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174B1 - 차량용 램프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174B1
KR102292174B1 KR1020140183423A KR20140183423A KR102292174B1 KR 102292174 B1 KR102292174 B1 KR 102292174B1 KR 1020140183423 A KR1020140183423 A KR 1020140183423A KR 20140183423 A KR20140183423 A KR 20140183423A KR 102292174 B1 KR102292174 B1 KR 102292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etainer ring
side wall
reflector
lens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4284A (ko
Inventor
김준환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3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1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74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을 투사하는 곡률부 및 상기 곡률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렌즈; 상기 곡률부가 관통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 및 상기 개구부로부터 타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 결합되며, 일측면이 상기 플랜지부의 타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 홀더에 고정시키는 C형상의 리테이너 링; 및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상기 렌즈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측벽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리테이너 링의 타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렌즈 지지부와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탭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 링은,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면이 상기 렌즈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타측면과 상기 탭 사이로 끼움되어 상기 측벽부에 끼움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장치 및 그 조립 방법{A lamp apparatus for vehicles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장치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를 파손 없이 렌즈 홀더에 조립시키고, 렌즈 홀더와 리플렉터의 조립 공정을 간소화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을 알리기 위한 신호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 중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일반적인 차량용 램프는 렌즈, 렌즈 홀더 및 리플렉터를 포함한다. 리플렉터는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렌즈 측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렌즈는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광을 투사시켜 빔 패턴을 형성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렌즈 홀더는 렌즈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로서, 일측에 렌즈를 고정시키고, 타측에 리플렉터가 나사 결합된다.
차량용 램프는 렌즈를 렌즈 홀더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렌즈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리플렉터를 렌즈 홀더에 나사 결합시, 별도의 태핑 스크류를 사용하여 나사 결합하기에 조립 공정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렌즈를 파손 없이 렌즈 홀더에 조립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 장치 및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렌즈 홀더와 리플렉터의 조립 공정을 간소화하고, 생산 원가를 줄일 수 있는 차량용 램프 장치 및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을 투사하는 곡률부 및 상기 곡률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렌즈; 상기 곡률부가 관통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 및 상기 개구부로부터 타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 결합되며, 일측면이 상기 플랜지부의 타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 홀더에 고정시키는 C형상의 리테이너 링; 및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상기 렌즈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측벽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리테이너 링의 타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렌즈 지지부와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탭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 링은,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면이 상기 렌즈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타측면과 상기 탭 사이로 끼움되어 상기 측벽부에 끼움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탭은, 상기 측벽부와 평행한 평행부; 상기 평행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측벽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경사부; 및 상기 평행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측벽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평행부와 제1 둔각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경사부는, 상기 평행부와 제2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테이너 링은, 양단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탭 사이에 끼움된 상태에서 작업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양단 영역을 가압시켜, 상기 양단 영역을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탭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테이너 링은, 양단 영역에 상기 작업 도구가 결합되는 결합 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테이너 링의 폭은, 중간 영역에서 양단 영역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테이너 링은, C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측벽부로부터 타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레그부; 및 상기 레그부의 타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리플렉터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리플렉터 결합부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홀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결합부 및 상기 리플렉터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홀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체결 홀을 관통하는 체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 홀을 관통한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리플렉터 결합부와 상기 홀더 결합부가 리벳(rivet) 결합되도록 압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의 조립방법은, 렌즈 홀더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광을 투사시키는 렌즈의 곡률부를 관통시키면서, 상기 곡률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을 향해 연장된 플랜지부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된 렌즈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 홀더에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개구부로부터 타측을 향해 연장된 측벽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된 탭 및 상기 렌즈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플랜지부 사이로 리테이너 링을 끼움 결합시켜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 홀더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에서 발생한 광을 상기 렌즈 측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상기 렌즈 홀더의 타측에 리벳(rivet)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벳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렌즈 홀더의 타측에 형성된 체결 홀에 상기 리플렉터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 돌기를 관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체결 홀을 관통한 체결 돌기를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리테이너 링의 양단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탭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로 끼운 상태에서 상기 양단 영역을 작업 도구를 통해 가압하여 상기 리테이너 링을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장치 및 그 조립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리테이너 링을 렌즈 홀더에 결합하는 것만으로 렌즈의 플랜지부를 렌즈 지지부 측으로 가압시켜 고정하므로, 렌즈 홀더에 렌즈가 파손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렌즈가 렌즈 홀더에 오조립 및 불량시 리테이너 링을 렌즈 홀더로부터 분리시켜, 렌즈 홀더에 렌즈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리플렉터와 렌즈 홀더를 리벳 결합하여, 부품 수를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과정에 소요되는 시간, 비용 및 노력이 경감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의 리테이너 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가 렌즈 홀더에 조립되는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홀더에 리테이너 링이 조립되는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플렉터가 렌즈 홀더에 조립되는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돌기가 압착되는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의 렌즈 홀더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10)는 광원(미도시), 렌즈(100), 렌즈 홀더(200), 리테이너 링(300, 도 2 참조) 및 리플렉터(4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00)는 렌즈 홀더(200)의 일측에 고정되고, 리플렉터(400)는 렌즈 홀더(200)의 타측에 결합된다.
광원(미도시)은 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엘이디 소자, 벌브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광원(미도시)은 리플렉터(400)를 향해 광을 조사한다.
렌즈(100)는 광원(미도시)에서 발생되는 광을 외부로 투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렌즈(100)는 곡률 변화 등을 통해 광 투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비구면 렌즈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렌즈(100)는 구면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00)는 곡률부(110) 및 플랜지부(120)를 포함한다. 곡률부(110)는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을 투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곡률부(110)는 광의 투사 방향인 일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곡률부(110)는 렌즈(100)가 렌즈 홀더(200)에 고정될 때, 후술할 렌즈 홀더(200)의 개구부(260)를 관통되게 배치된다.
플랜지부(120)는 곡률부(110)의 둘레를 따라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플랜지부(120)는 곡률부(110)에서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후술할 바와 같이, 플랜지부(120)의 일측면(120a, 도 4 참조)에는 렌즈 지지부(210)의 지지를 받고, 플랜지부(120)의 타측면(120b, 도 4 참조)에는 리테이너 링(300)의 지지를 받는다. 이에 따라, 플랜지부(120)가 렌즈 지지부(210)와 리테이너 링(30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렌즈(100)는 렌즈 홀더(200)의 일측에 고정된다.
렌즈 홀더(200)는 렌즈(10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렌즈 홀더(200)는 곡률부(110)가 관통되는 개구부(260)와, 개구부(260)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플랜지부(120)의 일측면(120a, 도 4 참조)을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210)와, 개구부(260)로부터 타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220)를 포함한다.
개구부(260)는 곡률부(110)의 광의 투사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구부(260)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개구부(260)는 사각형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측벽부(220)도 곡률부(110)의 광의 투사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측벽부(22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렌즈 홀더(200)는 측벽부(220)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리테이너 링(300)의 타측면(300b, 도 4 참조)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탭(250)을 포함한다. 탭(2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렌즈 홀더(200)는 측벽부(220)로부터 타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그부(230)와, 레그부(230)의 타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리플렉터 결합부(24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리플렉터 결합부(240)는 렌즈 홀더(200)의 타측에 구비된다.
레그부(230)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복수의 레그부(230)는 측벽부(220)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그부(230)는 3개가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그부(230)는 2개, 4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레그부(230)에는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기 홀(231)이 형성된다.
후술할 리플렉터(400)의 홀더 결합(410)부 및 리플렉터 결합부(240) 중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홀(241, 도 10의 412)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체결 홀(241, 도 10의 412)을 관통하는 체결 돌기(411, 도 10의 24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체결 홀(241)은 리플렉터 결합부(240)에 형성되고, 체결 돌기(411)는 홀더 결합부(410)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리플렉터 결합부(240)에는 후술할 홀더 결합부(410)의 체결 돌기(411)가 관통되는 체결 홀(241)이 형성된다. 체결 홀(241)은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체결 홀(241)은 4개가 형성된다. 복수의 체결 홀(241)은 원호 형태로 배열된다. 즉, 복수의 체결 홀(241)은 리플렉터 결합부(240)에 원호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 링(300)은 C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 영역에 작업 도구(미도시)가 결합되는 결합 홀(310)이 각각 형성된다. 리테이너 링(30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리플렉터(400)는 렌즈 홀더(200)의 타측에 결합되고, 광원(미도시)에서 발생된 광을 렌즈(100) 측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리플렉터(400)는 반사부(420) 및 홀더 결합부(410)를 포함한다.
반사부(420)는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렌즈(100) 측으로 반사시켜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반사부(420)는 포물선 또는 타원형의 쉘 타입의 구조로 형성되며, 반사부(420)의 내측면에는 반사면(421)이 형성된다. 반사면(421)은 알루미늄, 크롬 등의 반사율이 우수한 재질이 증착, 도금 또는 코팅 등에 의한 방식으로 도포될 수 있다.
홀더 결합부(410)는 리플렉터(400)를 렌즈 홀더(200)에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홀더 결합부(410)는 반사부(420)의 일측에 리플렉터 결합부(240)와 대응되게 구비된다. 홀더 결합부(410)는 리플렉터 결합부(240)의 체결 홀(241)에 관통되는 체결 돌기(411)를 형성한다.
체결 홀(241)을 관통한 체결 돌기(411)는 리플렉터 결합부(240)와 홀더 결합부(410)가 리벳(Rivet) 결합되도록 프레스 기계, 해머 등에 의해 압착된다. (도 9 참조) 체결 홀(241)을 관통한 체결 돌기(411)가 압착됨에 따라, 리플렉터(400)는 렌즈 홀더(200)의 타측에 리벳(Rivet)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 링(300)은 측벽부(220)의 내측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테이너 링(300)은 플랜지부(120)의 일측면(120a)이 렌즈 지지부(210)에 지지된 상태에서 플랜지부(120)의 타측면(120b)과 탭(250) 사이로 끼움되어 측벽부(220)의 내측에 끼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테이너 링(300)은, 양단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플랜지부(120)와 탭(250) 사이에 끼움된 상태에서 작업 도구를 이용하여 양단 영역을 가압시켜, 양단 영역을 플랜지부(120)와 탭(250) 사이에 끼움 결합된다. 또한, 리테이너 링(300)은 양단 영역에 작업 도구(미도시)가 결합되는 결합 홀(310)이 각각 형성된다.
리테이너 링(300)은 일측면(300a)이 플랜지부(120)의 타측면(120b)을 지지하여 렌즈(100)를 렌즈 홀더(2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리테이너 링(300)이 플랜지부(120)와 탭(250) 사이에 끼워질 때, 리테이너 링(300)의 일측면(300a, 도 4 참조)은 플랜지부(120)의 타측면(120b, 도 4 참조)을 지지하고, 리테이너 링(300)의 타측면(300b, 도 4 참조)은 탭(250)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 링(300)은 렌즈(100)가 렌즈 홀더(200)에 고정되도록 한다.
플랜지부(120)는 일측면(120a, 도 4 참조)이 렌즈 지지부(210)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타측면(120b, 도 4 참조)이 리테이너 링(300)의 일측면(300a, 도 4 참조)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이에 따라, 플랜지부(120)는 렌즈 지지부(210)와 리테이너 링(30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렌즈(100)는 렌즈 홀더(200)의 일측에 고정된다.
탭(250)은 측벽부(220)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리테이너 링(3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탭(250)은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탭(250)은 복수개가 구비된다. 복수의 탭(250)은 측벽부(22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된다.
또한, 탭(250)은 렌즈 지지부(210)와 이격 배치된다. 즉, 탭(250)은 렌즈 지지부(210)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 링(300)과 플랜지부(120)는 탭(250)과 렌즈 지지부(210) 사이에 배치되며, 탭(250)과 렌즈 지지부(210) 간의 이격 거리는 리테이너 링(300)의 두께와 플랜지부(120)의 두께의 합과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이격 거리는 플랜지부(120)가 리테이너 링(300)에 의해 렌즈 지지부(210)에 밀착될 수 있는 공차 범위에 있도록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250)은 대략 등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탭(250)은 평행부(253), 제1 경사부(251) 및 제2 경사부(252)를 포함한다.
평행부(253)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측벽부(220)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경사부(251)는 평행부(253)의 일단으로부터 측벽부(220)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측벽부(220)와 연결된다. 제2 경사부(252)는 평행부(253)의 타단으로부터 측벽부(220)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측벽부(220)와 연결된다.
제1 경사부(251) 및 제2 경사부(252)는 리테이너 링(300)을 측벽부(220)의 내측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리테이너 링(300)을 탭(250) 방향으로 가압할 때, 리테이너 링(300)이 탭(250)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경사부(251)는 리테이너 링(300)의 타측면(300b, 도 4 참조)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리테이너 링(300)을 탭(250)에서 분리할 때, 리테이너 링(300)이 탭(250)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경사부(251)는 상기 평행부(253)와 제1 둔각(α1)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플랜지부(120)와 탭(250)사이의 공차를 형성하여, 리테이너 링(300)은 용이하게 플랜지부(120)와 탭(250) 사이에 끼움 결합된다.
제2 경사부(252)는 평행부(253)와 제2 둔각(α2)을 형성할 수 있다.
평행부(253)와 제2 둔각(α2)을 형성한 제2 경사부(252)는, 리테이너 링(300)이 일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평행부(253)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리테이너 링(3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평행부(253)와 제1 둔각(α1)을 형성한 제1 경사부(251)는, 리테이너 링(300)이 일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플랜지부(120)와 탭(250) 사이로 끼움되는 과정에서 리테이너 링(3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경사부(251)의 제1 둔각(α1)과 제2 경사부(252)의 제2 둔각(α2)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둔각(α1)이 제2 둔각(α2)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소정의 실시예에서 제1 경사부(251)는 평행부(253)와 대략 직각을 형성하고, 제2 경사부(252)는 평행부(253)와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경사부(251)가 평행부(253)와 대략 직각을 형성함에 따라, 리테이너 링(300)의 타측면(300b, 도 4 참조)을 지지하는 탭(250)의 면적이 커지게 된다.
또한, 소정의 실시예에서 탭(250)은 렌즈 지지부(210)와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고 측벽부(220)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수평부(미도시) 및 수평부(미도시)의 일단으로부터 측벽부(220)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측벽부(220)와 연결되는 경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부(미도시)는 수평부(미도시)와 예각을 형성되고, 수평부(미도시)는 측벽부(220)와 대략 직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렌즈(100)를 렌즈 홀더(200)에 고정시키는 리테이너 링(300)은 일측면(300a, 도 4 참조)이 플랜지부(120)의 타측면(120b, 도 4 참조)에 밀착 지지되고, 타측면(300b, 도 4 참조)이 제1 경사부(251)에 의해 지지된다.
리테이너 링(300)은 탭(250)과 플랜지부(120) 사이에 중간 끼워 맞춤 또는 억지 끼워 맞춤이 되기 때문에, 소정의 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리테이너 링(300)은 강도가 우수한 스틸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의 리테이너 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리테이너 링(300)은 폭이 불균일한 C형상으로 형성된다. 리테이너 링(300)의 폭이 불균일하다는 것은 리테이너 링(300)의 폭이 일정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 및/또는 증가하는 경우, 일정 영역에서는 폭이 일정하나 나머지 영역은 폭이 상이한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 링(300)은 스프링 강, 스텐레스 강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 링(300)의 폭은 불연속 영역(320)과 대향되는 영역에서 양단 영역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여기서, 불연속 영역(320)이란, 리테이너 링(300)에서 연결이 끊긴 영역을 의미한다. 즉, 리테이너 링(300)의 폭은 중간 영역에서 양단 영역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 링(300)은 중간 영역의 폭(W1)이 양단 영역의 폭(W2)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리테이너 링(300)은 중간 영역은 소정의 강도를 유지하지만, 양단 영역은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게 된다. 양단 영역이 휘어질 수 있게 됨에 따라, 리테이너 링(300)은 중간 영역을 플랜지부(120)와 탭(250) 사이에 끼운 후에 양단 영역을 가압하여 용이하게 플랜지부(120)와 탭(250) 사이에 끼울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테이너 링은, 지지하는 구성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리테이너 링의 종류로는 C형, U형, K형, E형 등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 링(300)은 C형상으로 형성된다. 리테이너 링(300)은 C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렌즈 홀더(200)의 측벽부(220)의 내측에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다. 또한, C형의 리테이너 링(300)은 적용하는 축과의 접촉 면적이 작아 작은 힘이 받는 곳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리테이너 링(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양단 영역에 결합 홀(310)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리테이너 링(300)의 중간부분을 탭(250)과 플랜지부(120) 사이에 끼워 넣은 후에, 작업 도구를 결합 홀(310)에 결합한다. 결합 홀(310)에 결합되는 작업 도구로는 리테이너 링(300)의 양단 영역을 오므르거나 벌려 빼거나 끼울 때 사용하는 스냅링 플라이어 등이 있다.
작업자는 결합 홀(310)에 결합된 작업 도구를 사용하여 리테이너 링(300)의 양단 영역을 오므리거나 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리테이너 링(300)을 탭(250)과 플랜지부(120) 사이에 용이하게 탈착 할 수 있고, 탭(250)과 플랜지부(120) 사이에 끼움된 리테이너 링(3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는 결합 홀(310)에 결합된 작업 도구를 사용하여, 리테이너 링(300)의 양단 영역을 내측 방향으로 오므린다. 작업자는 내측 방향으로 오므려진 리테이너 링(300)의 양단 영역을 탭(250) 방향으로 가압하여, 리테이너 링(300)의 양단 영역이 탭(250)을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한다. 탭(250)을 통과한 리테이너 링(300)은 탭(250)과 플랜지부(120) 사이에 배치된다. 작업자는 리테이너 링(300)의 양단 영역을 작업 도구를 사용하여 벌려 리테이너 링(300)을 탭(250)과 플랜지부(120) 사이에 끼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 링(300)은 측벽부(220)에 끼움 결합된다.
다만, 리테이너 링(300)은 스프링 강의 재질로 형성될 때,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리테이너 링(300)이 탭(250)과 플랜지부(120) 사이에 배치될 때, 오므러진 리테이너 링(300)의 양단 영역은 탄성력에 의해 벌려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 도구를 사용하여 리테이너 링(300)의 양단 영역을 별도로 벌리지 않아도 리테이너 링(300)은 탄성력에 의해 탭(250)과 플랜지부(120) 사이에 끼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가 렌즈 홀더에 조립되는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홀더에 리테이너 링이 조립되는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플렉터가 렌즈 홀더에 조립되는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돌기가 압착되는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10)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렌즈 홀더(20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260)에 광을 투사시키는 렌즈의 곡률부(110)를 관통시키면서, 곡률부(110)의 둘레를 따라 외측을 향해 연장된 플랜지부(120)를 개구부(260)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된 렌즈 지지부(210)에 지지되도록 렌즈(100)를 렌즈 홀더(200)에 배치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개구부(260)로부터 타측을 향해 연장된 측벽부(220)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된 탭(250)과 렌즈 지지부(210)에 지지된 상기 플랜지부(120)의 타측면(120b, 도 4 참조) 사이로 리테이너 링(300)을 끼움 결합시켜 렌즈(100)를 렌즈 홀더(200)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작업자는 리테이너 링(300)의 양단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탭(250)과 상기 플랜지부(120)의 타측면(120b, 도 4 참조) 사이로 끼운 상태에서 리테이너 링(300)의 양단 영역을 작업 도구를 통해 가압한다. 작업 도구를 통해 가압함으로써, 리테이너 링(300)의 양단 영역도 플랜지부(120)의 타측면(120b, 도 4 참조)과 탭(250) 사이로 끼움된다. 이로서, 리테이너 링(300)은 플랜지부(120)와 탭(250)사이로 끼움되어 측벽부(220)의 내측에 끼움 결합된다.
작업자는 광원에서 발생한 광을 렌즈(100) 측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400)를 렌즈 홀더(200)의 타측에 리벳(Rivet) 결합시킨다. 렌즈 홀더(200)의 타측에 리플렉터(400)를 리벳(Rivet)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리플렉터(400)의 홀더 결합부(410)를 렌즈 홀더(200)의 리플렉터 결합부(240)와 대응되는 위치로 배치한다. 홀더 결합부(410)와 리플렉터 결합부(240)가 대응되도록 배치될 때, 작업자는 체결 돌기(411)를 체결 홀(241)에 관통시킨다. 즉, 작업자는 체결 돌기(411)를 체결 홀(241)에 삽입하여 체결 돌기(411)의 일부가 체결 홀(241)을 관통하여 외부로 나오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체결 홀(241)을 관통한 체결 돌기(411)를 프레스 기계나 해머 등으로 압착하여, 리플렉터(400)를 렌즈 홀더(200)의 타측에 리벳 결합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20)를 설명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은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하며, 상이한 점을 중점으로한다.
렌즈 홀더(200)는 측벽부(220)로부터 타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레그부(230)와, 레그부(230)의 타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기(242)를 형성하는 리플렉터 결합부(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체결 돌기(242)는 리플렉터 결합부(240)에 원호 형태로 배열된다. 즉, 체결 돌기(242)는 리플렉터 결합부(240)에 원호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리플렉터(400)는 리플렉터 결합부(240)와 대응되는 홀더 결합부(410)를 포함한다. 홀더 결합부(410)에는 체결 돌기(242)가 관통되는 체결 홀(412)이 형성된다.
리플렉터 결합부(240)의 체결 돌기(242)는 홀더 결합부(410)의 체결 홀(412)에 관통되고, 체결 홀(412)을 관통한 체결 돌기(242)는 리플렉터 결합부(240)와 홀더 결합부(410)가 리벳(Rivet) 결합되도록 압착된다. 이에 따라, 리플렉터(400)는 렌즈 홀더(200)의 타측에 리벳 결합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의 렌즈 홀더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홀더(200)를 설명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렌즈 홀더(200)는 측벽부(220)의 내측에 리테이너 링(300)의 둘레면이 삽입되는 끼움 홈(221)을 포함한다. 끼움 홈(221)은 리테이너 링(300)을 측벽부(220)의 내측에 리테이너 링(30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끼움 홈(221)은 단면이 대략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 홈(221)은 리테이너 링(300)의 둘레면이 밀착되어 끼움이 가능한 공차 범위에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끼움 홈(221)은 렌즈 지지부(210)와 소정의 이격 거리만큼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이격 거리는 플랜지부(120)의 두께와 리테이너 링(300)의 두께의 합과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이격 거리는 플랜지부(120)가 리테이너 링(300)에 의해 렌즈 지지부(210)에 밀착될 수 있는 공차 범위에 있도록 형성된다.
리테이너 링(300)은 플랜지부(120)의 일측면(120a, 도 4 참조)이 렌즈 지지부(210)에 지지된 상태에서 끼움 홈(221)에 삽입되어 측벽부(220)의 내측에 끼움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20)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렌즈 홀더(20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260)에 광을 투사시키는 렌즈의 곡률부(110)를 관통시키면서, 곡률부(110)의 둘레를 따라 외측을 향해 연장된 플랜지부(120)를 개구부(260)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된 렌즈 지지부(210)에 지지되도록 렌즈를 렌즈 홀더(200)에 배치시킨다.
작업자는 개구부(260)로부터 타측을 향해 연장된 측벽부(220)의 내측에 형성된 끼움 홈(221)에 리테이너 링(300)의 둘레면을 삽입하여 리테이너 링(300)을 측벽부(220)의 내측에 끼움 결합시켜 렌즈(100)를 렌즈 홀더(200)에 고정시킨다.
작업자는 렌즈 홀더(200)의 타측에 리플렉터(400)를 리벳 결합시킨다. 렌즈 홀더(200)의 타측에 리플렉터(400)를 리벳(Rivet)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리플렉터(400)의 홀더 결합부(410)를 렌즈 홀더(200)의 리플렉터 결합부(240)와 대응되는 위치로 배치한다. 홀더 결합부(410)와 리플렉터 결합부(240)가 대응되도록 배치될 때, 작업자는 리플렉터 결합부(240)의 체결 돌기(242)를 홀더 결합부(410)의 체결 홀(412)에 삽입하여 관통시킨다.
작업자는 해머, 프레스 기계 등을 이용하여, 체결 홀(412)을 관통한 체결 돌기(242)를 압착한다. 이에 따라 리플렉터(400)는 렌즈 홀더(200)의 타측에 리벳(Rivet) 결합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20: 차량용 램프 장치 100: 렌즈
110: 곡률부 120: 플랜지부
200: 렌즈 홀더 210: 렌즈 지지부
220: 측벽부 221: 끼움 홈
230: 레그부 231: 통기 홀
240: 리플렉터 결합부 241, 412: 체결 홀
250: 탭 251: 제1 경사부
252: 제2 경사부 253: 평행부
260: 개구부 300: 리테이너 링
310: 결합 홀 320: 불연속 영역
400: 리플렉터 410: 홀더 결합부
411, 242: 체결 돌기 420: 반사부
421: 반사면

Claims (13)

  1.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을 투사하는 곡률부 및 상기 곡률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상기 곡률부가 관통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 및 상기 개구부로부터 타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렌즈 홀더;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 결합되며, 일측면이 상기 플랜지부의 타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 홀더에 고정시키는 리테이너 링; 및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상기 렌즈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측벽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측벽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상호 간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리테이너 링의 타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렌즈 지지부와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탭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탭 각각은,
    상기 측벽부와 평행한 평행부;
    상기 평행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측벽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경사부; 및
    상기 평행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측벽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 링은,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면이 상기 렌즈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타측면과 상기 탭 사이로 끼움되어 상기 측벽부에 끼움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평행부와 제1 둔각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경사부는, 상기 평행부와 제2 둔각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링은, 폭이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링은, 양단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복수의 탭 사이에 끼움된 상태에서 작업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양단 영역을 가압시켜, 상기 양단 영역을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복수의 탭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링은, 양단 영역에 상기 작업 도구가 결합되는 결합 홀이 각각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링의 폭은, 중간 영역에서 양단 영역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링은, C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측벽부로부터 타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레그부; 및
    상기 레그부의 타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리플렉터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리플렉터 결합부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홀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결합부 및 상기 리플렉터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홀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체결 홀을 관통하는 체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 홀을 관통한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리플렉터 결합부와 상기 홀더 결합부가 리벳(rivet) 결합되도록 압착되는, 차량용 램프 장치.
  10. 렌즈 홀더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광을 투사시키는 렌즈의 곡률부를 관통시키면서, 상기 곡률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을 향해 연장된 플랜지부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된 렌즈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 홀더에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개구부로부터 타측을 향해 연장된 측벽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탭 및 상기 렌즈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플랜지부 사이로 리테이너 링을 끼움 결합시켜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 홀더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탭은 상기 측벽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상호 간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탭 각각은,
    상기 측벽부와 평행한 평행부;
    상기 평행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측벽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경사부; 및
    상기 평행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측벽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의 조립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광원에서 발생한 광을 상기 렌즈 측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상기 렌즈 홀더의 타측에 리벳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의 조립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렌즈 홀더의 타측에 형성된 체결 홀에 상기 리플렉터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 돌기를 관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체결 홀을 관통한 체결 돌기를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의 조립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리테이너 링의 양단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복수의 탭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로 끼운 상태에서 상기 양단 영역을 작업 도구를 통해 가압하여 상기 리테이너 링을 끼움 결합시키는 차량용 램프 장치의 조립 방법.
KR1020140183423A 2014-12-18 2014-12-18 차량용 램프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KR102292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423A KR102292174B1 (ko) 2014-12-18 2014-12-18 차량용 램프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423A KR102292174B1 (ko) 2014-12-18 2014-12-18 차량용 램프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284A KR20160074284A (ko) 2016-06-28
KR102292174B1 true KR102292174B1 (ko) 2021-08-23

Family

ID=56366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423A KR102292174B1 (ko) 2014-12-18 2014-12-18 차량용 램프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1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4832B2 (ja) * 2019-08-27 2024-01-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KR102317896B1 (ko) * 2020-03-20 2021-10-27 정홍범 Led 조명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4713A (ja) * 2007-09-07 2009-03-26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KR101135091B1 (ko) 2010-07-14 2012-04-1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용 방수형 조명등
JP2014062573A (ja) 2012-09-20 2014-04-10 Nsk Ltd テーパスナップリング
JP2014107134A (ja) * 2012-11-28 2014-06-09 Lecip Holdings Corp 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6614U (ko) * 1984-12-19 1986-07-07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4713A (ja) * 2007-09-07 2009-03-26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KR101135091B1 (ko) 2010-07-14 2012-04-1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용 방수형 조명등
JP2014062573A (ja) 2012-09-20 2014-04-10 Nsk Ltd テーパスナップリング
JP2014107134A (ja) * 2012-11-28 2014-06-09 Lecip Holdings Corp 照明装置
JP5994207B2 (ja) 2012-11-28 2016-09-21 レシッ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284A (ko) 201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3626C (en) Self-centering hyperbolic trim
US9182104B2 (en) Lighting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module
KR102292174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US6086231A (en) Vehicle lamp
KR101909647B1 (ko) 엣지형 엘이디 원형 등기구
JPH0348601B2 (ko)
US20150168633A1 (en) Luminaire having a light guide
US20100039824A1 (en) Lighting device capable of projecting an output with a ring band portion
US20080278962A1 (en) Light System For a Vehicle Headlight Unit
US7789522B2 (en) Lighting device with a wallwash reflector assembly
KR20160002823U (ko) 작업의 편의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보장된 등기구커버
KR100845703B1 (ko) 고반사율 전등갓
EP3339721B1 (en) Light-guided high brake lamp for vehicle with bidirectional light
US10160379B2 (en) Integration of side reflex and light pipe side marker
KR200409903Y1 (ko) 램프의 반사판 체결구조
CN207486695U (zh) 一种单光透镜系统
US20150098236A1 (en) Optical structure for headlight
KR102132870B1 (ko) 차량용 램프
KR20150010301A (ko) 차량용 램프
KR200482941Y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110102003A (ko) 조명장치
KR20140133313A (ko)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2014154319A (ja) 照明器具
CN210107201U (zh) 一种灯具
CN212204242U (zh) 一种吸顶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