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091B1 -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 - Google Patents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091B1
KR102291091B1 KR1020210009688A KR20210009688A KR102291091B1 KR 102291091 B1 KR102291091 B1 KR 102291091B1 KR 1020210009688 A KR1020210009688 A KR 1020210009688A KR 20210009688 A KR20210009688 A KR 20210009688A KR 102291091 B1 KR102291091 B1 KR 102291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dock
frame
horizontal
mai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남
김익수
Original Assignee
(주)성보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보건설 filed Critical (주)성보건설
Priority to KR1020210009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8Loading ramps; Loading docks
    • B65G69/287Constructional features of deck or surround
    • B65G69/2876Safety or protection means, e.g. ski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13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in combination with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크 내측의 개방된 영역의 양 측 각각에서 서로 이격되어 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되는 메인바;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상기 메인바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개가 상기 메인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 지면과 수직을 이루며 이격 배치된 복수의 상기 수평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복수개가 상기 수평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 단이 최하층에 배치된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고, 하 단이 상기 메인바의 하부에 설치되어, 길이가 인장 가능한 작동 쇼바;를 포함하는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FALL PREVENTION DEVICE OF WAREHOUSE DOCK}
본 발명은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전자상거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서 각각의 상품들을 안전하며 신속하게 구매자에게 배달하는 문제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고, 이에 따라 택배 업체들은 물품 운송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하고 있다.
택배 물품들은 일반적으로 택배 기사가 택배 발송인으로부터 택배 물품을 건네받는 집화 과정, 집화된 택배 물품을 차량으로 운반하여 허브(Hub)터미널로 이동시키는 수송 과정, 수송 과정을 거쳐 허브터미널로 이동된 택배물품을 일련의 과정을 거쳐 지역별로 분류하고, 지역별로 분류된 택배 물품을 각 지역의 서브(Sub)터미널로 이동시킨 후, 서브터미널에서 다시 한 번 배송 지역별로 분류하는 분류 과정, 마지막으로 택배 기사가 지역터미널에서 분류된 물품을 택배 수취인에게 전달해주는 배송 과정을 거쳐 수취인에게 배송된다.
특히, 종래에는 택배 차량이 허브터미널 또는 서브터미널에 입문하면, 터미널 입구 및 도크(Dock)에 배치된 작업자가 무전을 통해 입문하는 차량 별로 도크를 배정하고, 해당 택배 차량이 도크에 진입하면 차량 컨테이너을 열어 컨테이너 내에 실린 물품들을 지정된 도크에 하차시키거나 반대로 차량 컨테이너 내로 물품을 승차시키는 방식으로 택배 물품을 이송한다.
이때, 도크는 차량 컨터이너 높이에 맞춰서 지면으로부터 약 1m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데, 도크 내측의 작업장에서 택배물품 분류 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은 작업장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컨테이너와 도킹되지 않은 상태로 개방된 도크를 통해 도크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4399호(2016.03.11)
본 발명은 택배 물품이 집하되는 터미널에서 택배 차량의 컨테이너와 도킹되기 위해 지면에서 약 1m의 높이에 형성되는 도크를 통해, 도크가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자 지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크 내측의 개방된 영역의 양 측 각각에서 서로 이격되어 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되는 메인바;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상기 메인바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개가 상기 메인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 지면과 수직을 이루며 이격 배치된 복수의 상기 수평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복수개가 상기 수평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 단이 최하층에 배치된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고, 하 단이 상기 메인바의 하부에 설치되어, 길이가 인장 가능한 작동 쇼바;를 포함하는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작동 쇼바가 연장되기 전, 좌우 양측의 상기 메인바 각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도크 내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된 복수의 상기 수직 프레임에 의해, 도크 내의 개방된 영역이 차폐되는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쇼바가 연장됨에 따라, 최하층의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 단이 상측으로 이동되고, 최하층의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 단이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복수의 상기 수직 프레임이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 단에 가깝게 설치된 순서대로 더 높게 상승되고, 복수의 상기 수직 프레임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수직 프레임과 연결된 나머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 단도 함께 상측으로 상승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이 이루는 각도가 줄어듬에 따라,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이 상기 메인바 측으로 접철되어, 도크 내의 개방된 영역이 개방되는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쇼바는, 상기 메인바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부; 및 상기 로드부에서 인출되거나 상기 로드부로 인입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이 수직을 이룰 때,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메인바와 상기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택배 물품이 집하되는 터미널에서 택배 차량의 컨테이너와 도킹되기 위해 지면에서 약 1m의 높이에 형성되는 도크를 통해, 도크가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자 지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가 도크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가 도크의 개방된 영역을 차폐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른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의 일 측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따른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의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이 연결된 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가 작동되어 도크의 개방된 영역을 개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따른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의 일 측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가 작동되어 도크의 개방된 영역을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따른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의 일 측을 확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에 차량접근감지센서와 차량이탈감지센서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1)가 도크(2)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1)가 도크(2)의 개방된 영역을 차폐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1)의 일 측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1)의 수평프레임(20)과 수직프레임(30)이 연결된 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1)는 택배 상하차 작업장의 도크(2)에 설치되어, 도크(2) 내측의 개방부를 개방하거나 차폐할 수 있다. 즉, 택배 차량의 컨테이너가 도크(2)에 도킹되지 않을 경우 도크(2) 내측의 개방 영역을 차폐하여, 작업자가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작업장에서 작업자가 약 1m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1)는 메인바(10), 수평프레임(20), 수직프레임(30), 지지프레임(40), 회동부(50) 및 작동쇼바(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바(10)는 도크(2) 내측의 개방된 영역의 양 측 각각에서 서로 이격되어 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바(10)는 도크(2) 내측의 개방된 영역에서 도크(2) 좌우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메인바(10)는 도크(2) 내측의 하면에서 지면과 수직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메인바(10)의 내측면에는 후술할 수평프레임(20)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11)는 일 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수평프레임(2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20)은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메인바(10)의 설치부(11)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평프레임(20)은 도크(2) 내측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된 각각의 메인바(10)에 동일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좌측의 메인바(10)와 우측의 메인바(10) 각각에 서로 대향하며 설치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20)은 복수개가 메인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수평프레임(20)이 메인바(10)와 수직하도록 메인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수평프레임(20)은 제1 수평프레임(21), 제2 수평프레임(22) 및 제3 수평프레임(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수평프레임(21), 제2 수평프레임(22) 및 제3 수평프레임(23)은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메인바(10)에 설치될 수 있다.
가장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수평프레임(21)은, 하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가장 하측에 배치되는 제3 수평프레임(23)은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평프레임(22)은 제1 플레이트(221)와 제2 플레이트(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21)와 제2 플레이트(222) 사이에 수직프레임(30)이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평프레임(21)의 내측에는 수직프레임(30)의 상단이 회동부(5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평프레임(21)의 내측면과 수직프레임(30)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회동부(5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수평프레임(22)은 수직프레임(30) 길이의 중심부에서 회동부(5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플레이트(221)와 제2 플레이트(222)가 수직프레임(30)의 전후면에 회동부(5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 수평프레임(23)의 내측에는 수직프레임(30)의 하단이 회동부(5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수평프레임(23)의 내측면과 수직프레임(30)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회동부(5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30)은 지면과 수직을 이루며, 복수의 수평프레임(20)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복수개가 수평프레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프레임(30)은 제1 수직프레임(31), 제2 수직프레임(32) 및 제3 수직프레임(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프레임(31), 제2 수직프레임(32) 및 제3 수직프레임(33)은 메인바(10)와 가까운 외측에서부터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수평프레임(20)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40)은 수평프레임(20)과 회동 가능하도록 수평프레임(20)의 단부에 설치되며, 수평프레임(20)과 상기 수직프레임(30)이 수직을 이룰 때, 하단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좌측의 메인바(10)와 연결된 수평프레임(20)에 설치된 지지프레임(40)과, 우측의 메인바(10)와 연결된 수평프레임(20)에 설치된 지지프레임(40)은 도크(2) 내측의 개방된 영역의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20)이 지면과 수평을 이룰 때, 좌측의 지지프레임(40)과 우측의 지지프레임(40)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도크(2) 하면에 지지될 수 있다.
회동부(50)는 메인바(10)와 수평프레임(20), 수평프레임(20)과 수직프레임(30), 수평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40)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작동쇼바(60)는 상 단이 최하층에 배치된 수평프레임(20)의 하측에 연결되고, 하 단이 메인바(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길이가 인장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쇼바(60)는 로드부(61) 및 연장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부(61)는 메인바(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장부(62)는 로드부(61)에서 인출되거나 로드부(61)로 인입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평프레임(20)의 하측에 연결되는 될 수 있다.
이때, 작동쇼바(60)는 연결부(70)에 의해 메인바(10)와 수평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1)가 작동되어 도크(2)의 개방된 영역을 개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1)의 일 측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1)가 작동되어 도크(2)의 개방된 영역을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1)의 일 측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택배 차량의 컨테이너가 도크(2)에 도킹될 때,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1)가 작동되어, 도크(2)의 개방된 영역을 차폐하던 상태에서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쇼바(60)가 연장되기 전, 좌우 양측의 메인바(10) 각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도크(2) 내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평프레임(20)과, 수평프레임(20)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된 복수의 수직프레임(30)과 지지프레임(40)에 의해, 도크(2) 내의 개방된 영역이 차폐될 수 있다.
이후, 작동쇼바(60)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부(62)가 로드부(61)에서 인출될 수 있다. 연장부(62)가 로드부(61)에서 인출됨에 따라, 연장부(62)와 연결된 제3 수평프레임(23)에 상측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진다.
제3 수평프레임(23)에 상측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면, 제3 수평프레임(23)은 메인바(10)와 연결되지 않은 일 단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메인바(10)와 연결된 타 단이 메인바(10)에서 회동된다.
이처럼, 제3 수평프레임(23)의 일 단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경사짐에 따라, 제3 수평프레임(23)과 연결된 복수의 수직프레임(30)이 제3 수평프레임(23)의 경사도에 따라 상승하게 된다. 즉, 제3 수평프레임(23)의 일 단이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3 수평프레임(23)의 일 단에 가깝게 설치된 제3 수직프레임(33), 제2 수직프레임(32), 제1 수직프레임(31) 순서대로 더 높게 상승하게 된다.
복수의 수직프레임(30)이 상승됨에 따라, 수직프레임(30)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3 수평프레임(23) 이외의 제2 수평프레임(22)과 제2 수평프레임(22)의 일 단도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어 경사지게 된다.
이에 따라, 수직프레임(30)과 수평프레임(20)이 이루는 각도가 수직에서 점차 줄어들게 된다. 수직프레임(30)과 수평프레임(20)이 이루는 각도가 줄어듬에 따라, 수평프레임(20)과 수직프레임(30)이 메인바(10) 측으로 접철되어, 도크(2) 내의 개방된 영역이 차폐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태로 될 수 있다.
즉, 작동쇼바(60)의 길이가 연장됨에 따라, 수평프레임(20)과 수직프레임(30)의 상측으로 상승하게되면서, 좌우 방향으로 접철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1)에 차량접근감지센서(80)와 차량이탈감지센서(90)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1)는 차량접근감지센서(80)와 차량이탈감지센서(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접근감지센서(80)는 수평프레임(20)의 내측인 일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접근감지센서(80)는 제1 감지센서(81), 제2 감지센서(82) 및 제3 감지센서(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센서(81), 제2 감지센서(82) 및 제3 감지센서(83) 각각은 제1 수평프레임(21), 제2 수평프레임(22) 및 제3 수평프레임(23)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감지센서(81), 제2 감지센서(82) 및 제3 감지센서(83)는 물체를 감지하며, 소정 거리 이내 물체의 거리를 감지하여, 택배 차량이 도크(2)에 도킹되기 위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감지센서(81)와 제2 감지센서(82)와 제3 감지센서(83)에서 동시에 물체가 감지되며, 물체와의 거리가 점차 줄어들며, 기 설정된 거리 이내가 되면, 차량접근감지센서(80) 택배 차량의 도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택배 차량이 도킹을 위해 접근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작동쇼바(60)가 연장되도록 작동되어 수평프레임(20)과 수직프레임(30)이 상승하며 좌우측 각각으로 접철되어 도크(2) 내부가 개방될 수 있다.
다만, 제1 감지센서(81), 제2 감지센서(82) 및 제3 감지센서(83) 중 어느 하나의 감지 센서에서만 물체가 인식되는 경우, 택배 차량이 아니라 다른 물체 또는 작업자일 수 있기 때문에 택배 차량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감지센서(81), 제2 감지센서(82) 및 제3 감지센서(83)에서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에만 택배 차량으로 감지할 수 있다.
차량이탈감지센서(90)는 지지프레임(4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이탈감지센서(90)는 양 측의 지지프레임(40)에 각각 설치되며, 수평프레임(20)과 수직프레임(30)이 접철된 상태에서, 도크(2) 내의 개방된 영역의 중심부에 물체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차량이탈감지센서(90)는 작동쇼바(60)가 연장되어 수평프레임(20)과 수직프레임(30)이 접철된 상태에서, 도크(2) 내의 개방된 영역의 중심부의 물체 여부를 감지하여, 택배 차량이 도크(2)에서 도킹 해제되어 이탈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일정 거리 내에서 물체가 감지되지 않아 택배 차량이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작동쇼바(60)의 연장부(62)가 로드부(61)로 삽입되어, 다시 도크(2)를 차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 2: 도크
10: 메인바 11: 설치부
20: 수평프레임 21: 제1 수평프레임
22: 제2 수평프레임 221: 제1 플레이트
222: 제2 플레이트 23: 제3 수평프레임
30: 수직프레임 31: 제1 수직프레임
32: 제2 수직프레임 33: 제3 수직프레임
40: 지지프레임 50: 회동부
60: 작동쇼바 61: 로드부
62: 연장부 70: 연결부
80: 차량접근감지센서 90: 차량이탈감지센서

Claims (5)

  1. 도크 내측의 개방된 영역의 양 측 각각에서 서로 이격되어 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되는 메인바;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상기 메인바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1 수평프레임, 제2 수평프레임 및 제3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수평 프레임;
    지면과 수직을 이루며 이격 배치된 복수의 상기 수평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복수개가 상기 수평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
    상 단이 최하층에 배치된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고, 하 단이 상기 메인바의 하부에 설치되어, 길이가 인장 가능한 작동 쇼바; 및
    상기 제1 수평프레임, 상기 제2 수평프레임 및 상기 제3 수평프레임 각각에 설치되는 제1 감지센서, 제2 감지센서 및 제3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감지센서, 상기 제2 감지센서 및 상기 제3 감지센서에서 동시에 물체가 감지되고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가 되면, 택배 차량이 도킹을 위해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작동쇼바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는 차량접근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쇼바가 연장되기 전,
    좌우 양측의 상기 메인바 각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도크 내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된 복수의 상기 수직 프레임에 의해, 도크 내의 개방된 영역이 차폐되는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 쇼바가 연장됨에 따라,
    최하층의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 단이 상측으로 이동되고,
    최하층의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 단이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복수의 상기 수직 프레임이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 단에 가깝게 설치된 순서대로 더 높게 상승되고,
    복수의 상기 수직 프레임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수직 프레임과 연결된 나머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 단도 함께 상측으로 상승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이 이루는 각도가 줄어듬에 따라,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이 상기 메인바 측으로 접철되어, 도크 내의 개방된 영역이 개방되는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쇼바는,
    상기 메인바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부; 및
    상기 로드부에서 인출되거나 상기 로드부로 인입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이 수직을 이룰 때,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메인바와 상기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
KR1020210009688A 2021-01-22 2021-01-22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 KR102291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688A KR102291091B1 (ko) 2021-01-22 2021-01-22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688A KR102291091B1 (ko) 2021-01-22 2021-01-22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091B1 true KR102291091B1 (ko) 2021-08-20

Family

ID=7746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688A KR102291091B1 (ko) 2021-01-22 2021-01-22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0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399B1 (ko) 2014-11-03 2016-03-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하부밀폐구조를 포함한 물류창고용 도크시설
KR101911257B1 (ko) * 2018-04-11 2018-10-25 주식회사 호수산업 접이식 관람석
KR20200098033A (ko) * 2019-02-11 2020-08-20 유수원 고소 작업용 사다리의 안전난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399B1 (ko) 2014-11-03 2016-03-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하부밀폐구조를 포함한 물류창고용 도크시설
KR101911257B1 (ko) * 2018-04-11 2018-10-25 주식회사 호수산업 접이식 관람석
KR20200098033A (ko) * 2019-02-11 2020-08-20 유수원 고소 작업용 사다리의 안전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2234B1 (en) Material handling method for sorting items using a dynamically configurable sorting array
US10639678B2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and manual sorting of items using a dynamically configurable sorting array
US10836591B2 (en) Apparatus for handling articles in a transporting unit, in particular an interchangeable container, and unloading apparatus
US10022752B1 (en) Package sorting module,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160101957A1 (en) Missort prevention system in a conveying system
CN210735590U (zh) 建筑物及其无人机的货物装卸系统
US20180148271A1 (en) Conveyor system comprising an aligner for aligning items
CA3060709A1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and manual sorting of items using a dynamically configurable sorting array
KR102291091B1 (ko)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
KR100713967B1 (ko) 비접촉 화물 검사 및 컨테이너 운반을 위한 다기능 이동플랫폼
KR102296425B1 (ko)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
KR102277623B1 (ko) 물품 분류 시스템 및 물품 분류 방법
CN216188816U (zh) 行李输送系统行李导包防翻滚装置
CN109436643A (zh) 自动装卸装置
DE102017123776A1 (de) Autonomes Verteilerfahrzeug
US11066246B2 (en) Extendible conveyor with irregular parcel handling
JP2006290511A (ja) コンベヤシステム
JP3074688U (ja) オートラック装置
US20190256292A1 (en) Material handling system with integrated service platform
KR102585101B1 (ko) 택배 화물용 도크의 안전난간 겸용 도어
US11866269B2 (en) Dynamic processing of objects provided in elevated vehicles with evacu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ing objects
CN216888215U (zh) 一种检查航空货运集装箱中违禁物品的装置
US9790039B2 (en) Unit load device shipment loading system for mixed shipments
CN219007896U (zh) 集成电路专用设备搬运防倾倒装置
JP2010023939A (ja) 荷物検出装置及び荷物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