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526B1 -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526B1
KR102291526B1 KR1020210078092A KR20210078092A KR102291526B1 KR 102291526 B1 KR102291526 B1 KR 102291526B1 KR 1020210078092 A KR1020210078092 A KR 1020210078092A KR 20210078092 A KR20210078092 A KR 20210078092A KR 102291526 B1 KR102291526 B1 KR 102291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tension
mangle
ro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국
Original Assignee
대림스타릿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스타릿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스타릿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8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10Hooks, pin-blocks, or like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2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squeezing 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02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endless chain or like apparatus
    • D06C3/025Driving or guiding means for stenter chains
    • D06C3/026Detection means for controlling lateral position of the textile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2Rollers
    • D06B23/026Roller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urface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원단롤러에 권취된 염색된 원단을 풀어주고 처지지않게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텐션롤러 유닛과 맹글롤러 속도조절 유닛에 의해 원단의 텐션을 조절하는 언와인더부와, 원단에 약품처리된 섬유 유연제 및 염색약을 짜내는 맹글부, 염색된 원단의 양쪽 가장자리를 스크류로 걸어서 원단이 말리는 것을 방지하는 언커러와, 원단의 양쪽 가장자리의 위치를 원단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다음 폭줄 헤드 이송 스크류에서 좌우 방향으로 제 1, 2 폭줄 자동 유닛이 자동으로 이동하여 원단의 진입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폭줄부와, 원단의 양쪽을 고정핀에 걸어서 건조실로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핀링부와, 원단을 건조하는 건조실과 원단에서 고정핀을 탈핀하는 탈핀부와, 권취되는 원단의 텐션을 로드셀에서 감지하여 와인더부의 권취롤러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리와인더부로 구성하여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 공정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Continuous mangle stenter device}
본 발명은 원단롤러에 권취된 염색된 원단을 풀어주고 처지지않게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텐션롤러 유닛과 맹글롤러 속도조절 유닛에 의해 원단의 텐션을 조절하는 언와인더부와, 원단에 약품처리된 섬유 유연제 및 염색약을 짜내는 맹글부, 염색된 원단의 양쪽 가장자리를 스크류로 걸어서 원단이 말리는 것을 방지하는 언커러와, 원단의 양쪽 가장자리의 위치를 원단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다음 폭줄 헤드 이송 스크류에서 좌우 방향으로 제 1, 2 폭줄 자동 유닛이 자동으로 이동하여 원단의 진입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폭줄부와, 원단의 양쪽을 고정핀에 걸어서 건조실로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핀링부와, 원단을 건조하는 건조실과 원단에서 고정핀을 탈핀하는 탈핀부와, 권취되는 원단의 텐션을 로드셀에서 감지하여 와인더부의 권취롤러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리와인더부로 구성하여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 공정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터(Stenter)는 제직된 원단을 가공함에 있어서 염색공정 후 염색 완료된 원단을 건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계장치로서, 염색된 원단을 권취하여 풀어주는 언와인더부(Unwind patr)와, 원단에 섬유 유연제를 포함하여 약품처리한 염색약을 짜내는 맹글부(Mangle)와, 원단을 건조실로 공급할때 원단의 양쪽 가장자리가 말리지않도록 원단을 펴주는 언커러와, 원단의 폭을 조절하며 원단을 컨베이어 고정핀에 고정하는 폭줄부와, 상기 폭줄부에서 공급된 원단을 건조하는 건조실과, 건조실에서 건조된 원단에서 고정핀을 제거하는 탈핀부와 탈핀된 원단을 권취하는 리와인더부로 구성된다.
상기 언와인더부는 권취된 원단을 풀고 리와인더부에서 원단을 권취하는 과정에서 권취 속도에 따라 팽팽한 상태를 유지되지않고 처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텐션이 일정하게 유지되지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맹글부는 한쌍의 맹글롤러 사이로 통과하는 원단을 가압하여 약품처리된 섬유유연재를 포함한 염색약을 짜내고, 폭줄부로 원단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언와인더부와 맹글롤러의 회전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여 원단을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텐션을 조절하여야하나 맹글롤러의 속도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폭줄부는 고정핀 시트(Pin seat)가 좌우방향으로 장착된 두 개의 컨베이어 체인이 주행할 수 있도록 레일에 설치되어 움직이며 직물의 폭에 따라 그 폭을 조절함으로서 직물의 폭이 조절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폭줄부는 맹글부에서 통과한 원단의 양쪽 가장자리에 고정핀을 걸어서 원단이 말리는 것을 방지하고, 폭을 신장시키거나 폭의 넓이를 가지런히 하기 위해 정확한 위치에 고정핀을 꽂아야하나 리와인더부에서 원단을 권취하는 과정에서 원단의 텐션이 일정하지않아 폭줄부를 통과하는 원단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고, 원단이 팽팽해질수록 원단의 폭이 좁아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원단의 가장자리에 정확하게 고정핀을 꽂아서 걸지 못하면 원단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고정핀에 원단이 고정되지않은 상태로 건조되어 수축등에 의해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폭줄부는 상기와 같은 상황 발생시 원단의 양쪽 가장자리에 고정핀을 꽂아서 걸지못하여 작업자가 직접 원단의 간격을 조절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육안으로 폭줄 간격을 확인하며 원단을 조절하기 때문에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폭줄부에서 양쪽 가장자리에 고정핀이 걸어진 원단은 건조실로 공급되어 건조되고, 건조실에서 건조된 원단은 탈핀부로 이동하여 원단에서 탈핀한 다음 리와인더부로 권취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속도로 리와인더부의 권취롤러가 회전하면서 권취롤러에 감겨지는 원단이 점점 두꺼워질수록 권취되는 원단의 원주는 점점 커져 감기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리와인더부에서 권취되는 원단의 텐션이 일정하지않고 점점 강해지면서 원단이 늘어나는 불량이 발생하여 일련의 공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2018 - 0157147호 "원단 텐터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는 언와인더부에서 맹글부를 통과하여 폭줄부로 원단을 풀어서 공급할 때 맹글롤러를 통과하는 원단이 처지지않고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맹글롤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고, 폭줄부로 공급되는 원단의 양쪽 가장자리를 원단 감지센서에 의해 원단의 가장자리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폭줄의 위치를 조절하여 원단의 가장자리가 컨베이어 체인의 고정핀에 정확히 고정될 수 있도록 리와인더부는 권취롤러에 권취되는 원단의 이동 속도중 압력을 감지하여 권취롤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일련의 공정으로 자동화로 진행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는 원단롤러에 권취된 염색된 원단을 풀어주며서 처지거나 너무 팽팽해지지않도록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도록 텐션롤러 유닛과 맹글롤러 속도조절 유닛에 의해 원단의 텐션을 조절하는 언와인더부와, 원단에 약품처리된 섬유 유연제 및 염색약을 짜내는 맹글부와, 염색된 원단의 양쪽 가장자리가 말리는 것을 방지하는 언커러와, 원단 감지센서에서 원단의 가장자리를 센싱하며, 폭줄 이송 스크류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제 1, 2 폭줄 자동 유닛이 자동으로 각각 이동하여 원단의 진입을 자동 조절하는 폭줄부와, 원단의 양쪽을 고정핀에 걸어서 건조실로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핀링부와, 원단을 건조하는 건조실과, 원단에서 고정핀을 탈핀하는 탈핀부와, 권취되는 원단의 텐션을 로드셀에서 감지하여 리와인더부의 권취롤러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 공정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는 언와인더부에 맹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텐터부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고, 텐션롤러 유닛과 맹글롤러 속도 조절 유닛에 의해 맹글롤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원단이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고, 폭줄부에는 폭줄 헤드 이송 스크류에 제 1, 2 폭줄조절 유닛이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원단 감지센서에 의해 원단의 가장자리를 감지하면 제 1, 2 폭줄조절 유닛이 폭줄 헤드 이송 스크류를 따라 각각 이동하여 원단이 컨베이어의 고정핀에 일정하게 꽃이도록 하여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리와인더부는 감지롤러의 하단에 압력감지센서인 로드셀이 설치되어 리와인더부의 권취롤러에 권취되는 원단의 압력을 감지하여 권취롤러의 회전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원단의 텐션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하여 일련의 공정을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에서 언와인더부와 맹글부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 본 발명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에서 언와인더부에서 맹글롤러 속도조절 유닛을 확대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언와인더부에서 맹글롤러 속도조절 유닛을 분리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언와인더부에서 맹글롤러 속도조절 유닛을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언와인더부에서 맹글롤러 속도조절 유닛을 도시해 보인 부분 확대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에서 언커러, 폭줄부와 오버피드 유닛을 확대해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에서 폭줄부와 오버피드 유닛, 탈핀부와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에서 리와인더부를 확대해 보인 정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1)는 에서 맹글부(7)를 통과하여 폭줄부(3)로 원단을 풀어서 공급할때 맹글롤러(44)를 통과하는 원단(22)의 텐션이 일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속도를 조절하고, 폭줄부(3)로 공급되는 원단(22)의 양쪽 가장자리를 원단 감지센서(34, 34')에 의해 원단(22)의 가장자리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폭줄의 위치를 조절하여 원단(22)이 컨베이어의 핀에 일정하게 부착되도록 동작하여 리와인더부(6)는 권취롤러(9)에 권취되는 원단(22)의 이동 속도중 원단(22)의 텐션을 로드셀(압력센서)(41)를 통해 감지하여 권취롤러(9)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공정으로 진행한다.
상기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1)는 크게 언와인더부(2), 맹글부(7), 폭줄부(3), 원단 핀링부(14), 건조실(4), 탈핀부와(5), 리와인더부(6), 제어부(8)로 구성된다.
상기 언와인더부(2)는 원단(22)이 맹글롤러(44)에 진입시 원단(22)의 텐션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언와인더부(2)의 원단 롤러모터 속도를 조절하여 풀어준다.
상기와 같이 원단(22)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원단 감지센서(34, 34')가 설치된다.
또한, 언와인더부(2)에서 공급되는 원단(22)에 약품처리된 섬유 유연제 및 염색약을 한쌍의 맹글롤러(44)에 의해 짜내는 맹글부(7)가 설치된다.
상기 맹글부(7)는 하우징 내부에 한쌍의 맹글롤러(44)가 설치되어 통과하는 원단(22)을 가압하여 약품처리된 섬유 유연제 및 염색약을 배출한다.
상기 맹글부(7)의 일측에는 맹글롤러(44)의 회전속도 및 원단(22)의 진행속도를 조절하여 원단(22)이 일정한 텐션으로 폭줄부(3)에 진입할 수 있도록 맹글롤러 속도 조절유닛(16)이 설치된다.
상기 맹글부(7)에서 통과한 원단(22)의 양쪽 가장자리에 고정핀을 걸어서 원단(22)이 말리는 것을 방지하고, 원단의 폭을 신장시키거나 폭의 넓이를 가지런히하기 위해 펴주는 폭줄부(3)가 위치한다.
상기 폭줄부(3)는 원단 감지센서(34, 34')에 의해 원단의 가장자리 위치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원단에 위치에 따라 이동하여 원단이 말리지않도록 언커러(32, 32')와 함께 제 1, 2 폭줄 조절유닛(35, 36)이 설치된다.
상기 언커러(32, 32')는 언커러 구동모터(38, 38)가 각각 연결되어 따로 구동한다.
상기 폭줄부이 일측에는 오버피드 유닛(37, 37')이 설치되고, 오버피드 유닛(37, 37')을 통과한 원단(22)의 양쪽 가장자리에 고정핀을 걸어서 건조실(4)로 공급하는 원단 핀링부(14)가 위치한다.
상기 원단 핀링부(14)에서 공급된 원단(22)을 건조하는 건조실(4)이 위치한다.
상기 건조실(4)에서 공급된 원단(22)에서 고정핀을 제거하고 리와인더부(6)로 공급하는 탈핀부(5)가 위치한다.
상기 탈핀부(5)에서 공급된 원단(22)을 권취롤러(9)에 권취하는 리와인더부(6)가 위치하고, 상기 리와인더부(6)는 권취롤러(9)에 권취되는 원단(22)의 텐션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을 측정하여 권취롤러(9)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에서 언와인더부에서 원단을 풀어주는맹글롤러 속도조절 유닛을 확대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언와인더부에서 맹글롤러 속도조절 유닛을 분리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언와인더부에서 맹글롤러 속도조절 유닛을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언와인더부에서 맹글롤러 속도조절 유닛을 도시해 보인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상기 언와인더부(2)에서 텐션롤러 유닛(15)은 권취된 원단(22)을 한쌍의 맹글롤러(44)사이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원단(22)의 진행 속도를 간섭할 수 있도록 맹글부(7)의 일측에는 고정 브라켓(45)이 양쪽으로 각각 부착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45) 사이에는 텐션 감지센서(19)이 각각 위치한다.
상기 텐션 감지센서(19)의 상부는 고정 브라켓(45)에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텐션 감지센서(19)사이 하부에는 텐션봉(18)이 위치하여 양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텐션 감지센서(19)에 결합된다.
또한, 고정 브라켓(45) 사이에는 텐션 감지센서(19)의 전방 및 텐션봉(18) 상부에 위치하도록 언와인더 텐션 가이드롤러(17, 17')가 위치한 다음 언와인더 텐션 가이드롤러(17, 17')의 양측이 고정 브라켓(45)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맹글롤러 속도 조절유닛(16)은 맹글롤러(44)를 통과한 원단(22)을 간섭하도록 맹글부(7)의 타측방향 양쪽에는 마주보게 텐션롤러 브라켓(27)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텐션롤러 브라켓(27)의 내주면에는 볼베어링(21)이 각각 밀착되며, 상기 볼베어링(21)중 일측에는 텐션 고정축 레버(25)가 부착되어 손잡이가 결합되어 작업자가 수동으로 텐션롤러 회동편(26)을 회동할 수 있다.
상기 볼베어링(21)을 통과하여 텐션롤러 브라켓(27)에 돌출되도록 텐션롤러 회동편(26)의 일면에는 회전축(48)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48)을 중심으로 양측에는 회전공(49, 49')이 각각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텐션롤러 회동편(26)에 결합된다.
상기 텐션롤러 회동편(26) 사이에는 한쌍의 맹글 텐션롤러(23, 23')가 평행하게 위치한 다음 양측은 텐션롤러 회동편(26)의 회전공(49)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된다.
상기 텐션롤러 브라켓(27)의 외주면에 위치하도록 맹글부(7)에 텐션롤러 가이드(28)가 양쪽으로 부착된다.
상기 텐션롤러 가이드(27)에 롤러 가이드(29)의 일측이 삽입되어 회전축(48)과 결합되고, 상기 텐션롤러 가이드(28) 사이에는 텐션부 익스펜더롤러(20)가 맹글 텐션롤러(23, 23')의 전방에 위치하여 텐션롤러 가이드(28)에 회전 가능하도록 양단이 각각 결합된다.
또한, 텐션롤러 가이드(28)중 일측 외주면에는 텐션 감지 브라켓(46)이 부착되며, 상기 텐션 감지 브라켓(46)에는 맹글 텐션롤러(23, 23')와 텐션부 익스펜더롤러(20)를 연결하여 연동하도록 텐션 감지부(50)가 부착된다
상기 텐션 감지부(50)는 텐션 감지 브라켓(46)에 부착되는 하우징 내부 일측에는 언 와이드 텐션 가이드 롤러(17, 17')에 조립된 회전축(48)이 끼움 결합되는 동기식 풀리와 타측에는 텐션부 익스펜더롤러(20)와 결합된 회전축(48)과 결합되는 동기식 풀리가 마주하게 배열되고, 상기 동기식 풀리들은 동기식 벨트로 연결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텐션롤러 유닛(15)은 텐션봉(18)의 하부에서 언와인더 텐션 가이드롤러(17, 17')로 통과하는 원단(22)의 텐션에 따라 텐션봉(18)이 상하부 방향으로 회동히는 것을 센서가 감지하여 언와인더부(2)의 원단롤러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여 일정한 진입속도를 유지한다.
상기 맹글롤러 속도 조절유닛(16)은 한쌍의 맹글 텐션롤러(23, 23') 사이로 원단(22)이 통과하여 텐션부 익스펜더롤러(20)의 상부로 통과하여 진행하는 과정에서 원단(22)의 텐션에 따라 맹글 텐션롤러(23, 23')가 상하부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감지하여 원단(22)의 진행속도를 조절한다.
도 9는 본 발명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에서 폭줄부와 원단 핀링부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에서 폭줄부와 오버피드 유닛 탈핀부와를 도시해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폭줄부(3)는 폭줄부 상판(43) 상부의 전면과 배면 가장자리에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폭줄 헤드 이송 스크류(33, 33')가 설치되고, 상기 폭줄 헤드 이송 스크류(33, 33')의 일측에 폭줄 헤드 이송 스크류 이송모터(10)가 각각 결합되어 폭줄 헤드 이송 스크류(33, 33')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폭줄 헤드 이송 스크류(33, 33')의 상부에 컨베이어 폭줄부 프레임(47, 47')이 각각 위치하여 하부가 결합되면 폭줄 헤드 이송모터(10)의 구동에 의해 폭줄 헤드 이송 스크류(33, 33')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 폭줄 헤드 이송 스크류(33, 33')를 따라 컨베이어 폭줄부 프레임(47, 47')전체가 이동하여 원단(22)의 양쪽 끝단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폭줄부 프레임(47, 47') 상부 일측에는 원단(22)을 잡아주고 펴주도록 스크류가 형성되어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원단을 펴주는 언커러(32, 32')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컨베이어 폭줄부 프레임(47, 47') 상부에는 원단을 펴주는 언커러(32, 32')에 간섭되어 통과하는 원단(22)의 가장자리를 감지하도록 원단 감지센서(34, 34')가 각각 설치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 1, 2 폭줄조절 유닛(35, 36)가 마주하게 전면과 배면에 위치한다.
상기 원단 감지센서(34, 34')에서 원단(22)의 가장자리를 감지하면 폭줄 헤드 이송 모터(10, 10')의 구동에 의해 원단(22)의 가장자리 위치에 따라 제 1, 2 폭줄조절 유닛(35, 36) 전체가 함께 움직이거나 따로 움직여서 폭줄 헤드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상기 컨베이어 폭줄부 프레임(47, 47') 상부에 설치된 오버피드 유닛(13, 13')은 원단(22)을 컨베이어 핀에 고정하여 주는 장치로서, 오버피드 폴러(40, 40')가 각각 위치하고, 상기 컨베이어 폭줄부 프레임(49, 49') 상부에는 오버피드 롤러(40, 40')와 각각 연결되어 상하부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오버피드 상하 구동용 실린더(39, 39')가 각각 설치되어 오버피드 롤러(40, 40')의 상하부 높이를 조절한다.
도 11은 본 발명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에서 리와인더부를 확대해 보인 정면도이다.
상기 리와인더부(6)는 압력감지센서인 로드셀(41)을 설치하여 권취롤러(9)에 권취되는 원단이 로드셀(41)의 상면을 통과하면 가압하는 압력을 측정하여 권취롤러(9)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권취롤러(9)에 권취되는 원단의 원주가 작거나 클때는 권취롤러(9)의 회전속도가 다르고 권취롤러(9)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로드셀(41)을 가압하는 압력차이가 다르기때문에 이를 감지하여 권취롤러(9)를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권취되는 원단(22)이 처지지않고 항상 일정한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1: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 2: 언와인더부
3: 폭줄부 4: 건조실
5: 탈핀부와 6: 리와인더부
7: 맹글부(Mangle) 8: 제어부
9: 권취롤러 10: 폭줄 헤드 이송모터
13, 13': 오버피드 유닛 14: 원단 핀링부
15: 텐션롤러 유닛 16: 맹글롤러 속도 조절유닛
17, 17': 언 와인더 텐션 가이드롤러 18: 텐션봉
19: 텐션 감지센서 20: 텐션부 익스펜더롤러
21: 볼베어링 22: 원단
23, 23': 맹글 텐션롤러 25: 텐션 고정축 레버
26:텐션롤러 회동편 27: 텐션롤러 브라켓
28: 텐션롤러 가이드 29: 롤러 가이드
32, 32': 언커러 33, 33': 폭줄 이송 스크류
34, 34': 원단 감지센서 35: 제 1 폭줄 자동 유닛
36: 제 2 폭줄 자동 유닛 38, 38': 언커러 구동모터
39, 39': 오버피드 상하 구동용 실린더
40, 40': 오버피드 롤러 41: 로드셀
43: 폭줄부 상판 44: 맹글롤러
45: 고정 브라켓 46: 텐션 감지 브라켓
47, 47': 컨베이어 폭줄부 프레임 48: 회전축
49: 회전공 50: 텐션 감지부

Claims (3)

  1. 제어부(8)와 리와인더부(6)의 권취롤러(9)에 원단을 권취하는 과정에서 염색된 원단(22)의 텐션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원단롤러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여 풀어주는 언와인더부(2); 와
    상기 언와인더부(2)에서 공급되는 원단(22)에 약품처리된 섬유 유연제 및 염색약을 한쌍의 맹글롤러(44)에 의해 짜내는 맹글부(7); 와
    원단의 양 가장자리가 말리지않도록 펴주는 언커러(32, 32'); 와
    상기 언커러(32, 32')에서 공급되는 원단을 컨베이어의 핀에 고정하는 폭줄부(3); 와
    상기 폭줄부(3)를 통과한 원단(22)의 양쪽 가장자리에 고정핀을 걸어서 건조실로 공급하는 원단 핀링부(14); 와
    상기 원단 핀링부(14)에서 공급된 원단을 건조하는 건조실(4); 과
    상기 건조실(4)에서 공급된 원단(22)에서 고정핀을 제거하고 리와인더부(6)로 공급하는 탈핀부(5); 와
    상기 탈핀부(5)에서 공급된 원단(22)을 권취롤러(9)에 권취하는 리와인더부(6)로 구성된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1)에 있어서,
    상기 언와인더부(2)는 원단롤러에 권취된 원단(22)을 맹글부(7)의 맹글롤러(44) 사이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원단(22)의 진행 속도를 간섭하도록 맹글부(7)의 일측에는 양쪽으로 이격되게 고정 브라켓(45)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45) 사이에는 텐션 감지센서(19)가 각각 위치한 다음 텐션 감지센서(19) 상부에는 고정 브라켓(45)이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되며, 상기 텐션 감지센서(19) 하단 사이에는 텐션봉(18)이 위치하여 양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45) 사이에는 텐션 감지센서(19)의 전방 및 텐션봉(18)의 상부에 위치하여 언와인더 텐션 가이드 롤러(17, 17')가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된 텐션롤러 유닛(15); 과
    상기 맹글부(7)의 타측방향에는 맹글롤러(44)를 통과한 원단(22)을 간섭하도록 양쪽에는 마주보게 텐션롤러 브라켓(27)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텐션롤러 브라켓(27)의 내주면에는 볼베어링(21)이 각각 밀착되며, 상기 볼베어링(21)중 일측에는 텐션 고정축 레버(25)가 부착되어 손잡이와 결합되고, 상기 볼베어링(21)을 통과하여 텐션롤러 브라켓(27)에 돌출되도록 일면에는 회전축(48)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48)을 중심으로 양측에는 회전공(49, 49')이 각각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텐션롤러 회동편(26)에 결합되고, 상기 텐션롤러 회동편(26) 사이에는 한쌍의 맹글 텐션롤러(23, 23')가 평행하게 위치한 다음 양측은 텐션롤러 회동편(26)의 회전공(49)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고, 상기 텐션롤러 브라켓(27)의 외주면에 위치하도록 맹글부(7)에 텐션롤러 가이드(28)가 양쪽으로 부착되며, 상기 텐션롤러 가이드(27)에 롤러 가이드(29)의 일측이 삽입되어 회전축(48)과 결합되고, 상기 텐션롤러 가이드(28) 사이에는 텐션부 익스펜더롤러(20)가 맹글 텐션롤러(23, 23')의 전방에 위치하여 텐션롤러 가이드(28)에 회전 가능하도록 양단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텐션롤러 가이드(28)중 일측 외주면에는 텐션 감지 브라켓(46)이 부착되며, 상기 텐션 감지 브라켓(46)에는 맹글 텐션롤러(23, 23')와 텐션부 익스펜더롤러(20)를 연결하여 연동하도록 텐션 감지부(50)가 부착된 맹글롤러 속도 조절유닛(16); 으로 구성하여, 상기 텐션롤러 유닛(15)은 텐션봉(18)의 하부에서 언와인더 텐션 가이드롤러(17, 17')의 상부로 통과하는 원단(22)의 진행속도에 따라 텐션봉(18)이 상하부 방향으로 회동하여 원단(22)의 텐션을 텐션감지센서(19)에 감지하고, 상기 맹글롤러 속도 조절유닛(16)은 한쌍의 맹글 텐션롤러(23, 23') 사이로 원단(22)이 통과하여 텐션부 익스펜더롤러(20)의 상부로 통과하여 진행하는 과정에서 원단(22)의 텐션에 따라 비례하게 맹글 텐션롤러(23, 23')가 상하부 방향으로 회동하여 원단(22)을 감지하여 원단(22)의 진행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줄부(3)는 폭줄부 상판(43)의 전면과 배면 가장자리에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설치된 폭줄 헤드 이송 스크류(33, 33')와, 상기 폭줄 헤드 이송 스크류(33, 33')를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일측에 결합되어 컨베이어 폭줄부 프레임(47, 47')을 이동시키도록 각각 설치된 폭줄 헤드 이송 스크류 구동모터(10)와, 상기 컨베이어 폭줄부 프레임(47, 47') 상부 일측에는 원단(22)을 잡아주고 펴주도록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각각 설치된 원단을 펴주는 언커러(32, 32')와, 상기 언커러(32, 32')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컨베이어 폭줄부 프레임(47, 47')에 각각 부착된 언커러 구동모터 (38, 38')와, 상기 컨베이어 폭줄부 프레임(47, 47')의 상부에는 원단을 펴주는 언커러(32, 32')를 통과하는 원단(22)의 가장자리를 감지하도록 원단 감지센서(34, 34')가 각각 설치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원단 감지센서(34, 34')에서 원단(22)의 가장자리를 감지하면 언커러 구동모터 (38, 38')의 구동에 의해 원단(22)의 가장자리 위치에 따라 각각 움직이는 제 1, 2 폭줄조절 유닛(35, 36); 과
    상기 제 1, 2 폭줄조절 유닛(35, 36)과 연동되도록 컨베이어 폭줄부 프레임(47, 47') 상부에는 원단(22)의 가장자리가 고정핀 밖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오버피드 롤러(40, 40')가 각각 위치하고, 상기 컨베이어 폭줄부 프레임(49, 49') 상부에는 오버피드 롤러(40, 40')와 각각 연결되어 상하부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오버피드 상하 구동용 실린더(39, 39')와 각각 설치되어 컨베이어 폭줄부 프레임(47, 47')과 각각 움직이는 오버피드 유닛(13, 13'); 으로 구성되어 원단 감지센서(34, 34')에서 원단(22)의 가장자리를 감지하면 폭줄 헤드 이송모터(10, 10')의 구동에 의해 제 1, 2 폭줄조절 유닛(35, 36) 전체가 자동으로 이동하거나 따로 움직여 폭줄헤드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와인더부(6)는 상부 양단에 압력감지센서인 로드셀(41)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로드셀(41) 사이를 감지롤러가 연결되어 권취롤러(9)에 권취되는 원단이 감지롤러를 지나가면 로드셀(41)은 감지롤러에 지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측정하여 권취롤러(9)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
KR1020210078092A 2021-06-16 2021-06-16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 KR102291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92A KR102291526B1 (ko) 2021-06-16 2021-06-16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92A KR102291526B1 (ko) 2021-06-16 2021-06-16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526B1 true KR102291526B1 (ko) 2021-08-20

Family

ID=7746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092A KR102291526B1 (ko) 2021-06-16 2021-06-16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5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17366A (zh) * 2021-12-28 2022-05-20 青岛爱达高服装有限公司 一种服装加工用面料处理工艺及加工装置
CN114960091A (zh) * 2022-06-30 2022-08-30 礼德滤材科技(苏州)有限责任公司 用于螺旋网热定型的非接触式定型机及定型方法
CN117168124A (zh) * 2023-11-02 2023-12-05 江苏衡新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纺布生产加工用的烘干装置
CN117966470A (zh) * 2024-04-01 2024-05-03 常州旷达纺织科技发展有限公司 裁剪分切设备及抗菌阻燃高速列车内饰面料的制备工艺
CN118010507A (zh) * 2024-04-08 2024-05-10 江苏斯维曼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拉伸式的服装弹性测试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0527A (ja) * 1994-08-10 1996-03-05 Wakayama Iron Works Ltd ピンテンター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0527A (ja) * 1994-08-10 1996-03-05 Wakayama Iron Works Ltd ピンテンター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17366A (zh) * 2021-12-28 2022-05-20 青岛爱达高服装有限公司 一种服装加工用面料处理工艺及加工装置
CN114517366B (zh) * 2021-12-28 2023-10-13 青岛爱达高服装有限公司 一种服装加工用面料处理工艺及加工装置
CN114960091A (zh) * 2022-06-30 2022-08-30 礼德滤材科技(苏州)有限责任公司 用于螺旋网热定型的非接触式定型机及定型方法
CN114960091B (zh) * 2022-06-30 2024-01-02 礼德滤材科技(苏州)有限责任公司 用于螺旋网热定型的非接触式定型机及定型方法
CN117168124A (zh) * 2023-11-02 2023-12-05 江苏衡新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纺布生产加工用的烘干装置
CN117966470A (zh) * 2024-04-01 2024-05-03 常州旷达纺织科技发展有限公司 裁剪分切设备及抗菌阻燃高速列车内饰面料的制备工艺
CN118010507A (zh) * 2024-04-08 2024-05-10 江苏斯维曼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拉伸式的服装弹性测试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526B1 (ko)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
US5416992A (en) Apparatus for spreading rectangular cloth
JP4822797B2 (ja) ベルト式ロールアイロナー
US3149003A (en) Apparatus for treating endless fabrics
US5255419A (en) Tentering apparatus and method
JP5764317B2 (ja) 洗濯物をマングルあるいはこれと類似のものに供給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453522B1 (ko) 직물 검단기
JP2009013564A5 (ko)
US3995457A (en) Continuous padding type dyeing machine
US3646784A (en) Dye machine with fabric tension adjustment
JP2009142337A (ja) ロールアイロナー
US4575909A (en) Apparatus for treating fabric for shrinkage
KR960005671Y1 (ko) 개량 텍스터 가이드(texture guide)
US4062094A (en) Apparatus for laterally stretching textile fabric and the like
JP4315578B2 (ja) コーティング用ゴムの逃がし機構、押出機及び裁断トレーン
US3438139A (en) Apparatus for setting fabric
KR0121876Y1 (ko) 직물 검단기
US2813325A (en) Selvedge straightening mechanism
CN216040378U (zh) 一种真丝服装面料织造整理装置
US2943375A (en) Stretching machine for dryer felts and the like
CN213398250U (zh) 一种坯布质量检测装置
CN216919726U (zh) 一种织染用布料烘干定型机
KR200219323Y1 (ko) 직물 건조 검단기의 자동 장력 조절장치
KR20010038262A (ko) 염색된 직물의 직물권취장치
KR20170002791U (ko) 염착기용 원단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