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536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536B1
KR102292536B1 KR1020197011081A KR20197011081A KR102292536B1 KR 102292536 B1 KR102292536 B1 KR 102292536B1 KR 1020197011081 A KR1020197011081 A KR 1020197011081A KR 20197011081 A KR20197011081 A KR 20197011081A KR 102292536 B1 KR102292536 B1 KR 102292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ansmission
pipe
cook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5168A (ko
Inventor
뤄위 메이
웨이제 천
보펑 허
디엔궈 판
샤오카이 류
야 저우
Original Assignee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55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있어서, 조리 시스템(10) 및 전송 제어 시스템(20)을 포함하고, 조리 시스템(10)은 세척장치(11), 세척장치(11)에 연결된 조리 챔버 및 제1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세척장치(11) 상에 제1 입력구 및 제2 입력구가 구비되고, 제1 제어장치는 조리 시스템(10)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전송 제어 시스템(20)은 조리 시스템(10)의 외측에 위치하거, 조리 시스템(10)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송 제어 시스템(20)은 제1 입력구 및 제2 입력구와 연통되어, 각각 제1 입력구 및 제2 입력구를 통해 세척장치(11)로 세척할 식재료 및 식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수송한다. 조리기기는 조리 시스템(10)과 전송 제어 시스템(20)을 분리시켜, 관로 또는 기타 방식를 통해 둘 사이의 연결을 실현하므로, 조리 시스템(10)과 전송 제어 시스템(20)이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확보하며, 제품의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제품의 고장율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본 출원은 2016년 10월 20일 중국 전리국에 출원한 출원번호가201610917222.9이고, 발명의 명칭이 “조리기기”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수반으로 하며, 그 모든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출원에 결합된다.
본 발명은 주방용품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능화 조리기기, 예컨대 자동 전기밥솥은 구조가 복잡하고, 제품이 지나치게 크다; 또한 물 공급 기기, 재료 공급 기기 및 조리 시스템이 함께 혼합되어 있으므로, 조리 시스템의 전원 제어 시스템, 패널 조작 시스템 등의 구조가 물의 영향을 받게 되며,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제품의 고장율이 증가하여, 수리 작업량이 아주 크다.
상기 기술문제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조리 시스템 및 전송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되,상기 조리 시스템은 세척장치, 상기 세척장치에 연결된 조리 챔버 및 제1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장치 상에 제1 입력구 및 제2 입력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제어장치는 상기 조리 시스템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 제어 시스템은 상기 조리 시스템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조리 시스템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송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1 입력구 및 상기 제2 입력구와 연통되어, 각각 상기 제1 입력구 및 상기 제2 입력구를 통해 상기 세척장치로 세척할 식재료 및 상기 식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수송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 시스템과 전송 제어 시스템을 분리시켜, 관로 또는 기타 방식를 통해 둘 사이의 연결을 실현하므로, 조리 시스템과 전송 제어 시스템이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확보하며, 제품의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제품의 고장율을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조리기기는 조리 시스템 및 전송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되, 조리 시스템은 제1 제어장치를 포함하므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전송 제어 시스템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전송 제어 시스템은 조리 시스템의 외측에 위치하며, 조리 시스템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리 시스템으로 물 및 식재료를 수송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조리기기의 재료 공급 기기 및 물 공급 기기는 조리 시스템과 분리되므로, 이로써 종래기술에 따른 재료 공급 기기 및 물 공급 기기와 조리 시스템이 함께 혼합되어 조리 시스템의 전원 제어 시스템, 조작 패널 등 구조가 물의 영향을 받게 되므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며, 제품의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제품의 고장율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제품의 수리 작업량을 현저히 줄이고,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향상시킨다; 한편, 전송 제어 시스템이 조리 시스템의 외측에 위치하고, 조리 시스템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전송 제어 시스템 또는 조리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전송 제어 시스템 또는 조리 시스템만 교체하면 되며, 제품 전체를 폐기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제품의 원가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서 조리기기는 아래와 같은 부가적 기술특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술방안에서, 상기 전송 제어 시스템은, 재료 전송 모듈 및 재료 전송관을 포함하되, 상기 재료 전송관의 입구는 상기 재료 전송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재료 전송관의 출구는 상기 제1 입력구와 연통되어, 상기 세척장치로 세척할 상기 식재료를 수송하는 재료 전송 장치; 물 전송 모듈 및 물 전송관을 포함하되, 상기 물 전송관의 입구는 상기 물 전송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물 전송관의 출구는 상기 제2 입력구와 연통되어, 상기 세척장치로 상기 식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수송하는 수로 전송 장치; 및 상기 재료 전송 장치 및 상기 수로 전송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재료 전송 장치 및 상기 수로 전송 장치의 개방/차단을 제어하는 제2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전송 제어 시스템은 재료 전송 장치, 수로 전송 장치 및 제2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재료 전송 장치는 재료 전송관을 통해 제1 입력구와 연통되어, 풍력 또는 기타 동력을 이용하여 세척장치로 세척할 식재료를 수송하며, 전송 제어 시스템의 재료 수송 기능을 실현한다; 수로 전송 장치는 물 전송관을 통해 제2 입력구와 연통되어, 세척장치로 식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수송하며, 전송 제어 시스템의 물 수송 기능을 실현한다; 제2 제어장치는 재료 전송 장치 및 수로 전송 장치와 연결되어, 개방/차단을 각각 제어함으로써 재료 수송 동작의 작동/중지 및 물 수송 동작의 작동/중지를 각각 제어하며, 전송 제어 시스템의 자체 제어 기능을 실현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조리 시스템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한다; 재료 전송 장치, 수로 전송 장치 및 제2 제어장치는 서로 결합되어 조리기기의 자동적인 재료 수송 및 자동적인 물 수송을 실현하고, 조리기기가 자동적으로 식재료를 세척하도록 확보하여, 조리기기의 전자동화 기능을 실현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재료 전송 모듈은, 재료 저장 박스, 재료 배출관, 송풍부재 및 제1 제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재료 저장 박스는 상기 식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재료 저장 박스 상에 재료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재료 배출관의 입구는 상기 재료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재료 배출관의 출구는 상기 재료 전송관의 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송풍부재의 송풍구는 상기 재료 전송관의 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재료 전송관 내부로 송풍하여, 상기 재료 전송관 내부의 식재료를 상기 세척장치 내부로 수송하고; 상기 제1 제어부재는 상기 재료 배출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재료 배출관의 개방/차단을 제어한다.
재료 전송 모듈은 재료 저장 박스, 재료 배출관, 송풍부재 및 제1 제어부재를 포함한다. 즉, 재료 전송 장치는 풍력을 이용하여 재료를 수송하는 공기압 재료 전송 장치로서, 재료 수송 효율이 높고, 깨끗하며 오염이 없다; 또한, 식재료의 공기 교반을 실현할 수 있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식재료를 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료 수송 시, 제2 제어장치는 제1 제어부재가 재료 배출관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며, 재료 저장 박스 내부의 식재료가 재료 배출관을 통과하여 재료 전송관 내부로 진입하고, 송풍부재의 블로잉에 의해, 제1 입력구를 통해 세척장치 내부로 진입하며, 재료 전송 장치의 재료 수송 기능을 실현한다; 재료의 수송이 완료될 경우, 제2 제어장치에서 제1 제어부재가 재료 배출관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면, 재료 전송 장치는 재료의 수송을 중지한다. 하지만, 송풍부재는 여전히 재료 전송관 내부로 송풍하여, 바람이 세척장치 내부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 및 물의 움직임을 촉진하고, 둘을 교반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이로써, 식재료의 공기 교반을 실현하여, 식재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씻을 수 있다.
물론, 본 분야의 당업자는 재료 전송 장치가 공기압 재료 전송 장치에 국한되지 않으며, 기타 동력을 이용하여 물료를 세척장치 내부로 수송할 수도 있는 바, 모두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으며, 모두 본 발명의 설계 사상과 정신을 벗어나지 않으므로,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재료 전송 모듈은, 상기 재료 저장 박스와 연결되고, 상기 재료 저장 박스와 상기 재료 저장 박스 내부의 식재료의 총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무게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센서 무게 측정 모듈을 설치하여, 재료 저장 박스 및 재료 저장 박스 내부의 식재료의 총무게를 측정하므로, 센서 무게 측정 모듈에 표시된 중량 변화를 통해 재료 저장 박스 내부로부터 수출된 식재료 중량 즉, 세척장치로 수송한 식재료 중량을 얻을 수 있다. 이로써 재료 전송 장치의 정밀, 정량적인 재료 수송을 실현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재료 전송관은 호스이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재료 저장 박스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재는 선풍 모터이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재는 솔레노이드 볼 밸브이다.
재료 저장 박스가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져, 식재료가 중력의 작용하에 자동적으로 쉽게 배출되며, 물론 재료 저장 박스의 형상은 깔때기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재료 전송관은 호스로서, 호스는 유연성이 보다 우수하고, 장착 공간에 대한 요구가 보다 낮으므로, 간단하고 효과적이며 유연성있게 물료를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의 배치가 보다 자유롭고, 공간을 절약한다; 송풍부재는 선풍 모터로서, 풍력이 크고 사용 안정성이 높으며, 물론 기타 송풍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제어부재는 솔레노이드 볼 밸브로서, 제어가 안정적이고, 민감도가 높으며, 물론 기타 제어부재일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재료 배출관, 상기 재료 전송관 및 상기 송풍부재는 중간 전달 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중간 전달 부재는 세개의 포트를 구비하며, 세개의 상기 포트는 각각 상기 재료 배출관의 출구, 상기 재료 전송관의 입구 및 상기 송풍부재의 송풍구와 서로 연통된다.
재료 배출관, 재료 전송관 및 송풍부재가 세개의 포트를 구비한 중간 전달 부재를 통해 연결되면, 재료 배출관 내부의 식재료가 우선 중간 전달 부재로 진입한 후, 송풍부재에 의해 재료 전송관 내부로 블로잉되며, 재료 전송관을 통해 세척장치로 진입한다. 이로써, 레이아웃이 매우 합리적이고, 식재료가 세척장치의 방향으로만 유동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유동하지 못하도록 확보함으로써, 제품의 사용 안정성을 확보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달 부재는 삼통관 또는 세개의 상기 포트를 구비한 용기이다.
중간 전달 부재는 삼통관으로서, 삼통관은 연결이 안정적이고, 가격이 저렴하며, 장착이 편리하다; 중간 전달 부재는 세개의 포트를 구비한 용기이며, 예컨대 형상이 3구 플라스크와 유사한 용기로써, 이러한 중간 전달 부재는 일정한 과도 작용도 수행하여, 식재료가 중간 전달 부재에 잠시 머물러, 풍력의 작용하에 뒤집히고 마찰되어, 식재료 표면 상의 일부 입자들이 탈락되도록 하므로, 이로써 일정한 드라이 클리닝 작용을 수행하여, 식재료의 청결도를 향상시킨다. 물론, 중간 전달 부재는 기타 부재일 수도 있으며, 세개의 포트를 구비하며 재료 배출관, 재료 전송관 및 송풍부재 이 세 구성 사이의 효과적인 연결을 실현할 수만 있으면 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물 전송 모듈은, 상기 물 전송관의 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물 전송관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 모듈; 및 상기 물 전송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물 전송관의 개방/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부재;를 포함한다.
물 전송 모듈은 물 공급 모듈 및 제2 제어부재를 포함하되, 물 수송 시, 제2 제어장치는 제2 제어부재가 물 전송관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며, 물 공급 모듈은 물 전송관을 통해 물을 세척장치 내부로 수송함으로써, 수로 전송 장치의 물 수송 기능을 실현한다; 물의 수송이 완료된 경우, 제2 제어장치에서 제2 제어부재가 물 전송관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면, 세척장치 내부의 식재료와 물이 서로 혼합되어 식재료를 세척한다; 또한, 세척장치의 세척 동작이 완료된 후, 다시 물 전송관을 개방하여 재차 세척장치로 물을 수송함으로써, 세척장치 자체가 효과적으로 세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물 전송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물 전송관을 통과하는 물의 량을 검출하기 위한 유량계를 더 포함한다.
물 전송관 상에 유량계를 설치하여, 유량계을 이용하여 물 전송관을 통과하는 유량을 측정함으로써, 수로 전송 장치가 세척장치 내부로 수송하는 물의 량을 얻을 수 있다. 이로써 정밀, 정량적인 물 수송을 실현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 모듈은 수관 파이프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관 파이프 조인트는 외계 수원과 연결되어, 외계의 물을 상기 전송 제어 시스템 내부로 수송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 모듈은 제3 제어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제어부재는 상기 수관 파이프 조인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관 파이프 조인트의 개방/차단을 제어한다.
물 공급 모듈은 수관 파이프 조인트을 포함하고, 수관 파이프 조인트를 이용하여 직접 외계 수원 내부의 물을 세척장치 내부로 수송한다. 예컨대, 직접 수돗물 관로와 연결하므로, 매우 편리하고 별도의 저수 구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또한 조리기기의 구조를 더더욱 간소화하여, 제품의 구조가 보다 컴팩트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도록 한다. 또한, 수관 파이프 조인트 상에 제3 제어부재를 설치하여 수관 파이프 조인트의 개방/차단을 제어하므로, 물 전송관 내부의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품의 사용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 모듈은 물통을 포함하고, 상기 물통은 상기 식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고, 상기 물통의 배수구는 상기 물 전송관의 입구와 연통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 모듈은 물 펌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물 펌프의 입력단은 상기 물통의 배수구와 연통되고, 상기 물 펌프의 출력단은 상기 전송 제어 시스템과 연통되어, 상기 물통 내부의 물을 상기 전송 제어 시스템 내부로 펌핑한다.
물 공급 모듈은 물통을 포함하여, 물통을 통해 저수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세척장치로 편리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물 펌프를 설치하여 물통 내부의 물이 세척장치 내부로 펌핑되도록 확보함으로써, 제품의 사용 안정성을 확보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물 전송관은 호스이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재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물 전송관은 호스로서, 호스는 유연성이 보다 우수하고 변형이 쉬우며, 장착공간에 대한 요구가 보다 낮으므로, 간단하고 효과적이며 유연성있게 물을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의 배치가 보다 자유롭고, 공간을 절약한다; 제2 제어부재는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제어가 안정적이고, 민감도가 높으며, 물론 기타 제어부재일 수 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 시스템은 상기 조리 시스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기기가 수평식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전송 제어 시스템을 조리기기이 일측에 설치하여 조리기기가 전체적으로 수평식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따른 입식 구조를 방지하고, 제품의 전자동화를 확보하는 기초상에서, 제품의 구조와 제어 원리를 간소화하여, 제품의 구조가 컴팩트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전송 제어 시스템은 조리 시스템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된다; 차선적으로 바람직하게, 전송 제어 시스템은 조리 시스템의 앞측 또는 뒤측에 설치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는 전기밥솥이다.
물론, 조리기기는 전기밥솥에 국한되지 않으며, 전기 압력 밥솥 또는 기타 조리기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측면과 이점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더욱 명확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또는 부가적인 측면 및 이점은 아래 도면을 결합하여 기재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고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톱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전송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구조(세척장치를 포함)의 우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톱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톱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톱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결합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히 설명하면, 서로 충돌되지 않는 한,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에 따른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이하의 기재에서 여러 구체적인 세부 내용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것과 다른 기타 방식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에 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설명한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 시스템(10) 및 전송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조리 시스템(10)은 세척장치(11), 세척장치(11)에 연결된 조리 챔버 및 제1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세척장치(11) 상에 제1 입력구 및 제2 입력구가 구비되고, 제1 제어장치는 조리 시스템(10) 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전송 제어 시스템(20)은 조리 시스템(10)의 외측에 위치하고, 조리 시스템(10)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송 제어 시스템(20)은 제1 입력구 및 제2 입력구와 연통되어, 각각 제1 입력구 및 제2 입력구를 통해 세척장치(11)로 세척할 식재료 및 식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 시스템(10)과 전송 제어 시스템(20)을 분리시키되, 관로 또는 기타 방식를 통해 둘 사이의 연결을 실현하므로, 이로써 조리 시스템(10)과 전송 제어 시스템(20)이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확보하며, 제품의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제품의 고장율을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조리기기는 조리 시스템(10) 및 전송 제어 시스템(20)을 포함하되, 조리 시스템(10)은 제1 제어장치를 포함하므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전송 제어 시스템(20)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전송 제어 시스템(20)은 조리 시스템(10)의 외측에 위치하며, 조리 시스템(10)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리 시스템(10)으로 물 및 식재료를 수송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조리기기의 재료 공급 기기 및 물 공급 기기는 조리 시스템(10)과 분리되므로, 이로써 종래기술에 따른 재료 공급 기기 및 물 공급 기기와 조리 시스템(10)이 함께 혼합되어 조리 시스템(10)의 전원 제어 시스템, 조작 패널 등 구조가 물의 영향을 받게 되므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며, 제품의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제품의 고장율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제품의 수리 작업량을 현저히 줄이고,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향상시킨다; 한편, 전송 제어 시스템(20)이 조리 시스템(10)의 외측에 위치하고, 조리 시스템(10)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전송 제어 시스템(20) 또는 조리 시스템(10)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전송 제어 시스템(20) 또는 조리 시스템(10)만 교체하면 되며, 제품 전체를 폐기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제품의 원가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제어 시스템(20)은 재료 전송 장치, 수로 전송 장치 및 제2 제어장치(2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재료 전송 장치는 재료 전송 모듈 및 재료 전송관(213)을 포함하되, 재료 전송관(213)의 입구는 재료 전송 모듈과 연결되고, 재료 전송관(213)의 출구는 제1 입력구와 연통되어, 세척장치(11)로 세척할 식재료를 수송할 수 있다; 수로 전송 장치는 물 전송 모듈 및 물 전송관(221)을 포함하되, 물 전송관(221)의 입구는 물 전송 모듈과 연결되고, 물 전송관(221)의 출구는 제2 입력구와 연통되어, 세척장치(11)로 식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수송할 수 있다; 제2 제어장치(23)는 재료 전송 장치 및 수로 전송 장치와 연결되어, 재료 전송 장치 및 수로 전송 장치의 개방/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
전송 제어 시스템(20)은 재료 전송 장치, 수로 전송 장치 및 제2 제어장치(23)를 포함한다: 재료 전송 장치는 재료 전송관(213)을 통해 제1 입력구와 연통되어, 풍력 또는 기타 동력을 이용하여 세척장치(11)로 세척할 식재료를 수송하며, 전송 제어 시스템(20)의 재료 수송 기능을 실현한다; 수로 전송 장치는 물 전송관(221)을 통해 제2 입력구와 연통되어, 세척장치(11)로 식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수송하며, 전송 제어 시스템(20)의 물 수송 기능을 실현한다; 제2 제어장치(23)는 재료 전송 장치 및 수로 전송 장치와 연결되어, 둘의 개방/차단을 각각 제어함으로써 재료 수송 동작의 작동/중지 및 물 수송 동작의 작동/중지를 각각 제어하며, 전송 제어 시스템(20)의 자체 제어 기능을 실현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조리 시스템(10)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한다; 재료 전송 장치, 수로 전송 장치 및 제2 제어장치(23)는 서로 결합되어 조리기기의 자동적인 재료 수송 및 자동적인 물 수송을 실현하고, 조리기기가 자동적으로 식재료를 세척하도록 확보하여, 조리기기의 전자동화 기능을 실현한다.
나아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전송 모듈은 재료 저장 박스(211), 재료 배출관(212), 송풍부재 및 제1 제어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재료 저장 박스(211)는 식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료 저장 박스(211) 상에 재료 배출구가 구비된다; 재료 배출관(212)의 입구는 재료 배출구과 연통되고, 재료 배출관(212)의 출구는 재료 전송관(213)의 입구와 연통된다; 송풍부재의 송풍구는 재료 전송관(213)의 입구와 연통되어, 재료 전송관(213) 내부로 송퐁하여, 재료 전송관(213) 내부의 식재료를 세척장치(11) 내부로 수송한다; 제1 제어부재는 재료 배출관(212) 상에 설치되며, 제2 제어장치(23)와 연결되어, 재료 배출관(212)의 개방/차단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전송 모듈은 재료 저장 박스(211)와 연결되어, 재료 저장 박스(211) 및 재료 저장 박스(211) 내부의 식재료의 총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무게 측정 모듈(216)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재료 전송관(213)는 호스이다.
선택적으로,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저장 박스(211)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선택적으로, 송풍부재는 선풍 모터(214)이다.
선택적으로, 제1 제어부재는 솔레노이드 볼 밸브(215)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재료 전송 모듈은 재료 저장 박스(211), 재료 배출관(212), 송풍부재 및 제1 제어부재를 포함한다. 즉, 재료 전송 장치는 풍력을 이용하여 재료를 수송하는 공기압 재료 전송 장치로서, 재료 수송 효율이 높고, 깨끗하며 오염이 없다; 또한, 식재료의 공기 교반을 실현할 수 있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식재료를 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료 수송 시, 제2 제어장치(23)는 제1 제어부재가 재료 배출관(212)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며, 재료 저장 박스(211) 내부의 식재료가 재료 배출관(212)을 통과하여 재료 전송관(213) 내부로 진입하고, 송풍부재의 블로잉에 의해, 제1 입력구를 통해 세척장치(11) 내부로 진입하며, 재료 전송 장치의 재료 수송 기능을 실현한다; 재료의 수송이 완료될 경우, 제2 제어장치(23)에서 제1 제어부재가 재료 배출관(212)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면, 재료 전송 장치는 재료의 수송을 중지한다. 하지만, 송풍부재는 여전히 재료 전송관(213) 내부로 송풍하여, 바람이 세척장치(11) 내부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 및 물의 움직임을 촉진하고, 둘을 교반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이로써, 식재료의 공기 교반을 실현하여, 식재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씻을 수 있다.
물론, 본 분야의 당업자는 재료 전송 장치가 공기압 재료 전송 장치에 국한되지 않으며, 기타 동력을 이용하여 물료를 세척장치(11) 내부로 수송할 수도 있는 바, 모두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으며, 모두 본 발명의 설계 사상과 정신을 벗어나지 않으므로,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센서 무게 측정 모듈(216)을 설치하여, 재료 저장 박스(211) 및 재료 저장 박스(211) 내부의 식재료의 총무게를 측정하므로, 센서 무게 측정 모듈(216)에 표시된 중량 변화를 통해 재료 저장 박스(211) 내부로부터 수출된 식재료 중량 즉, 세척장치(11)로 수송한 식재료 중량을 얻을 수 있다. 이로써 재료 전송 장치의 정밀, 정량적인 재료 수송을 실현한다.
재료 저장 박스(211)가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져, 식재료가 중력의 작용하에 자동적으로 쉽게 배출되며, 물론 재료 저장 박스(211)의 형상은 깔때기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재료 전송관(213)은 호스로서, 호스는 유연성이 보다 우수하고, 장착 공간에 대한 요구가 보다 낮으므로, 간단하고 효과적이며 유연성있게 물료를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의 배치가 보다 자유롭고, 공간을 절약한다; 송풍부재는 선풍 모터(214)로서, 풍력이 크고 사용 안정성이 높으며, 물론 기타 송풍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제어부재는 솔레노이드 볼 밸브(215)로서, 제어가 안정적이고, 민감도가 높으며, 물론 기타 제어부재일 수도 있다.
나아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배출관(212), 재료 전송관(213) 및 송풍부재는 중간 전달 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중간 전달 부재는 세개의 포트를 구비하며, 세개의 포트는 각각 재료 배출관(212)의 출구, 재료 전송관(213)의 입구 및 송풍부재의 송풍구와 서로 연통된다.
선택적으로, 중간 전달 부재는 삼통관(217) 또는 세개의 포트를 구비한 용기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재료 배출관(212), 재료 전송관(213) 및 송풍부재가 세개의 포트를 구비한 중간 전달 부재를 통해 연결되면, 재료 배출관(212) 내부의 식재료가 우선 중간 전달 부재로 진입한 후, 송풍부재에 의해 재료 전송관(213) 내부로 블로잉되며, 재료 전송관(213)을 통해 세척장치(11)로 진입한다. 이로써, 레이아웃이 매우 합리적이고, 식재료가 세척장치(11)의 방향으로만 유동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유동하지 못하도록 확보함으로써, 제품의 사용 안정성을 확보한다.
중간 전달 부재는 삼통관(217)으로서, 삼통관(217)은 연결이 안정적이고, 가격이 저렴하며, 장착이 편리하다; 중간 전달 부재는 세개의 포트를 구비한 용기이며, 예컨대 형상이 3구 플라스크와 유사한 용기로써, 중간 전달 부재가 일정한 과도 작용도 수행하여, 식재료가 중간 전달 부재에 잠시 머물러, 풍력의 작용하에 뒤집히고 마찰되어, 식재료 표면 상의 일부 입자들이 탈락되도록 하므로, 이로써 일정한 드라이 클리닝 작용을 수행하여, 식재료의 청결도를 향상시킨다. 물론, 중간 전달 부재는 기타 부재일 수도 있으며, 세개의 포트를 구비하며 재료 배출관, 재료 전송관 및 송풍부재 이 세 구성 사이의 효과적인 연결을 실현할 수만 있으면 된다.
나아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전송 모듈은, 물 공급 모듈 및 제2 제어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물 공급 모듈은 물 전송관(221)의 입구와 연결되어, 물 전송관(221)으로 물을 공급한다; 제2 제어부재는 물 전송관(221) 상에 설치되며 제2 제어장치(23)와 연결되어, 물 전송관(221)의 개방/차단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전송 모듈은 물 전송관(221) 상에 설치되어, 물 전송관(221)을 통과하는 물의 량을 검출하기 위한 유량계(224)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물 전송관(221)은 호스이다.
선택적으로,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제어부재는 솔레노이드 밸브(223)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물 전송 모듈은 물 공급 모듈 및 제2 제어부재를 포함하되, 물 수송 시, 제2 제어장치(23)는 제2 제어부재가 물 전송관(221)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며, 물 공급 모듈은 물 전송관(221)을 통해 물을 세척장치(11) 내부로 수송함으로써, 수로 전송 장치의 물 수송 기능을 실현한다; 물의 수송이 완료되면, 제2 제어장치(23)에서 제2 제어부재가 물 전송관(221)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면, 세척장치(11) 내부의 식재료와 물이 서로 혼합되어 식재료를 세척한다; 또한, 세척장치(11)의 세척 동작이 완료된 후, 다시 물 전송관(221)을 개방하여 재차 세척장치(11)로 물을 수송함으로써, 세척장치(11) 자체가 효과적으로 세척되도록 할 수 있다.
물 전송관(221) 상에 유량계(224)를 설치하여, 유량계(224)을 이용하여 물 전송관(221)을 통과하는 유량을 측정함으로써, 수로 전송 장치가 세척장치(11) 내부로 수송하는 물의 량을 얻을 수 있다. 이로써 정밀, 정량적인 물 수송을 실현한다.
물 전송관(221)은 호스로서, 호스는 유연성이 보다 우수하고 변형이 쉬우며, 장착공간에 대한 요구가 보다 낮으므로, 간단하고 효과적이며 유연성있게 물을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의 배치가 보다 자유롭고, 공간을 절약한다; 제2 제어부재는 솔레노이드 밸브(223)로서, 제어가 안정적이고, 민감도가 높으며, 물론 기타 제어부재일 수 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물 공급 모듈은 수관 파이프 조인트(222)를 포함하되, 수관 파이프 조인트(222)는 외계 수원과 연결되어, 외계의 물을 전송 제어 시스템(20) 내부로 수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물 공급 모듈은 제3 제어부재를 더 포함하되, 제3 제어부재는 수관 파이프 조인트(222) 상에 설치되어, 수관 파이프 조인트(222)의 개방/차단을 제어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물 공급 모듈은 수관 파이프 조인트(222)을 포함하고, 수관 파이프 조인트(222)를 이용하여 직접 외계 수원 내부의 물을 세척장치(11) 내부로 수송한다. 예컨대, 직접 수돗물 관로와 연결하므로, 매우 편리하고 별도의 저수 구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또한 조리기기의 구조를 더더욱 간소화하여, 제품의 구조가 보다 컴팩트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도록 한다. 또한, 수관 파이프 조인트(222) 상에 제3 제어부재를 설치하여 수관 파이프 조인트(222)의 개방/차단을 제어하므로, 물 전송관(221) 내부의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품의 사용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미도시), 물 공급 모듈은 물통를 포함하고, 물통은 식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물통의 배수구는 물 전송관(221)의 입구와 연통된다.
바람직하게, 물 공급 모듈은 물 펌프를 더 포함하되, 물 펌프의 입력단은 물통의 배수구와 연통되고, 물 펌프의 출력단은 전송 제어 시스템(20)과 연통되어, 물통 내부의 물을 전송 제어 시스템(20) 내부로 펌핑한다.
물 공급 모듈은 물통을 포함하여, 물통을 통해 저수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세척장치(11)로 편리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물 펌프를 설치하여 물통 내부의 물이 세척장치(11) 내부로 펌핑되도록 확보함으로써, 제품의 사용 안정성을 확보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1, 도4,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제어 시스템(20)은 조리 시스템(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조리기기가 수평식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전송 제어 시스템(20)을 조리 시스템(10)의 일측에 설치하여, 조리기기가 전체적으로 수평식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따른 입식 구조를 방지하고, 제품의 전자동화를 확보하는 기초상에서, 제품의 구조와 제어 원리를 간소화하여, 제품의 구조가 컴팩트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전송 제어 시스템(20)은 조리 시스템(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며,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차선적으로 바람직하게, 전송 제어 시스템(20)은 조리 시스템(10)의 앞측 또는 뒤측에 설치되며,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1, 도4,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는 전기밥솥(1)이다.
물론, 조리기기는 전기밥솥(1)에 국한되지 않으며, 전기 압력 밥솥 또는 기타 조리기기일 수도 있으며, 나아가 두유기, 식품 가공업, 화공업, 석유 제련업, 목축업, 농업 자동 살포, 의약 등 분야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원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는 전기밥솥(1)이고, 전송 제어 시스템(20)은 조리 시스템(10)의 좌측에 설치되며, 제1 입력구 및 제2 입력구는 세척장치(11)의 후방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제어 시스템(20)은 재료 전송 장치, 수로 전송 장치 및 제2 제어장치(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재료 전송 장치는 재료 전송 모듈 및 재료 전송관(213)을 포함하되, 재료 전송 모듈은 재료 저장 박스(211), 재료 배출관(212), 송풍부재, 제1 제어부재 및 센서 무게 측정 모듈(216)을 포함한다. 재료 저장 박스(211)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재료 전송관(213)은 호스이고, 송풍부재는 선풍 모터(214)이고, 제1 제어부재는 솔레노이드 볼 밸브(215)이고, 재료 전송관(213), 재료 배출관(212) 및 송풍부재는 삼통관(217)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수로 전송 장치는 물 전송 모듈 및 물 전송관(221)을 포함하되, 물 전송 모듈은 물 공급 모듈, 제2 제어부재 및 유량계(224)를 포함한다. 물 공급 모듈은 수관 파이프 조인트(222)를 포함하고, 수관 파이프 조인트(222)은 가정용 수돗물에 연결되고, 물 전송관(221)은 호스이고, 제2 제어부재는 솔레노이드 밸브(223)이다.
해당 조리기기의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재료 수송 시, 솔레노이드 볼 밸브(215)을 온시킴과 동시에 선풍 모터(214)를 작동시키며, 이때 수로 솔레노이드 밸브(223)가 오프 상태이며, 깔때기 내부의 쌀이거나 기타 식재료를 조리 시스템(10)의 세척장치(11) 내부로 수송하고, 센서 무게 측정 모듈(216)과 결합하여 재료의 정량적인 수송을 실현한다; 재료 수송 동작이 완료된 후, 솔레노이드 볼 밸브(215) 및 선풍 모터(214)를 오프시킨다; 수로 솔레노이드 밸브(223)를 온하여, 조리 시스템(10)의 세척장치(11) 내부로 물을 수송함과 동시에, 유량계(224)가 물의 량을 계측한다, 용기의 한정량에 도달하면, 수로 솔레노이드 밸브(223)를 오프하여, 물의 정량적인 수송을 실현한다. 세척장치(11)에서 세척 동작을 수행할 때, 선풍 모터(214)를 켜서, 선풍 모터(214)가 세척장치(11) 내부로 지속적으로 블로잉하도록 함으로써, 세척장치(11) 내부의 식재료와 물의 움직임을 가속화하고, 공기 교반을 실현할 수 있다. 세척장치(11)의 세척 동작이 끝나면, 세척된 식재료를 꺼낸 후, 다시 수로 솔레노이드 밸브(223)를 온하여, 세척장치(11)를 청결함으로써 세척장치(11)가 청결을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해당 실시예는 공기압 재료 수송과 수로 제어를 결합하여, 자동 세척 및 재료 수송을 실현하고, 전자동화를 실현함과 동시에, 제품의 구조가 컴팩트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재료 전송 장치를 통해 두가지 기능을 실현한다: 간단하고 효과적이며 유연성있게 물료를 전송하여, 공간의 배치가 보다 자유롭고 공간을 절약하도록 한다; 쌀 등 식재를 씻을 때의 공기 교반을 실현하여, 식재료를 효과적으로 세척한다. 유량계(224)와 솔레노이드 밸브(223)의 결합 동작을 통해서도 두가지 기능을 실현한다: 물의 량을 정확하게 제어하고 세척장치(11)를 청결한다. 센서 무게 측정 모듈과 솔레노이드 볼 밸브(215)의 결합 동작을 통해, 쌀을 정량으로 정밀하게 제어한다; 공기압 재료 수송과 물량 제어를 통해 세척장치(11)가 세척 기능을 실현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 시스템과 전송 제어 시스템을 분리시켜, 관로 또는 기타 방식를 통해 둘 사이의 연결을 실현하므로, 조리 시스템과 전송 제어 시스템이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확보하며, 제품의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제품의 고장율을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조리기기는 조리 시스템 및 전송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되, 조리 시스템은 제1 제어장치를 포함하므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전송 제어 시스템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전송 제어 시스템은 조리 시스템의 외측에 위치하며, 조리 시스템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리 시스템으로 물 및 식재료를 수송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조리기기의 재료 공급 기기 및 물 공급 기기는 조리 시스템과 분리되므로, 이로써 종래기술에 따른 재료 공급 기기 및 물 공급 기기와 조리 시스템이 함께 혼합되어 조리 시스템의 전원 제어 시스템, 조작 패널 등 구조가 물의 영향을 받게 되므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며, 제품의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제품의 고장율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제품의 수리 작업량을 현저히 줄이고,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향상시킨다; 한편, 전송 제어 시스템이 조리 시스템의 외측에 위치하고, 조리 시스템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전송 제어 시스템 또는 조리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전송 제어 시스템 또는 조리 시스템만 교체하면 되며, 제품 전체를 폐기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제품의 원가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서, 용어 “제1 ”, “제2 ”, “제3”은 단순히 기재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않된다; 용어 “복수의”는 기타 명확한 한정이 없는 한, 둘 또는 둘 이상을 나타낸다. 용어“장착”,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 용어는 모두 넓은 범위로 이해되어야 하는 바, 예컨대, “연결”은 고정적인 연결일 수 있으며, 탈착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적인 연결일 수도 있다; “서로 연결”은 직접적인 연결일 수 있으며,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일 수도 있다.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구체적인 경우에 따라 상기 용어가 본 발명에서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용어 “상”, “하”, “좌”, “우”, “전”, “후” 등이 가리키는 방위거나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위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단순히 본 발명을 설명하고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한 것일 뿐, 가라키는 장치 또는 유닛이 반드시 특정된 방향을 구비하여, 특정된 방위로 구성되고 조작되어야 함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않된다.
본 명세서의 기재에서, 용어“일 실시예 ”, “일부 실시예 ”, “구체적인 실시예 ” 등 기재는 해당 실시예 또는 예시와 결합하여 기재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 표현이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실예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재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은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분야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은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치환,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1 내지 도6의 도면부호와 부재의 명칭 사이의 대응관계는 아래와 같다:
1: 전기밥솥 10: 조리 시스템
11: 세척장치 20: 전송 제어 시스템
211:재료 저장 박스 212: 재료 배출관
213: 재료 전송관 214: 선풍 모터
215: 솔레노이드 볼 밸브 216: 센서 무게 측정 모듈
217: 삼통관 221: 물 전송관
222: 수관 파이프 조인트 223: 솔레노이드 밸브
224: 유량계 23: 제2 제어장치.

Claims (10)

  1. 조리 시스템 및 전송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조리 시스템은 세척장치, 상기 세척장치에 연결된 조리 챔버 및 제1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장치 상에 제1 입력구 및 제2 입력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제어장치는 상기 조리 시스템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 제어 시스템은 상기 조리 시스템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조리 시스템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송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1 입력구 및 상기 제2 입력구와 연통되어, 각각 상기 제1 입력구 및 상기 제2 입력구를 통해 상기 세척장치로 세척할 식재료 및 상기 식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수송하고,
    상기 전송 제어 시스템은 송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장치에서 세척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송풍부재를 작동시켜서, 상기 송풍부재가 상기 세척장치 내부로 송풍하여 상기 세척장치 내부의 식재료 및 물의 운동을 촉진하여 공기 교반을 실현하고,
    상기 전송 제어 시스템은,
    재료 전송 모듈 및 재료 전송관을 포함하되, 상기 재료 전송관의 입구는 상기 재료 전송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재료 전송관의 출구는 상기 제1 입력구와 연통되어, 상기 세척장치로 세척할 상기 식재료를 수송하는 재료 전송 장치;
    물 전송 모듈 및 물 전송관을 포함하되, 상기 물 전송관의 입구는 상기 물 전송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물 전송관의 출구는 상기 제2 입력구와 연통되어, 상기 세척장치로 상기 식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수송하는 수로 전송 장치; 및
    상기 재료 전송 장치 및 상기 수로 전송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재료 전송 장치 및 상기 수로 전송 장치의 개방/차단을 제어하는 제2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 전송 모듈은,
    재료 저장 박스, 재료 배출관, 상기 송풍부재 및 제1 제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재료 저장 박스는 상기 식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재료 저장 박스 상에 재료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재료 배출관의 입구는 상기 재료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재료 배출관의 출구는 상기 재료 전송관의 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송풍부재의 송풍구는 상기 재료 전송관의 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재료 전송관 내부로 송풍하여, 상기 재료 전송관 내부의 식재료를 상기 세척장치 내부로 수송하고;
    상기 제1 제어부재는 상기 재료 배출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재료 배출관의 개방/차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전송 모듈은,
    상기 재료 저장 박스와 연결되고, 상기 재료 저장 박스와 상기 재료 저장 박스 내부의 식재료의 총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무게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전송 모듈은,
    상기 물 전송관의 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물 전송관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 모듈; 및
    상기 물 전송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물 전송관의 개방/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전송 모듈은,
    상기 물 전송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물 전송관을 통과하는 물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유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 모듈은 수관 파이프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관 파이프 조인트는 외계 수원과 연결되어, 외계의 물을 상기 전송 제어 시스템 내부로 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 모듈은 물통을 포함하고, 상기 물통은 상기 식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고, 상기 물통의 배수구는 상기 물 전송관의 입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 시스템은 상기 조리 시스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기기가 수평식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는 전기밥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9. 삭제
  10. 삭제
KR1020197011081A 2016-10-20 2017-08-24 조리기기 KR102292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917222.9 2016-10-20
CN201610917222.9A CN107296537B (zh) 2016-10-20 2016-10-20 烹饪器具
PCT/CN2017/098870 WO2018072554A1 (zh) 2016-10-20 2017-08-24 烹饪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168A KR20190055168A (ko) 2019-05-22
KR102292536B1 true KR102292536B1 (ko) 2021-08-20

Family

ID=6013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081A KR102292536B1 (ko) 2016-10-20 2017-08-24 조리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85192B2 (ko)
JP (1) JP6877538B2 (ko)
KR (1) KR102292536B1 (ko)
CN (1) CN107296537B (ko)
WO (1) WO20180725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3523A (zh) * 2018-05-29 2018-08-24 马艺鸣 一种智能烹调机
CN111110002B (zh) * 2018-10-31 2021-07-3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的控制方法、设备、烹饪器具和计算机存储介质
DE102020100970B4 (de) 2020-01-16 2022-03-31 Car.Software Estonia A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lernen eines lernfähigen Algorithmus, Computerprogrammprodukt, Fahrerassistenz-System und Fahrzeug
CN112754255B (zh) * 2020-12-30 2022-05-24 东莞市精心自动化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炒菜机
USD1011821S1 (en) 2022-02-17 2024-01-23 Whirlpool Corporation Countertop cooking appli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4578A (ja) * 2001-01-30 2002-08-13 Daiwa Seiko Inc 粒体気流搬送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自動洗米装置
JP2007050368A (ja) * 2005-08-19 2007-03-01 Shiyuuzo Fukunaga 洗米装置及び洗米方法並びに洗米機能付き炊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1279A (ja) * 1996-01-30 1997-08-05 Kubota Corp 洗米装置
JP3852339B2 (ja) * 2002-01-18 2006-11-29 井関農機株式会社 洗米炊飯機
KR100551360B1 (ko) 2003-10-22 2006-02-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자동 취사 장치
KR200402213Y1 (ko) 2005-09-13 2005-11-29 김성곤 무인 자동 취사장치
KR100880238B1 (ko) 2007-07-13 2009-01-30 주식회사 큐리프 밥솥 뚜껑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무인 자동 취사장치의 본체 및 이를 구비한 무인 자동 취사장치
CN101836816B (zh) * 2010-04-12 2012-08-08 张金凤 自动烹饪机
CN102551517A (zh) * 2010-12-23 2012-07-11 姚凌 预约煮食机
JP5200154B2 (ja) * 2011-11-30 2013-05-15 株式会社自然芋そば 米生地形成機
WO2016024237A2 (en) * 2014-08-13 2016-02-18 Anasuri Veera Kanaka Gouri Krishna Teja Automated electric rice maker with multiple compartments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stages of making rice
CN204260526U (zh) 2014-11-26 2015-04-15 杭州博达设计咨询有限公司 具有仓储、碾米、干洗和蒸煮功能的分体式智能电饭煲
CN204520360U (zh) * 2015-04-13 2015-08-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上盖
CN205162720U (zh) * 2015-08-25 2016-04-20 广东辉胜达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搅面与烹饪组合多功能料理机
CN105167561B (zh) * 2015-08-28 2017-10-03 地利营养配餐科技有限公司 智能烹饪机
CN205125896U (zh) * 2015-10-20 2016-04-06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烹饪器具
CN206252301U (zh) 2016-10-20 2017-06-16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4578A (ja) * 2001-01-30 2002-08-13 Daiwa Seiko Inc 粒体気流搬送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自動洗米装置
JP2007050368A (ja) * 2005-08-19 2007-03-01 Shiyuuzo Fukunaga 洗米装置及び洗米方法並びに洗米機能付き炊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72554A1 (zh) 2018-04-26
CN107296537A (zh) 2017-10-27
JP6877538B2 (ja) 2021-05-26
US20190246844A1 (en) 2019-08-15
US11185192B2 (en) 2021-11-30
CN107296537B (zh) 2023-04-25
JP2019533506A (ja) 2019-11-21
KR20190055168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536B1 (ko) 조리기기
KR102227928B1 (ko) 조리기기
CN107287839B (zh) 一种能投放洗涤剂的进水装置
AU2013405844A1 (en)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detergent drawer comprising a control panel
CN205653622U (zh) 一种能投放洗涤剂的进水装置
CN208582282U (zh) 物料清洗装置及烹饪器具
CN107960836A (zh) 烹饪器具
CN206252299U (zh) 烹饪器具
CN206252301U (zh) 烹饪器具
CN206252300U (zh) 烹饪器具
CN206565848U (zh) 烹饪器具
EP2860301B1 (en) Washing machine
CN108193438A (zh) 一种洗衣机洗涤盒加热装置
CN107960837B (zh) 烹饪器具
IT8224421A1 (it) Dispositivo per convogliare singolarmente ed in maniera dosata più sostanze attive pompabili
CN206252308U (zh) 烹饪器具
CN210842929U (zh) 一种洗碗机的干燥系统及洗碗机
US11015280B2 (en) Flow path switcher and liquid detergent delivery device
CN107960917A (zh) 烹饪器具
CN206284817U (zh) 烹饪器具
CN206586826U (zh) 烹饪装置
CN215210082U (zh) 一种洗衣机自动投放洗涤助剂的装置及洗衣机
CN217488593U (zh) 具有热量回收功能的商用洗碗机
CN114680584B (zh) 烹饪器具
CN220191804U (zh) 宠物自动清洗烘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