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594B1 - 산불 감시 장치 - Google Patents

산불 감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594B1
KR102291594B1 KR1020200074702A KR20200074702A KR102291594B1 KR 102291594 B1 KR102291594 B1 KR 102291594B1 KR 1020200074702 A KR1020200074702 A KR 1020200074702A KR 20200074702 A KR20200074702 A KR 20200074702A KR 102291594 B1 KR102291594 B1 KR 102291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st fire
aircraft
mounting hole
wing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순철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 법인 곤충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 법인 곤충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 법인 곤충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4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05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for forest fires, e.g. detecting fires spread over a large or outdoors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4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launch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25Fixed-w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10Wings
    • B64U30/12Variable or detachable wings, e.g. wings with adjustable swe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70/0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B64C2201/021
    • B64C2201/08
    • B64C2201/102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불이 발생하면 비행체를 공중으로 발사시켜 화염으로부터 안전하게 이격시킨 뒤, 공중에서 외부서버와 간섭 없는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수목의 가지들로부터 무선통신의 전파를 방해받거나 화염에 의해 수목과 함께 소손되는 현상에 의해, 산불발생신호를 정확히 송출시킬 수 없었던 문제점을 개선한 산불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불 감시 장치{Monitoring device for forest fire}
본 발명은 산불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불 발생시 산불 발생 위치를 관제센터로 송출해 산불의 신속한 조기 진화에 기여할 수 있는 산불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불은 산을 찾는 등산객들의 부주의 또는 천재지변에 의하여 다발하고 있다. 등산객에 의한 실화뿐만 아니라 그 외 농촌에서의 논두렁 태우기 작업이나 기상 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번개 등이 원인이 되어 산불이 발생되기도 하며, 이러한 산불은 우거진 산림을 매개체로 하여 점점 대형화되고, 일단 한 번 발화되었다 하면 초기에 진압이 되지 않을 경우 아무리 많은 장비와 인원을 투여해도 좀처럼 진압이 되지 않고 많은 인명과 재산을 앗아가고 있으며 그로 인해 지난 수십 년간 공들여 가꾸어온 산림이 하루아침에 잿더미로 변해버리는 일이 빈번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산불의 조기 발견과 조기진압은 산림정책을 수립하고 산림을 보존함에 있어서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사안으로 대두되고 있고, 그를 위한 과감한 투자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종래의 산불 감시 시스템은 사람의 출입이 잦은 산의 요소에 산림감시 초소를 설치하고 그 초소에 산림감시 요원이 위치하면서 산불의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감시하고 산불 발생시에는 이를 초소에 설치되어 있는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중앙통제소에 알리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산불 감시 시스템은 감시요원이 산림을 감시하고 있는 동안은 그 시각이 미치는 범위내에서는 가장 확실한 감시방법이 될 수 있으나 산불을 감시하는 수단을 육안에 의존하다보니 그 감시 범위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감시인원의 제한으로 말미암아 감시요원이 감시초소에 상주하지 않는 한 24시간 감시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키 위해 종래에는 산의 요소에 무인 감시카메라를 설치하고 중앙통제소에서 이를 집중관리하면서 산불의 발생을 감지하고 이에 대처토록 하는 또 다른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무인 산불 감시 시스템은 카메라 제어장치를 시스템 운용요원이 수동으로 조작하여 산불의 현장을 모니터하여야 하였기 때문에 오랜 기간 숙련된 운용요원이 필요하였으며, 그 경우에도 운용요원의 숙련된 기능과 감각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산불의 현장을 추적하는데 긴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만일의 사태 발생시 감시요원이 부재할 경우에는 전혀 대처방안을 찾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어, 초보적인 산불 감시 시스템을 벗어 날 수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90170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산불이 발생하면 비행체를 공중으로 발사시켜 화염으로부터 안전하게 이격시킨 뒤, 공중에서 외부서버와 간섭 없는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수목의 가지들로부터 무선통신의 전파를 방해받거나 화염에 의해 수목과 함께 소손되는 현상에 의해, 산불발생신호를 정확히 송출시킬 수 없었던 문제점을 개선한 산불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목의 외부로 감겨 고정되는 산불 감시 장치에 있어서, 외부서버와 무선통신하여 산불발생신호를 외부서버로 송신하는 비행체; 전면으로 상기 비행체가 장착되는 장착구가 형성되는 발사대; 및 상기 발사대에 마련되며 상기 비행체를 공중으로 발사시키는 발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사수단은, 상기 비행체와 발사대 사이에 마련되며, 화염에 의해 일정 온도로 승온되면 자기 착화되어 상기 비행체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발화추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비행체는, 내부로 외부서버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를 내장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서로 대칭 형성되는 날개부; 및 상기 바디부와 날개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날개부를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해 비행체가 발화추진체에 의해 장착구로부터 이탈되는 순간 날개부를 전개시키는 전개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사수단은, 산불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산불감지센서; 및 상기 산불감지센서에 의해 산불이 감지되면 이와 연동해 상기 비행체를 공중으로 발사시키는 발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사부는, 상기 장착구와 비행체 사이에 설치되어 비행체를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발스프링; 상기 발사대의 내부에서 장착구에 장착된 비행체의 후단을 걸림 지지하되,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레버; 상기 산불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작동레버의 후단과 모터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의 후단을 견인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는 산불 발생에 따른 화염이 발화추진체에 전달되면, 발화추진체가 자기 착화되어 폭발하면서 비행체를 발사시키게 되고, 장착구에서 발사된 비행체는 날개부가 전개되면서 케이스의 발사구를 통과해 공중으로 부양되며, 이때, 무선통신부가 산불발생신호를 외부서버로 송출해 현재 위치에서의 산불 발생 여부를 통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는 산불의 화염에 의해 장치가 전부 소손되기 전 비행체를 공중으로 발사시켜 화염으로부터 안전하게 위치시킨 뒤, 비행체로 하여금 전파간섭을 받지 않는 공중의 위치에서 외부서버에 산불감지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서버는 산불의 발생 위치를 보다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어 산불의 초기진화를 위해 보다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비행체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산불 감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산불 감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는 산림 지역 곳곳에 설치되어 특정 위치에서 산불 발생시, 무선통신을 통해 산불발생신호를 외부서버(90)에 전송하며, 외부서버(90)는 산불 감시 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산불발생신호에 포함된 위치정보 등을 참고해 현재 산불 발생위치를 신속하게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서버(90)는 산불을 전체적으로 감시하는 관제센터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는 일정 반경범위 특정 수목 외부로 감겨 고정되어 해당 반경범위의 수목이 화재에 노출되었을 때 이를 외부서버(90)에 통지하도록 외부서버(90)와의 무선통신이 이루어진다.
무선통신 기술이 아무리 우수하더라도, 수목의 가지들에 의해 산불 감시 장치와 외부서버(90)간 무선통신 전파가 간섭받을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산림에서는 휴대폰과 같은 무선기기의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없다는 부분에서 이를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산불의 확산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점을 고려하면 산불 발생 초기 대처가 산불 진화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해도 부족함이 없다.
그러나 이러한 산림의 자연적 특성으로 인해, 수목의 가지들로부터 무선통신의 전파를 방해받게 되면 산불 발생에 따른 상황을 외부서버(90)에 정확한 전달이 불가능해져 산불의 초기 확산방지에 대한 대처가 지연됨은 불가피하다.
또한, 종래 산불 감시 장치는 산불 감시를 위한 수단이 수목 주변에 구축되어, 산불이 발생하면, 이와 같이 소손될 가능성이 농후하여, 정확한 산불발생신호를 송출시킬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는 산불이 발생하면 비행체(10)를 공중으로 발사시켜 화염으로부터 안전하게 이격시킨 뒤, 공중에서 외부서버(90)와 간섭 없는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무인 산불 감시 장치의 구조를 개선한 발명이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개발 개념을 기초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비행체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산불 감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외부서버(90)와 무선통신하여 산불발생신호를 외부서버(90)로 송신하는 비행체(10), 전면으로 상기 비행체(10)가 장착되는 장착구(21)가 형성되는 발사대(20) 및 상기 발사대(20)에 마련되며 상기 비행체(10)를 공중으로 발사시키는 발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발사수단은 비행체(10)와 발사대(20) 사이에 마련되며, 화염에 의해 일정 온도로 승온되면 자기 착화되어 상기 비행체(10)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발화추진체(30)로 예시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산불 감시 장치는 발사대(20)를 수용하는 함체 형상의 케이스(70)와, 상기 케이스(70)를 수목의 외부에 감아 고정시키는 스트랩(8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케이스(70)의 전면에는 비행체(10)의 발사시 비행체(10)가 통과할 수 있는 발사구(71)가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발사대(20)는 케이스(70)의 내부에서 비행체(10)를 지지하며, 특히 발사대(20)의 전면에 형성된 장착구(21)는 상부를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장착구(21)에 장착되는 비행체(10)의 발사각도를 사선으로 형성한다.
장착구(21)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게, 비행체(10)와 발사구(71) 또한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장착구(21)는 비행체(10)를 지지할 수 있는 선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되, 본 실시예에서는 비행체(10)의 후단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개방형 실린더 형태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장착구(21)에 비행체(10)가 장착되어 있다가 발화추진체(30)에 의해 공중으로 발사될 수 있다.
발화추진체(30)는 장착구(21)에 장착된 비행체(10)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다가, 산불이 발생되어 화염에 노출되면, 발화되어 장착구(21)에 장착된 비행체(10)를 공중으로 탄발시킨다. 발화추진체(30)는 공지의 추진용 화약으로부터 참조될 수 있으므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발화추진체(30)는 케이스(70)로부터 밀폐되고, 장착구(21) 내부에서 비행체(10)에 의해 기밀하게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침투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
비행체(10)는 발화추진체(30)의 추진력에 의해 공중으로 발사되고, 발사된 상태에서 공중을 활공하면서 산불감지신호를 외부서버(90)에 송출한다.
이를 위해, 비행체(10)는 내부로 외부서버(9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14)를 내장한 바디부(11), 상기 바디부(11)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서로 대칭 형성되는 날개부(12) 및 상기 바디부(11)와 날개부(12)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날개부(12)를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해 비행체(10)가 발화추진체(30)에 의해 장착구(21)로부터 이탈되는 순간 날개부(12)를 전개시키는 전개스프링(1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14)는 바람직하게, LoRa(Long Range) 망을 이용하여 외부서버(90)와 통신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LoRa 망은, 사물끼리 서로 통신을 주고받을 수 있게 도와주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LPWA, Low Power Wide Area) 기술로, 다른 통신망과 비교하였을 때, 적은 전력으로 먼 거리를 통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비행체(10)는 장착구(21)에서 발사되는 순간, 상기 무선통신부(14)에 전력이 인가되어 무선통신부(14)가 구동되는 구조를 추가적으로 갖출 수 있으며, 이때, 무선통신부(14)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산불감지신호를 외부서버(90)에 전송한다.
위치 정보는 최초 산불 감시 장치의 구축시 각 산불 감시 장치의 위치식별을 위해 비행체(10)에 인식한 고유코드값으로서, 비행체(10)의 위치 정보가 외부서버(90)로 송출되면, 외부서버(90)는 해당 비행체(10)가 설치된 산불 감시 장치 주변에 산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비행체(10) 자체에 GPS 모듈 등을 내장해 비행체(10)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통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시, 바디부(11)는, 비행체(10)의 전체적인 골격을 구성하며, 공중을 향해 쉽게 부양될 수 있도록 경량의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부(11)의 내부 적소에 무선통신부(14), 배터리 등의 전기장치가 내장될 수 있다.
날개부(12)는 비행체(10)에 양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비행체(10)가 장착구(2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날개부(12)가 장착구(21)에 수용되어 접철 구속된 상태가 되고, 비행체(10)가 발화추진체(30)에 의해 장착구(21)에서 발사되는 순간, 장착구(21)에 구속되어 있던 날개부(12)가 전개되면서 비행체(10)의 공중 부양을 유도한다. 날개부(12)에는 부채 형태로 접철되어 있다가 날개부(12)와 연동해 전개되는 보조날개(16)가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날개부(12)는 전개축(15)을 매개로 바디부(11)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전개스프링(13)의 일단은 바디부(11)에, 타단은 날개부(12)에 각각 이음되어, 날개부(12)를 탄성적으로 밀어 전개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전개스프링(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체(10)가 장착구(21)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 날개부(12)와 바디부(11)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있다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구(21)에서 발사되는 순간, 압축 구속력의 해제에 의해 탄성 복원되며, 날개부(12)를 바디부(11)의 양 측으로 탄성 견인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는 산불 발생에 따른 화염이 발화추진체(30)에 전달되면, 발화추진체(30)가 자기 착화되어 폭발하면서 비행체(10)를 발사시키게 되고, 장착구(21)에서 발사된 비행체(10)는 날개부(12)가 전개되면서 케이스(70)의 발사구(71)를 통과해 공중으로 부양되며, 이때, 무선통신부(14)가 산불발생신호를 외부서버(90)로 송출해 현재 위치에서의 산불 발생 여부를 통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는 산불의 화염에 의해 장치가 전부 소손되기 전 비행체(10)를 공중으로 발사시켜 화염으로부터 안전하게 위치시킨 뒤, 비행체(10)로 하여금 전파간섭을 받지 않는 공중의 위치에서 외부서버(90)에 산불감지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서버(90)는 산불의 발생 위치를 보다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어 산불의 초기진화를 위해 보다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산불 감시 장치는 전술한 산불 감시 장치의 실시예 대비, 발사수단 부분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산불 감시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발사수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불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산불감지센서(40), 상기 산불감지센서(40)에 의해 산불이 감지되면 이와 연동해 상기 비행체(10)를 공중으로 발사시키는 발사부(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산불 발생에 따라 발화추진체(30)가 자기 착화되어 비행체(10)를 자연 발사시키는 전 실시예와 달리 산불 발생을 산불감지센서(40)로 감지하고, 이와 연동해 발사부(50)가 비행체(10)를 공중으로 발사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산불감지센서(40)는 산불을 직·간접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산불감지센서(40)에 의해 감지된 감지결과를 근거로, 후술 될 발사부(50)의 모터(54)가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터(54)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산불감지센서(4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수단 등이 추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산불감지센서(40)는 산불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열감지센서, 가스감지센서, 화염감지센서 등의 센서들을 포함한다.
열감지센서는 산불의 화염에서 방사되는 열선을 측정하여 산불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열감지센서는 온도센서로 분류되며, 직접 접촉에 의한 온도 감지의 접촉식, 방사되는 열선 측정의 비접촉식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온도센서는 서미스터, 감온저항, 서머커플, 수정진동자, 초전형 적외선 센서, IC화 온도센서, 트랜지스터, 광전관, 다이오드, 포토다이오드, 포토트랜지스터, 형상기억합금(SMA), 감온페라이트, 수은 온도계, 양자형 적외선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가스감지센서는 가스의 성분을 측정하여 특정 가스 성분량에 의해 산불을 감지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을 측정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산불 발생 시 산불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 가스 중 어느 하나의 가스를 감지하여 산불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스감지센서는 가스의 종류, 가스 농도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접촉 연소식 센서, 반도체 센서, 세라믹 가스 센서 등으로 구성되며, 전기 화학적 방법(용액 도전 방식, 정전위 전해 방식, 격막 접근법), 광학적 방법(적외선 흡수법, 가시부 흡수법, 광간섭법), 전기적 방법(수소 이온화법, 열전도법, 접촉 연소법, 반도체법)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화염감지센서는 일반적으로 광센서가 사용되며, 산불이 발산하는 빛의 양, 산불 화염의 모양이나 상태, 화염의 움직임, 또는 연기의 움직임 등을 측정하여 산불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화염감지센서는 광전 효과, 광전도 효과, 광기전력 효과, 초전 효과 등의 광전변환 원리를 이용하여 빛 자체 또는 빛에 포함되는 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광도전 셀, 포토 다이오드, 포토 트랜지스터, LASCR, CCD 이미지 센서, MOS 이미지 센서, 포토 사이리스터, 광전 중배관, 광전관, 포토 카플러, 컬러 센서, PSD, 파이버 센서,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발사부(50)는 비행체(10)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산불감지센서(40)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비행체(10)를 공중으로 발사시킨다.
이를 위해, 발사부(50)는 상기 장착구(21)와 비행체(10) 사이에 설치되어 비행체(10)를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발스프링(52), 상기 발사대(20)의 내부에서 장착구(21)에 장착된 비행체(10)의 후단을 걸림 지지하되, 회동축(53a)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레버(53), 상기 산불감지센서(40)의 감지신호에 따라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4) 및 상기 작동레버(53)의 후단과 모터(54)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모터(54)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53)의 후단을 견인하는 와이어(55)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발사대(20)는 전술한 발사대(20)로부터 참조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발사대(20)는 작동레버(53)가 설치되는 레버설치구(22)가 더 형성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일부 차이가 있다.
탄발스프링(52)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발화추진체(30)와 목적이 동일하며, 장착구(21)에 장착된 비행체(10)의 구속력이 제거되면, 탄성복원력을 통해 비행체(10)를 공중으로 발사시킨다.
작동레버(53)는 회동축(53a)을 매개로 발사대(51)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작동레버(53)의 후단은 발사대(20)의 배면 측으로, 선단은 상기 레버설치구(22)를 통과해 장착구(21)의 내부로 연장 설치된다.
특히, 작동레버(53)의 선단은 장착구(21)에 장착된 비행체(10)의 후단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작동레버(53)는 장착구(21)에 장착된 비행체(10)를 선택적으로 구속시킨다. 작동레버(53)의 구체적인 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모터(54)는 산불감지센서(40)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작동하여, 회전출력을 발생시킨다.
모터(54)의 출력단이 회전되면 이 출력단에 와이어(55)가 감기게 되며, 이에 따라, 작동레버(53)의 후단이 하방으로 견인되어 작동레버(53)가 회동축(53a)을 기준으로 회동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비행체(10)는 내부로 외부서버(9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14)를 내장하고, 후단에 상기 작동레버(53)의 선단이 걸림되는 걸림홈(17)이 형성되는 바디부(11), 상기 바디부(11)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서로 대칭 형성되는 날개부(12) 및 상기 바디부(11)와 날개부(12)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날개부(12)를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해 비행체(10)가 장착구(21)로부터 이탈되는 순간 날개부(12)를 전개시키는 전개스프링(1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비행체(10)는 전술한 비행체(10) 대비 바디부(11)의 후단에 작동레버(53)가 걸림되는 걸림홈(17)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의 산불 감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작용에서는 산불 발생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의 작동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산불이 발생하면 산불감지센서(40)로부터 감지신호가 생성되고, 이 생성된 감지신호를 근거로, 별도 제어부가 모터(54)를 회전구동시키도록 제어한다.
모터(54)의 회전출력이 발생되면 모터(54)의 출력단에 와이어(55)가 감기게 된다. 이렇게 감기는 와이어(55)에 의해 와이어(55)의 단부에 연결된 작동레버(53)의 후단이 하방으로 견인되고, 작동레버(53)의 후단이 하방으로 견인되면, 작동레버(53)의 선단은 이와 반대되는 상부로 회동되면서 작동레버(53)의 선단이 비행체(10)의 걸림홈(17)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렇게 되면, 비행체(10)는 장착구(21) 내에서 구속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도 7 참조).
다시 말해, 작동레버(53)가 비행체(10)를 장착구(21) 내에서 구속하고 있다가, 산불이 발생함에 따라 회동하여, 비행체(10)의 구속력을 해제하게 된다.
작동레버(53)에 의한 비행체(10)의 구속력이 해제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발스프링(52)에 의해 비행체(10)가 장착구(21)에서 발사되고, 비행체(10)가 장착구(21)에서 발사되는 순간, 장착구(21)에 구속되어 있던 날개부(12)가 전개되면서 비행체(10)의 공중 부양을 유도한다.
발사구(71)를 통과해 공중으로 부양된 비행체(10)는 산불발생신호를 외부서버(90)로 송출해 현재 위치에서의 산불 발생 여부를 통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비행체
20: 발사대
30: 발화추진체
40: 산불감지센서
50: 발사부
70: 케이스
80: 스트랩
90: 외부서버
11: 바디부
12: 날개부
13: 전개스프링
15: 전개축
16: 보조날개
17: 걸림홈

Claims (5)

  1. 수목의 외부로 감겨 고정되는 산불 감시 장치에 있어서,
    외부서버(90)와 무선통신하여 산불발생신호를 외부서버(90)로 송신하는 복수 개의 비행체(10);
    전면으로 상기 비행체(10)가 장착되는 복수 개의 장착구(21) 및 레버설치구(22)가 형성되는 발사대(20); 및
    상기 발사대(20)에 마련되며 상기 비행체(10)를 공중으로 발사시키는 발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발사수단은,
    산불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산불감지센서(40); 및
    상기 산불감지센서(40)에 의해 산불이 감지되면 이와 연동해 상기 비행체(10)를 공중으로 발사시키는 발사부(50);를 포함하며,
    상기 발사부(50)는,
    상기 장착구(21)와 비행체(10) 사이에 설치되어 비행체(10)를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발스프링(51);
    상기 발사대(20)의 내부에서 장착구(21)에 장착된 비행체(10)의 후단을 걸림 지지하되, 회동축(53a)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레버(53);
    상기 산불감지센서(40)의 감지신호에 따라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4); 및
    상기 작동레버(53)의 후단과 모터(54)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53)의 후단을 견인하는 와이어(55);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레버(53)의 후단은 발사대(20)의 배면 측으로, 선단은 상기 레버설치구(22)를 통과해 장착구(21)의 내부로 연장 설치되어 장착구(21)에 장착된 비행체(10)의 후단을 걸림 지지하며,
    산불감지센서(40)로부터 생성된 감지신호를 근거로 모터(54)가 회전구동되면 상기 모터(54)에 와이어(55)가 감겨 와이어(55)의 단부에 연결된 작동레버(53)의 후단이 하방으로 견인되고, 작동레버(53)의 후단이 하방으로 견인되면, 작동레버(53)의 선단은 이와 반대되는 상부로 회동되면서 작동레버(53)의 선단이 비행체(10)의 걸림홈(17)으로부터 빠져나와 작동레버(53)에 의한 비행체(10)의 구속력이 해제되며,
    상기 비행체(10)는,
    내부로 외부서버(9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14)를 내장하고, 후단에 상기 작동레버(53)의 선단이 걸림되는 걸림홈(17)이 형성되는 바디부(11);
    상기 바디부(11)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서로 대칭 형성되는 날개부(12); 및
    상기 바디부(11)와 날개부(12)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날개부(12)를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해 비행체(10)가 장착구(21)로부터 이탈되는 순간 날개부(12)를 전개시키는 전개스프링(13);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구(21)는 상부를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장착구(21)에 장착되는 비행체(10)의 발사각도를 사선으로 형성하며,
    상기 비행체(10)는 후단 일부가 상기 장착구(21)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발사대(20)를 수용하는 함체 형상의 케이스(70); 및
    상기 케이스(70)를 수목의 외부에 감아 고정시키는 스트랩(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70)의 전면에는 비행체(10)의 발사시 비행체(10)가 통과할 수 있는 발사구(71)가 개방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12)는 비행체(10)가 장착구(2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장착구(21)에 수용되어 접철 구속된 상태가 되고, 비행체(10)가 장착구(21)에서 발사되면 구속되어 있던 날개부(12)가 전개되며,
    상기 날개부(12)에는 부채 형태로 접철되어 있다가 날개부(12)와 연동해 전개되는 보조날개(16)가 장착되며,
    상기 전개스프링(13)의 일단은 바디부(11)에, 타단은 날개부(12)에 각각 이음되어, 날개부(12)를 탄성적으로 밀어 전개시키며,
    상기 전개스프링(13)은 비행체(10)가 장착구(21)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 날개부(12)와 바디부(11)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있다가, 비행체(10)가 장착구(21)에서 발사되면 탄성 복원되어 날개부(12)를 바디부(11)의 양 측으로 탄성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감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산불감지센서(40)는,
    산불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감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산불감지센서(40)는,
    산불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가스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감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산불감지센서(40)는,
    산불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화염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감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사구(71)는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감시 장치.
KR1020200074702A 2020-06-19 2020-06-19 산불 감시 장치 KR102291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702A KR102291594B1 (ko) 2020-06-19 2020-06-19 산불 감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702A KR102291594B1 (ko) 2020-06-19 2020-06-19 산불 감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594B1 true KR102291594B1 (ko) 2021-08-20

Family

ID=7746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702A KR102291594B1 (ko) 2020-06-19 2020-06-19 산불 감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5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525A (ko) * 2015-10-19 2017-04-2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헬리콥터의 자유회전을 이용한 자유낙하 방식의 공중촬영장치
KR20180079725A (ko) * 2017-01-02 2018-07-11 주식회사 위츠 자율비행장치 충전 시스템
KR20200014982A (ko) *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디엔유 방범용 드론 시스템
KR102090170B1 (ko) 2019-07-26 2020-06-01 박수홍 드론을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 및 산불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525A (ko) * 2015-10-19 2017-04-2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헬리콥터의 자유회전을 이용한 자유낙하 방식의 공중촬영장치
KR20180079725A (ko) * 2017-01-02 2018-07-11 주식회사 위츠 자율비행장치 충전 시스템
KR20200014982A (ko) *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디엔유 방범용 드론 시스템
KR102090170B1 (ko) 2019-07-26 2020-06-01 박수홍 드론을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 및 산불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üll et al. Early forest fire detection and verification using optical smoke, gas and microwave sensors
WO2021034092A1 (ko) 스마트 소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소화시스템
WO2019050298A1 (ko) 드론을 이용한 지뢰탐지 및 제거방법
WO2020042151A1 (zh) 无人机失控保护方法、设备、无人机系统的保护方法和无人机系统
JP2005503853A (ja) 火災抑止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使用する固体噴射剤エアロゾル発生器
KR101926746B1 (ko)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안전시스템
KR20180030484A (ko) 먼지센서와 iot통신을 이용한 산불 감시시스템
US7475637B2 (en) Gun fired sensor platforms
KR101634337B1 (ko) 화재 감지 및 진화 장치
US10753714B2 (en) Non-motorized type flying unit for observation
CN106823210A (zh) 一种通过无人机投放的灭火弹
KR20040027534A (ko) 선형 화재감지튜브 및 무전원 자동 소화시스템
KR102291594B1 (ko) 산불 감시 장치
CA3151165A1 (en) Damage mitigating for an aerial vehicle having a deployable parachute
KR102476215B1 (ko)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CN110459032B (zh) 可抛洒式火灾预警传感装置
CN109331387A (zh) 一种高楼层遥控温控扑火装置及扑火方法
KR102342206B1 (ko) 119 소방 드론 시스템
CN206896632U (zh) 一种无人机用消防弹
KR20180058306A (ko) 산불진압을 위한 소화시스템
CN106938127A (zh) 一种无人机用消防弹
KR102467528B1 (ko) 산불 현장용 다기능 무전기
KR20230174833A (ko) 화재진압용 소화탄
KR102131020B1 (ko) 방범용 드론 시스템
CN206483023U (zh) 一种通过无人机投放的灭火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