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270B1 - 통나무 원목에 유용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태하천 복원구조 및 복원방법 - Google Patents

통나무 원목에 유용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태하천 복원구조 및 복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270B1
KR102292270B1 KR1020210051145A KR20210051145A KR102292270B1 KR 102292270 B1 KR102292270 B1 KR 102292270B1 KR 1020210051145 A KR1020210051145 A KR 1020210051145A KR 20210051145 A KR20210051145 A KR 20210051145A KR 102292270 B1 KR102292270 B1 KR 102292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log
bundle
microorganisms
usef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병담
Original Assignee
우병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병담 filed Critical 우병담
Priority to KR1020210051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 Y02A20/402River rest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나무 원목에 유용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태하천 복원구조 및 복원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통나무 원목 다발에 유용 미생물을 배양시켜 하천에 시공함으로써 하천의 수질정화와 강도래류의 번식 및 식물성 플랑크톤의 지속적인 공급과 더불어 치어의 은신처 및 산란처 또는 다양한 어류의 안정적인 서식처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통나무 원목에 유용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태하천 복원구조 및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통나무 원목에 유용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태하천 복원구조는 하천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단은 하천의 가장자리의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포스트부재(10);
상기 복수개의 포스트부재(10)의 사이에 위치되며 고초균, 유산균, 광합성균, 효모균, 토착미생물을 포함하는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목재 재질의 원목 다발(20);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상기 원목 다발(20)을 포스트부재(10)에 고정하도록 원목 다발(20) 상부를 가로질러 상기 포스트부재(1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0);
상기 원목 다발(20)의 상부를 덮는 복토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나무 원목에 유용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태하천 복원구조 및 복원방법{Restoration structure of cological river and restoration method}
본 발명은 통나무 원목에 유용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태하천 복원구조 및 복원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통나무 원목 다발에 유용 미생물을 배양시켜 하천에 시공함으로써 하천의 수질정화와 강도래류의 번식 및 식물성 플랑크톤의 지속적인 공급과 더불어 치어의 은신처 및 산란처 또는 다양한 어류의 안정적인 서식처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통나무 원목에 유용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태하천 복원구조 및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적인 하천은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과정에서 사행천의 모습을 띠고 흐르며 유속의 완급으로 발생하는 침식작용과 속도 등에 의하여 여울과 모래톱 등이 하상에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또한 자연적인 하천은 수변의 자연스러운 평면적, 입면적 굴곡과 만곡부의 형성으로 말미암아 다양한 어류, 수서곤충 양서류 등의 서식처는 물론 조류의 휴식처가 되었으며, 주변의 경관과 함께 빼어난 자연경관을 이룬다.
그러나, 국가의 산업 발전화로 인하여 오늘날 하천은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하천의 사면을 포장하거나, 돌을 축조하거나, 돌망태, 철재구조물을 시공하는 공사 등을 시행하였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인공 하천화 하거나 심지어 복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공사는 준공 후 시각적인 면으로는 도시적이며, 튼튼하고 안정적인 느낌을 제공하지만 강알칼리성의 시멘트 성분 및 시멘트내의 독성물질이 유속의 와류에 의하여 미세물질로 떨어져 나가 수질이 오염되고, 유속이 더욱 빨라져 수중 미생물에 대한 서식환경을 불량하게 만들거나 파괴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방 공사시에 돌쌓기 공사와 돌망태 공사 등은 패쇄석이나, 강자갈 등의 고가의 재료를 사용하게 되어 공사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하천변 수목이나 수중식물이 서식하기에 알맞지 않은 상태로 변화되어 하천 생태계 및 수중 생태계가 파괴되어 더 이상 수서생물이 서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1) 국내등록실용공보 제20-0194534호
(특허문헌 02)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0029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나무 원목 다발에 유용 미생물을 배양시켜서 하천의 가장자리에 시공하여 하천의 수질정화는 물론 치어의 먹이가되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지속적인 공급과 목질부를 먹이원으로 삼는 강도래류를 번식시켜 성어의 먹이를 제공하며 치어의 은신처 및 산란처 또는 다양한 어류의 안정적인 서식처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통나무 원목에 유용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태하천 복원구조 및 복원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통나무 원목에 유용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태하천 복원구조는 하천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단은 하천의 가장자리의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포스트부재(10);
상기 복수개의 포스트부재(10)의 사이에 위치되며 고초균, 유산균, 광합성균, 효모균, 토착미생물을 포함하는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목재 재질의 원목 다발(20);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상기 원목 다발(20)을 포스트부재(10)에 고정하도록 원목 다발(20) 상부를 가로질러 상기 포스트부재(1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0);
상기 원목 다발(20)의 상부를 덮는 복토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공하지 않아 세포조직이 살아있는 원목에 유용 미생물을 다량으로 배양시킨 상태의 원목 다발을 하천에 시공하여 하천의 수질정화와 악취제거, 녹조류를 감소시키고 치어의 먹이가 되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지속적인 공급과 함께 목질부를 먹이원으로 삼는 강도래류를 활발히 번식되게 하여 성어의 먹이를 제공하며 치어의 은신처 및 산란처 또는 다양한 어류의 서식처 등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수중생태계를 복원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오염하천의 정화와 자연하천의 복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어 시공 및 설계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에 의해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하천수 정화산업상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태하천 복원구조의 시공된 개략적인 상태도
도 2는 도 1의 생태하천 복원구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생태하천 복원구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생태하천 복원구조의 포스트부재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생태하천 복원구조의 원목 다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태하천 복원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본 발명의 통나무 원목에 유용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태하천 복원구조는 하천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단은 하천의 가장자리의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포스트부재(10);
상기 복수개의 포스트부재(10)의 사이에 위치되며 고초균, 유산균, 광합성균, 효모균, 토착미생물을 포함하는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목재 재질의 원목 다발(20);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상기 원목 다발(20)을 포스트부재(10)에 고정하도록 원목 다발(20) 상부를 가로질러 상기 포스트부재(1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0);
상기 원목 다발(20)의 상부를 덮는 복토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목 다발(20)은 일정길이를 가지며 함수율 60~65%로 건조시킨 통나무 다수개를 다발화하고, 고초균, 유산균, 광합성균, 효모균, 토착미생물을 각각 동일 비율로 혼합하여 준비한 유용 미생물 원액과 물이 1:100의 비율로 혼합되어 수용된 수조에 24시간 침전시킨 후 배양실로 옮겨 원목 다발에 유용 미생물을 배양시키며,
상기 배양실에서는 원목 다발에 보온덮개 또는 비닐을 덮고 실내온도 25~30도로 20~21일간 보온하여 원목 다발에 유용 미생물을 배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스트부재(10)는 상기 하천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열과 행으로 배치되어 하천의 가장자리의 내부로 삽입 고정되고,
상기 원목 다발(20)은 직육면의 블록 형태로 적층시킨 복수개의 통나무 원목을 프레스로 압축한 후 밴드(21)로 고정시키며, 상기 밴드(21)는 시공 후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스트부재(10)에는 관통홀(1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30)는 포스트부재(10)의 관통홀(11)에 삽입되는 철근부재와, 철근부재의 삽입된 상태를 고정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태하천 복원방법은 상기 포스트부재(10), 원목 다발(20), 고정부재(30), 복토부(40)를 이용하여 생태 하천을 복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재(10) 복수개를 하천의 가장자리에 삽입 고정하는 단계(S10);
상기 복수개의 포스트부재(10)의 사이 위치의 흙을 일부 제거하여 안착부를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안착부에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원목 다발(20)을 안착시키는 단계(S30);
상기 원목 다발(20)을 고정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포스트부재(10)에 고정하는 단계(S40);
상기 원목 다발(20)의 상측을 흙으로 덮어 복토부(40)가 형성되게 작업하는 단계(S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통나무 원목에 유용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태하천 복원구조(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태하천 복원구조의 시공된 개략적인 상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생태하천 복원구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생태하천 복원구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생태하천 복원구조의 포스트부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생태하천 복원구조의 원목 다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태하천 복원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상기 포스트부재(10)는 하천의 가장자리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하천의 가장자리의 둔치에 복수개로 설치된다. 상기 포스트부재(10)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말뚝 형상으로, 하천의 가장자리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포스트부재(10)는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물론 상기 포스트부재(10)는 목재 재질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는 재질이면 어느 재질이든 변경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포스트부재(10)는 2열로 복수개가 하천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둔치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다.
물론 상기 포스트부재(10)는 2열의 배치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열 이상의 복수의 열과 행으로 둔치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변경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포스트부재(10)는 직경 150mm 이상이고, 복수개가 서로간에 대략 120cm의 거리 간격으로 마주한 상태로 열과 행을 이루며 설치되나, 이러한 복수개의 포스트부재(10)의 각 직경과 설치된 사이 간격은 하천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적용 가능하다.
상기 포스트부재(10)가 삽입 고정되는 위치에는 대략 1.5m 정도의 구덩이를 파고 포스트부재(10)를 삽입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포스트부재(10)에는 고정부재(30)가 결합되게 상측부에 관통홀(11)이 형성된다.
상기 원목 다발(20)은 복수개의 상기 포스트부재(10)들이 마주하는 사이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천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원목 다발(20)은 목재 재질로서 벌목 후 가공하지 않은채 껍질이 그대로 붙어 있는 상태의 통나무 원목을 적당한 길이로 자르고, 적당한 길이로 자른 복수개의 통나무 원목을 직육면의 블록 형태로 적층시킨 후 프레스로 압축하여 원목들간의 사이 간격을 최대한으로 축소시키며, 프레스로 압축시킨 원목들을 밴드(21)로 단단히 고정하여 다발화시킴으로써 치어를 먹이로 삼는 큰 어류로부터 치어의 은신이나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치어가 소정 크기로 성장할 때까지 큰 어류로부터 안전하게 지켜줄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원목 다발(20)은 하천의 수질정화와 치어의 먹이가 되는 식물성 플라크톤이나 강도래류 등이 오래 살수 있는 번식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원목 다발(20)에 고초균, 유산균, 광합성균, 효모균, 토착미생물을 포함하는 유용 미생물을 배양시키도록 한다.
상기 원목 다발(20)에 유용 미생물을 배양시키는 위해서는 먼저, 통나무 원목을 적당한 길이로 자른 후 직사광선을 피하기 위해 차광막으로 통나무 원목을 덮거나 통풍이 잘되는 서늘한 곳에서 2~3개월 정도 자연 건조시켜 함수율이 60~65%정도가 되게 건조시킨다.
상기 통나무 원목은 함수율이 60~65%정도가 되지 않으면 미생물 배양 효과가 거의발생하지 않으므로 함수율이 60~65% 정도가 되게 잘 건조시켜야 한다.
상기 함수율 60~65%로 건조시킨 통나무는 상기 서술한 방법과 같이 다수의 통나무 원목들을 프레스로 압축한 후 복수개의 밴드(21)로 고정시켜 다발화한 후 유용 미생물과 물이 혼합된 수조에 침전시킨다.
상기 원목 다발(20)을 하천에 시공 후에는 상기 밴드(21)들을 모두 제거하여 수질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한다.
상기 유용 미생물은 고초균, 유산균, 광합성균, 효모균, 토착미생물 원액이 각각 동일한 양으로 혼합된 것이며, 상기 유용 미생물은 물과 1:100의 비율로 혼합되어 수조에 수용된다.
상기 유용 미생물은 수질개선, 악취제거, 단백질 분해효소 및 분비 효과가 있는 고초균과, 젖산발효, 난분해성 유기물 분해, 부패균 억제 효과가 있는 유산균과, 생리활성물질 분비, 포도당, 알코올 발효, 세포활성화 촉진 효과가 있는 효모균과, 수질정화 기능, 녹조류 감소 효과가 있는 토착미생물과, 유해물질 분해, 비타민, 아미노산 생성, 암모니아나 아질산 등의 질소화합물을 신속히 제거하며 유기오염물을 먹이로 흡수하여 수질을 좋게하고 클로렐라나 효모 등 영양성이 우수하며 기호성이 좋아 종묘 생산시 영양불균형에 의한 어류의 폐사를 줄일 수 있는 광합성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초균, 유산균, 광합성균, 효모균, 토착미생물의 종균은 축산폐수의 정화나 악취제거, 농업의 농약사용 저감효과, 화학비료의 비료 사용량 절감 및 퇴비의 발효를 위해 오래전부터 이미 효과가 입증되어 많은 업체나 연구소에서 배양하고 있으므로 시중에서 각 종균을 원액으로 공급받아 사용하거나, 또는 토착미생물 같은 경우 토양에서 직접 채취하고 원액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토착미생물 원액을 체취하고 만드는 방법은,
1. 가로 30cm, 세로 30cm, 높이 20cm의 사각으로된 틀을 만들고 토착미생물을 얻고자 하는 활엽수지역, 침역수지역, 대나무 밭 등에 사각 틀을 설치하고 틀 바닥에 깨끗한 광천목을 깐후 고두밥을 넣고 그 상부에 다시 깨끗한 천을 덮고, 그 위에 종균을 채취하고자 하는 주변의 낙엽으로 덮어둔다.
2. 약 10~15일 정도 그대로 두었다가 미생물이 잘 접종되었는지 확인하여 접종이 잘 되었으면 수거하여 미강으로 잘 버무려 종균을 2차 증식하여 배양을 시작한다.
3. 2~3일 마다 한번씩 고르게 섞이도록 뒤짚어 주고, 약 10일 정도를 증식시킨 후 단지에 넣고 걸죽하게 물과 배합하여 4~5일 정도 따뜻한 곳에서 배양한 후 거즈나 체로 잘 걸러 토착미생물 원액을 만든다.
상기 완성된 토착미생물 원액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관기간을 늘리기 위해 냉장고나 햇빛이 들지 않는 서늘한 곳에 보관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유용미생물과 물이 혼합된 수조에 침전시킨 원목 다발(20)은 수조에서 부유되지 않는 상태로 24시간 동안 수조에 침수시킨 후 건져내 배양실로 옮긴다.
상기 배양실에서는 원목 다발(20)에 미생물이 잘 발효될 수 있게 실내온도를 25~30도로 유지시킨 뒤 보온덮개나 비닐로 덮어 원목 다발(20)을 보온한 후 약 20~21일간 미생물을 배양시킨다.
상기 원목 다발(20)에는 수시로 원목 다발(20)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게 온도계를 설치하여 원목 다발(20) 내부의 온도가 발효열에 의하여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도록 하고 원목 다발(20)의 온도가 60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보온덮개나 비닐을 제거한 후 실내를 강제로 환기시켜 원목 다발(20)의 온도를 낮추도록 하며, 원목 다발(20)이 건조할 경우 표면에 물을 뿌려줘도 된다.
상기 원목 다발(20)은 미생물 발효시 지나치게 온도가 높으면 목재 재질의 부식이 빨라져 스폰지처럼 푸석푸석 해져 원목의 수명이 단축되므로 가능하면 저온으로 서서히 발효시키도록 하며, 미생물이 어느정도 잘 발효되었는지 여부는 육안으로도 식별이 가능한 것으로, 미생물이 잘 발효된 원목 다발(20)에는 흰 곰팡이 균이 피어나 있으므로 육안으로도 쉽게 관찰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원목 다발(20)에 배양된 유용 미생물은 비를 맞거나 물속에 들어가도 미생물이 없어지지 않는 것으로 미생물이 배양되었다는 것은 목질 조직의 세포속에 미생물이 침투되어 있다는 뜻이므로 물속에 들어간다고 해서 미생물이 없어지지 않고 배양된 상태가 오래도록 유지될 수 있다.
가공하지 않아 세포조직이 살아있으며 유용 미생물이 다량으로 배양된 상태의 상기 원목 다발(20)은 하천에 시공됨으로 인해서 유용 미생물들이 황산화 물질을 생성하여 서로 공생하며 부패를 억제하여 자연 스스로 생태계를 소생의 방향으로 이끌어 하천의 수질정화와 악취제거, 녹조류를 감소시키고 치어의 먹이가 되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지속적인 공급과 함께 목질부를 먹이원으로 삼는 강도래류를 활발히 번식되게 하여 성어의 먹이를 제공하고 다양한 어류의 산란처 및 은신처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상기 원목 다발(20)을 포스트부재(10)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원목 다발(20)을 가로질러 상부에서 누른 상태로 각 포스트부재(10)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원목 다발(20)을 누른 상태로 각 포스트부재(10)의 관통홀(11)에 삽입되는 철근부재로 구성되며, 이하에서 상기 고정부재(30)와 철근부재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철근부재(30)는 관통홀(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부재로 고정되어 안정적인 삽입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포스트부재(10)에 형성되는 관통홀(11)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하며 철근부재(30)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되어 원목 다발(20)과 포스트부재(10)의 사이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원목 다발(20)은 상기 철근부재(30)에 의해 각 포스트부재(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상승되지 않고, 또한 홍수기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토부(40)는 상기 원목 다발(20)의 상측으로 흙을 덮는 것으로 원목 다발(20)이 시공된 상태의 상부를 복토하여 수생 생물의 은신처와 서식처의 안정적인 확보가 가능하게 하고, 원목 다발(20)에 붙어있는 나무껍질의 내부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억제하며 복토부(40)의 토양 내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 미생물을 원목 다발(20)에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원으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상기 포스트부재(10), 원목 다발(20), 고정부재(30), 복토부(40)를 이용하여 생태 하천을 복원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복수개의 포스트부재(10)를 하천의 가장자리에 삽입 고정한다(S10).
상기 (S10)단계는 하천의 가장자리에 포스트부재(10)를 복수개로 설치하는 것으로, 하천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둔치 위치에 복수개로 설치된다.
상기 포스트부재(10)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말뚝 형상으로, 하천의 가장자리와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포스트부재(10)는 삽입 고정되는 위치에 대략 1.5m 정도의 구덩이를 파고 삽입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S10)단계에서 시공된 복수개의 포스트부재(10)의 사이 위치의 흙 일부를 제거하여 안착부를 형성한다(S20).
상기 (S20)단계의 안착부는 포스트부재(10들의 사이 위치의 둔치의 흙 일부분을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S20)단계의 안착부에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원목 다발(20)을 설치한다(S30).
상기 원목 다발(20)은 다량의 유용 미생물이 배양되어 있고 포스트부재(10)의 사이 위치에서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유용 미생물에 의한 하천의 수질정화, 악취제거, 녹조류 감소 및 치어의 먹이가되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지속적인 공급과 더불어 목질부를 먹이원으로 삼는 강도래류를 번식시켜 성어의 먹이를 제공하고 어류의 산란처 및 은신처, 다양한 어류의 안정적인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어서, (S30)단계의 원목 다발(20)을 고정부재(30)를 이용하여 포스트부재(10)에 고정한다(S40).
상기 원목 다발(20)이 포스트부재(10)에 고정되면 상기 원목 다발(20)을 묶고있는 밴드(21)는 모두 제거한다.
(S40)단계의 고정부재(30)는 원목 다발(20)을 상부에서 누른 상태로 각 포스트부재(10)에 삽입되는 철근부재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고정부재와 철근부재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철근부재(30)는 각 포스트부재(10)에 형성된 관통홀(11)에 삽입 고정되어 원목 다발(20)은 철근부재(30)에 의해 포스트부재(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상승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S40)단계의 원목 다발(20)의 상측으로 흙을 덮어 복토 작업을 실시한다(S50).
(S50)단계의 복토부(30)는 원목 다발(20)의 상측을 흙으로 덮는 것으로, 시공된 상태의 상부를 복토하여 수생 생물의 은신처와 서식처의 안정적인 확보 및 원목 다발(20)의 나무껍질 내부 수분의 증발 억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게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게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포스트부재
11-관통홀
20-원목 다발
21-밴드
30-고정부재
40-복토부

Claims (5)

  1. 하천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단은 하천의 가장자리의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포스트부재(10);
    상기 복수개의 포스트부재(10)의 사이에 위치되며 고초균, 유산균, 광합성균, 효모균, 토착미생물을 포함하는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목재 재질의 원목 다발(20);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상기 원목 다발(20)을 포스트부재(10)에 고정하도록 원목 다발(20) 상부를 가로질러 상기 포스트부재(1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0);
    상기 원목 다발(20)의 상부를 덮는 복토부(40)로 구성되는 통나무 원목에 유용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태하천 복원구조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재(10)는 상기 하천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열과 행으로 배치되어 하천의 가장자리의 내부로 삽입 고정되고, 상기 포스트부재(10)에는 관통홀(11)이 형성되며,
    상기 원목 다발(20)은 일정길이를 가지며 함수율 60~65%로 건조시킨 통나무 다수개를 다발화하고, 고초균, 유산균, 광합성균, 효모균, 토착미생물을 각각 동일 비율로 혼합하여 준비한 유용 미생물 원액과 물이 1:100의 비율로 혼합되어 수용된 수조에 24시간 침전시킨 후 배양실로 옮겨 원목 다발에 유용 미생물을 배양시키며,
    상기 배양실에서는 원목 다발에 보온덮개 또는 비닐을 덮고 실내온도 25~30도로 20~21일간 보온하여 원목 다발에 유용 미생물을 배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원목에 유용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태하천 복원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항의 상기 포스트부재(10), 원목 다발(20), 고정부재(30), 복토부(40)를 이용하여 생태하천을 복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재(10) 복수개를 하천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열과 행으로 배치하여 하천 가장자리의 내부로 삽입 고정하는 단계(S10);
    상기 복수개의 포스트부재(10)의 사이 위치의 흙을 일부 제거하여 안착부를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안착부에 유용 미생물이 배양된 원목 다발(20)을 안착시키는 단계(S30);
    상기 원목 다발(20)을 고정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포스트부재(10)에 고정하는 단계(S40);
    상기 원목 다발(20)의 상측을 흙으로 덮어 복토부(40)가 형성되게 작업하는 단계(S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하천 복원 방법.
KR1020210051145A 2021-04-20 2021-04-20 통나무 원목에 유용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태하천 복원구조 및 복원방법 KR102292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145A KR102292270B1 (ko) 2021-04-20 2021-04-20 통나무 원목에 유용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태하천 복원구조 및 복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145A KR102292270B1 (ko) 2021-04-20 2021-04-20 통나무 원목에 유용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태하천 복원구조 및 복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270B1 true KR102292270B1 (ko) 2021-08-20

Family

ID=7746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145A KR102292270B1 (ko) 2021-04-20 2021-04-20 통나무 원목에 유용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태하천 복원구조 및 복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27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534Y1 (ko) 2000-04-03 2000-09-01 도일산업주식회사 조립식옹벽블럭
KR20020000924A (ko) 2000-06-22 2002-01-09 이구택 강판 코팅롤의 수분 제거장치
KR100424405B1 (ko) * 2003-07-23 2004-03-31 태성건설 주식회사 다공 전주어초
JP2005210905A (ja) * 2004-01-27 2005-08-11 Natsuo Okabe 淡水魚用の魚礁
KR20080084052A (ko) * 2007-03-14 2008-09-19 이석태 미생물을 나무토막에 배양하는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배양된 미생물배양목질칩
KR100886736B1 (ko) * 2008-06-05 2009-03-04 (주)에코원 식생 적층 조립체
JP2011256693A (ja) * 2010-05-10 2011-12-22 Eco Easel Co Ltd 枕木を再利用して製作する海洋土木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534Y1 (ko) 2000-04-03 2000-09-01 도일산업주식회사 조립식옹벽블럭
KR20020000924A (ko) 2000-06-22 2002-01-09 이구택 강판 코팅롤의 수분 제거장치
KR100424405B1 (ko) * 2003-07-23 2004-03-31 태성건설 주식회사 다공 전주어초
JP2005210905A (ja) * 2004-01-27 2005-08-11 Natsuo Okabe 淡水魚用の魚礁
KR20080084052A (ko) * 2007-03-14 2008-09-19 이석태 미생물을 나무토막에 배양하는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배양된 미생물배양목질칩
KR100886736B1 (ko) * 2008-06-05 2009-03-04 (주)에코원 식생 적층 조립체
JP2011256693A (ja) * 2010-05-10 2011-12-22 Eco Easel Co Ltd 枕木を再利用して製作する海洋土木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fari Ecological and socio-economic utilization of water hyacinth (Eichhornia crassipes Mart Solms)
CN109626766A (zh) 一种城市河流的生态调蓄湖的构建方法
CN108455787A (zh) 一种基于生态沟渠塘农业湿地的污水处理方法
CN208836748U (zh) 一种立体种养大棚
CN107950444A (zh) 一种虾菜鱼立体生态养殖方法
CN108439608A (zh) 一种湿地公园水生植物水环境净化方法
CN107265646A (zh) 一种控制城市景观水体蓝藻水华爆发的方法
CN109942336A (zh) 一种利用Compo发酵机处理猪粪生产水产养殖用活性磷有机肥的工艺
KR102292270B1 (ko) 통나무 원목에 유용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태하천 복원구조 및 복원방법
JP2006143791A (ja) 土壌改良材、栽培土壌蘇生用土、および田畑土壌の蘇生方法
CN109430120B (zh) 红树林区利用海水养殖废水养殖大弹涂鱼方法
KR20110109346A (ko) 미생물이 활착된 다공질매체를 구비한 화분시스템
JP2001198593A (ja) 植生箱及び該植生箱を使用した水辺地の浄化方法
Chao et al. Aquacultural characteristics of Rhizoclonium riparium and an evaluation of its biomass growth potential
GB2477629A (en) Treatment of water pollution utilising plants with aerenchyma tissues
KR20000002846A (ko) 지렁이 배설물을 이용한 유기설 폐기물의 원예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
JP3143264U (ja) 竹チップ材の堆積床の熱利用通水配管装置
KR20110108852A (ko) 자연생태형화분시스템
CN109526820A (zh) 一种池塘鱼蛙菜共生的养殖方法
CN109526819A (zh) 一种池塘鱼蛙稻共生的养殖方法
KR101712440B1 (ko) 유해조류 방제를 위한 개구리밥과식물 배양용 수상구조물
CN109619013A (zh) 一种带净化功能的养殖设施系统
KR100443210B1 (ko) 벼과식물을 이용한 하천 및 인공식물섬의 식생복원용식물뗏장 및 그 조성방법
CN109618993A (zh) 一种宽体金线蛭苗种早繁培育方法
CN107117715A (zh) 湖库清淤后生态修复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