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358B1 -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358B1
KR102294358B1 KR1020210007224A KR20210007224A KR102294358B1 KR 102294358 B1 KR102294358 B1 KR 102294358B1 KR 1020210007224 A KR1020210007224 A KR 1020210007224A KR 20210007224 A KR20210007224 A KR 20210007224A KR 102294358 B1 KR102294358 B1 KR 102294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ling
water
moisture
sil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평강
안대성
이행필
Original Assignee
(주)생태와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생태와환경 filed Critical (주)생태와환경
Priority to KR1020210007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Details of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안에서 토목공사시 발생하는 토사와 세립토 등을 함유하는 오탁수의 확산을 저감시키는 오탁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하는 오탁방지막을 이중으로 구비하여 오탁방지 효과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는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의 내측에 연결되어서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측 오탁방지막; 상기 부유체의 외측에 연결되어서 오탁물의 확산을 방지하는 외측 오탁방지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Silt protector with dual screen}
본 발명은 연안에서 토목공사시 발생하는 토사와 세립토 등을 함유하는 오탁수의 확산을 저감시키는 오탁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하는 오탁방지막을 이중으로 구비하여 오탁방지 효과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천이나 해양의 연안에서 준설공사, 항만개발, 교각 건설 등의 각종 토목공사를 할 때는 토사, 세립토, 부유물질 등이 함유된 오탁수가 발생되고, 오탁수가 주변으로 확산되어 생태계에 영향을 줌은 물론이고 주변 어장을 황폐화 시키거나 수자원을 오염시키므로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공사장 주위의 수면에 오탁방지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오탁방지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 20-0423737 "오탁막 및 오일펜스 구조물", 등록특허 10-1279839 "오탁방지장치" 등이 개시되었다.
종래기술에서 알 수 있듯이, 오탁방지장치는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에 연결되어서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하는 오탁방지막과, 상기 오탁방지막의 하단에 구비되어서 오탁방지막이 수중에서 펼쳐져 있도록 하는 하중부재를 포함한다.
종래기술에서는 오탁방지막이 한줄로 설치되는 구조로서, 오탁방지장치가 설치된 연안의 지형구조나 바람 등에 의해 파랑이 강해지면 오탁방지막에 부딪히는 오탁수의 토사와 부유물질 등이 오탁방지막을 투과하여 확산된다. 즉, 파랑이 강해지면 오탁수의 확산 방지효과가 현저히 약해진다.
그래서 강한 파랑이 발생할 때 오탁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데,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단일의 오탁방지막을 설치하여 파랑이 강할 때 오탁수의 확산 방지효과가 저하되는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오탁방지막을 이중으로 설치하여서 내측의 오탁방지막이 파랑에 의한 오탁수의 흐름을 약화시키고 외측의 오탁방지막이 약화된 오탁수의 확산을 감소시켜서 오탁수의 확산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오탁방지막을 부유체에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하고, 연안에 설치된 상태에서 충격에 의해 오탁방지막이 부유체에 분리이탈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한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는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의 내측에 연결되어서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측 오탁방지막;
상기 부유체의 외측에 연결되어서 오탁물의 확산을 방지하는 외측 오탁방지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내측 오탁방지막에는 개방된 개구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단부에 구비되는 후크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오탁방지막에 구비되는 수놈체결구와,
바디와, 상기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이 삽입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후크홈과, 상기 후크홈의 바닥과 삽입공의 내벽을 경사지게 연결하여서 상기 몸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후크돌기가 상기 후크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안내하는 이탈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에 구비되는 암놈체결구를 포함하는 탈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암놈체결구는 상기 삽입공 안쪽에 구비되는 막음판과, 상기 막음판에 형성되는 막음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놈체결구는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막음판의 내축으로 삽입되는 회전핀과, 상기 회전핀의 단부에 구비되는 막음돌기와, 상기 막음돌기의 내측에 구비되는 투습방수원단봉지와, 상기 투습방수원단봉지에 내장되는 팽창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침수시 상기 투습방수원단봉지의 내부로 물이 투입하면, 상기 팽창체가 흡수하여 팽창되고, 상기 팽창체와 함께 팽창하는 상기 투습방수원단봉지가 상기 회전핀을 외측으로 밀어 상기 막음돌기가 상기 막음홈에 삽입되어 막힘으로써, 상기 몸체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는 오탁방지막을 이중으로 설치하여서 파랑이 강할 때에도 오탁수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오탁방지막은 부유체에 간편신속하게 탈부착되고, 비의도적으로 오탁방지막이 부유체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로서, 산업발전에 매유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도1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탈착수단의 암놈체결구와 수놈체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는 암놈체결구와 수놈체결구가 비의도적으로 분리지 않도록 하는 정면의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정면 도면.
도 5 는 암놈체결구와 수놈체결구가 비의도적으로 분리지 않도록 하는 평면의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정면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는 부유체(10), 이중의 오탁방지막(20A, 20B), 하중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구성요소들을 설명함에 있어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좌우를 정한다.
상기 부유체(10)는 수면에 부유되는 것으로서, 부력이 큰 스티로폼이나 EVA(ethylene vinyl acetate) 등의 발포성 재질의 부력재와 부력재의 외표면에 싸여지는 합성수지재 외피로 구성된다.
상기 부유체(10)는 연결프레임(11)을 통해 다수개가 길게 연결되고, 연안의 오탁수 발생지역을 둘러싼다.
상기 오탁방지막(20A, 20B)은 상기 부유체(10)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수중으로 펼쳐져서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한다. 즉, 오탁수의 함유된 토사, 부유물 등을 막아 이들이 확산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오탁방지막(20A, 20B)에 막힌 토사와 부유물 등은 가라앉아 바닥에 침전된다.
상기 오탁방지막(20A, 20B)은 물은 통과하고 물에 함유된 토사와 부유물 등은 차단할 수 있는 미세홀들이 형성된 미세그물망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탁방지막(20A, 20B)의 하부에는 하중부재(30)들이 구비된다. 상기 하중부재(30)는 밀도가 큰 중량물질로서, 상기 오탁방지막(20A, 20B)이 물 속에서 가라앉고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오탁방지막(20A, 20B)은 상기 부유체(10)의 내측에 연결되는 내측 오탁방지막(20A)과 외측에 연결되는 외측 오탁방지막(20B)의 이중으로 구비된다.
강한 파랑에 의해 오탁수가 내측 오탁방지막(20A)에 강력하게 충돌하면서 토사와 부유물 등이 내측 오탁방지막(20A)을 통과하더라도, 강한 흐름의 오탁수는 내측 오탁방지막(20A)을 통과하면서 흐름이 약해지고, 그에 따라 외측 오탁방지막(20B)에서 오탁수에 함유된 토사와 부유물 등의 대부분을 차단하여 오탁수가 외측 오탁방지막(20B)을 통과하여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내측 오탁방지막(20A)에는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라인(21)들이 여러 줄 형성된다. 상기 내측 오탁방지막(20A)은 파랑에 의한 오탁수의 강한 흐름을 약화시키고, 상기 개구라인(21)은 물의 유통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오탁방지막(20A, 20B)은 상기 부유체(10)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보관, 운반, 유지보수 등이 편리하다.
상기 오탁방지막(20A, 20B)은 탈착수단을 통해 상기 부유체(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탈착수단은 수놈체결구(90)와 암놈체결구(80)로 구성된다. 상기 수놈체결구(90)와 암놈체결구(80)는 각각 상기 오탁방지막(20A, 20B)과 부유체(10)에 구비된다.
상기 오탁방지막(20A, 20B) 또는 부유체(10)에 구비되는 상기 수놈체결구(90)는 몸체(91)와, 상기 몸체(91)의 하부에 구비되고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복수의 탄성편(93)과, 상기 탄성편(93)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후크돌기(94)와, 상기 탄성편(93)의 안쪽으로 상기 몸체(91)의 하부에 구비되어 내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회전핀(95)과, 상기 회전핀(95)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막음돌기(96)와, 상기 막음돌기(96)의 내측에 구비되는 투습방수원단봉지(97)와, 상기 투습방수원단봉지(97)에 내장되는 팽창체(98)와, 상기 몸체(91)의 중앙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92)을 포함한다.
상기 오탁방지막(20A, 20B)은 상기 몸체(91)에 부착되거나, 상기 탄성편(93)의 외주연으로 삽입되어 몸체(91)에 걸린다.
상기 투습방수원단봉지(97)는 외부에서 내부로 물이 통과되고, 내부에서 외부로는 물이 통과되지 않는 투습방수의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투습방수 성질은 수영복이나 런닝복 등의 운동복에서 주로 사용하는 원단이 갖는 성질로서, 바람이나 물기가 운동복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고 착용자에게 발생하는 땀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팽창체(98)는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물질로서, 스펀지, 식이섬유, 겔 등이 팽창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습방수원단봉지(97)는 물이 내외로 통과할 수 있으면 제 기능을 할 수 있지만,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팽창체(98)에 의해 팽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의 물이 외부로 쉽게 투과되지 않는 투습방수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습방수원단봉지(97)의 상부에는 절개선(99a)이 형성된 개폐고무(99)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91)의 관통공(92)을 통해 핀이나 막대 등을 상기 개폐고무(99)의 절개선(99a)으로 밀어넣으면 절개선(99a)에 의한 절개부위가 열려 투습방수원단봉지(97) 내부의 물이 배출되고, 핀이나 막대는 팽창체(98)를 눌러 팽창체(98)에 흡수된 물이 팽창체(98)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상기 오탁방지막(20A, 20B) 또는 부유체(10)에 구비되는 상기 암놈체결부재는 바디(81)와, 상기 바디(81)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탄성편(93)이 삽입되는 삽입공(83)과, 상기 삽입공(83)의 내벽에 형성되어서 상기 후크돌기(94)가 삽입되어 걸리는 후크홈(84)과, 상기 후크홈(84)의 바닥과 삽입공(83)의 내벽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이탈안내면(87)과, 상기 이탈안내면(87)에서 연장된 부위의 삽입공(83) 내벽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88)과, 상기 삽입공(83)의 안쪽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핀(95)이 내부로 삽입되는 막음판(85)과, 상기 막음판(85)에 형성되어서 상기 막음돌기(96)가 삽입되어 막히는 막음홈(86)을 포함한다.
상기 수놈체결구(90)의 몸체(91)를 손으로 잡아 상기 탄성편(93)을 상기 암놈체결구(80)의 삽입공(83)으로 밀어넣으면, 상기 후크돌기(94)가 삽입공(83)의 내벽에 눌려 탄성편(93)이 내측으로 오무려지고, 후크돌기(94)는 내벽을 타고 하강하다가 상기 후크홈(84)에 이르면 오무려졌던 탄성편(93)이 복원되어 후크돌기(94)가 후크홈(84)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수놈체결구(90)가 암놈체결구(80)에 결합된다.
암놈체결구(80)에 체결된 수놈체결구(90)의 몸체(91)를 잡고 회전시키면, 상기 후크돌기(94)가 후크홈(84)을 따라 이동하다가 이탈안내면(87)을 타고 이동하여 후크홈(84)을 벗어나고, 후크돌기(94)는 걸림턱(88)에 걸려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몸체(91)를 잡아당기면 수놈체결구(90)는 암놈체결구(80)에서 분리된다.
연안에 설치되어 파랑 등에 의한 충격이 체결수단에 가해지면 수놈체결구(90)가 회전되어 암놈체결구(80)에서 비의도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데, 상기 투습방수원단봉지(97), 힌지핀, 막음판(85) 등이 이러한 비의도적인 분리를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탁방지장치가 연안에 투입되면, 상기 체결수단은 물에 잠기거나 파랑에 의해 물이 수시로 접촉된다.
물은 상기 투습방수원단봉지(97)의 내부로 투입되고, 상기 팽창체(98)는 투입된 물을 흡수하여 팽창되어서 투습방수원단봉지(97)를 팽창시킨다.
팽창되는 투습방수원단봉지(97)는 상기 회전핀(95)을 밀어 외측으로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막음돌기(96)가 상기 막음홈(86)에 삽입된다.
상기 막음돌기(96)가 상기 막음홈(8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91)가 회전하면 막음돌기(96)는 막음홈(86)의 단부에서 막혀서 몸체(91)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막음돌기(96)가 상기 막음홈(86)에 막혀 몸체(91)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면, 상기 탄성편(93)의 후크돌기(94)는 상기 흐크홈을 벗어나지 못하게 되어서, 상기 수놈체결구(90)는 암놈체결구(80)에서 분리이탈되지 못한다.
오탁방지장치를 연안에서 육상으로 꺼내놓으면 상기 팽창체(98)와 투습방수원단봉지(97)에서 물이 서서히 배출되고, 그러면 투습방수원단봉지(97)가 수축되면서 회전핀(95)의 막음돌기(96)가 막음홈(86)에서 분리되어서, 몸체(91)를 회전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수놈체결구(90)를 암놈체결구(8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다만, 물의 자연배출에 의해 투습방수원단봉지(97)가 수축되기 까지는 상당히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 핀이나 막대를 몸체(91)의 관통공(92)을 통해 투습방수원단봉지(97)에 구비된 개폐고무(99)의 절개선(99a)으로 밀어넣어서 투습방수원단봉지(97)와 팽창체(98)의 물을 강제로 배출시키면, 수놈체결구(90)를 암놈체결구(80)에서 즉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부유체 11 : 프레임
20A,B : 오탁방지막 21 : 개구라인
30 : 하중부재 80 : 암놈체결구
81 : 바디 83 : 삽입공
84 : 후크홈 85 : 막음판
86 : 막음홈 87 : 이탈안내면
88 : 걸림턱 90 : 수놈체결구
91 : 몸체 92 : 관통공
93 : 탄성편 94 : 후크돌기
95 : 호전핀 96 : 막음돌기
97 : 투습방수원단봉지 98 : 팽창체
99 : 개폐고무

Claims (4)

  1.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의 내측에 연결되어서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측 오탁방지막;
    상기 부유체의 외측에 연결되어서 오탁물의 확산을 방지하는 외측 오탁방지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에 있어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단부에 구비되는 후크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오탁방지막에 구비되는 수놈체결구와,
    바디와, 상기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이 삽입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후크홈과, 상기 후크홈의 바닥과 삽입공의 내벽을 경사지게 연결하여서 상기 몸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후크돌기가 상기 후크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안내하는 이탈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에 구비되는 암놈체결구를 포함하는 탈착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암놈체결구는 상기 삽입공 안쪽에 구비되는 막음판과, 상기 막음판에 형성되는 막음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놈체결구는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막음판의 내축으로 삽입되는 회전핀과, 상기 회전핀의 단부에 구비되는 막음돌기와, 상기 막음돌기의 내측에 구비되는 투습방수원단봉지와, 상기 투습방수원단봉지에 내장되는 팽창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침수시 상기 투습방수원단봉지의 내부로 물이 투입하면, 상기 팽창체가 흡수하여 팽창되고, 상기 팽창체와 함께 팽창하는 상기 투습방수원단봉지가 상기 회전핀을 외측으로 밀어 상기 막음돌기가 상기 막음홈에 삽입되어 막힘으로써, 상기 몸체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오탁방지막에는 개방된 개구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10007224A 2021-01-19 2021-01-19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 KR102294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224A KR102294358B1 (ko) 2021-01-19 2021-01-19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224A KR102294358B1 (ko) 2021-01-19 2021-01-19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358B1 true KR102294358B1 (ko) 2021-08-27

Family

ID=77504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224A KR102294358B1 (ko) 2021-01-19 2021-01-19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3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13064A (zh) * 2023-01-03 2023-07-11 河北省地质环境监测院 一种矿山生态修复环境数据采集装置及采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665A (ko) * 2006-01-24 2007-07-27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클립 체결 구조
JP2009203614A (ja) * 2008-02-26 2009-09-10 Ohmoto Gumi Co Ltd 着底式複合型汚濁防止膜装置
CN107829415A (zh) * 2017-11-28 2018-03-23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市政工程用的河流垃圾拦截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665A (ko) * 2006-01-24 2007-07-27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클립 체결 구조
JP2009203614A (ja) * 2008-02-26 2009-09-10 Ohmoto Gumi Co Ltd 着底式複合型汚濁防止膜装置
CN107829415A (zh) * 2017-11-28 2018-03-23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市政工程用的河流垃圾拦截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13064A (zh) * 2023-01-03 2023-07-11 河北省地质环境监测院 一种矿山生态修复环境数据采集装置及采集方法
CN116413064B (zh) * 2023-01-03 2023-11-14 河北省地质环境监测院 一种矿山生态修复环境数据采集装置及采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4358B1 (ko) 이중 오탁방지막을 갖는 오탁방지장치
KR20190009221A (ko) 벽면 파손을 통한 액체 유출 및 침수 차단 장치
KR102265536B1 (ko) 해빈류 관측장치
KR100542739B1 (ko)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
JP2010248861A (ja) 一方弁付き汚濁防止用カーテン
CN206986842U (zh) 便携式伞形应急堵漏塞
KR102292584B1 (ko)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하는 패류 채취장치
KR20140099027A (ko) 다목적 높이가변형 차단구조물
JP2007016444A (ja) 捨石護岸の法面を被覆する防砂シートの敷設方法および防砂シート
JP5299780B2 (ja) 堤防の漏水抑止装置及び方法
CN214738650U (zh) 用于抗浮地下排水用的多功能景观水池
KR200195526Y1 (ko) 흡수제를 이용한 수해방지 부대
KR101913807B1 (ko) 다기능 복합 오염물질 차단막
KR101373030B1 (ko) 부력식 수류저감벽체를 구비한 호안 블록
KR102194772B1 (ko)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KR102614410B1 (ko) 부력 탱크 내 해수 유입을 차단하는 플랩 장치 및 방법
JP2006144294A (ja) フロート提体シート
TWI719676B (zh) 防蚊蟲臭味兼具防淹水逆湧之排水口結構
KR20180091247A (ko) 무동력 역류 방지 수문 장치
KR102267143B1 (ko) 휴대성을 구비한 부유오염물 유출 및 확산 방지매트
KR100923321B1 (ko) 어망용부구의 공기주입장치
KR102629486B1 (ko) 도어용 이지 댐
JP2021161853A (ja) 堤防保護体
US20230323618A1 (en) Piles for self-closing flood barrier
DE2641234A1 (de) Sicherere eindaemmung fliessender gewaesser, kanaele, stroemungsaktiver seen und meere. bessere uferbefestigung von deichen, daemmen, stauwaellen u.a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