 2015-05-15 2016-11-17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lignment Exposure Method and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Substr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123A1 (ko) * 2021-02-01 2022-08-04 풍원정밀㈜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 및 정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710848A (zh) 2023-09-05
WO2022164123A1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582B1 (ko) 풀 사이즈 마스크 조립체와 그 제조방법
WO2018000949A1 (zh) 掩膜板及其制造方法
US20210296392A1 (en) Flat Panel Array with the Alignment Marks in Active Area
WO2015100775A1 (zh) 一种液晶显示器的玻璃基板的曝光方法
KR102295228B1 (ko)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 및 정렬방법
CN104297989B (zh) 基板、掩膜板及液晶显示装置
CN101661220A (zh) 液晶显示器面板和掩模板
CN101900933A (zh) 使用掩模板曝光工艺的基板及其对位方法
CN108351510A (zh) 用于高分辨率电子图案化的无缝线直接成像
KR102289723B1 (ko)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제작을 위한 복수의 포토 마스크 정렬장치 및 정렬방법
WO2019075900A1 (zh) 液晶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KR102289722B1 (ko) 대면적 디스플레이용 미세 금속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
US6576378B2 (en) Photomask and exposure method for large scaled LCD device
US9568843B2 (en) Exposure method and exposure device
CN102262324B (zh) 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液晶面板和液晶显示器
WO2021027167A1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US6301798B1 (en) Method of measuring misalignment
CN108269764A (zh) 一种显示面板的制作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8776406B (zh) 一种彩色滤光片的制备基板及彩色滤光片基板的制造方法
JP2006108265A (ja) 基板載置ステージ
CN109212908A (zh) 曝光机的挡板位置确定方法
KR20190138256A (ko) 풀 사이즈 마스크 조립체와 그 제조방법
KR102533679B1 (ko) 마스크 프레임 가공방법
CN114730850B (zh)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WO2021237552A1 (zh) 掩膜板、曝光方法和触控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